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907Y1 - 미러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미러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907Y1
KR200456907Y1 KR2020090014354U KR20090014354U KR200456907Y1 KR 200456907 Y1 KR200456907 Y1 KR 200456907Y1 KR 2020090014354 U KR2020090014354 U KR 2020090014354U KR 20090014354 U KR20090014354 U KR 20090014354U KR 200456907 Y1 KR200456907 Y1 KR 200456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irror
light
knob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684U (ko
Inventor
엄기승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90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4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9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2Application rear view mirro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면 상에 노브 아이콘을 구비하는 미러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미러 스위치를 포함하는 미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광원 램프와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의 상기 노브 아이콘으로 전달하는 스위치 광 전달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가동되는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러 스위치 장치{SWITCHING DEVICE FOR SIDE VIEW MIRRORS OF A VEHICLE}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조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로서,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가동하기 위한 스위치는 사이드 미러의 접혀짐/펼쳐짐을 위한 폴딩/언폴딩 스위치와,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선택하고 조정하기 위한 선택조정 스위치가 별도로 배치되었다.
야간 주행시 사이드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는 위치 파악이 곤란하여 운전자의 원활한 조작이 어려웠다. 또한, 사이드 미러 조정 스위치에 소정의 조명 수단이 구비되더라도 수 개의 조명원이 구비되어 장착 공간을 상당히 차지하거나 또는 내부의 리브 등을 통하여 빛을 안내하기 위한 복잡한 구성을 취하였다.
따라서, 조작자로 하여금 주행 전 또는 주행 중 운전자의 주의를 필요로 하므로 원활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스위치 장치들의 컴팩트화를 위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신속하게 인지 가능한 표시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장치의 컴팩트화를 충족시키는, 사이드 미러 조정을 위한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면 상에 노브 아이콘을 구비하는 미러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미러 스위치를 포함하는 미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 치되는 스위치 광원 램프와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의 상기 노브 아이콘으로 전달하는 스위치 광 전달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가동되는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광 전달부 바디와, 상기 광 전달부 바디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노브 아이콘으로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의 빛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 브릿지와, 상기 광 전달부 바디의 일측으로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의 빛을 상기 광 전달부 바디 측으로 전달하는 광 전달부 광유입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광 전달부 브릿지를 수용하는 노브 브릿지 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 전달부 광유입부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는 상기 광 전달부 광유입부의 가동을 안내하는 십자(+) 형상의 가이드 라인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와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 사이에는 상기 미러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가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스위 치 가동부는: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가동부 프레임과, 상기 가동부 프레임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미러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가동부 플런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플런저는 상기 가동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프레임은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 프레임에는 프레임 플런저 관통구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 플런저는 상기 프레임 플런저 관통구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일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는 러버 패드 스위치이고, 상기 미러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을 탄성 지지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을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과 해제시키는 스위치 탄성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는, 조명 기능을 구비하여 신속한 인 지를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의 주의력 분산으로 인한 위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미러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는, 내부 조명 기능을 구비하는 스위치 광원부를 구비하되 사용되는 LED 등의 스위치 광원 램프를 단일화시켜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키고 간단한 구조의 컴팩트한 스위치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장착 공간을 최적화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를 구비하는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스위치 노브의 저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스위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8에는 도 7의 선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9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모듈(1)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모듈(1)은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2)를 포함하는데, 본 고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10)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2)는 탑승자, 특히 운전자가 각각의 차량 도어의 승하강을 조정하기 위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구비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10)는 하우징부(100)와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 유니트(30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부(100)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하우징부(100)는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커버(120)는 서로 체결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하우징 바디(110)는 일단 외주에는 바디 장착부(111)가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120)의 바디 장착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커버 장착부(121)가 배치되는데, 커버 장착부(121)는 바디 장착부(111)와 맞물리어 상호 체결 구조를 형성한다. 하우징 바디(110)의 단부에는 바디 관통구(113)가 배치되고 하우징 커버(120)에는 커버 관통구(123)가 배치되는데, 바디 관통구(113)와 커버 관통구(123)는 서로 일렬 배치되어 하기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미러 스위치 노브가 외부로 노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하단,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바디(110)의 하단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커넥터(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은 미러 스위치 장치(10)에 개별적인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데, 경우에 따라 스위치 모듈(1)의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미러 스위치 유니트(3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미러 스위치 유니트(300)는 미러 스위치 노브(310)와 미러 스위치(320)를 포함한다. 미러 스위치 노브(310)는 하우징부(100)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면 상에 노브 아이콘(315)을 구비하는데, 미러 스위치(320)는 미러 스위치 노브(310)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된다. 미러 스위치 노브(310)는 일단이 하우징 커버(120)의 일단에 형성된 커버 관통구(123)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 배치된다. 미러 스위치 노브(310)는 노브 바디(311)와 노브 바디 가동부(313)가 배치되는데, 노브 아이콘은 노브 바디(311)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노브 바디 가동부(313)는 노브 바디(311)의 외주에 배치되는데, 노브 바디 가동부(313)는 하기되는 미러 스위치(320)를 가동하는 구조를 취한다.
