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367A -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6367A KR20130046367A KR1020120119001A KR20120119001A KR20130046367A KR 20130046367 A KR20130046367 A KR 20130046367A KR 1020120119001 A KR1020120119001 A KR 1020120119001A KR 20120119001 A KR20120119001 A KR 20120119001A KR 20130046367 A KR20130046367 A KR 201300463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ain body
- cover
- key
- operation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7—Switches, knob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96—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interface or conso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otating or tilt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부 유닛의 본체로의 부착 구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조작부 유닛이 본체에 부착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에 있어서, 조작 키를 구비한 조작부 유닛이 본체에 대해, 외장 커버의 본체로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방법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외장 커버 본체에 장착되면 조작부 유닛의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조작 키와 외장 커버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춰진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키를 갖는 조작부 유닛을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 및 이 부착 구조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키를 갖는 조작부 유닛은 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키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각종 기능은 실현된다.
또 상기한 조작부 유닛은, 통상, 키와 대응하는 위치에 키 구멍이 형성된 외장 커버에 의해 덮여져 있다. 상기한 키 구멍을 통해, 조작부 유닛 중 키만이 외부에 노출된다.
이러한 전자 기기의 조립에 관해서는, 조작부 유닛이 본체에 부착된 후에, 외장 커버가 본체에 장착되는 구조(이하, 「제1 구조」라고 칭한다)와, 조작부 유닛이 외장 커버에 부착된 후에, 외장 커버가 본체에 장착되는 구조(이하, 「제2 구조」라고 칭한다)가 알려져 있다.
상기 제1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는, 조작부 유닛과 외장 커버는, 본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외장 커버에 대한 키의 위치 정밀도는 산출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외장 커버의 키 구멍과 키의 간격을 조금 크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키에 덜컹거림이 발생하여, 조작 감각은 열화된다.
이에 반해, 상기 제2 구조를 채용하면, 조작부 유닛은 외장 커버에 직접 부착된다. 그 때문에, 외장 커버에 대한 키의 위치 정밀도는 산출하기 쉽다. 그러나 제2 구조에서는, 조작부 유닛과 본체측의 전장 부품의 결선 등의 배선 처리는, 조작부 유닛이 부착된 외장 커버가 본체에 장착된 후에 행해진다. 그 때문에, 배선 개소가 외장 커버에 의해 덮여지는 경우에는, 배선 처리가 극히 곤란하다.
본 개시에 따른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는, 조작부 유닛과, 조작부 유닛이 부착되는 본체와, 조작부 유닛을 덮도록 본체에 장착되는 외장 커버를 구비한다. 조작부 유닛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를 갖는다. 조작부 유닛은, 본체에 대해 조작부 유닛이 외장 커버의 본체로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으로 본체에 부착된다. 조작부 유닛이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외장 커버가 본체에 장착되면, 조작부 유닛의 슬라이드가 규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키와 외장 커버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춰지는 것이 가능해져, 조작 키의 조작성이나 장치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또 장치의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의 우측 전부 부근을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과 플랫 케이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을 부착한 본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상이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의 우측 전부 부근을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과 플랫 케이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을 부착한 본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 상이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에 대해, 도 1~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상부 커버의 우측 전부 부근을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와 조작부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과 플랫 케이블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조작부 유닛을 부착한 본체 프레임을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있어서의 좌측 방향의 면을 프린터(1)의 정면측(앞쪽)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린터(1)는, 직육면체형상의 프린터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 본체(2)의 좌우 양면에는, 각각 좌측 커버(3)와 우측 커버(4)(이하, 「좌우 커버(3, 4)」라고 칭한다)가 장착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2)의 상면에는, 외장 커버로서의 상부 커버(6)가 장착되어 있다.
좌우 커버(3, 4)의 상연부(上緣部)에는, 각각 삽입편(5)(도 2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2)의 좌우 양면에 장착된 좌우 커버(3, 4)에 대해, 상부 커버(6)는 위쪽으로부터 프린터 본체(2)에 장착된다. 좌우 커버(3, 4)의 삽입편(5)은 상부 커버(6)의 하연부(下緣部)의 내측에 끼워넣어지며, 이에 의해, 좌우 커버(3, 4)의 프린터 본체(2)에 대한 착탈은 규제된다.
