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233A -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 - Google Patents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233A
KR20130045233A KR1020127017657A KR20127017657A KR20130045233A KR 20130045233 A KR20130045233 A KR 20130045233A KR 1020127017657 A KR1020127017657 A KR 1020127017657A KR 20127017657 A KR20127017657 A KR 20127017657A KR 20130045233 A KR20130045233 A KR 20130045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layer
spacer fabric
outer casing
mold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인즈-빌리 에썰스
Original Assignee
헤인리히 에쎄르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인리히 에쎄르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헤인리히 에쎄르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4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15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odular blocks, or inserts, with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7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permeable to liquid or air in a special w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both fibrous and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Abstract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1)는 액체 불투과성이면서 탄성적인 하부층(3) 및 이 하부층(3) 상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이면서 탄성적인 상부층(4)을 갖는다. 하부층(3)과 상부층(4)은 외부 케이싱(17)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 외부 케이싱은 하부층(3)과 대향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 케이싱 하부(18) 및 상부층(4)과 대향하는 액체 투과성 외부 케이싱 상부(19)를 갖는다. 패드(1)는 눕고/눕거나 앉는데 매우 편안하고 높은 통기성을 갖는다. 더욱이, 패드(1)는 깨끗이 하기가 쉽고 따라서 빈번히 재처리될 수 있다. 패드(1)는 쉽게 경제적으로 개장될 수 있어 기존 매트리스의 눕는 편안함과 통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PAD, IN PARTICULAR FOR A MATTRESS IN THE NURSING CARE AND HOSPITAL FIELDS}
본 발명은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패드는 사람들이 편안하게 앉고/앉거나 눕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통상적인 의자나 매트리스의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그 의자나 매트리스상에 위치될 수 있다.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이러한 종류의 패드는 다른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편안히 앉고/앉거나 누울 수 있는 특성 외에도, 이러한 종류의 패드는 튼튼하고 또한 깨끗이 하는 것이 쉬워야 하며, 따라서 빈번한 재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빈번하고 쉬운 재처리를 가능케 해주는 편안한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갖는 패드로 달성된다. 액체 투과성 또는유체 투과성 외부 케이싱 상부가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면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액체는 그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면으로부터 멀어지게 흘러 상기 유체 투과성 또는 액체 투과성이면서 탄성적인 상부 층 안으로 들어 갈 수 있다. 더욱이, 유체 투과성 외부 케이싱 상부 및 상부층은 통기성을 가지며, 따라서 한편으로 기후 제어가 일어나며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위태로운 상처 부위에 많은 양의 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유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하부층 때문에, 액체는 상부층으로부터 하부층 안으로 침투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하부층은 그의 내부에서 더럽혀지지 않는다. 하부층의 탄성으로 인해, 개선된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편안함이 얻어지는데, 이는 특히 욕창 예방 및/또는 치료와 관련한 부드러운 압력 경감 지지에 유리하다. 유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 케이싱 하부 때문에 액체는 외부 케이싱 하부를 통해 빠져 나갈 수 없으며, 따라서 그 밑에 있는 물품, 예컨대 통상적인 매트리스 또는 의자 등이 더럽혀 지지 않게 된다. 외부 케이싱 하부가 트로프(trough)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량의 액체가 옆으로 새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외부 케이싱 하부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불투과성 측부를 갖는데, 이 측부는 외부 케이싱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부층과 외부 케이싱 상부는 액체 투과성이고 공기 투과성인데, 따라서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면으로 부터 액체가 상부층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으며 그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면에서 양호한 기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층과 외부 케이싱 하부는 액체 불투과성이며, 따라서 패드 밑에 있는 물품이 더럽혀 지지 않는다. 하부층 및/또는 외부 케이싱 하부는 공기 투과성 또는 공기 불투과성일 수 있다.
