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971A -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971A
KR20130050971A KR1020137005941A KR20137005941A KR20130050971A KR 20130050971 A KR20130050971 A KR 20130050971A KR 1020137005941 A KR1020137005941 A KR 1020137005941A KR 20137005941 A KR20137005941 A KR 20137005941A KR 20130050971 A KR20130050971 A KR 20130050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mobile device
processor
hidd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546B1 (ko
Inventor
앤소니 티 블로우
바박 포루탄푸어
테드 알 구딩
데이비드 베드나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그립 이벤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그립 이벤트에 의하여 커버되는 콘텐츠가 식별되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레이아웃을 조절함으로써 그립 이벤트 밑으로부터 밖으로 이동된다. 그립 이벤트의 영역은, 디스플레이된 것들의 레이아웃을 조절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 그립 이벤트에 의하여 커버된 콘텐츠 내에 변경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경고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립 이벤트 윤곽이 추정될 수도 있고, 메뉴 아이콘들 또는 아이콘들이 그립 이벤트의 추정된 윤곽에 인접한 컨투어 프로파일 내에 포지셔닝되고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그립 이벤트 위치는 사용자의 터치 습관들 또는 디스플레이 콘텐츠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제안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CONTEN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관련되며, 그리고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관련된다.
강력하지만 휴대가능하고, 콤팩트하지만 완전 피쳐링된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현재 전화기들로서 기능하는 셀룰러 전화기들, 비디오 및 오디오 캡쳐 디바이스들, 비디오 및 오디오 플레이어들, 웹 액세스 단말들, 및 다목적 컴퓨터들과 같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들 (모바일 디바이스들) 의 발달에 있어 특히 명백하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고도성 (sophistication) 에 있어서 증가하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다양성 및 고도성이 증가하고,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다목적 생산성 툴들 (productivity tools) 이 된다. 그렇지만,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 그들의 애플리케이션들의 유용성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위하여 이용가능한 작은 영역에 의하여 제한된다. 추가적인 사용자-인터페이스 영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은 디바이스들의 표면 영역의 더 큰 부분들이 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스크린들의 영역이 그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더 많은 공간을 점유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부를 커버하지 않고서 그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해당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는 베젤에는 더 적은 영역이 존재한다.
다양한 실시형태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이,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함으로써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표면의 사용자의 그립을 수용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들에 의하여 커버될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계속해서 볼 수 있도록 이동시킬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영역을 그립 이벤트의 속성 및 은닉된 영역 내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은닉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 내에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의 레이아웃을 조절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뉴 아이콘들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놓여져 있는 손가락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립 이벤트의 특징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의 윤곽을 추정할 수도 있고, 메뉴 아이콘들을 손가락의 추정된 윤곽에 근접하도록 포지셔닝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자의 손가락(들) 에 의하여 방해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들의 변화들에 대해서 경고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영역을 그립 이벤트의 속성 및 은닉된 영역 내의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은닉된 영역 내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변화하는 때를 결정할 수도 있고, 그리고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경고들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의 은닉된 부분이 변화하는 때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특정의 그립 이벤트 및 손/손가락 위치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사이즈 및 형상) 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하여 유지되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검출된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 및 그 사용자의 아이덴티티에 기초하여 은닉된 영역들의 결정을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메뉴 아이콘들을 그립 이벤트 위치에 기초하여 조절하거나 다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만일 그립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측면에 위치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메뉴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의 그립 이벤트의 위치와 동일 면 또는 반대 면에 다시 위치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의 위치가 터치스크린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된 메뉴 아이콘들을 다시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이벤트 위치가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도달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뉴 아이콘들을 터치 이벤트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고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을 터치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할 때 터치 이벤트의 위치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반적인 또는 선호하는 그립 위치를 표시하는 프롬프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그립 이벤트들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그립하는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 로그-인 시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그립 위치를 표시하는 컨투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레이아웃으로부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최소 조절을 야기할 그립 위치를 결정하고, 그리고 사용자로 하여금 결정된 위치에서 디바이스를 그립하도록 프롬프트하는 컨투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레이아웃 및 그립 위치로부터, 다수의 조절된 디스플레이 옵션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계산된 최소의 지장을 주는 옵션 (least disruptive option) 이 간략하게 디스플레이되고, 하나 이상의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구성 디스플레이들이 이에 후속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옵션의 방향을 향하여 롤링 모션 (rolling motion) 에서 손가락을 쉬프팅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선호하는 조절된 디스플레이 구성을 선택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개입이 없으면, 최소의 지장을 주는 것으로 계산된 제 1 옵션이 디폴트로 선택될 수도 있다.
여기에 포함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예시하고, 그리고 위에서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 및 아래의 주어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피쳐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사용자의 엄지가 디스플레이를 그립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사용자에 의하여 터치된 영역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일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디스플레이를 그립하고 있는 사용자의 엄지와 연관된 눈물 형상의 그립 이벤트를 예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 은 디스플레이의 은닉된 부분이 어떻게 그립 이벤트 영역의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도 있는지를 예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면도들이다.
도 8 및 9 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타일들로 분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들이다.
도 10 은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어떻게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조절될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일 예시이다.
도 11 은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메뉴 아이콘이 어떻게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일 예시이다.
도 12 는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재포지셔닝된 메뉴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이 다른 메뉴를 어떻게 활성화하는지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일 예시다.
도 13 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메뉴 아이콘이 어떻게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일 예시이다.
도 14 및 도 15 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메뉴 아이콘들이 어떻게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들이다.
도 16 내지 도 18 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메뉴 아이콘들이 어떻게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들이다.
도 19 및 도 20 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메뉴 아이콘들이 어떻게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들이다.
도 21 및 도 22 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커버된 부분이 변화하였다는 표시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들이다.
도 23 은 예시적인 사용자 로그인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일 예시다.
도 24a 및 도 24b 는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대한 제안된 그립 위치의 윤곽을 도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의 예시들이다.
도 25 는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26 은 그립 이벤트의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27 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추정된 윤곽에 인접하게 메뉴 아이콘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28 은 사용자의 그립에 의하여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변화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29 는 사용자 특정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0 은 사용자 로그-인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저장된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취출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1 은 그립 이벤트 위치에 기초하여 아이콘들을 다시 위치시키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2 는 그립 이벤트 위치에 기초하여 아이콘들을 다시 위치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3 은 터치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할 때 아이콘들을 사용자의 손가락들에 인접하도록 포지셔닝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4 는 사용자의 일반적 그립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5 는 그립 위치를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윤곽에 기초하여 제안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6 은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이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분 상의 감지된 포지션들에 기초하여 그립 위치를 제안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7 은 사용자로 하여금 선호하는 대안적인 조절을 선택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하여,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안적인 조절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의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38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 요소 블록도이다.
다양한 양태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가능한 모든 경우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하여 도면 전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이용될 것이다. 특정 예들 및 구현형태들에 대해 이루어진 참조들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될 때, 용어 "모바일 디바이스" 는 상호교환가능하도록 이용되고 그리고 다양한 셀룰러 전화기들, 개인용 모바일 텔레비젼 수신기들, 태블릿 컴퓨터들,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들 (PDA's), 팜탑 컴퓨터들, 랩탑 컴퓨터들, 무선 전자 메일 수신기들 (예를 들어, Blackberry? 및 Treo? 디바이스들), 및 인터넷 가능 셀룰러 전화기들 (예를 들어, Blackberry Storm?), 및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유사한 개인 전자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를 지칭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38 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완전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은 프로그래밍가능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들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손가락의 위치 또는 디스플레이 표면으로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 디스플레이들을 지칭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은 널리 알려져있고, 수 개의 현재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내에서 디스플레이로서 이용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은 사용자 손가락 (또는 도구) 에 의한 터치 (또는 누름) 을 검출 또는 감지하고, 그리고 해당 터치를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입력으로서 해석한다. 터치의 감지 및 모바일의 프로세서로 터치스크린에 의해 제공되는 입력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터치 이벤트" 라고 지칭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일 부분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는 것과 일치하는 확장된 (protracted) 터치 이벤트는 본 명세서에서 "그립 이벤트" 로서 지칭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하여 디바이스 프로세서로 제공되는 터치 이벤트 및 그립 이벤트 데이터는 사용자의 손가락 끝에 의하여 터치된 터치스크린 표면의 위치, 영역, 및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표면상의 손가락 끝의 터치 위치 및/또는 형상의 감지는 다양한 공지 기술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은 압력 감지 표면들, 커패시턴스-감지 표면들, 및 유도-감지 표면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들 전부는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한다. 커버 유리를 통하여 이동하는 초음파의 영향에 기초하여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또는 커버 유리 상의 터치로부터 수신된 진동 또는 사운드의 삼각 측량에 기초하여 터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사운드 또는 진동 센서들과 같은, 다른 예시적인 터치 센서는 사운드 또는 진동 측정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결정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예컨대 비디오들, 게임들 및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도래함에 따라서, 소비자들은 더 큰 디스플레이들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선호해 왔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들의 이용은, 제조사들에게 키패드들 및 버튼들을 제거하고, 대신에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된 가상 키들에 의존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디스플레이들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키패드들에 대한 필요성이 없어지면, 본 명세서에서 "베젤"이라고 지칭되는, 디스플레이를 둘러싸는 디바이스 케이스의 부분을 감소시킴으로써 대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면서도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크기는 최소화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 상의 더 얇은 베젤들에 대한 이러한 추세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전면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거의 전체적으로 점유될 때까지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쥐고 있을 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그립하도록 요청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매우 얇은 베젤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그립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영역의 일부를 커버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되고 은닉되는 디스플레이의 부분을 볼 수 없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의 일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사용자의 엄지 (200) 에 의하여 그립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를 도시하는, 도 2 에서 예시된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의 그립 (또는 다른 연장된 지속기간 터치들) 을,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및/또는 메뉴 아이콘들의 포지셔닝 및 배향을 그립 이벤트 위치, 크기,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조절함으로써 수용할 수 있는 방법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그립 이벤트 (즉,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표면 영역이 사용자의 손 또는 엄지에 의하여 구속되는 것) 의 위치, 형상, 및 배향을 측정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눈들 사이에 있는 사용자의 손의 유리-위 및 유리-외 부분들 모두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은닉되거나 차폐되는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및/또는 아이콘들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차폐되지 않은 부분으로 재포지셔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조절들은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들로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조절들은 은닉된 콘텐츠를 사용자 친화적 방식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포지션 및 전체 영역을 고려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한 활성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메뉴 아이콘들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그립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에 인접하도록 또는 이들로부터 멀리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다. 사용자 선호사항들, 손가락 크기들 및 그립 배향들은 사용자 설정 파일들 내에 저장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조절들이 특정한 사용자의 손가락들, 그립 및 선호사항들을 수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트레이닝 루틴들을 제공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콘텐츠가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크기 또는 사용자의 그립의 배향을 반영하도록 재포지셔닝되는 방식을 조절하도록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임시적으로 로그-인한 사용자의 통상적인 그립 위치를 표시하여 사용자들이 트레이닝된 구조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도록 도울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분석하고, 콘텐츠의 최소량을 커버하거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왜곡을 최소화할 그립 위치의 윤곽을 임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손가락들 및 손에 의해 커버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을 결정하고,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양 및 나머지 사용가능한 비-은닉된 디스플레이 영역 및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평가하고, 그리고 최소 폰트 크기 (예를 들어, 6 포인트) 를 제공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의 최대량의 왜곡만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으로의 적절한 조절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가 임계 지속기간 동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된 이후에 정상 (즉, 비-왜곡됨) 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이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그립을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의 왜곡을 왜곡시키거나 또는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거하거나 조절할 때 변화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를 록킹하고, 그리고 정의된 사용자 입력 제스처 (예를 들어, 두 번 두드림) 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을 정상으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그립에 의하여 커버된 어떤 콘텐츠 또는 아이콘들의 프리젠테이션을 이동시키지 않고, 그리고 대신에 은닉된 콘텐츠가 변화하였을 경우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의 측면 또는 후면 상의 사용자의 손들을 감지하고, 그리고 사용자의 손의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추천된 그립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그립 이벤트에 응답하여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대안적인 조절들을 간략하게 디스플레이하고 대안적인 조절들 중 선호하는 조절의 사용자 선택을 수락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언제라도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의 모든 조작에 응답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이동은 사용자들에게 귀찮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실시형태들은 연장된 지속기간의 그립 이벤트에 응답해서만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시형태들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어느 부분을 그립하고 있을 경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터치 이벤트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가 이동이 거의 없거나 이동이 없는 상태로 임계 지속기간을 초과할 때)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을 그립하고 있는 경우를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 이벤트의 지속기간이 터치스크린 상에 수행된 정상 터치 제스처로부터 그립 이벤트를 구별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 방법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하나 이상의 손가락들을 단지 놓아두는 경우 실시형태들이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실시형태들과 함께 이용되기에 적절한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아키텍처가 도 1 에 도시된다.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메모리 (102)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01), 및 입력 센서 (113)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03) 를 포함할 것이다. 프로세서 (101) 는 디스플레이 버퍼 (112) 에 저장된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 (103) 상에 생성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버퍼 (112) 의 콘텐츠는 프로세서 (101) 로부터의 디스플레이 제어 명령들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103) 상에 제공된다. 터치스크린으로의 사용자 터치들이 터치 이벤트 신호를 프로세서 (101) 로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입력 센서 (113) 에 의하여 감지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세서 (101)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의 그립의 성질과 관련한 위치, 크기 및 배향 정보를 터치스크린 입력 센서 (113) 로부터의 터치 이벤트들의 형식으로 수신하는데, 이것은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을 초과할 경우에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그립 이벤트로서 인식할 수도 있다. 메모리 (102) 에 저장된 선호사항들 및 설정들을 그립 이벤트 (즉, "유리 위의" 사용자의 손가락 (digit) 의 부분) 의 위치, 크기 및 배향과 연계하여 이용하여, 프로세서 (101) 는 사용자의 그립에 의하여 은닉된 디스플레이의 부분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이미지들이 어떻게 조절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조절들은 디스플레이 버퍼 (112) 로 제공되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103) 상에 나타나는 변화들이 야기된다.
