KR20130079378A -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378A
KR20130079378A KR1020127028588A KR20127028588A KR20130079378A KR 20130079378 A KR20130079378 A KR 20130079378A KR 1020127028588 A KR1020127028588 A KR 1020127028588A KR 20127028588 A KR20127028588 A KR 20127028588A KR 20130079378 A KR20130079378 A KR 20130079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guide
refractive index
desig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나리 하마다
사다오 야베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duce indicia, symbols, text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6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individual cut-out symbols or cut-out silhouettes, e.g. perforate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밝고 높은 균일성을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는,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제 1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하는 도광체(11), 도광체(11)의 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도광체(11)가 도광하는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부(13), 도광체(11)의 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디자인을 표시하는 디자인 표시부(12)를 구비하고, 디자인 표시부(12)는 광 확산부(13)에 의해 확산되는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구비하고, 광 확산부(13)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대응하여 설치된 표시부재(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DISPLAY MEMBE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가요성 및 투광성을 갖는 시트형상의 시트형상 부재와, 그 시트형상 부재의 양면에 배치된 시트형상 부재보다 광의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부를 구비한 도광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734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870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32906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도광체에서는 도광체가 도광하여 출사하는 광이 조광하는 디자인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도광체를 사용하여 소정의 디자인을 조광하는 경우에 효율 좋게 디자인을 조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효율 좋게 디자인을 조광할 수 있는,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한 표시부재는,
제 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하는 도광체,
상기 도광체의 표면과 이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가 도광하는 상기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도광체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디자인을 표시하는 디자인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자인 표시부는 상기 광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는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한 표시장치는,
제 1 광원,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하는 도광체,
상기 도광체의 표면과 이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가 도광하는 상기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도광체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디자인을 표시하는 디자인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자인 표시부는 상기 광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는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에 따르면 디자인 표시부는 광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는 광을 투과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를 구비하고, 광 확산부는 제 1 광투과 출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광체에서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것이 방지 또는 감소되고, 디자인 표시부가 표시하는 디자인을 효율 좋게 조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디자인 표시부분을 정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 확산부를 정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부재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디자인 표시부의 제 1 광투과 출사부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디자인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광 확산부를 배치한 표시부재의 대략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디자인부를 포함하지 않는(디자인부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광 확산부를 배치한 표시부재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a에 도시한 디자인 표시부의 제 1 광투과 출사부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6b에 도시한 디자인 표시부의 제 1 광투과 출사부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도광체의 표면에 광 확산부를 배치한 표시부재의 대략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도광체의 양면에 광 확산부를 배치한 표시부재의 대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제 1 광투과 출사부보다 큰 광 확산부를 배치한 표시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도 10a는 고굴절률부를 구비한 광 확산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고굴절률부를 구비한 광 확산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도광체에 직접 형성한 광 확산부를 갖는 표시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제 1 광투과 출사부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굴절률부를 배치한 표시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광투과 출사부의 영역에 투광성을 갖는 디자인부를 배치한 표시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도광부재의 양면측에 디자인 표시부를 설치한 표시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디자인 표시부의 제 1 광투과 출사부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부재로, 입체적으로 성형된 표시부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장치로서, 휴대전화의 조작 버튼인 표시부재를 구비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표시장치로, 제 2 광투과 출사부가 형성된 디자인 표시부를 구비한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표시장치에서 제 1 광원과 제 2 광원으로부터 각각 출사되는 광의 광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한 표시장치에서 디자인 표시부의 제 1 광투과 출사부 및 제 2 광투과 출사부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를,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표시장치(100)는 소정의 디자인을 표시하는 표시부재(10)와, 광을 출사하는 제 1 광원(20)으로 구성된다. 표시장치(100)는 제 1 광원(20)이 출사한 광을, 표시부재(10)의 단부에서 수광하고 표시부재(10)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출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표시장치(100)는 예를 들어 차량용 계기, 휴대전화, 표시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100)가 차량용 계기의 것이다.
