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824A - 물품 보관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보관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824A
KR20110089824A KR1020110009267A KR20110009267A KR20110089824A KR 20110089824 A KR20110089824 A KR 20110089824A KR 1020110009267 A KR1020110009267 A KR 1020110009267A KR 20110009267 A KR20110009267 A KR 20110009267A KR 20110089824 A KR20110089824 A KR 20110089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helf
conveyor
freely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0019B1 (ko
Inventor
다케시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1008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65G1/13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the circuit being confined in a horizontal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Abstract

[과제]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반송 컨베이어의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의 돌출된 부분을 없애고,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
[해결수단] 반송 컨베이어(100)는, 내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로 하고 또한 외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타단부로 하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받아 멈춤 지지부로 받아들여 지지되는 상태로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또한 그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자유로이 떼어내도록 구성되어, 반송 컨베이어(100)의 피걸어맞춤부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도록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그 걸어맞춤부가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반송 컨베이어(100)의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위치결정수단(22,23)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보관 설비{Article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구획체와, 상기 구획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의 내부 위치와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의 외부 위치에 걸쳐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부 위치와 상기 내부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자유로이 반송하도록 반송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에는, 복수의 수납부를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과,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 및 상기 수납부에 대한 정지위치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또한 그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 및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물품 반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물품 수납선반에 물품을 입고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나 외부 물품 반송장치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에 물품이 얹어놓여지면, 반송 컨베이어가 그 물품을 외부 위치로부터 내부 위치로 반송한다. 그리고, 물품 반송장치가,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에 대한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내부 위치로부터 물품을 퍼올린 후, 복수의 수납부의 어느 한쪽에 대한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수납부에 물품을 수납하고 있다.
또한, 물품 수납선반에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출고하는 경우에는, 물품 반송장치가, 수납부에 대한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그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꺼낸 후,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에 대한 정지 위치로 이동하여 내부 위치에 물품을 내린다. 그리고, 반송 컨베이어가, 그 물품을 내부 위치로부터 외부 위치로 반송하고, 작업자나 외부 물품 반송장치에 의해 외부 위치의 물품을 다른 개소로 반송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자유로이 반송하도록 반송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물품 수납선반에 물품의 입고 및 물품 수납선반으로부터 물품의 출고를 행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72917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반송 컨베이어는, 내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로 하고 또한 외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타단부로 하는 설정 설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 설치 위치에 설치된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가,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주고받는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에 대한 물품 반송장치의 정지 위치를 학습 등에 의해 취득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설정 설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를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가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가 되는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에서의 물품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설비에서는, 설정 설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컨베이어의 일부가 항상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기기의 교체에 의해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 등을 행할 때는, 반송 컨베이어의 돌출된 부분이 방해가 되어, 그 돌출된 부분을 피하면서 기기를 반송하지 않으면 안되어, 기기의 반송 작업이 복잡하게 된다, 혹은, 기기의 반송 작업 자체를 행할 수 없게 되어,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반송 컨베이어의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없애고,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설비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제 1 특징 구성은,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구획체와, 상기 구획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의 내부 위치와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의 외부 위치에 걸쳐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부 위치와 상기 내부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자유로이 반송하도록 반송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에는, 복수의 수납부를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과,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 및 상기 수납부에 대한 정지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또한 그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 및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물품 반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내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로 하고 또한 상기 외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타단부로 하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받아 멈춤 지지부로 받아들여 지지되는 상태로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또한 그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자유로이 떼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피걸어맞춤부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도록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그 걸어맞춤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자유로이 부착하고 또한 자유로이 떼어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송 컨베이어를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내어 다른 개소로 이동시킴으로써, 반송 컨베이어의 일부가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 돌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기기의 교체에 의해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 등을 행할 때는, 반송 컨베이어를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내어 다른 개소로 이동시킴으로써, 기기의 반송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를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설정 설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를 부착할 때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일 없이 부착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설정 설치 위치에 설치된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가,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주고받는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면,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없게 되어,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에 대한 물품 반송장치의 정지 위치를 다시 학습 등에 의해 취득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시간과 수고가 들게 된다.
