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677A -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7677A KR20180017677A KR1020160101877A KR20160101877A KR20180017677A KR 20180017677 A KR20180017677 A KR 20180017677A KR 1020160101877 A KR1020160101877 A KR 1020160101877A KR 20160101877 A KR20160101877 A KR 20160101877A KR 20180017677 A KR20180017677 A KR 201800176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bdomen
- steel wire
- torsion
- span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7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7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4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2 time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곡선형 교량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곡선형 교량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1의 곡선형 교량의 복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곡선형 교량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선형 교량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곡선형 교량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7b는 종래의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에 의한 변형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10: 곡선형 플레이트
120: 제1 복부
130: 제2 복부
140: 메인 강선
150: 제1 비틀림 저항 강선
151: 제1 강선
152: 제2 강선
153: 제3 비틀림 저항 강선
160: 제2 비틀림 저항 강선
163: 제4 비틀림 저항 강선
161: 제3 강선
162: 제4 강선
170: 비틀림 저항 강선
Claims (18)
-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간들로 시공되는 곡선형 교량에 있어서,
곡률반경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부를 구비한 곡선형 플레이트;
상기 외측부의 하단에서 연장되도록 제1 경간들이 연결되는 제1 복부;
상기 제1 복부에 대응하도록 제2 경간들이 연결되며, 상기 내측부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2 복부;
상기 제1 복부 및 상기 제2 복부에 대칭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간 및 상기 제2 경간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양단으로 상승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메인 강선;
상기 제1 경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인접하거나 상기 제1 경간이 연결되는 연결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비틀림 저항 강선; 및
상기 제2 경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의 상부나 상기 제2 경간이 연결되는 연결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을 포함하는,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1 복부의 아래 방향으로 비틀림에 대해서 저항하는 저항력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2 복부의 위 방향으로 비틀림에 대해서 저항하는 저항력을 생성하는,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에 대해서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간 또는 상기 제2 경간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거더이거나 강합성 거더인,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부와 상기 제2 복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복부; 및
상기 제3 복부와 상기 제2 복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4 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복부 및 상기 제4 복부는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상기 메인 강선이 배치되고, 상기 제3 복부는 상기 제1 비틀림 저항 강선이 상기 제1 복부와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복부는 상기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이 상기 제2 복부와 대치되게 배치되는,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틀림 저항 강선 또는 상기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1 복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직선으로 배치되는,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1 경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아래로 오목한 제1 강선; 및
상기 제1 경간이 연결되는 연결부에 배치되고 위로 볼록한 제2 강선;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2 경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의 상부에 위로 볼록한 제3 강선; 및
상기 제2 경간이 연결되는 연결부의 하부에 아래로 오목한 제4 강선;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곡선형 교량.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틀림 저항 강선 또는 상기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은 적어도 일부가 길이방향의 중심에서 플랫하게 설치되는, 곡선형 교량. -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간들로시공되는 곡선형 교량에 있어서,
곡률반경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부를 구비한 곡선형 플레이트;
상기 외측부의 하단에서 연장되도록 제1 경간들이 연결되는 제1 복부;
상기 제1 복부에 대응하도록 제2 경간들이 연결되며, 상기 내측부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제2 복부;
상기 제1 복부 및 상기 제2 복부에 대칭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 경간 및 상기 제2 경간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양단으로 상승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메인 강선;
상기 메인 강선의 길이방향의 중심이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복부 또는 상기 제2 복부의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생성하는 비틀림 저항 강선;을 포함하는, 곡선형 교량.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부 및 상기 제2 복부는
상기 메인 강선이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이 서로 비대칭되게 배치되는, 곡선형 교량.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1 복부에 상기 메인 강선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비틀림 저항 강선; 및
