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180B1 -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180B1
KR101504180B1 KR1020130098247A KR20130098247A KR101504180B1 KR 101504180 B1 KR101504180 B1 KR 101504180B1 KR 1020130098247 A KR1020130098247 A KR 1020130098247A KR 20130098247 A KR20130098247 A KR 20130098247A KR 101504180 B1 KR101504180 B1 KR 101504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valid
unit
area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207A (ko
Inventor
김윤현
김수연
양범석
윤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98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1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를 위한 터치를 무효화하고 그 이후의 터치에 대해서만 유효 입력으로서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디바이스는 전면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전면 터치인식부 및 후면 터치센서 어레이를 통해 후면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후면 터치인식부, 상기 후면 터치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후면 터치 지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무효영역 산출부 및 전면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무효터치 판단부, 무효터치로 판단된 전면 터치스크린 터치를 무효화 처리하는 터치 무효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터치 디바이스에 의하면, 후면의 터치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무효영역 내에 포함되는 전면 터치가 있는 경우, 이를 무효화 처리함으로써,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파지하여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함은 물론 그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터치 입력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TOUCH DEVICE AND TOUCH INPUT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파지를 위한 터치를 무효화하고 그 이후의 터치에 대해서만 유효 입력으로서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전자책(E-book) 등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을 받는 터치 디바이스들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들을 사용할 때는 보통 한손으로 파지한 채로 손가락이나 터치용 전용펜을 이용하여 입력을 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디바이스의 경우 양 측면을 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나 태블릿 PC나 전자책, 또는 대화면 스마트폰의 경우 한 손으로 디바이스의 양 측면을 파지하여 사용하기는 용이하지 않다.
이 경우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 디바이스 전면부의 베젤(bezel) 부분을, 나머지 손가락 중 적어도 하나로 터치 디바이스 후면부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터치 디바이스 전면부의 베젤 부분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에 있어 이 역시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얇은 베젤 부분을 파지한 엄지 손가락에 디바이스 하중이 집중되어 안정적인 파지가 어렵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엄지 손가락으로 베젤 부분 대신 터치 디바이스 전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파지하게 되면 좀더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나, 터치 디바이스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은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영역이어서 파지를 위한 터치가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되어 의도하지 않은 처리가 일어나거나, 터치스크린 영역을 계속 파지하고 있게 되면 다른 터치스크린 영역을 터치하더라도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인식되지 않아 디바이스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지를 위한 터치를 무효화하고 그 이후의 터치에 대해서만 유효 입력으로서 처리하는 기능을 가진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후면 터치 인식이 가능한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은, a-1)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a-2) 상기 인식된 후면 터치 지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a-3) 전면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a-4) 상기 인식된 전면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a-5) 상기 판단 결과 무효 터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면 터치를 무효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a-1 단계에서 후면에 복수의 터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a-2 단계는, b-1) 상기 복수의 터치 지점 중 가장 거리가 먼 두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두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도출하는 단계; b-2) 상기 정삼각형의 세 꼭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원을 도출하는 단계; b-3) 상기 터치 디바이스 전면의 터치스크린 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의 원 내에 포함되는 영역을 상기 무효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a-1 단계에서 후면에 한 점의 터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a-2 단계는, c-1) 상기 한 점을 중심으로 하면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원을 도출하는 단계; c-2) 상기 터치 디바이스 전면의 터치스크린 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의 원 내에 포함되는 영역을 상기 무효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반지름은 미리 결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된 전면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a-4 단계는, 상기 전면 터치가 상기 산출된 무효 영역 내의 터치인 경우 무효 터치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나아가 무효 영역 내의 터치라고 하더라도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 터치를 무효 터치로 판단하고,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효 터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면 터치를 무효화 처리한 후 후면 또는 전면에 대한 파지 중 어느 하나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무효화 처리를 리셋하고 상기 a-1 내지 a-5 단계를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인식부, 판단부 및 입력처리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인식부는 전면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전면 터치인식부 및 후면 터치센서 어레이를 통해 후면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후면 터치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후면 터치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후면 터치 지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무효영역 산출부 및 전면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무효터치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처리부는 무효터치로 판단된 전면 터치를 무효화 처리하는 터치 무효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효영역 산출부, 무효터치 판단부 및 터치 무효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터치 무효화 기능 활성화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에 따르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대한 터치가 입력을 위한 유효 터치인지를 판단하여 유효 터치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무효화 처리함으로써, 대화면 또는 베젤 부분이 얇은 터치 디바이스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을 파지하고 있더라도, 터치스크린의 다른 영역에 대한 터치를 입력을 위한 유효 터치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처리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후면을 사용자가 왼손의 일부 손가락으로 파지한 모습을 전면 방향에서 투영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비투영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후면을 사용자가 왼손의 한 손가락으로 파지한 모습을 전면 방향에서 투영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전면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전면에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영역이 구비되며 후면에는 디바이스의 어느 부분이 파지 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터치센서 어레이가 배치된다. 터치센서 어레이로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통상 사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이나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외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 후면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조나 방식의 터치센서 어레이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을 위한 전면 터치스크린과는 달리 파지를 위한 후면 터치는 통상 디바이스의 특정 부분으로 국한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후면의 터치센서 어레이는 후면 전 영역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파지가 예상되는 일 부분에만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터치센서 어레이 구현 기술 자체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쉽게 이해하여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도면을 이용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기능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터치인식부(110), 판단부(120) 및 입력처리부(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인식부(110)는 전면 또는 후면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의 터치를 인식하는 전면 터치인식부(111) 및 후면의 터치센서 어레이 영역의 터치를 인식하는 후면 터치인식부(112)를 포함한다.
