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687A -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687A
KR20130033687A KR1020110097515A KR20110097515A KR20130033687A KR 20130033687 A KR20130033687 A KR 20130033687A KR 1020110097515 A KR1020110097515 A KR 1020110097515A KR 20110097515 A KR20110097515 A KR 20110097515A KR 20130033687 A KR20130033687 A KR 20130033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ylinder
upper side
container body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885B1 (ko
Inventor
김차식
Original Assignee
김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식 filed Critical 김차식
Priority to KR102011009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885B1/ko
Priority to PCT/KR2012/007687 priority patent/WO2013048076A2/ko
Publication of KR2013003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바닥면(31)의 일부가 통공되어 열기가 이동되는 연결공(35)을 형성하는 외통(30) 및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걸쳐지며, 상기 외통(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몸체는 상기 외통(30)과 이격되어 가열공간(54)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35)과 상기 가열공간(54)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음식물이 조리되는 내통(5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공(35)과 상기 가열공간(54)을 통해 이동되는 화염의 열기는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형성되는 화염배출홈부(4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이중조리용기{DETACHABLE DUAL COOKWARE}
본 발명은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대상물의 가열이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조리할 음식물을 내측에 담은 후에,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면 가열된 조리용기에 의하여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리용기는 단일겹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나, 내통과 외통이 구비되어 이중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조리용기가 이중으로 이루어진 경우, 외통과 내통 사이에 형성된 보열공간에 의하여 내통 내측에 수용된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리용기의 외측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원하는 장소로 조리용기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8-0095456호(2008.10.29 공개, 발명의 명칭: 이중조리용기의 결합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받침부재에 조리용기를 올려놓고 조리를 하는 경우, 불꽃이 바람에 의해 꺼지거나 약해지므로, 조리대상물의 가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불꽃이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바닥면(31)의 일부가 통공되어 열기가 이동되는 연결공(35)을 형성하는 외통(30) 및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걸쳐지며, 상기 외통(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몸체는 상기 외통(30)과 이격되어 가열공간(54)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35)과 상기 가열공간(54)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음식물이 조리되는 내통(5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공(35)과 상기 가열공간(54)을 통해 이동되는 화염의 열기는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형성되는 화염배출홈부(4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통(30)의 하측을 지지하며, 불꽃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받침부재(1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23)를 구비하고,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열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26)을 구비하는 지지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는, 불꽃의 외측을 둘러싸며 바람을 막는 지지몸체(21) 및 상기 지지몸체(21)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통(30)의 하부를 감싸는 절곡받침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23)는, 상기 지지몸체(21)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메인홈(24) 및 상기 메인홈(24)의 하부가 벌어져서 상기 받침부재(11)의 삽입 및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입구홈(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통(30)은, 상기 바닥면(3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용기몸체(36)와,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37) 및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내측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내통(50)의 측면에 접하여서, 상기 내통(50)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압부재(3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통(30)은, 상기 바닥면(3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용기몸체(36)와,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37) 및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부 측면에서 내측으로 복수 개 통공시켜 화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내통(50)의 측면에 접하여서, 상기 내통(50)의 이동을 구속하는 내통중심가이드(9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31)은, 상기 외통(30)과 연결되는 테두리부재(32)와, 상기 테두리부재(32)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31)의 중앙에 위치하는 열분산판(33) 및 상기 열분산판(33)과 상기 테두리부재(32)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공(35)은 상기 열분산판(33)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통(30)은,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과 상기 절곡부재(37)의 일부가 통공되어, 상기 외통(30)의 내측과 상기 외통(30)의 외측을 연통시키는 화염배출홈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염배출홈부(40)는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통(50)은,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면(31)과 이격되어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몸체(51) 및 상기 내측용기몸체(51)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재(37)에 걸리는 절곡지지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통(50)의 상측 또는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얹혀져서 조리대상물을 굽는 요리에 사용되는 내측구이팬(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통(30)의 상측 또는 상기 내측구이팬(60)의 상측에 얹혀지며,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뚜껑구이팬(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통(30)과 상기 내통(50)과 상기 내측구이팬(60)과 상기 뚜껑구이팬(7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재와 결합되는 장착공(85,86,87,88)을 형성하는 연장부재(80,81,82,8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불꽃의 둘레를 감싸며 지지부가 설치되어, 불꽃이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꽃에 내통이 직접 접하지 않고, 지지부와 외통을 따라 이동되는 열기에 의해 내통의 하측과 측면이 가열되어 조리대상물이 가열되므로, 조리대상물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내통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내측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뚜껑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상측에 뚜껑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내통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통과 내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상측에 외통이 설치되고, 외통의 상측에 뚜껑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통에 내통중심가이드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보관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내통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내측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뚜껑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의 상측에 뚜껑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내측에 내통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는, 바닥면(31)의 일부가 통공되어 열기가 이동되는 연결공(35)을 형성하는 외통(30) 및 외통(30)의 상측(이하 도 1기준)에 걸쳐지며, 상기 외통(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몸체는 상기 외통(30)과 이격되어 가열공간(54)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공간(26)과 상기 가열공간(54)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음식물이 조리되는 내통(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통(3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20)는, 불꽃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받침부재(1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23)를 구비하고,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열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26)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는, 지지부(20) 없이 외통(30)의 내측에 내통(50), 내측구이팬(60), 뚜껑구이팬(7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가스레인지 등 화력을 공급하는 버너(12)는, 가스 등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서 불이 점화되는 노즐(13)을 구비한다.
