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366A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29366A KR20130029366A KR1020127023647A KR20127023647A KR20130029366A KR 20130029366 A KR20130029366 A KR 20130029366A KR 1020127023647 A KR1020127023647 A KR 1020127023647A KR 20127023647 A KR20127023647 A KR 20127023647A KR 20130029366 A KR20130029366 A KR 201300293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shade
- pair
- lead
- width direction
- rai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양과,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간격이 커지도록 배설되는 한 쌍의 레일과, 기단부측에 배설되며 차양이 인출수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장치와,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폭방향 복수 위치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를 갖고, 폭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 가능한 인출부재와, 인출부재에 연결되어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러너를 구비하고 있다. 인출부재는, 한 쌍의 러너가 한 쌍의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확장수축 변형된다.
Description
차양(shade)에 의해 창을 차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향(對向)하는 짧은 변(短邊)과 긴 변(長邊)을 갖는 창에 적용되는 차양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창 차양(window shade)은, 한쪽 단부가 권취 샤프트(winding shaft)에 고정된 차양 시트(shade sheet)와, 안내홈을 갖는 한 쌍의 안내수단과, 차양 시트의 다른쪽 단부에 결합된 인출로드를 구비하고 있다. 인출로드는, 차양 시트의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통(筒) 형상의 루프(loop)에 수용되는 중앙부재와, 안내수단의 안내홈에 안내되는 안내부재를 갖는 2개의 단부(端部)부재로 구성되며, 한 쌍의 안내수단의 간격에 따라 길이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는, 권취 샤프트는, 한 쌍의 안내수단의 간격이 큰 창의 긴 변측에 배설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레일(안내수단)의 간격이 작은 창의 짧은 변측에 수납장치(권취 샤프트)를 배설하는 경우,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창의 폭방향 전체를 차폐할 수 없다. 즉, 차양의 인출측 단부 및 인출측 단부가 장착되어 있는 중앙부재 자체의 폭 치수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창의 긴 변측에 있어서 차양의 폭방향 양측 부분이 차폐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대향하는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창에 대해, 짧은 변측에 수납장치를 배치하여 짧은 변측으로부터 긴 변측으로 차양을 인출하는 경우에도, 될 수 있는 한 창(窓) 전체를 차폐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창을 차폐(遮蔽)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을 차폐 가능한 차양과,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先端部)를 향해, 순차적으로 간격이 커지도록 배설(配設)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기단부측에 배설되며, 상기 차양이 인출수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장치와,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端部)를 폭방향 복수(複數) 위치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를 갖고, 상기 차양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各)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 가능한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양단부(兩端部)에 연결되며,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러너를 구비하며,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한 쌍의 러너가 상기 한 쌍의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간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된다.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가 상기 차양의 폭방향으로 등간격(等間隔)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 간격이 동일 비율(等倍)로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된다.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팬터그래프(pantograph) 형상의 링크기구이다.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봉(棒)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기 차양의 폭방향으로 대각(對角)을 맞대어 늘어서는 복수의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재끼리가 연결되는 연결부 중 상기 차양의 인출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 위치에서 상기 차양을 지지하고 있다.
제5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3 또는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인출부재를 인출수납방향으로 확대 변형시키도록 부세력(付勢力)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6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는, 상기 인출부재와 상기 한 쌍의 러너와의 연결부 위치에서도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제7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제6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는, 상기 차양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제8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제7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러너를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는, 차양의 인출수납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한 쌍의 레일의 간격에 따라, 차양의 폭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레일의 간격에 따라, 각 차양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확장수축시켜, 인출측 단부를 전체적으로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확장수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대향하는 긴 변과 짧은 변을 갖는 창에 대해, 짧은 변측에 수납장치를 배치하여 짧은 변측으로부터 긴 변측으로 차양을 인출하는 경우에도, 창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차양 지지부가 차양의 폭방향으로 등간격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 간격이 동일 비율로 확장수축하기 때문에,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폭방향으로 더 균등하게 확장수축시킬 수 있다.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가 팬터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이기 때문에, 확장수축 변형에 의해, 각부(各部)의 간격이 차양의 폭방향에 있어서 더 안정적으로 동일 비율로 확장수축된다. 이에 의해, 이 인출부재에 장착되는 차양을, 폭방향에 있어서 균등하게 확장수축할 수 있다.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인출부재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가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 위치에서 차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러너가 한 쌍의 레일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더 인출측까지 차양을 인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 확실하게, 차폐 대상이 되는 창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인출부재가 인출수납방향으로 확대 변형하도록 부세되기 때문에, 차양을 인출상태로부터 수납할 때에 필요한 힘 및 그 힘에 의한 차양장치에 걸리는 부하(負荷)를 작게 하여 원활하게 수납하기를 시작할 수 있다.