패드를 재처리하기 위해, 외부 케이싱을 하부층과 상부층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케이싱은 예컨대 지퍼를 갖는데, 이 지퍼는 외부 케이싱 하부와 외부 케이싱 상부 사이에 배치된다. 재처리 중에 외부 케이싱과 유체 투과성 상부층만 완전히 깨끗이 하면 된다. 유체 불투과성 하부층은 액체가 외부 케이싱 하부 영역에 모여 있어 더렵혀 지기가 더욱 어려운 조건에 있는데, 외부만 깨끗하게 되면 되고, 그래서 간단한 재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패드는 기존 시트 쿠션 및/또는 매트리스의 위에 추가로 배치되므로 그 시트 쿠션 및/또는 매트리스의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특성을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완전히 새로운 시트 쿠션 또는 완전히 새로운 매트리스에 비교하여, 기존 시트 쿠션 및/또는 매트리스의 이러한 유형의 개장은 비교적 경제적인데, 이는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상기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10 mm ~ 200 mm, 특히 20 mm ~ 150 mm 의 패드 높이를 갖는다. 패드 높이가 증가되면 그 패드의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편안함이 증가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특히 집중 하중의 경우에 패드의 높이 증가에 의해 더 양호한 압력 분산 및 더 큰 스프링 휨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부층과 상부층은 특히 내전단 방식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데, 내전단성은 예컨대 미끄럼 방지 코팅에 의해 그리고/또는 하부층에 있어서 상부층과 대향하는 측에 노브(knob)를 부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청구항 2 에 따른 패드는 높은 정도의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편안함 및 통기성을 갖는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텍스타일, 특히 적어도 하나의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및/또는 씨실 편직 직물은 쉽게 깨끗하게 될 수 있다.
청구항 3 에 따른 패드는 극히 튼튼하고 편안하다. 많은 수의 스페이서 실 그룹이 ⅠⅩⅠ형상으로 되어 있어 편직 스페이서 직물은 높은 정도의 압력 탄성과 치수 안정성을 갖게 된다. 압력 하중은 스페이서 실에 의해 탄성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이들 스페이서 실은 압력 하중이 없어지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 치수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편직 스페이서 직물은 2 ~ 100 mm, 특히 5 ~ 80 mm, 특히 15 ~ 60 mm, 그리고 특히 20 ~ 50 mm 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편직 스페이서 직물은 압력 하중으로 인한 영구 변형을 받지 않는다.
청구항 4 에 따른 패드는 부드러운 지지와 눕는 편안함을 개선한다.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압축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인접한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은 서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예컨대 코팅 및/또는 강성 연결부 및/또는 해제가능한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해제가능한 연결부로는 예컨대 접착제, 훅크 및 루프식 또는 지퍼 연결부가 있다. 강성 연결부로는 예컨대 용접 또는 시임(seam) 연결부가 있다.
청구항 5 에 따른 패드의 경우, 신체 지지 영역이 상이한 압축 경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패드의 압력 분산이 최적화될 수 있다. 더욱이, 앉기 위한 가장자리 스트립이 증가된 압축 경도를 갖는 가장자리 측면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장자리 스트립은 예컨대 상부층의 하부측, 상부측 및/또는 길이 방향 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 및/또는 가로 방향 이음부가 낮은 압축 경도를 갖는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눕는 면을 앉는 면으로 전환하기 위해 패드는 이러한 종류의 이음부 때문에 쉽게 굽혀질 수 있다.
청구항 6 에 따른 패드는 경우, 유체 불투과성이면서 탄성적인 하부층이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또는 유체 불투과성 성형체 케이싱은 예컨대 외부 폴리우레탄 코팅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성형체는 단일체 또는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성형체는 하나 이상의 성형체 케이싱으로 덮힐 수 있다. 더욱이, 하부는 다수의 성형체들이 서로 옆에 그리고/또는 서로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성형체는 공통의 성형체 케이싱으로 덮힐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수의 성형체 케이싱이 제공될 수 있는데, 각각의 케이싱은 하나 이상의 성형체를 덮게 된다. 성형체는 예컨대 (Sp. Gr. 30) 내지 (Sp. Gr. 90), 특히 (Sp. Gr. 45) 내지 (Sp. Gr. 80) 의 비중(Sp. Gr.)을 갖는 폴리우레탄(PU)과 같은 개방형 세공 및/또는 폐쇄형 세공 발포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청구항 7 에 따른 패드는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경제적이다.