일 실시형태의 동작이 도 2 내지 도 4 의 시퀀스에 도시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상에서 손가락 또는 엄지 (200) 를 이용하여 그립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일 부분이, 디스플레이를 터치하고 있는 엄지의 부분 ("유리-위") 및 디스플레이 상에 포지셔닝된 엄지의 유리-외 부분 모두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엄지 (200) 에 의하여 은닉되게 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그립할 때, 사용자의 엄지 (200) 의 일 부분만이 실제로 표면과 접촉하는데, 이것은 눈물방울 형상의 음영 구역 (204) 으로 도시된다.
사용자가 도 3 에 도시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를 그립하는 것으로부터 야기되는 터치 이벤트는 터치된 부분 (204) 의 위치, 영역 및 배향을 정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스크린 좌표들 또는 터치되고 있는 (즉, 터치된 영역 (204) 내부에 있는) 디스플레이 픽셀들의 형식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프로세서는 스크린의 터치된 부분 (204) 의 위치, 크기, 및 배향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어떤 손가락이 스크린을 터치하고 있는지 및 사용자의 손가락의 배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된 부분 (204;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립 이벤트 영역으로서 지칭됨) 은 스크린을 터치하고 있는 것이 엄지 (200) 인 경우에 이것이 손가락인 경우보다 더 클 수도 있다. 그립하는 상황에서는 (손가락 끝 터치 이벤트와는 반대로), 스크린의 터치된 부분 (204) 은 통상적으로 비대칭적, 예컨대 타원형이거나 눈물 형상일 것이다. 이러한 비대칭 형상의 장축은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엄지 또는 손가락들의 배향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예에서는, 눈물방울 형상 (204) 의 꼬리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의 좌측을 향해서 그리고 엄지 (200) 의 축을 따라서 가리킨다. 따라서, 그립 이벤트 영역의 크기, 형상 및 구성을 분석함으로써,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 (200) 의 유사한 컨투어들을 추정하고, 그리고 따라서 도 3 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의 부분을 추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터치 이벤트는 이벤트의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그립 이벤트 (즉, 사용자의 손이 시간의 연장된 부분 동안 동일한 포지션에서 유지될 것이어서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의 조절을 보장하는 것) 로서 인식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의 조절은 2 내지 3 초 이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립 이벤트는, 디바이스로 하여금 어떤 터치 이벤트를 그립 이벤트로서 인식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현재의 그립에 기초하여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하도록 명령하는, 명령 또는 입력 제스처를 실행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은닉된 콘텐츠의 조절은 터치 이벤트의 위치 및 인식된 엄지 또는 손가락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눈물방울 (204) 형상 배향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좌측을 가리킨다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 이벤트가 좌측 손의 손가락으로써 이루어진 것을 결정할 수도 있고, 그러므로 손가락 (200) 에 의하여 커버되는 콘텐츠는 우측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의 좌측 측면 상에 나타나는 좌측 손의 그립 이벤트의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의 작은 양만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되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고, 그래서 은닉된 콘텐츠는 텍스트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조절함으로써 용이하게 드러날 수 있다. 이에 반해, 만일 눈물방울 형상 (204) 배향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우측을 가리킨다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 이벤트가 우측 손의 손가락으로써 이루어졌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나타나는 우측 손의 그립 터치 이벤트의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텍스트를 좌측으로 조절하기에는 디스플레이 전체에 도달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너무 많은 부분이 은닉된다고 결정할 수도 있으며, 그래서 텍스트 (또는 다른 이미지 요소들) 를 위로 및/또는 아래로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 (200) 에 의하여 은닉된 디스플레이의 부분을 결정하기만 하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을 조절하여, 예컨대 은닉된 콘텐츠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방해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프로세서는 콘텐츠를 화살표들 (202) 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으로 쉬프팅함으로써, 은닉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의 방해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였다. 자유-흐름 텍스트 블록들에 대하여 적절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이동은 그립 이벤트의 근방에 있는 여백을 조절함으로써 텍스트가 은닉된 영역 주위를 지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자유-흐름 텍스트 필드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저부 또는 상부에 있는 텍스트가 보여지는 부분 (viewed portion) 을 넘어서 스크롤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은닉된 텍스트의 이러한 쉬프팅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폰트 크기 또는 자간 간격을 감소시킴으로써, 텍스트의 이러한 이동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다른 부분들을 방해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폰트 크기 및 특징들에 대한 변화들의 양은 은닉된 영역의 크기, 및 디스플레이 크기 및 해상도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손가락 (200) 이 텍스트의 큰 영역을 커버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텍스트의 일부가 디스플레이의 여백 너머로 스크롤하도록 하지 않으면서 콘텐츠의 은닉된 부분을 드러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110) 내에 도시된 모든 텍스트의 폰트 크기를 감소시켜야 할 수도 있다. 전체 텍스트의 폰트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전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맞출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 (100) 는 (사용자 정의된 선호사항일 수도 있는) 미리 정의된 최소치 밑으로 폰트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가 가독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다른 방식으로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한 다른 매커니즘들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손가락 또는 엄지 (200) 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하여,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은닉된 부분을 노출시키면,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는 정상으로 복귀할 수도 있다.
터치 이벤트의 특징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영역을 추정함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바닥 및 다른 손가락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 은, 사용자의 손의 정지 (rest) 를 확인하기 위하여 어떻게 추정된 은닉된 영역 (208) 이 터치 이벤트의 위치, 크기 및 배향에 의존할 수도 있는지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5 에 도시된 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디스플레이의 좌측 및 저부 부분들을 향한 배향을 가지고 하부 좌측 코너에 있는 눈물 방울 형상의 터치된 영역 (204) 의 양상을 가지는 터치 이벤트로부터, 점선 (209) 에 의하여 도시되는 은닉된 영역 (208) 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단일 손가락으로 제한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 에 도시된 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 이벤트가 하부 좌측으로부터 상부 우측을 향하여 배향된 좌측 손의 손가락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눈물 방울 형상의 터치된 영역 (204) 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110) 의 중앙에 더 인접하는 터치 이벤트로부터, 점선 (209) 에 의하여 도시된 은닉된 영역 (208) 이 더 크며 손가락들 및 손바닥의 일부를 망라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도 7 에 도시된 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 이벤트가 거의 수평으로 배향된 좌측 손의 손가락으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눈물 방울 형상의 터치된 영역 (204) 을 가지며 디스플레이 (110) 의 중앙에 더 인접하는 터치 이벤트로부터, 점선 (209) 에 의하여 도시된 은닉된 영역 (208) 이 더 크며 손가락들 및 도 6 에서 결정된 것과는 상이한 배향에 있는 손의 일부를 포함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 의 예들은 어떻게 그립 이벤트 형상의 장축의 배향이 사용자의 손의 배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터치 이벤트의 포지션과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사용자 트레이닝으로부터의) 사용자에 대한 몇 가지 지식 및/또는 통상적인 인간 손 치수들 (dimensions) 의 모델들을 이용하여, 비록 사용자의 손의 거의 전부가 터치스크린 표면과 접촉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른 손가락들 및 손바닥을 포함하여 은닉된 영역 (208) 의 추정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은닉 영역을 결정한 이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하여 어떻게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재구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여백을 쉬프팅하고 디스플레이 상에서 텍스트를 스크롤함으로써, 또는 폰트 크기 또는 자간 간격을 조절하고 은닉된 영역 주위의 디스플레이를 쉬프팅함으로써, 텍스트의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도 2 에 도시된 텍스트 블록들에 대해서 잘 동작한다. 또한, 은닉된 콘텐츠의 양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용이하게 쉬프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들은 디스플레이의 에지를 따라 발생하는 그립 이벤트들에 대해서도 잘 동작한다. 그러나, 더 큰 은닉된 영역들을 수용하기에 더욱 적합한,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이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다. 광범위한 콘텐츠 타입들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들, 포맷된 텍스트, 그래픽들 등) 을 재포지셔닝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타일들 (210) 의 관점에서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일들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행들 및 열들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정규적 또는 비정규적 크기 형상을 가지는 다각형들의 형태일 수도 있다. 타일들 (210) 은 도 8 에서 오직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 도시되며, 정상 동작 도중에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상에서는 통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참조의 편의를 위하여,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타일들은 사각형 타일들을 채택하는 실시형태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들의 행 및 열에 따라서 식별된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타일들을 추적하기 위하여 참조의 임의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복수의 타일들 (210) 로 조직화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각각의 타일 (210) 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추적할 수도 있는 어떤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의 타일 내의 콘텐츠는 글자에 의하여 표현된다. 예를 들어, 도 8 은 행 4 열 1 에 있는 타일 (4,1 이라고 지칭됨) 이 콘텐츠 "A" 를 포함하며, 4,2 에 있는 타일이 콘텐츠 "B" 를 포함한다는 등을 보여준다. 다양한 공지된 알고리즘들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M X N 차원들을 가지는 타일들로 세그먼트화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24 X 768 디스플레이는 64 X 48 타일들로 쪼개질 수도 있는데, 여기서 각각의 타일은 16 X 16 이다. 사용자의 손가락들 및 손 밑의 타일들은 그 손가락들 및 손의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타일들과 조합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이들은 결합되고 리사이징되어 디스플레이 상의 더 작은 비방해 영역에 맞출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복수의 타일들 (210) 로 세그먼트화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세그먼트들을 인식하고 이러한 콘텐츠를 전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처리할 필요 없이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재포지셔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타일들 (210) 로 세그먼트화하는 것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닉된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200) 이 4,3 에 있는 타일에서 디스플레이를 그립하고 있으며, 손가락은 3,2; 3,3; 2,1; 2,2; 및 1,1 에 있는 타일들을 커버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4,3 에 있는 타일 내의 그립 이벤트의 위치, 형상 및 배향을 저장된 사용자 파라미터들 또는 해부학적 모델들과 조합하여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200) 에 의하여 차폐된 영역을 결정하고, 그리고 그 영역을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은닉된 타일들과 상관시킬 수도 있다. 각각의 타일 내의 콘텐츠에 대해 인지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는 은닉된 콘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도시된 예에서는 콘텐츠 아이템들 C, G, H, K, L 및 P 를 포함한다. 은닉된 콘텐츠를 결정한 이후에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각각의 은닉된 타일 내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처리하여 이러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110) 의 노출된 부분 상에 어떻게 최적으로 재포지셔닝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은닉된 타일 내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는, 구현형태, 디스플레이 크기, 콘텐츠의 속성 (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등), 및 전체 은닉된 영역에 의존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디스플레이의 작은 부분이 은닉된다면, 은닉된 콘텐츠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우측, 상향 및/또는 하향으로 쉬프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은닉된 콘텐츠를 조절 또는 쉬프팅하여 이것을 인근 노출된 타일들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화살표들 (214) 은 각각의 커버된 타일 (210) 의 콘텐츠가 어떻게 쉬프팅되어 이것이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0 에 도시된 예에서는, 위치 4,3 에 있는 타일의 커버된 콘텐츠 C 의 절반이 우측으로 쉬프팅되고 위치 4,4 에 있는 타일 내에 스퀴즈되고, 그리고 콘텐츠 C 의 다른 절반은 좌측으로 쉬프팅되고 4,2 에 있는 타일 내로 스퀴즈된다.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이러한 조절의 결과로서, 4,1 및 4,2 에 있는 타일들은 콘텐츠 요소들 A, B 및 C 의 절반을 포함하고, 그리고 4,4 및 4,5 에 있는 타일들은 콘텐츠 요소들 D, E 및 C 의 절반을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의 조절은 3,1 에 있는 타일이 콘텐츠 요소 F 및 G 의 1/4 을 포함하도록 야기하고 3,4 및 3,5 에 있는 타일들이 콘텐츠 요소들 J, I, J 및 G 의 3/4 를 포함하며 2,3 내지 2,5 에 있는 타일들이 콘텐츠 요소들 K, L, M, N 및 O 를 포함하고 그리고 3,4 및 3,5 에 있는 타일들이 콘텐츠 요소들 J, I, J 및 G 의 3/4 를 포함하며 1,2 내지 1,5 에 있는 타일들이 콘텐츠 요소들 P, Q, R, S 및 T을 포함하도록 야기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이러한 조절의 일부로서, 은닉된 타일들은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 에 도시된 예에서는, 은닉된 콘텐츠는 오직 수평 방향으로만 쉬프팅되고, 따라서 행들 5 및 그 위의 타일들 내의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 조절에 의하여 영향받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예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은닉된 영역에 전제를 두고 있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콘텐츠를 다소 수평 방향으로 쉬프팅시켜서 이것이 노출되도록 인에이블한다. 만일 그립 이벤트가 더 넓은 은닉된 영역을 표시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은닉된 콘텐츠가 해당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수직 방향으로 쉬프팅시킴으로써 드러나야 한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의 손가락 (200) 이 도 9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각선 대신에 수평적으로 배향된다면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조절은, 예컨대 콘텐츠의 절반을 커버된 영역 위의 타일들로 그리고 콘텐츠의 절반을 커버된 영역 아래의 타일들로 쉬프팅시킴으로써, 수직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 타일들 간의 콘텐츠의 유사한 쉬프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손바닥의 일부 및 다른 손가락들이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으로 큰 수평 및 수직 부분을 차폐하고 있는 경우에는, 몇 개의 그립 이벤트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은닉된 콘텐츠를 수직적으로 그리고 수평적으로 모두 쉬프팅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타일들 내에 은닉된 콘텐츠를 재포지셔닝 및 왜곡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타일들의 모두가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서 나타나지만 더 작은 크기로 나타날 수 있도록, 전체 디스플레이는 배율이 감소되고 그리고 콘텐츠 요소들이 조절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하여, 주지된 워핑 (warping) 알고리즘들, 예컨대 이미지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용되는 구형 왜곡 알고리즘들 (spherical distortion algorithms) 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구형 왜곡이 이미지에 적용됨으로써, 손가락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이미지 워핑의 정도를 가지며 사용자의 손가락 주위의 고도로 워핑된 링 (highly warped ring) 으로서 은닉된 부분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은닉된 콘텐츠는 디스플레이의 다른 부분 위에서 부유하는 것으로 보이는 윈도우 박스 내에 은닉된 콘텐츠가 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타일들 (210) 은 크기 및 형상에 있어서 불균일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로 조절하기 위하여 동적으로 변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커버된 영역이 그립 이벤트를 포함하는 타일보다 작다면,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손가락 주위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를 왜곡되지 않은 채로 남겨두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손가락보다 큰 타일의 콘텐츠는 손대지 않고 남을 수도 있으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쉬프팅하거나 조절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만일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세밀 세부사항 (fine detail) 을 포함한다면, 타일들의 크기는 감소됨으로써, 은닉된 콘텐츠의 재배포 및/또는 왜곡이 그 이미지의 속성을 더 잘 수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소정 폰트 크기 (예를 들어, 20 포인트 폰트) 를 가지는 이미지의 영역들은 작은 폰트 크기 (예를 들어, 10 포인트 폰트) 가 존재하는 영역들보다 더 큰 타일들을 가질 수도 있다. 