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8110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8110A
KR20130018110A KR1020120072762A KR20120072762A KR20130018110A KR 20130018110 A KR20130018110 A KR 20130018110A KR 1020120072762 A KR1020120072762 A KR 1020120072762A KR 20120072762 A KR20120072762 A KR 20120072762A KR 20130018110 A KR20130018110 A KR 2013001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nveying
conveyor
section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733B1 (ko
Inventor
유이치 모리모토
다케시 쥬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3001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보관부의 설치 개소(箇所)에 제한을 받지 않고, 물품 보관부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여 입고 작업과 출고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경우에 그 작업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한다. 제1 교환 위치 J1과 물품 보관부(6)의 내부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반송(搬送)하는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교환 위치 J2와 물품 보관부(6)의 내부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구비되고, 물품 반송차(2)는,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파지부(4)의 승강을 행하여 제1 교환 위치 J1 및 제2 교환 위치 J2 중 한쪽과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 가능하며, 또한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파지부(4)의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여 제1 교환 위치 J1 및 제2 교환 위치 J2 중 다른 쪽과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며,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한쪽이 입고부(7)로서 구성되며, 다른 쪽이 출고부(8)로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천정측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搬送車)와, 그 물품 반송차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수납 가능한 복수 개의 수납부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물품 보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 보관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주행 레일의 측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반송차로부터 수취하기 위한 입고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고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반송차에 건네기 위한 출고부를 가지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예를 들면,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를 경유하는 상태로 천정측에 주행 레일이 구비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에는, 물품을 파지(把持)하는 파지부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가 천정측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주행하여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고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의 일시적인 보관 등을 위해, 수납부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상태로 구비된 물품 보관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 물품 보관부에는, 물품 반송차로부터 수납부에 수납하는 물품을 수취하는 입고부와,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을 물품 반송차에 건네는 출고부가 구비되고, 이 입고부 및 출고부에 의해 물품 반송차와 물품 보관부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로서, 물품 보관부의 외부이며 주행 레일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교환 위치와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내부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 가능한 반송 컨베이어가 2개 구비되고, 이들 2개의 반송 컨베이어가 입고부 및 출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물품 반송차가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주행 레일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반송 컨베이어 상의 교환 위치에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와 반송 컨베이어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을 반송 컨베이어의 교환 위치에서 행한다. 그리고, 반송 컨베이어는, 주행 레일의 주행 방향에 있어서 배열된 상태로 2개 구비되고, 한쪽의 반송 컨베이어가, 그 교환 위치에서 물품 반송차로부터 물품을 수취하는 입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로서 구비되고, 다른 쪽의 반송 컨베이어가, 그 교환 위치에서 물품 반송차에 물품을 건네는 출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로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반송 컨베이어를 설치하지 않고, 물품 보관부의 수납부를 입고부 및 출고부로서 이용하고 있는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물품 반송차가, 파지부를 승강 가능하게 구비할뿐아니라, 그 파지부를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물품 반송차는,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주행 레일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이송탑재 개소(箇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와 함께, 파지부를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주행 레일의 측부(side)에 위치하는 이송탑재 개소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주행 레일의 측부 등, 주행 레일에 근접하는 개소에 배치되는 물품 보관부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부가 출고부(또는 입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보관부의 최상부보다 1개 하방측에 위치하는 수납부가, 물품 보관부의 외부로서 주행 레일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교환 위치와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수납 위치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물품 보관부의 최상부보다 1개 하방측에 위치하는 수납부가 입고부(또는 출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물품 반송차는,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물품 보관부의 최상부보다 1개 하방측에 위치하는 입고부로서의 수납부에 물품을 이송탑재하고, 파지부를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물품 보관부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출고부로서의 수납부에 물품을 이송탑재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1025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9―173396호 공보
물품 반송차와 물품 보관부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 작업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가, 입고부에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입고 작업과 출고부로부터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출고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먼저, 물품 반송차가 입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입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의 교환 위치에 물품을 이송탑재하여 입고 작업을 행한다. 다음에, 물품 반송차가 출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출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의 교환 위치로부터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출고 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입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와 출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가 주행 레일의 주행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물품 반송차가 입고 작업을 행한 후, 물품 반송차가 출고부용의 반송 컨베이어에 대응하는 정지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이동에 요하는 시간이 걸리는 것에 의해, 반송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물품 보관부의 수납부를 입고부 및 출고부로서 이용하고 있고, 입고부로서의 수납부와 출고부로서의 수납부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물품 반송차가 입고부로서의 수납부에 대하여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위치와 출고부로서의 수납부에 대하여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위치가 주행 레일의 주행 방향에서 동일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가 입고 작업을 행한 후, 물품 반송차가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반송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물품 보관부의 수납부를 출고부(입고부)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물품 보관부의 설치 개소가 주행 레일의 측부 등의 주행 레일에 근접하는 개소에 제한되게 된다. 