제 1 광원(20)은 광을 직선형상으로 출사하는 봉 형상의 광원이고, 출사하는 광을 표시부재(10)(후술하는 도광체(11))의 내부에 입사시키는 위치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광원(20)에서의 광의 출사부가, 표시부재(10)(후술하는 도광부재(11))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제 1 광원(20)은 설치된다. 제 1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후술하는 도광체(11)의 측면으로부터 도광체(11) 내부에 입사된다. 제 1 광원(20)은 예를 들어 냉음극관, 발광다이오드, 유기EL소자 등의 발광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표시부재(10)는 도광체(11), 디자인 표시부(12), 광 확산부(13),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를 구비한다.
도광체(11)는 제 1 광원(20)이 출사한 광을 도광한다. 도광체(11)는 여기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성(반투광성을 포함)을 갖는 평판 형상의 합성수지제의 부재(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판 등)이다. 구체적으로 도광체(11)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광의 굴절률은 약 1.6), 아크릴계 수지(광의 굴절률은 약 1.49), 실리콘계 수지(광의 굴절률은 약 1.5)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도광체(11)는 제 1 광원(20)이 출사한 광을 측면(제 1 광원(20)에 대향하는 면)에서 수광하고, 수광한 광(측면으로부터 내부에 입사된 광)을 도광한다.
디자인 표시부(12)는 도광체(11)의 표면(111)측에 설치된다. 디자인 표시부(12)는 예를 들어 잉크 등을 사용하여 인쇄, 도장 등에 의해 형성되고, 디자인을 표시하는 표시층이다. 디자인 표시부(12)는 문자, 그림, 도형, 기호 등을 표현하는 디자인을 나타내는 디자인부(121)를 구비한다. 또한, 디자인 표시부(12)는 후술하는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그 일부에 구비한다. 디자인 표시부(12)는 조광된 경우에 디자인부(121) 및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의해 소정의 디자인을 표시한다. 디자인부(121)는 비투광성(차광성)을 갖는 층을 이용하여 「차량용 계기(속도계)의 지표부」의 부분을 잘라낸 디자인을 형성한다. 디자인 표시부(12)는 디자인부(121)의 배치나, 디자인부(121)에 사용되는 재료 등에 의해 그 일부에 광을 투과 가능한 영역을 구비하고, 그 영역 중 실제로 광을 투과하는 영역으로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가 그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다. 즉, 디자인 표시부(12)에서는 실제로 광을 출사하는 영역과 출사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광을 출사하는 영역은 디자인 표시부(12)의 일부 영역에 설치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 뿐이다. 한편, 광을 출사하지 않는 영역(광 불출사 영역)은 차광성을 갖는 디자인부(121)가 설치된 영역, 또는 광을 투과 가능한 영역 중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이 도달하지 않는 등에 의해 출사되지 않는 영역 등에 상당한다. 이에 의해, 도광체(11)에서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것이 방지 또는 감소되고, 디자인 표시부(12)가 표시하는 디자인을 효율 좋게 조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는 속도계의 지표부 부분에서 형성된 관통구멍(적당히, 결절부 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관통구멍에 대해서 동일)이다. 여기에서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는 펀칭그림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는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을 투과하는 것이면 좋으므로,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 백색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광확산부(13)는 도광체(11)의 이면(112)에 설치된다. 광 확산부(13)는 도광체(11)가 도광한 광을 확산한다.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은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투과하고,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로부터 출사한다. 광 확산부(13)는 광 확산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인쇄, 도장 등에 의해 도광체(11)의 이면(112)상에 형성된다. 광 확산부(13)는 디자인 표시부(12)의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대응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광 확산부(13)는 그 적어도 일부(여기에서는 전부)가 디자인 표시부(12)의 표면상의 법선 방향(즉, 여기에서는 광 확산부(13) 면에 대한 법선 방향)에서 보아(도 4에서 위에서 보아),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의 전체와 겹치도록 설치된다.
