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1053A -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1053A
KR20130051053A KR1020110116180A KR20110116180A KR20130051053A KR 20130051053 A KR20130051053 A KR 20130051053A KR 1020110116180 A KR1020110116180 A KR 1020110116180A KR 20110116180 A KR20110116180 A KR 20110116180A KR 20130051053 A KR20130051053 A KR 20130051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tea
hours
functiona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777B1 (ko
Inventor
오흥덕
조영동
Original Assignee
오흥덕
조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흥덕, 조영동 filed Critical 오흥덕
Priority to KR1020110116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7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Seasoning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茶)류, 한약재, 버섯류, 꽃잎, 커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로부터 기능성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구운소금과 혼합하여 열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茶)류, 한약재, 버섯류, 꽃잎, 커피 등의 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풍미가 뛰어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salt}
본 발명은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茶)류, 한약재, 버섯류, 꽃잎, 커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로부터 기능성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이를 구운소금과 혼합하여 열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차 웰빙식품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발맞추어 식품업계에서도 기존의 식품에 기능성 물질을 적용하여 식품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염화나트륨이 주성분인 소금은 부패방지, 발효조절 및 탈수작용 등의 성질을 이용한 식용 이외에도, 공업용과 의약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식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조미료인 동시에,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해 주고 인체에 필요한 여러 가지 미네랄들의 주요한 공급원의 하나로서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소금에도 각종 기능성 성분을 적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83389호에는 각종 유용 미네랄을 글루콘산염의 형태로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6579호에는 키토산과 천일염을 결합하고 재결정하여 키토산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등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을 소금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보다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차(茶)류, 한약재 등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들의 기능성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고, 보다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각 재료를 특정한 온도 및 시간 조건에 따라 초음파 저온 추출하고, 추출된 추출물을 소금과 혼합하여 특정한 조건에서 열풍건조할 경우, 재료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며 풍미가 우수한 기능성 소금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인체에 유익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소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茶)류, 한약재, 버섯류, 꽃잎, 커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 100중량부에 물 500 내지 2000중량부를 첨가하고, 40 내지 90℃에서 30분 이상 초음파 저온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구운소금 100중량부에 상기 추출물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고, 60℃ 이하의 온도로 열풍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차(茶)류는 보이차 또는 철관음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한약재는 침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버섯류는 능이버섯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꽃잎은 쟈스민 또는 로즈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의 첨가량은 상기 재료 100중량부에 대해 1000 내지 1400중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구운소금과 상기 추출물의 혼합량은 구운소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추출물 7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초음파 저온 추출은 저온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한약재나 천연물 등으로부터 성분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로 차(茶)류, 특히 보이차 또는 철관음을 사용할 경우, 상기 초음파 저온 추출 조건을 60 ~ 70℃에서 2시간 이상 또는 80 ~ 90℃에서 1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로 한약재, 특히 침향을 사용할 경우, 상기 초음파 저온 추출 조건을 60 ~ 70℃에서 2시간 이상 또는 80 ~ 90℃에서 1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로 버섯류, 특히 능이버섯을 사용할 경우, 상기 초음파 저온 추출 조건을 60 ~ 70℃에서 2시간 이상 또는 80 ~ 90℃에서 1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로 꽃잎, 특히 쟈스민 또는 로즈를 사용할 경우, 상기 초음파 저온 