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743A - 차량용 스위치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743A
KR20150106743A KR1020140029185A KR20140029185A KR20150106743A KR 20150106743 A KR20150106743 A KR 20150106743A KR 1020140029185 A KR1020140029185 A KR 1020140029185A KR 20140029185 A KR20140029185 A KR 20140029185A KR 20150106743 A KR20150106743 A KR 2015010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movable
movable block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선종
최화영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743A/ko
Publication of KR2015010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가동 블록에 설치되는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무빙 가이드부를 마련하여 가동 블록의 이동에 따라 고정 단자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 가동 단자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적정 압력으로 고정 단자와 접촉하여 스파크 및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고, 피로 손상을 감소시켜 제품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키고 과도한 작동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 유닛{switch uni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동 블록에 설치되는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가 설치되는 하우징에 무빙 가이드부를 마련하여 가동 블록의 이동에 따라 고정 단자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 가동 단자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적정 압력으로 고정 단자와 접촉하여 스파크 및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고, 피로 손상을 감소시켜 제품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키고 과도한 작동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차량, 공작 기계, 단말기, 멀티미디어 기기 및 게임기 등의 장치들에 선택 및 조작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장치들의 다양한 기능적 선택을 위하여 스위치 장치도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단순한 푸시 스위치 타입의 버튼 스위치 이외에도 축방향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터리 스위치 들도 있고, 로터리 스위치는 촉각적 인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자기 흡입력을 이용한 구조에 대하여도 다양한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푸시 스위치 타입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270478호의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가 있다. 선행기술은 하우징, 기판부, 해저드 스위치 노브, 해저드 스위치 블록, 해저드 스위치 탄성부,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 해저드 스위치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어 해저드 스위치 블록의 가동에 따라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이 해저드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이 제조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이 운반, 조립하는 중에 원치 않게 구부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이 구부려지는 경우 해저드 스위치 고정 접점과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스위치 작동에 불량을 발생하게 된다. 즉,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이 해저드 스위치 고정 접점을 향해 과도하게 구부려지는 경우 해저드 스위치 고정 접점과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 간의 접촉 압력이 증가하여 스파크가 일어나 잔여물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잔여물은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된다.
또한,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이 해저드 스위치 고정 접점으로 이동하여 접촉되거나 이와는 반대로 접촉된 상태에서 분리될 때 과도한 작동음이 발생하게 되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또한, 해저드 스위치 고정 접점과 해저드 스위치 가동 접점 간의 과도한 마찰로 인해 마모가 신속하게 발생하여 차량용 스위치 유닛의 내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70478호(등록일자 : 2013.05.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스위치 블록에 설치된 스위치 가동 접점이 하우징에 설치된 스위치 고정 접점으로 이동하여 접촉될 때 적정 경로를 유지하며 접촉하여 스위치 가동 접점이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촉할 때 적정 압력을 가질 수 있어 스파크 및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아 작동불량의 원인을 제거하여 신뢰도가 높은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위치 가동 접점이 적정 경로를 유지하여 접촉하게 됨으로써, 과도한 압력으로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과도한 작동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위치 가동 접점과 스위치 고정 접점 간에 마모를 감소시켜 내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와, 상기 버튼 노브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가동 블록과,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블록과 함께 가동되는 가동 단자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상태가 변화되는 고정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동 단자를 가동시켜 상기 고정 단자와의 접점을 단속하는 무빙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빙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고정 단자의 접점 유지라인과 항시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는 접점 유지단자와, 상기 가동 블록이 가동하는 평면상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단자의 접점 가변라인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상기 무빙 가이드부와 접촉에 의하여 접점 가변라인과의 접속이 단속되는 접점 가변단자 및 상기 접점 유지단자와 상기 접점 가변단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빙 가이드부는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접점 가변단자는 측면에 상기 무빙 