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914B1 -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914B1
KR101505914B1 KR1020130105848A KR20130105848A KR101505914B1 KR 101505914 B1 KR101505914 B1 KR 101505914B1 KR 1020130105848 A KR1020130105848 A KR 1020130105848A KR 20130105848 A KR20130105848 A KR 20130105848A KR 101505914 B1 KR101505914 B1 KR 101505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inner cylinder
support
upper sid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475A (ko
Inventor
김차식
Original Assignee
김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식 filed Critical 김차식
Priority to KR102013010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9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Abstract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바닥부(42)의 일부에 열기가 이동하는 화기유입공(50)을 형성하는 외통(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통(40)에 걸리고, 조리물이 담기는 내통(60)이 외통(40)과 이격되어 화기이동공간(66)을 형성하며, 화기유입공(50)과 화기이동공간(66)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조리물을 조리하고, 외통(40)의 바닥부(42)에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열분산판(46)이 구비되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MULTI-WAY DETACHABLE DUAL COOKWARE}
본 발명은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통에 안치되는 지지부의 상측에 배출공간을 갖는 받침부를 형성하여 바닥면적이 넓은 용기 안치시 열기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내통 및 뚜껑겸용구이팬의 손잡이부재에 간격유지부를 형성하여 외통과의 틈새 사이로 배출되는 열기 배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조리할 음식물을 내측에 담은 후에, 조리용기에 열을 가하면 가열된 조리용기에 의하여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리용기는 단일겹으로 이루어지기도 하나, 내통과 외통이 구비되어 이중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조리용기가 이중으로 이루어진 경우, 외통과 내통 사이에 형성된 보열공간에 의하여 내통 내측에 수용된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조리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이중조리용기는 주로 분리가 어렴고 일체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내통과 외통을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분리형 이중조리용기가 제시되어 있다.
이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33687호(공개일: 2013.04.04)로 제안된다.
종래의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외통의 절곡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홈부를 통해 내홍과 외통 사이의 화기이동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열기를 배출하였으나, 배출홈부를 통한 열기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배출홈부를 가공하는 과정이 어렵고, 그로 인해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촐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바닥면적이 넓은 구이팬을 안치하는 경우, 열기 배출공간이 협소하여 구이팬과 지지부 사이 공간이 열기가 과열되어 이에 의한 폭발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내통에 안치되는 지지부의 상측에 배출공간을 갖는 받침부를 형성하여 바닥면적이 넓은 용기 안치시 열기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 및 뚜껑겸용구이팬의 손잡이부재에 간격유지부를 형성하여 외통과 내통 또는 뚜껑겸용구이팬의 틈새 사이로 배출되는 열기 배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바닥부의 일부에 열기가 이동하는 화기유입공을 형성하는 외통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통에 걸리고, 조리물이 담기는 내통이 상기 외통과 이격되어 화기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화기유입공과 상기 화기이동공간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조리물을 조리하고, 상기 외통의 바닥부에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열분산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통의 외측 둘레에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외통의 상측에 걸려지면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재에는 상기 내통의 상측 가장자리 하면과 상기 외통의 상측 가장자리 상면 사이에 열기배출공간을 형성하도록 간격유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재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이고, 상기 열기배출공간의 상하간격은, 상기 손잡이부재의 두께와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돌출 높이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재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걸이부재를 걸어주는 걸림공을 기준으로 한 쌍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통의 하측을 지지하고, 화염의 주변에 설치되고, 받침부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를 구비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열기가 이동하는 이동공간을 구비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통의 상측 또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안치되어 상기 조리물을 담아 굽는 요리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내통의 상측에 뒤집힌 상태로 덮여져 덮개로 사용되는 뚜껑겸용구이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겸용구이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간격유지부재를 형성한 상기 손잡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화염의 외측을 둘러싸며 바람을 차단하는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통의 하부를 감싸는 외통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통받침부재의 상측에는 상기 뚜껑겸용구이팬 안착시, 또는 상기 지지부의 상측 면적보다 더 큰 바닥면적을 갖는 용기 안착시, 열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화기배출공간을 형성하는 간격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돌부는 상기 외통받침부재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도록 상기 외통받침부재의 