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249A - 커버 - Google Patents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249A
KR20130040249A KR1020137004028A KR20137004028A KR20130040249A KR 20130040249 A KR20130040249 A KR 20130040249A KR 1020137004028 A KR1020137004028 A KR 1020137004028A KR 20137004028 A KR20137004028 A KR 20137004028A KR 20130040249 A KR20130040249 A KR 20130040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cover part
center
curv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721B1 (ko
Inventor
미유키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커버는 제 1 커버부,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 사이에서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2 커버부에 고정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보다 더 얇은 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는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가 힌지 중심부보다 더 두껍도록 설치된다. 자신의 측단면이 상기 제 1 커버부의 측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버부의 측까지 완만하게 경사진 만곡된 표면이 되고, 자신의 상면이 자신의 중심에서 가장 얇고 상기 중심으로부터 양 지지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더 두꺼워지도록 상방을 향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인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힌지 단부의 각각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버{COVER}
본 발명은 제 1 커버부와 제 2 커버부 사이에 힌지부를 구비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차량 등에 장착되는 일부 배터리는 배터리에 직접 부착되는 퓨즈 유닛을 가진다. 배터리 포스트, 배터리의 퓨즈 유닛의 단자부 등이 노출될 때, 물과 먼지가 오염 등을 일으키기 때문에, 배터리의 퓨즈 유닛이 부착되는 부분의 상부가 전체적으로 커버인(특허문서 1 참조) 배터리 커버로 덮여진다.
이러한 유형의 배터리 커버의 종래 예시가 도 1- 4b에 도시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터리 커버(50)는 제 1 커버부(51), 제 2 커버부(60) 및 상기 제 1 커버부(51)와 제 2 커버부(60) 사이에 배치된 결합부(70)를 포함한다.
제 1 커버부(51)는 제 1 상면 벽(52)과 상기 제 1 상면 벽(52)의 3개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도록 배치된 제 1 측벽(53)을 포함한다. 제 2 커버부(60)의 측부 상의 제 1 상면 벽(52)의 일부는 하방을 향해 경사진 제 1 경사면 부(54)를 형성한다.
제 2 커버부(60)는 제 2 상면 벽(61)과 상기 제 2 상면 벽(61)의 3개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도록 배치된 제 2 측벽(62)을 포함한다. 제 1 커버부(51)의 측부 상의 제 2 상면 벽(61)의 일부는 하방을 향해 경사진 제 2 경사면 부(63)를 형성한다.
결합부(70)는 상기 제 1 커버부(51)와 상기 제 2 커버부(60)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결합부(70)는: 제 2 커버부(60)와 일체로 설치되는 연결부(71); 및 상기 연결부(71)의 하나의 측 단부에 고정된 힌지부(72);로 형성된다.
도 3-4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72)는 가요성이 되기 위해 연결부(71) 보다 더 얇고, 자신의 폭방향으로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73)는 힌지 중심부(74) 보다 더 두껍다. 각 힌지 단부(73)의 측단면(73a)은 위에서 보았을 때(평면도) 중심 측을 항해 오목한 반원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각 힌지 단부(73)의 상면(73b)은 측면에서 보았을때(측면도)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종래 예시에서, 상기 제 1 커버부(51)와 상기 제 2 커버부(60)의 상면 보다 더 아래에 있는 위치에 결합부(70)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커버부(60)는 제 1 경사면 부(54)가 제 2 경사면 부(63)에 부딪히는 위치에 대해서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커버부(60)의 회전 범위는 필요한 회전 범위로 한정된다.
또한 힌지부(72)의 구조에서,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73)는 힌지 중심부(74)보다 더 두껍게 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힌지부(72)의 강도가 증가된다.
