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114A -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114A
KR20130018114A KR1020120076735A KR20120076735A KR20130018114A KR 20130018114 A KR20130018114 A KR 20130018114A KR 1020120076735 A KR1020120076735 A KR 1020120076735A KR 20120076735 A KR20120076735 A KR 20120076735A KR 20130018114 A KR20130018114 A KR 2013001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ctuator
locking member
board
cl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906B1 (ko
Inventor
겐타 아시부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기판 커넥터 (100) 는,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기판 (T1) 을 사이에 끼우는 제 1 클리핑부 (131a) 와 제 2 클리핑부 (132a), 상기 제 1 클리핑부 (131a) 를 지지하는 제 1 빔부 (131), 및 상기 제 2 클리핑부 (132a) 를 지지하는 제 2 빔부 (132) 를 구비하는 접촉자 (130); 상기 접촉자 (130) 를 지지하는 하우징 (110); 상기 제 1 빔부 (131) 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120); 및 상기 액츄에이터 (120) 에 고정되는 금속제 잠금 부재 (140) 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 (140) 는, 기판 (T1) 의 삽입시 이 기판 (T1) 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기판 (T1) 의 삽입시 이 기판 (T1) 에 의해 밀려지는 작동 지점부 (141)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 {BOARD CONNECTOR}
본 출원은 2011년 8월 10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 2011-175090 호에 기초하고 또한 이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일본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되었다.
본원은 또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또는 FFC (Flexible Flat Cable) 등의 플레이트형 연결 대상과 다른 연결 대상간을 연결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빔 (531) 과 고정 빔 (532) 을 각각 구비한 접촉자 (530), 상기 고정 빔 (532) 이 고정되는 절연 하우징 (510), 및 상기 접촉자 (530) 의 가동 빔 (531) 과 고정 빔 (532) 사이의 개재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샤프트 부재 (525) 를 구비한 액츄에이터 (520)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00) 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JP-A-2010-225448 참조).
액츄에이터 (520) 는, 기판 삽입시에 기판 (T1) 에 의해 밀리도록 되어 있는 안내 잠금부 (522) 와, 가동 빔 (531) 의 전방 단부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개방 결합부 (526) 를 구비한다. 가동 빔 (531) 각각은 기판 (T1) 과의 접촉점으로서 사용되는 단자 접촉 볼록부 (531a) 를 구비한다.
상기 선행의 전기 커넥터 (500) 는, 기판 삽입시, 액츄에이터 (520) 의 안내 잠금부 (522) 가 기판 (T1) 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밀려지고, 또한 그 후에, 액츄에이터 (520) 가 샤프트 부재 (525) 상에 피봇되어 개방 결합부 (526) 가 가동 빔 (531) 과 결합하여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선행의 전기 커넥터 (500) 에는, 개방 결합부 (526) 와 가동 빔 (531) 간의 결합에 의해 상이한 운동을 하는 액츄에이터 (520) 및 가동 빔 (531) 이 함께 연결되기 때문에, 제조 또는 조립 에러 등이 발생하면, 액츄에이터 (520) 및 가동 빔 (531) 의 운동은 진동을 받게 되고, 그럼으로써 정확한 연결 운동이 실패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선행의 전기 커넥터 (500) 에는, 액츄에이터 (520) 와 가동 빔 (531) 간의 결합부와 액츄에이터 (520) 의 피봇 지지부가 손상, 변형 또는 이탈 등의 파괴를 받게 되어, 연결 기구에서의 파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액츄에이터 (520) 와 가동 빔 (531) 간의 정확한 연결이 손상되면, 기판 (T1) 의 삽입시 상승되는 가동 빔 (531) 과 고정 빔 (532) 간의 거리가 변하게 되어, 전기 커넥터 (500) 및 기판 (T1) 간의 접촉 신뢰성을 손상하게 되거나 또는 접촉자 (530) 와 기판 (T1) 간의 미끄러짐으로 인해 기판 (T1) 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기판 삽입 및 분리시 기판 (T1) 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안내 잠금부 (522) 가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안내 잠금부가 기판 삽입 및 분리시 손상되거나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본원은 전술한 선행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으로, 즉 본원의 목적은, 연결 기능의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을 개선하고 기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작동 지점부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양태에 따라서,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기판을 사이에 끼우는 제 1 클리핑부와 제 2 클리핑부, 상기 제 1 클리핑부를 지지하는 제 1 빔부, 및 상기 제 2 클리핑부를 지지하는 제 2 빔부를 구비하는 접촉자; 상기 접촉자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빔부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금속제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기판 삽입시 이 기판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기판 삽입시 이 기판에 의해 밀려지는 작동 지점부 (가압부) 를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기판의 끼움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와 기판에 대한 기판 삽입 방향 사이의 각은, 잠금부에 의해 기판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기판 삽입 방향으로의 후방측 쪽으로 기판을 당김으로써, 액츄에이터 및 금속제 잠금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기판을 분리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액츄에이터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금속제 잠금 부재의 기판 삽입 방향으로의 후방측상의 단부를 제 2 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판 삽입 방향으로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되접음으로써 형성되는 되접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기판의 교합 (mating) 접지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는 접지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2 기판에 연결시키는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자는 제 1 빔부와 제 2 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접촉자가 제공될 수 있고, 이 접촉자는 기판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병렬로 배열된다.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제 1 빔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2 빔부, 상기 제 1 빔부와 제 2 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기판의 교합 접지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는 접지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 1 빔부, 상기 제 2 빔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접지 접촉부는 서로 일체화된다.