미러 스위치(320)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미러 스위치 노브(310)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미러 스위치(320)는 푸시 스위치 타입의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스위치(320)는 스위치 가동 접점(321)과 스위치 고정 접점(323)과 스위치 탄성부(345)를 포함한다. 스위치 탄성부(345)는 러버 패드(340)에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탄성부(345)는 러브 패드(340)의 러버 패드 베이스(341)에 형성된다. 러버 패드 베이스(341)는 스위치 가동부(330)와 인쇄회로기판(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러버 패드 베이스(341)에 스위치 탄성부(345)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탄성부(345)는 탄성 가동부(345a)와 탄성 연결부(345b)와 탄성 지지부(345c)를 포함한다. 탄성 가동부(345a)의 하면에는 스위치 가동 접점(321)이 배치되고 스위치 가동 접점(321)의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스위치 고정 접점(323)이 배치되는데, 운전자 등에 의하여 미러 스위치 노브(310)가 가압되는 경우 미러 스위치 노브(310)에 의하여 스위치 가동부(330)가 가동되고 스위치 가동부(330)는 미러 스위치(320)를 가동시키는데, 이때 스위치 가동부(330)를 통하여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 지지부(345c) 및 탄성 연결부(345b)를 통하여 지지되는 탄성 가동부(345a)는 가동된다. 즉, 탄성 연결부(345b)는 탄성 변형을 이룸으로써 스위치 고정 접점과 스위치 가동 접점 간의 접촉이 형성되고 소정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데, 탄성 가동부(345a)에 전달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연결부(345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탄성 가동부(345a)는 원위치 복귀되어 스위치 고정 접점과 스위치 가동 접점의 접촉이 해제되고 원위치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러 스위치는 푸시 스위치 타입의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 되는데, 본 고안의 미러 스위치는 수직 가압되는 외력에 의하여 가동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미러 스위치는 푸시 스위치 타입인 택트 스위치(도 9 참조)로 구현되어 소정의 탄성 변형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위치 가동부(330)는 미러 스위치 노브(310)와 미러 스위치(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미러 스위치 노브(3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외력을 미러 스위치(320)에 전달하는 플런저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 가동부(330)는 가동부 프레임(331)과 가동부 플런저(333)를 포함하는데, 가동부 프레임(331)은 하기되는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430)와 일체로 형성되고 가동부 플런저(333)는 가동부 프레임(331)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미러 스위치 노브(3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외력을 미러 스위치(320)로 전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 프레임(331)은 소정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가동부 프레임(331)은 일단이 하기되는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4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가동부 플런저(333)는 가동부 프레임(331)의 타단에 배치되는데, 가동부 플런저(333)는 소정의 장방향 로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부 플런저(333)는 가동부 프레임(331)과 일체로 형성되는데, 가동부 프레임(331)의 소정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가동부 플런저(333)는 수직 위치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부 플런저(333)는 가동부 프레임(331)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고안의 스위치 가동부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가동부(330a)는 가동부 프레임(331a)과 가동부 플런저(333a)를 포함하는데, 가동부 프레임(331a)는 일단이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4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것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가동부 프레임(331a)에는 프레임 플런저 관통구(332)가 배치되고 가동부 플런저(333a)는 가동부 프레임(331a)과는 개별적인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가동부 플런저(333a)는 로드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가동부 플런저(333a)는 프레임 플런저 관통구(332)에 가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가동부 플런저(333a)의 단부에는 플런저 접촉부(334)가 배치되는데, 가동부 플런저(333a)보다 큰 단면적을 구비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미러 스위치(320)의 원활한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10)는 스위치 광원부를 구비하는데, 스위치 광원부(400)는 스위치 광원 램프(410)와 스위치 광 전달부(420)를 포함한다. 