청구항 8 에 따른 패드는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오염에 대해 성형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해준다. 성형체 케이싱은 예컨대 용접된다. 성형체 케이싱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이 케이싱을 닦아 소독할 수 있다. 다수의 성형체가 관련 성형체 케이싱과 함께 제공되는 경우, 각 성형체 케이싱은 영구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청구항 9 에 따른 패드의 경우, 하부의 쉽고 철저한 재처리가 가능하다. 재처리를 위해, 성형체 케이싱은 성형체로부터 제거되어 별개로 깨끗해진 성형체 케이싱으로 대체된다. 성형체 케이싱은 성형체로부터의 쉬운 제거를 위해 지퍼를 갖는다. 이 지퍼는 예컨대 겹침 재료 직물에 의해 통과하는 액체에 대해 보호된다. 다수의 성형체가 관련 성형체 케이싱과 함께 제공되는 경우, 각 성형체 케이싱은 제거될 수 있고, 특히 지퍼를 가질 수 있다.
청구항 10 에 따른 패드의 경우, 하부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상이한 강도 영역을 가지면서 가요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공통의 성형체 케이싱이 제공되어 성형체를 덮게 된다. 대안적으로, 수평 및/또는 수직 방향으로 있는 개별적인 그리고/또는 다수의 성형체는 그 자신의 성형체 케이싱을 가질 수 있다.
청구항 11 에 따른 패드의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를 다층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성형체는 다수의 성형체 층을 형성하며, 각 성형체 층은 그 자신의 액체 불투과성 또는 유체 불투과성 성형체 케이싱을 갖는다. 각 성형체 층은 하나의 성형체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치되는 다수의 성형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청구항 12 에 따른 패드는 높은 정도의 앉는 그리고/또는 눕는 편안함과 통기성을 갖는다. 외부 케이싱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인 2차원 또는 3차원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및/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을 가지며, 1 ~ 8 mm, 바람직하게는 3 ~ 5 mm의 높이를 갖는다.
청구항 13 에 따른 패드는 높은 위생 요건을 만족한다. 액체 또는 습분은 재료층에 의해 쉽게 구속될 수 있다. 이 재료층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층과 상부 층 사이에 배치된다. 재료층은 예컨대 부직물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재료층은 살균성을 지닐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세균을 차단하거나 죽일 수 있다. 재료층은 바람직하게는 습분 흡수성과 살균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청구항 14 에 따른 패드는 그의 윤곽 잡기에 있어 높은 유연성을 갖는다.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및/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은 사각형으로 특히 쉽게 제조될 수 있다. 패드의 윤곽이 사각형과는 다른 형상으로 될 경우, 이 형상은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을 둘러싸는 발포체에서의 발포로 특히 쉽게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시트 패드는 어떤 원하는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상부 층은 일회 사용되거나 또는 발포 보존 재처리를 통해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윤곽이 복잡할 수록 , 발포체와 함께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로 만들어지는 패드를 제조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더 유리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윤곽에 상관 없이 , 쉽게 재현가능한 판상 의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 하여, 윤곽 잡기의 자유도가 높게 되고 제조 비용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이점 및 상세점들은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의 사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패드를 단면선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3 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의 사시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시트 쿠션으로서 사용되는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패드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 1 및 2 의 도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2)용 패드(1)는 하부층(3) 및 그 위에 배치되는 상부층(4)을 갖는다. 하부층(3)과 상부층(4)은 실질적으로 x 및 z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층(4)은 하부층(3)상에 y 방향으로 배치된다. x, y 및 z 방향은 서로 수직이며 좌표계를 이룬다.