본원에 의하여, 기판의 삽입 및 접촉자의 클리핑부들간의 거리 증가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 기구로서, 기판 삽입시의 기판에 의해 밀려지는 작동 지점부를 구비한 잠금 부재, 액츄에이터, 및 접촉자의 제 1 빔부가 함께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기구의 파괴로 인해 기판 커넥터의 작동 파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잠금 부재, 액츄에이터, 및 접촉자의 제 1 빔부가 함께 고정되기 때문에, 잠금 부재, 액츄에이터, 및 제 1 빔부간의 정확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의 삽입에 의해 증가하는 클리핑부들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기판과 클리핑부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기판에 대한 손상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기판 커넥터 및 기판간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판 삽입시 기판에 의해 밀려지는 작동 지점부는 금속제 잠금 부재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판 삽입시 작동 지점부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하여 기판 커넥터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동 지점부가 잠금 부재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재료, 형상 등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판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기판이 기판 커넥터안으로 삽입 또는 이로부터 분리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절취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제 1 기판이 기판 커넥터안으로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절취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기판 커넥터를 제조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접촉자 및 잠금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제 1 기판이 기판 커넥터안으로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판 커넥터 중, 잠금 부재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기판이 기판 커넥터안으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기판 커넥터 중, 접촉자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제 1 기판이 기판 커넥터안으로 삽입 또는 이로부터 분리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판 커넥터 중, 접촉자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1 기판이 기판 커넥터안으로 가장 깊게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판 커넥터 중, 접촉자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잠금 부재의 변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선행의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판 커넥터 (100) 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커넥터 (100) 는, 외부에서 기판 커넥터 (100) 안으로 삽입되는 제 1 기판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T1) 과, 기판 커넥터 (100) 가 위에 장착되는 제 2 기판 (인쇄 기판) (T2) 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도 1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커넥터 (100) 는 하우징 (110), 액츄에이터 (120), 다수의 접촉자 (130), 및 한 쌍의 잠금 부재 (140) 를 포함한다. 하우징 (110) 과 액츄에이터 (120) 는 절연 수지로 형성되는 반면, 접촉자 (130) 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다. 잠금 부재 (140) 는 고강도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제 2 빔부 (132) 가 하우징 (110) 내에 매설된 상태에서, 접촉자 (130) 의 제 2 빔부 (132) 에 일체로 고정된다.
도 1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10) 은 기판 수용부 (111), 기판 배치면 (112), 한 쌍의 작동 지점부 수용부 (113), 한 쌍의 운동 조절부 (114), 및 다수의 하우징 구멍부 (115) 를 구비한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수용부 (111) 는, 하우징 (110) 및 액츄에이터 (120) 에 의해 함께 형성되어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안으로 삽입할 시 제 1 기판 (T1) 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공간이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배치면 (112) 은, 하우징 (110) 의 바닥 플레이트 중, 액츄에이터 (120) 측에 대향하는 상부면이고, 또한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에 삽입할 시 제 1 기판 (T1) 용 배치면으로서 사용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지점부 수용부 (113) 각각은, 그 내부에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일부, 잠금 부재 (140) 의 잠금부 (142) 일부, 및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우징 (110) 의 바닥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조절부 (114) 는, 하우징 (110) 중 기판 삽입 방향 (X) 에 수직한 접촉자 배열 방향 (Y) 으로의 양 측벽에 형성되고, 또한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으로부터 액츄에이터 (120) 의 돌출부 (123) 에 각각 대향한다. 기판 커넥터 (100) 의 제조시 접촉자 (130) 를 구부릴 때, 운동 조절부 (114) 는, 액츄에이터 (120) 및 이 액츄에이터 (120) 의 돌출부 (123) 와 상호 작용하는 하우징 (110) 간의 상대 위치조정용 마크로서 사용된다. 게다가, 기판 커넥터 (100) 를 제조한 후에, 제 1 기판 (T1) 이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분리될 때 제 1 기판 (T1) 이 액츄에이터 (120) 및 잠금 부재 (140) 에 의해 걸리더라도, 운동 조절부 (114) 는 액츄에이터 (120) 의 돌출부 (123) 와 결합하여, 액츄에이터 (120) 가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액츄에이터 (120) 의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접촉자 (130) 의 변형을 방지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구멍부 (115) 는, 하우징 (110) 및 제 2 빔부 (132) 가 함께 일체로 성형될 때, 몰드를 사용하여 제 2 빔부 (132) 의 운동을 방지함으로써 형성되는 구멍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120) 는 본체부 (121), 한 쌍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한 쌍의 돌출부 (123), 및 다수의 액츄에이터 구멍부 (124) 를 구비한다.