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660B1 -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660B1
KR101334660B1 KR1020120044008A KR20120044008A KR101334660B1 KR 101334660 B1 KR101334660 B1 KR 101334660B1 KR 1020120044008 A KR1020120044008 A KR 1020120044008A KR 20120044008 A KR20120044008 A KR 20120044008A KR 101334660 B1 KR101334660 B1 KR 10133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member
main
insertion hole
coupling port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834A (ko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660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부재 특히 합성수지제 모서리부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서리부재(100)를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는 주부재(1:主部材)와 주부재(1)에 연결되는 보조부재(2)로 구성시키어,
상기 주부재(1)를 성형시키는 주부재성형단계와.
보조부재(2)는, 주부재(1)와 결합되는 쪽 단부에, 돌출결합부(21)가 형성되어, 돌출결합부(21)가 상기 주부재(1)의 단부에 내접하게 하는 보조부재성형단계와,
주부재(1)의 단부에 보조부재(2)의 돌출결합부(21)를 끼워 결합하여 형성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하여, 60cm길이의 주부재와 상술한 보조부재를 결합하면, 대형 시설을 구비하지 못해도, 연결핀삽입구가 규격에 따르는 15cm의 간격으로 또, 각 연결핀삽입구가 강건한 형태로, 90cm 또는 120cm 길이의 합성수지제 모서리부재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임.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A corner member of a concrete form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부재 특히 합성수지제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거푸집은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견고성과 표면의 미려함으로 인하여 금속으로 제조되는 일이 흔하다. 이와 같은 금속제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평판벽재와 모서리부재로 구성되어, 평판벽재는 벽면의 중앙부를 형성시키게 하며, 모서리부재는 평판벽재와 평판벽재 사이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의 모서리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을 금속판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모서리부재의 제조가 지극히 곤란하다. 이러한 모서리부재는 이웃하는 평판벽재와의 결합구조를 가져야 하며 그 자체의 견고성을 위하여 충분한 튼튼 구조를 필요로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모서리부재 중 특히 내측 모서리부재는 이를 압출 성형시킨다던지 사출 성형시키어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려는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그러나, 압출 성형에 의한 모서리부재는 이웃 평판벽재와의 연결구조 체택 필요성으로 인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 견고성이 부족하고 또 제조 자체가 곤란하게 되는 결점이 있어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서리부재 제조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거푸집의 제조 공급 업체는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일 뿐 아니라, 위와 같은 모서리부재의 소요량이 많지 아니하여 길이가 60cm를 초과하는 90cm 또는 120cm 길이의 모서리부재 생산을 위한 초 대형 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할 수 있게 하는 초대형 사출성형기의 구비가 용이한 일이 아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그 길이가 60cm 또는 30cm인 모서리부재를 사출 성형시키고, 그 이상의 기다란 모서리부재는 사출 성형된 부재를 단순 연결 접합하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짧은 모서리부재를 접합하면 그 연결부위에 단차가 생길 염려가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이웃하는 평판벽재와의 연결이 불완전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즉, 이웃하는 거푸집과의 연결을 위하여는 이웃하는 각 거푸집의 다른 거푸집과의 접면부에 일정한 거리(15cm)마다 연결핀삽입구를 설치함으로서 이웃하는 거푸집은 그 접면부에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연결핀삽입구가 위치하게 되며, 그리하여 일치하는 두 개의 연결핀삽입구에 연결핀을 끼우고 연결핀이 되빠져나오지 아니하게 걸쇠를 끼움으로서 이웃하는 평판벽재와의 결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위의 60cm 또는 30cm 길이의 모서리부재는 그 상하단의 접합부위에도 상기의 연결핀삽입구가 형성되어져야 함으로, 각 모서리부재의 그 상하단에 1/2삽입구가 형성된다. 이러한1/2삽입구는 상하 모서리부재가 그 접합부위에서도 소정 크기의 연결핀삽입구가 15cm거리마다 연결핀삽입구가 형성되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접합부위에서의 연결핀삽입구는 1/2삽입구가 합하여져 형성된 것이므로 여기에 연결핀을 끼워 연결하게 되면 연결핀삽입구가 충분한 강성을 가지지 못하여 이웃 평판벽체와의 연결이 불완전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첫째로, 1/2삽입구의 합체로 되는 접합부위의 연결핀삽입구가 가지는 취약성을 배제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 하고자 한다. 그리고, 둘째로, 최대 60cm길이의 모서리부재를 사출성형시키더라도 그 접합부위의 연결핀삽입구가 1/2삽입구가 아닌 온전한 삽입구로 형성되게 하여 삽입구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하여 사출 성형되는 모서리부재를 길게 접합시키더라도 연결핀삽입구의 취약성으로 인한 이웃 평판벽재와의 연결 부전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작은 길이의 모서리부재를 사출 성형시키더라도 짧은 모서리부재를 기다란 모서리부재로 형성시킬 수 있게 하여 시설 경제의 목적을 달성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60cm 길이의 주부재(主部材)와 주부재에 연결되는 보조부재로 구성시키되,
주부재는 양측단 내면에 결합슬리브(sleeve)가 형성되고,