일본특허출원공개번호 제2002-289171
상술한 종래 예시에서, 제 1 커버부(51)와 제 2 커버부(60) 사이에서 힌지부(72)만을 가진 배터리 커버와 비교할 때, 힌지부(72)는 불리하게도 낮은 강도를 가진다. 즉, 힌지부(72)뿐 아니라 연결부(71)가 제 1 커버부(51)와 제 2 커버부(60)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구조는 힌지부(72)의 강도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가진다. 제 2 커버부(60)의 회전이 제 1 경사면부(54)로 하여금 제 2 경사면부(63)에 부딪히도록 할 때, 그의 반작용력이 결합부(70) 상에 작용하고, 따라서 결합부(70)에서 가장 얇은 힌지부(72)가 커다란 로드 손상을 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힌지부(72)는 낮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72)의 양 측부 상에 힌지 단부(73)의 두께가 더 증가되고 그에 따라 강도가 증가되지만; 힌지부(72)의 가요성은 열화되어, 미리정해진 두께를 초과하여 두께를 증가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부와 힌지부가 제 1 커버부와 제 2 커버부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힌지부의 가요성을 열화시키지 않고서 힌지부의 강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커버부;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 사이에서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결합부는 상기 제 1 커버부 및 상기 제 2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보다 더 얇은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부는 회전을 위한 지지 포인트로서 힌지부를 이용하여 제 1 커버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힌지부는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가 힌지 중심부보다 더 두껍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 1 커버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제 2 커버부의 측부까지 상기 힌지 단부의 측단면이 완만하게 경사지는 만곡된 표면이고, 상기 힌지 단부의 상면이 자신의 중심에서 가장 얇고 상기 중심으로부터 양 지지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더 두꺼워지도록 상방을 향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인 만곡된 표면이 되도록, 상기 힌지 단부의 각각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방향으로의 힌지부의 크기는 3mm이고,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낮은 힌지 단부의 중심 위치까지의 크기는 0.75mm이고, 힌지 단부의 측단면은 폭방향으로 제 1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와 제 2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 사이의 경사의 변화크기가 0.2mm-0.6mm의 범위 내에 있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힌지 단부의 상면은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0.2mm-0.4mm의 위치가 지지 단부가 되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방향으로의 힌지부의 크기는 3mm이고,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낮은 힌지 단부의 중심 위치까지의 크기는 0.75mm이고, 힌지 단부의 측단면은 폭방향으로 제 1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와 제 2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 사이의 경사의 변화크기가 0.3mm이 되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힌지 단부의 상면은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0.3mm의 위치가 지지 단부가 되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방향 로드가 제 2 커버상에 작용할 때, 최대 스트레스가 힌지부의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상에서 생성될지라도, 힌지 단부가 힌지 중심부 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최대 스트레스 값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 두꺼운 힌지 단부의 측단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만곡된 표면이기 때문에, 힌지 단부 형상의 급속한 변화로부터 야기된 스트레스 집중이 발생되지 않는다. 힌지 단부가 중심 위치에서 가장 얇기때문에, 힌지 단부는 힌지 부의 가요성이 중심위치에서 열화되지 않고, 따라서 원하는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더 두꺼운 힌지 단부는 중심 위치로부터 양 측부 상의 지지단부를 향해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두꺼워져,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의 가요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힌지부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배터리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배터리 커버의 결합부의 인접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종래 힌지 단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라인 A-A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의 결합부의 인접한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단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7의 라인 B-B를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9는 힌지 단부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자신의 측단면의 경사 크기 X가 변화되어 측방향 로드가 적용될 때의 스트레스 분포의 관찰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힌지 단부의 측단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고, 자신의 상면의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의 정도가 변화되어 측방향 로드와 인장력(tensile) 로드가 적용될 때의 스트레스 분포의 관찰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힌지 단부의 측단면의 경사 크기 X와 상면의 아크 정도 Y 모두를 변경시킴으로써 획득된 배터리 커버의 모델이 성공적으로 형성되는지 여부를 도시하는 리스트이다.
도 12는 배터리 커버의 각 모델에서, 측방향 로드, 개방 로드 및 인장력 로드가 적용될 때의 스트레스 분포의 관찰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종래 배터리 커버 및 실시예의 배터리 커버의 각각의 모델에서, 측방향 로드, 개방 로드 및 인장력 로드가 적용될 때의 스트레스 분포의 관찰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인 배터리 커버(1)는 제 1 커버부(2), 제 2 커버부(10) 및 제 1 커버부(2)와 제 2 커버부(10) 사이에 배치된 결합부(20)를 포함한다.