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 (121) 는, 제 1 빔부 (131) 가 본체부 (121) 에 매설된 상태에서, 접촉자 (130) 의 제 1 빔부 (131) 에 일체로 고정된다. 본체부 (121) 는 하우징 (110) 또는 접촉자 (130) 등의 주변 부재(들) 에 의해 피봇 지지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는, 후방측 (X1) 상의 본체부 (121) 의 접촉자 배열 방향 (Y) 의 양측의 2 곳의 위치에서, 본체부 (121) 의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 각각 제공된다.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는 본체부 (121) 로부터 기판 배치면 (112) 측 쪽으로 돌출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 (140) 는 액츄에이터 (120) 에 일체로 고정되어,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를 보강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123) 는, 본체부 (121) 의 접촉자 배열 방향 (Y) 양측으로부터 접촉자 배열 방향 (Y) 외부로 돌출하고, 또한 기판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2) 으로부터 하우징 (110) 의 운동 조절부 (114) 와 각각 대향한다. 액츄에이터 (120) 의 돌출부 (123) 는,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1) 쪽으로의 운동이 하우징 (110) 의 운동 조절부 (114) 에 의해 조절되는 부분으로 사용되는 반면, 이러한 부분의 특별한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구멍부 (124) 는, 액츄에이터 (120) 및 제 1 빔부 (131) 가 함께 일체로 성형될 때, 몰드를 사용하여 제 1 빔부 (131) 의 운동을 방지함으로써 형성되는 구멍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 (130) 각각은 통상적으로 폐쇄형으로 되고, 즉 제 1 클리핑부 (131a) 및 제 2 클리핑부 (132a) 사이의 거리가 제 1 기판 (T1) 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 (130) 각각은 제 1 빔부 (131), 제 2 빔부 (132), 및 연결부 (133) 를 구비하고, 이들은 일체이며 또한 서로 연속적이다.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빔부 (131) 는 대부분이 액츄에이터 (120) 의 본체부 (121) 에 매설되고 또한 이 본체부 (121) 에 일체로 고정된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빔부 (131) 는 기판 수용부 (111) 에 노출되는 제 1 클리핑부 (131a) 를 구비한다.
제 1 클리핑부 (131a) 는 제 1 기판 (T1) 의 표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하나의 패드 (T1b) 와 함께 접촉점으로서 사용된다.
제 1 클리핑부 (131a) 는 제 2 클리핑부 (132a) 에 대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클리핑부 (131a) 및 제 2 클리핑부 (132a) 는 서로 대향하고, 즉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제 1 클리핑부 (131a) 의 위치와 제 2 클리핑부 (132a) 의 위치는 서로 일치한다. 대안으로,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제 1 클리핑부 (131a) 의 위치와 제 2 클리핑부 (132a) 의 위치는, 서로 오프셋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빔부 (132) 는 대부분이 하우징 (110) 에 매설되고 또한 이 하우징 (110) 에 일체로 고정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빔부 (132) 는, 기판 수용부 (111) 에 노출되는 제 2 클리핑부 (132a), 이 제 2 클리핑부 (132a) 보다 기판 삽입 방향 (X) 의 전방측 (X2) 에 더 형성되어 제 2 기판 (T2) 에 납땜되는 제 1 단자부 (132b), 및 이 제 2 클리핑부 (132a) 보다 기판 삽입 방향 (X) 의 후방측 (X1) 에 더 형성되어 제 2 기판 (T2) 에 납땜되는 제 2 단자부 (132c) 를 구비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133) 는 제 1 빔부 (131) 의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상의 일 단부와, 제 2 빔부 (132) 의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상의 일 단부 사이를 연결한다. 연결부 (133) 는, 제 1 클리핑부 (131a) 및 제 2 클리핑부 (132a) 가 서로 접근하도록, 제 1 빔부 (131) 및 제 2 빔부 (132) 를 편향시킨다. 즉, 연결부 (133) 는 제 1 클링핑부 (131a) 와 제 2 클리핑부 (132a) 간의 클리핑 힘을 생성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133) 와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사이의 거리는, 연결부 (133) 와 제 1 클리핑부 (131a) 사이의 거리보다 더 길게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기판 (T1) 에 필요한 삽입력을 감소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제 1 기판 (T1) 의 삽입시 제 1 기판 (T1) 과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간의 과도한 물리적 접촉을 방지하여, 제 1 기판 (T1) 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 (130) 의 연결부 (133) 는, 연결부 (133) 의 위치가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접촉자 배열 방향 (Y) 으로 또한 커넥터 두께 방향 (Z) 으로 서로 병렬로 배열되고, 그럼으로써, 제 1 기판 (T1) 의 삽입시 캔틸레버처럼 각각 이동가능한 제 1 빔부 (131) 의 루트부 (제 1 빔부 (131) 와 연결부 (133) 사이의 경계부) 는, 또한 루트부의 위치가 기판 삽입 방향 (X) 및 커넥터 두께 방향 (Z) 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접촉자 배열 방향 (Y) 으로 서로 병렬로 배열된다. 커넥터 두께 방향 (Z) 은 기판 삽입 방향 (X) 과 접촉자 배열 방향 (Y) 에 수직하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 (140) 는 액츄에이터 (120) 의 접촉자 배열 방향 (Y) 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또한 이 액츄에이터 (120) 에 일체로 고정된다. 잠금 부재 (140) 는 액츄에이터 (120) 에 고정되도록 이 액츄에이터 (120) 와 일체로 성형되는 반면, 특별한 고정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잠금 부재 (140) 는 접착 또는 끼움장착에 의해 액츄에이터 (120) 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 (140) 각각은 작동 지점부 (전방측 보강부) (141), 잠금부 (후방측 보강부) (142), 고정부 (143), 및 되접힘부 (144) 를 구비하고, 이들은 일체이며 또한 서로 연속적이다.
