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702A -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702A
KR20130048702A KR1020120122888A KR20120122888A KR20130048702A KR 20130048702 A KR20130048702 A KR 20130048702A KR 1020120122888 A KR1020120122888 A KR 1020120122888A KR 20120122888 A KR20120122888 A KR 20120122888A KR 20130048702 A KR20130048702 A KR 2013004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leaning
conveying
inclination
wa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8639B1 (ko
Inventor
쿠니오 남부
히사히로 키노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나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나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나벨
Publication of KR2013004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05Cleaning, washing of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세정장치(ECM)에는, 계란 반입부(EIP)와 세정부(CP)와 건조부(DP)와 계란 반출부(EOP)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부(CP)는 다단 구조로 되고,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는,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경사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의 순서로 반송되는 계란이, 제3 세정부(CP3), 제2 세정부(CP2) 및 제1 세정부(CP1)의 순서로 흘러 오는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에 의해 세정된다.

Description

농축산물의 세정장치{Clean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본 발명은 농축산물의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란 등의 농축산물을 반송시키면서 세정하는 세정부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치시킨 농축산물의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사(鷄舍)에서 산란된 계란은, 계란을 선별하여 포장하는 GP 센터(Grading and Packaging Center)에 운반되고, GP 센터의 반송 라인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예를 들면 6렬 등의 소정의 열(列)로 구분된다. 구분된 계란은, 세정장치에 반입되어 소정의 세정 처리와 건조 처리가 시행되고, 그 후, 다음 공정을 향하여 반출된다.
여기에서, 이런 종류의 세정장치의 한 예로서, 특허 문헌 1(실공소53-046234호 공보( 등록 실용신안 제1288954호))에 개시된 세정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이 세정장치에서는, 계란을 반송시키는 반송 통로가 마련되고, 그 반송 통로에는, 구분된 계란이 그 상태로 반송되도록, 통상의 복수의 조(條)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 통로는, 계란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이 낮고 하류측이 높게 되도록 경사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통로의 상방에는 세정용의 브러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경사의 높은 측의 반송 경로의 상방에는, 반송 통로를 향하여 세정용의 더운물(湯)을 공급하는 급탕구(給湯口)가 마련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세정장치에서는, 급탕구로부터 방출된 더운물은,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통상의 반송 통로를 흐른다. 계란은, 경사의 낮은 측부터 높은 측을 향하여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흐르는 더운물에 잠기면서 브러시 등에 의해 세정된다. 세정된 계란에는 건조 처리가 시행되어, 다음 공정을 향하여 송출되게 된다.
종래의 농축산물의 세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계란 등에 부착한 오염 등을 브러시에 의해 확실하게 떨어뜨릴려고 하면, 미리 계란 등을 충분히 탕욕(湯浴)시켜 둘 필요가 있다. 한편, GP 센터에서는, 대량의 계란을 처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세정장치에도 처리 능력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세정장치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려고 하여 반송 속도를 올릴려고 하면, 더운물에 잠기면서 반송 통로를 반송되는 계란 등을 충분히 탕욕할 수가 없게 되어, 계란 등에 부착한 오염 등을 브러시에 의해 떨어뜨릴 수가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반송 통로를 길게 설정하여 탕욕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세정장치의 점유 면적이 증가하여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점유 면적의 삭감이 도모된 농축산물의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세정장치는, 농축산물을 반송하면서 세정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로서, 농축산물이 반입되는 반입부와, 농축산물이 반출되는 반출부와, 반송부와, 복수의 세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는, 반입부에 반입된 농축산물을 반출부를 향하여 반송한다. 복수의 세정부는, 농축산물을 반송하면서 세정하는 반송 통로를 각각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세정부 중,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하나의 세정부와 다른 세정부에서는, 하나의 세정부의 하나의 반송 통로와 다른 세정부의 다른 반송 통로는, 기울기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각각 기울어져 있다. 하나의 세정부에서는, 하나의 반송 통로의 경사의 낮은 측부터 높은 측을 향하여 반송되는 농축산물이, 하나의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흐르는 소정의 세정액에 의해 세정된다. 다른 세정부에서는, 하나의 세정부를 경유하여, 다른 반송 통로의 경사의 낮은 측부터 높은 측을 향하여 반송되는 농축산물이, 다른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흐르는 다른 소정의 세정액에 의해 세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세정장치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세정부 중,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하나의 세정부와 다른 세정부에서는, 하나의 세정부의 하나의 반송 통로와 다른 세정부의 다른 반송 통로는, 기울기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각각 기울어져 있다. 이에 의해, 세정장치의 점유 면적을 넓히는 일 없이, 농축산물을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된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세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세정부에서의 제1 물결판, 제2 물결판 및 제3 물결판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물결판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반송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반송 파이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컨베이어 체인과 체인 가이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되접음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도 7에 도시되는 점선테두리(A) 내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되접음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10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되접음부에서의 계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세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2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세정부에서의 제1 물결판, 제2 물결판 및 제3 물결판을 흐르는 더운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1 세정부에서 계란이 세정되는 양상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4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1 세정부로부터 되접음부를 경유하여 제2 세정부에 반송되는 계란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2 세정부에서 계란이 세정되는 양상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6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2 세정부로부터 되접음부를 경유하여 제3 세정부에 반송되는 계란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17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3 세정부에서 계란이 세정되는 양상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세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19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반송 기구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0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미는 도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되접음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22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되접음부와 그 주변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23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세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4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1 세정부에서 계란이 세정되는 양상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5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1 세정부로부터 되접음부를 경유하여 제2 세정부에 반송되는 계란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26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2 세정부에서 계란이 세정되는 양상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7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2 세정부로부터 되접음부를 경유하여 제3 세정부에 반송되는 계란을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28은 동 실시의 형태에서, 제3 세정부에서 계란이 세정되는 양상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9는 동 실시의 형태에서, 컨베이어 체인의 변극점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농축산물의 세정장치로서, 계란의 세정장치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장치(ECM)에는, 앞(前)공정으로부터 반송된 계란을 받아들이는 계란 반입부(EIP)와, 반입된 계란을 반송하면서 세정하는 세정부(CP)와, 세정된 계란을 수절(水切)하는 건조부(DP)와, 수절이 종요된 계란을 다음 공정을 향하여 송출한 계란 반출부(EOP)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계란 반입부(EIP)에 받아들여진 계란을, 계란 반출부(EOP)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 기구(반송부)로서, 무한궤도를 이루는 컨베이어 체인(CC)과 반송용 파이프(PP)(도 4 참조) 등이 부착되어 있다. 컨베이어 체인(CC)은, 전동기, 벨트 및 스프로켓(모두 도시 생략) 등을 통하여 구동된다.