스위치 광원 램프(41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소정의 빛을 생성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광원 램프(410)는 LED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 가동부(330) 사이에는 러버 패드 베이스(341)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광원 램프(410)의 대응되는 위치로 러버 패드 베이스(341)에는 러버 패드 관통구(343)가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광원 램프(410)에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어 빛을 생성하는 경우, 스위치 광원 램프(410)에서 생성된 빛은 러버 패드 관통구(343)를 관통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본 고안의 스위치 광 전달부(420)는 스위치 광원 램프(410)에서 생성된 빛을 미러 스위치 노브(310)의 노브 바디(311)에 형성된 노브 아이콘(315)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광 전달부(420)는 PMMA(Poly Methyl Meta Acrylate)로 형성되는 프리즘으로 구현되는데, 본 고안의 스위치 광 전달부는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 생성되는 빛을 노브 아이콘으로 전달하는 범위에서 재료 등에 있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스위치 광 전달부(420)는 광 전달부 바디(421)와 광 전달부 브릿지(423)와 광 전달부 광유입부(427)를 포함한다. 광 전달부 바디(421)는 구체(求體) 형상으로 구현되고 스위치 광원 램프(410)를 향하여 배치되어 스위치 광원 램프(41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유입받아 이를 광 전달부 브릿지(423)로 전달한다. 광 전달부 브릿지(423)는 광 전달부 바디(42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광 전달부 브릿지(423)는 광 전달부 바디(421)의 외면으로부터 노브 아이콘(315)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광 전달부 브릿지(423)의 단부에는 광 전달부 브릿지 출사부(425)가 배치되고 미러 스위치 노브(310)의 하면에는 노브 브릿지 수용부(316)가 배치되는데, 광 전달부 브릿지 출사부(425)는 노브 브릿지 수용부(316)에 수용 배치된다. 미러 스위치 노브(310)의 하면에는 브릿지 수용부 리브(317)가 배치되는데, 브릿지 수용부 리브(317)는 광 전달부 브릿지 출사부(425)를 수용하는 노브 브릿지 수용부(316)를 구획한다. 따라서, 스위치 광 전달부와 미러 스위치 노브 간의 위치의 정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광 전달부와 미러 스위치 노브는 함께 가동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사용자가 미러 스위치 노브(310)를 가압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틸팅 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스위치 광 전달부는 미러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동 내지 틸팅을 이룬다.
스위치 광 전달부(420)는 미러 스위치 노브(310)의 가동시 스위치 광원 램프 로부터의 빛의 전달을 노브 아이콘으로 보다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광 전달부 바디(421)의 하단에는 광 전달부 광유입부(427)가 배치되는데, 광 전달부 광유입부(427)는 광 전달부 바디(421)의 일측 하단으로 스위치 광원 램프(420)를 향하여 배치되고 스위치 광원 램프(420)로부터의 빛을 광 전달부 바디(421) 측으로 전달한다. 광 전달부 광유입부(427)는 스위치 광원 램프(41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스위치 광원 램프(410)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보다 원활하게 광 전달부 바디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광원부(400)는 스위치 광 전달부의 가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스위치 노브(310)가 원치 않는 방향으로 가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러 스위치 노브의 원활한 가동과 함께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의 빛의 명확한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43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 전달부 광유입부의 가동을 안내하는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광 전달 가이드부(430)는 가이드 바디(431)와 가이드 라인(433)을 포함한다. 가이드 바디(431)는 원판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바디(431)는 상기한 가동부 프레임(321)과 일체로 형성된다. 가동부 프레임(431)에는 십자 형상의 가이드 라인(433)이 배치되는데, 광 전달부 광유입부(437)는 가이드 라인(433)을 따라 안정적으로 가동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10)의 작 동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 평면도 및 도 6의 선 A-A를 따라 취한 측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미러 스위치 노브(310)가 P의 힘으로 가압되는 경우, 미러 스위치 노브 및 스위치 가동부를 통하여 힘을 전달받은 소정의 미러 스위치가 가동되어 사용자, 즉 운전자에 의하여 선택된 작동 상태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인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달되고 소정의 작동 상태를 수행한다.