이러한 노즐(13)의 주변에는 용기받침부(10)가 설치되므로, 노즐(13)과 이격된 상측에 조리용기가 위치한다.
용기받침부(10)에는, 종방향(이하 도 1기준)으로 세워진 받침부재(11)가 구비된다.
불꽃이 나오는 노즐(13)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지지부(20)는,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버너(12)의 받침부재(1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23)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버너(12)의 열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26)이 내측에 구비되므로, 버너(12)의 노즐(13)을 둘러싸며 바람을 막는 지지몸체(21) 및 지지몸체(21)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외통(30)의 하부를 감싸는 절곡받침부재(22)를 포함한다.
지지몸체(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몸체(21)의 외측으로 절곡받침부재(22)가 벌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지지몸체(21)의 하측과 연통된 결합홈부(23)는, 지지몸체(21)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메인홈(24) 및 메인홈(24)의 하부가 벌어져서 받침부재(11)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입구홈(25)을 포함한다.
결합홈부(23)는, 받침부재(1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받침부재(11)는 입구홈(25)을 통해 메인홈(24)으로 삽입된다.
메인홈(24)의 하측에서 양측으로 벌어져서 입구홈(25)이 형성되며, 이러한 입구홈(25)을 통해 버너(12)의 노즐(13)로 공기가 공급된다.
지지몸체(21)의 하측에서 노즐(13)을 향한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절곡편(27)을 형성하며, 지지몸체(21) 및 내측절곡편(27)에 의해 지지부(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몸체(21)의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며, 이러한 지지몸체(21)의 내측에 형성된 이동공간(26)은, 노즐(13)에서 발생된 불꽃과 열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지지부(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통(30)은, 바닥면(31)의 일부가 통공되어 연결공(35)을 형성하며, 이러한 연결공(35)은 지지부(20)의 이동공간(26)과 연통되므로, 버너(12)의 점화로 발생된 열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통로가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30)은, 바닥면(3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용기몸체(36)와,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37) 및 외측용기몸체(36)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내통(50)의 측면에 접하여 내통(50)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압부재(38)를 포함한다.
외통(30)의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면(31)은, 외통(30)과 연결되는 링 형상의 테두리부재(32)와, 테두리부재(32)와 이격되어 바닥면(31)의 중앙에 위치하는 열분산판(33) 및 열분산판(33)과 테두리부재(32)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재(34)를 포함한다.
열분산판(33)은, 노즐(13)에서 올라오는 불꽃이 내통(50)으로 직접 전달됨을 차단하는 동시에, 노즐(13)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연결공(35)으로 안내하여 내통(50)을 가열시킨다.
이러한 열분산판(33)은 상측으로 볼록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노즐(13)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열분산판(33)의 하측에 1차로 모은 후, 열분산판(33)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연결공(35)을 통해 내통(50)으로 열기를 이송한다.
열분산판(33)과 테두리부재(32)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열분산판(33)과 테두리부재(32)는 바닥연결부재(34)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열분산판(33)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연결공(35)은, 이웃한 연결공(35)과의 사이에 바닥연결부재(34)가 설치되므로, 연결공(35)과 이웃한 연결공(35)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테두리부재(32)와 외측용기몸체(36)의 하측은 지지부(20)의 절곡받침부재(22)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므로, 지지부(20)의 상측에 외통(30)이 얹혀진다.
