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468Y1 - 미러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미러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468Y1
KR200443468Y1 KR2020070020115U KR20070020115U KR200443468Y1 KR 200443468 Y1 KR200443468 Y1 KR 200443468Y1 KR 2020070020115 U KR2020070020115 U KR 2020070020115U KR 20070020115 U KR20070020115 U KR 20070020115U KR 200443468 Y1 KR200443468 Y1 KR 200443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irror
movable
folding
mirro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현진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4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러 폴딩 버튼과, 일단은 상기 미러 폴딩 버튼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미러 폴딩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더 가동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슬라이더 고정 접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고정 접점은 상기 하우징부에 인서트 사출 형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미러 스위치 장치{SWITCHING DEVICE FOR FOLDING/UNFOLDING A SIDE VIEW MIRROR}
본 고안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에 장착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측후방의 시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는 사이드 뷰 미러를 구동시키는 미러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미러 스위치는 사이드 뷰 미러(미도시)의 펼쳐짐/접힘 기능을 위하여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버튼 스위치는 푸시 버튼 스위치 구조를 취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 하우징(1)에 푸시 가동부(4)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푸시 버튼 하우징(1)은 일면에 회로 배선이 형성되고 단부에 터미널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2)과 결합된다. 푸시 버튼 하우징(1)과 인쇄회로기판(2)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푸시 가동부(4)는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며, 푸시 가동부(4)에 배치되는 가동 접점(미도시)과 인쇄회로기판(2) 상의 고정 접점의 접촉 변화에 따라 전기적 신호 변화가 발생한다. 푸시 버튼 스위치의 터미널은 스위치 인쇄회로기판(6)의 위치(PA,PB,PC,PD)에 땜납 고정 장착되는데, 이에 의하여 푸시 버튼 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스위치 터미널(7)을 토통하여 외부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뷰 미러의 접힘/펼쳐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푸시 버튼 스위치는 별도의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이를 인쇄회로기판 상에 땜납 장착하여야 하는 등 제조 원가 및 공정 원가의 상당한 증가를 수반하고 이와 같은 구성요소의 증가에 따라 제조시 불량률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부품의 개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 원가 및 공정 원가를 저감시키고 불량률을 상당히 낮출 수 있는 구조의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러 폴딩 버튼과, 일단은 상기 미러 폴딩 버튼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미러 폴딩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더 가동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슬라이더 고정 접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고정 접점은 상기 하우징부에 인서트 사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폴딩 스위치부는, 일단이 상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와 그리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러 폴딩 스위치부에는 슬라이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를 안내하는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정션 박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정션 박스는, 소자 홀딩부를 통하여 전기 소자의 안정적인 장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전기 소자가 원치 않게 쉽게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정션 박스는, 소자 지지부를 통하여 탄성 복원력을 사용하여 전기 소자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되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구성할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정션 박스는, 소자 지지 스톱퍼와 스톱퍼 대응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통하여 작업자의 과도한 작업력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과 소자 터미널 간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10)는 하우징부(100)와 미러 폴딩 스위치부(200)와 미러 가동 스위치부(20)를 구비하는데, 미러 폴딩 스위치부(200)와 미러 가동 스위치부(20)는 하우징부(100)에 장착된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바디(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맞물리어 하우징부(100) 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바디(120)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하여 미러 폴딩 스위치부(200) 및 미러 가동 스위치부(20)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인서트 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고, 내부에 전기 소자가 