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083B1 -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083B1
KR101002083B1 KR1020100014104A KR20100014104A KR101002083B1 KR 101002083 B1 KR101002083 B1 KR 101002083B1 KR 1020100014104 A KR1020100014104 A KR 1020100014104A KR 20100014104 A KR20100014104 A KR 20100014104A KR 101002083 B1 KR101002083 B1 KR 10100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liquid
extract
tea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연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향
Priority to KR102010001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옻나무 목질은 물론이고 뿌리, 씨앗, 잎줄기에서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다양한 효능을 가진 옻의 유효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옻나무 목질 뿐 아니라 옻나무 뿌리, 씨앗, 잎줄기를 주재료로 하여 액상추출 후, 이를 옻잎줄기에 흡수시켜 건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목질에서 발생하는 쓴맛이 크게 해소되어 음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종래 쓴맛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량으로 첨가하여야 했던 한약재를 첨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옻의 유효성분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옻의 약리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옻나무의 목질 뿐 아니라 뿌리, 씨앗, 잎줄기를 통해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재료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A tea with the lacqu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옻나무 목질은 물론이고 뿌리, 씨앗, 잎줄기에서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다양한 효능을 가진 옻의 유효성분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옻은 성질이 따뜻하고 어혈을 없애며 여인의 생리불순, 생리통과 산가를 낫게 하고,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회충을 죽이고, 여성의 하혈을 그치게 하고, 삼충을 없애고 폐결핵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골다공증, 골연화 예방치료와 골수염,관절염에 좋고, 피부병, 신장병, 결핵, 신경통, 간경화, 늑막염, 담낭, 신장, 허리통, 중풍, 방광결석을 치료하고, 남성의 정력을 보하는 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옻은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우루시올이라는 독성분으로 인해 그대로 섭취하기는 어려우므로, 옻을 섭취하여 그 효능을 제공받고자 할 때에는 우루시올을 중화시킨 후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옻을 섭취하고자 할 때에는 독성중화성질을 가진 식재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닭이나 오리 등과 함께 조리함으로써 옻의 독성분을 중화시킨 후에 섭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옻닭이나 옻오리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조리하는 형태를 살펴보면, 옻나무의 목질을 물에 끓여 수액을 추출한 다음, 상기 수액이 추출된 옻물에 닭이나 오리를 넣어 조리함으로써 옻의 독성분은 중화시키고 유효성분은 온전하게 보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조리비용이 많이 들고, 조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조리방법이 까다로워 옻의 유효성분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방안의 강구가 요청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현재 옻의 독성분인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나무 목질을 파쇄하여 이를 티백형태로 형성한 것이 고안된 바 있는데, 이로써 옻닭이나 옻오리 등을 통하지 아니하고도 옻의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행기술은 실질적으로 옻나무의 목질만으로 구성된 것이어서 목질 특유의 쓴맛이 다대하여 음용하기가 용이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목질 특유의 쓴맛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다량의 한약재를 첨가하여 방안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다량의 각종 한약재로 인해 옻의 유효성분이 상대적으로 적게 제공되어 옻의 효능이 미미하게 되는 역효과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옻나무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옻나무의 목질에서만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원재료의 이용효율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원재료비용이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옻나무의 목질은 물론 뿌리, 씨앗, 잎줄기에서도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종래 옻나무의 목질에서만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던 것에 비해 쓴맛을 크게 해소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옻나무의 목질 뿐 아니라 뿌리, 씨앗, 잎줄기 등에서도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옻나무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종래 옻나무 목질만 사용함으로 인한 쓴맛의 완화에 사용되는 다량의 각종 한약재의 첨가를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원재료비용을 크게 절감하면서 