타일 크기 선택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휴 변환 (Hough Transform) - 이것은 디스플레이 이미지 내의 선형 요소들을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 컴퓨터 비젼 (vision), 및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에서 이용되는 피쳐 추출 기법임 - 이, 글자들 또는 중요한 그래픽들을 관통하여 절단하지 않으면서 콘텐츠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방식으로 이미지를 타일들로 세그먼트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이 중요한 콘텐츠, 예를 들어, 텍스트의 문장들 또는 픽쳐들의 콘텐츠 분할 영역들이 없는 선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하기만 하면, 타일들의 크기들은 이에 상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하여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가 조절되는 방식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잡힌 배향에 의존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과 함께 이용되기에 적합한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그들이 수직 배향으로 (즉, 대략 중력 기울기에 평행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장축을 가짐) 또는 수평 배향으로 (즉, 대략 중력 기울기에 수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장축을 가짐) 잡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이에 상응하여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게 할 수 있는 가속도계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직 배향으로 잡히면, 우측 또는 좌측보다는 그립 위치의 위 또는 아래에 더 많은 노출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반면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평 배향으로 잡히면 반대 사실이 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에 적용될 임의의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하여 어떻게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최적으로 조절할지를 결정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배향을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미지가 조절되어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냈다면, 사용자가 그립 이벤트를 개시했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 밖으로 이동시키거나 들어올린 이후에도, 야기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조절된 구성에서 남아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형태는, 사용자의 주의를 분산시킬 수도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작은 이동들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를 빈번하게 재구성하는 문제점을 회피한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그립에 매칭하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사용자는 해당 디스플레이 배향을 유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재구성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재-그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조절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제거된 이후에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 (이것은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으로서 구성가능할 수도 있음) 동안 보유 (retain)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조절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디스플레이를 그의 정상 구성으로 복원시키도록 지시하는 (두 번 두드리기와 같은 미리 정의된 터치 제스처의 형태를 가진 것과 같은) 사용자 명령을 실행할 때까지 유지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제거한 이후에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가 정상 구성으로 복원하는 방식은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 또는 메뉴 선택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쉬프팅 또는 워핑과 관련될 필요가 없도록,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독립형 유틸리티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또는 운영 체제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애플리케이션들, 예컨대 게임 또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들은 터치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쉬프팅 또는 워핑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정될 필요가 없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절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된 가상 버튼들 및 메뉴 아이콘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상 버튼들 및 메뉴 아이콘들을 사용자의 그립에 매우 근접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실행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한 손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일 예가 도 11 내에 도시되는데, 이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공통 기능들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엄지 (200) 에 인접하게 포지셔닝된 메뉴 아이콘들 (230a, 230b, 230c, 230d)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손가락 (200) 에 의하여 커버된 영역을 그립 이벤트의 위치, 크기 및 배향에 기초하여 결정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은닉된 콘텐츠를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절하고, 그리고 메뉴 아이콘들 (230a, 230b, 230c, 230d) 을 커버된 영역의 추정된 프로파일에 매우 근접하게 재포지셔닝한다. 메뉴 아이콘들을 터치 이벤트의 인접 컨투어 프로파일 내에 포지셔닝하는 것은, 사용자가 엄지 또는 손가락 (200) 의 포지션을 오직 작은 양만큼만 쉬프팅하여 메뉴 아이콘을 구속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중요한 메뉴 아이콘들로의 용이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비록 도 11 은 사용자의 엄지 (200) 의 컨투어와 평행하게 배향된 메뉴 아이콘들 (230a, 230b, 230c, 230d) 을 도시하지만, 아이콘들은 또한 수평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배향으로) 정렬되어 이들이 판독하기 더 쉽게 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엄지 (200) 다음에 포지셔닝된 메뉴 아이콘 (230a, 230b, 230c, 230d) 을 선택하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의 방향으로 쉬프팅하거나 롤링 (rolling)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어떤 메뉴 아이콘을 그의/그녀의 손가락 또는 엄지 (200) 를 그 아이콘을 향하여 롤링함으로써 선택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터치스크린에 의하여 측정되는 바와 같은 그립 이벤트의 형상 및 위치를 그 아이콘을 향해서 쉬프팅할 것이며,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러한 이동을 가상 버튼 누름 터치 제스처와 유사한 메뉴 아이콘 활성화로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재구성된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립 이벤트가 종료된 이후 기간 동안 유지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을 들고 그리고 선택된 메뉴 아이콘을 터치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인가되는 압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메뉴 아이콘 (230) 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압력의 증가를 검출하고 상이한 압력 파라미터들에서 상이한 메뉴 아이콘 (230) 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인가된 압력의 각 증분적 증가를 갖는 사용자의 그립 손가락 또는 엄지 (200) 주위의 각각의 메뉴 아이콘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된 아이콘은, 예컨대 컬러 음영 또는 빛 강도 또는 깜빡거림 구성 (blinking configuration) 으로 강조되어 어떤 아이콘이 현재 선택되는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면,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여 선택을 확정하거나 또는 그립 손가락을 이용하여 다른 제스처, 예컨대 이중 스퀴즈 제스처 (double squeeze gesture) 를 실행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상이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메뉴 아이콘 (230)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압력 그레디언트가 도달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사용자가 그립 손가락 (200) 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들 경우에/든다면 메뉴 아이콘 (230) 의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만일 어떤 압력 그레디언트에서의 일정한 압력이 사용자에 의하여 시간의 미리 결정된 양 동안 유지된다면 그 압력 그레디언트에서 메뉴 아이콘 (230) 의 선택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 에 도시된 일 실시형태에서는, 메뉴 아이콘 (230) 이 실행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중간 (intermediary) 메뉴 윈도우 (240) 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요청된 데이터를 미리보기하거나 2 차 메뉴로부터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일 애플리케이션 메뉴 아이콘 (230e) 을 선택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사용자가 아이템들의 선택을 사용자의 도착 메일함에서 미리보기 할 수 있게 하는 미리보기 윈도우 (240) 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다른 손가락 (200) 을 이용하여 미리보기 윈도우 (240) 내의 아이템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보기 윈도우 (204) 의 "존 X" 부분 상에서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사용자에게 전체 이메일 메시지를 표시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미도시) 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 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메뉴 아이콘들을 그립 이벤트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하는 대신에,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메뉴 윈도우 (242) 를 그립 이벤트에 인가된 압력의 양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를 임계값보다 큰 압력으로 스퀴징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메뉴 윈도우 (242) 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메뉴 윈도우 내의 메뉴 아이콘 (230) 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뉴 윈도우 (242) 내에 제시되는 아이콘들 및 정보는 정적 정보, 가변 정보 및 링킹 정보 (linking information)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적 정보는 텍스트와 같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데이터 및 다른 콘텐츠로의 하이퍼링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변 정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 예컨대 전자 메일 받은 편지함의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받은 편지함 데이터는 신규한 전자 메일이 수신되면 변화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6 은 그립 이벤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아이콘들 (246) 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상에 다시 위치시킴으로써, 아이콘들이 그립하는 손가락으로부터 제거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다른 손으로 용이하게 액세스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4 에 도시된 예에서는, 메뉴 아이콘들 (246) 은 그립 이벤트의 개시 이전에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의 좌측에 제공된다. 터치스크린의 좌측 상에서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아이템들의 디스플레이된 위치를 터치스크린의 다른 측면으로 쉬프팅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메뉴 아이콘들 (246) 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의 우측으로 쉬프팅된다.
도 17 및 도 18 은 그립 이벤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아이콘들 (246) 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상에 다시 위치시킴으로써 아이콘들이 그립하는 손가락으로부터 제거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그립 손으로 용이하게 액세스가능하게 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7 에 도시된 예에서는, 메뉴 아이콘들 (246) 은 터치스크린 (110) 의 우측에 포지셔닝한다. 아이콘들 (246) 은 그립 이벤트의 방향으로 쉬프팅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의 이러한 조절의 결과로서, 메뉴 아이콘들 (246) 은 도 18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그립하는 손가락 또는 엄지 (200) 에 가장 인접하게 포지셔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포지셔닝되면, 메뉴들은 사용자의 그립하는 손가락 (200) 에 의하여 용이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9 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그립하는 손가락에 인접하게 포지셔닝된 특정 메뉴 아이콘들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선택된 메뉴 아이콘들 (246) 위를 또는 그 근처를 통과하는 경로 (254) 를 추적할 수도 있다. 경로 (254) 를 추적함에 의하여,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에게 사용자의 그립하는 손가락 주위에 모여야 할 메뉴 아이콘들을 통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를 손가락 (200) 으로 터치하고 그 손가락 (200) 을 디스플레이를 통과해서 이동시킴으로써, 경로 (254) 가 선택된 아이콘들 (246) 에 가까이 또는 그 위에서 통과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뉴 아이콘들의 그립하는 손가락 (200) 에 인접한 종단 포지션 (end position) 이 도 20 에 도시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립 이벤트에 의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이동시키지 않고, 대신에 사용자에게 은닉된 콘텐츠의 변화들에 대해서 경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일부로서, 그립 이벤트에 의하여 은닉된 메뉴 아이콘들 및 가상 버튼들은 그립하는 손가락이 터치스크린 표면과 접촉하여 있는 한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왜곡이 혼란하게 할 몇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사용자들에 의하여 선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메뉴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의 좌측 여백을 따라서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아이콘들의 재포지셔닝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예를 들어, 게임 디스플레이, 사진들 또는 텍스트) 를 혼란하게 하거나 왜곡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잔여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메뉴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여백 내에서 디바이스를 그립하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그립 이벤트에 의하여 은닉된 하나 이상의 메뉴 아이콘들이 비활성화됨으로써, 디바이스를 그립하고 있는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어떤 메뉴 기능성을 활성화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립 이벤트에 의하여 은닉된 메뉴 아이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들어올리고, 그 다음에 그 아이콘을 두 번 탭핑할 (또는 몇 가지 다른 터치 제스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근방에 있는 디스플레이로의 깜빡임들 또는 다른 변화들에 의하여 은닉된 콘텐츠의 변화들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은닉된 콘텐츠가 변화하였다고 결정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의 윤곽은 빛나거나 깜빡거릴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예가 도 21 및 도 22 에 도시된다.
도 21 에 도시된 예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의 좌측을 따라서 두 개 아이콘들 (246) 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도 2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아이콘들 중 하나를 은닉하는 방식으로 엄지 (200) 를 가지고 디바이스를 그립하면, 은닉된 아이콘은 그 그립 이벤트의 지속기간 동안 (사용자의 엄지 (200) 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00) 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동안) 비활성화될 수도 있다. 만일 그 그립 이벤트의 지속기간 동안에 은닉된 콘텐츠가 변화하면 (예를 들어, "채팅하기" 아이콘의 기능성이 "읽기"로 변화하도록 하는 신규한 채팅이 수신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예를 들어 빛나는 애니메이션 (248) 을 사용자의 손가락의 추정된 컨투어 주위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각적 및/또는 가청 표시자들 (indicators) 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고는 사용자에게 은닉된 영역이 변동하였음을 통지하고, 사용자에게 볼 가치가 있는 뭔가 새로운 것이 있을 때까지는 은닉된 콘텐츠에 관여하지 않도록 인에이블한다.