상단부에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통은, 상기 뚜껑겸용구이팬이 뒤집혀서 덮여지는 큰 사이즈를 갖는 내통이거나, 뚜껑이 덮여지는 작은 사이즈의 내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외통과 연결되는 테두리부재; 및 상기 열분산판과 상기 테두리부재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연결부재와 상기 열분산판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힘살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내통에 안치되는 지지부의 상측에 화기배출공간을 갖는 간격돌부를 형성하여 바닥면적이 넓은 용기 안치시 열기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 및 뚜껑겸용구이팬의 손잡이부재에 간격유지부를 형성하여 외통과 내통 또는 뚜껑겸용구이팬의 틈새 사이로 배출되는 열기배출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분리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을 외통에 결합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겸용구이팬을 내통에 덮어 외통, 지지부에 결합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겸용구이팬을 지지부에 안치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겸용구이팬을 외통, 지지부에 결합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전체 세트의 포장 상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의 A-A선 단면도에서, 간격유지부재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분리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을 외통에 결합한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겸용구이팬을 내통에 덮어 외통, 지지부에 결합한 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겸용구이팬을 지지부에 안치한 상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겸용구이팬을 외통, 지지부에 결합한 상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의 전채 세트의 포장 상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3의 A-A선 단면도에서, 간격유지부재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바닥부(42)의 일부에 열기가 이동하는 화기유입공(50)을 형성하는 외통(40)과, 외통(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통(40)에 걸리고, 조리물이 담기는 내통(60)이 외통(40)과 이격되어 화기이동공간(66)을 형성하며, 화기유입공(50)과 화기이동공간(66)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조리물을 조리하고, 외통(40)의 바닥 중심부에 위치하는 열분산판(46)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내통(60)의 외측 둘레에 한 쌍 구비되고, 외통(40)의 상측에 걸려지면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7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70)에는 내통(60)의 상측 가장자리 하면과 외통(40)의 상측 가장자리 상면 사이에 열기배출공간(79)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부재(78)가 구비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78)는, 손잡이부재(70)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일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열기배출공간(79)의 상하간격(D)은, 손잡이부재(70)의 두께(t1)와 간격유지부재(78)의 돌출 높이(t2)의 합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유지부재(78)는, 손잡이부재(7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걸이부재(미도시)를 걸어주는 걸림공(77)을 기준으로 한 쌍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재(70)는 내통(60)의 둘레에 장착되는 장착부(72)와, 장착부(72)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부(74)와, 경사부(74)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76)를 포함한다.
간격유지부재(78)는, 손잡이부재(70) 중에서 손잡이부(76)에 형성된다.
간격유지부재(78)는 일체로 몰딩되거나, 일체로 프레스되거나, 또는 별개로 제작되어 부착되는 것괴 같이 다양한 형태로 손잡이부재(7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통(4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20)는, 화염의 주변에 설치되고, 받침부재(12)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26)를 구비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열기가 이동하는 이동공간(36)을 구비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부재(78a)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간격유지부재(78a)는, 손잡이부재(70)의 손잡이부(76)와 장착부(72) 사이에서 상하측으로 절곡된 상하절곡부이다.
열기배출공간(79)의 상하간격(D)은, 손잡이부재(70)의 두께(t1)와 간격유지부재(78a)의 절곡 높이(t2)의 합과 동일하다.
간격유지부재(78a)의 변형예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재(70)에서 경사부(74)가 삭제되고, 그 위치에 ㄱ가 또는 ㄴ자로 절곡된 간격유지부재(78a)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지지부(20)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지지부(20) 없이 외통(40)의 내측에 다양한 크기의 내통(60), 뚜껑겸용구이팬(9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1을 참조하면, 뚜껑(80), 작은 사이즈의 내통(60), 큰 사이즈의 내통(60), 외통(40), 지지부(20) 및 뚜껑겸용구이팬(90) 순으로 적층되어 초장되는 데, 이러한 적층 상태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재를 다양한 위치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휴대용 가스레인지 등 화력을 공급하는 버너(14)는, 가스 등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져서 화염이 발화되는 노즐(16)을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노즐(16)의 주변에는 받침부재(12)가 설치되므로, 노즐(13)과 이격된 상측에 조리용기가 배치된다.
받침부재(12)는 ㄱ자로 절곡되어 4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후술하는 4개 형성된 지지부(20)의 결합홈부(26)에 각각 삽입된다.
화염이 나오는 노즐(16)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지지부(20)는,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버너(14)의 받침부재(12)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26)를 다양한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 연결되어 버너(14)의 열기가 이동되는 이동공간(36)이 내측에 구비되므로, 버너(14)의 노즐(16)을 둘러싸며 바람을 막는 지지몸체(22) 및 지지몸체(22)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외통(40)의 하부를 감싸는 외통받침부재(24)를 포함한다.