제6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차양 지지부가 인출부재와 한 쌍의 러너와의 연결부 위치에서도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양의 폭방향에 있어서, 더 넓은 범위에서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대해 작용 가능하여, 한 쌍의 레일 사이 전체에 걸쳐 차양의 인출측 단부 전체를 균등하게 확장수축할 수 있다.
제7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차양 지지부가 차양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차양의 폭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간격이 더 균등하게 확장수축되기 때문에, 차양의 인출측 단부를 더 균등하게 확장수축 변형시킬 수 있다.
제8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양의 인출수납 조작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차양 수납상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양 인출상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출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A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차양의 인출 혹은 수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양 인출상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출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화살표 A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차양의 인출 혹은 수납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차양장치의 구성> 차양장치(10)의 구성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차양장치(10)는, 차양(20)에 의해 창(100)을 차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양장치(10)는, 차양(20)을, 인출부재(40) 및 한 쌍의 러너(60a, 60b)를 통해 한 쌍의 레일(50a, 50b)에 의해 안내하고, 수납장치(30)에 대해 인출수납하여 창(100)을 차폐하는 구성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차양장치(10)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을 기단부(52)보다 선단부(54)의 간격이 커지도록 배설하고, 기단부(52)로부터 선단부(54)를 향해 차양(20)을 인출하는 것이다. 즉, 본 차양장치(10)는, 대향하는 짧은 변(102)과 긴 변(104)을 갖는 창(100)에 적용된다. 그리고 본 차양장치(10)는, 예를 들면, 스페이스의 사정상, 차양(20)의 수납장치(30)를 창(100)의 짧은 변(102)측에 배설하지 않으면 안 되는 제약이 있는 경우 등에 더 적합하다.
여기서는, 차양장치(10)를 적용하는 창(100)이, 등변 사다리꼴(isosceles trapezoid)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리어 창(rear window)인 예로 설명한다. 물론, 본 차양장치(10)는, 자동차의 리어 창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사이드(사이드 도어) 창, 자동차 이외의 창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등변 사다리꼴 이외의 형상으로 된 창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창(100)의 짧은 변(102) 및 긴 변(104)이 뻗는 방향(도 1, 도 2의 좌우방향)을, 폭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차양장치(10)는, 차양(20)과, 수납장치(30)와, 인출부재(40)와, 한 쌍의 레일(50a, 50b)과, 한 쌍의 러너(60a, 60b)와, 구동기구(70)와, 탄성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차양(20)은, 대상이 되는 창(100)을 차폐 가능한 시트 형상 부재이다. 여기서는, 차양(20)은, 적어도 일방향(여기서는 폭방향)으로 확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20)은, 메쉬 형상 등의 포재(布材), 수지 시트 등을, 확대상태에서 창(100)을 차폐 가능한 형상 및 크기로 재단, 봉제(縫製) 등 하여 형성된다. 차양(20)의 폭방향으로 확장수축 가능한 형태는, 예를 들면, 자신이 신축 가능한 재료, 플리트(pleating) 등의 성향 부여에 의해 확장수축 가능한 형상, 늘어짐을 갖게 함으로 인해 확장수축 가능한 형태를 채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서는, 차양(20)이 신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차양(20)은, 비교적 작은 인장력으로 확대 가능하고, 일단부를 폭방향으로 인장한 때에 그 주변도 한꺼번에 확대되는 형태의 신축성을 갖는 재료이면 좋다. 즉, 창(100)의 긴 변(104)측에 일단부, 짧은 변(102)측에 타단부를 배치하여, 일단부를 긴 변(104)의 길이에 맞춰 확대 변형시킨 상태에서, 창(100)의 측변(側邊)(106)을 대체로 따르는 형태로 타단부로부터 일단부에 걸쳐 서서히 폭 넓은 형상(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상기 차양(20)은, 수납장치(30)에 대해 인출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수납장치(30)는, 권취 샤프트(32)와 권취 샤프트(32)를 축 둘레로 상대회전(相對回轉)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4)를 갖고 있다. 그리고 권취 샤프트(32)는, 도시생략된 코일스프링 등에 의해 지지부(34)에 대해 회전부세(回轉付勢) 되어 있다. 차양(20)은, 권취 샤프트(32)에 대해 일단부가 고정되어, 인출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의 회전부세력에 의해 권취 샤프트(32)에 감겨진 수납상태로 유지된다(도 1 참조). 그리고 수납장치(30)에 수납된 차양(20)의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인출측 단부(22)를 인장(引張)하면, 수납장치(30)로부터 차양(20)이 인출된다(도 2 참조).