추출 조건을 40 ~ 60℃에서 1시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료로 커피를 사용할 경우, 상기 초음파 저온 추출 조건을 40 ~ 50℃에서 40분 내지 1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재료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할 때, 상기 추출 온도 범위를 초과할 경우 재료의 유효성분 중 일부가 변질될 수 있고, 너무 낮은 온도로 추출할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 효율이 낮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각 추출 온도에 따라 충분한 시간동안 추출하지 않으면,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추출 시간을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초음파 저온 추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풍건조는 60℃ 이하의 온도로 10시간 이상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에 따라 열풍건조를 실시하면 최종 소금의 수분함량이 0.3% 정도가 된다. 열풍건조 시 너무 높은 온도로 처리하게 되면 재료의 유효성분이 변질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을 구운소금에 안정적으로 함침하기 위해서는 10시간 이상 충분한 시간동안 열풍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풍건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제조된 소금에 재료의 향 또는 유효성분이 그대로 남아 있게 되어 풍미가 매우 뛰어난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보이차(peurh)는 학명이 Camelia sinensis O. ktze. Var. assamica kitamura로, 중국 운남성 일대에서 자생하는 대엽종의 야생 교목이며, 키가 3m 정도인 장목이다. 가지는 회색이고, 잎은 길이 7 ~ 16㎝ 넓이 2.8 ~ 5.5㎝ 정도의 타원형이며, 본초재신(本草再新)에 맛이 쓰고 떫으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보이차는 차잎의 차성이 강하여 녹차처럼 채취 후 바로 마시기에 부적합하기 때문에, 다년간 저장하여 자연발효과정을 거쳐 차성이 온화된 후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자연발효과정은 4 ~ 5년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20 ~ 30년 또는 그 이상 발효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관음(鐵觀音)은 중국 푸젠 성 안시 현에서 생산되는 우롱차의 한 품종으로, 청차로 분류된다. 차 잎은 철색이며, 달콤한 과일 향과 함께 단맛이 난다. 본 발명에서는 10년 이상 완전발효된 노철관음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향은 우리나라에서는 팥꽃나무과의 침향나무(Aquilaria agallocha Roxburgh)의 수지가 침착된 수간목을 말하고, 중국에서는 토침향(Aquilaria sinensis(Lour.) Gilg:土香)을 말한다. 이 약은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기를 내려 중초를 조화롭게 하며 신장을 따뜻하게 하여 양기를 보하고, 소화불량, 식욕부진, 수족냉증, 명화화쇠, 구토, 구역질, 헛기침과 가래, 남자의 정력부족과 조루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김새는 흑갈색을 띠며 수지를 함유하고 많은 평행 섬유질로 되어 있다. 이것을 불 속에 넣으면 상쾌한 향기를 내며 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운소금으로 가공한 천일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상세하게는 간수를 제거한 천일염을 원적외선 방사 가열방법을 사용하여 700 내지 800℃에서 24시간 이상 구워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천일염을 가공하는 것은 천일염에 존재할 수 있는 중금속과 유해 유기물질 등의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구운소금을 본 발명에 사용하면, 재료의 유효성분과 조화를 이루어 풍미 및 영양성분 함량이 우수한 보다 높은 품질의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천일염의 간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심분리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창고에서 저장 및 숙성기간을 거친 다음 원심분리하여 간수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간수를 제거한 천일염은 원적외선 방사 가열방법을 이용하여 굽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굽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이옥신, 질소화합물, 페놀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장의 환경 개선 및 작업자의 유해물질 노출 방지를 위해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조한 구운소금은 추출물과 혼합하기 전에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효성분의 함침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소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소금은 분쇄 및 포장 과정을 거쳐 제품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茶)류, 한약재, 버섯류, 꽃잎, 커피 등의 재료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풍미가 뛰어난 기능성 소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보이차 성분 함침 기능성 소금 제조
1-1. 구운소금 제조
국내산 천일염을 창고에 2 ~ 3년간 두어 저장 및 숙성시키며 1차 간수를 제거하였다. 저장 및 숙성기간이 지난 천일염을 원심분리하여 2차 간수를 제거하였다.
간수가 제거된 천일염을 고주파 원적외선 방사 열선 가열방식의 전기로에서 800℃에서 24 ~ 48시간 동안 구운 다음 분쇄하여 구운소금을 제조하였다.
1-2. 보이차 추출물 제조
20 ~ 30년간 발효한 보이차 330g에 물 4ℓ를 첨가하고, 초음파 저온 추출기에 투입하여 60 ~ 70℃에서 2 ~ 3시간 또는 80 ~ 90℃에서 1 ~ 2시간 동안 초음파 저온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보이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3. 기능성 소금 제조
상기 1-1의 구운소금 100g에 상기 1-2의 보이차 추출물 7 ~ 10g을 혼합하고, 50 ~ 60℃로 10 ~ 20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소금을 분쇄하고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실시예 2. 철관음 성분 함침 기능성 소금 제조
2-1. 철관음 추출물 제조
10년 이상 완전 발효한 노철관음을 사용하였다.