작동 지점부 (141) 는,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에 삽입할 시 이 제 1 기판 (T1) 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이 제 1 기판에 의해 밀려지는 위치에서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지점부 (141) 는 접촉자 (130) 의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보다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상에 더 배치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지점부 (141) 는,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에 경사면 (141a) 을 가지고, 이 경사면은, 기판 배치면 (112) 을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쪽으로 접근시키도록 경사진다. 상기 경사면 (141a) 을 형성함으로써, 액츄에이터 (120) 와 함께 잠금 부재 (140) 는 제 1 기판 (T1) 의 작은 삽입력에 의해 상방으로 용이하게 밀려질 수 있다.
잠금부 (142) 는,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분리할 시 이 제 1 기판 (T1) 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이 제 1 기판에 의해 밀려지는 위치에서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제 1 기판 (T1) 의 끼움장착 상태에서, 잠금부 (142) 는 제 1 기판 (T1) 의 끼움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기판 (T1) 과 결합한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 (142) 는 접촉자 (130) 의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보다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상에 더 배치된다.
고정부 (143) 는 잠금부 (142) 보다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상에 더 배치되고 또한 액츄에이터 (120) 에 고정되도록 매설된다.
되접힘부 (144) 는, 잠금 부재 (140) 중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상의, 일 단부를, 접촉자 (130) 의 제 2 빔부 (132)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에서부터 전방측 (X2) 쪽으로 되접음으로써 형성된다. 되접힘부 (144) 의 일 단부 (잠금 부재 (140) 중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상의 일 단부) 는 액츄에이터 (120) 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큰 처리 부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잠금 부재 (140) 의 단부에 의해 유발되는 조작자의 손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부 (142) 는, 이 잠금부 (142) (또한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금속제의 잠금 부재 (140)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잠금부 (142) 와 기판 삽입 방향 (X) 사이의 각 (α) (도 6 참조) 은, 제조시의 제한면에서, 잠금 부재 (140) 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예각에 더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제 1 기판 (T1) 이 기판 커넥터 (100) 내에 삽입되는 상태에서, 제 1 기판 (T1) 의 분리 방향으로 잠금부 (142) 에 의해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충격 등으로 인해 제 1 기판 (T1) 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잠금부 (142) 의 잠금력을 유지하면서 조작자가 제 1 기판을 강하게 당길 때, 제 1 기판 (T1) 이 분리되도록, 상기 각 (α) 은 대략 95 도로 설정된다. 하지만, 상기 각 (α) 은 설계에 따라서 대략 80 ~ 120 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잠금 부재 (140) 는 전기 차폐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차폐 기능을 가진 변형예로서 잠금 부재 (140') 에 대해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 (140') 는 액츄에이터 (120) 에 일체로 고정된 제 1 빔부 (140a'), 하우징 (110) 에 일체로 고정된 제 2 빔부 (140b'), 상기 제 1 및 제 2 빔부 (140a', 140b')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140c'), 작동 지점부 (141), 잠금부 (142), 고정될 부분 (143), 되접힘부 (144), 접지 접촉부 (145), 및 제 2 기판 (T2) 에 연결되는 단자부 (146) 를 구비하고, 이들은 일체이고 또한 서로 연속적이다.
잠금 부재 (140') 의 제 1 빔부 (140a'), 제 2 빔부 (140b'), 및 연결부 (140c') 는 기본적으로 접촉자 (130) 의 제 1 빔부 (131), 제 2 빔부 (132), 및 연결부 (133) 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부재 (140') 의 제 1 빔부 (140a') 에 형성되는 작동 지점부 (141), 잠금부 (142), 고정될 부분 (143), 및 되접힘부 (144) 는,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잠금부 (142), 고정부 (143), 및 되접힘부 (144) 와 각각 동일하게 구성된다.
접지 접촉부 (145) 는 제 1 빔부 (140a') 내에 형성되고 또한 제 1 기판 (T1) 의 교합 접지 접촉부 (비도시) 와 접촉하게 된다.
단자부 (146) 는 제 2 빔부 (140b') 내에 형성되어 제 2 기판 (T2) 에 연결된다.
고정될 부분 (147) 은 제 2 빔부 (140b') 내에 형성되어 하우징 (110) 에 고정된다.
도 10 에 도시된 잠금 부재 (140') 는 기판 커넥터 (100) 를 제조하는 도중의 상태이다. 기판 커넥터 (100) 의 제조시, 고정될 부분 (143) 은 액츄에이터 (120) 에 고정되고, 고정될 부분 (147) 은 하우징 (110) 에 고정되며, 그 후 잠금 부재 (140') 는 접촉자 (130) 처럼 굽어진다. 기판 커넥터 (100) 의 제조시 잠금 부재 (140') 의 처리는, 후술될 접촉자 (130) 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은 제 1 기판 (T1) 중 접촉자 배열 방향 (Y) 으로의 양측상의 2 곳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작동 지점부 수용부 (T1a) 를 구비하고, 이 작동 지점부 수용부 각각은, 그 내부에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일부, 잠금 부재 (140) 의 잠금부 (142) 일부, 및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일부를 수용하며, 또한 접촉자 (130) 의 제 1 클리핑부 (131a) 에 연결되는 패드 (T1b) 를 각각 더 구비한다.