이 수납장치(30)는, 창(100)의 짧은 변(102)측 (후술하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2)측)에 배설된다(도 1, 도 2 참조). 더 구체적으로는, 창(100)을 둘러싸는 내장재 중 짧은 변(102)측 (여기서는 자동차의 천정측)의 내장재의 내측에 배설되어, 그 바깥쪽(外方)으로부터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수납장치(30)의 지지부(34)는, 수납장치(30)를 배설하는 개소(箇所)에 나사고정 등에 의해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차양(20)은, 짧은 변(102)측의 내장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를 통해, 수납장치(30)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 쌍의 레일(50a, 50b)은, 길이가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홈부(56)를 갖고 있다. 이 한 쌍의 레일(50a, 50b)은, 대상이 되는 창(100)의 측변(106)을 따르는 형태인 직선상(直線狀) 혹은 곡선상(曲線狀)(여기서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부(56)는, 후술하는 한 쌍의 러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기단부(52)와 선단부(54) 사이에서 안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안내홈부(56)는, 한 쌍의 러너(60a, 60b)의 일단부(62)를 수용 가능한 내부공간을 가짐과 아울러, 타단부(64)를 바깥쪽으로 뻗어나도록 개구되어 있다(도 4 참조). 여기서는, 안내홈부(56)는, 한 쌍의 러너(60a, 60b)의 일단부(62)보다 큰(여기서는 약간 큰) 단면(斷面)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일단부(62)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폭 좁게 개구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50a, 50b)은, 기단부(52)로부터 선단부(54)를 향해, 순차적으로 간격이 커지도록 배설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대상이 되는 창(100)에 적용한 상태에서 바꿔 말하면, 각각, 창(100)의 각(各) 측변(106)을 따라, 짧은 변(102)측으로부터 긴 변(104)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간격이 커지도록 배설되어 있다. 여기서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창(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짧은 변(102)과 긴 변(104)에 직교하는 방향(차양(20)의 인출수납방향(P))에 대해, 폭방향 외측으로 대략 같은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배설되어 있다. 물론,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차양(20)의 인출수납방향(P)에 대해, 각각 다른 경사각으로 배설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창(100)의 폭방향과 인출수납방향(P)이 이루는 평면에 대략 평행한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은, 창(100)의 측변(106) 부분의 내장재의 내측에 배설되어, 창(100)과 중첩되지 않도록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한 쌍의 러너(60a, 60b)는, 각각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안내홈부(56) 내에 일단부(62)를 수용함과 아울러 개구부로부터 타단부(64)를 뻗어나오게 한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한 쌍의 러너(60a, 60b)의 타단부(64)에는, 인출부재(40)와의 연결용으로, 폭방향과 인출수납방향(P)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64h)가 형성되어 있다.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에 장착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러너(60a, 60b)에 연결되어 있는 부재이다(도 1~도 4 참조). 그리고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차양(20)의 인출수납방향(P)으로 이동하여, 차양(20)을 인출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되면, 한 쌍의 러너(60a, 60b) 사이의 간격은, 한 쌍의 레일(50a, 50b) 사이의 간격에 따라 확장수축한다. 이 때문에, 인출부재(40)는, 폭방향으로 확장수축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폭방향 복수 위치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47)를 갖고, 복수의 차양 지지부(47)의 각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47)가 차양(20)의 폭방향으로 등간격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차양 지지부(47)의 각 간격이 동일 비율로 확장수축하는 형태로 확장수축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이 인출부재(40)는, 폭방향으로 확장수축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팬터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 설명하면, 인출부재(40)는, 평판봉(平板奉)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크부재(48)가, 차양(20)의 폭방향으로 대각을 맞대어 늘어서는 복수의 평행사변형(여기서는 마름모꼴)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부재(48)는, 일렬(一列) 상에 연결되는 복수의 중간부재(49a)를 구성함과 아울러, 복수의 중간부재(49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단부부재(49b)를 구성하고 있다(도 3 참조). 또, 복수의 링크부재(48) 중 단부부재(49b)를 구성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48)를, 한쪽 링크부재(48s), 다른쪽 링크부재(48r)로 한다.