노철관음 330g에 물 4ℓ를 첨가하고, 초음파 저온 추출기에 투입하여 60 ~ 70℃에서 2 ~ 3시간 또는 80 ~ 90℃에서 1 ~ 2시간 동안 초음파 저온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철관음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2. 기능성 소금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구운소금 100g에 상기 2-1의 철관음 추출물 7 ~ 10g을 혼합하고, 50 ~ 60℃로 10 ~ 10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소금을 분쇄하고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실시예 3. 침향 성분 함침 기능성 소금 제조
3-1. 침향 추출물 제조
베트남산으로 수지가 함유되어 있는 침향목을 사용하였다.
침향목 330g에 물 4ℓ를 첨가하고, 초음파 저온 추출기에 투입하여 60 ~ 70℃에서 2 ~ 3시간 또는 80 ~ 90℃에서 1 ~ 2시간 동안 초음파 저온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침향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2. 기능성 소금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구운소금 100g에 상기 3-1의 침향 추출물 7 ~ 10g을 혼합하고, 50 ~ 60℃ 이하로 10 ~ 20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소금을 분쇄하고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실시예 4. 능이버섯 성분 함침 기능성 소금 제조
4-1. 능이버섯 추출물 제조
국내산 능이버섯 330g에 물 4ℓ를 첨가하고, 초음파 저온 추출기에 투입하여 60 ~ 70℃에서 2 ~ 3시간 또는 80 ~ 90℃에서 1 ~ 2시간 동안 초음파 저온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능이버섯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2. 기능성 소금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구운소금 100g에 상기 4-1의 능이버섯 추출물 7 ~ 10g을 혼합하고, 50 ~ 60℃로 10 ~ 20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소금을 분쇄하고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실시예 5. 쟈스민 성분 함침 기능성 소금 제조
5-1. 쟈스민 추출물 제조
중국 또는 태국에서 생산된 쟈스민 330g에 물 4ℓ를 첨가하고, 초음파 저온 추출기에 투입하여 40 ~ 60℃에서 1 ~ 2시간 동안 초음파 저온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쟈스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5-2. 기능성 소금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구운소금 100g에 상기 5-1의 쟈스민 추출물 7 ~ 10g을 혼합하고, 50 ~ 60℃로 10 ~ 20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소금을 분쇄하고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실시예 6. 로즈 성분 함침 기능성 소금 제조
6-1. 로즈 추출물 제조
야생 필리핀산으로 식용가능한 로즈 330g에 물 4ℓ를 첨가하고, 초음파 저온 추출기에 투입하여 40 ~ 60℃에서 1 ~ 2시간 동안 초음파 저온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로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6-2. 기능성 소금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구운소금 100g에 상기 6-1의 로즈 추출물 7 ~ 10g을 혼합하고, 50 ~ 60℃로 10 ~ 20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소금을 분쇄하고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실시예 7. 커피 성분 함침 기능성 소금 제조
7-1. 커피 추출물 제조
가나, 콜롬비아, 베트남 또는 에디오피아산 원두커피 330g에 물 4ℓ를 첨가하고, 초음파 저온 추출기에 투입하여 40 ~ 50℃에서 40 ~ 60분간 초음파 저온 추출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커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7-2. 기능성 소금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구운소금 100g에 상기 7-1의 커피 추출물 7 ~ 10g을 혼합하고, 50 ~ 60℃ 이하로 10 ~ 20시간 동안 열풍건조하여 기능성 소금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기능성 소금을 분쇄하고 포장하여 제품화 하였다.

Claims (5)

  1. 차(茶)류, 한약재, 버섯류, 꽃잎, 커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료 100중량부에 물 500 내지 2000중량부를 첨가하고, 40 내지 90℃에서 30분 이상 초음파 저온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구운소금 100중량부에 상기 추출물 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고, 80℃ 이하의 온도로 열풍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茶)류는 보이차 또는 철관음이며, 상기 한약재는 침향이고, 상기 버섯류는 능이버섯이며, 상기 꽃잎은 쟈스민 또는 로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건조는
    60℃ 이하의 온도로 10시간 이상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운소금은
    천일염을 간수를 제거하고, 원적외선 방사 가열방법을 사용하여 700 내지 800℃에서 24시간 이상 구워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소금.