외측용기몸체(36)의 내측으로 돌출된 가압부재(38)는, 외통(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통(50)의 측면을 가압하므로, 내통(50)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러한 가압부재(38)는 단순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통(3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는 통공 형상의 측면연결공(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외통(30)은,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과 절곡부재(37)의 일부가 통공되어, 외통(30)의 내측과 외통(30)의 외측을 연통시키는 화염배출홈부(40)를 포함한다.
화염배출홈부(40)는, 외통(30)과 내통(50)의 사이로 유입되어 내통(50)을 가열한 열기가, 외통(30)의 외측으로 나가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염배출홈부(40)는,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을 통공시켜 공기가 이동되는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외통(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50)은, 외통(30)의 상측에 걸쳐지며,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몸체는 외통(30)과 이격되어 가열공간(54)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50)은, 외측용기몸체(36)의 내측에 위치하며, 바닥면(31)과 이격되어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몸체(51) 및 내측용기몸체(51)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재(37)에 걸리는 절곡지지부재(52)를 포함한다.
내측용기몸체(51)는, 조리대상물이 담겨져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용기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측용기몸체(51)의 바닥은 외통(30)의 바닥면(31)과 이격되며, 내측용기몸체(51)의 측면도 외통(30)의 측면과 이격되므로, 내통(50)은, 이동공간(26)과 가열공간(54)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음식물이 조리된다.
내통(50)의 절곡지지부재(52)는, 외통(30)의 절곡부재(37)에 걸쳐져서 지지되는 동시에, 외통(30)의 가압부재(38)가 내통(50)의 측면을 지지하므로, 내통(50)은 외통(30)의 내측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에는, 내통(50)의 상측 또는 외통(30)의 상측에 얹혀져서 조리대상물을 굽는 요리에 사용되는 내측구이팬(60)이 구비된다.
내측구이팬(60)은, 구이용 또는 전골용 등 깊이가 낮은 조리용기로 사용되며, 외통(30)에 내측구이팬(60)이 결합되어 사용되거나, 외통(30)에 내통(50)이 결합된 이후, 내통(50)의 상측에 내측구이팬(60)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에는, 외통(30)의 상측 또는 내측구이팬(60)의 상측에 얹혀지며,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뚜껑구이팬(70)이 더 구비된다.
뚜껑구이팬(70)은,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의 뚜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뒤집어서 구이용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각 용기의 지름 및 깊이는, 외통(30)이 제일 크고, 내통(50)에서 내측구이팬(60)과 뚜껑구이팬(70)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따라서, 외통(30)의 내측에 내통(50)의 몸체가 삽입되며, 내통(50)의 내측에 내측구이팬(60)의 몸체가 삽입되고, 내측구이팬(60)의 내측에 뚜껑구이팬(70)의 몸체가 삽입되어 보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는, 외통(30)과, 내통(50)과, 내측구이팬(60)과, 뚜껑구이팬(7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재(미도시)와 결합되는 장착공(85,86,87,88)을 형성하는 연장부재(80,81,82,83)를 포함한다.
손잡이부재에 구비된 걸림돌기가 연장부재(80,81,82,83)에 구비된 장착공(85,86,87,88)으로 삽입되어 걸리므로,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는 손잡이부재에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30)의 상측에 경사지게 절곡되는 외측경사부(41)가 구비되며, 이러한 외측경사부(41)와 접하는 내측경사부(53)가 내통(50)의 상측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별도의 가압부재(38)가 외통(30)에 구비되지 않아도, 외통(30)의 상측에 내측경사부(53)가 걸쳐지는 작업만으로도, 내측경사부(53)가 외측경사부(41)의 하부를 지지하므로, 내통(50)은, 외통(30)의 측면 및 하부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통과 내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30)과 내통(50) 만으로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가열장치의 상측에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가 얹혀져서 사용될 수 있으며, 조리대상물의 보관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외통(10)은, 내측에 별도의 가압부재가 생략된 상태로 사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상측에 외통이 설치되고, 외통의 상측에 뚜껑구이팬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30)의 상측에 뚜껑구이팬(70)이 얹혀진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외통(30)의 하측은 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통에 내통중심가이드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외통(30)은, 상기 바닥면(3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용기몸체(36)와,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37) 및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부 측면에서 내측으로 복수 개 통공시켜 화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내통(50)의 측면에 접하여서, 상기 내통(50)의 이동을 구속하는 내통중심가이드(90)를 포함한다.