옻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육계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액상추출기로써 육계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나무의 목질, 뿌리, 씨앗, 잎줄기를 찌고 볶은 후, 건조시킨 다음, 파쇄하여 옻나무 파쇄물을 만드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육계 액상추출물, 상기 제 2 단계의 옻나무 파쇄물, 정제수, 자몽종자 추출물을 혼합한 후, 액상추출기로써 액상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만들어진 액상추출물에 포함된 옻나무 파쇄물 찌꺼기를 분리제거한 후, 찌꺼기가 분리제거된 액상추출물에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잎줄기를 혼합한 다음, 찌고 볶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 후, 액상추출액이 흡수된 옻잎줄기를 건조시켜 완성하는 제 5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육계와 정제수의 혼합시, 육계는 적어도 2~4중량%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육계 액상추출물은 80~120℃의 액상추출기에서 2~4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옻나무 목질, 뿌리, 씨앗, 잎줄기를 찌고 볶을 시에는 50~90℃에서 20~60초동안 처리하고, 건조시킬 시에는 50~90℃에서 3~12시간동안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에서 육계 액상추출물, 옻나무 파쇄물, 정제수, 자몽종자 추출물의 혼합시, 육계 액상추출물과 정제수를 먼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의 80~90중량%에 옻나무 파쇄물, 자몽종자 추출물이 혼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에서,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잎줄기와 제 3 단계에서 제조되어진 액상추출물은 1:1의 혼합중량비율로 혼합되며, 그 혼합물을 찌고 볶을 시, 60~120℃에서 2~4분동안 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에는 삼백초 파쇄물도 첨가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 단계에서 옻잎줄기는 50~90℃에서 3~12시간동안 건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옻나무 목질 뿐 아니라 옻나무 뿌리, 씨앗, 잎줄기를 주재료로 하여 액상추출 후, 이를 옻잎줄기에 흡수시켜 건조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목질에서 발생하는 쓴맛이 크게 해소되어 음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용이할 뿐 아니라 종래 쓴맛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량으로 첨가하여야 했던 한약재를 첨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옻의 유효성분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비해 옻의 약리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옻나무의 목질 뿐 아니라 뿌리, 씨앗, 잎줄기를 통해 옻의 유효성분을 추출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재료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제조과정을 바탕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 1 단계는 액상추출기를 이용하여 육계와 정제수의 혼합물로부터 육계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액상추출기를 이용하여 육계 액상추출물을 추출할 때에는 80~120℃에서 2~4시간동안 가열하여 액상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육계를 충분히 익힐 수 있도록 하면서 육계의 뼈 내부에 있는 골수와 인(P), 칼슘(Ca) 등의 영양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제 2 단계는 옻나무 파쇄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 때, 상기 옻나무 파쇄물은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나무의 목질 뿐 아니라 뿌리, 씨앗, 잎줄기로 구성되는데, 그 구성요소들을 찌고 볶을 때에는 50~90℃에서 20~60초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옻나무의 목질, 뿌리, 씨앗에 포함되어 있는 영양성분과, 잎줄기에 포함되어 있는 엽록소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면서 제 3 단계에서의 액상추출시 영양성분들이 충분히 우려나오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그 이상의 온도와 시간으로 찌고 볶게 되면 영양성분과 엽록소가 파괴되고, 그 이하의 온도와 시간으로 찌고 볶게 되면 액상추출기를 이용한 액상추출시, 영양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옻나무 목질, 뿌리, 씨앗, 잎줄기에서 발견되는 독성분인 우루시올의 제거는 널리 공지된 내용으로 제거하는 것이어서 그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3 단계는 육계 액상추출물, 옻나무 파쇄물, 정제수, 자몽종자 추출물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액상추출기로서 액상추출하는 단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육계 액상추출물과 정제수를 먼저 혼합한 다음, 그 혼합물에 옻나무 파쇄물, 자몽종자 추출물을 더하여 액상추출기를 통해 액상추출하게 되는데, 이 때, 육계 액상추출물과 정제수의 혼합비율에 있어서, 육계 액상추출물은 적어도 20~70중량%의 범위 내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이하의 비율로 혼합하게 되면 육계 액상추출물의 구수한 풍미가 미미하게 되고, 그 이상의 비율로 혼합하게 되면 옻나무 파쇄물의 풍미가 낮아지게 되어 육계 액상추출물과 옻나무 파쇄물의 풍미가 가장 조화롭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육계 액상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한 것을 옻나무 파쇄물, 자몽종자 추출물과 혼합하여 액상추출기로 액상추출할 시, 육계 액상추출물과 정제수의 혼합물의 80~90중량%에 옻나무 파쇄물, 자몽종자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위 액상추출물과 정제수 혼합물의 양이 80~90중량% 이하로 하게 되면 옻나무의 쓴맛이 많이 나게 되고, 이상으로 하게 되면 싱거운 맛이 나게 된다.
