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420B1 -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420B1
KR102378420B1 KR1020190159922A KR20190159922A KR102378420B1 KR 102378420 B1 KR102378420 B1 KR 102378420B1 KR 1020190159922 A KR1020190159922 A KR 1020190159922A KR 20190159922 A KR20190159922 A KR 20190159922A KR 102378420 B1 KR102378420 B1 KR 10237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pine
heartwood
lipophil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988A (ko
Inventor
김남희
최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산
Priority to KR102019015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4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성분이 높은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과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과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은 기호 식품 분야에서 카페인 없이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친환경 티백차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Tea composition comprising pine heartwood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과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 물질, 특히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과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대는 낮은 출산율과 평균 생존나이가 높아지고 있어 고령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에 기인하여 개인의 건강이나 수명과 관련된 각종 기능성 건강식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해외 건강 기능성 식품 시장은 1,289억 달러로 최근 7년간 연평균 72%로 성장하였고, 국내 건강 기능성 식품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4조 3000억원으로 2016년보다 약 20% 가량 성장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건강 기능성 식품 중에서도, 피부미용이나 성형 등 뷰티관련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산화를 억제하여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거나 예방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진 항산화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항산화 제품은 세포의 산화과정을 억제하는 제품으로, 사람이 호흡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적절히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제품이다. 활성산소는 산소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노출된 산소로, 일반적으로 세포노화 등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러한 활성산소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항산화 효과를 유발하는 항산화 물질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폴리페놀이 있다. 폴리페놀은 신체에 흡수되어 내부의 활성산소를 무해한 산소로 변환시켜주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 중 하나이다. 이러한 폴리페놀은 활성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의 보호나 세포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하는 항산화 능력이 커 다양한 질병에 대한 위험도를 낮춰줄 뿐만 아니라, 항암작용 및 심장질환 예방 효과가 있다. 폴리페놀이 함유된 대표적인 식품으로는 녹차이다.
그런데, 종래의 항산화식품은 자연에서 유래된 식품이기 때문에, 내부에 함유된 폴리페놀의 함유량이 낮아 실제 항산화 효과가 낮은 문제가 있다. 대표적 항산화 식품인 녹차의 경우에도 폴리페놀 함유량이 낮아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장기간 꾸준한 섭취를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녹차의 경우, 폴리페놀 뿐만 아니라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어 청소년이나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들의 경우, 많은 양을 섭취하면 오히려 신체에 해로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녹차는 찻잎의 성질 상 몸이 차가운 사람의 경우 녹차를 섭취하면 몸이 냉해지는 문제가 있어 체질에 따라 섭취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연에서 유래되었으나 섭취에 제한이 없고 항산화 효과가 높은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014322호 (2009년02월10일)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자연에서 유래되었으나 섭취에 제한이 없고 항산화 효과가 높은 제품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소나무 심재가 폴리페놀 함유량이 녹차에 비해 월등하게 뛰어나 항산화 효과가 높아서 녹차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 기호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산화 성분이 높은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과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소나무 심재를 포함하는 차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나무 심재는 (a) 소나무에서 심재를 적출하는 적출 단계; (b) 상기 심재 중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 심재 추출 단계; (c)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단계; 및 (d)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상기 차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백차가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티백차의 티백은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a) 소나무에서 심재를 적출하는 적출 단계; (b) 상기 심재 중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 심재 추출 단계; (c)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단계; (d)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 및 (e) 살균된 친유성 심재를 티백용 주머니에 포장하는 티백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티백차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차 조성물에 포함되는 소나무 심재는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홍차의 2배 이상, 녹차의 80배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신체 내 활성산소 농도의 저하 및 신체 노화 억제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녹차 섭취시 발생되는 카페인 섭취 등의 우려 없이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으며, 소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피톤치드 성분 등에 의해 스트레스 완화 효과, 살균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향이 뛰어난 소나무 심재를 사용하여 맛과 향이 좋고, 맛과 향의 풍미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소나무 심재의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그 풍미와 향이 극대화되었으며, 일반 티백차의 나일론이나 부직포 재질이 아닌 순면 재질로 친환경적으로 티백을 제조하여 음용 과정 중에 기타 플라스틱 관련 유해물질이 섭취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과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은 기호 식품 분야에서 카페인 없이 항산화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친환경 티백차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소나무 심재에 사용되는 소나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소나무를 건조시킨 후의 원목 단면과 일반 소나무 원목 단면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추출된 심재로부터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소나무 심재(a)와 표면적이 최대화된 소나무 심재(b)의 사진이다.