광 확산부(13)는, 여기에서는, 광확산성을 갖는 필름(시트) 형상의 부재이고 이것이 도광체(11)의 이면(112)의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또한, 광 확산부(13)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와 대략 동일한 위치, 및 대략 동일한 형상에 의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복잡한 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광 확산부(13)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확산이라는 것은 난반사, 산란, 굴절, 반사 등에 의해 광의 진로가 변경되는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광 확산부(13)는 그 확산의 성질이 제 1 광투과 출사부(122), 도광체(11)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 표시부(12)가 도광체(11)의 표면(111)측에 있고, 광 확산부(13)가 도광체(11)의 이면(112)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 확산부(13)는 주로 반사, 난반사, 산란 등에 의해 광을 확산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 표시부(12)가 도광체(11)의 표면(111)측에 있고, 광 확산부(13)가 도광체(11)의 표면(111)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 확산부(13)는 주로 산란, 굴절 등에 의해 광을 확산한다. 이와 같이, 광 확산부(13)의 확산의 성질은 확산되는 광을, 표리 중 어느 방향(또는 양방향을 포함)으로 진행시키는가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확산되는 광을, 표리 양방향으로 광을 진행시키는 경우, 광 확산부(13)는 난반사, 산란, 굴절, 반사 등을 적절하게 실시하게 한다.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는 도광체(11)를 끼고 도광체(11)의 양면(111, 112) 전체에 걸쳐 그 양면(적절하게, 광 확산부(13)를 포함)을 덮도록 설치된다.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성(반투광성을 포함)을 갖고, 도광체(11)보다 광의 굴절률이 낮다.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는 예를 들어 도광체(11)보다 광의 굴절률이 낮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인쇄, 도장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는 투광성을 갖는 평판형상의 합성수지제의 부재(예를 들어 아크릴판 등)에 의해 설치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는 아크릴계 수지(광의 굴절률은 약 1.49), 실리콘계 수지(광의 굴절률은 약 1.5),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폴리에틸렌의 일종, 광의 굴절률은 약 1.35)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저굴절률부(14a)와 제 2 저굴절률부(14b)는 각각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제 1 저굴절률부(14a)와 도광체(11)의 계면, 또는 제 2 저굴절률부(14b)와 도광체(11)의 계면에서, 도광체(11)에 의해 도광된 광은 전반사한다. 전반사는 굴절률이 큰 매질(도광체(11))로부터 작은 매질(저굴절률부(14a, 14b))에 광이 입사되려고 할 때, 입사되려고 하는 광이 계면을 투과하지 않고, 그 전체(거의 전체를 적절하게 포함)가 반사되는 현상을 말한다. 전반사는 광의 입사각이 인접하는 매질(여기에서는 도광체(11)와,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의 각 굴절률에 의해 결정되는 각도(임계각)보다 큰 경우에 일어난다. 도광체(11)의 측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그 대부분이 임계각보다 큰 입사각으로 제 1 저굴절률부(14a) 또는 제 2 저굴절률부(14b)에 도달하므로 도광체(11)와 저굴절률부(14)의 계면에 도달한 광은 전반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장치(100)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표시부재(10)의 도광체(11)의 측면에 입사된다. 도광체(11)에 입사된 광은 도광체(11)와 제 1 저굴절률부(14a), 또는 도광체(11)와 제 2 저굴절률부(14b)의 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고 도광체(11)의 내부를 진행한다. 이에 의해, 도광체(11)는 제 1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직선 화살표는 도광체(11)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광체(11)의 내부를 진행하는 광의 일부는 광 확산부(13)에 도달한다. 광 확산부(3)에 도달한 광은 그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점선 화살표는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의 진행방향을 표시한다. 광 확산부(13)에 의해 확산된 광 중, 도광체(11)의 표면(111)으로의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작은 광은 전반사되지 않고, 제 1 저굴절률부(14a)를 통하여 디자인 표시부(12)의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여기에서는 관통구멍)를 투과한다. 이에 의해, 디자인 표시부(1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여기에서는 속도계의 지표부의 부분)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이에 의해, 디자인부(121)는 어둡게 보이고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는 빛나 보인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한 표시부재(10) 및 표시장치(100)는 디자인 표시부(12)에서 실제로 광을 투과하는 영역으로서 설치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대응하는 영역에 광 확산부(13)가 설치되므로,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은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투과하여 출사된다. 