도 23 및 도 24a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상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그립할 수도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208) 을 제안하기 위한 일 실시형태의 방법을 도시한다. 이러한 그립 위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하여 보고되는 통상적인 사용법 또는 사용자 트레이닝 또는 지정들 (designations) 에 기초할 수도 있는데, 이들 모두는 특정 사용자들을 위하여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메뉴 (258) 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로그인 메뉴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호사항들 및 설정들을 저장한 대상이 되는 사용자들을 나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로그인 윈도우에서는, 사용자는 적합한 체크박스 상에 클릭함으로써 아이덴티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 로그인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그립 프로파일에 액세스하고, 그리고 도 2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호하는 위치의 윤곽 (260) 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선호하는 그립 위치 (260) 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그 이후에 이 표시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기만 하면, 선호하는 그립 위치 표시가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도 24b 에 도시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잡히는 방식을 표시하는 다른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제안된 정확한 위치 (260) 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 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는 디바이스 케이스의 후면 상에 포지셔닝된 사용자의 손가락들 (2400) 의 포지션을 인식하고 위치결정할 수 있는 터치 센서들이 탑재될 수도 있다. 도 24b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디바이스 케이스의 후면 상에 포지셔닝된 사용자의 손가락들 (2400) 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편안한 그립을 야기할 그 사용자의 엄지에 대한 제안된 위치 (260) 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그 순서 및 상대적인 길이 (예를 들어, 검지는 통상적으로 약지보다 길다) 에 의하여 감지된 손가락들 (2400) 중 어느 것이 사용자의 검지 (index finger) 또는 중지인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도 2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된 엄지 위치 디스플레이 (260) 및 결정된 검지 또는 중지 위치들까지의 근접성을 포지셔닝할 수도 있다. 제안된 엄지 위치를 검지 또는 중지 (또는 다른 손가락) 와 정렬하는 것은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예를 들어, 중력 벡터를 감지하는 가속도계를 이용함으로써) 수직 방향을 결정하고, 그리고 디바이스의 상부로부터의 제 1 손가락 터치를 검지로 가정하고, 디바이스의 상부로부터의 제 2 손가락 터치를 중지로 가정하는 등에 의하여, 터치들의 시리즈에서의 그들의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안된 엄지 위치 디스플레이 (260) 의 포지셔닝은 디스플레이되거나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된 콘텐츠의 포지션들 및 사용자의 손가락들 (2400) 의 포지션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손가락들 (2400) 의 감지된 위치들에 기초한 제안된 엄지 위치 디스플레이 (260) 의 포지셔닝은, 예컨대 훈련 루틴에서 생성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은 사용자 선호사항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비록 도 24b 가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후면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들 (2400) 의 감지된 위치에 기초한 제안된 엄지 위치 디스플레이 (260) 의 포지셔닝을 예시하지만, 이러한 실시형태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다른 부분들, 예컨대 이러한 표면들 상에 구성된 터치 센서들이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들 내의 측면들 및 베젤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감지된 위치를 고려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사용자의 손의 다른 부분들, 예컨대 디바이스의 에지와 나란한 손바닥의 터치를 감지하고,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제안된 엄지 위치 디스플레이 (260) 를 포지셔닝하기 위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 (100) 은 디바이스를 그립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호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이한 방법들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일 방법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일정 기간에 걸쳐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상의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위치들을 기록하고 평균 또는 가장 빈번한 그립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최초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선호하는 위치는 사용자의 최후 그립 위치일 수도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사용자가 가장 빈번하게 채택된 그립 위치를 반영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호하는 그립 위치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트레이닝 루틴 동안에 선호하는 그립 위치를 표시하도록 프롬프트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그 사용자에 대한 내부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그립 위치 (260) 를 추천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내의 콘텐츠 아이템의 포지셔닝을 고려하여, 아무 콘텐츠도 은닉하지 않거나 또는 왜곡을 최소량으로 하는 위치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는 중요한 콘텐츠 중 임의의 것을 차폐하지 않으면서 그립될 수 있는 에지를 따라서 콘텐츠가 없거나 낮은 우선순위 콘텐츠 (예를 들어, 세밀 프린트 (fine print), 로고들 또는 정적 형상들) 의 구역들을 가질 수도 있다. 제안된 추천된 그립 위치 (260) 는 예컨대 도 2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가락 (200) 의 점선 윤곽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시간의 미리 결정된 양 동안 추천된 그립 위치 (260) 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그 이후에 표시가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기만 하면, 추천된 그립 위치 표시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추천된 그립 위치 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면, 만일 콘텐츠가 커버되지 않거나 낮은 우선순위 콘텐츠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위치가 선택되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개조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추천된 그립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그립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설명된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5 는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25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단계 (2502) 내에서 콘텐츠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를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단계 (2504)), 그리고 터치 이벤트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단계 (2506)).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2508) 에서 터치 이벤트가 동일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임계 지속기간 "t" 동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그립 이벤트를 인식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보다 적은 기간 동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와 접촉을 유지한다면 (즉, 결정 단계 (2508)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정상 기능을 계속할 수도 있다 (단계 (2518)). 만일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보다 길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와 접촉을 유지한다면 (즉, 결정 단계 (2508)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이 이벤트를 그립 이벤트로서 다루고, (단계 (2510) 에서) 그립 이벤트 크기 (즉, 유리-위 접촉의 영역) 와 (단계 (2512) 에서) 그립 이벤트의 형상 및 배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2512) 에서 그립 이벤트의 배향을 결정함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접촉된 터치스크린 영역의 형상을 분석하여, 형상의 장축 및 단축들, 그 형상의 장축의 상대적인 배향, 및 선택적으로 그 형상이 비대칭되는 (예를 들어, 형상에 있어서 눈물 방울 또는 타원인) 각도의 측정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251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그립 이벤트의 위치, 크기 및 배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결정하고 추정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그립 이벤트의 위치, 크기 및 배향을 그 사용자에 대응하는 데이터 테이블 내의 룩업 기준들로서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법들로 달성될 수도 있다. 단계 (2516)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를 타일들로 세그먼트화하고, 그리고 단계 (2520) 에서 은닉된 영역을 특정 디스플레이 타일들과 상관시킬 수도 있다. 단계 (2522)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그립 이벤트 영역 (208) 에 의하여 은닉된 디스플레이 타일들을 식별하고, 그리고 단계 (2524) 에서 은닉된 타일들 내의 콘텐츠를 식별할 수도 있다. 단계 (2526)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 내에 추정된 은닉된 콘텐츠를 드러내기 위하여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고, 그리고 단계 (2528) 에서 조정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재생성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방법 (2500) 의 단계 (2514) 에서 은닉된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립 이벤트의 위치, 크기 및 배향의 파라미터들을 사용자의 손을 모델링하는 알고리즘에 적용함으로써 은닉된 영역을 추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고리즘은 그립 이벤트의 경계 너머로 파라미터를 연장하고 그리고 그 경계가 그립 이벤트 형상의 장축에 의하여 정의되는 선분을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에지로 거의 향하도록 연장할 수도 있다. 제 2 예시적인 방법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립 이벤트 형상의 위치, 크기 및 배향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검색 파라미터들로서 이용함으로써 은닉된 영역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일 예가 도 26 에 도시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방법 (2514) 에서는, 방법 (2500) 의 단계 (2512) 에서 결정되는 그립 이벤트의 형상 및 배향이 단계 (3141) 에서 현재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테이블 내의 최인접 매칭을 식별하기 위한 검색 기준들로서 이용된다. 입력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들에 대한 최인접 매칭이 식별되면,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단계 (3142) 에서 방법 (2500) 의 단계들 (2516 내지 2528) 을 수행함으로써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의 은닉된 영역을 추정하도록 하는 좌표들 또는 형상 파라미터들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출할 수도 있다.
도 27 은 도 11 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은닉된 영역의 추정된 윤곽 주위에 메뉴 아이콘 (230) 을 포지셔닝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2700) 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가 방법 (2500) 의 단계 (2528)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절된 콘텐츠 디스플레이에 기초하여 재생성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2702) 에서 그립 이벤트의 위치, 영역,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은닉된 영역의 윤곽 (예컨대 사용자에 의하여 보여지는 사용자의 손가락 (200) 의 윤곽) 을 추정할 수도 있다. 단계 (270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한 메뉴 아이콘들을 재포지셔닝하고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8 은 그립 이벤트에 의하여 커버되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변화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3000) 을 도시한다. 방법 (2500) 의 단계 (2524) 에서 그립 이벤트의 영역 및 배향이 결정되고 커버된 타일들 내의 콘텐츠가 식별되기만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2802) 에서 은닉된 영역 (208) 내에 있는 콘텐츠의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단계 (2802)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방법 (2500) 의 단계 (2514) 에서 디스플레이의 결정된 은닉된 영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의 경고 경계 (alert boundary) 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경고 경계는 사용자가 볼 수 있지만 경고가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나머지의 중요 부분과 간섭하지 않게 되도록, 은닉된 영역을 갓 넘어서 존재하는 선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경고 경계가 깜빡거리거나, 빛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야기함으로써 커버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 내에 변화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커버된 콘텐츠의 변화들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하여 청각적 경고가 이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은닉된 콘텐츠 내에 변화가 존재했다는 것을 결정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적 단계 (2806) 에서 은닉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재포지셔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변화하는 은닉된 콘텐츠가 메뉴 아이콘이라면, 메뉴 아이콘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정된 은닉된 영역의 컨투어 주위에 인접하게 재포지셔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체적인 실시형태의 일부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단계 (2804) 에서 시각적 또는 청각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변화에 대해서 경고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예컨대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을 가지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성하고, 경고를 생성하고 (단계 (2804)), 변화된 콘텐츠를 재포지셔닝하거나 (단계 (2006)), 또는 양자 모두를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들은 트레이닝 루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교정하여 검출된 그립 이벤트의 위치, 크기,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닝 루틴에 의하여 결정되는 파라미터들 또는 인자들은 각각의 사용자와 연관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테이블과 연관됨으로써, 커버된 영역의 윤곽이 검출된 그립 이벤트의 측정된 위치, 크기, 형상 및 배향을 적용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레이닝 루틴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특정 위치에서 터치스크린을 누르도록 프롬프트하고, 결과적으로 야기된 그립 이벤트 크기, 형상 및 배향을 수신하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차폐되는 영역을 그립 이벤트 측정들 및 디폴트 또는 사용자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추정하고, 추정된 차폐된 영역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그 영역의 모양 (fit) 과 관련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고, 그리고 이러한 피드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파라미터들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9 는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교정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트레이닝 루틴 방법 (2900)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방법 (2900) 의 단계 (2902)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신규한 사용자 로그-인을 검출하거나 사용자의 설정들을 재교정하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290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식별자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이름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단계 (2906)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사용자에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를 지정된 위치들에서 터치하도록 요청하는 프롬프트 (prompt) 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단계 (2908)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표시된 룩 위치 (look location) 의 근방의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단계 (2910) 에서 검출된 터치 이벤트를 분석하여 터치 이벤트의 크기, 형상 및 배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2912)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 이벤트의 결정된 위치, 크기,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도 있다. 은닉된 영역의 이러한 추정은 해부학적 모델을 이용하거나 특정 사용자 그리고 터치스크린 상의 특정 위치에 대하여 측정이 처음으로 획득될 때에는 디폴트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후에는, 이전 교정 측정치들로부터의 결과들이 단계 (2912) 에서 은닉된 영역을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단계 (291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추정된 은닉된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형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리고 사용자에게 은닉된 영역이 정확하게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프롬프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추정된 은닉된 영역의 이러한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입력에 대한 기회가, 사용자에게 그 영역이 디스플레이의 사용자의 뷰에 기초하여 확대되거나 축소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도록 인에이블하는데, 이것을 모바일 디바이스가 단계 (2916) 에서 수신한다. 만일 디스플레이된 추정된 은닉된 영역이 사용자의 손가락을 넘어서 연장하여 사용자가 이것을 볼 수 있다면, 사용자는 제 2 손가락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들을 밀어서 터치스크린 상의 경계들을 터치할 수도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된 추정된 은닉된 영역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잠금된 전체 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그 경계를 밖으로 사용자에 의하여 이용되는 바와 같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에지를 향하여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드래그할 수도 있다. 결정 단계 (2918)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이 추정된 은닉된 영역의 경계를 수락했는지 또는 조절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추정된 은닉된 영역 경고를 조절하였다면 (즉, 결정 단계 (2918) 가 "조절됨" 이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2912) 로 복귀하여 은닉된 영역의 추정 단계에 도달하고, 그리고 단계 (2914) 에서 추정된 은닉된 영역의 업데이트된 디스플레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추정된 은닉된 영역이 수락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손에 의해 차폐되는 영역과 매칭된다고 만족하기만 하면 (즉, 결정 단계 (2918) 가 "수락됨"이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2920) 에서 추정된 은닉된 영역을 정의하는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좌표들, 알고리즘 인자들, 픽셀들 등) 을 측정된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들 (즉, 위치, 크기, 형상 및 배향) 와 함께 그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테이블 내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추정된 은닉된 영역을 특정 그립 위치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관찰되는 실제 은닉된 영역에 맞출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트레이닝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단계 (2906) 로 복귀하여 사용자에게 다른 위치에서 터치스크린을 그립하도록 요청하는 것과 함께 계속될 수도 있다. 다수 개의 그립 위치들에 대하여 트레이닝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도록 허용하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다른 위치에서의 그립 이벤트들에 대한 그립 이벤트 정보 (위치, 크기, 형상 및 배향) 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추정하도록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인접하게 이격된 위치들에 대하여 프로세스를 반복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손 및 손가락 배치들에 있어서의 정상적인 가변성을 고려하는 사용자의 손의 통계적으로 평균화된 모델을 개발하도록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트레이닝 루틴은, 모든 그립 위치들이 교정되었을 때, 최대 수의 교정들이 획득되었을 때, 사용자가 세 개 또는 네 개의 위치들에 대하여 추정된 은닉된 영역을 조절하지 않을 때 (이것은 데이터베이스 모델이 충분히 정제되었음을 의미함), 또는 사용자가 루틴이 탈출하도록 (미도시) 명령함으로써 트레이닝 세션을 종료하도록 선택할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다.