다음에, 세정부(CP)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세정부(CP)는 다단(다층) 구조로 되어, 세정부(CP)로서,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세정부(CP1)와 제2 세정부(CP2)에서 전세정(前洗淨)이 행하여지고, 제3 세정부(CP3)에서 본세정(本洗淨)이 행하여진다.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의 각각에는, 계란이 반송되는 통로로서, 물결판(TB)(제1 물결판(TB1), 제2 물결판(TB2), 제3 물결판(TB3))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물결판(TB)(제1 물결판(TB1), 제2 물결판(TB2), 제3 물결판(TB3))에는, 계란을 반송시키면서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湯)이 흘려지는 홈통(桶)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결판(TB)에는, 홈통으로서, 판형상의 저면부(BT)와 사면부(SL)가 형성되어 있다. 사면부(SL)는, 저면부(BT)로부터 반송 방향과 개략 직교하는 한쪽과 다른쪽을 향하여 경사하여 있다. 저면부(BT)는, 계란(EG)의 중력(重力)을 실질적으로 받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면부(SL)는, 저면부(BT)에 지지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 계란(EG)의 둔단측(鈍端側) 또는 예단측(銳端側)에 위치하는 소정의 부분을 지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계란(EG)의 장축(長軸)을 반송용 파이프(PP)와 거의 평행하게 유지하면서, 계란(EG)을 반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물결판(TB)에서는, 한 예로서 6개의 홈통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물결판(TB1), 제2 물결판(TB2) 및 제3 물결판(TB3)의 각각은, 계란의 반송 방향(화살표(TV) 참조)의 하류측이 반송 방향의 상류측보다도 높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세정부(CP2)의 제2 물결판(TB2)은, 제1 세정부(CP1)의 제1 물결판(TB1)의 경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세정부(CP3)의 제3 물결판(TB3)은, 제2 세정부(CP2)의 제2 물결판(TB2)의 경사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제1 물결판(TB1)의 경사의 높은 측과 제2 물결판(TB2)의 경사의 낮은 측은, 되접음부(折返部)(TP)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1 세정부(CP1)를 반송되어 온 계란은, 되접음부(TP)에 의해 그 반송 방향이 거의 반전되어, 제2 세정부(CP2)에 반송되게 된다. 또한, 제2 물결판(TB2)의 경사의 높은 측과 제3 물결판(TB3)의 경사의 낮은 측은, 되접음부(TP)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 세정부(CP2)를 반송되어 온 계란은, 되접음부(TP)에 의해 그 반송 방향이 거의 반전되어, 제3 세정부(CP3)에 반송되게 된다.
제1 물결판(TB1), 제2 물결판(TB2) 및 제3 물결판(TB3)의 각각의 상방에는, 계란에 부착한 오염 등을 반송하면서 제거하는 세정 브러시(SCB)가 배치되어 있다. 제3 물결판(TB3)의 경사의 높은 측의 상방에는,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을 제3 물결판(TB3)을 향하여 방출하는 더운물 공급부(YS)가 마련되어 있다. 더운물 공급부(YS)로부터 방출된 더운물은, 경사한 제3 물결판(TB3), 제2 물결판(TB2) 및 제1 물결판(TB1)을 순차적으로 흘러가게 된다.