지지몸체(2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몸체(22)의 외측으로 외통받침부재(24)가 벌어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지지몸체(22)의 하측과 연통된 결합홈부(26)는, 지지몸체(22)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홈을 형성하는 메인홈(28)과, 메인홈(28)의 하부가 벌어져서 받침부재(12)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진입홈(30)을 포함한다.
결합홈부(26)는, 받침부재(12)는 진입홈(30)을 통해 가이드되어 메인홈(28)으로 삽입된다.
메인홈(28)의 하측에서 양측으로 벌어져서 진입홈(30)이 형성되며, 이러한 진입홈(30)을 통해 버너(14)의 노즐(16)로 공기가 공급된다.
지지몸체(22)의 상측과 하측이 개구되며, 이러한 지지몸체(22)의 내측에 형성된 이동공간(36)은, 노즐(14)에서 발생된 불꽃과 열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통로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부(2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통(40)은, 바닥부(42)의 일부가 통공되어 화기유입공(50)을 형성하며, 이 화기유입공(50)은 지지부(20)의 이동공간(36)과 연통되므로, 버너(14)에서 발생된 열기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지지부(20)는 다이캐스팅으로 만드는 것이 발함지하다. 물론, 프레스 성형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몸체(22)의 저면에는 고무삽입홈이 4개 형성되어 고무받침부재가 각각 삽입되어 하중을 지지하고,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외통(40)은, 바닥부(42)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는 외측용기몸체(52)와, 외측용기몸체(52)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54)를 포함한다.
외통(40)의 하부를 형성하는 바닥부(42)는, 외통(40)과 연결되는 중공을 갖는 원판 형상의 테두리부재(44)와, 열분산판(46)과 테두리부재(44)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재(48)를 포함한다.
열분산판(46)은, 노즐(16)에서 올라오는 화염이 내통(60)으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노즐(16)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화기유입공(50)으로 안내하여 내통(60)을 가열시킨다.
이러한 열분산판(46)은 상측으로 볼록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노즐(16)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열분산판(46)의 하측에서 모아준 후, 열분산판(33)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화기유입공(50)을 통해 내통(60)으로 열기를 전달한다.
열분산판(46)과 테두리부재(44)는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열분산판(46)과 테두리부재(44)는 바닥연결부재(48)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열분산판(46)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화기유입공(50)은, 이웃한 화기유입공(50)과의 사이에 바닥연결부재(48)가 설치되므로, 화기유입공(50)과 이웃한 화기유입공(50)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가 이루어진다.
테두리부재(44)와 외측용기몸체(52)의 하측은 지지부(20)의 외통받침부재(24)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므로, 지지부(20)의 상측에 외통(40)이 얹힌다.
외통(40)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통(60)은, 외통(40)의 상측에 걸쳐지며, 조리대상물이 담겨지는 몸체는 외통(40)과 이격되어 화기이동공간(66)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때, 도 9를 참조좌면, 바닥연결부재(48)와 열분산판(46)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힘살부재(5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보강힘살부(56)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되거나 상하 양측으로 동시에 돌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보강힘살부(56)가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벌려지게 4개 형성된 상태로 도시하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힘살부(56)는 열분산판(46) 또는 바닥연결부재(48)에 사항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통(60)은, 외측용기몸체(52)의 내측에 위치하며, 바닥ㅂ부(42)와 이격되어 조리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몸체(62)와, 내측용기몸체(62)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재(54)에 걸리는 절곡지지부재(64)를 포함한다.
내측용기몸체(62)는, 조리물이 담겨져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용기를 형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내측용기몸체(62)의 바닥은 외통(40)의 바닥부(42)와 이격되며, 내측용기몸체(62)의 측면도 외통(40)의 측면과 이격됨에 따라 내통(60)은, 이동공간(36)과 화기이동공간(66)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음식물이 조리된다.
이때, 내통(60)이 외통(60)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때, 손잡이부재(70)의 하측면이 외통(40)의 절곡부재(54)의 상면에 지지됨에 따라, 손잡이부재(70)의 뚜께와 간격유지부재(78) 만큼의 열기배출공간(79)이 외통(40)의 절곡부재(54) 상면과 내통(60)의 절곡지지부재(64)의 하면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이동공간(36)과 화기이동공간(66)을 거쳐 이동하는 열기가 열기배출공간(79)으로 효율적으로 배출된다.
내통(60)은, 뚜껑겸용구이팬(90)이 뒤집혀서 덮여지는 큰 사이즈를 갖는 내통이거나, 뚜껑이 덮여지는 작은 사이즈의 내통일 수 있다.