패드 (T1b) 및 전도체 패턴은 제 1 기판 (T1) 중 제 1 클리핑부 (131a) 에 대향하는 표면상에만 형성되는 반면, 패드 및 전도체 패턴은 제 1 기판 (T1) 의 후면측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클리핑부 (132a) 는 또한 제 1 기판 (T1) 과의 접촉점으로서 사용된다.
기판 커넥터 (100) 의 유지부 (비도시) 는 제 2 기판 (T2) 에 납땜될 수 있다.
상기 유지부에 의해, 하우징 (110) 및 제 2 기판 (T2) 은 함께 보다 단단히 고정된다.
이하, 기판 커넥터 (100)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 (133) 를 가진 접촉자 (130) 는 굽혀지지 않고, 잠금 부재 (140) 는 서로 병렬로 준비되고 배열된다.
그 후, 접촉자 (130) 및 잠금 부재 (140) 가 몰드에 배치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이 삽입 성형되어, 액츄에이터 (120), 접촉자 (130) 의 제 1 빔부 (131), 및 잠금 부재 (140) 는 일체로 함께 성형되고, 하우징 (110) 및 접촉자 (130) 의 제 2 빔부 (132) 는 일체로 함께 성형된다.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을 성형할 때, 제 1 빔부 (131) 의 운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액츄에이터 구멍부 (124) 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120) 내에 형성되는 반면, 제 2 빔부 (132) 의 운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하우징 구멍부 (115) 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110) 내에 형성된다.
그 후, 마지막으로, 접촉자 (130) 는 연결부 (133) 각각에서 굽혀진다.
상기 경우에, 하우징 (110) 의 운동 조절부 (114) 및 액츄에이터 (120) 의 돌출부 (123) 는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간의 상대 위치조정을 위한 마크로서 사용되고, 돌출부 (123) 가 운동 조절부 (114) 의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상에 위치되도록 접촉자 (130) 가 굽혀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자 (130) 의 정확한 굽힘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액츄에이터 (120) 와 일체인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및 잠금부 (142) 와, 하우징 (110) 의 작동 지점부 수용부 (113) 는 또한 접촉자 (130) 를 굽힐 시에 마크로서 사용된다.
이하,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에 부착하는 방법 및 제 1 기판 (T1) 을 부착할 시에 구성품 각각의 작동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는 제 1 기판 (T1) 을 하우징 (110) 및 액츄에이터 (120) 사이에서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에서부터 전방측 (X2) 쪽으로 삽입한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부재 (140) 각각의 작동 지점부 (141) 가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쪽 기판 배치면 (112) 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경사면 (141a)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120) 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의해 잠금 부재 (140) 를 통하여 기판 배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방으로 밀려진다.
이러한 경우에,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120) 와 일체인 제 1 빔부 (131) 는 기판 배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120) 와 함께 상방으로 밀려진다. 이 경우에, 연결부 (133) 는 탄성 변위되어, 제 1 빔부 (131) 는 캔틸레버처럼 각각 이동된다.
그 결과,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사이의 거리는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더 커지도록 증가된다.
그 후, 조작자에 의해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쪽으로 추가로 밀려지는 제 1 기판 (T1) 은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사이에 들어간다.
그러면, 제 1 기판 (T1) 은 조작자에 의해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전방측 (X2) 쪽으로 추가로 밀려지고,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판 (T1) 의 작동 지점부 수용부 (T1a) 각각의 위치는,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와 잠금부 (142) 의 위치와,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의 위치와 일치한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와 잠금부 (142) 및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는 제 1 기판 (T1) 에 의한 지지를 손실하기 때문에, 연결부 (133) 는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액츄에이터 (120) 가 기판 배치면 (112) 측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 (130) 각각의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사이의 거리는, 통상의 거리로 복귀하려고 하고, 즉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작게 되려고 한다.
따라서, 접촉자 (130) 의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는 그 사이의 제 1 기판 (T1) 을 클립하여, 제 1 클리핑부 (131a) 와 제 1 기판 (T1) 의 패드 (T1b) 사이의 연결이 형성된다.
동시에, 잠금 부재 (140) 의 작동 지점부 (141) 일부, 잠금 부재 (140) 의 잠금부 (142) 일부, 및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일부는 제 1 기판 (T1) 의 작동 지점부 수용부 (T1a) 각각에 수용된다.
그 결과, 제 1 기판 (T1) 은 기판 커넥터 (100) 에 대하여 위치되고 또한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제 1 기판 (T1) 이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쪽으로 당기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제 1 기판 (T1) 의 분리시 기판 커넥터 (100) 의 구성품 각각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조작자가 제 1 기판 (T1) 을 기판 커넥터 (100) 로부터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쪽으로 강하게 당기기 시작하면, 우선, 제 1 기판 (T1) 의 작동 지점부 수용부 (T1a) 의 가장자리부는, 잠금 부재 (140) 의 잠금부 (142) 를 통하여,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 지점부 일체부 (122) 를 밀어서, 액츄에이터 (120) 는 기판 배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방으로 밀려진다.