상부 커버(6)는, 좌우 한쌍의 비스(도시 생략)에 의해 프린터 본체(2)의 상부에 부착되며, 이에 의해, 상부 커버(6)의 프린터 본체(2)에 대한 착탈은 규제되어 있다.
상부 커버(6)의 상면에는,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배지 트레이(8)가 설치되어 있다. 배지 트레이(8)의 뒤쪽에 있어서, 프린터 본체(2)에는 배지 유닛(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 본체(2)의 내부에서 토너상이 전사 및 정착된 용지는, 배지 유닛(10)을 통해 배지 트레이(8) 상에 배출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6)에는, 배지 트레이(8)의 좌우 양측에 돌출편(11)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돌출편(11)의 상면 전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삽입 통과부(12)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 통과부(12)에는, 상하 방향의 축선을 갖는 3개의 커버측 키 구멍(13a~13c)이 관통하고 있다. 커버측 키 구멍(13a~13c)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전단의 커버측 키 구멍(13a)과 중앙의 커버측 키 구멍(13b)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단의 커버측 키 구멍(13c)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부(12)의 하면(14)에 있어서, 전단의 커버측 키 구멍(13a)의 주위에는, 커버측 걸어맞춤부로서의 원환형상의 끼워맞춤 돌기(15a)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커버측 키 구멍(13b)의 주위에는, 원환형상의 돌기(15b)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의 커버측 키 구멍(13c)의 주위에는, 커버측 걸어맞춤부로서의 직사각형 틀형상의 끼워맞춤 돌기(15c)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2)의 우측 상단부의 전부에는, 상부 커버(6)의 우측의 돌출편(11)에 덮여지는 위치에 조작부 유닛(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5~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 유닛(16)은, 조작부 프레임(17)과, 조작부 프레임(17)의 하면을 덮는 기판(18)과, 조작부 프레임(17)에 장착되는 3개의 키(20a~20c)를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 프레임(17)의 우측 전단부와 후부에는, 아래쪽을 향해 신장되는 훅(조작부측 부착부)(21a, 21b)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 전단부의 훅(21a)은 앞쪽을 향하고 있으며, 후부의 훅(21b)은 뒤쪽을 향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훅(21a, 21b)은, 프린터 본체(2)의 일부를 이루는 본체 프레임(22)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23a, 23b)(본체측 부착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각 걸어맞춤 구멍(23a, 23b)의 전후폭 및 좌우폭은, 각 훅(21a, 21b)의 전후폭 및 좌우폭보다 크다.
도 5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부 프레임(17)에는, 상하 방향의 축선을 갖는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이 관통하고 있다. 각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전단의 조작부측 키 구멍(24a)과 중앙의 조작부측 키 구멍(24b)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단의 조작부측 키 구멍(24c)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프레임(17)의 상면에 있어서, 전단의 조작부측 키 구멍(24a)의 주위에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로서의 원환형상의 끼워맞춤 돌기(25a)가 형성되어 있다. 후단의 조작부측 키 구멍(24c)의 좌우 양측에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로서의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직선형상의 끼워맞춤 돌기(25c)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조작부측 키 구멍(24b)의 주위에는 끼워맞춤 돌기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18)의 상면에는 스위치(26a~26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6a~26c)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전단의 스위치(26a)와 중앙의 스위치(26b)는, 기판(18)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단의 스위치(26c)는 기판(18)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후단의 스위치(26c)의 우측에 있어서, 기판(18)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에는 LED(27)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18)은, 전선으로서의 플랫 케이블(30)(도 8 참조), 및 커넥터(도시 생략)를 통해, 프린터 본체(2)에 수납된 전장 부품(예를 들면, 전원 기판)과 접속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30)은 상부 커버(6)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각 키(20a~20c)는 모두 누름 버튼형이며,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전단의 키인 스타트 키(20a)는, 예를 들면, 유지 보수 후에 프린터(1)를 재스타트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스타트 키(20a)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키인 캔슬 키(20b)는, 예를 들면, 인쇄를 중지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캔슬 키(20)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단의 키인 에너지 절약 모드 키(20c)는, 예를 들면, 저속 인쇄(에너지 절약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에너지 절약 모드 키(20c)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너지 절약 모드 키(20c)가 ON되면, LED(27)는 점등한다.