중간부재(49a)는, 길이 치수가 같은 한 쌍의 링크부재(48)를 교차시켜 두께방향으로 중첩한 상태에서, 중간부에서 하나의 축 둘레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X자형 부재이다. 복수의 중간부재(49a)를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부재(48)는, 모두 같은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부재(49b)는, 중간부재(49a)를 구성하는 링크부재(48)와 같은 길이 치수인 한쪽 링크부재(48s)의 중간부에, 한쪽 링크부재(48s)의 절반 길이 치수인 다른쪽 링크부재(48r)의 단부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4개의 중간부재(49a)가 폭방향으로 병렬 형상으로 늘어서서 연결됨과 아울러, 그 폭방향 양단에 단부부재(49b)가 연결되어 있다. 중간부재(49a)끼리는, 각 링크부재(48)의 단부끼리를 두께방향으로 중첩하여 하나의 축 둘레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49a)와 단부부재(49b)는, 한쪽 링크부재(48s) 및 다른쪽 링크부재(48r)의 각(各) 단부와, 대응하는 각(各) 링크부재(48)의 단부가 하나의 축 둘레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부재(48, 48s, 48r)의 각부(各部)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즉, 각 연결위치에서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48h)를 형성한 링크부재(48, 48s, 48r)를, 구멍부(48h)가 대략 일치하도록 중첩하여, 구멍부(48h)에 삽입통과 가능한 소경(小徑)부분을 갖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연결축부재(連結軸部材)(45)를 삽입통과시킨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의해, 인출부재(40)는, 연결축부재(45)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폭방향 및 인출수납 방향(P)으로 확장수축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면, 인출부재(40)는, 중간부재(49a), 단부부재(49b)의 각(各) 사이에 같은 형상이고 또 같은 크기인 평행사변형이 폭방향으로 복수 늘어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各) 평행사변형 부분은, 각(各) 변의 길이가 일정한 채로 각(各) 대각(對角)의 크기가 변화하여 각각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며, 주로 폭방향으로 확장수축 변형됨과 아울러, 인출수납방향(P)으로도 확장수축 변형된다.
단부부재(49b) 중 한쪽 링크부재(48s)는, 각각, 폭방향 외측의 단부에서, 한 쌍의 러너(60a, 60b)에 대해 하나의 축 둘레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3 참조). 한쪽 링크부재(48s) 및 한 쌍의 러너(60a, 60b)에 대해서도, 링크부재(48)끼리의 연결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멍부(48h)와 구멍부(64h)를 대략 일치시키도록 중첩하여 연결축부재(45)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한쪽 링크부재(48s)는, 한 쌍의 러너(60a, 60b)에 대해, 폭방향 외측을 향해 인출수납방향(P)의 인출측으로 지향(指向)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링크부재(48)끼리의 연결부 중, 차양(20)의 인출측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인출측 연결부(42), 수납측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수납측 연결부(44), 중간부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중간 연결부(46)라고 한다(도 1, 도 2 참조). 또한, 인출부재(40)의 양단부(兩端部)(각(各) 단부부재(49b)의 한쪽 링크부재(48s))와 한 쌍의 러너(60a, 60b)와의 연결부를, 각각 인출측 연결부(42a, 42b)라고 한다.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인출부재(40)가 확장수축 변형해도,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 및 복수의 중간 연결부(46)에 대해서도, 각각,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 각 연결부(42, 44, 46)는, 각(各) 직선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러너(60a, 60b)가 인출수납방향(P)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 및 복수의 중간 연결부(46)가, 각각, 폭방향을 따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도 1, 도 2 및 도 5 참조). 또한,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와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가, 인출수납방향(P)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끼리 및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끼리 및 복수의 중간 연결부(46)끼리가 접리(接離)하여 폭방향으로 확장수축 변형함과 아울러,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와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가 접리하여 인출수납방향(P)으로 확장수축 변형한다.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47)가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위치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차양 지지부(47)는, 차양(20)의 폭방향을 따라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가 위치하는 직선상의 등간격 위치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는,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위치에 설치된 차양 지지부(47)가,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의 양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인출측 연결부(42a, 42b) 사이의 인출측 연결부(42)의 위치에 설치된 차양 지지부(47)는, 인출측 단부(22)의 양단부 사이 부분을 등간격 위치에서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인출부재(40)가 폭방향으로 확장수축 변형하면,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각(各) 사이에 개재하는 인출측 단부(22)의 신축상태가 각각 균일하게 됨과 아울러, 인출측 단부(22)가 폭방향 전체에 균일하게 확장수축된다.
또한, 복수의 차양 지지부(47)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연결축부재(45)의 축방향 한쪽측(도 4의 하측)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지지하고 있다. 즉, 차양 지지부(47)는, 해당 연결축부재(45)의 일단부에,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양 지지부(47)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연결축부재(45)에 나사고정하는 구성, 인출측 단부(22)에 대해 코킹, 끼워넣기 가능한 부재를 연결축부재(45)에 고정하는 구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물론, 차양 지지부(47)는, 연결축부재(4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47)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보다 인출측에 위치하는 형태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면 좋다. 즉,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더 인출측으로 배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창(100) 전체를 확실히 차폐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차양(20)의 변형, 마모 등을 억제하기 위해, 복수의 차양 지지부(47)는, 수납측 연결부(44) 및 중간 연결부(46)의 연결축부재(45)가 차양(20)에 대해 비접촉이 되도록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에 고정되어 있으면 좋다. 즉, 차양 지지부(47)는, 연결축부재(45)에 대해 그 축방향에 있어서 이간(離間)한 위치에, 차양(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도 4 참조).