큰 사이즈를 갖는 내통(60)에는 뚜껑겸용구이팬(90)이 덮개(뚜껑)로서 덮여지고, 작은 사이즈의 내통(60)에는 두껑(80)리 덮여진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내통(60)의 상측 또는 지지부(20)의 상측에 안치되어 조리물을 담아 굽는 요리에 사용되거나, 또는 내통(60)의 상측에 뒤집힌 상태로 덮여져 덮개로 사용되는 뚜껑겸용구이팬(90)을 더 포함한다.
뚜껑겸용구이팬(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60) 중에서 큰 사이즈의 내통(60)에 뒷집힌 상태로 덮여져 덮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내통(60)의 내측용기몸체(62)의 너비와 뚜껑겸용구이팬(90)의 몸체 너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겸용구이팬(90)의 외측 둘레에는 간격유지부재(78)를 형성한 손잡이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20)의 외통받침부재(24)의 상측에는 뚜껑겸용구이팬(90) 안착시, 또는 지지부(20)의 상측 면적보다 더 큰 바닥면적을 갖는 용기 안착시, 열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화기배출공간(34)을 형성하는 간격돌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분리형 이중조리용기와 같이, 간격돌부(30)가 없는 경우, 뚜껑겸용구이팬(90) 또는 지지부(20)의 상측 면적보다 더 큰 바닥면적을 갖는 용기 안착시 이동공간(34)에서 형성되는 화염이 배출되는 공간이 부족하여 장시간 사용시 과열되어 폭발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뚜껑겸용구이팬(90) 또는 지지부(20)의 상측 면적보다 더 큰 바닥면적을 갖는 용기를 안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간격돌부(32)를 갖는 지지부(20)를 사용하게 되면, 지지부(20) 상에 뚜껑겸용구이팬(90) 또는 지지부(20)의 상측 면적보다 더 큰 바닥면적을 갖는 용기를 안착하더라도 간격돌부(32)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화기배출공간(34)을 통하여 열기가 배출되므로 과열에 의한 폭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간격돌부(32)는 외통받침부재(24)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도록 외통받침부재(24)의 상단부에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뚜껑겸용구이팬(90)를 조리물을 담은 상태로 큰 사이즈의 내통(60)에 안치하여 외통(40)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는, 내통(60)에 안치되는 지지부(20)의 상측에 화기배출공간(34)을 갖는 간격돌부(32)를 형성하여 뚜껑겸용구이팬(90) 또는 바닥면적이 넓은 용기 안치시 열기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60) 및 뚜껑겸용구이팬(90)의 손잡이부재(70)에 간격유지부(78)를 형성하여 외통(40)과 내통(60) 또는 뚜껑겸용구이팬(90)의 틈새 사이로 배출되는 열기배출공간(79)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2 : 받침부재 14 : 버너
16 : 노즐 20 : 지지부
22 : 지지몸체 24 : 외통받침부재
26 : 결합홈부 28 : 메인홈
30 : 진입홈 32 : 간격돌부
34 : 화기배출공간 40 : 외통
42 : 바닥부 44 : 테두리부재
46 : 열분산판 48 : 바닥연결부재
50 : 화기유입공 52 : 외측돌기몸체
54 : 절곡부재 56 : 보강힘살부
60 : 내통 62 : 내측용기몸체
64 : 절곡지지부재 66 : 화기이동공간
70 : 손잡이부재 72 : 장착부
74 : 경사부 76 : 손잡이부
77 : 걸림공 78,78a : 간격유지부재
79 : 열기배출공간 90 : 뚜껑겸용구이팬

Claims (10)

  1. 바닥부(42)의 일부에 열기가 이동하는 화기유입공(50)을 형성하는 외통(4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외통(40)에 걸리고, 조리물이 담기는 내통(60)이 상기 외통(40)과 이격되어 화기이동공간(66)을 형성하며, 상기 화기유입공(50)과 상기 화기이동공간(66)을 통해 전달된 열기로 조리물을 조리하고, 상기 외통(40)의 바닥부(42)에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열분산판(46)이 구비되고,
    상기 외통(40)의 하측을 지지하고, 화염의 주변에 설치되고, 받침부재(12)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홈부(26)를 구비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열기가 이동하는 이동공간(36)을 구비하는 지지부(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통(60)의 상측 또는 상기 지지부(20)의 상측에 안치되어 상기 조리물을 담아 굽는 요리에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내통(60)의 상측에 뒤집힌 상태로 덮여져 덮개로 사용되는 뚜껑겸용구이팬(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0)는,
    화염의 외측을 둘러싸며 바람을 차단하는 지지몸체(22); 및
    상기 지지몸체(22)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통(40)의 하부를 감싸는 외통받침부재(24)를 포함하며,
    상기 외통받침부재(24)의 상측에는 상기 뚜껑겸용구이팬(90) 안착시, 또는 상기 지지부(20)의 상측 면적보다 더 큰 바닥면적을 갖는 용기 안착시, 열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화기배출공간(34)을 형성하는 간격돌부(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60)의 외측 둘레에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외통(40)의 상측에 걸려지면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재(7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재(70)에는 상기 내통(60)의 상측 가장자리 하면과 상기 외통(40)의 상측 가장자리 상면 사이에 열기배출공간(79)을 형성하도록 간격유지부재(78,78a)가 구비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78)는, 상기 손잡이부재(70)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이고,