제 1 커버부(2)는 제 1 상면 벽(3)과 상기 제 1 상면 벽(3)의 3개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도록 배치된 제 1 측벽(4)을 포함한다. 제 2 커버부(10)의 측부 상의 제 1 상면 벽(3)의 일부는 하방을 향해 경사진 제 1 경사면 부(5)를 형성한다. 제 1 측벽(4) 상에서, 복수의 걸쇠부(latch)(6)가 설치된다. 걸쇠부(6)는 제 1 커버부(2)를 퓨즈 유닛(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시킨다.
제 2 커버부(10)는 제 2 상면 벽(11)과 상기 제 2 상면 벽(11)의 3개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도록 배치된 제 2 측벽(12)을 포함한다. 제 1 커버부(2)의 측부 상의 제 2 상면 벽(11)의 일부는 하방을 향해 경사진 제 2 경사면 부(13)를 형성한다.
결합부(20)는 상기 제 1 커버부(2)와 상기 제 2 커버부(10)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결합부(20)는: 제 2 커버부(60)와 일체로 설치되는 연결부(21); 및 상기 연결부(21)에 일체로 고정된 힌지부(30);로 형성된다. 배터리 커버(1)에서, 제 2 커버부(10)는 회전을 위한 지지 포인트로서 힌지부(30)를 이용하여 제 1 커버부(2)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도 7-8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0)는 가요성이 되기 위해 연결부(21) 보다 더 얇다. 힌지부(30)에서, 자신의 폭방향으로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31)는 힌지 중심부(32) 보다 더 두껍다. 각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은, 위에서 보았을 때(평면도) 측단면(31a)이 제 1 커버(2)의 측으로부터 제 2 커버(10)의 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만곡된 표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힌지부(30)의 상면(31b)은, 측면에서 보았을때(측면도) 자신의 중심에서 가장 낮고 중심으로부터 양 측부 상의 지지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실질적으로 아크형상 만곡된 표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힌지 단부(31)는, 자신의 중심부에서 가장 얇게 되고, 중심으로부터 양 측부 상의 지지단부를 향해 점점 더 두껍게 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방향으로의 힌지부(30)의 크기 "a"는 3mm이고, 연결부(21)의 상면으로부터 힌지 단부(31)에서 가장 낮은 중심 위치까지의 크기 "b"는 0.75mm이다.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은 폭방향으로 제 1 커버부(2)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와 제 2 커버부(10)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 사이의 경사의 변화크기가 0.3mm가 되도록 완만하게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힌지 단부(31)의 상면(31b)은 연결부(2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0.3mm 위치가 지지단부가 되도록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의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제 2 커버부(10)는 회전을 위한 지지 포인트로서 힌지부(30)를 이용하여 제 1 커버부(2)에 대해 화살표 "R"(도 5에 도시된)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폐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이한다. 폐 위치에서, 제 1 상면 벽(3)과 제 2 상면 벽(11)이 동일한 표면 상에 배치되고, 퓨지 유닛(도시되지 않음) 등의 상부를 덮는다. 개방 위치에서, 제 2 상면 벽(11)에 의해 닫혀지는 퓨즈 유닛(도시되지 않음) 등의 상부가 노출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시각적으로 퓨즈(도시되지 않음)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부(20)가 제 1 커버부(2)와 제 2 커버부(10)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2 커버부(10)는 제 1 경사표면부(5)가 제 2 경사표면부(13)에 부딪히는 위치에 대해서만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커버부(10)의 회전 범위가 필요한 회전 