내통중심가이드(90)는, 상기 외통(30)의 일부가 절개되어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통(50)의 측면을 가압하며, 이러한 내통중심가이드(90)는 외통(30)의 둘레를 따라 3곳 이상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노즐(13)을 감싸며 지지부(20)가 설치되며, 버너(12)의 받침부재(11)는 입구홈(25)을 통해 메인홈(24)에 걸려서 설치된다.
지지부(20)의 절곡받침부재(22)에 외통(30)의 하부가 접하여 설치되므로, 입구홈(25)을 제외하고는, 외부의 바람이 노즐(13)이나 이동공간(26)으로 유입됨이 차단되므로, 향상된 열효율을 제공한다.
지지부(20)의 상측에 외통(30)이 설치되며, 이러한 외통(30)의 상측에 내통(50), 내측구이팬(60), 뚜껑구이팬(70) 등이 설치되어, 조리대상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또는, 외통(30)에 내통(50)이 설치된 상태에서, 뚜껑구이팬(70)의 볼록한 부분이 상측을 향하여도록 설치되면, 뚜껑구이팬(70)은, 내통(50)의 상측을 덮는 커버의 역할을 한다.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면, 입구홈(25)을 통해 지지부(20)의 내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노즐(13)에서 발생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된 후, 지지부(20)의 내측에 형성된 이동공간(26)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노즐(13)에서 발생된 불꽃과 열기는, 열분산판(33)에서 외측으로 분산된 후, 연결공(35)을 통해 상측으로 이동한다.
상측에 위치한 외통(30)의 하부와 측면을 가열한 열기는 외통(30)에 구비된 화염배출홈부(40)를 통해 외통(3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는, 버너(12)의 둘레를 감싸며 지지부(20)가 설치되어, 버너(12)의 불꽃이 바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조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너(12)의 불꽃에 내통(50)이 직접 접하지 않고, 지지부(20)와 외통(30)를 따라 이동되는 열기에 의해 내통(50)의 하측과 측면이 가열되어 조리대상물이 가열되므로, 조리대상물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사용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종류의 버너나 가열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이중조리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10: 용기받침부 11: 받침부재 12: 버너 13: 노즐
20: 지지부 21: 지지몸체 22: 절곡받침부재 23: 결합홈부 24: 메인홈 25: 입구홈 26: 이동공간 27: 내측절곡편
30: 외통 31: 바닥면 32: 테두리부재 33: 열분산판 34: 바닥연결부재 35: 연결공 36: 외측용기몸체 37: 절곡부재 38: 가압부재 40: 화염배출홈부 41: 외측경사부
50: 내통 51: 내측용기몸체 52: 절곡지지부재 53: 내측경사부 54: 가열공간
60: 내측구이팬
70: 뚜껑구이팬
80,81,82,83: 연장부재 85,86,87,88: 장착공
90: 내통중심가이드 92: 외피열배출공

Claims (13)

  1. 바닥면(31)의 일부가 통공되어 열기가 이동되는 연결공(35)을 형성하는 외통(30); 및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걸쳐지며, 상기 외통(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몸체는 상기 외통(30)과 이격되어 가열공간(54)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공(35)과 상기 가열공간(54)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음식물이 조리되는 내통(5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공(35)과 상기 가열공간(54)을 통해 이동되는 화염의 열기는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형성되는 화염배출홈부(4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의 하측을 지지하며, 불꽃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받침부재(1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23)를 구비하고,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어 열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26)을 구비하는 지지부(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불꽃의 외측을 둘러싸며 바람을 막는 지지몸체(21); 및
    상기 지지몸체(21)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통(30)의 하부를 감싸는 절곡받침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부(23)는, 상기 지지몸체(21)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메인홈(24); 및
    상기 메인홈(24)의 하부가 벌어져서 상기 받침부재(11)의 삽입 및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입구홈(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은, 상기 바닥면(3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용기몸체(36);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37); 및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내측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내통(50)의 측면에 접하여서, 상기 내통(50)의 이동을 구속하는 가압부재(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은, 상기 바닥면(31)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용기몸체(36);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37); 및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부 측면에서 내측으로 복수 개 통공시켜 화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내통(50)의 측면에 접하여서, 상기 내통(50)의 이동을 구속하는 내통중심가이드(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31)은, 상기 외통(30)과 연결되는 테두리부재(32);
    상기 테두리부재(32)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면(31)의 중앙에 위치하는 열분산판(33); 및