이에 의해, 도광체(11)에서의 불필요한 부분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것이 방지 또는 감소되고, 디자인 표시부(12)가 표시하는 디자인을 효율 좋게 조광할 수 있다. 특히, 도광체의 표면의 대략 전면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종래의 표시부재를 사용한 경우보다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빛나고 있는 부분의 휘도)가 높아져, 디자인 표시부(12)가 표시하는 디자인을 효율 좋게 조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자인 표시부(12)에서 동일한 디자인부(121)가 설치되어 있어도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변경하고, 이에 대응하는 영역에 광 확산부(13)를 설치함으로써 디자인 표시부(12)가 조광된 경우에, 표시장치(100)를 보는 사람에게 다른 인상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 표시부(12)에는 동일한 디자인부(121)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각각 다른 영역으로 하고 각각 대응하는 영역에 광 확산부(13)를 설치함으로써,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도 7a 및 도 7b에서는 동일한 디자인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광 확산부(13)의 위치만 다름), 디자인 표시부(12)가 조광된 경우에 표시장치(100)를 보는 사람에게 다른 인상을 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자인 표시부(12)는 제 1 저굴절률부(14a)를 통하여 도광체(11)의 표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광체(11)가 도광하는 광은 도광체(11)와 제 1 저굴절률부(14a)의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디자인 표시부(12)에 흡수되는 것 등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 도광체(11)의 도광 효율이 확보되어 있다. 즉, 도광체(11)의 표면(111) 또는 이면(112)에 디자인 표시부(12)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 1 저굴절률부(14a) 또는 제 2 저굴절률부(14b)를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체(11)의 양면에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도광체(11)보다 공기쪽이 광의 굴절률이 낮으므로, 도광체(11)와 공기의 계면에서는 도광체(11)에 도광된 광이 전반사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도광체(11)의 면에 도광체(11)보다 굴절률이 높은 매질(예를 들어, 먼지 등)이 부착된 경우나 도광체(11)의 면에 스크래치가 생긴 경우 등에, 그 부분에서 광이 투과, 흡수되고, 그 결과 도광체(11)의 도광 효율이 나빠진다. 즉,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를 도광체(11)의 양면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제 1 저굴절률부(14a)와 도광체(11) 또는 제 2 저굴절률부(14b)와 도광체(11)와의 계면에서 광을 거의 전반사시킬 수 있고, 이들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도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 확산부(13)는 도광체(11)에 접하여 설치되고, 그 위에(도 4에서 아래위치)에 제 2 저굴절률부(14b)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광된 광이 광 확산부(13)에 의해 확산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에 관한 기술을 구체화하기 위해 예시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기술내용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6a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사항이나 하기의 변형예에서의 기술적 사항은 적절하게 조합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 확산부(13)는 도광체(11)의 이면(112)에 설치되어 있지만, 광 확산부(13)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11)의 표면(111), 또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11)의 양면(111, 112)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광 확산부(13)의 성질은 그 위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부(13)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보다 큰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광 확산부(13)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보다도 폭이 넓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광 확산부(13)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보다도 큰 서로 유사한 형상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와 어긋난 위치(즉,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와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광 확산부(13)가 설치되어도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향하여 광을 확산할 수 있고,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는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을 효율적으로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빛나는 부분)의 시야각이 넓어진다.