물론, 복수의 차양 지지부(47)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위치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지지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차양 지지부(47)는, 복수의 수납측 연결부(44), 복수의 중간 연결부(46), 링크부재(48)의 각부에서 인출측 단부(22)를 지지해도 좋다.
그리고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2)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양(20)을 수납장치(30)에 대해 수납한 수납상태로 한다(도 1 참조). 이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인출부재(40)는, 폭방향으로 축소상태이고 또 인출수납방향(P)으로 확대상태가 된다. 또한, 인출부재(40)는,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4)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차양(20)을 수납장치(30)로부터 인출한 인출상태로 한다(도 2 참조). 이 인출상태에서, 인출부재(40)는, 폭방향으로 확대상태이고 또 인출수납방향(P)으로 축소상태가 된다.
물론, 인출부재(40)는, 팬터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로 한정되지 않고,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복수 위치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47)의 각(各) 간격을 (바람직하게는 균등하게)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 가능하면 좋다. 예를 들면, 인출부재(40)로서는, 각부를 확장수축하면서 확장수축 변형 가능한 코일스프링, 고무 등의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구동기구(70)는, 한 쌍의 러너(60a, 60b)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2)와 선단부(54) 사이에서 이동구동(移動驅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즉, 구동기구(70)에 의해 한 쌍의 러너(60a, 60b)를 이동시킴으로써, 차양(20)을 인출수납방향(P)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70)는, 한 쌍의 러너(60a, 60b)를, 인출수납방향(P)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위치시키는 형태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한 쌍의 러너(runner)(60a, 60b)를 대략 같은 속도로 이동시키고 있다. 물론, 한 쌍의 레일(50a, 50b)이 인출수납방향(P)에 대해 각각 다른 경사각으로 배설되어 있는 경우(각각 길이가 다른 경우)에는, 한 쌍의 러너(60a, 60b)의 이동속도를, 각각 각(各) 레일(50a, 50b)의 각도(길이)에 따라 변경하면 좋다.
예를 들면, 구동기구(70)는, 와이어의 일부에 한 쌍의 러너(60a, 60b)를 각각 장착하여, 해당 와이어를 모터에 의해 권취하고, 보내기 구동 등 하여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동기구(70)는, 도시생략된 스위치 등의 조작부에 접속되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차양(20)의 인출수납 조작을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자동차의 창(100)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차 안에 차양(20) 조작용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물론, 구동기구(70)는,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동기구(70)는,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또 길이방향으로 밀린 경우에 용이하게 굴곡되지 않음과 아울러,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치(齒)가 형성된 부재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치차(齒車)에 의해 진퇴시켜, 한 쌍의 러너(60a, 60b)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차양(20)을 인출수납 구동하는 구성이 생략되고, 인출부재(40)에 인출용 손잡이 등을 설치하여, 수동으로 차양(20)을 인출수납 조작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차양장치(10)는, 차양(20)의 인출상태에서, 인출부재(40)를, 인출수납방향(P)으로 확대 변형시키도록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80)는, 대향하는 한 쌍의 인출측 연결부(42)와 수납측 연결부(44)를 이간(離間)방향으로 부세하는 형태, 인접하는 인출측 연결부(42)끼리, 수납측 연결부(44)끼리 또는 중간 연결부(46)끼리를 근접방향으로 부세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80)로서는, 코일스프링, 고무재(근접방향으로 부세하는 경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각(各) 연결부(42, 44, 46)에서 연결되는 링크부재(48)가 이루는 각(角)을 확대 혹은 축소시키도록, 해당 각의 내측 혹은 외측에 V자형 판스프링, 비틀림 코일스프링 등을 축소상태 혹은 확대상태로 배설하는 것이어도 실현될 수 있다. 또, 도 1, 도 3에서는, 코일스프링인 탄성부재(80)를 대향하는 인출측 연결부(42)와 수납측 연결부(44) 사이에 자연 길이(natural length) 상태로 배설한 예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여기서는, 탄성부재(80)는,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자연 길이 상태가 되고, 인출상태에서 압축된 상태가 된다. 또, 도 2, 도 5에서는, 탄성부재(80)를 생략하고 있다.