그리고,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의 공급의 방법으로서는, 이와 같이, 제1 세정부(CP1)에 공급된 더운물을,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에서 재이용하는 양태 외에, 하나의 세정부에서 사용한 더운물을 다른 세정부에서의 재이용하지 않도록,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의 각각에 더운물 공급부(YS)를 마련하여, 청정도가 높은 더운물을,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의 각각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계란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한궤도를 이루는 컨베이어 체인(CC)은, 물결판(TB)의 홈통에 재치된 계란을 끼워넣는 양태로, 한 쌍의 컨베이어 체인(CC)으로서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컨베이어 체인(CC)에는, 한쪽의 컨베이어 체인(CC)과 다른쪽의 컨베이어 체인(CC)과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의 반송용 파이프(PP)가, 반송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띠우고 부착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용 파이프(PP)는, 금속 파이프(MP)와 수지 파이프(RP)를 포함하고, 수지 파이프(RP)에 금속 파이프(MP)가 삽통되어 있다. 반송용 파이프(PP)는, 금속 파이프(MP)의 양단에 굴림대축(軸)의 돌출부(KA)를 삽통시킴에 의해 컨베이어 체인(CC)에 부착되어 있다.
계란 반입부(EIP)에 반입된 계란(EG)은, 서로 인접하는 하나의 반송용 파이프(PP)와 다른 반송용 파이프(PP)와의 사이에 끼여짐에 의해, 반송 방향과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된다. 컨베이어 체인(CC)의 구동에 맞추어서, 각 반송용 파이프(PP)가, 반송 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계란(EG)을 밀면서 이동함에 의해, 계란(EG)이 물결판(TB)을 반송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방향을 반전시키는 되접음부(TP)에는, 컨베이어 체인(CC)을 가이드하는, 개략 반원형의 수지제의 체인 가이드(CG)가 마련되어 있다. 컨베이어 체인(CC)의 굴림대를, 체인 가이드(CG)의 원호의 단면(端面)에 접촉시킴에 의해, 컨베이어 체인(CC)의 구동 방향이 반전된다. 이와 같은 체인 가이드(CG) 외에, 세정장치(ECM)에는, 반송 방향의 연직 성분 또는 수평 성분을 바꾸는 변극점(a point of inflection)에 스프로켓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되접음부(TP)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음부(TP)에서는, 컨베이어 체인의 움직임에 맞추어서 계란을 지지(保持)(또는 지지(支持))하면서 반송하기 위해, 판형상(板狀) 가이드부(BG), 철사형상(針金狀) 가이드부(WG) 및 판 스프링(PS)이 배치되어 있다. 판형상 가이드부(BG)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는, 개략 반원형의 체인 가이드(CG)에 가이드되는 컨베이어 체인의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원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도 7에서는, 판 스프링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8에서는, 2조(組)의 판 스프링(PS)을 도시한다.
판형상 가이드부(BG)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로서, 판형상 가이드부(BGS)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와, 판형상 가이드부(BGU)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U)가 배치되어 있다. 판형상 가이드부(BGS)는 제1 물결판(TB1)의 저면부(BT)와 연결되고, 철사형상 가이드부(WGS)는 제1 물결판(TB1)의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물결판(TB1)을 반송되어 온 계란은, 이 판형상 가이드부(BGS)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그 판형상 가이드부(BGS)에는, 그 도중(途中)에 분단된 개소가 있고, 그 개소에 판 스프링(PS)이 배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PS)은, 판형상 가이드부(BGS)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의해 지지돼면서 반송되는 계란을, 판형상 가이드부(BGU)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U)의 측으로 가세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판 스프링(PS)은,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반송되는 계란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가세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판형상 가이드부(BGU)는 제2 물결판(TB2)의 저면부(BT)와 연결되고, 철사형상 가이드부(WGU)는 제2 물결판(TB2)의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초, 판형상 가이드부(BGS)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계란(실선)은, 반송되는 도중에, 판 스프링(PS)에 의해 원호의 내측으로 가세되어, 판형상 가이드부(BGU)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U)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점선의 계란(EG) 참조).
다음에, 상술한 계란의 세정장치(ECM)의 세정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란 반입부(EIP)에 반입된 계란은,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의 순서로 반송된다. 제1 세정부(CP1) 및 제2 세정부(CP2)에서는, 전세정으로서 계란의 탕욕을 하고, 제3 세정부(CP3)에서는, 탕욕한 계란에 본세정이 행하여진다.
그 세정 동작에 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더운물 공급부(YS)로부터,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YL)이 제3 물결판(TB3)을 향하여 방출된다. 제3 물결판(TB3)의 경사의 높은 측에 방출된 더운물(YL)은, 경사의 낮은 측을 향하여 제3 물결판(TB3)을 흐르고, 그 경사의 낮은 측의 단부로부터, 하방에 배치된 제2 물결판(TB2)에 흘러 내린다. 제2 물결판(TB2)의 경사의 높은 측에 흘러 내린 더운물(YL)은, 경사의 낮은 측을 향하여 제2 물결판(TB2)을 흐르고, 그 경사의 낮은 측의 단부에서, 하방에 배치된 제1 물결판(TB1)에 흘러 내린다. 제1 물결판(TB1)의 경사의 높은 측에 흘러 내린 더운물(YL)은, 경사의 낮은 측을 향하여 제1 물결판(TB1)을 흐르고, 그 경사의 낮은 측의 단부에서, 드레인(도시 생략)에 흘러 내린다. 계란은, 이와 같이 제3 물결판(TB3), 제2 물결판(TB2) 및 제1 물결판(TB1)을 흐르는 더운물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세정된다.