도 6,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키(20a~20c)의 하단부에는 다리(31a~31c)가 설치되어 있다. 각 키(20a~20c)가 눌러지면, 다리(31a~31c)는 기판(18)의 상면에 접촉하고, 그리고 각 키(20a~20c)가 과도하게 눌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각 키(20a~20c)에는, 기판(18)의 각 스위치(26a~26c)와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부(32a~32c)가 설치되어 있다. 각 키(20a~20c)가 눌러지면, 이에 따라, 누름부(32a~32c)는 각 스위치(26a~26c)를 누른다. 이에 의해, 각 스위치(26a~26c)는 ON된다.
각 키(20a~20c)는, 조작부 프레임(17)의 각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5a)는, 스타트 키(20a)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돌기(25c)는, 에너지 절약 모드 키(20c)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5 등 참조). 각 키(20a~20c)는, 상부 커버(6)의 각 커버측 키 구멍(13a~13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되어 있다. 각 키(20a~20c)는, 각 커버측 키 구멍(13a~13c)을 통해 상부 커버(6)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상부 커버(6)가 프린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각 키(20a~20c)를 누름 조작하는 것은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측 키 구멍(13a~13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각 키(20a~20c) 주위의 간극(도 6의 화살표 α 참조)에 비해,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각 키(20a~20c) 주위의 간극(도 6의 화살표 β 참조)이 보다 넓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1)의 조립 순서의 일례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훅(21a, 21b)을 걸어맞춤 구멍(23a, 23b)에 걸어맞춤으로써, 조작부 유닛(16)은 프린터 본체(2)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이, 각 걸어맞춤 구멍(23a, 23b)의 전후폭 및 좌우폭은, 각 훅(21a, 21b)의 전후폭 및 좌우폭보다 크다. 그 때문에, 훅(21a, 21b)을 걸어맞춤 구멍(23a, 23b)에 걸어맞춘 경우에, 조작부 유닛(16)은, 프린터 본체(2)에 대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에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부 유닛(16)은, 프린터 본체(2)에 대해 완전한 위치 결정은 되어 있지 않다. 요컨대 조작부 유닛(16)은, 프린터 본체(2)에 대해 조작부 유닛(16)이 상부 커버(6)의 프린터 본체(2)로의 장착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방법으로 프린터 본체(2)에 부착된다. 이 상태로, 조작부 유닛(16)과 프린터 본체(2) 내의 전장 부품의 결선 등의 배선 처리는 행해진다.
다음에 상부 커버(6)는, 프린터 본체(2)에 위쪽으로부터 씌워지도록 하여 장착된다. 이 장착에 따라,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6)의 전단의 끼워맞춤 돌기(15a)는, 조작부 유닛(16)의 전단의 끼워맞춤 돌기(25a)의 내측에 끼워맞춰진다. 또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6)의 후단의 끼워맞춤 돌기(15c)는, 조작부 유닛(16)의 후단의 끼워맞춤 돌기(25c)의 내측에 끼워맞춰진다. 상부 커버(6)의 각 끼워맞춤 돌기(15a, 15c)와 조작부 유닛(16)의 각 끼워맞춤 돌기(25a, 25c)의 끼워맞춤에 의해, 조작부 유닛(16)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슬라이드는 규제된다. 이에 의해, 조작부 유닛(16)은 상부 커버(6)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프린터(1)의 조립은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작부 유닛(16)이 프린터 본체(2)에 부착된 후에, 상부 커버(6)는 프린터 본체(2)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조작부 유닛(16)과 프린터 본체(2) 내의 전장 부품의 결선 등의 배선 처리가 행해진 후에, 상부 커버(6)가 프린터 본체(2)에 장착되는 것은 가능하다. 그 때문에, 상기의 배선 처리가 상부 커버(6)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배선 처리 및 조립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조작부 유닛(16)이 본체(프린터 본체)(2)에 부착된 후에, 외장 커버(상부 커버)(6)는 본체(2)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조작부 유닛(16)과 본체(2)측의 전장 부품의 결선 등의 배선 처리가 행해진 후에, 외장 커버(6)가 본체(2)에 장착되는 장착 순서를 채용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의 배선 처리가 외장 커버(6)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배선 처리 및 조립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도 또한 가능해진다.