트레이닝 루틴의 일부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2906) 에서 특정한 위치 터치를 특정하는 대신에 사용자에게 그 사용자의 선호하는 그립 위치에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도록 프롬프트할 수도 있다. 트레이닝 루틴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진행할 수도 있고, 그리고 추정된 은닉된 영역이 사용자에 의하여 수락되면 (즉, 결정 단계 (2918) 가 "수락됨"이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동일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테이블 내에 사용자의 선호하는 그립 위치로서 추정된 은닉된 영역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선호하는 그립 위치에 대하여 디바이스를 트레이닝시킴으로써, 디바이스가 후속하여 도 24 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선호하는 그립 위치의 윤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0 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그립 이벤트 파라미터들을 취출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30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로그인 정보를 단계 (3002) 에서 수신하고, 이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단계 (3004) 에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사용자의 그립 이벤트 및 은닉된 영역 추정 파라미터들을 검색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006) 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그립 이벤트 및 은닉된 영역 추정 파라미터들을 취출할 수도 있다.
도 31 은 메뉴 아이콘들을 그립 이벤트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31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102) 에서 콘텐츠를 생성하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단계 (310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그리고 단계 (3106) 에서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108) 에서 터치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상의 동일 위치에서 임계 지속기간 "t" 동안 유지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이 이벤트를 그립 이벤트로서 인식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가 동일한 위치에서 임계 지속기간보다 적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과 접촉하고 있으면 (즉, 결정 단계 (3108)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110) 에서 이 터치 이벤트에 대해 정상 터치 제스처로서 응답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가 동일한 위치에서 임계 지속기간 동안 또는 더 길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와 접촉하고 있으면 (즉, 결정 단계 (3108)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이것을 그립 이벤트로서 다루고, 단계 (3112) 에서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 상의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114) 에서 그립 이벤트 및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들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동일한 면 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 및 메뉴 아이콘들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동일 면 상에 위치된다면 (즉, 결정 단계 (3114)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116) 에서 메뉴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의 반대 면으로 다시 위치시키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 (2500) 의 단계 (2510) 와 함께 진행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 및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동일면 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즉, 결정 단계 (3114)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 (2500) 의 단계 (2510) 와 함께 진행할 수도 있다.
도 32 는 메뉴 아이콘들을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의 그립 이벤트와 동일한 면으로 다시 위치시키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34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102) 에서 콘텐츠를 생성하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단계 (310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그리고 단계 (3106) 에서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108) 에서 터치 이벤트가 터치스크린 상의 동일 위치에서 임계 지속기간 "t" 동안 유지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이 이벤트를 그립 이벤트로서 인식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가 동일한 위치에서 임계 지속기간보다 적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과 접촉하고 있으면 (즉, 결정 단계 (3108)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110) 에서 이 터치 이벤트에 대해 정상 터치 제스처로서 응답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가 동일한 위치에서 임계 지속기간 동안 또는 더 길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와 접촉하고 있으면 (즉, 결정 단계 (3108)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이것을 그립 이벤트로서 다루고, 단계 (3112) 에서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 상의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114) 에서 그립 이벤트 및 메뉴 아이콘들의 위치들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동일한 면 상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 및 메뉴 아이콘들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동일 면 상에 위치된다면 (즉, 결정 단계 (3114)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 (2500) 의 단계 (2510) 와 함께 진행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 및 아이콘들 (246) 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반대 면들 상에 위치된다면 (즉, 결정 단계 (3114) 가 "아니오"라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 (2500) 의 단계 (2510) 와 함께 진행하기 전에 또는 그 이후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202) 에서 그립 이벤트가 위치결정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의 면으로 아이콘들을 다시 위치시킬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만일 그립 이벤트 및 아이콘들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반대 면들 상에 위치된다면 (즉, 결정 단계 (3114)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2902) 에서 그립 이벤트의 위치, 크기 및 배향에 기초하여 은닉된 영역의 윤곽을 추정하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 (2500) 의 단계 (2510) 와 함께 진행하기 전에 또는 그 이후에 단계 (3204) 에서 은닉된 영역의 추정된 윤곽에 인접하게 아이콘들을 다시 위치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는 그립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이동되는 아이콘들에 대한 선호하는 위치를, 예컨대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을 이용하여 특정할 수도 있다.
도 33 은 손가락 (200) 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이동할 때 터치 이벤트에 인접하게 아이콘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실시형태의 방법 (35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302) 에서 콘텐츠를 생성 및 디스플레이하고 그리고 단계 (3304) 에서 터치 이벤트를 검출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304) 에서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단계 (3306) 에서 그 위치의 추적을 시작할 수도 있다.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안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308) 에서 터치 이벤트가 아이콘의 임계 거리 내로 들어오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 위치가 아이콘의 임계 거리 내로 들어오지 않으면 (즉 결정 단계 (3308)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306) 으로 복귀하여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계속하여 추적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가 아이콘의 임계 거리 내로 들어오면 (즉 결정 단계 (3308) 이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310) 에서 터치 이벤트의 현재 포지션에 인접하게 아이콘을 재포지셔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들에 인접하게 접근하거나 그 위를 통과하는 연속적 터치 이벤트를 추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의 선택된 메뉴 아이콘들을 수집할 수 있다. 각각의 아이콘이 임계 거리 내로 접근됨에 따라서, 이것은 그 터치 이벤트에 부착되고 이것을 계속하여 따라다닐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손가락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동하는 것을 중지할 때까지 계속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들어올리면, 아이콘들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지연 이후에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 손가락을 임계 지속기간 동안 놓아둔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것이 그립 이벤트라고 결정하고,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처리, 예컨대 도 25 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법 (2500) 을 실행하는 것과 함께 진행할 수도 있다.
각각의 사용자는 고유의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그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하부 좌측 코너 상에 있는 엄지를 가지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그 디바이스를 그립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4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의 선호하는 그립 위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34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402) 에서, 예컨대 도 2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식별자 메뉴 상에 사용자가 클릭하는 것으로부터와 같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식별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404) 에서 사용자의 일반적인 그립 위치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출할 수도 있다. 도 29 를 참조하여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은 트레이닝 루틴을 이용하여 그들의 선호하는 위치를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간에 대해서 사용자의 그립 위치들을 평균화하여 사용자의 일반적인 그립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그립 위치를 단계 (3406) 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출하고, 그리고 선호하는 그립 위치를 단계 (3408) 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410) 에서, 예컨대 클록을 시작하고 클록이 만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선호하는 그립 위치를 미리 결정된 시간의 기간 "t" 동안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일 클록이 만료되지 않았으면 (즉, 결정 단계 (3410)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412) 에서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결정 단계 (3412)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408) 로 복귀하여 일반적인 그립 이벤트 위치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면 (즉, 결정 단계 (3412)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표시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단계 (3414) 에서 선호하는 그립 위치 표시를 디스플레이로부터 지울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클록이 만료하면 (즉, 결정 단계 (3410)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414) 에서 선호하는 그립 위치 표시를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도 35 는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를 그립하기 위한 추천된 위치를 사용자들에게 제안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3500) 을 도시한다.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단계 (3502) 에서 콘텐츠가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날 때 그것의 레이아웃을 평가하는 것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분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기 위한 추천된 위치를 단계 (3504) 에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통상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그립하는 사용자의 엄지 또는 손가락들의 크기에 기초할 수도 있는데, 이것이 디바이스의 데이터 테이블내에 저장된 프라이머 (primer) 일 수도 있다. 사용자의 통상적인 그립 이벤트와 연관된 은닉된 영역의 크기를 오버레이 (overlay) 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프리젠테이션으로의 수정들, 조절들 또는 왜곡들의 최소량을 요구할 하나 이상의 위치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중요하지 않거나 불변의 콘텐츠 (예를 들어, 법적 세밀 프린트, 로고들, 배너들, 정적 형상들 등) 의 영역들이 그 위에 존재하는 웹페이지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상에 은닉된 콘텐츠를 재포지셔닝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의 그립이 이러한 부재들 상에 포지셔닝될 수도 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은 특정한 위치들에서 사용자의 그립에 의하여 은닉될 콘텐츠의 속성 및 콘텐츠가 재포지셔닝될 수 있는 용이성을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은 텍스트가 디스플레이의 여백들 너머로 상하로 스크롤될 수 있기 때문에 재포지셔닝하기 용이한 반면에, 사진은 이미지를 왜곡하지 않고는 재포지셔닝하기 쉽지 않다. 추천된 그립 위치가 결정되기만 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504) 의 일부로서 그 위치의 윤곽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506) 에서, 예컨대 클록을 시작하고 클록이 만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추천된 그립 위치를 미리 결정된 시간의 기간 "t" 동안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일 클록이 만료되지 않았으면 (즉, 결정 단계 (3506)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508) 에서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결정 단계 (3508)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504) 로 복귀하여 추천된 그립 이벤트 위치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면 (즉, 결정 단계 (3508)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표시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단계 (3510) 에서 추천된 그립 위치 표시를 디스플레이로부터 지울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클록이 만료하면 (즉, 결정 단계 (3504)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510) 에서 추천된 그립 위치 표시를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도 36 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아닌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 부분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감지된 포지션들에 기초하여 그립 위치를 제안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는 일 실시형태의 방법 (3600) 을 도시한다. 방법 (3600) 의 단계 (3601) 에서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이외의 터치 센서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후면 표면상의 커패시턴스 센서) 탑재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아닌 디바이스의 측면, 후면, 베젤 또는 다른 부분 상의 사용자의 손가락들 및 손의 위치들을 감지할 수도 있다. 단계 (3602)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 포지션과 일치하는 제안된 엄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감지된 포지션들을 분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결정은 통상적인 사용자의 손의 해부학적 모델, 사용자 선호사항 설정들, 또는 저장된 사용자 손 치수 파라미터들에 기초할 수도 있고, 예컨대 도 29 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것과 같은 트레이닝 루틴 내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단계 (3601)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예를 들어, 중력 벡터를 감지하는 가속도계를 이용함으로써) 수직 방향을 결정하고, 그리고 디바이스의 상부로부터의 제 1 손가락 터치를 검지로 가정하고, 디바이스의 상부로부터의 제 2 손가락 터치를 중지로 가정하는 등에 의하여, 터치들의 시리즈에서의 그들의 순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단계 (360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된 제안된 엄지 위치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점선 윤곽 또는 음영된 부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606) 에서, 예컨대 클록을 시작하고 클록이 만료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제안된 엄지 위치를 미리 결정된 시간의 기간 "t" 동안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일 클록이 만료되지 않았으면 (즉, 결정 단계 (3606)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608) 에서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결정 단계 (3608)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604) 로 복귀하여 제안된 엄지 이벤트 위치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만일 그립 이벤트가 검출되면 (즉, 결정 단계 (3608)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표시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단계 (3610) 에서 제안된 엄지 위치 표시를 디스플레이로부터 지울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클록이 만료하면 (즉, 결정 단계 (3604)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610) 에서 제안된 엄지 위치 표시를 디스플레이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윤곽 및 그립 위치로부터 다중의 조절된 디스플레이 옵션들이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다중의 대안들 중 하나를 선택할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계산된 최소 지장을 주는 옵션 (least disruptive option) 이 간략하게 디스플레이되고, 하나 이상의 조절된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구성 디스플레이들이 이에 후속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예컨대 (예를 들어, 원하는 옵션의 방향을 향한) 롤링 모션에서의 손가락의 쉬프팅이 수신되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조절된 디스플레이 구성을 표시하도록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지 않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폴트 대안, 예컨대 최소 지장을 주는 것으로 계산된 대안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조절들이 계산된 지장의 순서로, 예컨대 최소 지장을 주는 것으로부터 최대 지장을 주는 것까지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는, 최소 지장을 주는 것으로 계산된 제 1 디스플레이된 대안이 사용자가 선호사항을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다수 개의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조절 옵션들을 제공하기 위한 일 예시적 실시형태의 방법 (3700) 이 도 37 에서 도시된다. 방법 (3700) 의 단계 (3702)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를 검출하고 (단계 (3704)), 그리고 터치 이벤트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단계 (3706)). 모바일 디바이스는 결정 단계 (3708) 에서 터치 이벤트가 동일한 위치에서 미리 결정된 임계 지속기간 "t" 동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그립 이벤트를 인식할 수도 있다. 만일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보다 적은 시간 기간 동안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접촉을 유지한다면 (즉, 결정 단계 (3708)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정상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단계 (3718)).
만일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보다 길게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접촉을 유지한다면 (즉, 결정 단계 (3708)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 이벤트를 그립 이벤트로서 다루고 (단계 (3710) 에서) 그립 이벤트 크기 (즉, 유리-위 접촉의 영역) 와 (단계 (3712) 에서) 그립 이벤트의 형상 및 배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3712) 에서 그립 이벤트의 배향을 결정함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접촉된 터치스크린 영역의 형상을 분석하여, 형상의 장축 및 단축들, 그 형상의 장축의 상대적인 배향, 및 선택적으로 그 형상이 비대칭인 (예를 들어, 형상에 있어서 눈물 방울 또는 타원인) 정도가 되는 각도의 측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371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 크기, 형상 및 배향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결정하여 은닉된 영역 및 은닉된 콘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3716)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및 은닉된 콘텐츠, 및 은닉된 콘텐츠의 위치 및 배향을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레이아웃 및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되는 결정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대한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 조절들의 결정 동작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들 중 임의의 것을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대안이 커버된 타일들 내의 텍스트 및 그래픽들을 인근 노출된 타일들로 재포지셔닝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고, 제 2 대안이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텍스트 콘텐츠의 경우에는 폰트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모든 디스플레이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 내에 맞도록 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으며, 제 3 대안이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왜곡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고, 제 4 대안이 텍스트가 디스플레이의 상부 및/또는 저부를 넘어 스크롤하도록 허용하는 동안 텍스트 문서 내의 여백을 조절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제 5 대안이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그대로 놔두지만, 예컨대 사용자의 엄지를 둘러싸는 깜빡이는 윤곽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은닉된 부분이 변화할 경우를 표시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고 결정할 수도 있다.