이러한 경우에,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120) 와 일체인 제 1 빔부 (131) 는 기판 배치면 (112)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액츄에이터 (120) 와 함께 상방으로 밀려진다. 이 경우에, 연결부 (133) 는 탄성 변위되어, 제 1 빔부 (131) 는 캔틸레버처럼 각각 이동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사이의 거리는 제 1 기판 (T1) 의 두께보다 더 크도록 증가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제 1 기판 (T1) 을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사이로부터 용이하게 당길 수 있다.
제 1 기판 (T1) 을 당길 시에 이 제 1 기판 (T1) 이 잠금 부재 (140) 와 결합 (걸림) 되더라도, 돌출부 (123) 는 운동 조절부 (114) 와 결합하여 액츄에이터 (120) 가 제 1 기판 (T1) 과 함께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액츄에이터 (120) 의 운동에 의해 유발되는 접촉자 (130) 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얻어지는 기판 커넥터 (100) 가 이 기판 커넥터 (100) 안으로 삽입된 제 1 기판 (T1) 을 사용하여 접촉자 (130) 의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 1 기판 (T1) 의 삽입 작동과는 별도로 액츄에이터 (120) 의 작동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하여, 제 1 기판 (T1) 을 삽입하는 단일 작동에 의해 제 1 기판 (T1) 의 부착 작동 및 그리하여 제 1 기판 (T1) 의 부착 작동에 대한 작동 부하를 매우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간의 거리가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의해 어떠한 필요한 양만큼 자동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제 1 기판 (T1) 이 공차 범위보다 더 두껍게 제조되더라도, 제 1 기판 (T1) 과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간의 과도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제 1 기판 (T1) 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120) 를 수동으로 작동시키지 않고서도 제 1 기판 (T1) 을 삽입함으로써 기판 커넥터 (100) 가 액츄에이터 (120) 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제 1 기판 (T1) 의 삽입시에 액츄에이터 (120) 의 운동량은,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사이에 제 1 기판 (T1) 을 삽입시킬 정도로 제한되고, 액츄에이터 (120) 의 수동 작동의 경우에서와 같이 과도한 힘이 액츄에이터 (120) 등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액츄에이터 (120) 등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액츄에이터 (120) 의 수동 작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판 커넥터 (100) 가 작게 구성되더라도, 통상적인 조작자의 손가락으로 액츄에이터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어려운 상황을 방지하여, 제 1 기판 (T1) 의 부착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 (140), 액츄에이터 (120), 및 제 1 빔부 (131) 는 함께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제 1 기판 (T1) 의 삽입시 잠금 부재 (140) 의 운동, 액츄에이터 (120) 의 운동, 및 제 1 빔부 (131) 의 운동은, 서로 완전히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제 1 기판 (T1) 의 삽입시 액츄에이터 (120) 및 제 1 빔부 (131)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하여 미끄러짐으로 인한 마멸 분말의 생성을 방지하여, 접촉자 (130) 및 제 1 기판 (T1) 에 대한 마멸 분말의 접착을 방지하고, 그럼으로써 기판 커넥터 (100) 의 접촉 신뢰성을 보장해준다.
더욱이, 제 1 기판 (T1) 의 삽입 및 분리 시에 이 제 1 기판 (T1) 에 의해 밀려지는 작동 지점부 (141) 및 잠금부 (142) 는 금속제 잠금 부재 (140)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기판 (T1) 의 삽입 및 분리 시에 작동 지점부 (141) 및 잠금부 (142) 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하여 기판 커넥터 (100) 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잠금부 (142) 가 금속제 잠금 부재 (140)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기판 (T1) 의 분리 시에 액츄에이터 (120) 를 상승시키도록, 기판 삽입 방향 (X) 으로의 후방측 (X1) 쪽으로 제 1 기판 (T1) 을 강하게 당김으로써, 액츄에이터 (120) 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잠금 부재 (140) 에 의해 제 1 기판 (T1) 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제 1 기판 (T1) 을 당기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제 1 기판 (T1) 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 (142) 가 금속제 잠금 부재 (140)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120) 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면서, 제 1 기판 (T1) 을 분리할 시에 제 1 기판 (T1) 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잠금부 (142) 와 기판 삽입 방향 (X) 간의 각 (α) 은 잠금 부재 (140) 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예각에 더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액츄에이터 (120) 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제 1 기판 (T1) 용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작동 지점부 (141) 및 잠금부 (142) 가 금속제 잠금 부재 (140)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120) 의 재료, 형상 등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잠금 부재 (140), 액츄에이터 (120), 및 접촉자 (130) 는 일체로 함께 성형되고, 하우징 (110) 및 접촉자 (130) 는 일체로 함께 성형된다.