하부층(3)은 발포체(foam)로 만들어진 제 1 탄성 성형체(5)를 가지며, 이 성형체는 유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인 제 1 성형체 케이싱(6)으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 성형체 케이싱(6)은 성형체(5)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성형체 케이싱(6)은 제 1 지퍼(7)를 갖고 있다. 성형체 케이싱(6)과 함께 성형체(5)는 제 1 성형체 층(8)을 형성한다. 제 1 성형체(5)는 예컨대 망상 조직 발포체로 만들어지며, 관련된 성형체 케이싱(6)은 폴리우레탄(PU)으로 만들어지거나 폴리우레탄으로 코팅된다.
상기 제 1 성형체 층(8) 상에는 발포체로 만들어진 제 2 탄성 성형체(9)가 y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탄성 성형체는 유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인 제 2 성형체 케이싱(10)으로 둘러싸인다. 이 성형체 케이싱(10)은 용접에 의해 영구적으로 폐쇄되며 따라서 성형체(9)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성형체 케이싱(10)과 함께 성형체(9)는 제 2 성형체 층(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부층(3)은 두개의 성형체 층(8, 11)을 갖는다. 성형체(9)는 예컨대 점성 발포체로 만들어지며, 관련된 성형체 케이싱(10)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지거나 폴리우레탄으로 코팅된다.
하부층(3)은 탄성 성형체(5, 9) 때문에 한편으로 탄성적이고, 또한 성형체 케이싱(6, 10) 때문에 다른 한편으로는 유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이다. 성형체 케이싱(6, 10)은 또한 탄성적이다. 각각의 성형체 층(8, 11)에 대해 하부층(3)은 30 ~ 200 mm, 특히 50 ~ 150 mm, 특히 70 ~ 120 mm 의 높이(HU)를 갖는다.
상부층(4)은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의 형태로 된 스페이서 텍스타일(12)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스페이서 텍스타일 직물(12)은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로형성될 수도 있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되는 스페이서 텍스타일(12)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은 두개의 덮개 층(13)을 갖는데, 이들 덮개 층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스페이서 실(14)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어 있다. 스페이서 실(14)은 스페이서 실 그룹(15)을 형성하는데, 이 스페이서 실 그룹은 일 평면내에 있으며 ⅠⅩⅠ형상을 갖는다. 이는 도 2 에 나타나 있다. ⅠⅩⅠ 형상은 덮개 층(13)에 수직인 두개의 스페이서 실(14) 및 서로 교차하며 예컨대 45°의 각도로 비스듬히 배치되는 두개의 스페이서 실(14)로 형성된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은 2 ~ 100 mm, 특히 5 ~ 80 mm, 특히 15 ~ 60 mm, 그리고 특히 20 ~ 50 mm의 높이(HO)를 갖는다. 덮개 층(13)의 실 및/또는 스페이서 실(14)은 모노필라멘트 및/또는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의 구성과 재료에 대해서는 DE 100 26 405 B4 를 참조하면 된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은 탄성적이고 유체 투과성 또는 액체 투과성이며 상부층(4)을 형성한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은 양호한 압력 완화성, 압력 분산성 및 높은 펌핑 탄성에 특징이 있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의 개방 구조로 인해, 액체는 하부층(3)에서 먼쪽에 있는 눕는 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내부로 안내된다. 예컨대, 환자의 체액이 몸에서 멀어지게 안내된다. 더욱이,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은 수동 펌프로서 작용하므로 양호한 미기후와 양호한 열 및 습분 교환을 가지며, 또한 예컨대 몸이 움직일 때 산소가 공급 및 제거될 수 있게 해준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은 대응하는 재료의 선택으로 완전히 재활용될 수 있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은 다수의 영역(Z)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들 영역은 x 방향 및/또는 z 방향으로 서로의 옆에 배치된다. 영역(Z)들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데,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의 상이한 압축 경도가 형성된다. 각 영역(Z)의 밀도 그 자체는 균일하다.
습분 흡수성의 살균 재료층(16)이 하부층(3)과 상부층(4) 사이에 배치된다. 이 재료층(16)은 액체를 흡수하며, 이 액체는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을 통과하며 실질적으로 그 직물내의 세균들을 죽이게 된다.