복수의 결정된 대안적인 조절들을 가지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구현함으로써, 단계 (3720) 에서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을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에 순차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단계 (3722)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시간의 소정 기간 동안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 중 선택된 조절을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스처를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대안을 선택하도록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계의 일부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인식가능한 제스처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된 대안적인 조절의 선택을 표시하도록 초대하는 프롬프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특정 방향에서의 사용자의 엄지의 롤링을 현재의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조절의 선택을 표시하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결정 단계 (3724) 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미리 정의된 일시정지 지속기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만일 사용자 입력이 미리 결정된 일시정지 지속기간이 만료되기 이전에 수신되지 않았다면 (즉, 결정 단계 (3724) 가 "아니오"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720) 로 복귀하여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 중 다음 것을 선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이 사전 결정된 일시정지 지속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수신된다면 (즉, 결정 단계 (3724) 가 "예"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726) 에서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 중 선택된 것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단계들 (3720 내지 3724) 에서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는, 사용자에게 상이한 대안적인 디스플레이 조절들 모두를 평가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하여 대안들 모두에 대해서 두 사이클들 이상을 포함하는, 소정 기간 동안 계속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입력이 복수의 대안들 모두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시간 또는 사이클들의 개수 이후에 수신되지 않으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단계 (3726) 에서 복수의 대안적인 조절들 중 디폴트인 것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디폴트 대안은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지장 또는 변화의 최소량을 수반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하여 계산되는 대안일 수도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복수의 대안 조절들 각각이 선택되는 순서는 각 대안이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왜곡하는 정도인 계산된 정도에 기초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최소 지장적 대안과 함께 시작하여 최대 지장적 대안과 함께 끝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과 함께 이용되기에 적합한 통상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들 (100) 은 공통적으로 도 38 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가질 것이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내부 메모리 (102) 및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101)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프로세서 (101) 로 커플링된 무선 데이터 링크 및/또는 셀룰러 전화기 송수신기 (105) 에 연결되며 전자기 방사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104) 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 (101) 로 하여금 중력 기울기를 감시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수평 배향 대 수직 배향을 결정하도록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 (101) 로 커플링되는 가속도계 (107)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는 또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와는 별개인 터치 센서 (108) 로서, 예컨대 터치 센서 프로세싱 회로 (109) 를 통해서 프로세서 (101) 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100) 의 케이스 상에 또는 가까이 포지셔닝되는 터치 센서 (1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108) 는 차분 커패시턴스 센서, 차분 인덕턴스 센서, 열적 센서, 압력 센서, 초음파 진동 센서, 또는 사용자의 손 및/또는 손가락들의 케이스로의 터치를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센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108) 는 모바일 디바이스 (100) 케이스의 측면들 및 후면, 그리고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110) 를 둘러싸는 베젤을 따라서 포지셔닝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프로세서 (101) 는, 본 명세서에서 셜명되는 다양한 양태들의 기능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 명령들 (애플리케이션들) 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프로그래밍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 칩 또는 칩들일 수도 있다. 몇 가지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는, 다중 프로세서들 (101), 예컨대 무선 통신 기능들 전용의 한 프로세서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 전용인 다른 프로세서가 제공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은 액세스되고 프로세서 (101) 로 로드되기 이전에 내부 메모리 (102) 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몇 가지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는, 추가적인 메모리 칩들 (예를 들어, 시큐어 데이터 (Secure Data; SD) 카드) 이 모바일 디바이스 (100) 내에 꽂히고 프로세서 (101) 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는, 내부 메모리 (102) 는 휘발성이거나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이거나, 또는 양자의 결합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하여, 메모리에 대한 통칭적 참조는, 내부 메모리 (102), 모바일 디바이스로 삽입된 착탈식 메모리, 및 프로세서 (101) 내부의 메모리 자체를 포함하여 프로세서 (101) 에 의하여 액세스가능한 모든 메모리를 지칭한다.
앞선 방법 설명들 및 프로세스 흐름도들은 오직 예시적인 예들로서만 제공되며 다양한 양태들의 단계들이 제공된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선 양태들 내의 단계들의 순서는 임의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이하", "그러면", "후속하여" 등의 단계 식별자들 및 단어들에 대한 참조들은 단계들의 순서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이러한 식별자들 및 단어들은 단순히 독자를 방법들의 설명 전체에서 인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연계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교환 가능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위에서 총괄적으로 그것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왔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느 것으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가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디자인 제약 조건들에 달려 있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는데, 하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디자인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구성 요소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써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는데, 하지만 대안적으로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몇 가지 단계들 또는 방법들은 주어진 기능에 특유한 회로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도 있는, 실행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들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니라 예를 들기 위해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적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적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적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체들의 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컴퓨터에 의하여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도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무선 기술들, 이를테면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써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도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머신 독출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독출가능 매체 상에서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통합될 수도 있다.
개시된 양태들의 앞선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생산 또는 사용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양태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이 당업자들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통칭적 개념들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양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된 양태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반대로 본 발명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이론들 및 신규한 피쳐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가 부여되어야 한다.

Claims (84)

  1.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연장된 지속기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 동안 단일 위치에서 유지되는 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그립 이벤트의 배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이들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최상의 매칭을 식별하기 위한 검색 파라미터들로서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타일들로 세그먼트화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을 상기 복수의 타일들과 상관시켜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타일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커버된 타일들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단계는,
    텍스트가 미리 정의된 최소치보다 적은 폰트 크기로 제시되지 않도록 제한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왜곡시켜서 은닉된 콘텐츠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과 함께 나타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단계는,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는,
    은닉된 영역의 근방에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3. 제 3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4. 제 3 항에 있어서,
    메뉴 아이콘들을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메뉴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로부터 떨어져서 포지셔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리콜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안된 엄지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안된 엄지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재포지셔닝 또는 왜곡을 최소량으로 하는 추천된 그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된 그립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일 지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도록 프롬프트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접촉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부분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은닉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표시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상기 디스플레이된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그립 이벤트 영역의 결정된 크기 및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영역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을 결정하고,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단계;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의 선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선택된 조절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는 방법.
  22.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연장된 지속기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및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이,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 동안 단일 위치에서 유지되는 때를 결정하는 것;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그립 이벤트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이,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 및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이,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이들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에 적용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이,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최상의 매칭을 식별하기 위한 검색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타일들로 세그먼트화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을 상기 복수의 타일들과 상관시켜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타일들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식별된 커버된 타일들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이,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것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것이,
    텍스트가 미리 정의된 최소치보다 적은 폰트 크기로 제시되지 않도록 제한되게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것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왜곡시켜서 은닉된 콘텐츠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과 함께 나타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이,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은닉된 영역의 근방에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4.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뉴 아이콘들을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메뉴 아이콘들을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포지셔닝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콜하는 것; 및
    상기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로의 사용자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상의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안된 엄지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안된 엄지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상에 포지셔닝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상의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것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4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재포지셔닝 또는 왜곡을 최소량으로 하는 추천된 그립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추천된 그립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4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
    상기 사용자에게 일 지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도록 프롬프트하는 것;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접촉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부분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하는 것;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은닉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표시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디스플레이된 상기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것; 및
    상기 메모리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그립 이벤트 영역의 결정된 크기 및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영역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42.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이,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을 결정하고,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것;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의 선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선택된 조절을 구현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43.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자가 연장된 지속기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수단;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수단; 및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수단은,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 동안 단일 위치에서 유지되는 때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그립 이벤트의 배향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수단은,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이들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에 적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7.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수단은,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최상의 매칭을 식별하기 위한 검색 파라미터들로서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타일들로 세그먼트화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을 상기 복수의 타일들과 상관시켜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타일들을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식별된 커버된 타일들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9.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수단은,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수단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수단은,
    텍스트가 미리 정의된 최소치보다 적은 폰트 크기로 제시되지 않도록,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수단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왜곡시켜서 은닉된 콘텐츠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과 함께 나타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3.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수단은,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수단은,
    은닉된 영역의 근방에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5. 제 45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6. 제 45 항에 있어서,
    메뉴 아이콘들을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7. 제 43 항에 있어서,
    메뉴 아이콘들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로부터 떨어져서 포지셔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8.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수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리콜하는 수단; 및
    상기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9.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안된 엄지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안된 엄지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수단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1. 제 43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재포지셔닝 또는 왜곡을 최소량으로 하는 추천된 그립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추천된 그립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2.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에게 일 지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도록 프롬프트하는 수단;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접촉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부분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은닉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표시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상기 디스플레이된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그립 이벤트 영역의 결정된 크기 및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영역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3.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을 결정하고,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수단;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의 선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선택된 조절을 구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64.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연장된 지속기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것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및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로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그립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이,
    터치 이벤트가 임계 지속기간 동안 단일 위치에서 유지되는 때를 결정하는 것;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 및
    상기 그립 이벤트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그립 이벤트의 배향을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이,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 및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이,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이들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에 적용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68.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이,
    상기 결정된 그립 이벤트 위치, 형상 및 배향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최상의 매칭을 식별하기 위한 검색 파라미터로서 이용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69.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 내에 제시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이,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복수의 타일들로 세그먼트화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추정된 영역을 상기 복수의 타일들과 상관시켜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커버된 타일들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식별된 커버된 타일들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0.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이,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것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2.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은닉된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에 맞추는 것이,
    텍스트가 미리 정의된 최소치보다 적은 폰트 크기로 제시되지 않도록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3.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으로 재포지셔닝하는 것이,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왜곡시켜서 은닉된 콘텐츠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노출된 부분과 함께 나타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4.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이,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변경된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것이,
    은닉된 영역의 근방에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6.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메뉴 아이콘들을 추정된 은닉된 영역에 인접하게 포지셔닝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8.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메뉴 아이콘들을 상기 그립 이벤트의 위치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포지셔닝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79.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콜하는 것; 및