따라서,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단순히, 반송 컨베이어를 자유로이 떼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어맞춤부가 반송 컨베이어의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반송 컨베이어의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위치결정수단으로 반송 컨베이어의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부착할 수 있고,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면서 반송 컨베이어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컨베이어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으면서, 반송 컨베이어의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의 돌출된 부분을 없애고,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물품 보관 설비를 실현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제 2 특징 구성은, 상기 설정 설치 위치는, 그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가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 상기 수납부와 나란한 위치에 자유로이 배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를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 수납부와 나란한 위치로 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가, 선반 전후 폭방향에서 수납부와 같은 위치가 된다. 이것에 의해, 선반 전후 폭방향에서 물품 수납선반을 설치공간의 범위내에 반송 컨베이어를 배치시킬 수 있어, 선반 전후 폭방향에서 별도로 반송 컨베이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 좋고,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가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 수납부와 나란한 위치이므로, 물품 반송장치는, 수납부에 물품을 이동 적재할 때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에 대해서도 물품을 이동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에 대해서 물품을 이동 적재할 때의 물품 반송장치의 동작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제 3 특징 구성은, 상기 위치결정수단으로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한 제 1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선반 전후 폭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한 제 2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제 1 위치결정수단과 제 2 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의 선반 가로폭 방향 및 선반 전후 폭방향의 양쪽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고,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한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제 4 특징 구성은,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걸어맞춤상태를 검출하는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물품을 반송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작동을 금지하고,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작동을 허용하는 반송작동 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그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의 검출상태로부터, 실제로 걸어맞춤부가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하여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반송 컨베이어가 위치결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반송작동 규제수단이,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작동을 금지하고,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작동을 허용하므로, 실제로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반송 컨베이어가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을 때에만,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작동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반송 컨베이어가 위치결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잘못하여 반송 컨베이어가 반송 작동되는 것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제 5 특징 구성은,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에 대한 정지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또한 그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에 대해서 물품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한 외부 물품 반송장치와,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는 반송 컨베이어중,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자유로이 부착 및 떼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높이용 피걸어맞춤부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도록 높이용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그 높이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높이용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선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높이용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에 대해서 물품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외부 물품 반송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가, 반송 컨베이어와 외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주고받는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컨베이어는,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었을 때에 물품 반송방향의 일부가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에 존재하므로, 받아 멈춤 지지부로 반송 컨베이어중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위를 받아들이는 것만으로는,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와 외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주고받는 위치로 되어 있는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가 적정한 위치로부터 선반 상하방향에서 하방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반송 컨베이어중,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하고 있고, 반송 컨베이어는, 지지수단에 대해서 자유로이 부착 및 떼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의 반송 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지지수단에 대해서 떼어냄으로써, 지지수단에 의한 지지를 해제하여 반송 컨베이어를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게다가,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지지수단에 설치된 높이용 위치결정부가, 높이용 걸어맞춤부를 반송 컨베이어의 높이용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의 선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므로,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가 선반 상하방향에서 적정한 위치로부터 하방측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에서의 반송 컨베이어와 외부 물품 반송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물품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제 6 특징 구성은, 상기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개폐체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반송 컨베이어를 떼어내면, 개구부를 통하여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와 외부가 연이어 통하게 된다. 따라서,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부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로 잘못하여 이물 등이 침입할 가능성이 있지만, 개폐체에 의해 개구부를 닫아 두는 것으로 이물 등의 침입을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를 클린 룸내에 설치한 경우에는, 개구부를 통하여 티끝이나 먼지가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부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로 또는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로부터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고,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 또는 외부의 청정도가 저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개폐체에 의해 개구부를 닫아 두는 것으로 이러한 청정도의 저하를 정확하게 방지할 수 있어, 클린 룸내에 설치한 경우에는 보다 유용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제 7 특징 구성은, 상기 개폐체로 상기 개구부가 폐색되어 있는 폐색상태를 검출하는 폐색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걸어맞춤상태를 검출하는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폐색상태 검출수단으로 폐색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상태라고 판별하고, 상기 폐색상태 검출수단으로 폐색상태가 검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내져 있는 떼어냄 상태라고 판별하는 설치상태 판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특징 구성에 의하면, 설치상태 판별수단에 의해, 실제로 반송 컨베이어가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상태인지, 및, 실제로 반송 컨베이어가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내져 있는 떼어냄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상태 판별수단으로 부착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송 컨베이어 및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허용하고, 반송 컨베이어 및 물품 반송장치를 작동시켜 물품 보관 설비를 운용할 수 있다. 또한, 설치상태 판별수단으로 떼어냄 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는 경우에도, 물품 반송장치의 작동을 허용하고, 물품 반송장치를 작동시켜 물품 보관 설비를 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상태 판별수단으로 부착상태 및 떼어냄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함으로써, 부착상태 뿐만 아니라, 떼어냄 상태에서도, 물품 반송 설비를 운용할 수 있어, 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1은 물품 보관 설비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물품 보관 설비의 단면도.