범위로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1)의 힌지부(30)에서,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31)는 힌지 중심부(32) 보다 더 두껍고; 각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은, 측단면(31a)이 제 1 커버부(2)의 측으로부터 제 2 커버부(10)의 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만곡된 표면이 되도록 형성되고; 및 상면(31b)은, 상면(31b)이 자신의 중심에서 가장 낮고 중심으로부터 양 측부 상의 지지단부를 향해 상방으로 점차적으로 경사지는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인 만곡된 표면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측방향 로드가 제 2 커버부(10) 상에 작용할 때, 최대 스트레스가 힌지부(30)의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31)에서 생성될 지라도, 힌지 단부(31)가 힌지 중심부(32) 보다 더 두껍기때문에, 최대 스트레스 값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 두꺼운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이 완만하게 경사진 만곡된 표면이기 때문에, 힌지 단부(31)의 형상의 빠른 변화로부터 야기된 스트레스 집중은 발생되지 않는다. 힌지 단부(31)는 중심 위치에서 가장 얇기때문에, 힌지 단부(31)는 힌지부(30)의 가요성이 중심 위치에서 열화되지 않아서, 원하는 가요성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더 두꺼운 힌지 단부(31)는 중심 위치로부터 양 측부 상의 지지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더 두껍게 되고, 따라서, 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30)의 가요성을 열화시키지 않고서 힌지부(30)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스트레스 분포의 측정
힌지부(30)의 힌지 단부(31)의 구조가 상이하게 변할때, 힌지부(30)의 스트레스 분포는 실험적으로 측정된다. 예를 들면, 스트레스 분포는 광탄성 부재를 가진 배터리 커버(1)를 산출하고, 배터리 커버(1)의 제 2 커버부(10)로 로드를 적용하고, 힌지부(30) 상에 작용하는 결과인 스트레스의 이미지를 관찰함으로써 측정된다. 스트레스가 배터리 커버(1) 상에 작용할 때, 회전 측면 상에서의 제 2 커버부(10) 상에서, 측방향 로드(이하 측방향 로드 F1이라고 함), 개방 방향 로드(이하 개방 로드 F2라고 함), 및 인장력 방향 로드(인장력 로드 F3)가 고려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로드들이 적용된다.
여기서, 배터리 커버(1)의 모델에서, 결합 방향으로의 힌지부(30)의 크기 "a"는 3mm이고, 연결부(21)의 상면으로부터 힌지 단부(31)에서 가장 낮은 중심 위치로의 크기 "b"는 0.75mm이다.
먼저, 힌지 단부(31)의 상면(31b)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태에서, 스트레스 분포는 측단면(31a)의 경사 크기 X를 변화시킴으로써 관찰된다. 그런다음, 측방향 로드(F1)가 적용될 때, 도 9에 도시된 스트레스 분포가 획득된다. 측정 결과로서, 힌지부(30) 상에서 작용하는 스트레스가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의 경사 크기 X에 의해 변경되는 실험에 의해 확인된다. 각각의 부분의 로드의 정도는 4가지 단계로 표시된다. 가장 높은 로드의 영역은 검은 색으로 칠해지고; 로드가 낮아질 수록, 영역은 더 낮은 정도의 음영으로 표시된다. 하기의 실험에서, 평가의 기준은 동일하다.
그런다음,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인 상태에서, 스트레스 분포는 상면(31b)의 만곡된 표면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관찰된다. 특히, 연결부(21)의 상면으로부터 지지단부까지의 크기 "Y"가 변경된다. 그런다음, 측방향 로드(F1) 및 인장력 로드(F3)의 각각의 경우에, 도 10에 도시된 스트레스 분포가 얻어진다. 관찰 결과로서, 힌지부(30) 상에서 작용하는 스트레스는 힌지 단부(31)의 상면(31b)의 만곡된 표면의 정도(만곡된 표면의 정도가 "Y"만큼 변경)만큼 변경되었음이 실험에 의해 확인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유형(메쉬 라인)의 모델의 배터리 커버(1)가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의 경사 크기 "X"와 상면(31b)의 아크 정도 "Y"를 변경시킴으로써 산출된다. 각각의 배터리 커버(1)의 모델의 스트레스 분포가 관찰된다. 그런다음, 측방향 로드(F1), 개방 로드(F2) 및 인장력 로드(F3)의 각각의 경우에, 도 12에 도시된 스트레스 분포가 얻어진다.