    상기 일반 그립 이벤트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80.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 상에 포지셔닝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안된 엄지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제안된 엄지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외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표면상의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것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상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들의 위치들을 감지하는 것
    을 포함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82.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재포지셔닝 또는 왜곡을 최소량으로 하는 추천된 그립 위치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추천된 그립 위치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83.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
    상기 사용자에게 일 지점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도록 프롬프트하는 것;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접촉된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부분에 대응하는 그립 이벤트 영역의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하는 것;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은닉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을 추정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표시를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상기 추정된 영역의 디스플레이된 상기 표시와 관련된 사용자 피드백을 수신하는 것; 및
    상기 메모리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그립 이벤트 영역의 결정된 크기 및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영역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저장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84.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프로세서-실행가능 명령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를 조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통지하는 것이,
    상기 디스플레이 콘텐츠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을 결정하고, 상기 그립 이벤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은닉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구현하는 것;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하나의 선택을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디스플레이로의 결정된 복수의 대안적 조절들 중 선택된 조절을 구현하는 것
    을 포함하도록 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비-일시적 프로세서-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05941A 2010-08-08 2011-08-05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433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52,516 2010-08-08
US12/852,516 US8593418B2 (en) 2010-08-08 2010-08-08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content
PCT/US2011/046842 WO2012021417A1 (en) 2010-08-08 2011-08-05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display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971A true KR20130050971A (ko) 2013-05-16
KR101433546B1 KR101433546B1 (ko) 2014-09-22

Family

ID=4453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941A KR101433546B1 (ko) 2010-08-08 2011-08-05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93418B2 (ko)
EP (1) EP2601569A1 (ko)
JP (1) JP5788513B2 (ko)
KR (1) KR101433546B1 (ko)
CN (1) CN103052937B (ko)
IN (1) IN2013CN00218A (ko)
WO (1) WO20120214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180B1 (ko) * 2013-08-20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WO2017082589A1 (ko) * 2015-11-09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9423995B2 (en) * 2007-05-23 2016-08-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an active area of a flexible display
US10585493B2 (en) 2008-12-12 2020-03-10 Apple Inc.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US8531410B2 (en) * 2009-08-18 2013-09-10 Fuji Xerox Co., Ltd. Finger occlusion avoidance on touch display devices
JP5752708B2 (ja) * 2010-01-11 2015-07-2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テキスト処理及び表示
US8519971B1 (en) * 2010-08-30 2013-08-27 Amazon Technologies, Inc. Rendering content around obscuring objects
US8531417B2 (en) * 2010-09-02 2013-09-10 Blackberry Limited Location of a touch-sensit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2048380A1 (en) * 2010-10-14 2012-04-19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Virtual keyboard
US9423878B2 (en) 2011-01-06 2016-08-2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465440B2 (en) * 2011-01-06 2016-10-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766718B2 (en) 2011-02-28 2017-09-1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US9477311B2 (en) 2011-01-06 2016-10-2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015641B2 (en) 2011-01-06 2015-04-2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isual notification of a received communication
US9471145B2 (en) 2011-01-06 2016-10-1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JP5197777B2 (ja) * 2011-02-01 2013-05-15 株式会社東芝 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51494B2 (ja) 2011-02-09 2015-01-1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9223446B2 (en) * 2011-02-28 2015-12-29 Nokia Technologies Oy Touch-sensitive surface
US9213421B2 (en) 2011-02-28 2015-12-1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detecting a gesture
JP5703873B2 (ja) * 2011-03-17 2015-04-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98122B2 (en) * 2011-05-12 2018-02-2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Touch-scre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ignoring false touch inputs near an edge of the touch-screen device
US8972295B2 (en) * 2011-05-23 2015-03-03 Visible Market, Inc. Dynamic visual statistical data display and method for limited display device
US9281010B2 (en) * 2011-05-31 2016-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meline-based cont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dynamic distortion of timeline ba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deo and audio clips using the same
JP5880916B2 (ja) * 2011-06-03 2016-03-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02565A1 (en) * 2011-06-28 2013-01-03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portable device orientation and user posture via touch sensors
JP5325943B2 (ja) * 2011-07-12 2013-10-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99628B2 (ja) * 2011-07-15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33433A1 (en) * 2011-08-02 2013-02-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ouch screen having adaptive input requirements
US9417754B2 (en) *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WO2013035229A1 (ja) * 2011-09-05 2013-03-14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12670B2 (en) 2011-09-12 2017-04-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licit touch selection and cursor placement
US9785251B2 (en) 2011-09-14 2017-10-10 Apple Inc. Actuation lock for a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WO2013080444A1 (ja) * 2011-11-29 2013-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8581870B2 (en) 2011-12-06 2013-11-12 Apple Inc.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US9519419B2 (en) * 2012-01-17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kinnable touch device grip patterns
US20130300668A1 (en) * 2012-01-17 2013-11-14 Microsoft Corporation Grip-Based Device Adaptations
US9619038B2 (en) 2012-01-23 2017-04-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cover image and an application image from a low power condition
US9058168B2 (en) 2012-01-23 2015-06-1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S8436828B1 (en) * 2012-01-27 2013-05-07 Google Inc. Smart touchscreen key activation detection
KR101849720B1 (ko) * 2012-03-21 2018-05-31 김시환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563676B2 (ja) * 2012-03-27 2014-07-30 株式会社Nttドコモ 携帯端末、端末表示方法、及び端末表示プログラム
US20130265235A1 (en) * 2012-04-10 2013-10-10 Google Inc. Floating navigational controls in a tablet computer
US20130278603A1 (en) * 2012-04-20 2013-10-24 Tuming You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istorting An Image On A Touch Screen
CN103379211A (zh) * 2012-04-23 2013-10-3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自动切换手持模式的方法及无线手持设备
US9116567B2 (en) * 2012-04-25 2015-08-2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he display of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DE202013012233U1 (de) 2012-05-09 2016-01-18 Apple Inc. Vorrichtung und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m Anzeigen zusätzlicher Informationen in Antwort auf einen Benutzerkontakt
DE112013002387T5 (de) 2012-05-09 2015-02-12 Apple Inc.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oberfläche für die Bereitstellung taktiler Rückkopplung für Operationen i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WO201316988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US9165128B1 (en) * 2012-05-10 2015-10-20 Isaac S. Daniel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content from public display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3175250A1 (en) * 2012-05-22 2013-11-28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 positioning of user interface element
JP5987474B2 (ja) * 2012-05-25 2016-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876152B2 (ja) * 2012-06-15 2016-03-02 京セラ株式会社 端末装置
KR101977075B1 (ko) * 2012-07-2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 화면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선택방법
GB2504490A (en) * 2012-07-30 2014-02-05 Ibm Shortening a name for display
US9223423B2 (en) 2012-07-30 2015-12-29 Facebook, Inc. Touch gesture offset
KR20140021893A (ko) * 2012-08-13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영역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720586B2 (en) * 2012-08-21 2017-08-01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r interaction with content within a digital bezel
KR101892959B1 (ko) * 2012-08-22 201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JP5798532B2 (ja) * 2012-08-23 2015-10-21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47008B2 (en) 2012-08-24 2015-06-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ation of the digit being used by a user to provide input
US9122328B2 (en) 2012-09-28 2015-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and handling unintentional touching of a touch screen
CN103415835B (zh) * 2012-10-08 2016-08-0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屏装置用户界面的处理方法及触屏装置
KR102083981B1 (ko) * 2012-11-07 2020-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40137038A1 (en) * 2012-11-10 2014-05-15 Seungman KI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a user input menu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US10503359B2 (en) * 2012-11-15 2019-12-10 Quantum Interface, Llc Selection attractive interfaces, systems and apparatuses including such interfaces,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WO2014078706A1 (en) * 2012-11-16 2014-05-22 Loopwirez, Inc. Ergonomic thumb interface for mobile phone, smart phone, or tablet
CN104798358B (zh) * 2012-11-20 2017-08-29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式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JP2014106849A (ja) * 2012-11-29 2014-06-09 Toshiba Corp 電子機器、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表示処理方法
DE102012023529A1 (de) * 2012-11-30 2014-06-18 Unify Gmbh & Co. Kg Tragbares Display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JP2014127124A (ja) * 2012-12-27 2014-07-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8947B2 (ja) 2012-12-29 2017-07-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入力からディスプレイ出力への関係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2301592B1 (ko) 2012-12-29 2021-09-10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AU2013368441B2 (en) 2012-12-29 2016-04-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WO2014105277A2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KR102044826B1 (ko) * 2013-01-02 2019-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10025494B2 (en) * 2013-01-16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aptive edge-to-edge display system for multi-touch devices
WO2014112419A1 (ja) * 2013-01-16 2014-07-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121523A1 (en) * 2013-02-08 2014-08-14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interface elements on a touch-screen device
US10394434B2 (en) * 2013-02-22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proximity motion using sensors
US9003333B2 (en) 2013-03-04 2015-04-07 Zynga Inc. Sequential selection of multiple objects
CN104049933B (zh) * 2013-03-11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40282652A1 (en) 2013-03-12 2014-09-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dvertisement Tracking
US20140282269A1 (en) * 2013-03-13 2014-09-18 Amazon Technologies, Inc. Non-occluded display for hover interactions
US9690476B2 (en) 2013-03-14 2017-06-27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TWI482064B (zh) * 2013-03-25 2015-04-21 Wistron Corp 可攜式裝置與操作方法
CN105074625B (zh) * 2013-04-02 2018-09-21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20140298267A1 (en) * 2013-04-02 2014-10-02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on of list items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507495B2 (en) 2013-04-03 2016-11-2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389718B1 (en) * 2013-04-04 2016-07-12 Amazon Technologies, Inc. Thumb touch interface
CN103353826B (zh) * 2013-04-16 2017-05-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US20140320420A1 (en) * 2013-04-25 2014-10-3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based on touch operations
JP6297787B2 (ja) * 2013-04-25 2018-03-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FR3006467A1 (fr) * 2013-05-28 2014-12-05 France Telecom Procede de modification dynamique d'interface
US9477331B2 (en) 2013-06-07 2016-10-25 Apple Inc. Touch detection at bezel edge
KR20160020442A (ko) * 2013-06-19 2016-02-23 톰슨 라이센싱 스크린 홀드와 스크린 터치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205927B2 (ja) * 2013-07-12 2017-10-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憶媒体
US20150015495A1 (en) * 2013-07-12 2015-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mobile display geometry to accommodate grip occlusion
DE102013011689A1 (de) * 2013-07-12 2015-01-15 e.solution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von Berührungssignalen eines Touchscreens
CN104346119B (zh) * 2013-08-09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的方法和电子设备
US9823824B2 (en) * 2013-08-19 2017-11-21 Kodak Alaris Inc. Context sensitive adaptable user interface
CN103400568B (zh) * 2013-08-21 2016-09-28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屏幕亮度的控制方法及终端
US9483628B2 (en) * 2013-08-29 2016-11-01 Payp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ltering settings or performing an action by a user device based on detecting or authenticating a user of the user device
US20150062206A1 (en) * 2013-08-30 2015-03-05 Lenovo (Singapore) Pte, Ltd. Adjusting a display based on a brace of a computing device
JP6196101B2 (ja) * 2013-09-02 2017-09-13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224234A1 (en) * 2013-09-11 2016-08-04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Scientific (Shenzhen) Co., Ltd. Display method for touchscreen and terminal
CN104461312A (zh) * 2013-09-17 2015-03-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3053008B1 (en) * 2013-10-01 2019-12-25 Quantum Interface, Llc Selection attractive interfaces and systems including such interfaces
JP5954502B2 (ja) * 2013-10-08 2016-07-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38516B1 (ko) 2013-10-1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602112B (zh) 2013-10-16 2017-10-11 宏碁股份有限公司 觸控方法及電子裝置
JP6079895B2 (ja) * 2013-10-25 2017-0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タッチ式入力装置
KR102297287B1 (ko) 2013-11-15 2021-09-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데이터 처리 장치
KR20150056726A (ko) * 2013-11-15 2015-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의 기능을 표시 및 실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5186B1 (ko) * 2013-11-22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2286436A (zh) 2013-11-29 2021-01-29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数据处理装置的驱动方法
CN104699393B (zh) * 2013-12-09 2018-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3645833B (zh) * 2013-12-27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262012B2 (en) * 2014-01-03 2016-02-16 Microsoft Corporation Hover angle
CN104765446A (zh) * 2014-01-07 2015-07-08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和控制电子设备的方法
CN104793853B (zh) * 2014-01-17 2018-02-09 宏碁股份有限公司 使用者界面的操作方法与电子装置
US9509822B2 (en) 2014-02-17 2016-11-29 Seungman KI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in mobile device
US20150253894A1 (en) * 2014-03-10 2015-09-10 Blackberry Limited Activ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a capacitive keyboard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US9239648B2 (en) * 2014-03-17 2016-01-19 Google Inc. Determining user handedness and orientation using a touchscreen device
US9436295B2 (en) * 2014-03-28 2016-09-06 Intel Corporation Alternate dynamic keyboard for convertible tablet computers
US10474345B2 (en) * 2014-04-04 2019-11-12 Shawn SHEY User interface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ontent
US20150317482A1 (en) * 2014-04-30 2015-11-05 Mocana Corporation Preventing visual observation of content on a mobile device by hiding content
CN105094651A (zh) * 2014-05-04 2015-11-25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设备
KR102190062B1 (ko) * 2014-06-02 2020-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2934B1 (ko) * 2014-06-25 2016-05-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CN105242835A (zh) * 2014-06-30 2016-01-13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一种基于触控技术的菜单选择方法及装置
US20160004384A1 (en) * 2014-07-03 2016-01-07 Hisashi Sato Method of universal multi-touch input
CN104156166B (zh) * 2014-07-21 2017-12-0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操作控件布局调整方法及装置
CN105446464B (zh) * 2014-07-29 2019-11-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149825B2 (ja) * 2014-08-22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CN104252292B (zh) * 2014-08-29 2020-01-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移动终端
JP6390277B2 (ja) * 2014-09-02 2018-09-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55143B1 (ko) * 2014-09-02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360809B (zh) * 2014-10-10 2017-08-11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05630365A (zh) * 2014-10-29 2016-06-0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网页调整方法及系统
US10013394B2 (en) * 2014-11-07 2018-07-03 Rakuten Kobo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arginating display content
US9898450B2 (en) * 2014-11-07 2018-02-20 Rakuten Kobo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agination of display content
CN104317523A (zh) * 2014-11-14 2015-01-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输入装置及方法
