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183U - 푸시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183U
KR20100005183U KR2020080015029U KR20080015029U KR20100005183U KR 20100005183 U KR20100005183 U KR 20100005183U KR 2020080015029 U KR2020080015029 U KR 2020080015029U KR 20080015029 U KR20080015029 U KR 20080015029U KR 20100005183 U KR20100005183 U KR 20100005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ovable
movable block
switc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487Y1 (ko
Inventor
이병록
최현철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8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13/32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one end of spring being fixedly connected to the stationary or movable part of the switch and the other end reacting with a movable or stationary rigid member respectively through pins, cams, toothed, or other shaped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결합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가동 노브와, 상기 가동 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블록을 구비하는 스위치 가동부; 상기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가동 접점과 상기 베이스 기판부에 배치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치 접점부; 상기 가동 블록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각각 일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가동부의 가동 상태를 절환시키는 스위치 가동 캠;을 구비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유니트{PUSH SWITCHING UNIT}
본 고안은 스위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조의 푸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푸시 타입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축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리 스위치들이외에도 단순한 동작, 즉 푸시 동작에 의하여 가동되는 푸시 스위치 타입의 버튼 스위치도 있는 등, 스위치류에 대한 활발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 스위치의 경우, 푸시 상태의 선택, 즉 가동 상태 및 원위치 상태로의 절환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하트 캠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하트 캠 푸시 스위치 절환 구조의 경우 일체화되지 않은 구성으로 인하여 조립시 상당한 집중력을 요하므로 작업 속도 저감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일체화된 캠을 구비하는 푸시 타입의 푸시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결합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가동 노브와, 상기 가동 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블록을 구비하는 스위치 가동부; 상기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가동 접점과 상기 베이스 기판부에 배치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치 접점부; 상기 가동 블록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각각 일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가동부의 가동 상태를 절환시키는 스위치 가동 캠;을 구비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푸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 캠은: 상기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가동 블록 캠과, 상기 가동 블록 캠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 바디에 배치되는 캠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푸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 캠은 상기 가동 블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캠 연장부와, 상기 캠 연장부의 단부로 상기 캠 대응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푸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캠 대응부는: 상기 스위치 접점부가 해제된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동 노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동 블록 캠과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경사진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과, 상기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가동 노브의 가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캠 대응 돌기 걸림면을 구비하는 캠 대응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푸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캠 대응부는: 상기 가동 노브에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캠 대응 돌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캠 대응 돌기 리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푸시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의 일면에는 가동 블록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 상기 가동 블록 가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바디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는, 가동 블록 및/또는 하우징 바디와의 일체화된 배치로 인하여 작업 속도 증대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는, 가동 블록 및 하우징 바디에 일체화되어 형성된 가동 블록 캠과 캠 대응부를 통하여 단일의 공정을 통해 생산 가능하므로 현저한 원가 절감을 수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 및 도 4에는 다른 시점에 따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의 