계란 반입부(EIP)에 반입된 계란은, 우선, 제1 세정부(CP1)에 반송된다(도 11 참조). 제1 세정부(CP1)에서는, 전세정으로서, 제3 물결판(TB3)과 제2 물결판(TB2)을 흘러 온 더운물(YL)에 의해 계란의 탕욕을 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란(EG)은, 반송용 파이프(PP)에 의해 제1 물결판(TB1)의 홈통을, 더운물(YL)의 흐름(화살표(YV))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화살표(TV) 참조). 그리고, 도 13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홈통을 반송되는 계란(EG)을 도시한다.
이 때, 계란(EG)은, 홈통을 흐르는 더운물(YL)을 막도록 하면서 반송되게 되기 때문에, 적은 더운물로 계란(EG)의 탕욕을 할 수가 있어서, 더운물의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계란(EG)에 부착하여 있는 오염 등중, 비교적 제거하기 쉬운 오염 등은, 세정 브러시(SCB)에 의해 제거된다.
이렇게 하여, 제1 세정부(CP1)의 제1 물결판(TB1)을 반송된 계란(EG)은,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음부(TP)에 의해, 제2 세정부(CP2)의 제2 물결판(TB2)에 반송된다. 반송용 파이프(PP)에 의해 제1 물결판(TB1)을 반송되어 온 계란(EG)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물결판(TB1)의 홈통의 저면부(BT)와 연결되어 있는 판형상 가이드부(BGS)와,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는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지지되어 원호를 그리면서 상방을 향하여 반송된다.
도 8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하여 반송되는 도중에, 계란(EG)은, 판 스프링(PS)에 의해 원호의 내측으로 가세되어, 제2 물결판(TB2)의 홈통의 저면부(BT)와 연결되어 있는 판형상 가이드부(BGU)와,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는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접촉한다. 판 스프링(PS)에 의해 판형상 가이드부(BGU)와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접촉시켜진 상태로 반송되는 계란은, 원호를 그리도록 상방으로 반송됨에 따라, 중력에 의해 판형상 가이드부(BGU)와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지지된 상태로 되접음부(TP)를 반송되게 된다. 되접음부(TP)를 반송되는 계란(EG)은, 제2 세정부(CP2)에 보내진다.
제2 세정부(CP2)에서는, 전세정으로서, 제3 물결판(TB3)을 경유하여 제2 물결판(TB2)을 흐르는 더운물(YL)에 의해 계란의 탕욕을 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란(EG)은, 반송용 파이프(PP)에 의해 제2 물결판(TB2)의 홈통을, 더운물(YL)의 흐름(화살표(YV))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화살표(TV) 참조). 그리고, 도 15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홈통을 반송되는 계란(EG)을 도시한다.
이 때, 제2 세정부(CP2)에서는, 제1 세정부(CP1)와 마찬가지로, 계란(EG)은, 홈통을 흐르는 더운물(YL)을 막도록하면서 반송되게 되기 때문에, 적은 더운물로 계란(EG)의 탕욕을 할 수가 있어서, 더운물의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제2 세정부(CP2)에는, 제1 세정부(CP1)에서 탕욕을 한 계란이 반송되어 오기 때문에, 계란(EG)에 부착하여 있는 오염 등이 들떠져서, 세정 브러시(SCB)에 의해 제거하기 쉬워진다.
이렇게 하여, 제2 세정부(CP2)의 제2 물결판(TB2)을 반송된 계란(EG)은, 도 11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음부(TP)에 의해, 제1 세정부(CP1)와 제2 세정부(CP2)를 연결하는 되접음부(TP)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3 세정부(CP3)의 제3 물결판(TB3)에 원호를 그리면서 반송된다.
제3 세정부(CP3)에서는, 제1 세정부(CP1)와 제2 세정부(CP2)에서 탕욕을 한 계란이, 본세정으로서, 제3 물결판(TB3)을 흐르는 더운물(YL)에 의해 세정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란(EG)은, 반송용 파이프(PP)에 의해 제3 물결판(TB3)의 홈통을, 더운물(YL)의 흐름(화살표(YV))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화살표(TV) 참조). 그리고, 도 17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홈통을 반송되는 계란(EG)을 도시한다.
이 때, 제3 세정부(CP3)에서는, 제1 세정부(CP1)와 제2 세정부(CP2)에서 충분히 탕욕을 한 계란이 반송되어 오기 때문에, 계란(EG)에 부착하여 있는 오염 등이 세정 브러시(SCB)에 의해 더욱 제거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제3 세정부(CP3)의 제3 물결판(TB3)에는, 더운물 공급부(YS)로부터 방출된 더운물이, 직접,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흘러 오기 때문에, 경사의 낮은 측에서 경사의 높은 측을 향하여 계란이 반송되에 따라서, 계란은, 청정도가 높은 더운물에 의해 세정되게 된다.
청정도가 높은 더운물에 의해 세정된 계란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부(DP)에 반송된다. 건조부(DP)에는, 건조한 공기를 분사(吹付)하는 에어 공급부(AS)가 마련되어 있다. 세정이 완료된 계란은, 에어 공급부(AS)로부터 취출한` 건조한 공기에 의해 수절된다. 수절된 계란은, 계란 반출부(EOP)로부터 다음 공정을 향하여 반출된다. 이렇게 하여, 세정장치(ECM)에 의한, 계란의 일련의 세정 처리가 완료된다.