관찰의 결과로서, 바람직하게는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은 폭방향으로 제 1 커버부(2)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와 제 2 커버부(10)의 측부(연결부(21)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 사이의 경사 변이 크기가 0.2mm-0.6mm의 범위 내에 있도록 완만하게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힌지 단부(31)의 상면(31b)은 연결부(2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0.2mm-0.4mm의 위치에 지지 단부가 있도록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의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된다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관찰의 결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힌지 단부(31)의 측단면(31a)은 폭방향으로 제 1 커버부(2)의 측부 상의 지지 단부와 제 2 커버부(10)의 측부(연결부(21)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 사이의 경사 변이 크기가 0.3mm이 되도록 완만하게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힌지 단부(31)의 상면(31b)은 연결부(2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0.3mm의 위치에 지지 단부가 있도록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의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된다는 것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예시의 모델과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델의 스트레스 분포가 관찰된다. 측정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모든 로드에 대해, 본 실시예의 모델에서, 로드의 정도(스트레스)가 감소된다는 것이 확인된다. 특히, 측방향 로드(F1)에 대해, 로드의 정도(스트레스)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측방향 로드(F1)가 적용될 때, 커다란 크기의 압력 스트레스와 커다란 크기의 인장력 스트레스가 힌지부(30)의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31) 상에 작용한다. 종래 예시에서, 힌지부의 양측 단부의 측단면이 반원형이고, 그 형상들이 현저하게 변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는 확실히 집중된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 측단면이 완만하게 경사진 표면이고, 그 형상들이 현저하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스는 집중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반드시, 측방향 로드(F1)에 대해, 로드의 정도(스트레스)는 현저하게 감소된다.
기타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21)가 제 2 커버부(10)의 측부 상에 설치되지만, 연결부(21)는 제 1 커버부(2)의 측부 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제 1 커버부(2)의 측부와 제 2 커버부(10)의 측부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가 배터리 커버(1)일지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커버가 아닌 커버에 당연히 적용가능하다.
1 배터리 커버(커버) 2 제 1 커버부
10 제 2 커버부 20 결합부
21 연결부 30 힌지부
31 힌지 단부 31a 측단면
31b 상면 32 힌지 중심부

Claims (3)

  1. 제 1 커버부;
    제 2 커버부; 및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의 상면 보다 더 낮은 위치에,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 사이에서 배치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보다 더 얇은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버부는 회전을 위한 지지 포인트로서 상기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커버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양 측부 상의 힌지 단부가 힌지 중심부보다 더 두껍도록 설치되고,
    상기 힌지 단부의 측단면이 상기 제 1 커버부의 측으로부터 상기 제 2 커버부의 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만곡된 표면이 되고, 상기 힌지 단부의 상면이 중심에서 가장 얇고 상기 중심으로부터 양 지지 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더 두꺼워지도록 상방을 향해 경사진 실질적으로 아크형상인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힌지 단부의 각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 방향으로의 상기 힌지부의 크기는 3mm이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낮은 상기 힌지 단부의 중심 위치까지의 크기는 0.75mm이고,
    상기 힌지 단부의 측단면은 폭방향으로 상기 제 1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 사이의 경사의 변화크기가 0.2mm-0.6mm의 범위 내에 있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 단부의 상면은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0.2mm-0.4mm의 위치가 지지 단부가 되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 방향으로의 상기 힌지부의 크기는 3mm이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가장 낮은 상기 힌지 단부의 중심 위치까지의 크기는 0.75mm이고,
    상기 힌지 단부의 상기 측단면은 폭방향으로 상기 제 1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의 측부 상의 지지단부 사이의 경사의 변화크기가 0.3mm이 되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 단부의 상면은 상기 연결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0.3mm의 위치가 지지단부가 되도록 만곡된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KR1020137004028A 2010-07-20 2011-07-20 커버 KR101602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2650A JP5639399B2 (ja) 2010-07-20 2010-07-20 カバー