상기 옻나무 파쇄물은 뿌리를 3중량%, 씨앗을 1중량%, 잎줄기를 2중량%, 목질을 8.9중량%로 구성하고, 자몽종자 추출물은 0.1중량%로 혼합하여 액상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위와 같은 비율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를 액상추출할 때에는 80~120℃에서 2~4시간동안 가열하여 액상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은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은 위 구성요소의 영양성분들이 충분히 우러나면서 각 영양성분들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처리하게 되면 영양성분들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아니하며, 이상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처리하게 되면 영양성분들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위와 같은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으로 설정한 것으로, 옻나무 파쇄물을 구성하는 뿌리, 씨앗, 잎줄기, 목질의 위와 같은 혼합비율은 쓴맛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물에 포함되어 있는 옻나무 파쇄물의 찌꺼기를 제거한 후, 상기 찌꺼기가 제거된 액상추출물에 우루시올이 제거된 옻잎줄기를 혼합한 다음, 이를 찌고 볶는 단계로서, 액상추출물과 옻잎줄기의 혼합중량비율은 1:1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옻잎줄기에 액상추출물이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액상추출물이 포함된 옻잎줄기를 찌고 볶을 때에는 60~120℃에서 5~30분동안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옻잎줄기는 찌고 볶는 단계를 거친 것이 아니어서 60~120℃에서 5~30분동안 처리하게 것이다.
상기 제 5 단계는 위 제 4 단계 후, 액상추출물이 흡수된 옻잎줄기를 건조시킬 때에는 50~90℃에서 3~12시간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위와 같은 온도와 시간에서 건조를 하여야만이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아니하면서 완전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액상추출기를 통하여 육계 액상추출물을 추출할 시, 육계 외에도 옻의 독성분을 중화시킬 수 있는 조리재료는 무엇이든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오리 등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육계 액상추출물에 옻나무 파쇄물, 정제수, 자몽종자 추출물을 넣어 액상추출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옻의 유효성분을 포함한 뿌리, 씨앗, 잎줄기, 목질은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서, 우루시올을 제거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것이어서 생략하기로 하며, 찌고 볶는 과정을 거치면서 각 재료가 지니는 성분이 농축되어 약리효과는 더욱 증대되는데, 옻의 유효성분을 보조해주고 그 약리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삼백초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자몽종자 추출물은 유통기한을 더욱 오래 연장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 후에 생성되는 물질에 옻잎줄기를 혼합한 다음, 찌고 볶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옻잎줄기는 위와 같은 공정으로 농축된 액상추출물이 옻잎줄기에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하여 옻잎줄기의 형태로 액상추출물이 용이하게 보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액상추출물이 흡수된 옻잎줄기를 건조시킨 후, 파쇄하여 티백으로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옻이 포함된 티백을 완성하게 되며, 옻잎줄기의 건조에 필요한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가능함은 물론이며, 파쇄되는 옻잎줄기의 크기는 옻의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우러나오면서 티백으로 형성시 사용되는 부직포의 미세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입자형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실시가 가능한데,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티백형과 분말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옻을 포함한 차는 티백형으로 형성가능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 6 단계를 거친 옻잎줄기를 잘게 분쇄한 후, 티백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부직포 봉투에 넣어 봉함으로써 티백차로써 이용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여기서, 잘게 분쇄되는 옻잎줄기의 크기는 가로×세로가 각각 평균 1~3cm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옻을 포함한 차는 분말형으로도 형성가능한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 6 단계를 거친 옻잎줄기를 가루형태로 분쇄하여 분말차로써 이용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옻을 포함한 차를 제조하는 과정 중 제 3 단계에 삼백초 파쇄물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첨가하게 되면, 육계 액상추출물, 정제수 혼합물의 80~90중량%에 혼합되는 옻나무 파쇄물은 뿌리를 3중량%, 씨앗을 1중량%, 잎줄기를 2중량%, 목질을 7.9중량%로 구성하고, 삼백초 파쇄물 1중량%, 자몽종자 추출물은 0.1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삼백초는 옻의 약리효과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1중량%정도로 소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대해 불특정다수를 상대로 맛과, 냄새, 기호도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표는 아래와 같다.