상술한 세정장치에서는, 세정부(CP)는 다단(다층) 구조로 된다. 이에 의해, 세정장치의 점유 면적을 넓히는 일 없이, 게다가, 처리 능력을 내리는 일 없이, 계란을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해 설명한다.
계란의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세정으로서 충분한 탕욕을 하려고 하면, 반송 경로를 길게 설정하여 전세정을 행하든지(수법(A)), 반송 경로를 길게 설정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계란을 천천히 반송하면서 전세정을 행할(수법(B)) 필요가 있다. 그런데, 수법(A)에서는, 반송 경로가 길어짐으로써 세정장치의 점유 면적이 넓어져 버리게 된다. 또한, 수법(B)에서는, 전세정에서의 계란의 반송 속도가 떨어져 버려, 세정장치 전체로서 처리 능력을 내려 버리게 된다.
이것에 대해, 상술한 세정장치(ECM)에서는, 전세정부(PCP)(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와 본세정부(MCP)(제3 세정부(CP3))가 다단 구조로 되어,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는, 경사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경사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세정장치의 점유 면적을 넓히는 일 없이, 계란의 반송 경로를 길게 하여 계란의 탕욕을 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계란의 반송 경로를 길게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계란의 반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없고, 세정장치 전체의 처리 능력을 내리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한 세정장치에서는,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는,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의 순서로,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3 세정부(CP3)에 방출되는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YL)이, 제3 세정부(CP3), 제2 세정부(CP2) 및 제1 세정부(CP1)의 순서로, 각각의 물결판(TB)(제3 물결판(TB3), 제2 물결판(TB2) 및 제1 물결판(TB1))의 홈통을 흐르고, 그 홈통을 흐르는 더운물(YL)에 대해, 계란(EG)은, 더운물(YL)을 막도록하면서 반송되게 된다. 이 때문에, 적은 더운물에 의해 계란(EG)의 탕욕 등을 할 수가 있어서, 더운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정장치에서는, 반송용 파이프(PP)나 판 스프링(PS)으로서는, 기존의 것을 적용할 수가 있어서, 제조 비용의 삭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전술한 세정장치에서는, 계란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로서, 컨베이어 체인에 반송 파이프가 부착된 반송 기구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다. 실시의 형태 2에서는, 반송 기구로서 미는 도그를 적용한 세정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장치(ECM)에는, 컨베이어 체인(CC)에 미는(押) 도그[갈고리(DOG)](PD)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되접음부(TP)에 판 스프링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1 등에 도시하는 세정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에, 그 반송 기구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컨베이어 체인(CC)에는, 한쪽의 컨베이어 체인(CC)과 다른쪽의 컨베이어 체인(CC)과의 사이를 체인 어태치(CA)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샤프트(SH)가 반송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띠우고 부착되어 있다. 그 샤프트(SH)에는 6개가 미는 도그(PD)가 장착되어 있다. 도 19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2개의 미는 도그(PD)를 도시한다. 미는 도그(PD)는, 물결판(TB)의 홈통에 대응하도록 서로 간격이 띠여져 있다. 샤프트(SH)의 단면(斷面) 형상은 사각형으로 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는 도그(PD)는, 2장의 평판부(FP)와 접속부(CJ)로 이루어지고, 대향하는 2장의 평판부(FP)를 연결하도록 접속부(CJ)가 마련되어 있다. 2장의 평판부(FP)와 접속부(CJ)에는, 샤프트(SH)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사각형의 관통 구멍(T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CJ)에는, 계란의 외형 형상에 대응한 접촉부(ACJ)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SH)에는, 미는 도그(PD) 외에, 스페이서(DPL)와 스페이서(DPS)가 장착된다. 스페이서(DPL)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미는 도그(PD)와 미는 도그(PD)와의 간격이 유지된다. 또한, 스페이서(DPS)에 의해, 단(端)에 위치하는 미는 도그(PD)와 체인 어태치(CA)와의 간격이 유지된다. 샤프트(SH) 및 컨베이어 체인(CC)에의 부착 구조로부터, 미는 도그(PD)는, 그 길이 방향(평판부가 연재되는 방향)을, 컨베이어 체인(CC)의 반송 방향(또는 접선 방향)과 개략 직교시킨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에, 되접음부에 관해 설명한다. 전술한 세정장치의 되접음부와는 달리, 미는 도그(PD)를 적용한 반송 기구에서는, 되접음부에, 판 스프링은 불필요하게 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음부(TP)에서는, 판형상 가이드부(BG)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가 배치되어 있다. 판형상 가이드부(BG)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로서, 판형상 가이드부(BGS)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와, 판형상 가이드부(BGU)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U)가 배치되어 있다.
판형상 가이드부(BGS)는 제1 물결판(TB1)의 저면부(BT)와 연결되고, 철사형상 가이드부(WGS)는 제1 물결판(TB1)의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다. 제1 물결판(TB1)을 반송되어 온 계란은, 이 판형상 가이드부(BGS)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한편, 판형상 가이드부(BGU)는 제2 물결판(TB2)의 저면부(BT)와 연결되고, 철사형상 가이드부(WGU)는 제2 물결판(TB2)의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다. 당초, 판형상 가이드부(BGS)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계란은, 반송되는 도중에서, 원호의 내측을 향하여 미는 도그(PD) 위를 슬라이드(도 22의 화살표 EV 참조)하여, 판형상 가이드부(BGU)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U)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세정장치에 의한 세정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3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세정장치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세정장치와 마찬가지로, 계란은, 더운물 공급부(YS)로부터 공급되어, 제3 물결판(TB3), 제2 물결판(TB2) 및 제1 물결판(TB1)을 흐르는 더운물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세정된다.