즉,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파지부를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출고부(입고부)로서의 물품 보관부의 수납부에 대하여 물품의 이송탑재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물품 보관부의 설치 개소로서는,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레일로부터 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에 의해, 주행 레일로부터 이격(離隔)된 위치에 물품 보관부를 설치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물품 보관부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부 및 그 최상부보다 1개 하방측에 위치하는 수납부를, 입고부 및 출고부로서 이용하고 있으므로, 입고부 및 출고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설치 위치가 물품 보관부의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입고부 및 출고부로서 이용하고 있는 수납부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입고부 및 출고부에 대하여,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물품 보관부의 설치 개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물품 보관부를 자유로운 개소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입고부에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입고 작업과 출고부로부터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출고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그 작업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여 반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천정측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와, 그 물품 반송차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수납 가능한 복수 개의 수납부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물품 보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 보관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주행 레일의 측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반송차로부터 수취하기 위한 입고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고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반송차에 건네기 위한 출고부를 가지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부의 외부의 제1 교환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제1 반송 컨베이어와, 그 제1 반송 컨베이어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 보관부의 외부이며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교환 위치보다 상기 물품 보관부에 가까운 위치인 제2 교환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승강 가능하게 또한 그 파지부를 상기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승강을 행하여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 중 한쪽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며, 또한 상기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여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 중 다른 쪽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 중 한쪽이 상기 입고부로서 구성되며, 다른 쪽이 상기 출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는, 주행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파지부의 승강을 행하여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교환 위치 및 제2 반송 컨베이어의 제2 교환 위치 중 한쪽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물품 반송차로부터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교환 위치로 물품을 이송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반송 컨베이어는, 그 물품을 제1 교환 위치로부터 물품 보관부의 내부로 반송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제1 반송 컨베이어를 입고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는, 주행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여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교환 위치 및 제2 반송 컨베이어의 제2 교환 위치 중 다른 쪽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제2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물품 보관부의 내부로부터 제2 교환 위치로 물품을 반송하여 둠으로써, 그 제2 교환 위치에서 제2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물품 반송차에 물품을 이송탑재할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제2 반송 컨베이어를 출고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반송 컨베이어를 입고부로 하고 또한 제2 반송 컨베이어를 출고부로 할 수 있을뿐만아니고, 반대로, 제1 반송 컨베이어를 출고부로 하고 또한 제2 반송 컨베이어를 입고부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제2 반송 컨베이어의 한쪽을 입고부로서 구성하고, 다른 쪽을 출고부로서 구성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물품 보관부를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주행 레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해도, 제1 교환 위치와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위치를 연결하도록 제1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또한 제2 교환 위치와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위치를 연결하도록 제2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보관부의 설치 개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물품 보관부를 자유로운 개소에 설치해도, 입고부 및 출고부로서의 제1 반송 컨베이어 및 제2 반송 컨베이어를 구비함으로써, 물품 반송차와 물품 보관부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즉, 이송탑재)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반송 컨베이어 및 제2 반송 컨베이어를 상하 방향에서의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는, 주행 레일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의 동일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교환 위치 및 제2 반송 컨베이어의 제2 교환 위치의 양자에 대하여 물품의 이송탑재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고부에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입고 작업과 출고부로부터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출고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경우에, 물품 반송차가 입고 작업을 행한 후, 물품 반송차가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그 작업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여 반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 중,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의 교환 위치가 상기 주행 레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한쪽이 상기 출고부로서 구성되며, 다른 쪽이 상기 입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교환 위치가 주행 레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제1 반송 컨베이어가 출고부로서 구성되며, 제2 반송 컨베이어가 입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출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가 파지부를 승강시키는 것만으로,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교환 위치에서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물품 보관부에는, 복수 개의 물품이 보관되어 있으므로, 그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연속적으로 출고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은, 파지부를 승강시키는 것만으로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그 출고 작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대의 물품 반송차에 의해 연속적으로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어,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물품 보관부는, 그 상단부가 상하 방향에서 상기 물품 반송차보다 상방측 또는 상기 물품 반송차와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품 보관부의 상단부가 상하 방향에서 물품 반송차보다 상방측 또는 물품 반송차와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납부를 보다 높은 위치까지 배치시킬 수 있어, 주행 레일의 옆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물품 보관부의 높이를 최대한 높게 하여 수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물품 보관부의 상하 방향에서 그 중간 부위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제2 반송 컨베이어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상태로, 물품 보관부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천정측으로부터의 거리가 크지 않은 위치에,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제2 반송 컨베이어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가 파지부를 승강시켜 물품의 이송탑재를 행할 때 요하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교환 위치 및 제2 반송 컨베이어의 제2 교환 위치에 대하여 물품 반송차가 물품의 이송탑재를 비교적 신속히 행할 수 있으면서, 그 제1 반송 컨베이어 및 제2 반송 컨베이어에 대하여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의 입고부 및 출고부에 대한 물품 이송탑재에 걸리는 시간의 장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유지보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는, 물품이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물품 보관부 내의 위치인 제1 반송 위치, 물품이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물품 보관부 내의 위치인 제2 반송 위치, 및 복수 개의 상기 수납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가, 제1 반송 컨베이어의 제1 반송 위치, 제2 반송 컨베이어의 제2 반송 위치, 및 복수 개의 수납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므로, 예를 들면, 제1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제1 반송 위치에 반송된 물품을 복수 개의 수납부 중 어느 하나에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을 제2 반송 위치로 인출하여 제2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제2 교환 위치로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반송 컨베이어를 입고부로 하고 또한 제2 반송 컨베이어를 출고부로 한 경우에, 제1 교환 위치에서 물품 반송차로부터 수취한 물품을 적절히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수납부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을 적절히 제2 교환 위치로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반송차 및 물품 보관부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물품 반송차 및 물품 보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물품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물품 반송차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차 및 물품 보관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차 및 물품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차 및 물품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이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측에 설치된 주행 레일(1)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물품 반송차(2)가, 바닥면 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도시하지 않음) 사이에서 물품(3)을 반송한다. 도 1은 주행 레일(1)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도 2 중 Y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주행 레일(1)의 가로 폭 방향에서 볼 때(도 1 중 X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용기를 물품(3)으로 하고 있고, 물품 처리부에 의해 각종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를 경유하는 상태로 주행 레일(1)이 구비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가 주행 레일(1)을 주행하여 물품(3)을 파지하는 파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물품 처리부의 사이에서 물품(3)을 반송한다.