도 3은 물품 보관 설비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4는 물품 보관 설비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5는 물품 보관 설비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6은 물품 보관 설비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7은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지지수단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지지수단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개폐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설정 설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를 부착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설정 설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를 부착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물품 보관 설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정화 공기를 천정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통풍시키는 다운 플로우식의 정화 공기 통풍 수단을 구비한 클린 룸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은, 선반 전후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에 일부를 단면으로 한 물품 보관 설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선반 가로폭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물품 보관 설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클린 룸내에 구획체(1)에 의해 측부 및 상부의 주위가 둘러싸인 상자 형상의 선반 설치공간(2)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획체(1)에 의해 클린 룸내가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와 외부로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와 내부에서 요구되고 있는 청정도가 다른 것으로 되어 있어, 구획체(1)에 의해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와 외부로 구획함으로써,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와 외부와의 사이에서의 티끌이나 먼지의 이동을 극력 방지하여,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 및 내부의 쌍방에서 요구되고 있는 청정도를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가, 물품(B)을 보관하는 공간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물품(B)은, 예를 들면, 복수의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용기로 구성되어 있다.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에는, 복수의 수납부(3)를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4)과, 수납부(3)에 대한 정지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또한 그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수납부(3)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물품 반송장치(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수납선반(4)에 보관하는 물품(B)을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에서 내부로 반송하거나 혹은, 물품 수납선반(4)으로부터 꺼내는 물품(B)을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에서 외부로 반송하기 위해서, 반출입용의 반송 컨베이어(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 컨베이어(100)는, 구획체(1)에 형성된 개구부(7)를 통하여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의 내부 위치(N)와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의 외부 위치(G)에 걸쳐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외부 위치(G)와 내부 위치(N)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자유로이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수납선반(4)은, 선반 전후 폭방향의 전단부가 대향하는 상태로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물품 수납선반(4)의 수납부(3)는, 얹어놓음 지지부(8)에서 물품(B)을 얹어놓고 지지하는 상태로 물품(B)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얹어놓음 지지부(8)는, 구획체(1)의 선반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는 측벽부(1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있고, 물품 수납선반(4)은, 구획체(1)의 측벽부(1a)를 선반 전후 폭방향의 후단부로서 이용하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얹어놓음 지지부(8)를 선반 전후 폭방향의 동일 위치에서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수납부(3)를 선반 전후 폭방향의 동일 위치에서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얹어놓음 지지부(8)에는, 복수의 위치결정 핀이 설치되어 있고, 위치결정 핀을 물품(B)의 바닥부에 구비된 구멍부분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수납부(3)가 물품(B)을 위치결정한 상태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장치(5)는, 선반 전후 폭방향으로 한 쌍의 물품 수납선반(4)의 사이를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 반송장치(5)는, 예를 들면, 물품 수납선반(4)의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한 이동체(10)와, 그 이동체(10)에 세워 설치된 승강 안내 마스트(11)를 따라서 선반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한 승강대(12)와, 수납부(3)에 대한 물품 이동 적재용의 돌출 위치와 수납부(3)로부터 물러나는 퇴피 위치로 자유로이 나오고 물러나도록 한 물품 얹어놓음체(13)를 구비한 물품 이동 적재장치(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물품 이동 적재장치(14)는, 승강대(12)에 구비되어 있고, 승강대(12)와 일체적으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물품 반송장치(5)는, 수납부(3)에 대해서 물품(B)의 이동 적재를 행할 때에는, 이동체(10)의 이동 및 승강대(12)의 승강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수납부(3)의 어느 한쪽에 대한 정지 위치에 물품 이동 적재장치(14)를 위치시키고, 그 정지 위치에 물품 이동 적재장치(1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물품 이동 적재장치(14)가 물품 얹어놓음체(13)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에 나오고 물러나게 함으로써, 수납부 (3)에 대해서 물품(B)의 이동 적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장치(5)는, 수납부(3)에 대해서 물품(B)을 이동 적재할 뿐만 아니라,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에 대해서도 물품(B)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가, 물품 반송장치(5)와 반송 컨베이어(100)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는 위치가 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100)는, 내부 위치(N)를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로 하고 또한 외부 위치(G)를 물품반송 방향의 타단부로 하는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00)에 의해 외부 위치(G)로부터 내부 위치(N)로 반송된 물품(B)이, 그 내부 위치(N)에서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00)로부터 퍼올려져,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물품 수납선반(4)에 보관된다. 또한,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물품 수납선반(4)으로부터 꺼내진 물품 (B)이, 내부 위치(N)에서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00)에 내려져, 반송 컨베이어(100)에 의해 내부 위치(N)로부터 외부 위치(G)로 반송된다.