KR1020110116180A 2011-11-09 2011-11-09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33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180A KR101335777B1 (ko) 2011-11-09 2011-11-09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180A KR101335777B1 (ko) 2011-11-09 2011-11-09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053A true KR20130051053A (ko) 2013-05-20
KR101335777B1 KR101335777B1 (ko) 2013-12-02

Family

ID=4866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180A KR101335777B1 (ko) 2011-11-09 2011-11-09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7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244B1 (ko) * 2019-08-21 2020-06-10 황준근 발효커피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커피 및 이에 사용되는 커피누룩소금 제조방법
KR102212169B1 (ko) * 2020-07-21 2021-02-10 홍두표 육류용으로 사용되는 보이차 소금의 제조방법
KR102307830B1 (ko) * 2021-01-11 2021-09-30 홍두표 고농축 보이차를 이용한 팥빙수의 제조방법
KR20210154426A (ko) * 2020-06-12 2021-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043493A (ko) * 2020-09-29 2022-04-05 윤찬영 갈대를 이용한 갈대소금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508B1 (ko) * 2013-12-11 2015-07-24 정훈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581257B1 (ko) 2014-01-08 2015-12-31 이동락 지장수와 키토올리고당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880566B1 (ko) 2017-07-04 2018-07-20 제갈담 염장을 이용한 기능성 저염 소금의 제조방법
CN109511747A (zh) * 2018-11-02 2019-03-26 魏金土 一种高锌富硒铁观音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222A (ko) * 2002-08-01 2002-09-05 오성은 미네랄 소금을 첨가한 티백용제품
KR20060036435A (ko) * 2006-04-10 2006-04-28 민병돌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20080080465A (ko) * 2008-04-11 2008-09-04 김남호 식물진액을 함유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KR101016751B1 (ko) * 2008-05-20 2011-02-25 김성기 다시마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244B1 (ko) * 2019-08-21 2020-06-10 황준근 발효커피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커피 및 이에 사용되는 커피누룩소금 제조방법
KR20210154426A (ko) * 2020-06-12 2021-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오디 소금 또는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2212169B1 (ko) * 2020-07-21 2021-02-10 홍두표 육류용으로 사용되는 보이차 소금의 제조방법
KR20220043493A (ko) * 2020-09-29 2022-04-05 윤찬영 갈대를 이용한 갈대소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7830B1 (ko) * 2021-01-11 2021-09-30 홍두표 고농축 보이차를 이용한 팥빙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777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77B1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3053766B (zh) 橄榄茶及其制作工艺
CN101536718B (zh) 一种松针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4054868A (zh) 一种山楂味红茶的制备方法
CN105341208A (zh) 一种美容抗衰老保健花茶及其制备方法
CN103783227B (zh) 青稞复合型袋泡茶
KR101019812B1 (ko) 엉겅퀴 또는 약용 식물을 맥반석 혼합하여 덖음차 제조방법
KR100905513B1 (ko) 녹차 잎과 대나무를 이용한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CN105192194A (zh) 小粒咖啡叶茶的制备方法
KR20100027256A (ko)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간장게장
CN103478304A (zh) 一种茶菜肴的制作方法
CN103609779A (zh) 一种固体保健茶及其制作方法
CN104082783A (zh) 一种桂花香卤鸡蛋及其制备方法
CN105230885A (zh) 一种青刺尖茶的制作方法
KR100887398B1 (ko) 쇠비름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055002A (zh) 一种黄秋葵蜂蜜冻干粉及其制备方法
CN105558142A (zh) 一种猴头菇健胃速溶绿茶粉
CN104663947A (zh) 黑土豆石榴籽抗氧化养生茶颗粒及其制备方法
CN104322786A (zh) 一种荔枝香甜金银花保健花茶及其制备方法
KR101750151B1 (ko) 무차 제조방법
KR20140087543A (ko) 엉겅퀴 함유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558720B1 (ko) 굴 추출물 및 매생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소금
CN103393197A (zh) 大蒜保健饮料及制备方法
KR101002083B1 (ko)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CN110192586B (zh) 一种石榴复合保健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