가동 블록(420) 및 하우징 바디(1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되는 하기되는 캠 대응부(520)는 절개되어 노출된 형상으로 투영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하우징 바디(110)의 외면은 폐쇄된 형상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100)과 베이스 기판부(200)와 스위치 가동부(400)와 스위치 접점부(600)와 스위치 가동 캠(500)을 구비하는데, 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스위치 가동부(400)가 가동됨에 따르 스위치 접점부(600)의 접촉 상태 변화로 인한 전기적 신호가 절환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포함하는데, 하우 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바디(110)에는 바디 관통구(111)가 구비되는데, 바디 관통구(111)를 통하여 하기되는 가동 블록(410)이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10)의 외측에는 바디 장착부(113)가 구비되는데, 바디 장착부(113)는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장착부(123)와 체결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하우징 바디(110)의 외측과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측에는 바디 장착 가이드(115)와 베이스 장착 가이드(125)가 구비되는데, 이들은 서로 맞물리어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의 맞물림을 안내하여 양자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 베이스(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110)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데, 하우징 베이스(120)의 일측에는 베이스 커넥터(127)가 일체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베이스 커넥터(127)는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 공정의 간결로 인한 생산 원가 절감 효과를 수반할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부(200)는 각종 배선 라인(미도시)이 배치되어 하기되는 전기 요소들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베이스 기판부(200)는 하우징 베이스(120)에 배치되어 전기적 신호 변화는 베이스 커넥터(127)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부(200)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하우징 베이스(12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경우에 따라 별개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는 스위치 램프(3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스위치 램프(300)는 하우징 베이스(120),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기판부(200)에 배치되어 베이스 커넥터(1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원에 의하여 작동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헤드 램프 또는 미등을 점등시키는 경우 동시에 전원이 베이스 커넥터(127)를 통하여 인가됨으로써, 소정의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램프(300)는 LED가 사용되었으나, 빛을 출력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기술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스위치 램프(30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전달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스위치 램프 프리즘(31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스위치 램프 프리즘(310)은 가동 블록(420)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램프 프리즘(310)의 선단에는 프리즘 돌기(311)가 구비되고 이는 하기되는 가동 노브(410)에 형성된 프리즘 돌기 관통구(4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스위치 가동부(400)는 가동 노브(410)와 가동 블록(420)을 포함하는데, 가동 노브(410)와 가동 블록(420)은 서로 체결된다. 가동 노브(41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반면, 가동 블록(420)은 하우징(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가동 블록(420)은 가동 블록 관통구(421)를 구비하는데, 가동 블록 관통구(42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으로 인하여 베이스 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램프(300)와 같은 구성요소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가동 블록(420)에 형성된 가동 블록 관통구(421)의 외측에는 가동 블록 프리즘 수용부(423)가 구비되는데, 가동 블록 프리즘 수용부(423)에는 상기한 스위치 램프 프리즘(310)이 수용 배치된다. 가동 블록 프리즘 수용부(423)는 가동 블록 관통 구(421)와 소통되어 가동 블록 관통구(421)에 배치되는 스위치 램프(300)로부터의 빛이 가동 블록 프리즘(310)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동 블록(420)의 단부에는 가동 블록 탄성부 수용구(425, 도 3 참조)가 구비되는데, 가동 블록 탄성부 수용구(425)에는 가동 블록 탄성부(430)가 배치된다. 코일 타입으로 구성되는 가동 블록 탄성부(430)는 가동 블록 탄성부 수용구(425)에 수용되는데, 가동 블록 탄성부 수용구(425)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에는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스톱퍼(440)가 구비된다.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스톱퍼(440)는 하우징 바디(120)의 단부 측에 배치되는데,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스톱퍼(440)는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스톱퍼 플레이트(445)와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수용 돌기(441)를 포함하는데,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플레이트(445)는 하우징 바디(120)의 단부에 배치된다.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플레이트(445)의 일면으로 가동 블록(420)을 향한 일면 상에는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수용 돌기(441)가 연장 형성되는데,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수용 돌기(441)는 바디 가동 블록 탄성 수용부(443)를 형성한다. 