판단부(120)는 터치인식부(110)에서 인식된 터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력을 위한 유효한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구성으로서, 무효영역 산출부(121) 및 유효터치 판단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효영역 산출부(121)는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 중에서 입력을 위한 터치가 아닌 파지를 위한 터치로 판단할 수 있는 영역인 무효영역의 범위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며, 무효터치 판단부(122)는 예를 들어 무효영역 산출부(121)에서 산출된 무효영역 내의 터치인지를 판단하여 터치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입력처리부(130)는 판단부(120)에서 판단된 터치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터치 무효화부(131) 및 유효터치 처리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 무효화부(131)는 무효 터치로 판단된 경우 해당 터치 지점의 터치를 무효화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며, 유효터치 처리부(132)는 입력을 위한 유효 터치로 판단된 경우 이를 정상적인 입력신호로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도 1에서는 판단부(120)와 입력처리부(130)를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가령 입력처리부(130)가 판단부(120)의 기능까지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를 파지하게 되면 터치 인식부(110) 중 후면 터치인식부(112)는 후면 터치센서 어레이를 이용하여 후면 터치 지점을 인식하고 그 데이터를 판단부(120)로 전송한다(S210). 판단부(120)의 무효영역 산출부(121)에서는 전송된 후면 터치 지점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면의 파지 영역 범위를 예측함으로써 무효 영역을 산출한다(S220). 또한 전면 터치인식부(111)에서는 전면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 지점을 인식하여 판단부(120)로 전송하고(S230), 판단부(120)에서는 산출된 무효 영역 및 전송된 전면 터치 지점을 바탕으로 상기 전면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무효 영역 내의 최초의 전면 터치인 경우 무효 터치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S230 단계에서 인식한 전면 터치가 S240 단계에서 무효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를 입력을 위한 터치가 아닌 파지를 위한 터치로 판단하여 입력처리부에서는 해당 터치 지점을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무효화 처리한다(S250). 이렇게 무효화 처리를 하게 되면 비록 파지를 위해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지속적으로 물리적인 터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의 터치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유효 터치로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240 단계에서 무효 터치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를 입력을 위한 터치로 판단하여 입력처리부에서는 정상적인 유효 터치로서 처리하게 된다(S260).
도 2의 S220 단계에서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사용자가 터치 디바이스의 후면을 두 지점 이상 파지하는 경우에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은 터치 디바이스의 후면을 사용자가 왼손의 둘 이상의 손가락으로 파지한 모습을 전면 방향에서 투영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대한 비투영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디바이스(310)의 좌측 하단부를 사용자가 왼손(320)으로 파지함에 있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터치 디바이스(310)의 후면을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310)의 후면 터치인식부(112)가 이 네 개의 후면 지지점들(331~334)의 위치를 인식하여 이를 판단부(120)로 전송하면, 판단부(120)의 무효영역 산출부(121)에서는 네 개의 지지점들(331~334) 중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지점(도 3에서는 331 및 334)을 선택한다. 그 다음 이 두 지점(331 및 334)을 꼭지점으로 하는 정삼각형(340)을 상정한 후 이 정삼각형(340)의 세 꼭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원(350)을 도출하여 상기 가상의 원(350)의 내부 영역 중 전면 터치스크린이 존재하는 영역을 무효 영역(440)으로 산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비투영도로서 터치 디바이스(410)의 전면부 형상을 나타낸다. 터치 디바이스(410)의 전면부 가장자리에는 소정 폭의 베젤(420)이 있을 수 있으며, 베젤(420) 내부 영역에는 터치스크린(430)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베젤(420)은 디바이스에 따라서는 사실상 없을 수도 있다.
