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308A - 수지 성형품 - Google Patents

수지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308A
KR20130032308A KR1020127031291A KR20127031291A KR20130032308A KR 20130032308 A KR20130032308 A KR 20130032308A KR 1020127031291 A KR1020127031291 A KR 1020127031291A KR 20127031291 A KR20127031291 A KR 20127031291A KR 20130032308 A KR20130032308 A KR 20130032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astening
resin
molded article
inclin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006B1 (ko
Inventor
이사노리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29C2045/0027Gate or gate mark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provided with an attach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5Cabi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체결부에서의 수지의 파손 및 칼라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수지 성형품(1)은 수지 사출을 통해 형성되고, 본체(2)와 본체(2)의 외벽면(4)에 일체로 형성되고 본체(2)를 상대 부재(6)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원통부(11)를 구비하는 체결부(3)를 포함한다. 체결부(3)는 원통부(11)의 중심축(18)을 관통하고 본체(2)의 외벽면(4)에 수직인 직교면(19)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수지 성형품{RESIN MOLDED ARTICLE}
본 발명은 상대 부재(mating member)를 부착하기 위한 체결부를 구비한 수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단자 및 버스 바(bus bar)와 같은 전기 부품이 담긴, 수지 성형품(100)으로서의 전기 접속함을 도시한다. 상기 전기 접속함으로서의 수지 성형품(100)은 상기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 본체(110) 및 본체(110)를 액추에이터와 같은 상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부(120)를 포함한다.
두 개의 체결부(120)가 서로 이격되게 본체(110)의 외벽면(115)에 형성된다. 체결부(120) 각각은 본체(120)의 상부의 외벽면(115)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를 체결부(120)에 삽입 관통시키고 해당 체결부를 관통하여 연장된 체결 부재를 상대 부재에 나사 고정(screwedly fastening)함으로써 체결부(120)가 상대 부재에 부착된다. 따라서, 체결부(120)는 지면(paper surface)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 부재가 체결부(120) 내에 삽입 및 관통되도록 구성된 원통부(121)를 구비한다. 원통부(121)에서 칼라(부쉬:bush)가 인서트 성형(inserted-molding)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121)에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한 쌍의 경사벽부(123)가 원통부(12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경사벽부(123)의 각 연장 단부는 본체(110)의 외벽면(115)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원통부(121)의 좌우 양측의 경사벽부(123)는 동일한 길이로 일체로 연장되어 체결부(120) 전체가 삼각형(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함으로써, 경량화 및 소형화(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좌우 경사벽부(123)는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더 나아가, 각각의 경사벽부(123)와 본체(110)의 외벽면(115) 사이에 천공부(bored sections)(125)가 형성되어 성형 시 변형 방지 등이 달성된다.
도 11a는 도 10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외벽면(115)을 경사벽부(123)와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천공부(125)의 종단부에 저벽부(127)가 각각 형성된다. 저벽부(127) 각각의 두께는 경사벽부(123)와 유사하게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좌우 경사벽부(123)의 두께와 좌우 경사벽부(123)로부터 연속되는 각각의 저벽부(127)의 두께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경사벽부(123)와 저벽부(123)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체결부(120)가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수지 성형품(100)은 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고, 도 9의 참조 부호 140은 몰드에 대하여 수지의 사출을 행하는 게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게이트(140)로 부터의 사출에 의해, 수지는 몰드 내부로 흐르고, 이로써 본체(110)와 체결부(120)가 성형된다.