바디 가동 블록 탄성 수용부(443)에는 가동 블록 탄성부(430)의 일단이 수용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 블록 탄성부는 코일 타입 스프링으로 구현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가동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가동 블록(420)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420)의 외면에 가동 블록 가이드가 더 구비되고, 가동 블록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의 일면에는 바디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 있는데, 가동 블록 가이드는 가동 블록 사이드 가이드(427) 및 가동 블록 톱 가이드(428)를 포함한다. 가동 블록 사이드 가이드(427)는 가동 블록(420)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가동 블록 톱 가이드(428)는 가동 블록(420)의 상면에 배치되는데, 가동 블록 사이드 가이드(427) 및 가동 블록 톱 가이드(428)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블록 사이드 가이드(427) 및 가동 블록 톱 가이드(428)에 대응되는 바디 사이드 가이드 대응부(117)와 바디 톱 가이드 대응부(118)가 배치된다. 즉,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동 블록 사이드 가이드(427) 및 가동 블록 톱 가이드(428)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측면에는 요홈 타입의 바디 사이드 가이드 대응부(117)와 바디 톱 가이드 대응부(118)가 배치된다. 따라서, 가동 블록(420)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경우, 이들의 맞닿음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가동 블록(420)은 하우징(10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상대 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블록 사이드/톱 가이드는 돌기 구조로 그리고 바디 가동 블록 사이드/톱 가이드 대응부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이들 중 어느 한 쌍이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가동 블록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가동 블록(420)의 일면 상에는 가동 블록 스톱퍼(429)가 형성되고 가동 블록 스톱퍼(429)의 대응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면에는 바디 스톱퍼 대응부(119)가 구비된다.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는 가동 블록 스톱퍼(429)는 하우징 바디(120)의 내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데, 바디 스톱퍼 대응부(119)는 돌기 형상의 가동 블록 스톱퍼(429)의 가동시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바디 스톱퍼 대응부(119)의 일측에는 바디 스톱퍼(119a)가 구비되는데, 바디 스톱퍼(119a)는 바디 스톱퍼 대응부(119)의 일측으로부터 가동 블록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가동 블록 스톱퍼(429)와의 접촉을 통하여 가동 블록(420)이 가동 블록 탄성부(430)에 의하여 원치 않게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스톱퍼 대응부(119)의 일 내측단은 가동 블록 스톱퍼(429)와 접촉하여 상기 가동 노브(410)의 과도한 인입에 의한 구성요소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스위치 접점부(600)는 스위치 가동 접점(610)과 스위치 고정 접점(620) 및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63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가동 접점(610)은 가동 블록(420)의 하면에 배치된다. 가동 블록(420)의 하면에는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630)를 수용하는 가동 접점 탄성 수용부(미도시)가 구비되는데, 가동 접점 탄성 수용부의 내부에 스위치 가동 접점 탄성부(630)가 수용되어 스위치 가동 접점(6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위치 가동 접점(610)의 대응되는 위치로 베이스 기판부(200)에는 스위치 고정 접점(620)이 배치되는데, 가동 블록(420)이 가동됨에 따라 스위치 가동 접점(610)과 스위치 고정 접점(620)의 접점 위치 변동에 의하여 사전 설정된 전기적 신호의 절환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에는 스위치 가동 캠(500)이 구비되는데, 스위치 가동 캠(500)은 가동 블록(420) 및 하우징 바디(120)에 배치되어 스위치 가동부(400)의 가동 상태를 절환시킨다. 즉, 스위치 가동 캠(500)의 작동에 의하여 가동 블록의 위치 상태가 결정됨으로써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과 베이스 기판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과의 접점 위치 변동에 따른 전기적 신호의 변화로 소정의 스위치 절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 가동 캠(500)은 가동 블록 캠(510)과 캠 대응부(520)를 구비하는데, 가동 블록 캠(510)은 가동 블록(420)에 배치되고 캠 대응부(520)는 가동 블록 캠(510)에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 바디(120)의 내면에 배치되는데, 이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 서로 반대되는 배치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변형이 가능하다. 가동 블록 캠(510)은 캠 연장부(511)와 캠 돌기(513)를 포함하는데, 캠 연장부(511)는 가동 블록(420)으로부터 가동 블록(42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캠 돌기(513)는 캠 연장부(511)의 단부로부터 캠 대응부(5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캠 대응부(520)는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과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을 포함하는데,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과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과 캠 돌기(513)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스위치 가동부(420)의 상태가 절환될 수 있다. 캠 대응부(520)는 캠 돌기(513)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내측면을 구비하는 요홈 구조를 취하는데, 캠 대응부(520)는 캠 대응 돌기(521)를 포함한다. 