<차양장치의 동작> 차양장치(10)의 동작에 대해, 도 1, 2,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차양(20)을 인출할 때의 차양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차양장치(10)는, 초기상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양(20)의 수납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즉, 한 쌍의 러너(60a, 60b)는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2)에 위치하고, 차양(20)은 수납장치(30)에 수납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차양(20)은, 인출측 단부(22)가 창(100)의 짧은 변(102)보다 수납장치(30)측에 위치하며, 창(100)을 차폐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인출부재(40)는, 폭방향으로 축소상태 또 인출수납방향(P)으로 확대상태이며, 창(100)의 짧은 변(102)측의 내장재에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80)는, 자연 길이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용자는, 조작부 등을 통해, 차양(20)을 인출하도록 구동기구(70)를 작동시킨다.
구동기구(70)에 의해,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2)로부터 선단부(54)측을 향해 이동되면, 인출부재(40)가 인출수납방향(P)을 따라 인출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차양(20)은, 인출부재(40)의 이동에 따라 인출조작되어 간다. 여기서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위치에서 복수의 차양 지지부(47)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는, 인출수납방향(P)에 있어서, 한 쌍의 러너(60a, 60b)와 대략 같은 위치로 이동된다.
여기서 인출부재(40) 자체는, 인출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에 따라, 폭방향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확대 변형되어 감과 아울러, 인출수납방향(P)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축소 변형되어 간다(도 1, 도 5 순으로 참조). 이에 의해,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간격이 확대되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는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확대 변형되어 간다. 또한, 인출측 단부(22)의 확대 변형에 따라,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보다 수납측 부분도, 폭방향에 있어서, 수납장치(30)의 위치로부터 인출측을 향해 서서히 확대된 형상으로 변형되어 있다.
또, 차양(20)의 인출 도중 상태에 있어서도, 인출측 단부(22)가 폭방향으로 신장(伸張)되어 차양(20)이 펼쳐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창(100) 중 인출측 단부(22)보다 수납측 부분이 차폐된다. 즉, 본 차양장치(10)에 의하면, 창(100)의 부분적인 차폐도 가능하다. 또, 구동기구(70)는 조작부 등을 조작함으로써, 차양(20)을 도중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4)까지 이동되면, 차양(20)은, 인출상태가 된다(도 2 참조). 이 상태에서, 인출부재(40)는, 폭방향으로 확대상태 또 인출수납방향(P)으로 축소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가 창(100)의 긴 변(104)보다 인출측에 위치하여, 창(100) 전체가 차양(20)에 의해 차폐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폭방향에 있어서 인출측 단부(22)가 긴 변(104)보다 크게 신장된 차양(20)은, 수납장치(30)를 향해 서서히 폭 좁게 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펼쳐져, 창(100)보다 크고 또 창(100)에 대체로 따른 형상이 되어 창(100)을 차폐하고 있다.
다음으로, 차양(20)을 수납할 때의 차양장치(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용자는, 조작부 등을 통해, 차양(20)을 수납하도록 구동기구(70)를 작동시킨다.
구동기구(70)에 의해,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4)로부터 기단부(52)측을 향해 이동되면, 인출부재(40)가 인출수납방향(P)을 따라 수납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차양(20)은, 인출부재(40)의 이동에 따라 수납조작되어 간다.
또, 인출부재(40)는, 탄성부재(80)에 의해 인출부재(40)가 인출수납방향(P)으로 확대 변형하도록 부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수납측으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차양(20)을 수납할 때에는, 수납장치(30)(회전부세된 권취 샤프트(32))에 의해 차양(20)이 수납측으로 인장되기 때문에, 인출부재(40)는 더 원활하게 수납측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여기서 인출부재(40) 자체는, 수납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간격에 따라, 폭방향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축소 변형되어 감과 아울러, 인출수납방향(P)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확대 변형되어 간다(도 2, 도 5 순으로 참조). 이에 의해,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및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간격이 축소되어,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는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축소 변형되어 간다.
그리고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기단부(52)까지 이동되면, 차양(20)은, 수납상태가 된다(도 1 참조).