또한, 광 확산부(13)에는 도광체(11)보다 광의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부(131)를 구비해도 좋다. 고굴절률부(131)는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확산부(13)의 면에 대한 법선 방향에서 본 경우(도 10a에서 위에서 본 경우)에, 광 확산부(13)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또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확산부(13)의 한 면에 설치된다. 또한, 고굴절률부(131)는 도광체(11)의 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광 확산부(13)에 도달한 광은 도광체(11)와 고굴절률부(131)의 계면에서 투과(굴절)되므로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되는 광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빛나고 있는 부분의 휘도)는 고굴절률부(13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광 확산부(13)보다 높아져, 디자인 표시부(12)가 표시하는 디자인을 보다 효율 좋게 조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굴절률부(131)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광의 굴절률은 약 1.6), 폴리우레탄계 수지(광의 굴절률은 약 1.6)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광 확산부(13)는 광 확산성을 갖는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어 광 확산부(13)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11)의 면에 직접, 요철부 등으로 이루어진 도트패턴 등을 마이크로도트, 임프린트, 에칭 등으로 성형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광 확산부(13)는 투광성을 갖는 도광체(11)면에 광확산성을 갖는 기포를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이들의 경우, 광 확산부(13)는 도광체(11)와 동일한 재료로 설치되어도 좋다. 그 밖에, 투광성을 갖는 유리내에 광확산성을 갖는 금분(金粉) 등을 혼입하여 도광체(11)와 광 확산부(13)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는 도광체(11)의 양면(111, 112)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지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저굴절률부(14a)에서 광 확산부(13)으로부터 확산된 광이 통과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41)을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저굴절률부(14a) 및 제 2 저굴절률부(14b)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대응하는 위치가 관통구멍으로 이루어져 있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디자인 표시부(12)에 형성되는 디자인부(121)는 비투광성(차광성)을 갖는 층이지만, 투광성(반투광성을 포함)을 갖는 층이어도 좋다. 또한, 투광성을 갖는 층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디자인부(12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를 덮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 디자인 표시부(12)에서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이 투과되는 부분이 제 1 광투과 출사부(122)가 된다(도 13에 도시한 화살표 참조). 즉,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는 광 확산부(13)의 형상 등에 의해 규정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서 설치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의 범위는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된 광이 도달하여 투과하는 범위가 되므로, 상기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차광성을 갖는 디자인부(121)가 설치된 경우(도 5 참조)와 비교하여 넓어진다.
또한, 디자인 표시부(12)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1)의 양면(111, 112)측(표시부재(10)의 양면)에 설치해도 좋고, 또한 복수의 디자인부(121a, 121b)를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을 표시해도 좋다. 또한 디자인 표시부(12)에 설치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된 광 확산부(13)에 의해 확산되는 광의,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에서의 투과량을, 디자인 표시부(12)에 형성되는 디자인부(121a)에 의해 조절하여 디자인 표시부(12)에 형성되는 디자인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부(121a)에 그라데이션 등을 갖게 하고, 제 1 광투과 출사부(122)의, 광의 투과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참신한 디자인을 표시할 수 있다(도 15 참조).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표시부재(10)는 평판 형상의 것을 설명했지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표시부재(10)는 압공성형(壓空成型)이나 스로틀 성형 등으로 입체적인 형상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입체 형상의 도광체(11)를 사용해도 좋고, 이에 디자인 표시부(12), 광 확산부(13), 저굴절률부(14) 등을 적층함으로써 입체적인 형상의 표시부재(10)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재(10)의 일부를 휴대전화의 조작 버튼의 형상으로 하고, 이를 제 1 광원(20), 회로기판(40)과 함께 케이스체(30) 내부에 수납한 표시장치(100)(여기에서는 휴대전화)로 할 수도 있다. 회로기판(40)상의, 표시부재(10)의 조작버튼을 형성하는 디자인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위치부(41)가 설치된다. 디자인부(12)가 억압됨으로써, 이 부분에서 변형되는 표시부재(10)의 일부가 스위치부(61)에 접촉되고, 회로기판(40)에 접속된 제 1 광원(20)에 통전되어 제 1 광원(20)으로부터 광이 출사된다.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제 1 광원(2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도광체(11)를 진행하고, 표시부재(10)에 설치된 광 확산부(13)에서 확산되어, 디자인 표시부(12)에 설치된 제 1 광투과 출사부(122)로부터 출사된다. 