따라서, 접촉자 (130) 를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에 부착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잠금 부재 (140), 접촉자 (130),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은 단일의 부재로서 취급될 수 있으므로, 제조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 (140), 액츄에이터 (120) 및 접촉자 (130) 간의 분리 또한 하우징 (110) 과 접촉자 (130)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간의 클리핑 힘은 금속 재료를 굽힘으로써 형성되는 연결부 (133) 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접촉자 (130) 의 구조는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 (120) 및 하우징 (110) 이 접촉자 (130) 와 일체로 성형된 후에 기판 커넥터 (100) 는 접촉자 (130) 를 단지 구부림으로써 제조될 수 있어서, 기판 커넥터 (100) 의 제조 부하가 매우 저감될 수 있다.
제 1 기판 (T1) 의 삽입 및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간의 거리 증가로 인해, 잠금 부재 (140) 들의 밀림 운동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 기구로서, 제 1 기판 (T1), 액츄에이터 (120), 및 접촉자 (130) 의 제 1 빔부 (131) 에 의해 밀려지는 작동 지점부 (141) 를 각각 구비한 잠금 부재 (140) 가 함께 일체화된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기구의 파괴로 인해 기판 커넥터 (100) 의 작동 파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잠금 부재 (140), 액츄에이터 (120), 및 접촉자 (130) 의 제 1 빔부 (131) 가 함께 일체로 고정되기 때문에, 잠금 부재 (140), 액츄에이터 (120), 및 제 1 빔부 (131) 간의 정확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판 (T1) 의 삽입에 의해 증가하는,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간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리하여 제 1 기판 (T1) 과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제 1 기판 (T1) 에 대한 손상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110) 및 제 1 기판 (T1) 각각은, 그 내부에 잠금 부재 (140) 를 수용하기 위한 작동 지점부 수용부 (113, T1a) 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전체 기판 커넥터 (100) 의 두께는 줄어들 수 있고, 제 1 기판 (T1) 이 기판 커넥터 (100) 에 대하여 위치되어 기판 커넥터 (100) 의 분리를 방지하기 때문에, 제 1 기판 (T1) 의 패드 (T1b) 및 접촉자 (130) 의 제 1 클리핑부 (131a) 간의 연결을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다.
연결부 (133) 는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131a, 132a) 가 서로 접근하도록 제 1 및 제 2 빔부 (131, 132) 를 편향시키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120) 가 제 1 기판 (T1) 을 부착하기 전후에 하우징 (110) 에 대하여 상승되도록 예상치못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판이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임을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FFC (Flexible Flat Cable) 등의 어떠한 플레이트 형상의 연결 대상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촉자 각각의 제 1 클리핑부가 제 1 기판과 함께 접촉점으로서 사용됨을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대안으로 제 2 클리핑부는 제 1 기판과 함께 접촉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및 제 2 클리핑부 둘 다는 제 1 기판과 함께 접촉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제 1 및 제 2 클리핑부와는 별도로, 제 1 기판과 함께 접촉점은 제 1 및 제 2 빔부 중 적어도 하나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가 하우징 또는 접촉자 등의 주변 부재(들)에 의해 피봇되도록 지지되지 않음을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하지만, 액츄에이터는 하우징 또는 접촉자 등의 주변 부재(들)에 의해 피봇되도록 지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츄에이터의 원활한 가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 1 기판 삽입시 캔틸레버처럼 각각 이동가능한 제 1 빔부의 루트부의 위치와, 액츄에이터의 피봇 축선의 위치는 서로 조절되어, 특히 상기 위치는 기판 삽입 방향 (X) 및 커넥터 두께 방향 (Z) 으로 서로 일치하거나 또는 서로 근접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접촉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상이한 형상을 가진 다수의 접촉자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츄에이터 및 접촉자의 제 1 빔부가 함께 일체로 고정되더라도 액츄에이터의 원활한 가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 1 기판 삽입시 캔틸레버처럼 각각 이동가능한 제 1 빔부의 루트부의 위치 (제 1 빔부와 연결부 사이의 경계부 근방) 가 기판 삽입 방향 (X) 및 커넥터 두께 방향 (Z) 으로 서로 일치하거나 또는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접촉자는 접촉자 배열 방향 (Y) 으로 서로 병렬로 배열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액츄에이터 및 제 1 빔부를 함께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액츄에이터 및 제 1 빔부가 함께 일체로 고정된다. 하지만, 특별한 고정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 및 제 1 빔부를 함께 접착함으로써 또는 액츄에이터 및 제 1 빔부를 함께 끼움장착 (예를 들어 압입) 함으로써, 액츄에이터 및 제 1 빔부가 함께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및 제 2 빔부를 함께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하우징 및 제 2 빔부가 함께 일체로 고정된다. 하지만, 특별한 고정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우징 및 제 2 빔부를 함께 접착함으로써 또는 하우징 및 제 2 빔부를 함께 끼움장착 (예를 들어, 압입) 함으로써, 하우징 및 제 2 빔부가 함께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기판 커넥터로서,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기판을 사이에 끼우는 제 1 클리핑부와 제 2 클리핑부, 상기 제 1 클리핑부를 지지하는 제 1 빔부, 및 상기 제 2 클리핑부를 지지하는 제 2 빔부를 구비하는 접촉자,
    상기 접촉자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빔부에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금속제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기판 삽입시 이 기판과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기판 삽입시 이 기판에 의해 밀려지는 작동 지점부를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기판의 끼움장착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와 기판에 대한 기판 삽입 방향 사이의 각은, 잠금부에 의해 기판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기판 삽입 방향으로의 후방측 쪽으로 기판을 당김으로써, 액츄에이터 및 금속제 잠금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기판을 분리시키도록 설정되는, 기판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액츄에이터와 일체로 성형되는, 기판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금속제 잠금 부재의 기판 삽입 방향으로의 후방측상의 단부를 제 2 빔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판 삽입 방향으로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되접음으로써 형성되는 되접힘부를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기판의 교합 접지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는 접지 접촉부를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2 기판에 연결시키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제 1 빔부와 제 2 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접촉자가 제공되고, 이 접촉자는 기판 삽입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병렬로 배열되는, 기판 커넥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잠금 부재는, 액츄에이터에 고정되는 제 1 빔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2 빔부, 상기 제 1 빔부와 제 2 빔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기판의 교합 접지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는 접지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빔부, 상기 제 2 빔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접지 접촉부는 서로 일체화되는, 기판 커넥터.