지금까지, 차양장치(10)를 사다리꼴 창(100)에 적용하는 예로 설명해 왔지만, 차양장치(10)는 다른 형상의 창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양장치(10)를 적용하는 창으로서는, 대향하는 짧은 변(102)과 긴 변(104)을 잇는 측부(側部)가 곡선상(폭방향으로 불룩해 있는 형상 등) 혹은 단상(段狀)으로 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대향하는 짧은 변(102)과 긴 변(104)을 갖는 창(100)이 아니어도 적용 가능하다. 즉, 본 차양장치(10)는, 상술한 형태로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배설(配設) 가능하면, 형상에 관계없이 창(100)을 차폐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관계되는 차양장치(10)에 의하면,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을 따라 이동되면, 인출부재(40)가 인출수납방향(P)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인출부재(40)는, 차양(20)의 폭방향에 있어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지지하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47)의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되기 때문에, 차양(20)을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확장수축시킬 수 있다. 즉, 차양(20)을, 창(100)의 짧은 변(102)측보다 긴 변(104)측에서 폭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향하는 짧은 변(102)과 긴 변(104)을 갖는 창(100)에 대해, 짧은 변(102)측에 수납장치(30)를 배치하여 짧은 변(102)측으로부터 긴 변(104)측으로 차양(20)을 인출하는 경우에도, 창(100)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차양 지지부(47)가 차양(20)의 폭방향으로 등간격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복수의 차양 지지부(47)의 각 간격이 동일 비율로 확장수축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차양 지지부(47)의 각(各) 사이에 위치하는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각각 동일 비율로 확장수축할 수 있고, 인출측 단부(22)를 폭방향 전체적으로 더 균등하게 확장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가 팬터그래프 형상의 링크기구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확장수축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확장수축 변형에 의해, 차양(20)의 폭방향에 있어서 각부의 간격이 더 안정적으로 동일 비율로 확장수축된다. 이에 의해, 이 인출부재(40)에 장착되는 차양(20)을, 폭방향에 있어서 균등하게 확장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인출부재(40)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47)가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42) 위치에서 차양(2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러너(60a, 60b)가 한 쌍의 레일(50a, 50b)의 선단부(54)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더 인출측까지 차양(20)을 인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더 확실하게, 차폐 대상이 되는 창(100)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또, 인출부재(40) 전체가 한쪽측으로부터 차양에 숨겨진 상태가 되어, 의장성(意匠性)이 우수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차양 지지부(47)가 인출측 연결부(42a, 42b)의 위치에서도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양(20)의 폭방향에 있어서, 더 넓은 범위에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에 대해 작용 가능하고, 한 쌍의 레일(50a, 50b) 사이 전체에 걸쳐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 전체를 균등하게 확장수축할 수 있다.
복수의 차양 지지부(47)가 차양(20)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양(20)의 폭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차양 지지부(47)의 간격이 더 균등하게 확장수축되고,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더 균등하게 확장수축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차양(20)의 인출측 단부(22)를 직선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창(100)의 긴 변(104)을 따른 형상으로, 창(100) 전체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구동기구(7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양(20)의 인출수납 조작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차양(20)의 수납 조작시에는, 탄성부재(80)에 의해 인출부재(40)가 인출수납방향(P)으로 확대 변형하도록 부세되기 때문에, 차양(20)을 인출상태로부터 수납할 때에 필요한 힘(구동기구(70)에 의한 구동력) 및 그 힘에 의한 인출부재(40), 한 쌍의 러너(60a, 60b), 한 쌍의 레일(50a, 50b)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출부재(40)를 원활하게 수납하기를 시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차양장치(10)는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0 차양장치
20 차양
22 인출측 단부
30 수납장치
40 인출부재
42, 42a, 42b 인출측 연결부
47 차양 지지부
48 링크부재
50a, 50b 한 쌍의 레일
52 기단부
54 선단부
60a, 60b 한 쌍의 러너
70 구동기구
80 탄성부재
100 창
P 인출수납방향
20 차양
22 인출측 단부
30 수납장치
40 인출부재
42, 42a, 42b 인출측 연결부
47 차양 지지부
48 링크부재
50a, 50b 한 쌍의 레일
52 기단부
54 선단부
60a, 60b 한 쌍의 러너
70 구동기구
80 탄성부재
100 창
P 인출수납방향
Claims (8)
- 창을 차폐(遮蔽)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을 차폐 가능한 차양과,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선단부(先端部)를 향해, 순차적으로 간격이 커지도록 배설(配設)되는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기단부측에 배설되며, 상기 차양이 인출수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장치와,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端部)를 폭방향 복수(複數) 위치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차양 지지부를 갖고, 상기 차양의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各)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 가능한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의 양단부(兩端部)에 연결되며,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한 쌍의 러너,