도 5는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티백차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소나무 심재를 포함하는 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50년 이상의 수령, 바람직하게는 60년 이상의 수령,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년 이상 수령의 소나무를 사용할 수 있다. 크기와 관련하여서는, 직경 50 cm 이상의 소나무를 선별할 수 있다. 소나무 직경이 50 cm 미만인 경우, 내부의 심재에서 추출되는 폴리페놀 함량이나 항산화 활성이 낮거나 외부로 추출되는 향이 설정기준 미만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직경 50 cm 이상의 소나무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는 차 조성물에 사용되므로, 바람직하게는 무공해 또는 친환경적으로 생육한 소나무를 사용한다.
선별된 소나무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선별된 소나무 원목을 벌목한 후, 해당 원목의 함수율이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9% 이하가 될 때까지 원목을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원목의 건조는 주로 자연건조를 활용할 수 있고, 온도는 -10 ~ 40 ℃, 습도 45 ~ 85%의 환경에서 25,000시간 이상, 대략적으로 3년 이상의 시간동안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나무 원목의 함수율이 19% 이하로 건조될 수 있고, 이러한 소나무 원목의 경우, 나무 망치로 원목에 타격을 가하면 내부에 수분이 응축되어 맑은 종소리가 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함수율이 19% 이하로 건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사용되는 소나무를 건조시킨 후의 원목 단면과 일반 소나무 원목 단면을 비교한 사진이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 원목의 심재가 일반 소나무 원목의 심재에 비해 훨씬 두꺼울 뿐만 아니라 색깔이 짙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심재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이 많을수록 심재의 색깔이 짙어지는 특징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 원목 심재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 함량이 일반 소나무 심재에 비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나무 심재는 (a) 소나무에서 심재를 적출하는 적출 단계; (b) 상기 심재 중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 심재 추출 단계; (c)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단계; 및 (d)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소나무 심재의 제조방법은 소나무에서 심재를 적출하는 적출 단계[즉, 단계(a)]를 포함한다. 단계(a)는 잘 건조된 소나무 원목의 외피와 변재를 제거하여 심재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소나무 원목은 내부 중심에 형성된 심재, 심재 주위를 둘러싸는 변재, 그리고 변재를 둘러싸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원목에서 외피 및 변재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는 원목의 구성 중 심재에 대부분의 항산화 물질 및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만 별도로 분리함으로써, 고농축 폴리페놀 함유량을 가진 부위를 분리해내는 것이다.