KR1020120076735A 2011-08-10 2012-07-13 기판 커넥터 KR101442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5090 2011-08-10
JP2011175090A JP5813411B2 (ja) 2011-08-10 2011-08-10 基板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114A true KR20130018114A (ko) 2013-02-20
KR101442906B1 KR101442906B1 (ko) 2014-09-23

Family

ID=4764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735A KR101442906B1 (ko) 2011-08-10 2012-07-13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62916B2 (ko)
JP (1) JP5813411B2 (ko)
KR (1) KR101442906B1 (ko)
CN (1) CN1029315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48U (ko) * 2020-06-11 2021-12-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623B1 (ko) * 2012-01-30 201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케이블, 케이블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신호케이블 연결장치
US8956171B2 (en) * 2013-07-05 2015-02-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039511B2 (ja) 2013-07-17 2016-12-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81308B2 (ja) * 2013-07-24 2017-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511169B (zh) * 2014-01-15 2015-12-01 Wistron Corp 軟排線、電連接器及其組合
US9197022B2 (en) * 2014-02-12 2015-11-2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265861B2 (ja) * 2014-07-29 2018-01-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6407070B2 (ja) * 2015-03-13 2018-10-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588271B2 (ja) *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88272B2 (ja) 2015-08-24 2019-10-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DE102016217667B4 (de) * 2016-09-15 2020-04-0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Kontakt mit Wälzkontaktkörpern an sich gegenüberliegenden Seiten sowie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Kontakt
JP7134934B2 (ja) * 2019-10-08 2022-09-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導電部材を保持する保持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JP7386147B2 (ja) * 2020-11-06 2023-11-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957A (en) * 1973-08-27 1975-01-07 Amp Inc Electrical connecting members requiring lower insertion and retraction forces and providing for low contact wear
US4179176A (en) * 1978-05-24 1979-12-18 Gte Sylvania Incorporated Circuit board connector
JPH0729773U (ja) * 1993-10-27 1995-06-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接続されるfpc
DE19531208A1 (de) * 1995-08-24 1997-02-27 Gore W L & Ass Gmbh Bandkabel-Steckverbindungsanordnung
US6431897B1 (en) * 1999-10-06 2002-08-13 Japan Aviation Electroncis Industry Limited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JP3710718B2 (ja) 2001-03-12 2005-10-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4039479A (ja) 2002-07-04 2004-02-0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装置
JP2006236657A (ja) * 2005-02-23 2006-09-07 Nec Corp コネクタ装置
JP4766421B2 (ja) 2005-06-14 2011-09-07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4240495B2 (ja) 2005-09-20 2009-03-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99272B2 (ja)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99271B2 (ja)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252692A (ja) * 2008-04-10 2009-10-29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837711B2 (ja) 2008-09-02 2011-12-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15352B2 (ja) * 2009-03-24 2014-06-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0267411A (ja) * 2009-05-12 2010-11-2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978871B2 (ja) * 2009-11-18 2012-07-18 Smk株式会社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4704505B1 (ja) 2010-03-30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4859261B1 (ja) * 2010-10-20 2012-01-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48U (ko) * 2020-06-11 2021-12-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31536A (zh) 2013-02-13
CN102931536B (zh) 2015-08-05
US20130040477A1 (en) 2013-02-14
JP2013038004A (ja) 2013-02-21
US8662916B2 (en) 2014-03-04
KR101442906B1 (ko) 2014-09-23
JP5813411B2 (ja)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8114A (ko) 기판 커넥터
KR101442907B1 (ko) 기판 커넥터
KR101202637B1 (ko) 콘택트의 비임부와 일체인 액츄에이터가 제공된 기판 커넥터
US1115896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4969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JP6925883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5510433B2 (ja) 電気コネクタ
KR20110084924A (ko) 보드간 컨넥터
EP1798824A1 (en) Connector
US10622763B2 (en) Connector
JP5915142B2 (ja) 電気コネクタ
JP5181399B2 (ja)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00263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JP4748674B2 (ja) コネクタ
JP2013235844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20180076543A1 (en) Connector
KR101235416B1 (ko) 커넥터 장치
US20070042629A1 (en) Latch for connector
JP5074164B2 (ja) コネクタ
JP5411305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CN115021026A (zh) 一种线缆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