가이드부와 대향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윙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윙은 상기 가이드 윙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가이드부는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점 가변단자와 대면하는 상기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은 상기 고정 단자의 접점 가변라인과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동 블록에 형성된 장착 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 및 장착 홈은 각각 천공 홀 및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천공 홀을 관통하고 그 상단이 열 압착에 의해 고정부가 장착 홈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접점 유지단자와 접점 가변단자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점 유지단자의 고정단과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고정단이 단차를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자유단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접점 가변라인을 향해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점 가변단자는 그 일부가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도록 절곡된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점 유지단자 및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자유단은 각각 접점 유지라인 및 접점 가변라인을 향해 돌출되는 밴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 노브를 누름 조작하여 가동 블록의 가동 단자와 하우징의 고정 단자가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될 때 가동 단자와 하우징에 마련된 무빙 가이드부에 의해 가동 접촉단자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여 이동하여 적정 압력으로 고정 단자와 접촉되기 때문에 가동 접촉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촉시 스파크 및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아 작동불량의 원인이 제거되고 따라서 우수한 신뢰도를 가질 수 있어 고품질의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동 접촉단자가 적정 경로를 유지하여 고정 단자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가동 접촉단자가 과도한 압력으로 고정 단자와 접촉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할 때 과도한 작동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가동 접촉단자와 고정 단자의 마모를 감소시켜 가동 접촉단자와 고정 단자의 피로 손상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접촉단자가 운반 및 조립 중 구부려져 가동 접촉단자가 제조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가동 블록에 조립되더라도 가동 접촉단자가 하우징에 형성된 이격부와 가동 접촉단자에 형성된 탄성 부재에 의해 고정 단자를 향해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가동 접촉단자가 고정 단자와 원활하게 접촉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동 블록에 가동 단자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가동 블록의 장착 홈에 형성된 돌기가 가동 단자에 형성된 천공 홀에 삽입되어 열 압착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해저드 스위치의 일예가 도시되고 그에 따라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시 가동되는 구조를 갖는 스위치 범위에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일단으로 노출되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100), 버튼 노브(100)의 타단에 설치되어 하우징(200)의 내부를 따라 가동하는 가동 블록(300), 하우징(200)과 가동 블록(300)에 각각 설치된 고정 단자(500) 및 가동 단자(400), 하우징(200)에 배치되고 가동 블록(300)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동 단자(400)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여 고정 단자(500)와 접점되도록 단속하는 무빙 가이드부(600)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하우징(200)은 하우징 커버(220)와 하우징 몸체(210)로 이루어지는데, 하우징 커버(220)와 하우징 몸체(210)는 서로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에는 앞서 설명한 버튼 노브(100), 고정 단자(500)가 설치된다.
특히, 하우징 커버(220)와 하우징 몸체(21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는 가동 블록(300)이 설치되어 버튼 노브(1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동 블록(300)이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 내에서 가동된다.
고정 단자(500)는 하우징(200)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500)는 하우징 몸체(210)에 인서트 사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고정 단자(500)는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단자(500)는 복수 개의 터미널 배선 라인으로 형성되어 하우징 몸체(210)에 인서트 사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 단자(5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유지라인(510)과 접점 가변라인(520)으로 이루어지는데, 접점 유지라인(510)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가동 블록(300)에 배치된 가동 단자(400)의 접점 유지단자(410)와 항시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접점 가변라인(520)은 가동 단자(400)의 접점 가변단자(420)와 가동 블록(300)의 거동에 따라 접점되거나 단락된다.
그리고, 고정 단자(500)는 접점 유지라인(510)이 가동 블록(300)의 가동 범위 내에 항상 위치하도록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가동 블록(300)의 가동 거리에 준하는 길이를 형성하는 반면 접점 가변라인(520)은 가동 블록(300)이 가동하지 않았을 때 접점 가변단자(420)와 단락된 상태가 되도록 접점 유지라인(510)에 비해 짧은 길이로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형성된 접점 유지라인(510)은 가동 블록(300)의 가동과 상관없이 항상 가동 블록(300)에 배치된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접점 가변라인(520)은 버튼 노브(100)가 누름 조작되지 않아 가동 블록(300)이 가동하지 않았을 때 접점 가변단자(420)와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며 버튼 노브(100)가 누름 조작되어 가동 블록(300)이 가동되었을 때 비로소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점 가변단자(4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갖게 된다.