보조부재는 주부재와 결합되는 쪽 단부에 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장부 단부에 상기 결합슬리브에 결합되는 돌출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슬리브의 길이는 보조부재의 연장부의 길이와 돌출결합부의 길이를 합한 길이로 되게 함으로서,
주부재의 결합슬리브를 보조부재의 연장부 길이만큼 절취해 내고 절취된 부위에 보조부재의 돌출결합부를 끼워 결합부위 양측의 연결핀삽입구간 거리가 소정의 거리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부재의 제조 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60cm 길이의 모서리부재 제조 시설과 30cm길이의 모서리부재제조시설 및 40cm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보조부재 제조 시설만 구비하면 사출 성형의 방법에 의한 성형방법과 본 발명의 가공방법으로 90cm 길이 또는 120cm 길이의 합성수지재 모서리부재를 합성수지로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서 제조 설비의 경제를 도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내측모서리부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을 형성시키는 상태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주부재와 보조부재의 평판벽재결합면을 바라보는 정면도로서 주부재의 일부를 절단하고 절단부위를 보조부재의 연장부로 보충하는 실시예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주부재를 절취하지 아니하게 하는 실시예의 설명도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과,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에 잇대어 형성되고 평판벽재(가, 나)가 접하여지는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와, 양 평판벽재결합부(103, 104) 사이의 대각선지지벽(105)으로 구성되며,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에 평판벽재(가, 나)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핀삽입구(106)와 1/2삽입구(107)가 등거리(15cm)로 형성되어, 상기 대각선지지벽(105)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연결핀(108)을 연결핀삽입구(106) 또는 1/2삽입구에 끼워 평판벽재(가, 나)를 결합하게 되는 모서리부재(100)를 제조함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모서리부재(100)를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는 주부재(1:主部材)와 주부재(1)에 연결되는 보조부재(2)로 구성시키어,
상기 주부재(1)를 성형시키는 주부재성형단계와.
보조부재(2)는, 주부재(1)와 결합되는 쪽 단부에, 돌출결합부(21)가 형성되어, 돌출결합부(21)가 상기 주부재(1)의 단부에 내접하게 하는 보조부재성형단계와,
주부재(1)의 단부에 보조부재(2)의 돌출결합부(21)를 끼워 결합하여 형성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보조부재를 성형시키는 보조부재성형단계가 보조부재 본체와 돌출결합부(21)사이에 연장부(22)를 가지는 보조부재(20)를 성형시키는 것이며,
상기 주부재(1)와 보조부재(20)의 결합단계는,
주부재(1)의 단부로부터 보조부재의 연장부(22)의 길이(L) 상당 부분(L1)인 절취부(11)를 절단해 내는 주부재 절취단계를 포함하고,
절단된 단부에 보조부재(2)의 돌출결합부(21)를 끼워 결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각 연결핀삽입구간 거리가 등거리(15cm)가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주부재(1)의 단부를 절취하고 보조부재(20)로 절취된 길이를 보상하게 함은 각 연결핀삽입구 사이의 거리를 일정한 거리(15cm)로 형성시킬 뿐 아니라 연결핀이 삽입되는 부위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규격화된 연결핀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주부재성형단계가 주부재(1)의 단부 내주부(內周部)에 결합슬리브(12)를 가지는 주부재(1)를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보조부재성형단계가 보조부재(2) 단부에 성형되는 돌출결합부(21)가 보조부재(2) 본체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1/2삽입구(71)와 이에 잇대어 형성되는 돌출결합부(21)의 1/2삽입구(72)가 더불어 하나의 온전한 크기의 연결핀삽입구(7)를 형성시키며, 연결핀삽입구(7)는 이에 결합되는 주부재(1)의 1/2삽입구(107)와 중첩되어 강건하고 온전한 연결핀삽입구가 형성되게 하고, 또 돌출결합부(21)의 두께는 주부재(1)의 결합슬리브(12)의 두께와 더불어 주부재(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형성시키게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보조부재(2)의 돌출결합부(21)의 두께와 주부재(1)의 결합슬리브(12)의 두께를 합하여 주부재(1)의 두께와 동일하게 함으로서, 연결핀삽입구(7)에도 다른 연결핀삽입구(106)에 사용되는 규격화된 연결핀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결국 위와 같은 본 발명은 60cm길이의 주부재와 상술한 보조부재를 결합하면, 대형 시설을 구비하지 못해도, 연결핀삽입구가 규격에 따르는 15cm의 간격으로 또, 각 연결핀삽입구가 강건한 형태로, 90cm 또는 120cm 길이의 합성수지제 모서리부재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100....모서리부재
101, 102.... 내측모서리성형면
103, 104.... 평판벽재결합부
105.....대각선지지벽
106.....연결핀삽입구
107.....1/2삽입구
1. 주부재
11. 절취부
12. 결합슬리브
2, 20. 보조부재
21. 돌출결합부
22. 연장부
7. 연결핀삽입구
71, 72. 1/2삽입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과,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에 잇대어 형성되고 평판벽재(가, 나)가 접하여지는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와, 양 평판벽재결합부(103, 104) 사이의 대각선지지벽(105)으로 구성되며,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에 평판벽재(가, 나)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핀삽입구(106)와 1/2삽입구(107)가 등거리로 형성되어, 상기 대각선지지벽(105)에 형성되는 통공을 통하여 연결핀(108)을 연결핀삽입구(106) 또는 1/2삽입구(107)에 끼워 평판벽재(가, 나)를 결합하게 되는 모서리부재(100)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재(100)를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는 주부재(1:主部材)와 주부재(1)에 연결되는 보조부재(2)로 구성시키어,
    상기 주부재(1)를 성형시키는 주부재성형단계와.