도 12는 체결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흐름을 도시한다.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는 좌우 경사벽부(123)를 통해 균등 유량으로 상방을 향해 흐르다가 수지의 흐름이 좌우 경사벽부(123)가 서로 결합된 삼각형의 꼭지점에서 합류한다. 도 13은 체결부(120)의 상면을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 참조 부호 150은 수지가 합류하는 용접부를 나타내고, 용접부(150)는 삼각형의 꼭지점(즉, 원통부(121)의 선단 중앙부)에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수지 성형품(100)과 관련된 특허 문헌으로서 다음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5가 인용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JP-A-H5-293856 특허문헌 2: JP-A-S62-111711 특허문헌 3: JP-A-H2-69215 특허문헌 4: JP-A-S61-12311 특허문헌 5: JP-A-H4-163135
도 9에 도시된 수지 성형품(100)은 체결 부재를 원통부(121)에 삽입 관통시킴으로써 상대 부재에 부착된다. 이렇게 부착된 상태에서, 차량 등으로부터 외부 진동(특히 수직 진동) 등이 상대 부재를 통해 전달되면, 좌우 경사벽부(123)가 서로 결합된 체결부(120)의 삼각형 꼭지점에 집중적으로 응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수지의 흐름이 서로 만나는 용접부(150)가 삼각형 형상의 체결부(120)의 꼭지점 상에 존재하여, 이 부분의 강도가 약화된다. 다시 말해서, 체결부(120)에서의 응력이 집중하여 작용하는 부분은 강도가 약해지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체결부(120) 내의 수지가 파손되거나 체결부(120) 내로 삽입된 이음 고리가 분리되어, 강도의 감소를 초래한다. 그 결과, 수지 성형품(100)이 전기 접속기(또는 스위치) 박스인 경우, 접속이 불량하여 전기 접속기 박스가 작동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의 파손 또는 체결부 내의 이음 고리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발명은 수지의 사출에 의해 성형된 수지 성형품으로서, 상기 수지 성형품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벽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를 상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된 원통부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외벽면과 직교하는 직교면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원통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벽면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벽부; 및 상기 각각의 경사벽부와 상기 본체의 외벽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벽부는 두께가 상기 직교면에 대해 비대칭이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를 상기 본체의 외벽면에 각각 연결하기 위해 저벽부가 상기 천공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저벽부 각각은 두께가 상기 직교면에 대해 비대칭이다.
상기 제 1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에서의 수지의 양이 원통부의 중심축을 통과하여 본체의 외벽면과 직교하는 직교면에 대해 비대칭이 되어 있으므로, 체결부내에 있어서, 그 수지의 흐름이 합류하는 용접부가 외부 응력이 집중하여 작용하는 부위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강도가 약한 용접부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게 되고, 체결부 내에서의 수지 파손 또는 칼라의 이탈 또는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에서 그 한 쌍의 좌우 경사벽부의 두께가 직교면에 대해 비대칭이므로, 경사벽부 내의 용접부가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체결부 내에서의 수지 파손 또는 칼라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좌우 경사벽부를 본체의 외벽면과 연결하는 저벽부의 두께가 직교면에 대해서 비대칭이므로, 경사벽부 내의 용접부가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체결부 내에서의 수지 파손 또는 칼라의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성형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수지 성형품을 상대 부재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성형품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수지 성형품의 평면도, 도 3b는 상기 수지 성형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수지 성형품의 체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수지 성형품의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도 4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5b는 도 4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수지 성형품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체결부 내의 수지 흐름을 도시한 정면도로, 도 3b의 섹션 F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a의 섹션 E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지 성형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지 성형품의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9의 섹션 H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지 성형품의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a는 도 10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11b는 도 10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지 성형품의 체결부 내의 수지 흐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지 성형품의 체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성형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대 부재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상기 성형품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상기 수지 성형품의 체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4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 및 도 4의 B-B 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상기 수지 성형품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기 체결부 내의 수지 흐름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상기 체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수지 성형품(1)은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된 전기 접속기 박스에 적용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본체(2) 및 본체(2)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3)로 구성된다. 단자 및 버스 바와 같은 전기 부품(미도시)이 박스 형상의 본체(2)에 수납된다.
체결부(3)는 본체(2)의 상측의 외벽면(4)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본체(2)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 개의 체결부(3)가 본체(2)의 외벽면(4) 상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2개가 형성된다. 나사와 같은 체결 부재(미도시)가 각각의 체결부(3) 내로 삽입 관통되고, 이를 통해 연장된 체결 부재가 상대 부재(6)(도 2 참조)에 나사 고정된다. 그 결과, 수지 성형품(1)이 상대 부재(6)에 부착된다.
도 2는 액추에이터를 상대 부재(6)로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2에서는 체결 부재를 체결부(3)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수지 성형품(1)의 상부가 상대 부재(6)에 연결된다. 따라서, 수지 성형품(1)은 본체(2)가 상대 부재(6)에 매달리는 형태로 부착된다.