구비되고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미러 가동 스위치부(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작되어 조작하고자하는 사이드 뷰 미러(미도시)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이드 뷰 미러를 원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미러 가동 스위치 버턴(21)을 조작하면 하부에 배치되는 단자의 접속에 의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전기적 접속은 제어부(미도시)와 같은 외부 장치로 전달되고 제어부(미도시)는 사이드 뷰 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미러 가동 액츄에이터(미도시)로의 신호 전달하여 사이드 뷰 미러를 조작된 미러 가동 스위치 버튼(21)의 조작 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이는 통상적인 미러 가동 스위치부에 대한 것이므로 자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미러 폴딩 스위치부(200)는 미러 폴딩 버튼(210)과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를 구비하는데, 미러 폴딩 버튼(210)은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미러 폴딩 버튼(210)의 하부에는 버튼 장착부(211)가 연장 형성되는데, 버튼 장착부(211)는 하기되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와 연결된다. 미러 폴딩 버튼(210)은 하우징 커버(110)의 상부에 배치되되, 미러 폴딩 버튼(210)의 버튼 장착부(211)는 하우징 커버(110)에 형성된 커버 관통구(111)를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 배치된다. 커버 관통구(111)의 내측면에는 버튼 장착부(211)가 미세 진동에 의한 떨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미도시) 등 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는 일단이 미러 폴딩 버튼(210)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부(100)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일단에는 슬라이더 장착부(221)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더 장착부(221)는 버튼 장착부(211)와 연결된다. 슬라이더 장착부(221)는 돌기 구조를 취하고 버튼 장착부(211)는 미러 폴딩 버튼(210)의 하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단부에 수용 홈을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더 장착부(221)는 버튼 장착부(211)에 수용된다. 슬라이더 장착부(221)의 외주에는 장착 돌기가 구비되고 버튼 장착부(211)에 형성된 수용 홈의 내면에는 슬라이더 장착부(221)의 외주에 형성된 장착 돌기와 맞물리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서로 안정적인 체결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는데, 슬라이더 장착부(221)의 외주에 형성된 장착 돌기는 슬라이더 장착부(22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볼 때 비대칭적 돌기 구조를 취함으로써 슬라이더 장착부(221)와 버튼 장착부(211)가 슬라이더 장착부(22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볼 때 180도 반전되어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장착부와 슬라이더 장착부는 홈/돌기 구조를 취하는데, 서로 반대되는 돌기/홈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더 가동 접점(230)이 형성되고, 하우징부(100)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더 가동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슬라이더 고정 접점(80)이 형성된다. 즉,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는 하우징부(100)의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된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데,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는 하우징 커버(110)에 형성된 버튼 관통구(111)와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에 수용된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측면에는 슬라이더 가동 접점(230)이 형성된다. 슬라이더 가동 접점(230, 도 5 참조)은 일단은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원 상태에서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의 내측면으로 슬라이더 가동 접점(23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슬라이더 고정 접점(80)이 형성된다. 슬라이더 고정 접점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과 같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 고정 접점(80)은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에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은 인서트 사출 구조의 슬라이더 고정 접점(80)을 통하여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의 필요성을 배제시켜 공정 및 재료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조립 공정 과정 중에 발생 가능한 조립 불량 발생을 제거 내지 저감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 고정 접점(80)은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하여 형성되되, 하우징 바디(120)에 형성된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의 내측면에 일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에서 가동 가능하게 수용된 미러 폴딩 슬라이더(220)가 슬라이딩 운동하는 경우, 미러 폴딩 슬라이더(220)의 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더 가동 접점(230)은 슬라이더 고정 점점(80)과 전기적 단속 내지 전기적 신호의 절환을 이루고 미러 폴딩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른 전기적 신 호의 변화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슬라이더 고정 접점(8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하우징 터미널 단자부(130, 도 2 참조)에 배치되는 하우징 터미널(70, 도 4 참조)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소통을 이룬다.