또 끼워맞춤 돌기(15a, 15c)와 끼워맞춤 돌기(25a, 25c)의 끼워맞춤 위치에 따라, 조작부 유닛(16)은 상부 커버(6)에 대해 직접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상부 커버(6)에 대한 조작부 유닛(16)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이에 따라, 키(20a~20c)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는 것, 및 조작 감각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외장 커버(6)가 본체(2)에 장착될 때에, 조작부 유닛(16)은 외장 커버(6)에 대해 직접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외장 커버(6)에 대한 조작부 유닛(16)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키(20a~20c)의 덜컹거림을 억제하는 것, 및 조작 감각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또한 가능해진다.
또 조작부 유닛(16)과 프린터 본체(2) 내의 전장 부품의 결선 등의 배선 처리가 행해진 후에, 상부 커버(6)는 프린터 본체(2)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배선 처리에 필요해지는 플랫 케이블(30) 등의 전선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다.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 프레임(17)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로서의 끼워맞춤 돌기(25a, 25c)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가, 예를 들면, 각 키(20a~20c)에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은 가능하다. 그 때문에, 조작부 유닛(16)의 끼워맞춤 돌기(25a, 25c)에 대해, 상부 커버(6)의 끼워맞춤 돌기(15a, 15c)를 확실하게 끼워맞추는 것은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 유닛(16)은 키(20a~20c)를 장착 가능한 조작부 프레임(17)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프레임(17)은,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25a, 25c))를 구비하고 있다. 외장 커버(6)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커버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15a, 15c))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유닛(16)이 본체(2)에 부착된 상태로 외장 커버(6)가 본체(2)에 장착될 때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25a, 25c))와 커버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15a, 15c))는 걸어맞춰져, 조작부 유닛(16)의 슬라이드는 규제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키(20a, 20c)가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은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25a, 25c))에 커버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15a, 15c))를 확실하게 걸어맞추는 것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측 키 구멍(13a~13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각 키(20a~20c) 주위의 간극에 비해,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각 키(20a~20c) 주위의 간극이 보다 넓다. 그 때문에, 상부 커버(6)와 각 키(20a~20c)의 간극은 외측에서 눈에 띄기 어려우며, 이에 의해, 외관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커버측 키 구멍(13a~13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각 키(20a~20c) 주위의 간극과,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에 헐겁게 삽입된 각 키(20a~20c) 주위의 간극이 동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각 키(20a~20c)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점은 발생하기 어렵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 커버(6)는 키(20a~20c)가 여유를 갖고 삽입 가능한 커버측 키 구멍(13a~13c)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유닛(16)은, 키(20a~20c)가 여유를 갖고 삽입 가능한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측 키 구멍(13a~13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키(20a~20c) 주위의 간극보다,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키(20a~20c) 주위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커버측 키 구멍(13a~13c) 