물품 반송차(2)에 의해 물품 처리부에 물품(3)을 반송할 때, 물품 처리부에서는 물품(3)에 대한 처리 중인 경우 등, 반송하는 타이밍에 따라서는 물품 처리부에 의해 물품(3)을 받아들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3)의 일시적인 보관 등을 위해, 수납부(5)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나란히 구비된 물품 보관부(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 보관부(6)는, 주행 레일(1)의 측부[즉, 평면에서 볼 때 주행 레일(1)의 측방의 위치에서, 주행 레일(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부(5)에 수납하는 물품(3)을 입고부(7)에 의해 물품 반송차(2)로부터 수취 가능하고, 또한 수납부(5)로부터 출고하는 물품(3)을 출고부(8)에 의해 물품 반송차(2)에 건네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행 레일(1)은, 현수(懸垂) 지지 도구(9)에 의해 천정부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즉, 천정부로부터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물품(3)을 현수한 상태로 파지하는 파지부(4)를 승강 가능하게 또한 그 파지부(4)를 주행 레일(1)의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4)는, 물품 반송차(2)가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벨트(10)를 권취 또는 내보냄으로써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벨트(10) 대신에, 예를 들면,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품 반송차)
물품 반송차(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1) 상을 주행하는 주행 구동부(11)와, 주행 레일(1)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주행 구동부(11)에 현수 지지된 물품 지지부(1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주행 레일(1)의 가로 폭 방향에서 볼 때(도 4 중 X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차(2)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주행 레일(1)의 주행 방향에서 볼 때(도 3 중 Y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차(2)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파지부(4)를 평면에서 볼 때 주행 레일(1)의 측부의 측방 위치에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파지부(4)를 평면에서 볼 때 주행 레일(1)이나 물품 지지부(12)와 완전히 중첩되는 인입(引入)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점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4 중 X 방향인 주행 레일(1)의 가로 폭 방향을 「가로 폭 방향」이라고 하고, 도 3 중 Y 방향인 주행 레일(1)의 주행 방향을 「주행 방향」이라고 한다.
주행 레일(1)은,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좌우 한쌍 형성되어 있고, 주행 구동부(11)에는, 구동 모터(13)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1) 각각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면을 전동(轉動)하는 주행륜(14)과,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1)의 대향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과 맞닿은 회전 가능한 주행 안내륜(1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륜(14)이 구동 모터(13)에 의해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 주위에서 회전 구동하고,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한 주행 안내륜(15)이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1)에 의해 접촉 안내되는 것에 의해, 물품 반송차(2)가 주행 레일(1)에 안내되어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륜(14)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좌우 한쌍 설치되어 있고, 그 좌우 한쌍의 주행륜(14)이,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고, 합계 4개의 주행륜(14)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안내륜(15)은,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 4개 형성되어 있고, 가로 폭 방향의 타단측에 4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측에 있어서, 4개의 주행 안내륜(15) 중 2개가, 전방의 주행륜(14)의 전후에 배치되고, 나머지 2개가 후방의 주행륜(14)의 전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측에 있어서 2개의 주행 안내륜(15)이, 다른 주행 안내륜(15)에 대하여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물품 반송차(2)에는, 합계 8개의 주행 안내륜(15)이 설치되어 있다.
물품 지지부(12)는, 주행 방향(도 3 중 Y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전단 부위 및 후단 부위가 하방측으로 연장된 측면에서 볼 때 오목형의 커버(16)를 구비하고 있고, 그 커버(16)의 전단 부위와 후단 부위와의 사이의 공간에 파지부(4)가 배치되어 있다. 즉, 커버(1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부위와 이 전단 부위로부터 주행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단 부위와, 이들 전단 부위의 상부와 후단 부위의 상부를 연결하는 중간 부위를 가진다. 물품 지지부(12)에서는, 커버(16)의 하방측이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 공간을 통해 파지부(4)를 승강시키고, 또한 커버(16)의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의 양측도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 공간을 통해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물품 지지부(12)는, 파지부(4)를 승강시키는 승강 조작 기구(機構)(17)와, 파지부(4) 및 승강 조작 기구(17)를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이동 조작 기구(18)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4)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물품(3)을 파지하는 파지 자세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자세로 파지용 모터(19)에 의해 전환 조작 가능한 한쌍의 파지구(20)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조작 기구(17)는, 벨트(10)를 권취하여 승강용 모터(2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 드럼(22)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조작 기구(17)는, 승강용 모터(21)에 의해 회전 드럼(22)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파지부(4) 및 그에 의해 파지된 물품(3)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고, 파지용 모터(19)에 의해 파지구(20)를 전환 조작함으로써 물품(3)을 파지하거나 또는 물품(3)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지부(4) 및 승강 조작 기구(17)는, 슬라이드 이동체(23)에 구비되어 있고, 그 슬라이드 이동체(23)와 커버(16)와의 사이에,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를 개재시키고, 그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를 커버(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파지부(4) 및 승강 조작 기구(17)가 커버(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는, 커버(16)에 구비된 제1 슬라이드 레일(25)과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의 상면부에 구비된 제2 슬라이드 레일(26)에 의해, 커버(116)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이동체(23)는,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의 하면부에 구비된 제3 슬라이드 레일(27)과 슬라이드 이동체(23)에 구비된 제4 슬라이드 레일(28)에 의해,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드 이동 조작 기구(18)는,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회전 풀리(29)[도 4에서는, 한쪽의 회전 풀리(29)만 도시하고 있고, 다른 쪽의 회전 풀리(29)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음]에 걸쳐진 무단(無端) 벨트(30)와, 회전 풀리(29)를 회전시켜 무단 벨트(30)를 회전 구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용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무단 벨트(30)에 있어서 한쌍의 회전 풀리(29) 사이의 중간 부위의 한쪽이 커버(16) 측에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위의 다른 쪽이 슬라이드 이동체(23) 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무단 벨트(30)를 회전 구동시키면, 커버(16) 측에 연결된 무단 벨트(30)의 중간 부위와 슬라이드 이동체(23) 측에 연결된 무단 벨트(30)의 중간 부위가,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로 폭 방향(도 4 중 X 방향)에 있어서,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에 대하여, 커버(16) 측과 슬라이드 이동체(23) 측이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므로, 커버(16)에 대하여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과,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체(23)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된다. 