우선, 제1 세정부(CP1)에서는, 전세정으로서, 제3 물결판(TB3)과 제2 물결판(TB2)을 흘러 온 더운물(YL)에 의해 계란의 탕욕을 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란(EG)은, 미는 도그(PD)에 의해 제1 물결판(TB1)의 홈통을, 더운물(YL)의 흐름(화살표(YV))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화살표(TV) 참조).
이렇게 하여, 제1 세정부(CP1)의 제1 물결판(TB1)을 반송된 계란(EG)은, 도 23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음부(TP)에 의해, 제2 세정부(CP2)의 제2 물결판(TB2)에 반송된다. 미는 도그(PD) 등에 의해 제1 물결판(TB1)을 반송되어 온 계란(EG)은,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물결판(TB1)의 홈통의 저면부(BT)와 연결되어 있는 판형상 가이드부(BGS)와,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는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지지되어 원호를 그리면서 상방을 향하여 반송된다.
원호를 그리도록 상방에 반송됨에 따라, 계란(EG)은, 그 중력에 의해 미는 도그(PD) 위를 슬라이드하여(도 22 참조), 제2 물결판(TB2)의 홈통의 저면부(BT)와 연결되어 있는 판형상 가이드부(BGU)와, 사면부(SL)와 연결되어 있는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접촉하여, 판형상 가이드부(BGU)와 철사형상 가이드부(WGS)에 지지된 상태로 되접음부(TP)를 반송되게 된다. 되접음부(TP)를 반송된 계란(EG)은, 제2 세정부(CP2)에 보내진다.
제2 세정부(CP2)에서는, 전세정으로서, 제3 물결판(TB3)을 경유하여 제2 물결판(TB2)을 흐르는 더운물(YL)에 의해 계란의 탕욕을 한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란(EG)은, 미는 도그(PD)에 의해 제2 물결판(TB2)의 홈통을, 더운물(YL)의 흐름(화살표(YV))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화살표(TV) 참조).
이렇게 하여, 제2 세정부(CP2)의 제2 물결판(TB2)을 반송된 계란(EG)은, 도 23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음부(TP)에 의해, 제1 세정부(CP1)와 제2 세정부(CP2)를 연결한 되접음부(TP)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3 세정부(CP3)의 제3 물결판(TB3)에 원호를 그리면서 반송된다.
제3 세정부(CP3)에서는, 제1 세정부(CP1)와 제2 세정부(CP2)에서 탕욕을 한 계란이, 본세정으로서, 제3 물결판(TB3)을 흐르는 더운물(YL)에 의해 세정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란(EG)은, 미는 도그(PD)에 의해 제3 물결판(TB3)의 홈통을, 더운물(YL)의 흐름(화살표(YV))과는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화살표(TV) 참조).
본세정부(MCP)(제3 세정부(CP3))에서 세정된 계란은,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부(DP)에 반송된다. 세정이 완료된 계란은, 에어 공급부(AS)로부터 분사하는 건조한 공기에 의해 수절된다. 수절된 계란은, 계란 반출부(EOP)로부터 다음 공정을 향하여 반출된다. 이렇게 하여, 세정장치(ECM)에 의한, 계란의 일련의 세정 처리가 완료된다.
상술한 세정장치에서는, 전세정부(PCP)(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와 본세정부(MCP)(제3 세정부(CP3))가 다단 구조로 되고,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는,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경사시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장치의 점유 면적을 넓히는 일 없이, 계란의 반송 경로를 길게 하여 계란의 탕욕을 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계란의 반송 경로를 길게 설정할 수 있으으로써, 계란의 반송 속도를 내릴 필요가 없고, 세정장치 전체의 처리 능력을 내리는 일도 없다.
또한, 상술한 세정장치에서는, 제3 세정부(CP3)에 방출된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YL)이, 제3 세정부(CP3), 제2 세정부(CP2) 및 제1 세정부(CP1)의 순서로, 각각의 물결판(TB)(제3 물결판(TB3), 제2 물결판(TB2) 및 제3 물결판(TB3))의 홈통을 흐르고, 그 홈통을 흐르는 더운물(YL)에 대해, 계란(EG)은, 더운물(YL)을 막도록하면서 반송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적은 더운물에 의해 계란(EG)의 탕욕 등을 할 수 있고, 더운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세정장치에서는, 컨베이어 체인(CC)의 반송 방향의 변극점에서는, 미는 도그(PD)는, 미는 도그(PD)의 길이 방향을 그 반송 방향의 접선 방향과 개략 직교시킨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경로를 측방에서 보아, 반송 경로가 오목형상으로 변극[변곡?]하여 있는 개소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미는 도그(PD)의 상단부끼리가 접근하여 양자의 간격(L)이 줄어져 버려서, 그 미는 도그(PD)와 미는 도그(PD)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반송되는 계란이 손상을 받는 것이 상정된다.