도 4에서 사용자의 왼손(320)으로 후면이 파지된 터치 디바이스(410)의 좌측 하단부에 도 3에서 도출된 가상의 원(350)을 표시하였는데, 터치스크린(430) 영역 중 이 가상의 원(350) 내에 포함되는 영역(440)을 무효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430) 영역을 파지하는 경우 통상 안정적인 파지를 위해서는 후면 파지점들(331~334)로부터 산출된 위와 같은 가상의 원(350) 내부 영역을 파지하게 될 것이므로, 도 3 및 도 4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이러한 방법은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좋은 후보가 될 수 있다.
도 5는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도 3과 마찬가지로 터치 디바이스의 후면을 사용자가 왼손의 한 손가락으로 파지한 모습을 전면 방향에서 투영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터치 디바이스(510)가 작거나 가벼운 경우에는 터치 디바이스(51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한 손가락씩으로만 파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도 5에 의한 무효 영역 산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터치 디바이스(510)의 후면의 한 지점(531)을 사용자가 왼손(520) 검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있으며, 이를 후면 터치인식부(112)가 인식하여 판단부(120)로 전송하게 된다. 판단부(120)에서는 전송된 후면 터치 지점이 한 점이므로 이 지점을 중심으로 하면서 소정의 반지름(r)(540)을 갖는 가상의 원(550)을 상정할 수 있으며, 전면의 터치스크린 중 이 가상의 원(550) 내에 포함되는 영역을 무효 영역으로 산출할 수 있다. 전면부 모양은 도 4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반지름(r)(540)은 터치 디바이스(510)의 크기나 무게 등을 고려하여 두 손가락만으로도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범위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는 값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은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터치인식부로부터 인식된 후면 터치 지점 데이터에 기반하여 여러가지 다른 적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무효 영역을 산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2의 S240 단계, 즉 무효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도 6은 도 2의 S220 단계에서 무효 영역을 산출하고 S230 단계에서 전면 터치를 인식한 후 상기 전면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전면 터치인식부(111)로부터 인식된 전면 터치가 무효영역 산출부(121)에서 산출된 무효영역 내의 터치인지를 판단한다(S241). 여기서 무효 영역 내의 터치가 아니라면 이는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판단하여 유효터치 처리부(132)를 통해 유효 터치로 처리하고(S260), 무효 영역 내의 터치이면 전면 터치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42). 여기서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파지를 위한 전면 터치로 판단하여 터치 무효화부(131)를 통해 해당 전면 터치를 무효화하고(S250), 만약 이미 전면 터치를 무효화한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면을 이미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을 위한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유효터치 처리부를 통해 유효 터치로 처리한다(S26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를 사용자에 따라서는 전면의 터치스크린 영역을 파지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을 희망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면 터치 무효화 기능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터치 무효화 기능 활성화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터치 무효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선택하면 상기 터치 무효화 기능 활성화부에서 이러한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산출된 무효 영역 내에 터치가 있는 경우에도 이를 무조건 유효한 터치 입력으로 간주하여 유효 터치 처리부(132)를 통해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터치 디바이스를 파지한 자세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파지 지점을 바꾸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때마다 전면 터치 무효화 이력을 리셋하고 다시 무효 영역 산출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도 2의 S250 단계에 의해 전면 터치가 무효화된 이후 후면 터치인식부(112)에서 터치 지점의 변화가 감지되거나, 또는 전면 터치인식부에서 터치가 무효화된 지점의 파지가 분리되는 것이 감지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지 자세를 변경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터치 무효화 이력을 리셋한 후 S210~S26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터치인식부
120: 판단부
130: 입력처리부
310, 410, 510: 터치 디바이스
331, 332, 333, 334, 531: 후면 터치지점
420: 베젤
430: 전면 터치스크린
440: 무효 영역

Claims (9)

  1. 전후면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으로서,
    a-1)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a-2) 상기 인식된 후면 터치 지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단계;
    a-3) 전면 터치를 인식하는 단계;
    a-4) 상기 인식된 전면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a-5) 상기 판단 결과 무효 터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면 터치를 무효화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된 전면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a-4 단계는,
    d-1) 상기 전면 터치가 상기 산출된 무효 영역 내의 터치인지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의 판단 결과 무효 영역 내의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d-3) 상기 d-2 단계의 판단 결과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면 터치를 무효 터치로 판단하고,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유효 터치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a-1 단계에서 복수의 터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a-2 단계는,