상기 소나무 심재의 제조방법은 상기 심재 중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 심재 추출 단계[즉, 단계(b)]를 포함한다. 단계(b)는 심재에서 폴리페놀 함량 및 발향성분이 포함된 친유성 심재와, 리그닌 등이 침착된 섬유질 심재를 분리하여 친유성 심재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심재 중에서도 내부에 발향성분과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친유성 심재가 본 발명의 효과를 구성하기 위한 특징적인 부분이고, 섬유질 심재의 경우 단순 섬유질인 리그닌 함량이 높아 항산화력에 큰 영향을 발휘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또한, 친유성 심재의 경우 반투명한 색을 가지고 있고, 섬유질 심재의 경우 불투명한 나무색을 지니고 있으므로, 심재에서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고 친유성 심재만 추출할 수 있다. 친유성 심재의 추출방법에 제한은 없으며, 기계적·화학적 방법으로 친유성분과 섬유질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도 3에 추출된 심재로부터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상기 소나무 심재의 제조방법은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단계[즉, 단계(c)]를 포함한다. 단계(c)는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슬라이스화(박피화)하거나 분말화할 수 있다. 슬라이스화(박피화)는 통상적으로 대패를 이용하여 친유성 심재의 박피된 면이 원형으로 말리면서 겹쳐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박피된 면의 두께는 0.1 ~ 2 mm일 수 있다. 도 4에 일반적인 소나무 심재(a)와 표면적이 최대화된 소나무 심재(b)의 사진이 나타나 있다. 분말화는 친유성 심재의 입자크기를 0.1 내지 1 mm 크기, 바람직하게는 0.5 mm 크기의 조분체 수준으로 분말화할 수 있다. 상세히, 분말화는 설정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톱을 분리된 친유성 심재에 접촉시키고, 회전톱과 친유성 심재의 마찰력에 의해 생성되는 조분체 수준의 친유성 심재 분말을 획득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나무 심재의 제조방법은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즉, 단계(d)]를 포함한다. 단계(d)는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식용 차로 사용하기 위하여 살균하는 단계이다. 살균 처리는 소나무 심재의 향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행될 수 있는 살균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습식 열 처리, 가열 건조 처리, 오존 처리, 방사선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소나무 심재는 잘 건조된 소나무를 이용하여 표면적이 최대화된 원료로 가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추출을 시행했을 때 일반 원목 각재를 이용했을 때에 비해 맛과 향이 훨씬 좋은 소나무 심재 침출차 원료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차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백차를 제공한다. 상기 차 조성물은 차 성분을 그대로 포장하여 차 기호 제품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혹은 상기 티백차의 티백은 면, 바람직하게는 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면을 이용한 티백 제품으로 제작하여 무공해, 친환경 티백차를 제조할 수 있다(도 5 참조).
본 발명은 또한, (a) 소나무에서 심재를 적출하는 적출 단계; (b) 상기 심재 중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 심재 추출 단계; (c)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단계; (d)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 및 (e) 살균된 친유성 심재를 티백용 주머니에 포장하는 티백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티백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나무 심재 차 원료의 제조
100년 이상 수령의 소나무를 선별하여 -10 ~ 40 ℃, 습도 45 ~ 85%의 환경에서 건조시켰다. 사용한 소나무는 직경 61 cm의 소나무를 사용하였고(도 1 참조), 소나무 원목의 함수율이 19% 이하로 건조된 것을 확인한 후, 나무 망치로 원목에 타격을 가하여 건조가 잘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소나무 원목은 내부 중심에 형성된 심재, 심재 주위를 둘러싸는 변재, 그리고 변재를 둘러싸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원목에서 외피 및 변재를 제거하였다. 심재에서 폴리페놀 함량 및 발향성분이 포함된 친유성 심재와, 리그닌 등이 침착된 섬유질 심재를 분리하여 친유성 심재만을 얻었다(도 3 참조).
얻어진 친유성 심재를 대패질하여 동그랗게 말린 형태의 심재를 얻었다(도 4 참조).
2. 함유 성분 분석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소나무 심재 차의 항산화력과 토탈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위해, 제조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용질로 하여 용매와 혼합하되, 용매의 에탄올과 증류수 비율에 따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로 구분하였고, 비교예 1은 용매를 증류수로, 용질은 홍차잎를 활용하였으며, 비교예 2는 용매를 증류수로, 용질은 녹차잎를 활용하였다. 실시예 조성물의 혼합 비율을 하기 표 1에, 비교예 조성물의 혼합 비율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는 모두 용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활용하였다.