이로써, 슬라이드 이동 조작 기구(18)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용 모터에 의해 무단 벨트(30)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커버(16)에 대하여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또한 중간 슬라이드 이동체(24)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체(2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커버(16)에 대하여 파지부(4) 및 승강 조작 기구(1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이동 조작 기구(18)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용 모터에 의해 무단 벨트(30)를 한쪽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 주행 레일(1)이나 물품 반송차(2)나 그 물품 지지부(12)와 완전히 중첩되는 인입 위치(도 4 중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평면에서 볼 때 주행 레일(1)의 측부에 벗어난[즉, 평면에서 볼 때 주행 레일(1)의 측방의 위치에서 주행 레일(1)과는 중첩되지 않는] 측방 위치(도 4 중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파지부(4) 및 승강 조작 기구(1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에는,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 및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수전(受電) 코일(3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수전 코일(31)에 의해 급전선(給電線)(32)으로부터의 구동용 전력의 급전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전선(32)은, 주행 레일(1)에 지지되는 상태로 좌우 한쌍 구비되어 있고, 좌우 한쌍의 급전선(32)이,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태로 좌우 한쌍의 주행 레일(1)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선(32)에 교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에 의해 구동용 전력을 수전 코일(31)에 발생시켜, 비접촉 상태로 물품 반송차(2)로의 구동용 전력의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전선(32)으로부터 수전 코일(31)에 구동용 전력을 급전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그 구동용 전력에 의해 주행 구동부(11)의 주행 및 파지부(4)의 승강 등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물품 보관부)
물품 보관부(6)는, 주행 레일(1)의 측부 등의 주행 레일(1)에 근접하는 개소보다 주행 레일(1)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에 있어서 주행 레일(1)로부터 파지부(4)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범위보다 주행 레일(1)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물품 보관부(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측방 위치에 있는 파지부(4)의 물품 보관부(6)에 대향하는 면보다, 물품 반송차(2)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물품 보관부(6)가 주행 레일(1)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물품 보관부(6)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체(33)에 의해 측부 및 상부의 주위가 에워싸인 상자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획체(33)는, 물품 보관부(6)의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는 벽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획체(33)에 의해 물품 보관부(6)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물품 보관부(6)의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티끌이나 티끌의 이동을 최대한 방지하여, 물품 보관부(6)의 내부의 청정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물품 보관부(6)는, 그 상단부가 상하 방향에서 물품 반송차(2)의 물품 지지부(12) 및 주행 레일(1)보다 상방측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물품 보관부(6)는, 주행 레일(1)의 측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보다 높은 위치까지 수납부(5)를 배치시키고 있어, 보다 많은 물품(3)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는, 물품 보관부(6)의 상단부가 물품 반송차(2)와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로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품 보관부(6)는, 복수 개의 수납부(5)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열을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열 구비하고, 그 열을 주행 방향(도 2 중 Y 방향)으로 복수 배열된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즉, 물품 보관부(6)의 물품 반송차(2)에 대향하는 제1 면의 내측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납부(5)가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1 면과 가로 폭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의 내측에, 복수 개의 수납부(5)가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물품 보관부(6)에서는, 구획체(33)의 측부로부터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탑재 지지체(34)가 상하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부(5)는, 탑재 지지체(34)에 의해 물품(3)을 탑재 지지하는 상태로 물품(3)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탑재 지지체(34)에는, 복수 개의 위치결정핀(35)이 형성되어 있고, 위치결정핀(35)을 물품(3)의 바닥부에 구비된 구멍부에 걸어맞춤으로써, 수납부(5)가 물품(3)을 위치 결정한 상태로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보관부(6)에는, 제1 교환 위치 J1과 물품 보관부(6)의 내부의 제1 반송 위치 N1과의 사이에서 물품(3)을 반송하는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물품 보관부(6)의 외부이며 주행 레일(1)의 측부에 위치하여 평면에서 볼 때 제1 교환 위치 J1보다 물품 보관부(6)에 가까운 위치인 제2 교환 위치 J2와 물품 보관부(6)의 내부의 제2 반송 위치 N2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구비되어 있다. 제1 교환 위치 J1은, 물품 보관부(6)의 외부에 위치하고, 주행 레일(1)의 하방측의 위치로 되어 있다. 제2 교환 위치 J2는, 물품 보관부(6)의 외부에 위치하고, 주행 레일(1)의 측부에 위치하여 평면에서 볼 때 제1 교환 위치 J1보다 물품 보관부(6)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 있다.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반송 방향(즉, 도면에서는 X로 나타내는 가로 폭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선단은,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선단보다, 적어도 물품(3)의 가로 폭 방향에서의 폭보다 크게 물품 보관부(6)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즉, 물품 보관부(6)에 대한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돌출량과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돌출량과의 차이는, 물품 반송차(2)의 바로 아래에 파지부(4)를 내림으로써 물품(3)을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에 탑재하는 데 충분히 크다. 또한, 제1 교환 위치 J1은,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선단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교환 위치 J1에 물품(3)을 탑재했을 때, 물품 보관부(6)와는 반대측에 있는 물품(3)의 면이,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에 있어서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선단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제1 교환 위치 J1이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란,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선단과 물품 보관부(6)와는 반대측에 있는 물품(3)의 면의,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에서의 거리가, 예를 들면, 물품(3)의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의 폭의 20% 이하인 위치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2 교환 위치 J2는,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선단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교환 위치 J2에 물품(3)을 탑재했을 때, 물품 보관부(6)와는 반대측에 있는 물품(3)의 면이,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에 있어서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선단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제2 교환 위치 J2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위치란,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선단과 물품 보관부(6)과는 반대측에 있는 물품(3)의 면의,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에서의 거리가, 예를 들면, 물품(3)의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의 폭의 20% 이하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반송차(2)가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 조작 기구(18)가 물품(3)을 제2 교환 위치 J2의 바로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위치에, 제2 교환 위치 J2가 배치되도록,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주행 레일(1)에 대한 상대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차(2)가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제1 교환 위치 J1은, 파지부(4)의 인입 위치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제2 교환 위치 J2는, 파지부(4)의 측방 위치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예를 들면, 물품(3)의 양 단부를 탑재 지지하기 위해, 반송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구동 롤러로 구성되는 제1 열의 구동 롤러와, 이 제1 열의 구동 롤러와는 주행 방향(도 2 중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2 열의 