를 구비하며,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한 쌍의 러너가 상기 한 쌍의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간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 간격이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되는 차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가 상기 차양의 폭방향으로 등간격(等間隔)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의 각 간격이 동일 비율(等倍)로 확장수축하도록 확장수축 변형되는 차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팬터그래프(pantograph) 형상의 링크기구인 차양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는, 봉(棒)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기 차양의 폭방향으로 대각(對角)을 맞대어 늘어서는 복수의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재끼리가 연결되는 연결부 중 상기 차양의 인출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인출측 연결부 위치에서 상기 차양을 지지하고 있는 차양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인출상태에서, 상기 인출부재를 인출수납방향으로 확대 변형시키도록 부세력(付勢力)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차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는, 상기 인출부재와 상기 한 쌍의 러너와의 연결부 위치에서도, 상기 차양의 상기 인출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차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지지부는, 상기 차양의 폭방향을 따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차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러너를 각각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076990A JP5501822B2 (ja) | 2010-03-30 | 2010-03-30 | シェード装置 |
JPJP-P-2010-076990 | 2010-03-30 | ||
PCT/JP2011/053455 WO2011122153A1 (ja) | 2010-03-30 | 2011-02-18 | シェード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9366A true KR20130029366A (ko) | 2013-03-22 |
Family
ID=4471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3647A KR20130029366A (ko) | 2010-03-30 | 2011-02-18 | 차양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008615A1 (ko) |
EP (1) | EP2554414A1 (ko) |
JP (1) | JP5501822B2 (ko) |
KR (1) | KR20130029366A (ko) |
CN (1) | CN102821988A (ko) |
WO (1) | WO201112215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68443B2 (ja) * | 2010-03-31 | 2014-04-09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シェード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6463A (en) * | 1887-07-12 | Door-guard for elevator-wells | ||
US1268297A (en) * | 1917-07-02 | 1918-06-04 | Willis J Sutcliffe | Actuating means for radiator-protectors. |
US5551744A (en) * | 1995-01-12 | 1996-09-03 | Energy Conservation Partnership, Ltd. | Motor vehicle windshield curtain structure |
JP4321726B2 (ja) * | 1998-08-06 | 2009-08-26 | 芦森工業株式会社 | 電動サンシェード装置 |
DE502004006742D1 (de) * | 2003-02-19 | 2008-05-21 | Arvinmeritor Gmbh | Sonnen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
JP2005104450A (ja) * | 2003-09-09 | 2005-04-21 | Asmo Co Ltd | サンシェード装置 |
US7314079B2 (en) * | 2003-09-09 | 2008-01-01 | Asmo Co., Ltd. | Sunshade system having blind sheet |
DE102004020531B3 (de) | 2004-04-27 | 2005-09-22 | Bos Gmbh & Co. Kg | Fensterrollo mit justierbarer Zentrierung des Zugstabs |
JP4530796B2 (ja) * | 2004-10-12 | 2010-08-25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サンバイザ |
CN2772868Y (zh) * | 2005-03-16 | 2006-04-19 | 李震 | 汽车防晒自动折叠帘 |
US8308217B2 (en) * | 2008-09-08 | 2012-11-13 | Rameshbhai Kalabhai Patel | Automobile sun visor with electromechanical sun sha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
JP5468443B2 (ja) * | 2010-03-31 | 2014-04-09 | 芦森工業株式会社 | シェード装置 |
-
2010
- 2010-03-30 JP JP2010076990A patent/JP550182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2-18 KR KR1020127023647A patent/KR2013002936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2-18 EP EP11762394A patent/EP2554414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2-18 CN CN2011800165757A patent/CN102821988A/zh active Pending
- 2011-02-18 WO PCT/JP2011/053455 patent/WO201112215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2-18 US US13/636,813 patent/US20130008615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122153A1 (ja) | 2011-10-06 |
US20130008615A1 (en) | 2013-01-10 |
JP2011207340A (ja) | 2011-10-20 |
JP5501822B2 (ja) | 2014-05-28 |
EP2554414A1 (en) | 2013-02-06 |
CN102821988A (zh) | 2012-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13775B2 (ja) | 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を格納した自動車及びルーフに格納できる車両窓用日除けブラインド | |
JP5719585B2 (ja) | シェード装置 | |
JP5356128B2 (ja) | シェード装置 | |
WO2012039314A1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001241277A (ja) | 後部窓ロールブラインド | |
JP5410266B2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011136615A (ja) |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 |
JP5468443B2 (ja) | シェード装置 | |
JP5431838B2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008044596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WO2013133066A1 (ja) | シェード装置 | |
KR20130029366A (ko) | 차양장치 | |
JP6063682B2 (ja) |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 |
JP6063683B2 (ja) |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 |
JP2010215137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5223776B2 (ja) | サンシェードの駆動装置 | |
JP2007153280A (ja) | サイドシェード装置 | |
JP2006044391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及びシートの展張方法 | |
JP2009012500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607254Y2 (ja) | 車両用電動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007008290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006069450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5840982B2 (ja) | シェード装置 | |
JP2006182171A (ja) | シェード装置 | |
JP2005306065A (ja) | サイドシェー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