이때, 미러 스위치 노브(310)는 스위치 광 전달부(420)와 함께 회동 내지 틸팅 가동되는데, 이러한 틸팅 과정을 통하여 광 전달부 바디(421)의 외측에 배치되는 광 전달부 광유입부(427)는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430)의 가이드 라인(433)을 따라 이동된다. 스위치 광 전달부(420)가 틸팅 상태를 형성하더라도 광 전달부 광유입부(427)와 LED로 구현되는 스위치 광원 램프(410) 간의 거리가 스위치 광원 램프(410)로부터 다른 스위치 광 전달부의 구성요소와의 거리가 최소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광원 램프(410)로부터의 빛의 전달을 원활하고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스위치 광 전달부와 미러 스위치 노브가 함께 가동되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를 구비하는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스위치 노브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미러 스위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장치의 스위치 가동부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미러 스위치 장치 100...하우징부
110...하우징 바디 120...하우징 커버
200...인쇄회로기판 300...미러 스위치 유니트
310...미러 스위치 노브 320...미러 스위치
330...스위치 가동부 340...스위치 러버 패드
400...스위치 광원부 410...스위치 광원 램프
420...스위치 광 전달부 430...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

Claims (10)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면 상에 노브 아이콘을 구비하는 미러 스위치 노브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의 가동에 의하여 가동되는 미러 스위치를 포함하는 미러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광원 램프와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의 상기 노브 아이콘으로 전달하는 스위치 광 전달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광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가동되고,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광 전달부 바디와,
    상기 광 전달부 바디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노브 아이콘으로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의 빛을 전달하는 광 전달부 브릿지와,
    상기 광 전달부 바디의 일측으로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를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광원 램프로부터의 빛을 상기 광 전달부 바디 측으로 전달하는 광 전달부 광유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하면에는 상기 광 전달부 브릿지를 수용하는 노브 브릿지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 전달부 광유입부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는 상기 광 전달부 광유입부의 가동을 안내하는 십자(+) 형상의 가이드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와 상기 미러 스위치 노브 사이에는 상기 미러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스위치 가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가동부는: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와 연결되는 가동부 프레임과,
    상기 가동부 프레임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미러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가동부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플런저는 상기 가동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 프레임은 상기 스위치 광 전달부 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 프레임에는 프레임 플런저 관통구가 배치되고, 상기 가동부 플런저는 상기 프레임 플런저 관통구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는 택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스위치는 러버 패드 스위치이고,
    상기 미러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을 탄성 지지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을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과 해제시키는 스위치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장치.
KR2020090014354U 2009-11-04 2009-11-04 미러 스위치 장치 KR200456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354U KR200456907Y1 (ko) 2009-11-04 2009-11-04 미러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354U KR200456907Y1 (ko) 2009-11-04 2009-11-04 미러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84U KR20110004684U (ko) 2011-05-12
KR200456907Y1 true KR200456907Y1 (ko) 2011-11-24

Family

ID=4556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354U KR200456907Y1 (ko) 2009-11-04 2009-11-04 미러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90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95Y1 (ko) * 2006-12-29 2008-08-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295Y1 (ko) * 2006-12-29 2008-08-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684U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11672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9140442B2 (en) Low-profile illuminated switch assembly
CN109552015A (zh) 后门打开/关闭开关
CN111712396A (zh) 多功能开关装置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CN111270927B (zh) 用于尾门的集成式外侧把手开关组件
CN110785934A (zh) 机动车操作设备
KR200456907Y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045670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JP4299574B2 (ja) シーソースイッチ
KR101043522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17009098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0838360B1 (ko) 자동차용 스위치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1919432B1 (ko) 스위치 장치
KR20100006654U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170091200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43468Y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0929323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