    주부재(1)와 결합되는 쪽 단부에, 돌출결합부(21)가 형성되어, 돌출결합부(21)가 상기 주부재(1)의 단부에 내접하게 하는 보조부재(2)를 성형시키는 보조부재성형단계와,
    주부재(1)의 단부에 보조부재(2)의 돌출결합부(21)를 끼워 결합하여 형성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주부재성형단계가 주부재(1)의 단부 내주부(內周部)에 결합슬리브(12)를 가지는 주부재(1)를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보조부재성형단계가 보조부재(2) 단부에 성형되는 돌출결합부(21)가 보조부재(2) 본체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1/2삽입구(71)와 이에 잇대어 형성되는 돌출결합부(21)의 1/2삽입구(72)가 더불어 하나의 온전한 크기의 연결핀삽입구(7)를 형성시키며, 연결핀삽입구(7)는 이에 결합되는 주부재(1)의 1/2삽입구(107)와 중첩되어 강건하고 온전한 연결핀삽입구가 형성되게 하고, 또 돌출결합부(21)의 두께는 주부재(1)의 결합슬리브(12)의 두께와 더불어 주부재(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형성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120044008A 2012-04-26 201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KR10133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08A KR101334660B1 (ko) 2012-04-26 201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008A KR101334660B1 (ko) 2012-04-26 201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34A KR20130120834A (ko) 2013-11-05
KR101334660B1 true KR101334660B1 (ko) 2013-12-02

Family

ID=4985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008A KR101334660B1 (ko) 2012-04-26 2012-04-26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030B1 (ko) * 2017-11-09 2020-03-09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61Y1 (ko) * 2002-04-08 2002-07-13 안종식 높이가 조절되는 코너거푸집
KR20110134014A (ko) * 2010-06-08 2011-12-14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거푸집의 인코너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361Y1 (ko) * 2002-04-08 2002-07-13 안종식 높이가 조절되는 코너거푸집
KR20110134014A (ko) * 2010-06-08 2011-12-14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거푸집의 인코너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834A (ko) 201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364B2 (en) Assembly of pallet component and fasteners
TW201619012A (zh) 可調整尺寸之組合式棧板
KR101334660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모서리 부재와 그 제조 방법
KR101824861B1 (ko) 결합구조가 향상된 거푸집
CN107889380B (zh) 机箱组装结构
CN103850263A (zh) 预制砖胎膜
KR101713079B1 (ko) 거푸집용 인코너 연결구
KR101435004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2088083B1 (ko)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
KR200488570Y1 (ko) 간격유지구 결합홈 가림구를 구비하는 다용도 콘크리트형틀
KR950010289B1 (ko) 합성수지제 패릿드의 일체성형방법
KR101832715B1 (ko) 옹벽패널 제조방법
CN206048463U (zh) 可拼装的斗拱预制模具
CN203213582U (zh) 建筑用塑料模板
KR101107310B1 (ko) 분절형 콘크리트 빔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하는 분절형 콘크리트 빔 시공 방법.
CN212738895U (zh) 一种包装箱的包角
KR200480736Y1 (ko) 배전반 프레임 간의 결합 장치
KR102358007B1 (ko)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JP3170464U (ja) 増設柱台枠
KR102650471B1 (ko) 소형 구조물을 위해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비정형 거푸집 파트를 포함하는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JP6958956B1 (ja) 建築物用廃プラ土台
CN202197481U (zh) 框架组合接头
CN204590601U (zh) 一种三阴角塑料模板
KR20190051129A (ko) 창틀프레임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창틀프레임 시공 방법
KR20120057207A (ko) 거푸집 패널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