한편, 버튼 노브(100)가 하우징(200)의 일단으로 노출되어 하우징 몸체(210)와 하우징 커버(220)에 대하여 상대 가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버튼 노브(100)의 일면에는 해저드 아이콘(110)이 표시되고 해저드 아이콘(110)을 통하여 하우징 몸체(210)에 설치되는 해저드 광원부(700)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외부로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해저드 아이콘(110)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가동 블록(300)은 버튼 노브(100)의 타단과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200) 내부에 위치되어 버튼 노브(100)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우징(200) 내에서 가동하도록 설치된다. 즉, 가동 블록(300)은 버튼 노브(100)와 연결되어 버튼 노브(100)와 함께 하우징(200)에 대하여 상대 가동 가능한데, 가동 블록(300)의 일단에 버튼 노브(100)가 설치되고 가동 블록(300)은 하우징 커버(220)와 하우징 몸체(21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 블록(300)의 타단에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350)가 형성되는데,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350)는 탄성 반발부재(800)를 수용하고 탄성 반발부재(800)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탄성 반발부재(800)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구현되는데, 탄성 반발부재(800)는 일단이 가동 블록(300)에 형성된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350)에 위치하게 되고 타단이 하우징 몸체(210)의 내측 타면(211)에 접촉하여 지지됨으로써, 가동 블록(300)을 하우징 몸체(210)와 하우징 커버(220)가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서 탄성 지지되며 가동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노브(100)를 통하여 가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가동 블록(300)도 함께 가압되고 가동 블록(300)과 하우징 몸체(210)의 내측 공간 타면에 배치되는 탄성 반발부재(800)는 탄성 압축되어 가동 블록(300)을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버튼 노브(100)에 가압력이 제거되면 버튼 노브(100) 및 가동 블록(300)은 탄성 반발부재(800)에 압축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버튼 노브(100) 및 가동 블록(300)의 가동 가압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되어 탄성 반발부재(8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위치 복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록킹 가이드(330)와 록킹 핀(미도시)이 형성된 록킹 블록(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록킹 가이드(330)는 가동 블록(300)의 일측면으로 가동 단자(400)가 배치되는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록킹 가이드(330)는 본 실시예에서 하트캠 구조를 형성하고, 록킹 핀은 하우징 커버(220)의 내측에 설치되어 버튼 노브(100)가 가압되는 경우 가동 블록(3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록킹 가이드(330)와 하우징 커버(2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록킹 핀 간에는 상대 운동이 발생하고, 록킹 핀의 단부는 록킹 가이드(330)의 구조를 따라 가동되어 소정 록킹 상태 내지 록킹 해제 상태를 형성하고 가동 블록(300) 및 버튼 노브(100)는 가압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되어 원위치 복귀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록킹 가이드(330), 록킹 블록(340)은 통상적인 하트캠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버튼 노브(100) 및 가동 블록(300)의 반복된 가동에 의하여 가동 단자(400) 및 고정 단자(500)의 피로 손상을 최소화하고 조립 과정에서 가동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무빙 가이드부(600)가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가동 단자(400)는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된 고정 단자(500)와 마주하도록 가동 블록(300)에 배치되며 하우징 몸체(210)에는 가동 단자(400)가 가동 블록(300)의 거동에 따라 직선이동하게 될 때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여 고정 단자(500)와 접점되도록 단속하는 무빙 가이드부(600)가 마련된다. 이를 도 4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동 블록에 가동 단자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무빙 가이드부(600)는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된 고정 단자(500)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무빙 가이드부(600)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접점 가변단자(420)의 일측에 형성되거나 또는 접점 가변단자(4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되며, 무빙 가이드의 일면(610)에 접점 가변단자(420)가 안내될 수 있도록 접점 가변단자(42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가이드 윙(421)이 구비된다.
이렇게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된 무빙 가이드부(600)는 가동 블록(300)을 향해 돌출되며 가동 단자(400)의 가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형성되어 가동 블록(300)이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서 타단을 향해 가동될 때 가동 단자(400)의 접점 가변단자(420)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여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촉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무빙 가이드부(600)는 도 2의 원호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가변단자(420)와 대면하는 일면(610)이 고정 단자(500)를 향하는 방향(가동 블록이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가압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으로부터 그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형성하게 된다.