및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외장 커버(6)와 키(20a~20c)의 간극은 외측에서 눈에 띄기 어려워, 외관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또 커버측 키 구멍(13a~13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키(20a~20c) 주위의 간극보다, 조작부측 키 구멍(24a~24c)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키(20a~20c) 주위의 간극이 넓음으로써, 예를 들면, 양 간극을 서로 동일하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키(20a~20c)의 동작 불량 등의 문제점을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랫 케이블(30)은 상부 커버(6)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랫 케이블(30)이 외부에서 시인(視認)되는 것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며,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 케이블(30)이 상부 커버(6)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부 커버(6)가 프린터 본체(2)에 장착된 후에 배선 처리를 행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선 처리가 행해진 후에, 상부 커버(6)가 프린터 본체(2)에 장착되는 장착 순서를 채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배선 처리가 행해진 후에, 상부 커버(6)에 의해 플랫 케이블(30)이 덮여지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부 유닛(16)은 본체(2)에 수납되는 전장 부품과 전선(플랫 케이블(30))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전선은, 외장 커버(6)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장 커버(6)에 의해 전선(플랫 케이블(30))을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선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간이한 구성에 의해 방지하는 것은 가능해지며,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선이 외장 커버(6)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외장 커버(6)가 본체(2)에 장착된 후에 배선 처리를 행하는 것은 극히 곤란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처리가 행해진 후에, 외장 커버(6)가 본체(2)에 장착되는 장착 순서를 채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 때문에, 배선 처리가 행해진 후에, 외장 커버(6)에 의해 전선이 덮여지는 것은 문제가 없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끼워맞춤 돌기(25a, 25c)는, 3개의 키(20a~20c) 중 전후 양단의 키(20a, 20c)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끼워맞춤 돌기(15a)와 끼워맞춤 돌기(25a)의 끼워맞춤 위치와, 끼워맞춤 돌기(15c)와 끼워맞춤 돌기(25c)의 끼워맞춤 위치를 최대한 이격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이에 의해, 조작부 유닛(16)과 상부 커버(6)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키는 조작부 유닛(16)에 복수개 병설된다. 복수개의 키(20a~20c) 중 양단의 키(20a, 20c)는, 그 둘레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25a, 25c))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조작부 유닛(16)과 외장 커버(6)의 위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작부 프레임(17)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로서의 끼워맞춤 돌기(25a, 25c)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타트 키(20a) 등의 키 자체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로서의 끼워맞춤 돌기(33)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키는 상부 커버(6)에 대해 직접 위치 결정되고, 따라서 상부 커버(6)에 대한 키의 위치 정밀도는 산출하기 쉬워진다.
바꿔 말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키(20a)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33))를 구비하며, 외장 커버(6)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커버측 걸어맞춤부(끼워맞춤 돌기(15a))를 구비한다. 조작부 유닛(16)이 본체(2)에 부착된 상태로 외장 커버(6)가 본체(2)에 장착될 때에,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와 커버측 걸어맞춤부는 걸어맞춰져, 조작부 유닛(16)의 슬라이드는 규제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키는 외장 커버(6)에 대해 직접 위치 결정되고, 따라서 외장 커버(6)에 대한 키의 위치 정밀도는 산출하기 쉬워진다.