이 때문에, 반송되는 계란(EG)을, 서로 이웃하는 미는 도그(PD)의 하단부끼리가 떨어져 있는 하방의 측으로 피하도록, 계란(EG)을 지지하는 판형상 가이드부(BG) 및 철사형상 가이드부(WG)를, 다소 하방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각 세정장치에서는, 전세정부(PCP)와 본세정부(MCP)를 구비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전세정부(PCP)에서 계란에 충분한 탕욕을 하여, 본세정부(MCP)에서 계란의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전세정부(PCP)의 길이를 본세정부(MCP)의 길이보다도 길게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각 세정장치에서는, 전세정부(PCP)로서, 제1 세정부(CP1)와 제2 세정부(CP2)와의 2개의 전세정부(PCP)를 구비한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전세정부(PCP)의 수(단수(段數))로서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응하여 증감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전세정부(PCP)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상하 방향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세정장치(ECM)의 점유 면적이 증가하는 일은 없다.
또한, 세정부(CP)에서의, 제1 세정부(CP1), 제2 세정부(CP2) 및 제3 세정부(CP3)의 각각의 경사각도가 변화되도록 경사 기구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물결판(TB)의 경사각도를 바꿈으로써, 세정액으로서의 더운물이 흐르는 속도를 바꾸어서, 세정의 베리에이션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세정부로부터 흘러 오는 더운물을 받는 제2 세정부에서의 경사의 높은 측에서는, 그 부분의 경사각도를, 더운물이 실질적으로 흐르는 제2 물결판(TB2)의 경사각도보다도 크게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로, 더운물을 확실하게 제2 물결판(TB2)의 경사의 낮은 측을 향하여 흘릴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세정장치(ECM)의 되접음부(TP)로서, 아래로부터 위를 향하여 계란을 반송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계란을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반송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판 스프링(PS)을 구비한 되접음부(TP)(도 7 등 참조)에서는,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원호형상으로 반송되는 계란을, 원호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가세하도록 판 스프링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되접음부는, 세정부끼리로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에 위치하는 반송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세정의 대상으로서는 계란 외에, 다른 조류(鳥類) 등의 난(卵)이나 과실 등이라도 좋고, 농축산물의 세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계란을 위시하여, 농축산물의 세정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여 나타냈지만, 이것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니므로,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해석되는 것으로 분명히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농축산물을 반송하면서 세정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로서,
    농축산물이 반입되는 반입부와,
    농축산물이 반출되는 반출부와,
    상기 반입부에 반입된 농축산물을 상기 반출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부와,
    농축산물을 반송하면서 세정하는 반송 통로를 각각 포함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세정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세정부 중,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하나의 세정부와 다른 세정부에서는,
    상기 하나의 세정부의 하나의 반송 통로와 상기 다른 세정부의 다른 반송 통로는, 기울기가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각각 기울어지고,
    상기 하나의 세정부에서는,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의 경사의 낮은 측부터 높은 측을 향하여 반송되는 농축산물이,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흐르는 소정의 세정액에 의해 세정되고,
    상기 다른 세정부에서는, 상기 하나의 세정부를 경유하여, 상기 다른 반송 통로의 경사의 낮은 측부터 높은 측을 향하여 반송되는 농축산물이, 상기 다른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흐르는 다른 소정의 세정액에 의해 세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에서 상기 다른 반송 통로의 경사의 낮은 측을 향하여 농축산물을 반송하는 되접음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음부는,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로부터 반송되는 농축산물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 되고 반송되는 농축산물을, 상기 다른 반송 통로에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와 상기 다른 반송 통로는,
    농축산물의 중량을 실질적으로 하방에서 지지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한쪽과 다른쪽에 연재되는 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의 상기 저면부와 연결되는 제1 판형상 가이드부와,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의 상기 사면부와 연결되는 제1 환봉형상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다른 반송 통로의 상기 저면부와 연결되는 제2 판형상 가이드부와,
    상기 다른 반송 통로의 상기 사면부와 연결되는 제2 환봉형상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는, 반송되는 농축산물을 상기 제2 가이드부재의 측에 가세하는 가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한 쌍의 컨베이어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체인의 한쪽의 컨베이어 체인과 다른쪽의 컨베이어 체인과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 체인의 구동에 수반하여 농축산물을 미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산물을 미는 부재는 도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세정부와 상기 다른 세정부에서는,
    상기 다른 소정의 세정액이, 상기 다른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에 공급되어 경사의 낮은 측을 향하여 흘려지고,