즉, 무빙 가이드부(600)는 가동 단자(400)의 가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무빙 가이드부(610)를 절단하였을 때 그 단면형상이 직각 삼각형과 유사한 형태를 갖게 되어 가동 블록(300)이 하우징(200)의 타단을 향해 가동할 때 가동 블록(300)에 배치된 가동 단자(400) 중 접점 가변단자(420)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하우징(200)에 배치된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촉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렇게,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하우징 몸체(210)에 배치된 고정 단자(500)와 접촉하게 되는 가동 단자(400)는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 및 고정부(430)로 구성된다.
접점 유지단자(410)는 하우징(200)에 배치된 고정 단자(500)의 접점 유지라인(510)과 항시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접점 가변단자(420)는 접점 유지단자(410)와 분단되며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52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점되거나 단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430)는 접점 유지라인(510) 및 접점 가변라인(520)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를 연결하여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를 일체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430)는 가동 블록(300)에 형성된 장착 홈(310)에 위치하여 가동 단자(400)를 가동 블록(300)에 고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가동 블록(300)의 장착 홈(310)에 고정부(43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430)의 표면으로부터 가동 블록(300)을 향하는 돌기(312)가 형성되며 돌기(312)에 대응하여 고정부(430)에 천공 홀(412)이 형성되어 고정부(430)의 천공 홀(440)에 돌기(312)가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부(430)의 천공 홀(440)을 관통한 돌기(312)의 상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압착에 의해 고정부(430)를 향해 밀착되어 고정부(430)가 장착 홈(310)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200)에 형성된 장착 홈(310)에는 가동 단자(400)의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320)이 가동 블록(300)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430)에 의해 연결된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 사이를 분단하여 고정부(430)와 대향하는 접점 유지단자(410)의 자유단과 접점 가변단자(420)의 자유단을 구획하게 된다.
이처럼 장착 홈(310)에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를 구획하는 격벽(320)이 형성되면, 가동 블록(300)이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서 가동하게 될 때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430)는 접점 유지단자(410)의 고정단과 접점 가변단자(420)의 고정단이 단차를 이루게 형성되고, 이와 같이 고정부가 단차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 접점 가변단자(420)의 자유단은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접점 가변단자(420)의 기울어짐은 하우징(200)에 형성된 무빙 가이드부(600)의 일면(610) 기울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동 단자(400)가 고정 단자(500)를 향해 이동하게 될 때 접점 가변단자(420)가 무빙 가이드부(600)의 일면(610)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하여 접점 가변단자(420)의 자유단이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접점 가변단자(420)는 무빙 가이드부(600)의 일면(610)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윙(421)이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 윙(421)은 접점 가변단자(420)의 측단에서 무빙 가이드부(600)의 일면을 덮도록 연장되어 가이드 윙(421)이 무빙 가이드부(600)의 일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 경사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접점 가변단자(420)에 형성되는 가이드 윙(421)은 도 4 및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가변단자(420)의 양측단에서 측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접점 가변단자(420)의 양측단에 가이드 윙(421)이 형성될 때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무빙 가이드부(600)는 접점 가변단자(4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접점 가변단자(420)를 안내하게 되는 무빙 가이드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소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가변단자(420)를 사이에 두고 무빙 가이드부(600)가 양측에 형성되며, 이때 접점 가변단자(420)의 양측단에 형성된 가이드 윙(421)은 각각 무빙 가이드부(600)의 일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이드 윙(421)이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에 위치하여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될 때 접점 가변단자(420)가 사행하지 않고 고정 단자(500)를 향해 직진하는 이동 경로를 갖도록 가이드 윙(421)의 측단에는 무빙 가이드부의 측면(620)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연장부(4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가이드 연장부(422)는 접점 가변단자(420)의 측단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윙(421)의 끝단에서 무빙 가이드부의 측면(620)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접점 가변단자(420)가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520)을 향해 이동하게 될 때 가이드 윙(421) 및 가이드 연장부(422)가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과 측면(620)에 의해 지지되고, 따라서 접점 가변단자(420)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촉하거나 단락되는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점 가변단자(420)가 하우징(200)에 형성된 무빙 가이드부(600)에 의해 안내될 때 접점 가변단자(420)를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접점 가변단자(420)에 탄성 부재(423)가 마련된다.