하부층(3), 상부층(4) 및 재료층(16)은 외부 케이싱(17)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이 외부 케이싱(17)은 하부층(3)과 대면하는 외부 케이싱 하부(18) 및 상부층(4)과 대면하는 외부 케이싱 상부(19)를 갖는다. 외부 케이싱 하부(18)는 제 2 지퍼(20)에 의해 외부 케이싱 상부(19)에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외부 케이싱(17)은 하부층(3) 또는 상부층(4)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외부 케이싱 하부(18)는 액체가 옆으로 새는 것을 피하기 위해 유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 트로프(trough)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싱 하부(18)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외부 PU 코팅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외부 케이싱 하부(18)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불투과성 측부를 갖는데, 이 측부는 지퍼(20)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눕는 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이싱 상부(19)는 유체 투과성인데, 다시 말해, 액체 투과성 및 공기 투과성이다. 외부 케이싱 상부(19)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날실 편직 및/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직물은 지퍼(20)의 위치에 따라 2차원 또는 3차원적이다. 외부 케이싱(17) 또는 외부 케이싱 상부(19)는 예컨대 1 ~ 8 mm, 특히 3 ~ 5 mm 의 높이(HA)를 갖는다.
외부 케이싱 상부(19)는 예컨대 병원에 있는 환자를 위해 눕는 면을 제공한다. 외부 케이싱 상부(19)에 있는 액체는 그 상부를 통과하여 외부 케이싱(17)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거기서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을 떠나는 액체는 실질적으로 재료층(16)에 흡수된다. 흡수되지 않은 액체는 외부 케이싱 하부(18)에서 모이게 되며, 이 하부는 트로프형으로 되어 있고 또한 유체 불투과성이므로 액체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유체 불투과성 성형체 케이싱(6, 10) 때문에 액체는 성형체(5, 9)를 더럽힐 수 없게 된다.
패드(1)를 재처리하기 위해, 지퍼(20)를 열어 편직 스페이서 직물(12), 재료층(16) 및 성형체 층(8, 11)을 제거한다. 유체 불투과성 성형체 케이싱(6, 10) 때문에 성형체 층(8, 11)은 외부만 깨끗하게 하면 된다. 이에 상관 없이, 지퍼(7)를 열어 성형체(5)를 교환하거나 깨끗하게 할 수 있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 재료층(16) 및 외부 케이싱(17)은 서로 개별적으로 깨끗하게 될 수 있다. 재처리가 빈번히 이루어져서 더러움이 너무 심하거나 마모가 너무 심한 경우, 편직 스페이서 직물(12), 재료층(16) 및/또는 외부 케이싱(17)을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패드(1)는 눕는 편안함의 정도와 통기도가 높다. 패드(1)는 그의 구조 덕분에 쉽게 빈번히 재처리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매트리스(2)는 패드(1)에 의해 쉽게 경제적으로 개장될 수 있으며, 그래서 그의 눕는 편안함과 통기성이 개선된다.
이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조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제 1 실시 형태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참조한다. 구조적으로 다르지만 기능적으로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 "a" 가 붙어 있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 1 실시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패드(1a)의 상부층(4a)은 y 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두개의 스페이서 텍스타일 층(21, 22)을 갖는다. 이들 스페이서 텍스타일 층(21, 22)은 다수의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 23)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페이서 텍스타일 층(21, 22)은 편직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스페이서 텍스타일 층(21)은 x 및 z 방향으로 연속적인 편직 스페이서 직물(23)로 되어 있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23)은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구성을 갖는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23)은 하나 이상의 영역(Z)을 가질 수 있다.
제 2 스페이서 텍스타일 층(22)은 x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치되는 다수의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로 형성되어 있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은 예컨대 지퍼 또는 훅크 및 루프 고정구로 서로에 연결된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은 상이한 압축 경도를 갖는다. 더욱이,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은 편직 스페이서 직물(23)상에 내전단(shear-resistant) 방식으로 배치된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 23)은 전술한 방식으로 유체 투과성이고 또한 탄성적이다.