도 3a, 도 3b,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체결부(3)는 원통부(11)와 원통부(1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본체(2)의 외벽면(4)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경사벽부(12 및 13)로 구성된다.
원통부(11)는 상기 체결 부재가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하고 도 3b 또는 도 5에 도시된 지면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방향(즉, 상기 종이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 관통홀(11a)과 함께 연장된다. 원통부(11)의 하단은 외벽면(4)으로 연결되도록 본체(2)의 외벽면과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칼라(부싱)가 원통부(11)에 사출 성형된다.
한 쌍의 경사벽부(12 및 13)는 원통부(11)에 강도를 제공(보강)할 목적으로 마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경사벽부(12)가 하방으로 원통부(11)의 좌측으로부터 사선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반면, 제 2 경사벽부(13)는 하방으로 원통부(11)의 우측으로부터 사선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이들의 연장된 단부 각각이 본체(2)의 외벽면(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들 경사벽부(12 및 13)는 원통부(11)와 유사하게, 도 3b 또는 도 4의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경사벽부(12 및 13)는 도 5a 및 도 5b에서 외벽면(4)의 폭 방향에 해당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경사벽부(12)와 제 2 경사벽부(13)는 동일한 길이를 갖고 원통부(1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선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그 결과 체결부(13) 전체가 원통부(11) 주변으로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체결부(13) 전체가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체결부(13)의 경량화 및 콤팩트화가 달성될 수 있다.
체결부(3)의 각각의 경사벽부(12 및 13)와 본체(2)의 외벽면(4) 사이에 제 1 천공부(14) 및 제 2 천공부(15)가 형성된다. 제 1 천공부(14)는 제 1 경사벽부(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제 2 천공부(15)는 제 2 경사벽부(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천공부(14 및 15)가 체결부(3)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성형 시 체결부(3)의 변형 방지 등이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천공부(14 및 15)는 도 3b 또는 도 4의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천공부(14)는 제 1 경사벽부(12)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장되고 제 2 천공부(15)는 제 2 경사벽부(13)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장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천공부(14, 15)의 연장된 단부에는 제 1 저벽부(16) 및 제 2 저벽부(17)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저벽부(16)는 제 1 천공부(14)에 대응하도록 제 1 천공부(14)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 2 저벽부(17)는 제 2 천공부(15)에 대응하도록 제 2 천공부(15)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들 저벽부(16, 17)는 대응하고 있는 천공부(14, 15)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대응하는 경사벽부(12, 13)와 본체(2)의 외벽면(4)이 연속하여 배치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천공부(14) 측의 제 1 저벽부(16)는 제 1 경사벽부(12)와 본체(2)의 외벽면(4)을 연결하고, 제 2 천공부(15) 측의 제 2 저벽부(17)는 제 2 경사벽부(13)와 본체(2)의 외벽면(4)을 연결한다.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 성형품(1)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도시하고, 도 6에서는 고정 몰드(21)와 가동 몰드(22)를 함께 결합시켜(형틀 결합) 고정 몰드(21)와 가동 몰드(22) 사이에 캐비티(cavity)가 형성되고, 이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사출시켜 수지 성형품(1)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25는 가동 몰드(22)에 형성된 캐비티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 26은 성형된 수지 성형품(1)을 추출하기 위한 로드(rod)를 나타낸다. 고정 몰드(21)에는 상기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러너(runner)(23)가 마련되어, 상기 수지가 러너(23)를 통해 사출된다. 도 3a, 도 3b 및 도 6에서, 참조 부호 24는 수지 사출단에 해당하는 게이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게이트(24)를 통해 사출된 수지는 도 3b에서 화살표 J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 내부를 따라 흐르고, 이로써 수지 성형품(1)이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부(11)의 중심축(18)을 관통하여 본체(2)의 외벽면(4)과 직교하는 직교면(19)에 대해 상기 수지의 양이 비대칭이 되도록 체결부(3)가 형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수지의 양이 비대칭이 되게 하는 체결부(3)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사벽부(12)의 두께(T1)는 제 2 경사벽부(13)의 두께(T2)보다도 크다(T1>T2). 