    상기 다른 반송 통로를 흘러 온 상기 다른 소정의 세정액은,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에 받아지고,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에 받아진 상기 다른 소정의 세정액은,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의 경사의 높은 측부터 낮은 측을 향하여 흘려지고,
    상기 하나의 세정부의 상기 하나의 반송 통로를 흐르는 상기 소정의 세정액은, 상기 다른 세정부로부터 흘러 온 상기 다른 소정의 세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KR1020120122888A 2011-11-02 2012-11-01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KR101868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41042A JP5463460B2 (ja) 2011-11-02 2011-11-02 農畜産物の洗浄装置
JPJP-P-2011-241042 2011-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702A true KR20130048702A (ko) 2013-05-10
KR101868639B1 KR101868639B1 (ko) 2018-06-18

Family

ID=4819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888A KR101868639B1 (ko) 2011-11-02 2012-11-01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63460B2 (ko)
KR (1) KR101868639B1 (ko)
CN (1) CN103081823B (ko)
BR (1) BR1020120278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6524B (zh) * 2014-08-16 2016-01-06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滚筒式禽蛋清洗机
JP6725202B2 (ja) 2014-09-05 2020-07-15 株式会社ナベル 卵の選別施設
CN105794686B (zh) * 2014-12-31 2018-12-18 郑经伟 鸭蛋的全自动洁蛋、检测及分类装置
CN106418585A (zh) * 2015-08-06 2017-02-22 陇西谦诚捷力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中药材果蔬清洗机
CN108294333B (zh) * 2018-01-29 2021-05-14 绍兴市尊铖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饮料生产用脐橙清洗设备
CN109430112B (zh) * 2018-12-06 2024-04-19 秀山县华顺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蛋检测分级机
CN110783085B (zh) * 2019-12-09 2024-05-24 无锡希恩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降噪功能的变压器外壳结构
CN117485933B (zh) * 2024-01-03 2024-03-15 江苏通惠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散料库用刮板出仓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516A (ja) * 1993-04-22 1994-11-01 Kajima Corp パレットフローラックの駆動装置
JPH10117626A (ja) * 1996-10-24 1998-05-12 Kyowa Kikai Kk 卵の洗浄乾燥装置
JPH11146741A (ja) * 1997-11-18 1999-06-02 Kyowa Kikai Kk 卵の洗浄装置
JP2003250379A (ja) * 2001-12-27 2003-09-09 Ise Delica Kk 卵の洗浄殺菌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6784A (en) * 1928-06-18 1930-09-30 Fay Johnson Egg-cleaning apparatus
JPS5346234Y2 (ko) * 1976-03-30 1978-11-06
JPS52159581U (ko) * 1976-05-29 1977-12-03
JPS6115208U (ja) * 1984-06-30 1986-01-29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部品の搬送装置
JPH08258961A (ja) * 1995-03-22 1996-10-08 Yamazaki Baking Co Ltd 搬送コンベアの搬送方向転換方法とその搬送装置
JPH1132616A (ja) * 1997-07-25 1999-02-09 Kyowa Kikai Kk 卵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03071388A (ja) * 2001-08-31 2003-03-11 Naberu:Kk 特異物選別放出装置
US6821353B1 (en) * 2002-07-23 2004-11-23 Jeffrey B. Kuhl Method for cleaning eggs by conveying thereof upon multiple conveyors through washers which are vertically tiered
JP2005027609A (ja) * 2003-07-11 2005-02-03 Ise Delica Kk 卵殻洗浄殺菌装置
CN201398374Y (zh) * 2009-04-28 2010-02-10 陈文凯 禽蛋清洗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516A (ja) * 1993-04-22 1994-11-01 Kajima Corp パレットフローラックの駆動装置
JPH10117626A (ja) * 1996-10-24 1998-05-12 Kyowa Kikai Kk 卵の洗浄乾燥装置
JPH11146741A (ja) * 1997-11-18 1999-06-02 Kyowa Kikai Kk 卵の洗浄装置
JP2003250379A (ja) * 2001-12-27 2003-09-09 Ise Delica Kk 卵の洗浄殺菌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63460B2 (ja) 2014-04-09
KR101868639B1 (ko) 2018-06-18
BR102012027848A2 (pt) 2015-06-23
JP2013094134A (ja) 2013-05-20
CN103081823A (zh) 2013-05-08
CN103081823B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8702A (ko) 농축산물의 세정장치
US3928064A (en) Method for cleaning plate-shaped objects
CN103237488A (zh) 传送式洗碗机
KR200463418Y1 (ko) 청과물세척냉각장치
JP3741710B1 (ja) パレットの洗浄装置
JPH10189528A (ja) 基板洗浄装置および基板洗浄方法
JP5159866B2 (ja) 鶏卵整列装置
CN104044860A (zh) 一种输送装置
KR100985437B1 (ko) 피혁도장장치의 이송기구
CN101374763A (zh) 用于处理或加工硅材料的方法和设备
CN202800022U (zh) 一种过滤排序装置
KR100864262B1 (ko)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치
KR101237630B1 (ko) 이송장치의 이물질 집진장치
CN106477499A (zh) 带卧式护瓶指的单列上瓶输送装置
JP2019000782A (ja) 真空濾過装置および真空濾過方法
KR101317408B1 (ko) 슬러지 이송용 벨트 컨베이어
KR20030018699A (ko) 반도체 패키지의 세척장치
JP2005239426A (ja) 供給コンベヤ
KR101545260B1 (ko) 기판 이송 장치
JP2001335995A5 (ko)
KR0164141B1 (ko) 반도체 매거진 세척장치
JP2006248748A (ja) 搬送装置の搬送物分配構造
KR101620497B1 (ko) 연속 투입구조를 갖는 회전 브러쉬형 접시 세척장치
JP2002160822A (ja) 容器処理装置
CN104797513A (zh) 工件输送装置和工件输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