미러 폴딩 스위치부(200)는 미러 폴딩 버튼(210)을 원위치 복귀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는 코일 스프링 타입을 취하는데,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의 일단은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하단과 접하고 타단은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의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의 내부 하면에 형성된 탄성 부재 장착단(125)과 접촉한다.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슬라이딩 운동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에 의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데,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가동 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를 원위치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와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데,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의 지지력보다 큰 외력이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에 제공되는 경우,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는 탄성 변형되고 미러 폴딩 버튼(210)은 하우징 바디(120)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에 장착된 슬라이더 가동 접점(230)과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의내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더 고정 접점(80) 간에는 접점 변화가 발생하고 접점 변화에 따라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런 후, 외력이 제거되면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함께 미러 폴딩 버튼(210)도 원위치 복귀된다. 한편,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가 아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동된 경우 발생된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하우징 바디(120)의 하단에 배치된 하우징 터미널 단자부(130)의 하우징 터미널(70)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즉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고 제어부는 변화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사이드 뷰 미러(미도시)의 폴딩/언폴딩을 구동하기 위한 사이드 뷰 미러 폴딩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미러 폴딩 버튼(2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가 사이드 뷰 미러(미도시)가 펼쳐진 언폴딩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가해진 외력에 의하여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가 아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동되어 변화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제어부는 사이드 뷰 미러의 미러 폴딩 액츄에이터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사이드 뷰 미러를 접는 폴딩 상태로 변화되도록 구동시킨다.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미러 폴딩 버튼(21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가 사이드 뷰 미러(미도시)가 접혀진 폴딩 상태에서 미러 폴딩 버튼(210)에 외력을 가하거나 또는 폴딩 상태로의 전환 후 미러 폴딩 버튼(210)에 재차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슬라이더 고정 접점(80)과 슬라이더 가동 접점(230)의 전기적 접속의 변환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환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제어 신호에 생성하고 미러 폴딩 액츄에이터는 사이드 뷰 미러가 펼쳐진 언폴딩 상태로 전환되도록 사이드 뷰 미러를 구동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폴딩 스위치부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의 원활한 가동을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폴딩 스위치부(200), 보다 구체적으로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일면에는 슬라이더 가이드(223)이 구비되고, 하우징부(100),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20)의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의 내측면으로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를 향한 일면에는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123)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123)는 슬라이더 가이드(223)에 대응되고 슬라이더 가이드(223)를 안내한다. 즉,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슬라이더 가이드(223)는 슬라이더 가동 수용부(121)의 내측면에 홈 형성된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123)보다 작은 크기를 구비하고, 슬라이더 가이드(223)는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123)에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가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가이드(223)와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123)를 따라 서로 맞닿고, 슬라이더 가이드(223)가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123)를 따라 안정적인 이동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220)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운동 및 궁극적으로 미러 폴딩 버튼(210)의 안정적인 하우징부(100)로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 가이드(223)와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123)의 서로 맞닿는 면간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스 등의 윤활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 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폴딩 스위치부는 하우징부 방향으로의 수직 슬라이딩 운동하는 구조에 대하여 개시되었으나, 본 고안의 미러 폴딩 스위치부의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는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딩 가동되고 슬라이더 탄성 부재가 수평 슬라이딩 구동시 원위치 복귀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에에서 미러 폴딩 슬라이더는 단순하게 탄성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회의 누름에 의하여 아래로 이동하여 이동 걸림이 이루어지고 재차 누름에 의하여 다시 위로 원위치 복귀되는 통상적인 푸시 걸림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푸시 걸림 구조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에 슬라이더 가동 접점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부의 일면에 슬라이더 고정 접점이 구비되는 범위에서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미러 폴딩 스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폴딩 스위치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폴딩 스위치부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미러 스위치 장치 20...미러 가동 스위치부
100...하우징부 110...하우징 커버
120...하우징 바디 200...미러 폴딩 스위치부
210...미러 폴딩 버튼 220...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
230...슬라이더 가동 단자 240...슬라이더 탄성 부재

Claims (4)

  1.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미러 폴딩 버튼과, 일단은 상기 미러 폴딩 버튼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에 수직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미러 폴딩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의 일측면에는 슬라이더 가동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면으로 상기 슬라이더 가동 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슬라이더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 고정 접점은 상기 하우징부에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폴딩 스위치부는, 일단이 상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와 그리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미러 폴딩 가동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폴딩 스위치부에는 슬라이더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를 안내하는 슬라이더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KR2020070020115U 2007-12-14 2007-12-14 미러 스위치 장치 KR200443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15U KR200443468Y1 (ko) 2007-12-14 2007-12-14 미러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15U KR200443468Y1 (ko) 2007-12-14 2007-12-14 미러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468Y1 true KR200443468Y1 (ko) 2009-02-17

Family

ID=4134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115U KR200443468Y1 (ko) 2007-12-14 2007-12-14 미러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4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99981A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
KR100921070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200443468Y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160249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110451B1 (ko) 슬라이더 유니트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JP2009218064A (ja)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200439215Y1 (ko) 슬라이드 스위치 모듈
JP2755283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90007623U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69421Y1 (ko)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200431025Y1 (ko) 시소 스위치 장치
CN113168973A (zh) 按钮的铰链结构及电子设备
KR100776615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장치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17009098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0845257B1 (ko) 시소 스위치 모듈
KR20170091200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CN216749691U (zh) 开关装置、方向盘系统及汽车
KR200465487Y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KR200456907Y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