구동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1 교환 위치 J1, 제2 교환 위치 J2, 제1 반송 위치 N1, 및 제2 반송 위치 N2의 각각에는, 한쌍의 구동 롤러의 사이에 있어서 승강 가능한 승강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고, 그 승강대를 승강시킴으로써, 구동 롤러에 의해 물품(3)을 탑재 지지하는 탑재 위치와 구동 롤러로부터 물품(3)을 띄운 부상 위치로 물품(3)을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승강대에는, 물품(3)의 바닥부의 복수 개의 홈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핀이 복수 구비되어 있고, 이들 복수 개의 핀이 물품(3)의 바닥부의 복수 개의 홈부의 각각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물품(3)을 위치 결정한 상태로 탑재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주행 방향(도 2 중 Y 방향)에서 동일 위치이며, 또한 상하 방향에서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제1 반송 컨베이어(37)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품 보관부(6)의 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부위에 있어서(즉, 최상부나 최하부가 아닌 부위에 있어서),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를 상하 방향에서 물품 보관부(6)의 중간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가 파지부를 승강시켜 물품의 이송탑재를 행할 때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사다리(ladder) 등을 사용함으로써, 그 제1 반송 컨베이어(37) 및 제2 반송 컨베이어(38)에 대하여 작업자가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 컨베이어(37)는, 구획체(33)의 측부에 형성된 제1 개구부(39)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제1 교환 위치 J1과 제1 반송 위치 N1에 걸쳐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구획체(33)의 측부에 형성된 제2 개구부(40)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제2 교환 위치 J2와 제2 반송 위치 N2에 걸쳐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개구부(39) 및 제2 개구부(40)에 대해서는, 개폐 가능한 개폐체가 구비되어 있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 및 제2 반송 컨베이어(38)에 의해 물품(3)을 반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체에 의해 제1 개구부(39) 및 제2 개구부(40)를 폐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물품 보관부(6)에는,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와의 2개의 반송 컨베이어가 구비되어 있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가, 수납부(5)로부터 출고하는 물품(3)을 물품 반송차(2)에 건네는 것이 가능한 출고부(8)로서 구성되며,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수납부(5)에 수납하는 물품(3)을 물품 반송차(2)로부터 수취 가능한 입고부(7)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파지부(4)를 물품 반송차(2)의 바로 아래(즉, 인입 위치)로 승강시킴으로써, 제1 반송 컨베이어(37)에서의 제1 교환 위치 J1과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 물품 반송차(2)의 물품 이송탑재에 의해, 수납부(5)로부터 출고하는 물품(3)을 물품 반송차(2)에 건넨다. 또한, 물품 반송차(2)는,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즉, 측방 위치)로 그 파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제2 반송 컨베이어(38)에서의 제2 교환 위치 J2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 물품 반송차(2)의 물품 이송탑재에 의해, 물품 보관부(6)는, 수납부(5)에 수납하는 물품(3)을 물품 반송차(2)로부터 수취한다. 그리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주행 방향(도 2 중 Y 방향)에서 동일 위치이며, 또한 상하 방향에서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제1 반송 컨베이어(37)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과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하는 경우에도,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하는 경우에도, 물품 반송차(2)는,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의 동일 위치에 정지하여 물품 이송탑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부(6)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인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가 구비되어 있다. 이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는,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반송 위치 N1에 대한 정지 위치,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반송 위치 N2에 대한 정지 위치, 및 각각의 수납부(5)에 대한 정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반송 위치 N1,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반송 위치 N2, 및 수납부(5)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는, 주행 방향(도 2 중 Y 방향)으로 주행 가능한 주행 대차(carriage)(44)와, 그 주행 대차(44)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세워 설치된 승강 안내 마스트(41)를 따라 승강 가능한 승강대(42)와, 그 승강대(42)에 구비된 이송탑재 장치(43)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탑재 장치(43)는, 종래 기술에 속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지만,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관절을 가지는 로봇암이나, 연장과 인입이 가능한 2개의 포크 암(fork arm)을 가지는 장치나, 롤러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는, 주행 대차(44)를 주행시키고, 또한 승강대(42)를 승강시킴으로써,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반송 위치 N1에 대한 정지 위치,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반송 위치 N2에 대한 정지 위치, 및 각각의 수납부(5)에 대한 정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는, 각각의 정지 위치에 승강대(42)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이송탑재 장치(43)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반송 위치 Nl,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반송 위치 N2, 및 수납부(5)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한다.
(물품 반송차와 물품 보관부 사이에서의 물품의 교환)
이하, 물품 반송차(2)와 물품 보관부(6)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주고받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가 입고부(7)에 물품(3)을 이송탑재하는 입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2)가, 파지부(4)에 의해 물품(3)을 파지한 상태로,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까지 주행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2)는, 도 1 중에 있어서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측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그 파지부(4)를 승강시켜 파지구(20)의 전환 조작을 행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로 물품(3)을 이송탑재한다.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제2 교환 위치 J2에서 물품 반송차(2)로부터 물품(3)을 받으면, 그 물품(3)을 제2 교환 위치 J2로부터 제2 반송 위치 N2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반송 컨베이어(38)에 의해 물품(3)이 제2 반송 위치 N2로 반송되면,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는, 제2 반송 위치 N2로부터 물품(3)을 수취하고, 그 수취한 물품(3)을 복수 개의 수납부(5) 중 어느 하나에 수납한다. 또한, 제2 교환 위치 J2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 사이에서의 물품(3)의 교환, 및 제2 반송 위치 N2에 있어서 제2 반송 컨베이어(38)와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 사이에서의 물품(3)의 교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음) 승강대를 부상 위치로 상승시키고 있다.
물품 반송차(2)가 출고부(8)로부터 물품(3)을 이송탑재하는 출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보다 이전에,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 및 제1 반송 컨베이어(37)에 의해,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에 출고 대상의 물품(3)이 반송된다. 즉,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가, 수납부(5)에 수납되어 있는 출고 대상의 물품(3)을 그 수납부(5)로부터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반송 위치 N1으로 인출한다. 그리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가,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에 의해 인출된 물품(3)을 제1 반송 위치 N1으로부터 제1 교환 위치 J1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2)가,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까지 주행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2)는, 인입 위치에 있는 파지부(4)를 승강시켜 파지구(20)의 전환 조작을 행하고, 도 1 중의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으로부터 물품(3)을 이송탑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출고부(8)로부터 물품(3)을 받으면, 물품 반송차(2)는, 그 물품(3)을 반송하는 대상의 물품 처리 장치 등을 향해 주행한다.