구분 용질 용매 Dw:EtOH 추출시간 추출온도
실시예 1 0.5g 250ml 100:0 2min 100℃
실시예 2 0.5g 250ml 50:50 2min 79℃
실시예 3 0.5g 250ml 0:100 2min 78℃
실시예 4 0.5g 250ml 100:0 3hour 100℃
구분 용질 용매 Dw:EtOH 추출시간 추출온도
비교예 1 홍차 0.5g 250mL 100:0 3hour 100℃
비교예 2 녹차 0.5g 250mL 100:0 3hour 100℃
즉,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이 첨가된 음료류 또는 액상차 종류일 수 있고,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이 첨가된 주류의 종류일 수 있다.
항산화력 실험을 위해, FRAP(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측정실험법을 활용하여 총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FRAP법은 낮은 pH에서 환원제에 의해 ferrictripyridytriazine (Fe3+-TPTZ) 복합체가 ferrous tripyridytriazine (Fe2+-TPTZ)로 환원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으로, Fe2+-TPTZ은 강한 파란색을 가지므로 595nm에서 감지될 수 있다.
또한, FRAP 시약은 pH 3.6의 300mM Acetate Buffer, 40mM의 염산(HCl) 내에 함유된 10mM TPTZ(2,4,6-Tripyridyl-S-Triazine), 20mM Iron(III) chloride hexahydrate(FeCl3·6H2O)를 각 10:1: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RAP 실험 기준물질로는 Iron(II) surfate heptahydrate(FeSO4·7H2O)를 사용하였다.
그 뒤, 96 Well Plate에 각 Well당 기준물질 6μL에 Frap 시약 180μL을 분주하여 5분간 RT에서 인큐베이션하고, 그 후 시료물질을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593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Stand Curve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FRAP Value를 측정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아래에서는 항산화력 측정 결과는 3개의 FRAP 결과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하기 표 3에 FRAP 결과군 1로서, 용매에 혼합된 에탄올 비율에 따른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Iron(II) Surfate Equivalent(mM) FRAP(mmol FeSO4·7H2O/g DM)
실시예 1 0.83 0.17
실시예 2 0.90 0.18
실시예 3 0.22 0.04
FRAP 결과군 1을 살펴보면, 용매로 증류수만 사용된 실시예 1과, 증류수 및 에탄올이 1:1로 혼합된 실시예 2의 경우, FRAP Value가 높게 측정되었으나, 용매로 에탄올만 사용된 실시예 3의 경우, FRAP Value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25%이하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에탄올만 용매로 활용하기 보다는 증류수나 증류수에 일정 에탄올을 섞은 용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첨가하는 경우, 항산화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4에 FRAP 결과군 2로서,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Iron(II) Surfate Equivalent(mM) FRAP(mmol FeSO4·7H2O/g DM)
실시예 1 0.83 0.17
실시예 4 1.16 0.23
FRAP 결과군 2를 살펴보면, 용매로 모두 증류수를 활용하였으나, 실시예 1 및 실시예 4는 5g의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용질로 활용한 것이 동일하나, 실시예 1은 2분간 추출을 진행한데 반하여, 실시예 4는 3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4의 FRAP Value가 더 높게 나와 추출시간이 늘어날수록 FRAP Value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5에 FRAP 결과군 3으로서, 용질의 종류에 따른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Iron(II) Surfate Equivalent(mM) FRAP(mmol FeSO4·7H2O/g DM)
실시예 4 1.92 0.38
비교예 1 0.01 0.002
비교예 2 0.085 0.017
FRAP 결과군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활용한 실시예 4의 경우, FRAP Value가 038로, 홍차를 활용한 비교예 1의 FRAP Value 값의 2235배, 녹차를 활용한 비교예 2의 FRAP Value 값에 비해서는 무려 190배 높은 수치의 FRAP Value가 측정되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의 항산화력이 녹차나 홍차의 항산화력에 비해 월등하게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Folin-ciocalteu 측정실험법을 활용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T.P.(Total Polyphenol) 분석실험법을 수행하기 위해 T.P. 시약으로 2N Folinciocalteu를 활용하였고, 20% Sodium Carbonate(Na2CO3) 용액을 첨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기준물질은 Galic Acid를 사용하였다.