상기 제2 복부에 상기 메인 강선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비틀림 저항 강선;을 구비하는, 곡선형 교량.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1 복부에 생성하는 제1 비틀림 저항력은 상기 제2 복부에 생성되는 제2 비틀림 저항력과 크기가 다르거나, 방향이 반대인, 곡선형 교량.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은
상기 제1 복부에 배치되는 제1 비틀림 저항 강선 및 상기 제2 복부에 배치되는 제2 비틀림 저항 강선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곡선형 교량. - 메인 강선을 구비한 곡선형의 경간들을 연결하여 제1 복부 및 제2 복부를 설치하는 단계;
곡률반경의 중심에 인접한 내측부에 상기 제2 복부가 배치되고, 상기 내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부에 상기 제1 복부가 배치되는 곡선형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복부 또는 상기 제2 복부에서 발생되는 비틀림력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복부 및 상기 제2 복부 중 적어도 하나에 비틀림 저항 강선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을 압축 또는 인장하여 상기 제1 복부 또는 상기 제2 복부에서 발생된 상기 비틀림력의 반대방향으로 저항력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복부에 배치되는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과 상기 제2 복부에 배치되는 비틀림 저항 강선이 비대칭 되도록 배치하는,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을 상기 제1 복부에 상기 메인 강선을 따라 배치하거나, 상기 제2 복부에 상기 메인 강선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이격되도록 배치하는,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저항 강선을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복부 및 상기 제2 복부에서 발생한 비틀림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877A KR101931343B1 (ko) | 2016-08-10 | 2016-08-10 |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1877A KR101931343B1 (ko) | 2016-08-10 | 2016-08-10 |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7677A true KR20180017677A (ko) | 2018-02-21 |
KR101931343B1 KR101931343B1 (ko) | 2018-12-20 |
Family
ID=6152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1877A Active KR101931343B1 (ko) | 2016-08-10 | 2016-08-10 |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13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20513A (zh) * | 2019-11-22 | 2020-02-21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曲线桥预制混凝土t梁横隔板对齐施工方法 |
-
2016
- 2016-08-10 KR KR1020160101877A patent/KR101931343B1/ko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20513A (zh) * | 2019-11-22 | 2020-02-21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曲线桥预制混凝土t梁横隔板对齐施工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1343B1 (ko) | 2018-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1343B1 (ko) |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
CN108647379A (zh) | 桥梁预应力分析系统及方法 | |
KR20180017678A (ko) | 곡선형 교량 및 곡선형 교량의 비틀림 제어 방법 | |
KR101775627B1 (ko) | Psc 거더용 긴장재 꼬임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단계 개별 균등긴장 방법 | |
KR20140105147A (ko) |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의 강성이 증가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 |
KR101420661B1 (ko) |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 |
KR101546213B1 (ko) | 긴장력 계측 시험체 및 그 계측 방법 | |
KR101707010B1 (ko) | 힌지 결합된 분절형 거더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 도입방법 | |
KR101390669B1 (ko) | 거더교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 |
KR100420718B1 (ko) | 균일단면의 스틸 아이 형 거더에 의한 분할 인장식 리프리스트레스트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시공방법 | |
AU2011314426A1 (en) | Reinforcement element for casting comprising ring shaped portions and reinforcement with such reinforcement elements | |
CN115095024B (zh) | 基于非定长索的单层大开口正交索网结构施工方法 | |
CN107841948B (zh) | 主钢筋的回避调整结构及方法 | |
KR101505719B1 (ko) | 철근트러스 일체형 합성 데크플레이트의 제조방법 | |
KR101431126B1 (ko) | 에이치형 강재를 이용하여 온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임시구조물용 거더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06573B1 (ko)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세그먼트부재에 의해 구축되는강판빔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93548B1 (ko) |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박스 빔 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986819B1 (ko) | 보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Lie et al. | Development of a novel rotational metallic damper as a dissipative connector in rocking steel core systems: Cyclic behavior and seismic demand | |
Son | The design and analysis of tension fabric structures | |
Ingham et al. | Cyclic response of bridge knee joints with circular columns | |
KR200337554Y1 (ko) |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콘크리트 빔 | |
KR102202640B1 (ko) | 프리플렉스 거더 및 이의 제작 방법 그리고 프리플렉스 거더를 적용한 단경간교량 및 연속경간교량 | |
KR102246055B1 (ko) | 아치형 정착판을 이용해 강연선이 분산정착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일체식 교량 | |
KR101897535B1 (ko) | 정착 강연선 하향 편심 구조를 갖는 단부 박스형 단면 및 중앙부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