전술한 입고 작업과 출고 작업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있다. 이 경우에는, 먼저, 전술한 입고 작업을 행하고, 다음에, 출고 작업을 행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주행 방향(도 2 중 Y 방향)과 동일 위치이며, 또한 제1 반송 컨베이어(37)보다 물품 보관부(6)에 대한 돌출량이 적은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제1 반송 컨베이어(37)보다 상하 방향에서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교환 위치 J1에 대한 교환용 정지 위치와 제2 교환 위치 J2에 대한 교환용 정지 위치가,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동일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입고 작업을 행한 후, 물품 반송차(2)가 이동하지 않고,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즉, 물품 반송차(2)가, 파지부(4)에 의해 물품(3)을 파지한 상태로,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까지 주행하여 정지한다. 물품 반송차(2)는, 도 1 중의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측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그 파지부(4)를 승강시켜 파지구(20)의 전환 조작을 행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로 물품(3)을 이송탑재하여 입고 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2)는, 파지부(4)를 승강 및 슬라이드 이동시켜 파지부(4)를 원래의 인입 위치로 되돌린 후, 이동하지 않고,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채, 도 1 중의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4)를 승강시켜 파지구(20)의 전환 조작을 행하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으로부터 물품(3)을 이송탑재하여 출고 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물품 반송차(2)가 입고 작업을 행한 후, 물품 반송차(2)가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하여 반송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에 나타내는 이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입고부(7) 및 출고부(8)의 다른 실시예이며,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반송 컨베이어(37)가 출고부(8)로서 구성되며,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입고부(7)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대하여, 반대로, 제2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반송 컨베이어(37)가 입고부(7)로서 구성되며,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출고부(8)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가 입고부(7)에 물품(3)을 이송탑재하는 입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2)가, 파지부(4)에 의해 물품(3)을 파지한 상태로,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까지 주행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도 5 중의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인입 위치에 있는 파지부(4)를 승강시켜 파지구(20)의 전환 조작을 행하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으로 물품(3)을 이송탑재한다. 제1 반송 컨베이어(37)는, 제1 교환 위치 J1에서 물품 반송차(2)로부터 물품(3)을 받으면, 그 물품(3)을 제1 교환 위치 J1으로부터 제1 반송 위치 N1으로 반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반송 컨베이어(37)에 의해 물품(3)이 제1 반송 위치 N1으로 반송되면,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는, 제1 반송 위치 N1으로부터 물품(3)을 수취하고, 그 수취한 물품(3)을 복수 개의 수납부(5) 중 어느 하나에 수납한다.
물품 반송차(2)가 출고부(8)로부터 물품(3)을 이송탑재하는 출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보다 이전에,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36) 및 제2 반송 컨베이어(38)에 의해,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에 출고 대상의 물품(3)이 반송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2)가,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까지 주행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도 5 중의 (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5 중 X 방향)으로 측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그 파지부(4)를 승강시켜 파지구(20)의 전환 조작을 행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로부터 물품(3)을 이송탑재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출고부(8)로부터 물품(3)을 받으면, 물품 반송차(2)는, 그 물품(3)을 반송하는 대상의 물품 처리 장치 등을 향해 주행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는, 주행 방향(도 2 중 Y 방향)과 동일 위치이며, 또한 상하 방향에서 제2 반송 컨베이어(38)가 제1 반송 컨베이어(37)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송 컨베이어(37)와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그 외의 구성이나, 제1 교환 위치 J1이나 제2 교환 위치 J2의 위치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제1 교환 위치 J1에 대한 교환용 정지 위치와 제2 교환 위치 J2에 대한 교환용 정지 위치가, 주행 레일(1)의 경로 상의 동일 위치로 되어 있으므로, 입고 작업을 행한 후, 물품 반송차(2)가 이동하지 않고, 출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1)을 주행 레일(1)의 가로 폭 방향(도면 중 X 방향)에 인접하는 상태로 2조(組) 구비하고, 이들 2조의 각각의 주행 레일(1)을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 X 방향의 좌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1)의 하방측의 위치(바람직하게는 바로 아래의 위치)가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으로 되어 있고, 도면 중 X 방향의 우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1)의 하방측의 위치(바람직하게는 바로 아래의 위치)가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로 되어 있다. 이로써, 도면 중 X 방향의 좌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1)을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인입 위치에 있는 파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과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할 수 있는 동시에,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측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파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 X 방향의 우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1)을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측방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파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과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할 수 있는 동시에, 인입 위치에 있는 파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반송 컨베이어(37)를 출고부(8)로 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8)를 입고부(7)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제1 반송 컨베이어(37)를 입고부(7)로 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8)를 출고부(8)로서 구성할 수 있다.
(2)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1)의 가로 폭 방향(도 1 및 도 5 중 X 방향)에서의 주행 레일(1)의 배치 위치를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보다 물품 보관부(6)로부터 이격되는 쪽에 배치하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을 주행 레일(1)의 하방측의 위치(바람직하게는 바로 아래)에 배치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를 주행 레일(1)의 측부의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 대신에, 주행 레일(1)의 가로 폭 방향(도 1 및 도 5 중 X 방향)에서의 주행 레일(1)의 배치 위치를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의 상방측의 위치(바람직하게는 바로 위)인 물품 보관부(6)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제1 반송 컨베이어(37)의 제1 교환 위치 J1을 주행 레일(1)의 측부의 위치에 배치하고,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제2 교환 위치 J2를 주행 레일(1)의 하방측의 위치(바람직하게는 바로 아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도면 중 X 방향의 우측에 위치하는 주행 레일(1)만을 설치하고, 그 주행 레일(1)을 주행하도록 물품 반송차(2)를 구비할 수 있다.
(3)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물품 반송차(2)가, 파지부(4)를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파지부(4)를 승강시킴으로써, 제2 반송 컨베이어(38)에서의 제2 교환 위치 J2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대신에, 물품 반송차(2)가, 파지부(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가로 폭 방향(도 1 중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2 반송 컨베이어(38)에서의 제2 교환 위치 J2와의 사이에서 물품(3)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되도록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높이를 설정할 수도 있다.