캠 대응 돌기(521)는 캠 대응부(52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데, 캠 대응 돌기(521)는 캠 돌기(513)의 진행 방향을 이루는 직선에 대하여 경사진 면을 구비하는 예각 구조로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블록(420)이 선 O-B와 평행한 방향으로 가동되고 선 O-A는 선 O-B와 직교 배치될 때, 캠 대응 돌기(521)의 외측면, 즉 캠 대응 돌기 가이드면(521a)과 선 O-A는 각도 α+β의 관계를 이루고, 캠 대응 돌기(521)의 내측면, 즉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과 선 O-A는 각도 β의 관계를 이루되, α+β는 90도 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캠 대응 돌기 가이드면(521a)는 스위치 접점부(600)가 해제된 정지 상태에서 가동 노브(4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동 블록 캠(510)과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는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캠 대응 돌기(521)를 형성하되 가동 노브(410)의 가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캠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에 접촉을 이루도록 하여 가동 블록의 가동 상태를 유지시켜 스위치 가동 접점과 스위치 고정 접점의 온 상태로의 접촉 유지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캠 대응부(520)는 캠 돌기(513)의 걸림으로 인한 접촉 유지 상태로부터 스위치 가동 접점과 스위치 고정 접점의 오프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원위치 복귀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대응부(520)는 캠 대응 돌기 리턴부(521c,521d,521e,521f)를 구비할 수 있는데, 캠 대응 돌기 리턴부(521c,521d,521e,521f)는 캠 대응 돌기(521)와 이격 배치된다. 캠 대응 돌기 리턴부(521c,521d,521e,521f)는 캠 대응 돌기 리턴 유도면(521c),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면(521d), 캠 대응 돌기 리턴 푸시 스톱퍼(521e),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 스톱퍼(521f)를 포함한다. 캠 대응 돌기 리턴 유도면(521c)는 가동 노브(4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캠 돌기(513)의 진행 방향으로 볼 때 캠 대응 돌기(52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캠 대응 돌기 리턴 유도면(521c)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딩 처리되어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동 노브(410)에 가해지는 경우 캠 돌기(513)가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으로 복귀되지 않고 가동 노브(410)의 원위치 복귀를 위한 경로를 따라 진행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캠 대응 돌기 리턴 유도면(521c)의 하부에는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면(521d)이 연장 직선으로 배치되는데,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면(521d)는 캠 돌기(513)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캠 돌기(513)가 가동 노브(410)의 가압 방향을 따라 직선 가동되도록 안내한다.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면(521d)의 하단에는 캠 대응 돌기 리턴 푸시 스톱퍼(521e)가 구비되는데, 캠 대응 돌기 리턴 푸시 스톱퍼(521e)는 캠 대응 돌기(513)의 과도한 진입을 방지하여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캠 대응 돌기 리턴 푸시 스톱퍼(521e)는 라운딩 처리되어 캠 돌기(513)와 캠 대응 돌기 리턴 푸시 스톱퍼(521e) 간의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캠 대응부(520)는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 스톱퍼(521f)를 구비하는데,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 스톱퍼(521f)는 캠 돌기(513)가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 스톱퍼(521e)와의 접촉 상태로부터 가동 노브(410)에 가해지는 가동 블록 탄성부(4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원위치 복귀를 이루는 경우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캠 돌기(513)가 원치 않게 캠 대응부(520)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스위치 가동 캠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투영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투영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접점부의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해제된 오프 모드의 원위치 상태인 경우, 가동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가이드면(521a)의 상단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후, 가동 노브(410)에 사용자에 의한 외력(P1)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은 가동 노브(410)로부터 가동 블록(420)으로 전달되고 외력(P1)이 가동 블록 탄성부(430)의 탄성 저항보다 큰 경우 가동 블록(420)은 바디 가동 블록 탄성부 스톱퍼(440)를 향하여 가동되는데, 이때 가동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을 따라 접촉 상태를 이루며 이동한다.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은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므로 캠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측력을 받는데, 캠 돌기(513)가 장착되는 캠 연장부(511)는 캔틸레버 타입의 외팔보로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므로 가해지는 측력이 제거되는 경우 캠 돌기(513)는 측방향으로 원위치 복귀된다. 즉, 외력(P1)이 지속적으로 가동 노브(410)에 가해져서, 캠 돌기(513)가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과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의 연결점으로서의 캠 대응 돌기(521)의 꼭지점을 넘어서는 경우, 캠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과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521a)에 의하여 제공되는 측력이 제거됨으로써 캠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에 수용 배치되어 지지됨으로써, 가동 블록(420) 및 가동 노브(410)는 푸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가동 블록(420)과 함께 가동되는 가동 접점(610)과 베이스 기판부(200) 상에 배치 되는 고정 접점(620) 간의 접속 상태 변화로 푸시 스위치 유니트(10)에 의하여 온 상태의 전기적 신호가 생성될 수도 있다.