그 다음, 각 샘플별로 실시예와 비교예 0.5mL, Folin-ciocalteu T.P. 시약 0.25mL, 20% Sodium Carbonate 용액 1.25mL를 혼합한 혼합액 2mL를 RT에서 40분간 인큐베이션하고, 그 후 96 Well Plate에 200μL씩 분주한 뒤,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Stand Curve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T.P.(Total Polyphenol) Value 측정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아래에서는 폴리페놀 함량 측정 결과를 3개의 T.P. 결과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하기 표 6에 T.P. 결과군 1으로서, 용매에 혼합된 에탄올 비율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Garlic acid Equivalent(μg/mL) T.P.(mg GAE/g·DM)
실시예 1 171.18 34.24
실시예 2 216.54 43.31
실시예 3 64.93 12.99
T.P. 결과군 1을 살펴보면, 용매로 증류수만 사용된 실시예 1과, 증류수 및 에탄올이 1:1로 혼합된 실시예 2의 경우, T.P. Value가 높게 측정되었으나, 용매로 에탄올만 사용된 실시예 3의 경우, T.P. Value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측정값보다 35% 이하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에탄올만 용매로 활용하기 보다는 증류수나 증류수에 일정 에탄올을 섞은 용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첨가하는 경우, 폴리페놀 함량이 비약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7에 T.P. 결과군 2로서, 추출시간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Garlic acid Equivalent(μg/mL) T.P.(mg GAE/g·DM)
실시예 1 171.18 34.24
실시예 4 363.83 72.77
T.P. 결과군 2를 살펴보면, 용매로 모두 증류수를 활용하였으나, 실시예 1 및 실시예 4는 5g의 소나무 분말을 용질로 활용한 것을 동일하나, 실시예 1은 2분간 추출을 진행한데 반하여, 실시예 4는 3시간동안 추출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4의 T.P. Value가 2배 이상 높게 나와 추출시간이 늘어날수록 T.P. Value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8에 T.P. 결과군 3으로서, 용질의 종류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Garlic acid Equivalent(μg/mL) T.P.(mg GAE/g·DM)
실시예 4 363.83 72.77
비교예 1 4.5 0.9
비교예 2 103.5 20.7
T.P. 결과군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소나무 분말을 활용한 실시예 4의 경우, T.P. Value 값이 7277로 측정되어, 홍차를 활용한 비교예 1의 T.P. Value 값의 8086배, 녹차를 활용한 비교예 2의 T.P. Value 값에 비해서는 352배 높은 수치의 T.P. Value 값이 측정되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소나무 분말의 폴리페놀 함량이 녹차나 홍차의 폴리페놀 함량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험을 통해 측정된 결과를 종합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종래에 널리 알려진 항산화 식품인 녹차나 홍차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함유한 차의 경우,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월등하게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 홍차, 녹차를 각각 추출한 결과,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의 항산화력은 홍차의 2235배, 녹차의 190배 높은 수치가 측정되었고,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의 폴리페놀 함량 역시 홍차의 352배, 녹차의 8086배 높은 수치가 측정되어,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의 항산화 능력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용매를 물 또는 물과 에탄올 1:1로 혼합한 경우,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의 첨가에 따라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나, 에탄올만을 용매로 활용한 경우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용매는 기본적으로 물을 활용하되, 에탄올 함량이 물과 동일한 즉, 용매의 알콜 함량이 50% 이하인 경우에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첨가하고, 용매에 용질을 추출시키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활용하여 첨가용 티백으로 제작하는 경우, 물에 첨가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항산화력 및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포함하는 차 조성물 및 티백차의 효과를 하기에 요약하였다.