JPJP-P-2010-162650 2010-07-20
PCT/JP2011/004093 WO2012011275A1 (en) 2010-07-20 2011-07-20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249A true KR20130040249A (ko) 2013-04-23
KR101602721B1 KR101602721B1 (ko) 2016-03-11

Family

ID=4458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028A KR101602721B1 (ko) 2010-07-20 2011-07-20 커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62171B2 (ko)
JP (1) JP5639399B2 (ko)
KR (1) KR101602721B1 (ko)
CN (1) CN103003978B (ko)
DE (1) DE112011102416T5 (ko)
WO (1) WO20120112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55A (ko) 2015-05-12 2016-1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몰드힌지를 가진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4968B2 (ja) * 2013-09-18 2017-11-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端子保護カバー
US11170916B2 (en) 2018-11-05 2021-11-09 Lear Corporation C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93A (en) * 1893-12-26 Deboutteville
GB1106128A (en) * 1963-12-17 1968-03-13 Ici Ltd Hinges
JPH07285568A (ja) * 1994-04-14 1995-10-31 Yoshino Kogyosho Co Ltd 弾性反転する蓋体付き容器等
JP2002289171A (ja) 2001-03-26 2002-10-04 Yazaki Corp バッテリ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252Y1 (ko) * 1969-07-12 1974-01-12
JPS491252A (ko) 1972-04-17 1974-01-08
CH680782A5 (ko) * 1990-06-08 1992-11-13 Createchnic Ag
US5423442A (en) * 1990-07-27 1995-06-13 Yoshino Kogyosho Co., Ltd. Cap structure with elastic turnover cover
JPH0551043A (ja) * 1991-08-23 1993-03-02 Sony Corp ハードケース
JP2000150018A (ja) * 1998-11-13 2000-05-30 Sumitomo Wiring Syst Ltd 樹脂成形品
US6576838B2 (en) * 2001-03-07 2003-06-10 Yazaki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and fuse box
JP3976517B2 (ja) * 2001-05-01 2007-09-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部用保護カバー
US7731042B2 (en) * 2005-12-21 2010-06-08 Seaquist Closures Foreign, Inc. Closure with hinged lid and stress relief recess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593A (en) * 1893-12-26 Deboutteville
GB1106128A (en) * 1963-12-17 1968-03-13 Ici Ltd Hinges
JPH07285568A (ja) * 1994-04-14 1995-10-31 Yoshino Kogyosho Co Ltd 弾性反転する蓋体付き容器等
JP2002289171A (ja) 2001-03-26 2002-10-04 Yazaki Corp バッテリカ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55A (ko) 2015-05-12 2016-1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몰드힌지를 가진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2416T5 (de) 2013-05-29
US20130122343A1 (en) 2013-05-16
WO2012011275A1 (en) 2012-01-26
JP2012025185A (ja) 2012-02-09
US8962171B2 (en) 2015-02-24
CN103003978B (zh) 2015-03-11
KR101602721B1 (ko) 2016-03-11
JP5639399B2 (ja) 2014-12-10
CN103003978A (zh)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2700B2 (en) Panel
KR20130040249A (ko) 커버
US20120295496A1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n aluminum electric conductor and a connector
US9206940B2 (en) Structure including a frame having four sides and a closed cross-section structural member
CN112489564A (zh) 柔性支撑板和柔性显示装置
EP3879621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apparatus
EP2589505A1 (en) Off-road truck with rubber spring apparatus installed
TWI620850B (zh) 包括纜線及一或多個列板的結構及拉力元件及用以減低雨水及風在一纜線造成振動的方法
US20100050397A1 (en) Connecting means for two crossing cable strands of cable play systems
KR20070006613A (ko) 크레인 신축자재부의 상위현
EP2105730A3 (en) Laminated solid electrolyte gas sensor element
JP6994992B2 (ja) 拘束部材および全固体電池アセンブリ
KR20130000141U (ko) 선박 블록의 리프팅 러그
JP4975384B2 (ja) 建築構造用折板材
US8635979B2 (en) Drag lever
US8511657B2 (en) Torsion spring for micromechanical applications
CN215629506U (zh) 一种抗风防眩板
US11273692B2 (en) Door beam
JP7123010B2 (ja) 板状体支持装置
JP2013073808A (ja) カバー
CN220465001U (zh) 一种具有结构引导应力释放的金属网版
KR20180017677A (ko)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CN219873781U (zh) 电池包
CN114093256A (zh) 支撑板和显示面板
CN219627644U (zh) 一种光伏组件用边框及光伏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24

Effective date: 201601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