이러한 접점 가변단자(420)에 형성된 탄성 부재(423)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가동 블록(300)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 탄성 부재(42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과 대향하는 접점 가변단자(420)의 일면에서 가동 블록(300)에 형성된 장착 홈(310)의 바닥면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고, 탄성 부재(423)의 자유단은 장착 홈(310)의 바닥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장착 홈(310)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절곡된 평탄부(424)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접점 가변단자(420)에 탄성 부재(423)가 마련되면 접점 가변단자(420)가 가동 블록(300)을 따라 접점 가변라인(520)을 향해 이동하게 될 때 접점 가변단자(420)의 가이드 윙(421)은 하우징(200)에 형성된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에 안내되고, 탄성 부재(423)는 장착 홈(310)의 바닥면과 접촉한 상태로 접점 가변단자(420)를 무빙 가이드부(600)를 향해 미는 탄성력을 발휘하여 접점 가변단자(420)가 접점 가변라인(520)을 향해 이동하게 될 때 일정한 경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점 가변단자(42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한편, 가동 블록(300)의 거동에 따라 가동 단자(400)와 접점 가변단자(420)가 하우징(200)에 마련된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520)을 향해 이동하여 접촉하게 될 때 원활하게 미끄러지며 접촉될 수 있도록 접점 유지단자(410) 및 접점 가변단자(420)의 자유단은 각각 고정 단자(500)의 접점 유지라인(510)과 접점 가변라인(520)을 향해 돌출되는 밴딩부(45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밴딩부(4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접점 유지라인(510)과 접점 가변라인(520)을 향해 둥글게 말려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접점 가변단자(420)의 자유단이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때 마찰을 최소화시켜 접점 유지단자(410)와 접점 가변단자(420)의 자유단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유닛은 사용자가 버튼 노브(100)를 누름 조작하여 가동 블록(300)의 가동 단자(400)와 하우징(200)의 고정 단자(500)가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될 때 가동 단자(400)와 하우징(200)에 마련된 무빙 가이드부(600)에 의해 접점 가변단자(420)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여 이동하여 적정 압력으로 고정 단자(500)와 접촉되기 때문에 접점 가변단자(420)와 접점 가변라인(520)의 접촉시 스파크 및 잔여물이 발생하지 않아 작동불량의 원인이 제거되고 따라서 우수한 신뢰도를 가질 수 있어 고품질의 차량용 스위치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점 가변단자(420)가 적정 경로를 유지하여 고정 단자(500)의 접점 가변라인(520)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접점 가변단자(420)가 과도한 압력으로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버튼 노브(100)를 누름 조작할 때 과도한 작동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접점 가변단자(420)와 접점 가변라인(520)의 마모를 감소시켜 접점 가변단자(420)와 접점 가변라인(520)의 피로 손상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점 가변단자(420)가 운반 및 조립 중 구부려져 접점 가변단자(420)가 제조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가동 블록(300)에 조립되더라도 접점 가변단자(420)가 하우징(200)에 형성된 무빙 가이드부(600)와 접점 가변단자(420)에 형성된 탄성 부재(423)에 의해 접점 가변라인(520)을 향해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접점 가변단자(420)가 접점 가변라인과 원활하게 접촉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이 접점 가변단자(420)와 대면하도록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이 접점 가변단자(420)와 대면하도록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되면 무빙 가이드부(600), 접점 가변라인(520)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접점 가변단자(420), 접점 가변라인(520)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무빙 가이드부(600)가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되면 접점 가변단자(420)가 가동 블록(300)의 가동에 따라 접점 가변라인(520)으로 이동할 때 접점 가변단자(420)가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610)에 안내되어 접점 가변단자(420)가 일정한 경로를 유지하며 접점 가변라인(520)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가이드 윙(421)이 필요 없게 되어 접점 가변단자(42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에 배치되는 무빙 가이드부(600)가 앞선 설명처럼 가동 단자(400)의 가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그 단면형상이 직각 삼각형으로 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부(600)는 그 단면형상이 사다리꼴과 같은 무빙 가이드부(600)의 양측 단부가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212)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00 : 버튼 노브 110 : 해저드 아이콘
200 : 하우징 210 : 하우징 몸체
212 :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 220 : 하우징 커버
300 : 가동 블록 310 : 장착 홈
312 : 돌기 320 : 격벽
330 : 록킹 가이드 340 : 록킹 블록
350 : 탄성 반발부재 장착부 400 : 가동 단자
410 : 접점 유지단자 420 : 접점 가변단자
421 : 가이드 윙 422 : 가이드 연장부
423 : 탄성부재 424 : 평탄부
430 : 고정부 440 : 천공 홀
450 : 밴딩부 500 : 고정 단자
510 : 접점 유지라인 520 : 접점 가변라인
600 : 무빙 가이드부 610 :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