우선, 홍차의 3 내지 22배 이상, 녹차의 80 내지 190배 이상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사용자가 섭취하면 높은 항산화력에 따라 신체 내 활성산소의 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 등 신체노화가 억제될 뿐만 아니라 건강에 다양한 방면에서 이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은 내부에 카페인 등과 같이 과 섭취시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을 추출한 식품, 예를 들어,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이 함유된 비알콜성 음료를 많이 섭취 한다하더라도 건강에 유해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소나무 분말 또는 대패밥으로부터 생성되는 발향성분에 살균물질인 피톤치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뿐만 아니라, 살균작용을 이루어주는 효과가 있다.
즉, 항산화 물질 함유량이 높아 항산화 능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톤치드 함유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노화를 막아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나무 심재를 포함하는 차 조성물로서,
    상기 소나무 심재가
    (a) 소나무에서 심재를 적출하는 적출 단계;
    (b) 상기 심재 중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 심재 추출 단계;
    (c)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단계; 및
    (d)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의 차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백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백차의 티백이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차.
  5. (a) 소나무에서 심재를 적출하는 적출 단계;
    (b) 상기 심재 중 섬유질 심재를 제거하여 친유성 심재를 추출하는 친유성 심재 추출 단계;
    (c) 추출된 친유성 심재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단계;
    (d) 가공된 친유성 심재를 살균하는 살균 단계; 및
    (e) 살균된 친유성 심재를 티백용 주머니에 포장하는 티백화 단계
    를 포함하는 제3항의 티백차의 제조방법.
KR1020190159922A 2019-12-04 2019-12-04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8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22A KR102378420B1 (ko) 2019-12-04 2019-12-04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922A KR102378420B1 (ko) 2019-12-04 2019-12-04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88A KR20210069988A (ko) 2021-06-14
KR102378420B1 true KR102378420B1 (ko) 2022-03-24

Family

ID=7641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922A KR102378420B1 (ko) 2019-12-04 2019-12-04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9257A (ko) *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대산 소나무로부터 피노실빈을 효율적으로 추출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83B1 (ko) * 2010-02-17 2010-12-17 주식회사 오향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322A (ko) 2007-08-05 2009-02-10 전현철 피곤할 때 마시는 새콤달콤한 솔잎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083B1 (ko) * 2010-02-17 2010-12-17 주식회사 오향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송절 효능, 송절차는 관절염과 이명을 잡는다’(2015.08.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88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su et al. Protective effects of an aqueous extract from pepino (Solanum muricatum Ait.) in diabetic mice
Asiedu-Gyekye et al. Comparative study of two kalanchoe species: total flavonoid,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Zhang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ive edible Hymenomycetes mushrooms
Gheisari et al. Drying method effe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quince (Cydonia oblonga Miller) tea
KR101338527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발효식품의 생체 아민 저감화
Cheong et al. Effect of mulberry silage supplementation during late fattening stage of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within the longissimus muscle
KR100738658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기양념소스 조성물 및제조방법
KR102378420B1 (ko) 소나무 심재를 함유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0044B1 (ko)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소나무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Islam et al. Variability, heritability and trait association studies for bulb and antioxidant traits in onion (Allium cepa) varieties
KR101422247B1 (ko) 오미자와 벌꿀을 이용한 기능성 및 관능성이 강화된 멜로멜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오미자 멜로멜
KR20150143294A (ko) 천연발효효소 제조방법
KR101270972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1226459B1 (ko) 진피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진피차
KR101661491B1 (ko) 삼채를 이용한 건강 기능이 강화된 야채수 제조 방법
KR20160081785A (ko) 발효 야관문 추출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음료
KR101919325B1 (ko) 소나무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1702723B1 (ko) 즉석 밥의 제조 방법
KR101503429B1 (ko) 볶음 처리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된 결명자의 제조 방법
KR101499908B1 (ko) 생약제 추출물 함유 연육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426030B1 (ko) 꾸지뽕 효소액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1993924B1 (ko) 버섯추출물을 함유한 즉석구이용 육포의 제조방법
KR20120066794A (ko) 우루시올 저감화 처리된 옻, 이의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70034801A (ko)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제조
KR101278068B1 (ko) 청국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