<표 1. 본 발명에 의한 옻을 포함한 차에 대한 조사표>
Figure 112010010274784-pat00001
상기 표 1.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옻을 포함한 차에 대해서 평가에 참가한 패널들의 대부분은 맛과 기호도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인 의견을 표시하였고, 섭취에 대한 용이성이 있어서는 종래의 섭취형태에 비해 매우 간편하다는 의견을 표시하였음을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옻을 포함한 차는 음용할 때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맛과 기호도에 전혀 거부감이 없고,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설정된 섭취에 대한 용이성에 있어서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육계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액상추출기로써 육계 액상추출물을 추출하는 제 1 단계;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나무의 목질, 뿌리, 씨앗, 잎줄기를 찌고 볶은 후, 건조시킨 다음, 파쇄하여 옻나무 파쇄물을 만드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육계 액상추출물, 상기 제 2 단계의 옻나무 파쇄물, 정제수, 자몽종자 추출물을 혼합한 후, 액상추출기로써 액상추출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만들어진 액상추출물에 포함된 옻나무 파쇄물 찌꺼기를 분리제거한 후, 찌꺼기가 분리제거된 액상추출물에 우루시올을 제거한 옻잎줄기를 혼합한 다음, 찌고 볶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 후, 액상추출액이 흡수된 옻잎줄기를 건조시켜 완성하는 제 5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의 육계 액상추출물은 액상추출기에서 80~120℃에서 2~4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의 옻나무 파쇄물을 구성하는 옻나무 뿌리, 씨앗, 잎줄기, 목질은 50~90℃에서 20~60초동안 찌고 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단계에서의 육계 액상추출물, 옻나무 파쇄물, 정제수, 자몽종자 추출물의 혼합시, 육계 액상추출물과 정제수를 먼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의 80~90중량%에 옻나무 파쇄물, 자몽종자 추출물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에서 제 3 단계의 액상 추출물과 옻잎줄기는 1 : 1 의 중량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제조방법.
  6. 위 제 1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옻을 포함한 차.
KR1020100014104A 2010-02-17 2010-02-17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KR10100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04A KR101002083B1 (ko) 2010-02-17 2010-02-17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104A KR101002083B1 (ko) 2010-02-17 2010-02-17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083B1 true KR101002083B1 (ko) 2010-12-17

Family

ID=4351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104A KR101002083B1 (ko) 2010-02-17 2010-02-17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88A (ko) * 2019-12-04 2021-06-14 김남희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09B1 (ko) 2001-03-30 2005-03-30 김범준 옻-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09B1 (ko) 2001-03-30 2005-03-30 김범준 옻-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988A (ko) * 2019-12-04 2021-06-14 김남희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8420B1 (ko) * 2019-12-04 2022-03-24 주식회사 대산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110B1 (ko) 천연 산야초 발효 흑마늘,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포함하는 건강식품
KR101335777B1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3636863A (zh) 一种柿子叶、甜茶叶茶及其制备方法
JP2009171949A (ja) 明日葉茶
KR20200073517A (ko) 계피증류액이 혼합된 꿀의 제조방법
CN103931827A (zh) 一种赶黄草茶及其制备方法
KR20170013131A (ko)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CN106509850A (zh) 猴头菇除腥去苦制品的制作配方及其制作工艺
KR101762873B1 (ko) 그라비올라 추어탕의 제조방법
KR101002083B1 (ko)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KR101353922B1 (ko) 기능성 양파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37437B1 (ko) 가바 및 테아닌 성분이 강화된 녹차분말을 포함하는 분말형 청즙차의 제조방법
CN103947797A (zh) 一种发酵型牡丹嫩芽茶复合饮品的制备方法
CN104055002A (zh) 一种黄秋葵蜂蜜冻干粉及其制备方法
KR101652897B1 (ko) 해풍 쑥 분말의 제조방법
KR101773250B1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86290B1 (ko) 유황오리와 작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002084B1 (ko) 옻을 포함한 액상차 및 그 액상차의 제조방법
KR101324236B1 (ko) 기능성 천일염의 제조방법
CN105961756A (zh) 一种延缓衰老速溶咖啡及其制备方法
JP5220075B2 (ja) 高圧熱水抽出アッケシソウ粉末および味噌の製造方法
KR20100118223A (ko) 배추뿌리 과립 및 그 제조방법
KR101111288B1 (ko) 기능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3393197A (zh) 大蒜保健饮料及制备方法
KR101397189B1 (ko) 두충 및 오가피를 이용한 추출음료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