(4) 물품 보관부(6)의 설치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해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물품 보관부(6)의 설치 개소를 변경한 경우에도, 제1 반송 컨베이어(37) 및 제2 반송 컨베이어(38)의 길이나 반송 방향 등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1: 주행 레일, 2: 물품 반송차, 3: 물품, 4: 파지부, 5: 수납부, 6: 물품 보관부, 7: 입고부, 8: 출고부, 36: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 37: 제1 반송 컨베이어, 38: 제2 반송 컨베이어 J1: 제1 교환 위치, J2: 제2 교환 위치, N1: 제1 반송 위치, N2: 제2 반송 위치

Claims (5)

  1. 천정측에 설치된 주행 레일을 주행 가능한 물품 반송차(搬送車)와, 상기 물품 반송차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수납 가능한 복수 개의 수납부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물품 보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 보관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주행 레일의 측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반송차로부터 수취하기 위한 입고부와, 상기 수납부로부터 출고하는 물품을 상기 물품 반송차에 건네기 위한 출고부를 가지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물품 보관부의 외부의 제1 교환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물품 보관부의 외부이며 또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교환 위치보다 상기 물품 보관부에 가까운 위치인 제2 교환 위치와 상기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 반송차는,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승강 가능하게 또한 상기 파지부를 상기 주행 레일의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행 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 상의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승강을 행하여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 중 한쪽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며, 또한 상기 교환용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행하여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 중 다른 쪽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의 한쪽이 상기 입고부로서 구성되며, 다른 쪽이 상기 출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 중, 상기 제1 교환 위치 및 상기 제2 교환 위치의 교환 위치는 상기 주행 레일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한쪽이 상기 출고부로서 구성되며, 다른 쪽이 상기 입고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부는, 그 상단부가 상하 방향에서 상기 물품 반송차보다 상방측 또는 상기 물품 반송차와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보관부의 상하 방향에서 그 중간 부위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와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물품 보관부용 반송 장치는, 물품이 상기 제1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물품 보관부 내의 위치인 제1 반송 위치, 물품이 상기 제2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물품 보관부의 내부의 위치인 제2 반송 위치, 및 복수 개의 상기 수납부의 사이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120072762A 2011-08-11 2012-07-04 물품 반송 설비 KR101965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76184A JP5674041B2 (ja) 2011-08-11 2011-08-11 物品搬送設備
JPJP-P-2011-176184 2011-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110A true KR20130018110A (ko) 2013-02-20
KR101965733B1 KR101965733B1 (ko) 2019-04-04

Family

ID=4763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762A KR101965733B1 (ko) 2011-08-11 2012-07-04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73691B2 (ko)
JP (1) JP5674041B2 (ko)
KR (1) KR101965733B1 (ko)
CN (1) CN102923427B (ko)
TW (1) TWI54623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387A (ko) * 2014-04-07 2015-10-1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차
KR20180087668A (ko) 2017-01-25 2018-08-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 복합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복합전극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230096788A (ko) * 2021-12-23 2023-06-30 세메스 주식회사 스토커 및 물품 이송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2020B (zh) * 2009-01-08 2013-12-04 株式会社大福 物品收纳设备
JP5884780B2 (ja) * 2013-06-26 2016-03-15 株式会社ダイフク 保管設備
JP6160711B2 (ja) * 2014-01-07 2017-07-12 村田機械株式会社 移載装置及び移載装置の制御方法
JP6102759B2 (ja) * 2014-01-16 2017-03-2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台車
CN114734628A (zh) 2014-06-23 2022-07-12 卡本有限公司 由具有多重硬化机制的材料制备三维物体的方法
WO2016031352A1 (ja) * 2014-08-26 2016-03-03 村田機械株式会社 仕分けシステムと仕分け方法
US12023801B2 (en) 2014-11-22 2024-07-02 Kenneth C. Miller Suspended automation system
US10780576B2 (en) 2014-11-22 2020-09-22 Kenneth C. Miller Suspended automation system
CN104504819B (zh) * 2015-01-23 2017-01-04 福建骏鹏易丰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助快递柜
WO2016145050A1 (en) 2015-03-10 2016-09-15 Carbon3D, Inc. Microfluidic devices having flexible fea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9617075B2 (en) * 2015-03-24 2017-04-11 Joseph Porat System and method for overhead warehousing
CN107851594B (zh) * 2015-08-28 2021-06-22 株式会社国际电气 基板处理装置以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WO2017112521A1 (en) 2015-12-22 2017-06-29 Carbon, Inc. Production of flexible products by additive manufacturing with dual cure resins
US10350823B2 (en) 2015-12-22 2019-07-16 Carbon, Inc. Dual precursor resin system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ith dual cure resins
WO2017112751A1 (en) 2015-12-22 2017-06-29 Carbon, Inc. Blocked silicone dual cure resins for additive manufacturing
US10538031B2 (en) 2015-12-22 2020-01-21 Carbon, Inc. Dual cure additive manufacturing of rigid intermediates that generate semi-rigid, flexible, or elastic final products
JP6944935B2 (ja) 2015-12-22 2021-10-06 カーボ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重硬化樹脂を用いた積層造形による複数の中間体からの複合生産物の製作
WO2017112483A2 (en) 2015-12-22 2017-06-29 Carbon, Inc. Accelerant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ith dual cure resins
JP6566051B2 (ja) * 2016-02-15 2019-08-28 村田機械株式会社 保管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JP6614330B2 (ja) * 2016-03-03 2019-12-04 村田機械株式会社 一時保管システム
EP3476772B1 (en) * 2016-06-27 2022-04-27 Murata Machinery, Ltd. Conveyance system
WO2018088085A1 (ja) * 2016-11-14 2018-05-17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システムとこれに用いる中継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PL3548522T3 (pl) 2016-12-05 2023-01-16 Covestro Deutschland Ag Sposób wytwarzania obiektu z prekursora i zastosowanie żywicy sieciowalnej rodnikowo w sposobie wytwarzania addytywnego