또한, 제 2 성형체 층(11a)은 x 방향으로 서로 옆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 2 성형체(9a)를 가지며, 이들 성형체는 공통의 제 2 성형체 케이싱(10)으로 완전히 둘러싸인다. 성형체(9a)는 상이한 압축 경도를 갖는다. 다른 구조 및 다른 기능 모드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조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앞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고, 따라서 앞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참조한다. 구조적으로 다르지만 기능적으로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 "b" 가 붙어 있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앞의 실시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패드(1b)는 시트 쿠션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패드(1b)는 비사각형인데, 예컨대 원형으로 되어 있다. 하부층(3b)의 성형체(5b) 및 성형체 케이싱(6b)은 이 형태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사각형 편직 스페이서 직물(12b)은 발포체(24)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발포체는 편직 스페이서 직물(12b)의 사각형 형태를 패드(1b)의 비사각형 형태에 맞게 해준다. 발포체(24) 및 편직 스페이서 직물(12b)은 탄성적이고 유체 투과성이다. 다른 구조 및 다른 기능 모드에 대해서는, 앞의 실시 형태를 참조하면 된다.

Claims (14)

  1.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로서,
    - 액체 불투과성이고 탄성적인 하부층(3; 3a; 3b),
    - 상기 하부층(3; 3a; 3b) 상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이면서 탄성적인 상부층(4; 4a; 4b), 및
    - 상기 하부층(3; 3a; 3b)과 상부층(4; 4a; 4b)을 덮는 외부 케이싱(17)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은,
    - 상기 하부층(3; 3a; 3b)과 대향하고 트로프(trough)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 케이싱 하부(18), 및
    - 상기 상부층(4; 4a; 4b)과 대향하는 액체 투과성 외부 케이싱 상부(19)를 포함하는 매트리스용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4; 4a; 4b)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텍스타일(12; 12a; 23; 12b), 특히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 12a; 23; 12b) 및/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 12a; 23; 12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4; 4a; 4b)은 적어도 하나의 편직 스페이서 직물(12; 12a; 23; 12b)을 가지며, 이 편직 스페이서 직물은 스페이서 실(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개의 덮개 층(13)을 가지며, 스페이서 실(14)은 ⅠⅩⅠ형상을 가지면서 일 평면내에 있는 실 그룹(1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4a)은 다수의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 23) 및/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a, 23)을 가지며, 이들 직물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옆에 그리고/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4)은 적어도 하나의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 및/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을 가지며, 이 스페이서 직물은 수평 방향으로 상이한 밀도를 갖는 다수의 영역(Z)을 가지며, 따라서 이들 영역(Z)은 상이한 압축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3; 3a; 3b)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성형체(5, 9; 5, 9a; 5b)를 가지며, 이 성형체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불투과성 성형체 케이싱(6; 10; 6b)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5, 9; 5, 9a; 5b)는 발포체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 케이싱(10)은 영구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 케이싱(6; 6b)은 성형체(5; 5b)로부터 제거가능하고, 특히 성형체 케이싱(6; 6b)은 성형체(5; 5b)로부터의 제거를 위해 지퍼(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층(3; 3a)은 다수의 탄성 성형체(5, 9; 5, 9a)를 가지며, 이들 성형체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옆에 그리고/또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상하로 배치되는 상기 성형체(5, 9; 5, 9a)는 다수의 성형체 층(8, 11; 8, 11a)을 형성하며, 이들 층은 각 경우 액체 불투과성 성형체 케이싱(6, 10)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 상부(19)로서의 상기 외부 케이싱(18)은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 및/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흡수성 및/또는 살균 재료층 (16)이 제공되어 있고, 이 재료층은 특히 상부층(3; 3a)과 하부층(4; 4a)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층(4b)은 발포체(24)를 가지며, 이 발포체는 날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b) 또는 씨실 편직 스페이서 직물(12b)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KR1020127017657A 2010-03-04 2011-03-04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 KR20130045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2572.0 2010-03-04