620 : 무빙 가이드부의 측면 700 : 해저드 광원부
800 : 탄성 반발부재

Claims (13)

  1.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 노브;
    상기 버튼 노브의 타단에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버튼 노브의 누름 조작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가동하는 가동 블록;
    상기 가동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블록과 함께 가동되는 가동 단자;
    상기 하우징 내부로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 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상기 가동 단자와 접촉 상태가 변화되는 고정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블록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동 단자를 가동시켜 상기 고정 단자와의 접점을 단속하는 무빙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가동 단자의 가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고정 단자의 접점 유지라인과 항시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는 접점 유지단자;
    상기 가동 블록이 가동하는 평면상에서 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 단자의 접점 가변라인과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에 따라 상기 무빙 가이드부와 접촉에 의하여 접점 가변라인과의 접속이 단속되는 접점 가변단자; 및
    상기 접점 유지단자와 상기 접점 가변단자를 일체로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부는 상기 가동 블록의 가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측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접점 가변단자는 측면에 상기 무빙 가이드부와 대향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윙;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윙은 상기 가이드 윙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부는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점 가변단자와 대면하는 상기 무빙 가이드부의 일면은 상기 고정 단자의 접점 가변라인과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동 블록에 형성된 장착 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장착 홈은 각각 천공 홀 및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천공 홀을 관통하고 그 상단이 열 압착에 의해 고정부가 장착 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접점 유지단자와 접점 가변단자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점 유지단자의 고정단과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고정단이 단차를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자유단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된 접점 가변라인을 향해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점 가변단자는 그 일부가 상기 가동 블록을 향하도록 절곡된 탄성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점 유지단자 및 상기 접점 가변단자의 자유단은 각각 접점 유지라인 및 접점 가변라인을 향해 돌출되는 밴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유닛.
KR1020140029185A 2014-03-12 2014-03-12 차량용 스위치 유닛 KR20150106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85A KR20150106743A (ko) 2014-03-12 2014-03-12 차량용 스위치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85A KR20150106743A (ko) 2014-03-12 2014-03-12 차량용 스위치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43A true KR20150106743A (ko) 2015-09-22

Family

ID=5424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185A KR20150106743A (ko) 2014-03-12 2014-03-12 차량용 스위치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7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76B1 (ko) * 2018-10-02 2020-02-12 성문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푸쉬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76B1 (ko) * 2018-10-02 2020-02-12 성문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푸쉬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313B1 (ko) 키이 스위치
US7547858B2 (en) Push button switch
EP2782111A1 (en) Switch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JP580207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10418204B2 (en) Switch device
JP7220590B2 (ja) スイッチ部材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6091919A (ja) スイッチ装置
KR20150106743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JPH0526652Y2 (ko)
CN110651346A (zh) 开关
CN114141564A (zh) 按钮开关
US20190333718A1 (en) Push switch
KR101270478B1 (ko) 해저드 스위치 유니트
JP4295599B2 (ja) スイッチ装置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268607B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CN109119273B (zh) 开关
JP5429315B2 (ja) 接触部材
JP2007018790A (ja) スイッチ
KR200465487Y1 (ko) 푸시 스위치 유니트
WO2013011802A1 (ja) 接触部材
JP2007227308A (ja) スイッチ装置
KR20000053420A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JPH05425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