    상기 열기배출공간(79)의 상하간격은, 상기 손잡이부재(70)의 두께와 상기 간격유지부재(78)의 돌출 높이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78a)는, 상기 손잡이부재(70)의 손잡이부(76)와 장착부(72) 사이에서 수직 절곡된 절곡부이고,
    상기 열기배출공간(79)의 상하간격은, 상기 손잡이부재(70)의 두께와 상기 간격유지부재(78a)의 절곡 높이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78)는, 상기 손잡이부재(7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걸이부재를 걸어주는 걸림공(77)을 기준으로 한 쌍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겸용구이팬(90)의 외측 둘레에는 간격유지부재(78)를 형성한 손잡이부재(7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돌부(32)는 상기 외통받침부재(24)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도록 상기 외통받침부재(24)의 상단부에서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9.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60)은, 상기 뚜껑겸용구이팬(90)이 뒤집혀서 덮여지는 큰 사이즈를 갖는 내통이거나, 뚜껑이 덮여지는 작은 사이즈의 내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42)는,
    상기 외통(40)과 연결되는 테두리부재(44); 및
    상기 열분산판(46)과 상기 테두리부재(44)를 연결하는 바닥연결부재(48)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연결부재(48)와 상기 열분산판(46)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힘살부재(5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20130105848A 2013-09-04 2013-09-04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KR101505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848A KR101505914B1 (ko) 2013-09-04 2013-09-04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848A KR101505914B1 (ko) 2013-09-04 2013-09-04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475A KR20150027475A (ko) 2015-03-12
KR101505914B1 true KR101505914B1 (ko) 2015-03-26

Family

ID=5302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848A KR101505914B1 (ko) 2013-09-04 2013-09-04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9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675Y1 (ko) 2001-12-28 2002-04-04 조필휘 조리용 냄비
KR20130001358U (ko) * 2011-08-19 2013-02-27 김미옥 세척이 용이한 분리형 이중 조리용기
KR20130033687A (ko) * 2011-09-27 2013-04-04 김차식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675Y1 (ko) 2001-12-28 2002-04-04 조필휘 조리용 냄비
KR20130001358U (ko) * 2011-08-19 2013-02-27 김미옥 세척이 용이한 분리형 이중 조리용기
KR20130033687A (ko) * 2011-09-27 2013-04-04 김차식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475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2893C2 (ru) Комплект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в микроволновой печи
US20070199557A1 (en) Dual Baking/Cooking Camping Appliance
JP6080595B2 (ja) グリル
KR101137992B1 (ko) 바닥 저면에 형성된 곡면에 요철부를 갖는 조리용기
KR101336885B1 (ko)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JP5906212B2 (ja) 加熱調理容器
JP2011143232A (ja) オリジナル直火式オーブン用本体
KR101505914B1 (ko) 다용도 분리형 이중조리용기
JP6649062B2 (ja) グリル装置、及び容器支持体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101652285B1 (ko)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KR101214249B1 (ko) 석쇠
US20120017777A1 (en) Multifunctional Bread Maker
JP6967771B2 (ja) 加熱調理器
JP5906215B2 (ja) 加熱調理容器
CN217744061U (zh) 披萨炉
CN215175280U (zh) 便携式卡式炉和便携式卡式炉套件
JP7408118B2 (ja) グリル付コンロ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KR101012038B1 (ko) 기름받이 어셈블리 및 오리지널 직화 오븐
JP3213549U (ja) 炊飯用釜
US20200093328A1 (en) Pots, pans, and frying pans with insulated bottom
KR20160145294A (ko) 주방용 후드의 공기배출 안내 커버 설치구조
JP2000329347A (ja) シチリン
KR101522441B1 (ko) 직화 조리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