DE102010002572A DE102010002572A1 (de) 2010-03-04 2010-03-04 Auflage, insbesondere für eine Matratze in Pflege- und Krankhausbereich
PCT/EP2011/053268 WO2011107579A1 (de) 2010-03-04 2011-03-04 Auflage, insbesondere für eine matratze im pflege- und krankenhausberei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233A true KR20130045233A (ko) 2013-05-03

Family

ID=4404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657A KR20130045233A (ko) 2010-03-04 2011-03-04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2639B2 (ko)
EP (1) EP2542199B1 (ko)
KR (1) KR20130045233A (ko)
DE (1) DE102010002572A1 (ko)
IL (1) IL220573A0 (ko)
WO (1) WO2011107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87870A (en) * 2008-03-11 2012-05-25 A H Beard Pty Ltd A remoavble mattress cover with a sleep panel with breathable fabric layers
AU2012398099B2 (en) * 2012-12-28 2016-09-08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having a spacer fabric as fluid flow control member
CN104884018B (zh) 2012-12-28 2018-07-10 Sca卫生用品公司 具有作为流体流动控制构件的间隔织物的吸收性物品
US10413442B2 (en) * 2014-01-10 2019-09-17 Banyan Licensing L.L.C. Support cushion having a disposable absorbent layer
CN208550658U (zh) * 2014-12-05 2019-03-01 布鲁斯·H·施耐德 可洗床垫组合结构
FR3047894B1 (fr) * 2016-02-19 2018-03-16 Guy Wackermann Matelas pour la prevention et le traitement des escarres
JP6724141B2 (ja) * 2016-07-28 2020-07-15 株式会社エアウィーヴ 寝具および寝具用カバーシート
BE1024424B1 (nl) * 2016-12-30 2018-02-14 Aerosleep N.V. Werkwijze voor het produceren van een luchtdoorlatende mat
KR102651704B1 (ko) * 2017-11-21 2024-03-26 빈센조 부오닌판테 매트리스
US20200029702A1 (en) * 2018-07-27 2020-01-30 Bedgear, Llc Bedding system and method
DE102021206754A1 (de) * 2021-06-29 2022-12-29 Mahle International Gmbh Sitz- oder Liegemöbel
JP6993037B1 (ja) * 2021-08-05 2022-01-13 株式会社リフレーションジャパン 寝具
AT526026A1 (de) * 2022-04-14 2023-10-15 Kohlbrat & Bunz Gmbh Vorrichtung zur Stützung und/oder Stabilisierung wenigstens eines Lebewesen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903A (en) * 1905-08-15 1906-05-08 Frederick Maussner Mattress.
US4031579A (en) * 1975-12-19 1977-06-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Aircraft seat cushion
DE2820585C2 (de) * 1978-05-11 1982-11-18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Unabhängige Aufhängung der lenkbaren Vorderräder von Kraftfahrzeugen
DE2834528A1 (de) * 1978-08-07 1980-02-21 Audi Nsu Auto Union Ag Aufbauseitige lagerung eines aus einem teleskopdaempfer und einer schraubenfeder gebildeten federbeins
DE2853914A1 (de) * 1978-12-14 1980-07-03 Fichtel & Sachs Ag Schwingungsdaempfer oder federbein mit einem hydraulisch-mechanischen zuganschlag
US4965900A (en) * 1989-10-25 1990-10-30 Smith Gary D Absorbent device
WO1994020002A1 (en) * 1993-03-09 1994-09-15 Inter Care A/S A sheet, and an assembly comprising a sheet and a mat conveyor
DE4408405B4 (de) * 1993-08-14 2005-11-03 Zf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mit mechanischem Zuganschlag
BE1008500A3 (nl) * 1994-07-11 1996-05-07 Hoorens Jan Ligmat.