본 개시에 의하면, 키의 덜컹거림을 억제하여 조작 감각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배선 처리가 용이하고 그리고 조립이 쉬운,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은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조작되는 누름 버튼형의 키(20a~20c)가 이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레버형의 키나, 회전 조작되는 다이얼형의 키 등, 다른 상이한 타입의 키는 이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타트 키(20a), 캔슬 키(20b), 에너지 절약 모드 키(20c)의 3개의 키가 조작부 유닛(16)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자 기기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에 따라, 키의 수를 증감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타트 키(20a) 및 캔슬 키(20b)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에너지 절약 모드 키(20c)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키의 형상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모든 키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 모든 키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형상 등의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커버(6)에 의해 조작부 유닛(16)이 덮여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부 커버(6) 이외의 좌우 커버(3, 4) 등의 외장 커버에 의해 조작부 유닛(16)이 덮여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에 본 개시의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다른 상이한 화상 형성 장치에 본 개시의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DVD 리코더 등의 화상 형성 장치 이외의 전자 기기에 본 개시의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Claims (12)
-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를 갖는 조작부 유닛과, 상기 조작부 유닛이 부착되는 본체와, 상기 조작부 유닛을 덮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외장 커버를 구비한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로서,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조작부 유닛이 상기 외장 커버의 상기 본체로의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으로 상기 본체에 부착되며,
상기 조작부 유닛이 상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 유닛의 상기 슬라이드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키를 장착 가능한 조작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프레임은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측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유닛이 상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와 상기 커버측 걸어맞춤부는 걸어맞춰져, 상기 조작부 유닛의 상기 슬라이드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키는 조작부측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측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 유닛이 상기 본체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외장 커버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조작부측 걸어맞춤부와 상기 커버측 걸어맞춤부는 걸어맞춰져, 상기 조작부 유닛의 상기 슬라이드는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조작부 유닛에 복수개 병설되고, 상기 복수개의 키 중 양단의 키 둘레에, 상기 조작부측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조작부 유닛에 복수개 병설되고, 상기 복수개의 키 중 양단의 키 둘레에, 상기 조작부측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키가 여유를 갖고 삽입 가능한 커버측 키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키가 여유를 갖고 삽입 가능한 조작부측 키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측 키 구멍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상기 키 주위의 간극보다, 상기 조작부측 키 구멍에 여유를 갖고 삽입된 상기 키 주위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상기 커버측 키 구멍 및 상기 조작부측 키 구멍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본체에 수납되는 전장 부품과 전선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외장 커버에 의해 덮여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키를 장착 가능한 조작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프레임에는, 상기 키에 대응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기판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에 상기 전선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키를 장착 가능한 조작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프레임에는, 상기 조작부 유닛이 상기 본체에 대해 일정한 범위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부착하기 위한 걸어맞춤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위쪽으로부터 장착되는 상부 커버이며,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에서 화상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 트레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측면 커버가 부착되고, 상기 측면 커버의 상연(上緣)에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연(下緣) 내측에 끼워넣어지는 삽입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236093A JP5544347B2 (ja) | 2011-10-27 | 2011-10-27 | 操作部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
JPJP-P-2011-236093 | 2011-10-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6367A true KR20130046367A (ko) | 2013-05-07 |
KR101482316B1 KR101482316B1 (ko) | 2015-01-13 |
Family
ID=4751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119001A KR101482316B1 (ko) | 2011-10-27 | 2012-10-25 |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042771B2 (ko) |