따라서, 제 1 경사벽부(12)의 두께가 제 2 경사벽부(13)의 두께와 상이하기 때문에, 직교면(19)에 대해 이들 두께가 비대칭이다. 그러므로 한 쌍의 경사벽부(12 및 13)에 있어서는 수지의 양이 직교면(19)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저벽부(16)의 두께(T3)는 제 2 저벽부(17)의 두께(T4)보다 크다(T3>T4). 따라서, 제 1 저벽부(16)의 두께가 제 2 저벽부(17)의 두께와 상이하기 때문에, 직교면(19)에 대해 이들 두께가 비대칭이다. 그러므로 저벽부(16 및 17)에 있어서도, 직교면(19)에 대해 수지의 양이 비대칭이 될 수 있다(캐비티의 체적을 비대칭으로 하고, 성형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흐름 속도를 변환하여 비대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경사벽부(12) 측의 두께(T1) 및 제1 저벽부(16) 측의 두께(T3) 모두가 제 2 경사벽부(13)의 두께(T2)와 제 2 저벽부(17)의 두께(T4)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량이, 제 1 경사벽부(12)의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많고, 제 2 경사벽부(13)의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체결부(3)에서 합류하는 수지의 용접부가 체결부(3)의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흐름을 도시한다. 사출된 수지의 유량은 두껍게 형성된 제 1 경사벽부(12)의 측면에서 많고(화살표 S1), 얇게 형성된 제 2 경사벽부(13)의 측면에서 적다(화살표 S2).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흐름(S1)과 수지 흐름(S2)이 합류하는 용접부(20)가 체결부(3)의 꼭지점(즉,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으로부터 벗어나 제 2 경사벽부(13)를 향하게 된다. 한편, 상대 부재로부터의 외부 응력이 이 같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된 체결부(3)의 꼭지점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나, 용접부(20)에는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강도가 약한 용접부(20)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체결부(3)에서의 수지의 파손이나, 원통부(11) 내에서의 칼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 1 경사벽부(12)의 두께(T1) 및 제 1 저벽부(16)의 두께(T3)가 제 2 경사벽부(13)의 두께(T2)와 제 2 저벽부(17)의 두께(T4)보다 크지만, 이들 두께는 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경사벽부(13)의 두께(T2) 및 제 2 저벽부(17)의 두께(T4)가 제 1 경사벽부(12)의 두께(T1)와 제 1 저벽부(16)의 두께(T3)보다 클 수 있다(T2>T1 및 T4>T3). 또한 제 1 경사벽부(12)의 두께(T1) 및 제 2 경사벽부(13)의 두께(T2)만 직교면(19)에 대해서 비대칭으로 하고, 제 1 저벽부(16)의 두께(T3) 및 제 2 저벽부(17)의 두께(T4)만 직교면(19)에 대해 비대칭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용접부(20)가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체결부(3) 내에서의 수지의 파손 또는 이음 고리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접속함 이외의 수지 성형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한 특정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0년 6월 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0-126716에 기초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수지 성형품에 따르면, 체결부 내에서의 수지의 양이 원통부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본체의 외벽면에 수직인 직교면에 대해 비대칭이므로, 수지의 흐름이 서로 만나게 되는, 체결부 내의 용접부가 외부 응력이 가해지는 부위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강도가 약한 용접부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체결부 내에서의 수지 파손 또는 칼라의 이탈 또는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1: 수지 성형품 2: 본체
3: 체결부 4: 외벽면
6: 상대 부재 11: 원통부
12: 제 1 경사벽부 13: 제 2 경사벽부
14: 제 1 천공부 15: 제 2 천공부
16: 제 1 저벽부 17: 제 2 저벽부
18: 중심축 19: 직교면
T1, T2, T3, T4: 두께

Claims (3)

  1. 수지의 사출에 의해 성형된 수지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수지 성형품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벽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를 상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입된 원통부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원통부의 중심축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의 외벽면과 직교하는 직교면에 대하여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원통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벽면을 향해 일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좌우 경사벽부; 및
    상기 각각의 경사벽부와 상기 본체의 외벽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좌우 경사벽부는 두께가 상기 직교면에 대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부를 상기 본체의 외벽면에 각각 연결하기 위해 저벽부가 상기 천공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저벽부 각각은 두께가 상기 직교면에 대해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