WO2019112707A1 (en) 2017-12-08 2019-06-13 Carbon, Inc. Shelf stable, low tin concentration, dual cure additive manufacturing resins
US10418263B2 (en) * 2018-01-20 2019-09-17 Boris Kesil Overhead transportatio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between multiple work stations
WO2019168807A1 (en) 2018-03-02 2019-09-06 Carbon, Inc. Sustainable additive manufacturing resins and methods of recycling
JP6969512B2 (ja) * 2018-07-05 2021-11-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US11135744B2 (en) 2018-09-13 2021-10-05 Carbon, Inc. Reversible thermoset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0131675A1 (en) 2018-12-21 2020-06-25 Carbon, Inc. Energy absorbing dual cure polyurethane elastomers for additive manufacturing
WO2020153039A1 (ja) * 2019-01-25 2020-07-30 村田機械株式会社 保管システム
WO2020263480A1 (en) 2019-06-28 2020-12-30 Carbon, Inc. Dual cure additive manufacturing resins for the production of objects with mixed tensile properties
JP7229644B2 (ja) * 2019-07-26 2023-02-28 株式会社ディスコ 搬送システム
US11912608B2 (en) 2019-10-01 2024-02-27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Glass manufacturing
EP4061276B1 (en) 2019-11-18 2024-09-04 Carbon, Inc. Partial den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WO2021133585A1 (en) 2019-12-23 2021-07-01 Carbon, Inc. Inhibition of crystallization in polyurethane resins
US11981778B2 (en) 2020-01-17 2024-05-14 Carbon, Inc. Chemical recycling of additively manufactured objects
US11859057B2 (en) 2020-03-12 2024-01-02 Carbon, Inc. Partially reversible thermosets useful for recycling
CN111573092B (zh) * 2020-04-02 2022-01-14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可升降式电缆架
WO2021202655A1 (en) 2020-04-03 2021-10-07 Carbon, Inc. Resins and methods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energy absorbing three-dimensional objects
JP7310713B2 (ja) * 2020-05-25 2023-07-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US20240051753A1 (en) * 2020-12-15 2024-02-15 Kenneth C. Miller Suspended automa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0250A (ja) 2002-06-06 2004-01-15 Murata Mach Ltd 無人搬送車システム
JP2007022677A (ja) * 2005-07-12 2007-02-01 Asyst Shinko Inc ストッカ装置
JP2009173396A (ja) 2008-01-24 2009-08-06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保管庫及び入出庫方法
KR20100105376A (ko) * 2009-03-17 2010-09-29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천장 반송 시스템과 물품의 이동 재치 방법
KR20110089824A (ko) * 2010-02-01 2011-08-0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보관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33913B (en) * 2002-06-06 2005-06-11 Murata Machinery Ltd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WO2004001582A1 (en) 2002-06-19 2003-12-31 Brooks Automation, Inc.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based on a combination of vertical carousels and overhead hoists
JP3991852B2 (ja) * 2002-12-09 2007-10-17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システム
JP2006051886A (ja) * 2004-08-12 2006-02-23 Murata Mach Ltd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4123383B2 (ja) 2004-08-12 2008-07-23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4296601B2 (ja) * 2005-01-20 2009-07-15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台車システム
JP4221603B2 (ja) * 2005-03-31 2009-02-12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システム
TWI380939B (zh) * 2005-05-31 2013-01-01 Daifuku Kk 物品搬運裝置
JP2007096140A (ja) 2005-09-30 2007-04-12 Asyst Shinko Inc 懸垂式昇降搬送台車における物品の授受方法並びに装置
JP4910385B2 (ja) * 2005-12-16 2012-04-04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垂直搬送装置
JP4904995B2 (ja) * 2006-08-28 2012-03-28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ロードポート装置
JP2008195503A (ja) * 2007-02-14 2008-08-28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JP5130897B2 (ja) * 2007-12-18 2013-01-3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JP5458563B2 (ja) * 2008-12-11 2014-04-02 村田機械株式会社 保管庫及び入出庫方法
JP5463758B2 (ja) * 2009-06-26 2014-04-09 村田機械株式会社 保管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0250A (ja) 2002-06-06 2004-01-15 Murata Mach Ltd 無人搬送車システム
JP2007022677A (ja) * 2005-07-12 2007-02-01 Asyst Shinko Inc ストッカ装置
JP2009173396A (ja) 2008-01-24 2009-08-06 Asyst Technologies Japan Inc 保管庫及び入出庫方法
KR20100105376A (ko) * 2009-03-17 2010-09-29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천장 반송 시스템과 물품의 이동 재치 방법
KR20110089824A (ko) * 2010-02-01 2011-08-0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보관 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387A (ko) * 2014-04-07 2015-10-15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차
KR20180087668A (ko) 2017-01-25 2018-08-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 복합전극용 슬러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복합전극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230096788A (ko) * 2021-12-23 2023-06-30 세메스 주식회사 스토커 및 물품 이송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2392A1 (en) 2013-08-08
KR101965733B1 (ko) 2019-04-04
US9073691B2 (en) 2015-07-07
JP2013039985A (ja) 2013-02-28
CN102923427A (zh) 2013-02-13
TWI546238B (zh) 2016-08-21
CN102923427B (zh) 2017-04-12
JP5674041B2 (ja) 2015-02-18
TW201311530A (zh) 201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733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943928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0678596B1 (ko) 천정 반송차 시스템
KR101531936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862731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642853B1 (ko) 천정 반송차
KR100683497B1 (ko) 무인반송차 시스템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JP5234328B2 (ja) 物品収納設備
TWI763871B (zh) 搬運系統及搬運方法
KR20130139227A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90009371A (ko) 반송 시스템
KR20100064331A (ko) 반송대차
KR20200044669A (ko) 물품 반송차
KR101398929B1 (ko) 반송차 시스템
KR101504145B1 (ko) 반송시스템 및 그 대차장치
JP2004010250A (ja) 無人搬送車システム
JP2010235214A (ja) 走行車システム
KR20150072840A (ko) 이송대차 시스템 및 이송대차를 이용한 대상물 이적재방법
JP6197753B2 (ja) 物品搬送設備
KR20240031914A (ko) 물품 반송 설비
TW200524798A (en) Convey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