그런 후, 사용자에 의하여 또 다른 외력(P2)이 제공되는 경우,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던 캠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과 캠 대응 돌기 리턴 유도면(521c)을 잇는 캠 대응부 측벽을 따라 이동한 후 지속되는 외력(P2)에 의하여 캠 대응 돌기 리턴 유도면(521c)와 접촉을 이루어 안정적으로 가동 블록(42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캠 대응 돌기 걸림면(521b)과 교차 투영되는 영역을 벗어나 푸시 상태로부터 안정적으로 벗어나게 된다(도 8 참조). 그런 후, 외력(P2)이 지속되는 경우 캠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면(521d)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한 후 캠 대응 돌기 리턴 푸시 스톱퍼(521e)와 접촉을 이루어 사용자로 하여금 촉각적으로 외력(P2)을 제거해야 할 위치를 인지시킬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가 외력(P2)을 제거하는 경우 가동 블록(420)은 가동 블록 탄성부(430)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 복귀되는데, 이때 가동 블록(420)에 배치된 캠 돌기(513)는 캠 대응 돌기 리턴 가이드 스톱퍼(521f)와의 접촉을 통하여 원치 않게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직되고 안정적으로 원위치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가동 블록 및 하우징 바디에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캠을 구비하는 범위에서 푸시 스위치 유니트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 가동 블록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 하우징 바디의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투영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푸시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200...베이스 기판부 300...스위치 램프
400...스위치 가동부 500...스위치 가동 캠
600...스위치 접점부

Claims (6)

  1.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와 결합되는 하우징 베이스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베이스에 배치되는 베이스 기판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가동 노브와, 상기 가동 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상대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블록을 구비하는 스위치 가동부;
    상기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가동 접점과 상기 베이스 기판부에 배치되는 고정 접점을 구비하는 스위치 접점부;
    상기 가동 블록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각각 일체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가동부의 가동 상태를 절환시키는 스위치 가동 캠;을 구비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동 캠은:
    상기 가동 블록에 배치되는 가동 블록 캠과,
    상기 가동 블록 캠과 마주하는 위치로 상기 하우징 바디에 배치되는 캠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 캠은 상기 가동 블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캠 연장부와,
    상기 캠 연장부의 단부로 상기 캠 대응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캠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대응부는:
    상기 스위치 접점부가 해제된 정지 상태에서 상기 가동 노브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동 블록 캠과 접촉 상태를 이루도록 경사진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과, 상기 캠 대응 돌기 가이드 면과 연속적으로 배치되되 상기 가동 노브의 가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캠 대응 돌기 걸림면을 구비하는 캠 대응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캠 대응부는:
    상기 가동 노브에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캠 대응 돌기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캠 대응 돌기 리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블록의 일면에는 가동 블록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면으로 상기 가동 블록 가이드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바디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2020080015029U 2008-11-11 2008-11-11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200465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029U KR200465487Y1 (ko) 2008-11-11 2008-11-11 푸시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029U KR200465487Y1 (ko) 2008-11-11 2008-11-11 푸시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83U true KR20100005183U (ko) 2010-05-20
KR200465487Y1 KR200465487Y1 (ko) 2013-02-21

Family

ID=4445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029U KR200465487Y1 (ko) 2008-11-11 2008-11-11 푸시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91Y1 (ko) * 2008-11-14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0387A (ja) 1996-05-29 1997-12-12 Niles Parts Co Ltd プッシュロックスイッチ装置
KR100348431B1 (ko) * 1999-07-27 2002-08-10 주식회사 신창전기 누름 작동형 스위치
KR100337480B1 (ko) 2000-07-14 2002-05-23 박재범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KR100854286B1 (ko) 2007-03-09 2008-08-2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연동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91Y1 (ko) * 2008-11-14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487Y1 (ko)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678Y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20130037398A1 (en) Switch
KR200465487Y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EP1909158B1 (en) Actuating element
JP5467880B2 (ja) スイッチ一体型ledランプ装置
KR200465491Y1 (ko) 푸시 스위치 장치
KR200467140Y1 (ko) 스위치 유니트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101110451B1 (ko)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39215Y1 (ko)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KR200469421Y1 (ko)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KR100854286B1 (ko) 연동 스위치
KR20110049552A (ko) 스위치 모듈 장치
KR200460898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200456539Y1 (ko) 스위치 유니트
KR20150106743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200471413Y1 (ko) 윈도우 록 스위치 유니트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110057689A (ko) 스위치 모듈
KR20210003498A (ko) 푸시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
KR200443468Y1 (ko) 미러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