EP0820541A1 (en) * 1995-04-08 1998-01-28 Mothercare Uk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acer materials
JPH0914328A (ja) * 1995-06-27 1997-01-14 Kayaba Ind Co Ltd 油圧緩衝器におけるリバウンドクッション装置
JP3753196B2 (ja) * 1996-04-09 2006-03-08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ロッドガイドの成形方法
DE19626143C2 (de) * 1996-07-01 1999-09-16 Mannesmann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mit Zuganschlagfeder
US5817391A (en) * 1997-04-17 1998-10-06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hree-dimensional knit spacer fabric for bed pads
DE10026405B4 (de) 1999-05-31 2008-02-21 Cetex Chemnitzer Textilmaschinenentwicklung Ggmbh Abstandsgewirke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DE10056276B4 (de) * 2000-11-14 2004-12-09 Stabilus Gmbh Kolbenstangenführung, insbesondere für ein Gasfeder, mit einem Endanschlag
DE20309795U1 (de) * 2002-06-25 2003-10-02 Bodet & Horst Gmbh & Co Kg Matratzenbezug, insbesondere für eine Kleinkindermatratze
JP2004124993A (ja) * 2002-09-30 2004-04-22 Tokico Ltd シリンダ装置
DE20306348U1 (de) 2003-04-23 2003-09-11 Aff Dieter Sitzkissen
DE102004034942A1 (de) * 2004-07-20 2006-03-16 Volkswagen Ag Schwingungsdämpfer mit einem Zuganschlag
US20060189955A1 (en) 2005-02-18 2006-08-24 Mark Miskie Invertible multi-layer moisture management fabric pad
DE502005002214D1 (de) * 2005-03-10 2008-01-24 Lufthansa Technik Ag Schwer entflammbare Matratze für Luftfahrzeuge
DE102005060931A1 (de) * 2005-12-20 2007-06-28 Sanders Gmbh Matratzenauflage
DE06120923T1 (de) * 2006-06-12 2007-05-03 Handelshuset Aldén & Olsson ApS Flüssigkeitsdichte Matratzenhülle
DE102007059274A1 (de) * 2007-12-08 2009-06-10 Klaus Stanke Matratzenauflage aus Abstandsgewirke, -Gewebe, oder -Gestrick mit permanent antimikrobieller Funktion
DE102009014265B4 (de) * 2009-02-05 2017-06-01 Heinrich Essers Gmbh & Co. Kg Matratze für den Einsatz im Pflege- und Krankenhausbereich
DE102010028316A1 (de) * 2010-03-04 2011-11-03 Heinrich Essers Gmbh & Co. Kg Auflage,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im Pflege- und Krankenhausberei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2199B1 (de) 2015-02-25
DE102010002572A8 (de) 2011-12-15
EP2542199A1 (de) 2013-01-09
US9072639B2 (en) 2015-07-07
IL220573A0 (en) 2012-08-30
DE102010002572A1 (de) 2011-09-08
US20120297545A1 (en) 2012-11-29
WO2011107579A1 (de)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5233A (ko) 특히 간호 및 병원 분야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용 패드
KR101302238B1 (ko) 특히 돌보는 시설 및 병원에서 사용되는 매트리스
US9095481B2 (en) Pad, in particular for use in the nursing care and hospital sector
US10781541B2 (en) Stretchable textile stay and transfer sheet
US6272707B1 (en) Support pad
US20090056030A1 (en) Mattress cover for convalescing patient
US6854143B2 (en) Permeable mattress
US8528132B2 (en) Mattress carrier and such a mattress carrier provided with mattress
EP2918715B1 (en) A 3-dimensional warp knitted textile spacer fabric and use thereof as a decubitus preventing mini mattress
US20170035216A1 (en) Cushioning device
EP2798980A1 (en) Mattress
US20130167303A1 (en) Mattress with a spacer textile
JP6918719B2 (ja) 中材保護用側地
JP2886073B2 (ja) 敷 物
JPH02249511A (ja) 車両用座席又は椅子等の敷物材料
GB2544081A (en) Support surface or support surface topper having a cover comprising a moisture vapour permeable mesh
JPH03297465A (ja) 褥瘡防止用パッド
WO2019072711A1 (en) REFUNDED ARTICLE AND ASSOCIATED EXTERNAL RECEPTACLE
JPH07136041A (ja) 活性シートマット
KR20100004994U (ko) 세탁(洗濯) 가능한 매트리스
JPH0681357U (ja) 分割マットレ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