이에 의해, 디자인(조작 버튼상의 디자인)을 효율적을 조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표시장치(100)의 구성에 추가하여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자인 표시부(12)에서 디자인부(121)에 의해 「경고부」의 부분을 잘라낸 제 2 광투과 출사부(122b)(경고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 1 광원(20) 이외의 다른 광원(50)(제 2 광원(50))을, 도광체(11)의 이면(111)측(표시부재(10)의 이면)에, 제 2 광투과 출사부(122b)에 대향하여 설치해도 좋다. 제 2 광원(50)은 제 2 광투과 출사부(122b)가 설치된 영역의 표면의 법선 방향에서 보아 제 2 광투과 출사부(122b)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저굴절률부(14a)에는 제 2 절결부(141b)가 형성되어 있지만,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장치(100)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광원(5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제 2 저굴절률부(14b), 도광체(11), 제 2 관통구멍(141b)을 투과하고, 디자인 표시부(12)의 제 2 광투과 출사부(122b)를 투과한다. 이에 의해, 디자인 표시부(12)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확산부(13)로부터 확산된 광을 광투과 출사부(122a)로부터 출사하는 이외에, 제 2 광원(5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광투과 출사부(122b)(경고부)에서 투과한다. 광투과 출사부(122b)로부터 출사하는 광은 제 2 광원(50)으로부터 직접 출사된 광이고, 확산이나 반사 등이 되지 않으므로, 광투과 출사부(122b)로부터 휘도가 높은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투과 출사부(122b)는 밝게 빛나므로 사용자의 눈길을 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차량 등에서의 여러가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10: 표시부재 11: 도광체
12: 디자인 표시부 13: 광 확산부
14a: 제 1 저굴절률부 14b: 제 2 저굴절률부
20: 제 1 광원 50: 제 2 광원
100: 표시장치 111: 도광체의 표면
112: 도광체의 이면 121: 디자인부
122, 122a: 제 1 광투과 출사부 122b: 제 2 광투과 출사부
131: 고굴절률부 141: 관통구멍
141a: 제 1 관통구멍 141b: 제 2 관통구멍

Claims (10)

  1. 제 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하는 도광체,
    상기 도광체의 표면과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가 도광하는 상기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도광체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디자인을 표시하는 디자인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자인 표시부는 상기 광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는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표시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와 겹쳐 있는 표시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보다 큰 표시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도광체보다 광의 굴절률이 높은 고굴절률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굴절률부는 상기 도광체의 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표시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와 상기 디자인 표시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도광체보다 광의 굴절률이 낮은 저굴절률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표시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률부는 상기 도광체의 양면에 설치되는 표시부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표시부는 상기 광 확산부와 대응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제 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체의 이면측에서 상기 도광체를 투과한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2 광투과 출사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표시부재.
  9. 제 1 광원,
    상기 제 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하는 도광체,
    상기 도광체의 표면과 이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가 도광하는 상기 광을 확산하는 광 확산부, 및
    상기 도광체의 표면측과 이면측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고, 디자인을 표시하는 디자인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자인 표시부는 상기 광 확산부에 의해 확산되는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1 광투과 출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제 1 광투과 출사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광원,
    상기 디자인 표시부의 상기 광 확산부와 대응하고 있지 않은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상기 도광체의 이면측에서 상기 도광체를 투과한 광을 투과하여 출사하는 제 2 광투과 출사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제 2 광원은 상기 도광체의 이면측으로, 상기 제 2 광투과 출사부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표시장치.
KR1020127028588A 2010-05-12 2011-04-15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 KR20130079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0608 2010-05-12
JP2010110608A JP5732744B2 (ja) 2010-05-12 2010-05-12 表示部材及び表示装置
PCT/JP2011/059347 WO2011142209A1 (ja) 2010-05-12 2011-04-15 表示部材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378A true KR20130079378A (ko) 2013-07-10

Family

ID=4491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588A KR20130079378A (ko) 2010-05-12 2011-04-15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20016B2 (ko)
EP (1) EP2571010B1 (ko)
JP (1) JP5732744B2 (ko)
KR (1) KR20130079378A (ko)
CN (1) CN102884568B (ko)