    상기 열분산판(33)과 상기 테두리부재(32)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35)은 상기 열분산판(33)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은,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과 상기 절곡부재(37)의 일부가 통공되어, 상기 외통(30)의 내측과 상기 외통(30)의 외측을 연통시키는 화염배출홈부(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염배출홈부(40)는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상측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0)은, 상기 외측용기몸체(36)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면(31)과 이격되어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몸체(51); 및
    상기 내측용기몸체(51)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절곡부재(37)에 걸리는 절곡지지부재(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50)의 상측 또는 상기 외통(30)의 상측에 얹혀져서 조리대상물을 굽는 요리에 사용되는 내측구이팬(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의 상측 또는 상기 내측구이팬(60)의 상측에 얹혀지며,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내측공간을 형성하는 뚜껑구이팬(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30)과 상기 내통(50)과 상기 내측구이팬(60)과 상기 뚜껑구이팬(7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부재와 결합되는 장착공(85,86,87,88)을 형성하는 연장부재(80,81,82,8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중조리용기(1).
KR1020110097515A 2011-09-27 2011-09-27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133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15A KR101336885B1 (ko) 2011-09-27 2011-09-27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PCT/KR2012/007687 WO2013048076A2 (ko) 2011-09-27 2012-09-25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515A KR101336885B1 (ko) 2011-09-27 2011-09-27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87A true KR20130033687A (ko) 2013-04-04
KR101336885B1 KR101336885B1 (ko) 2013-12-19

Family

ID=4799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515A KR101336885B1 (ko) 2011-09-27 2011-09-27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6885B1 (ko)
WO (1) WO2013048076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914B1 (ko) * 2013-09-04 2015-03-26 김차식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1652285B1 (ko) * 2015-03-13 2016-08-30 이학선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CN110115486A (zh) * 2018-02-05 2019-08-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上内胆和烹饪器具
KR102657213B1 (ko) * 2023-09-04 2024-04-12 박지훈 화기 확산 방지 불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315B1 (ko) * 2002-03-12 2004-05-27 이경일 조리기
KR100609247B1 (ko) * 2004-05-10 2006-08-08 김명석 이중 가열식 냄비 구조
KR200406372Y1 (ko) * 2005-10-20 2006-01-20 이승구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100844175B1 (ko) 2007-03-20 2008-07-04 정경원 탈취 구조를 갖는 이중 조리 냄비
KR101006911B1 (ko) * 2010-07-16 2011-01-13 조순익 이중 조리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914B1 (ko) * 2013-09-04 2015-03-26 김차식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1652285B1 (ko) * 2015-03-13 2016-08-30 이학선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CN110115486A (zh) * 2018-02-05 2019-08-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上内胆和烹饪器具
KR102657213B1 (ko) * 2023-09-04 2024-04-12 박지훈 화기 확산 방지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8076A3 (ko) 2013-05-23
WO2013048076A2 (ko) 2013-04-04
KR101336885B1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3658A (zh) 烧烤装置
KR101336885B1 (ko)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EP3030839B1 (en) Gas burner and burner cover
KR20110108538A (ko) 다용도 조리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JP2011143232A (ja) オリジナル直火式オーブン用本体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JP3217005U (ja) 調理補助具及び該調理補助具を用いた調理器具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JP5008963B2 (ja) 加熱調理用鍋の採熱構造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CN212081233U (zh) 外环火盖、燃烧器及燃气灶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TW201440707A (zh) 加熱調理器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ZA200705970B (en) Portable cooking apparatus
KR101505914B1 (ko)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20140039856A (ko) 무연 숯불구이기
KR102259170B1 (ko) 회전식 조리기구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KR20110003982A (ko) 직화 조리기
KR20090003465U (ko) 이종요리가 가능한 쿠킹장치
KR101935866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110126441A (ko) 구이용 발열체
JP2005312672A (ja) 炭火焼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