EP (1) | EP2595369B1 (ko) |
JP (1) | JP5544347B2 (ko) |
KR (1) | KR101482316B1 (ko) |
CN (1) | CN103096660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37821B2 (ja) * | 2015-04-06 | 2018-06-06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電子機器 |
JP6489975B2 (ja) * | 2015-08-25 | 2019-03-27 | リンナイ株式会社 | 要素部材の取付構造 |
USD827705S1 (en) | 2015-09-24 | 2018-09-04 | Glowforge Inc. | Desktop laser cutter |
JP6518905B2 (ja) * | 2015-11-18 | 2019-05-29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スイッチの位置決め構造 |
JP6758972B2 (ja) | 2016-07-20 | 2020-09-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7186664B2 (ja) * | 2019-05-14 | 2022-12-09 | リンナイ株式会社 | ガスコンロ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113551U (ko) * | 1978-01-27 | 1979-08-09 | ||
JPS58117759A (ja) * | 1981-12-31 | 1983-07-13 | Anritsu Corp | 電話機 |
JPS6370629U (ko) * | 1986-10-29 | 1988-05-12 | ||
US5413427A (en) * | 1993-11-09 | 1995-05-09 | Hewlett-Packard Company | Printer architecture structure |
JPH10334761A (ja) * | 1997-06-04 | 1998-12-18 | Brother Ind Ltd |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の取付け構造 |
JPH11306903A (ja) * | 1998-04-23 | 1999-11-05 | Canon Inc | 操作パネル |
JP3815559B2 (ja) * | 2002-10-04 | 2006-08-30 | ヤマハ株式会社 | 電子装置 |
JP4529391B2 (ja) * | 2003-07-22 | 2010-08-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カバーの位置決め方法 |
JP4361386B2 (ja) | 2004-01-30 | 2009-11-11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部品固定機構 |
JP4302024B2 (ja) * | 2004-09-17 | 2009-07-22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ボタン構造、携帯型電子装置 |
JP2006295885A (ja) * | 2005-03-14 | 2006-10-26 | Seiko Epson Corp | 操作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制御機器 |
JP4610004B2 (ja) * | 2005-07-07 | 2011-01-12 | 株式会社リコー | 押しボタン機構、操作パネル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7042431A (ja) * | 2005-08-03 | 2007-02-15 | Funai Electric Co Ltd | 操作ボタンの取り付け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CN101026894B (zh) * | 2007-03-15 | 2011-06-29 | 成都统领万达工贸有限公司 | 一种多功能移动式音响 |
US8232493B2 (en) * | 2007-07-02 | 2012-07-31 | Pentax Ricoh Imaging Company, Ltd. | Operating device |
US7762817B2 (en) * | 2008-01-04 | 2010-07-27 | Apple Inc. | System for coupling interfacing parts |
JP2010062683A (ja) * | 2008-09-01 | 2010-03-18 | Smk Corp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
JP5359763B2 (ja) * | 2009-10-16 | 2013-12-04 |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電子機器の操作ボタン取付構造 |
-
2011
- 2011-10-27 JP JP2011236093A patent/JP5544347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10-22 CN CN201210402873.6A patent/CN103096660B/zh active Active
- 2012-10-22 EP EP12189477.8A patent/EP2595369B1/en active Active
- 2012-10-25 KR KR20120119001A patent/KR1014823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0-25 US US13/660,807 patent/US9042771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95369B1 (en) | 2020-01-08 |
EP2595369A3 (en) | 2015-07-01 |
JP2013092731A (ja) | 2013-05-16 |
US20130108317A1 (en) | 2013-05-02 |
CN103096660B (zh) | 2015-11-18 |
US9042771B2 (en) | 2015-05-26 |
KR101482316B1 (ko) | 2015-01-13 |
JP5544347B2 (ja) | 2014-07-09 |
CN103096660A (zh) | 2013-05-08 |
EP2595369A2 (en) | 2013-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46367A (ko) | 조작부 유닛의 부착 구조 및 화상 형성 장치 | |
US8469529B2 (en) | Display device | |
JP2010083210A (ja) | 車両室内用光源装置 | |
CN103140091B (zh) | 按键机构及其电子装置 | |
JP2006210191A (ja) |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 |
EP2157844B1 (en) |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 |
JP5209448B2 (ja) | 車両用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 |
CN210069949U (zh) | 烹饪器具 | |
JP3093293U (ja) | 多連スイッチノブ取付構造 | |
JP5907159B2 (ja) | 新旧電子ユニットの誤組付防止構造 | |
JP5299495B2 (ja) | 電子機器 | |
JP3093877U (ja) | 電気機器の基板取付構造 | |
KR20220157197A (ko) | 버튼장치 | |
JPH1031930A (ja) | キートップの固定構造 | |
KR20060121007A (ko) | 전자기기용 노브설치구조 | |
CN104576146A (zh) | 汽车按转遥控开关总成 | |
KR101297992B1 (ko) | Pcb 모듈 | |
JP2005243399A (ja) | 操作ボタン及び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気機器 | |
KR101152371B1 (ko) | 드럼세탁기 컨트롤패널 어셈블리의 버튼 장착구조 | |
JP2012243633A (ja) | キー取付構造 | |
KR20100005183U (ko) | 푸시 스위치 유니트 | |
KR20070053994A (ko) | 디스플레이장치용 상표블록 및 조작블록의 장착구조 | |
JP2006269372A (ja) | ナースコール装置のプレート子機組立構造 | |
JP2005216576A (ja) | 操作ボタン及び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気機器 | |
KR19990030820U (ko) | 전기제품의 전원 스위치 고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