WO (1) WO20111422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7071A (ja) * 2012-03-23 2013-09-30 Shin Etsu Polymer Co Ltd ライトガイド及びライトガイドユニット
JP2014048067A (ja) * 2012-08-29 2014-03-17 Nippon Seiki Co Ltd 表示装置
TWM448778U (zh) * 2012-11-02 2013-03-11 Darfon Electronics Corp 保護蓋及鍵盤
JP6135921B2 (ja) * 2013-06-27 2017-05-31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部材及び表示装置
JP2015032565A (ja) * 2013-08-07 2015-02-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光源装置用導光体及び光源装置
JP2016177871A (ja) * 2015-03-18 2016-10-06 シロキ工業株式会社 光装飾具
JP6493101B2 (ja) * 2015-09-01 2019-04-03 オムロン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18073087A1 (de) * 2016-10-18 2018-04-26 Covestro Deutschland Ag Schichtaufbau mit beleuchtbaren symbolen und dessen verwendung
CN111213049B (zh) * 2017-12-13 2023-08-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光感测装置
EP3869089A4 (en) * 2018-10-16 2021-10-13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DEVICE
TWI776088B (zh) * 2019-09-11 2022-09-01 誠屏科技股份有限公司 導光板以及顯示模組
JP7363400B2 (ja) * 2019-11-15 2023-10-18 オムロ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遊技機
IT202100001289A1 (it) 2021-01-25 2022-07-25 Ofolux Srl Sistema di illuminazione a effetto puntiforme e relativo processo di produzion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3445A (ja) * 1974-12-23 1976-06-25 Asahi Chemical Ind Fuirumujokodotai
JPS5287046A (en) * 1976-11-15 1977-07-20 Asahi Chemical Ind Photoconductor
DE3239396C2 (de) * 1982-10-25 1985-01-17 Accumulatorenwerke Hoppecke Carl Zoellner & Sohn GmbH & Co KG, 5790 Brilon Batterie
JPS5994386U (ja) * 1982-12-15 1984-06-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透過照明式表示板
JPS6357694U (ko) * 1986-09-30 1988-04-18
JPH01101286A (ja) 1987-10-14 1989-04-19 Honda Motor Co Ltd モータサイクルの緩衝装置
JPH01101286U (ko) * 1987-12-26 1989-07-07
JPH04232906A (ja) * 1990-12-28 1992-08-21 Toray Ind Inc 可撓性多層導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77351A (ja) * 1996-12-18 1998-06-30 Yazaki Corp 表示装置
JP4547734B2 (ja) * 1999-07-09 2010-09-2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自発光型表示板
US7088405B2 (en) * 2003-05-05 2006-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uctured transflectors for enhanced ambient and backlight operation of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s
US7430358B2 (en) * 2005-04-20 2008-09-30 Wavefront Technology, Inc. Elliptical diffusers used in displays
WO2007040028A1 (ja) * 2005-10-04 2007-04-12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JP4918399B2 (ja) * 2007-04-27 2012-04-18 株式会社フジクラ 表示装置
WO2009034737A1 (ja) * 2007-09-14 2009-03-19 Sharp Kabushiki Kaisha 光学部材、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JP2009087818A (ja) * 2007-10-01 2009-04-23 Shin Etsu Polymer Co Ltd 照光シート部材及び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EP2247978A4 (en) * 2008-01-30 2012-12-2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THIN LIGHTING SYSTEM
JP3147000U (ja) * 2008-09-29 2008-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表示ディスプレイ
JP5263593B2 (ja) * 2008-10-07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84568B (zh) 2015-11-25
EP2571010A4 (en) 2014-07-30
JP2011237692A (ja) 2011-11-24
EP2571010B1 (en) 2015-10-14
JP5732744B2 (ja) 2015-06-10
EP2571010A1 (en) 2013-03-20
US20130058131A1 (en) 2013-03-07
CN102884568A (zh) 2013-01-16
US8920016B2 (en) 2014-12-30
WO2011142209A1 (ja)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9378A (ko) 표시부재 및 표시장치
US7736042B2 (en) Back light unit
US6679613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WO2012090591A1 (ja) 表示装置
JP2009224314A (ja) 面状導光体及び電子機器
WO2011016550A1 (ja) キーボード装置
JP4979835B2 (ja) 照光表示装置
JP4466134B2 (ja) 表示装置
US8395585B2 (en) Display device and front cover thereof
JP2007121486A (ja) 液晶表示装置
JP5196565B2 (ja) 光源装置及び電子機器
JP5660380B2 (ja) 表示装置
JP5885347B2 (ja) セグメント表示装置
JP2012013843A (ja) 表示装置
JP5272032B2 (ja) キーボード装置
JP6433379B2 (ja) 操作装置
JP2013044898A (ja) 表示装置
JP4326888B2 (ja) 照光装置
TW200912201A (en) Electronic device
JP3182212U (ja) 照光表示装置
CN107577007B (zh) 车辆用显示装置
JP5912291B2 (ja) 導光シートおよび加飾成形体
JP6135921B2 (ja) 表示部材及び表示装置
JP3650011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12150069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