KR1020127031291A 2010-06-02 2011-06-02 수지 성형품 KR101490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6716 2010-06-02
JP2010126716A JP5707060B2 (ja) 2010-06-02 2010-06-02 樹脂成形品
PCT/JP2011/062738 WO2011152502A1 (ja) 2010-06-02 2011-06-02 樹脂成形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308A true KR20130032308A (ko) 2013-04-01
KR101490006B1 KR101490006B1 (ko) 2015-02-04

Family

ID=4506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291A KR101490006B1 (ko) 2010-06-02 2011-06-02 수지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37803B2 (ko)
JP (1) JP5707060B2 (ko)
KR (1) KR101490006B1 (ko)
CN (1) CN102917854B (ko)
WO (1) WO2011152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4100B2 (ja) * 2016-08-30 2020-11-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モジュール
JP7068232B2 (ja) * 2019-06-10 2022-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311A (ja) 1984-06-29 1986-01-20 Kamaya Kagaku Kogyo Kk 多色樹脂容器の成形方法
JPS62111711A (ja) 1985-11-12 1987-05-22 Toyota Motor Corp 合成樹脂成形品
JPH0269215A (ja) 1988-09-05 1990-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リング伏プラスチツク成形用金型
JPH02225012A (ja) * 1989-02-27 1990-09-07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モールデイングコンパウンド成形品
JPH0692137B2 (ja) 1990-10-26 1994-11-16 株式会社三島金型製作所 プラスチック板面と一体の筒状または柱状の突起
JPH0737861Y2 (ja) * 1991-06-06 1995-08-30 矢崎総業株式会社 成形品
JP2962926B2 (ja) 1992-04-17 1999-10-1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ウエルド強度改善射出成形方法
JPH09234757A (ja) * 1996-02-29 1997-09-09 Sanyo Electric Co Ltd モールド成型品および混成集積回路装置
KR100413022B1 (ko) 1999-03-31 2003-12-3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스트립 와이퍼 장치, 스트립의 와이핑 방법, 압연 설비 및압연 방법
JP4163135B2 (ja) 2004-03-29 2008-10-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可動間仕切り方法及び可動間仕切りパネルの固定金具
JP4535862B2 (ja) * 2004-12-20 2010-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樹脂成形部品
JP4888359B2 (ja) * 2007-02-23 2012-02-29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302667A (ja) * 2007-06-11 2008-12-18 Alps Electric Co Ltd 射出成形品
JP5293856B2 (ja) 2012-04-26 2013-09-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複リンク式エンジンの振動低減構造
JP6112311B2 (ja) 2014-08-11 2017-04-1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挙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006B1 (ko) 2015-02-04
US9837803B2 (en) 2017-12-05
WO2011152502A1 (ja) 2011-12-08
JP2011251464A (ja) 2011-12-15
US20130071614A1 (en) 2013-03-21
JP5707060B2 (ja) 2015-04-22
CN102917854A (zh) 2013-02-06
CN102917854B (zh)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181B2 (ja) 電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7939B1 (ko) 크림핑 단자
CN105564508A (zh) 车辆连接构件和车辆前部结构
KR20120112737A (ko) 퓨즈 유닛
KR101738320B1 (ko) 구조적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 방법
KR20130032308A (ko) 수지 성형품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JP5809793B2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CN111129828A (zh) 基板用连接器及基板用连接器的壳体的制造方法
JP6440124B2 (ja) 電気接続箱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ラケット付電気接続箱
KR100467036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10136522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circuit board assembly containing the same
JP2014171327A (ja) 電気接続箱
JP4940964B2 (ja) 電子機器の筐体及び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器
JP4055383B2 (ja) 電気接続箱
KR100828847B1 (ko) 배터리 고정 구조
KR200270887Y1 (ko) 주물용 형틀
JP2007210152A (ja) 樹脂成形品
KR200239503Y1 (ko) 조립식 암거
JP4916023B2 (ja) スポイラーの補強構造
CN105730373B (zh) 用于车辆的块
KR101334660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KR100928930B1 (ko) 기중차단기의 몰드프레임 접합구조
JP5000208B2 (ja) 樹脂成形品
KR200418026Y1 (ko) 유로폼 이격방지용 체결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