CN105786373B (zh) * 2014-12-24 2019-10-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控轨迹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9901770B (zh) 2014-12-30 2022-10-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图形用户界面的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9921740B2 (en) * 2015-02-13 2018-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content alignment in touch screen device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898126B2 (en) * 2015-03-31 2018-02-20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User defined active zones for touch screen displays on hand held device
US20160291747A1 (en) * 2015-03-31 2016-10-06 Prysm,Inc Asset positioning on large touch-screen displays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CN104808949B (zh) * 2015-05-20 2018-11-20 珠海市魅族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页面调整方法及移动终端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4966061B (zh) * 2015-06-16 2018-07-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掌纹识别方法及装置、智能安全门
US10229657B2 (en) * 2015-06-17 2019-03-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ngerprint directed screen orientation
KR20160149603A (ko) * 2015-06-18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노티피케이션 처리 방법
CN106293444B (zh) * 2015-06-25 2020-07-0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显示控制方法及装置
JP6696737B2 (ja) 2015-06-26 2020-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6325726B (zh) * 2015-06-30 2019-12-1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互动方法
CN104991649B (zh) * 2015-07-21 2019-01-1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排版方法及装置
US9965445B2 (en) * 2015-08-06 2018-05-08 FiftyThre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based formatting
CN105068608B (zh) * 2015-08-10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CN105117156B (zh) * 2015-08-10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35035B2 (en) *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GB2552090B (en) 2017-06-29 2021-06-16 Inodyn Newmedia Gmbh Front-facing camera and maximized display screen of a mobile device
US20170097804A1 (en) * 2015-10-02 2017-04-06 Fred Collopy Visual music color control system
US10643067B2 (en) * 2015-10-19 2020-05-05 Myscript System and method of handwriting recognition in diagrams
CN105426046B (zh) * 2015-11-13 2018-07-20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功能窗口的展示方法和装置
CN105278910B (zh) * 2015-11-24 2019-07-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WO2017107086A1 (en) * 2015-12-23 2017-06-29 Intel Corporation Touch gesture detection assessment
US20170185287A1 (en) * 2015-12-23 2017-06-29 Nuance Communications, Inc. Adapting a virtual keyboard in the presence of static contact events
JP2017117239A (ja) * 2015-12-24 2017-06-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5630397B (zh) * 2016-02-17 2019-01-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弹出框的打开方法及终端设备
CN105786252B (zh) * 2016-02-29 2019-02-12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触控装置表面触控类型的确定方法及系统
CN107219993A (zh) * 2016-03-21 2017-09-29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电子装置
US20170300205A1 (en) * 2016-04-15 2017-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ally positioned controls
US10061298B2 (en) 2016-04-27 2018-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of machinery with calibrated performance model
US10719232B2 (en) * 2016-06-08 2020-07-21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virtual buttons in a handheld device
CN107589881A (zh) * 2016-07-06 2018-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调用桌面布局的方法和装置
US11099731B1 (en) * 2016-08-02 2021-08-24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content management using a gesture sensitive element
CN106506797B (zh) * 2016-09-13 2019-07-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自适应显示装置及方法
US20180088786A1 (en) * 2016-09-23 2018-03-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touch mapping
US20180181245A1 (en) * 2016-09-23 2018-06-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pacitive touch mapping
JP2018054971A (ja) * 2016-09-30 2018-04-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端末、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289300B2 (en) * 2016-12-28 2019-05-14 Amazon Technologies, Inc. Feedback animation for touch-based interactions
US10409480B2 (en) 2016-12-28 2019-09-10 Amazon Technologies, Inc. Interruption and resumption of feedback animation for touch-based interactions
US10521854B1 (en) 2017-01-04 2019-12-31 Amazon Technologies, Inc. Selection and display of custom user interface controls
US10922743B1 (en) 2017-01-04 2021-02-16 Amazon Technologies, Inc. Adaptive performance of actions associated with custom user interface controls
JP6809258B2 (ja) * 2017-02-02 2021-01-0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条件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635291B2 (en) * 2017-02-20 2020-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 and pen interaction on a mobile device
CN109643216A (zh) * 2017-03-13 2019-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标显示方法和终端设备
US10318071B2 (en) * 2017-03-23 2019-06-1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lob angle orientation recognition in a touch device
US10013081B1 (en) 2017-04-04 2018-07-03 Google Llc Electronic circuit and method to account for strain gauge variation
US10514797B2 (en) 2017-04-18 2019-12-24 Google Llc Force-sensitive user input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635255B2 (en) * 2017-04-18 2020-04-28 Google Llc Electronic device response to force-sensitive interface
CN109040413A (zh) * 2017-06-12 2018-12-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的显示方法、装置和系统
JP7073670B2 (ja) * 2017-10-27 2022-05-2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JP6616379B2 (ja) * 2017-10-30 2019-12-04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7729298A (zh) * 2017-10-31 2018-02-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屏幕遮挡区域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907034S1 (en) 2017-11-03 2021-01-05 Inodyn Newmedia Gmbh Mobile electronic device
USD898023S1 (en) 2017-11-03 2020-10-06 Inodyn Newmedia Gmbh Mobile electronic device
US11194463B2 (en) 2017-11-08 2021-12-07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offset content
WO2019091042A1 (zh) * 2017-11-13 2019-05-16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文字重排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07861935A (zh) * 2017-11-13 2018-03-30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躲避手指按压位置的文字重排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07908338B (zh) * 2017-11-13 2018-11-20 掌阅科技股份有限公司 躲避手指按压位置的文字重排方法、终端及介质
CN108196754B (zh) * 2018-01-29 2020-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对象的方法、终端及服务器
US20190243536A1 (en) * 2018-02-05 2019-08-08 Alkymia Method for interacting with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u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JP2018085142A (ja) * 2018-02-07 2018-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持ち手判定機能付き携帯端末
CN108512997B (zh) * 2018-03-02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CN108600500B (zh) * 2018-03-02 2021-05-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D914003S1 (en) 2018-04-16 2021-03-23 Inodyn Newmedia Gmbh Smartphone
USD913266S1 (en) 2018-04-16 2021-03-16 Inodyn Newmedia Gmbh Smartphone
USD913267S1 (en) 2018-04-16 2021-03-16 Inodyn Newmedia Gmbh Smartphone
USD911321S1 (en) 2018-04-16 2021-02-23 Inodyn Newmedia Gmbh Smartphone
US10607375B2 (en) 2018-06-03 2020-03-31 Apple Inc. Encoding techniques
CN109164950B (zh) * 2018-07-04 2020-07-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系统界面设置方法、装置、介质和设备
KR102518362B1 (ko) 2018-10-23 2023-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객체 표시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CN109542381A (zh) * 2018-11-26 2019-03-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付款码显示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113410A1 (zh) * 2018-12-04 2020-06-1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调节方法、电子显示装置和书写显示系统
CN109550247B (zh) * 2019-01-09 2022-04-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中虚拟场景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023033B2 (en) * 2019-01-09 2021-06-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ng a display of interface elements on a touch-based device to improve visibility
CN109889630B (zh) * 2019-01-11 2022-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装置
US11487425B2 (en) * 2019-01-17 2022-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hand wide-screen smart device management
JP2022051971A (ja) * 2019-02-05 2022-04-0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007816B (zh) * 2019-02-26 2022-03-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区域确定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00296316A1 (en) * 2019-03-11 2020-09-17 Quibi Holdings, LLC Media content presentation
US20200310587A1 (en) * 2019-03-26 2020-10-01 Shenzhen Fugui Precision Ind. Co., Ltd. Touch-input computing device with optimized touch operation and method thereof
JP2019197555A (ja) * 2019-06-14 2019-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持ち手判定機能付き携帯端末
CN114008856A (zh) * 2019-06-25 2022-02-01 谷歌有限责任公司 计算装置中的人体和手势感测
JP7279622B2 (ja) * 2019-11-22 2023-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CN111078072B (zh) * 2019-12-13 2022-09-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54016B2 (en) * 2020-01-09 2022-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user interface pagination operation
US11310877B2 (en) 2020-02-21 2022-04-19 Logitech Europe S.A. System and method for function-based lighting output schemas for peripheral devices
US11307674B2 (en) * 2020-02-21 2022-04-19 Logitech Europe S.A. Display adaptation on a peripheral device
US11175751B2 (en) 2020-02-21 2021-11-16 Logitech Europe S.A. Multi-peripheral position-based synchronous lighting
JP2021170184A (ja) * 2020-04-14 2021-10-28 株式会社東芝 端末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251525A1 (ko) 2020-06-11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513604B2 (en) * 2020-06-17 2022-11-29 Motorola Mobility Llc Selectable response options displayed based-on device grip position
US11595511B2 (en) 2020-07-30 2023-02-28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grip suppression within curved display edges
US11543860B2 (en) 2020-07-30 2023-01-03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grip suppression tuning
US11508276B2 (en) 2020-09-18 2022-11-22 Motorola Mobility Llc Adaptive user interface display size for curved display edges
CN112987930A (zh) * 2021-03-17 2021-06-18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和大尺寸电子产品便捷交互的方法
US11847293B2 (en) * 2021-08-05 2023-12-19 Rolland & Hamann Innovations, LLC Selectable input alterations
CN113741760A (zh) * 2021-08-19 2021-12-03 江苏欧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黑板菜单栏控制处理方法和装置
US11726734B2 (en) 2022-01-13 2023-08-15 Motorola Mobility Llc Configuring an external presentation device based on an impairment of a user
US11822941B2 (en) * 2023-08-28 2023-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projected visualization inte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2858B2 (ja) * 1991-05-17 1995-08-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図形利用者インターフェースを介し縦横方向移動操作により表示窓掩蔽部を選択的に露出する方法及び装置
US9513744B2 (en) * 1994-08-15 2016-12-06 Apple Inc. Control systems employing novel physical controls and touch screens
JPH1115817A (ja) * 1997-06-24 1999-01-22 Sharp Corp 情報表示装置
JP3258261B2 (ja) * 1997-08-25 2002-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制御装置
JPH11327788A (ja) 1998-05-20 1999-11-30 Kenwood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US6441824B2 (en) * 1999-01-25 2002-08-27 Datarover Mobil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text resizing
WO2000075766A1 (en) * 1999-06-02 2000-12-14 Ncr International, Inc. Self-service terminal
JP2002157082A (ja) * 2000-11-17 2002-05-31 Ergo Soft Corp かな文字入力方法、記録媒体及びかな文字入力装置
US7240284B2 (en) * 2001-02-15 2007-07-03 Denny Jaeger Method for formatting text by hand drawn inputs
US7254787B2 (en) * 2001-02-15 2007-08-07 Denny Jaeger Method for formatting text by hand drawn inputs
US9213443B2 (en) * 2009-02-15 2015-12-15 Neonode Inc.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reflected light
US20100238139A1 (en) * 2009-02-15 2010-09-23 Neonode Inc. Optical touch screen systems using wide light beams
JP2003216302A (ja) * 2002-01-25 2003-07-31 Funai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装置を備えたデジタル/アナログtv録画装置
DE10207185A1 (de) * 2002-02-21 2003-09-04 Kid Systeme Gmbh Verfahren zur Selektion und Darstellung von Objekten in der Ebene und im N-dimensionierten Raum
JP3852368B2 (ja) 2002-05-16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US7656393B2 (en)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AU2003288667A1 (en) * 2003-01-14 2004-08-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arranging views on a computer screen
WO2004109494A1 (en) * 2003-06-05 2004-12-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oftware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maining behind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display to the user of a data processing device
BRPI0508822A (pt) * 2004-03-18 2007-08-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parelho mostrador de varredura, e, método para operar o mesmo
KR101128572B1 (ko) 2004-07-30 2012-04-23 애플 인크. 터치 감지 입력 장치용 제스처
JP4351599B2 (ja) * 2004-09-03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US20070097096A1 (en) * 2006-03-25 2007-05-03 Outland Research, Llc Bimodal user interface paradigm for touch screen devices
JP2009158989A (ja) * 2006-04-06 2009-07-16 Nikon Corp カメラ
US7877707B2 (en) * 2007-01-06 2011-01-25 Apple Inc. Detecting and interpreting real-world and security gestures on touch and hover sensitive devices
JP4876982B2 (ja) * 2007-03-07 2012-02-15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情報機器
KR20080084157A (ko) * 2007-03-15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휴대단말기
KR20090047828A (ko) 2007-11-08 200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KR101352994B1 (ko) * 2007-12-10 2014-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응형 온 스크린 키보드 제공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US20090174679A1 (en)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KR101499546B1 (ko) * 2008-01-1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KR101061512B1 (ko) * 2008-07-25 2011-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키패드 설정 방법
US20100053215A1 (en) * 2008-08-27 2010-03-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on and application of patterns to diagram elements
EP3654141A1 (en) * 2008-10-06 2020-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US9323410B2 (en) * 2008-10-13 2016-04-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User input displays for mobile devices
US8508475B2 (en) * 2008-10-24 2013-08-13 Microsoft Corporation User interface elements positioned for display
KR20100050103A (ko) * 2008-11-05 2010-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맵 상에서의 3차원 개체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8368658B2 (en) * 2008-12-02 2013-02-05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soft key adaptation with left-right hand edge sensing
JP2010154090A (ja) * 2008-12-24 2010-07-08 Toshiba Corp 携帯端末
US20100229129A1 (en) * 2009-03-04 2010-09-09 Microsoft Corporation Creating organizational container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B2468891A (en) * 2009-03-26 2010-09-29 Nec Corp Varying an image on a touch screen in response to the size of a point of contact made by a user
US9213477B2 (en) * 2009-04-07 2015-12-15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ic devices part II
KR20100118366A (ko) * 2009-04-28 201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5218293B2 (ja) * 2009-06-22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28560A (ja) * 2009-07-27 2011-02-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CN101661373B (zh) * 2009-09-29 2013-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接触面型进行识别解锁的方法及装置
US9542097B2 (en) * 2010-01-13 2017-01-10 Lenovo (Singapore) Pte. Ltd. Virtual touchpad for a touch device
US20110202835A1 (en) * 2010-02-13 2011-08-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tem selection method for touch screen devices
US20120032891A1 (en) * 2010-08-03 2012-02-09 Nima Parivar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Enhanced Touch Targe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180B1 (ko) * 2013-08-20 2015-03-20 주식회사 케이티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WO2017082589A1 (ko) * 2015-11-09 201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2937A (zh) 2013-04-17
JP2013538397A (ja) 2013-10-10
EP2601569A1 (en) 2013-06-12
WO2012021417A1 (en) 2012-02-16
US20120032979A1 (en) 2012-02-09
CN103052937B (zh) 2016-03-23
KR101433546B1 (ko) 2014-09-22
JP5788513B2 (ja) 2015-09-30
IN2013CN00218A (ko) 2015-07-03
US8593418B2 (en)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546B1 (ko)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19100A1 (en) User interfaces simulated depth effects
US98518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d moving a user interface for single handed use on an endpoint device
US20200285379A1 (en) System for gaze interaction
US10394320B2 (en) System for gaze interaction
US97205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r interaction with content within a digital bezel
EP27574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aptive edge-to-edge display system for multi-touch devices
EP259254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ading using a terminal
KR101919009B1 (ko) 안구 동작에 의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50090840A (ko) 디스플레이 화면의 영역을 보호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40063500A (ko) 오프-스크린 가시 객체들의 표면화
US10514842B2 (en) Input techniques for virtual reality headset devices with front touch screens
CN103576853A (zh) 用于提供内容的方法和显示装置
JP7076000B2 (ja) スクロール及び選択の高速化
US201400594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bezel without occluding interactive content
EP28164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00341610A1 (en) Presenting user interfaces that update in response to detection of a hovering object
WO2018156912A1 (en) System for gaze interaction
US20130044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o-tap zone for touch screen displays
CN109496335A (zh) 用于缩放功能的用户界面和方法
KR20160035865A (ko)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599326B2 (en) Eye motion and touchscreen gestures
US9886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in touchscreen-based devices
US20170285899A1 (en)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230259265A1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and inputting or revis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