    b-1) 상기 복수의 터치 지점 중 가장 거리가 먼 두 지점을 선택하여 상기 두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도출하는 단계;
    b-2) 상기 정삼각형의 세 꼭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원을 도출하는 단계;
    b-3) 상기 터치 디바이스 전면의 터치스크린 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의 원 내에 포함되는 영역을 상기 무효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터치를 인식하는 a-1 단계에서 한 점의 터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a-2 단계는,
    c-1) 상기 한 점을 중심으로 하면서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원을 도출하는 단계;
    c-2) 상기 터치 디바이스 전면의 터치스크린 영역 중에서 상기 가상의 원 내에 포함되는 영역을 상기 무효 영역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반지름은 미리 결정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5 단계에서 전면 터치를 무효화 처리한 후,
    후면 또는 전면에 대한 파지 중 어느 하나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무효화 처리를 리셋하고 상기 a-1 내지 a-5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 입력 처리방법.
  8. 터치인식부, 판단부 및 입력처리부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인식부는 전면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전면 터치인식부 및 후면 터치센서 어레이를 통해 후면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후면 터치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후면 터치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후면 터치 지점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효 영역을 산출하는 무효영역 산출부 및 전면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무효 터치인지를 판단하는 무효터치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처리부는 무효터치로 판단된 전면 터치스크린 터치를 무효화 처리하는 터치 무효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효터치 판단부는, 상기 전면 터치스크린의 터치가 상기 산출된 무효 영역 내의 터치로 판단되는 경우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무효 터치로 판단하고, 무효화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 유효 터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영역 산출부, 무효터치 판단부 및 터치 무효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터치 무효화 기능 활성화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바이스.
KR1020130098247A 2013-08-20 2013-08-20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KR101504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47A KR101504180B1 (ko) 2013-08-20 2013-08-20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47A KR101504180B1 (ko) 2013-08-20 2013-08-20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207A KR20150021207A (ko) 2015-03-02
KR101504180B1 true KR101504180B1 (ko) 2015-03-20

Family

ID=5301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247A KR101504180B1 (ko) 2013-08-20 2013-08-20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870B1 (ko) * 2020-07-13 2020-12-11 주식회사 네트워크전자 차량용 단말과 외부단말 간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87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0971A (ko) * 2010-08-08 2013-05-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187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0971A (ko) * 2010-08-08 2013-05-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디스플레이 콘텐츠를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207A (ko)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9734B (zh) 3d視覺化技術
US201302222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valid input signal in a terminal
JP5529700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22286A1 (en) Device having touch display and method for reducing execution of erroneous touch operation
US20130234982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7510868A5 (ko)
TWI502479B (zh) 解鎖方法與電子裝置
CN10399566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WO20130304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luding operations associated with accidental touch inputs
KR20120107884A (ko) 멀티터치-인에이블드 디바이스들을 위한 로컬 좌표 프레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JP2014531688A5 (ko)
JP2016529640A (ja) マルチタッチ仮想マウス
US8436828B1 (en) Smart touchscreen key activation detection
JP2006268073A (ja) データ処理装置
US20140176503A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12199888A (ja) 携帯端末
TWI694360B (zh) 輸入介面裝置、控制方法及非暫態電腦可讀取媒體
TWI488082B (zh) 可攜式電子裝置及觸控感測方法
TWI615747B (zh) 虛擬鍵盤顯示系統及方法
CN102156604B (zh) 可携式电子装置
KR101580570B1 (ko) 터치 센서 패널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CN103809787B (zh) 适于接触控制及悬浮控制的触控系统及其操作方法
KR101504180B1 (ko) 터치 디바이스 및 그 터치 입력 처리방법
JP60000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3809794B (zh) 一种信息处理方法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