반송 컨베이어(100)는, 내부 위치(N)를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로 하고 또한 외부 위치(G)를 물품 반송방향의 타단부로 하는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그 설정 설치 위치는, 그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된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가 적어도 물품 수납선반(4)의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에서 수납부(3)와 나란한 위치에 자유로이 배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는, 선반 전후 폭방향에서 수납부(3)와 같은 위치가 되어 있고, 물품 반송장치(5)가, 수납부(3)에 대해서 물품(B)의 이동 적재를 행할 때와 같이, 이동체(10)의 이동 및 승강대(12)의 승강을 행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에 대한 정지 위치에 물품 이동 적재장치(14)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장치(5)는,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에 대해서 물품(B)의 이동 적재를 행할 때에는, 이동체(10)의 이동 및 승강대(12)의 승강을 행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에 대한 정지 위치에 물품 이동 적재장치(14)를 위치시키고, 그 정지 위치에 물품 이동 적재장치(14)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물품 이동 적재장치(14)가 물품 얹어놓음체(13)를 돌출 위치와 퇴피 위치로 자유로이 돌출하고 물러나게 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에 대해서 물품(B)의 이동 적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100)는, 내부 위치(N)와 외부 위치(G)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반송 가능한 것이면, 공지된 각종의 반송 컨베이어를 적응 가능하므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고, 반송 컨베이어(100)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반송 컨베이어(100)는, 컨베이어 본체(100a)와, 컨베이어 본체(100a)내를 내부 위치(N)와 외부 위치(G)와의 사이에서 자유로이 왕복 주행하도록 주행체(100b)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컨베이어 본체(100a)에 있어서 내부 위치(N) 및 외부 위치(G)의 각각에는, 위치결정 핀을 물품(B)의 바닥부에 구비된 구멍부에 끼워맞춤시키고 물품(B)을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자유로이 지지하도록 위치결정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체(100b)가 내부 위치(N)와 외부 위치(G)와의 사이에서 왕복 주행함으로써, 내부 위치(N)와 외부 위치(G)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자유로이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주행체(100b)는, 위치결정 핀을 물품(B)의 바닥부에 구비된 구멍부에 끼워맞춤시켜 물품(B)을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지지부를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구비하고 있고, 주행체(100b)가 내부 위치(N) 및 외부 위치(G)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내부 위치(N) 및 외부 위치(G)의 위치결정 지지부에 대해서 물품(B)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100)는, 예를 들면, 내부 위치(N) 및 외부 위치(G)의 각각에서 수평방향으로 위치결정된 물품(B)을 내부 위치(N)와 외부 위치(G)와의 사이에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컨베이어(100)로서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을 따라서 물품(B)을 반송하는 제 1 반송 컨베이어(101)와,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을 따라서 물품(B)을 반송하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반송 컨베이어(101)는,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의 하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제 1 반송 컨베이어(101)의 외부 위치(G)에 대해서 작업자가 물품(B)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반송 컨베이어(101)는, 외부 위치(G)에서 작업자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으면서, 그 물품(B)을 내부 위치(N)와 외부 위치(G)와의 사이에서 반송하고 있다. 제 1 반송 컨베이어(101)는, 작업자의 반송 작업에 의해 반송된 물품(B)을 물품 수납선반(4)에 입고할 때, 및, 물품 수납선반(4)으로부터 출고된 물품(B)을 작업자에 의해 다른 개소로 반송할 때에, 내부 위치(N)와 외부 위치(G)와의 사이에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로서 이용된다.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는,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1조로 하고,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으로 2조의 반송 컨베이어(100b)가 나란한 상태로 합계 4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같은 조의 2개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한쪽이, 외부 위치(G)로부터 내부 위치(N)에 물품(B)을 반송하는 반입용으로서 이용되고, 같은 조의 2개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다른쪽이, 내부 위치(N)로부터 외부 위치 (G)로 물품(B)을 반송하는 반출용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에 대해서,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에 대한 정지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또한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에 대해서 물품(B)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외부 물품 반송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물품 반송장치(15)는, 예를 들면, 물품(B)을 지지한 상태로 자유로이 주행하도록 한 물품 반송차(예를 들면, 천정 반송식 반송대차)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물품 반송장치(15)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지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물품 처리부를 경유하는 상태로 배치된 천정측의 주행 레일을 따라서 자유로이 주행 가능하고, 복수의 물품 처리부의 사이에서 물품(B)을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외부 물품 반송장치(15)는, 물품(B)을 매단 상태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물품 처리부에 대한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물품 처리부에 대한 얹어놓음대 등에 물품(B)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물품 반송장치(15)는, 물품 처리부에 대한 얹어놓음대 등에 물품(B)을 이동 적재할 때와 같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에 대한 정지 위치(예를 들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의 바로 위)에 정지한 상태로 파지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에 대해서 물품(B)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는, 외부 물품 반송장치 (15)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는 위치가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는, 외부 물품 반송장치(15)에 의해 반송된 물품(B)을 물품 수납선반(4)에 입고할 때나, 물품 수납선반(4)으로부터 출고한 물품(B)을 다른 개소에 외부 물품 반송장치(15)에 의해 반송할 때에 이용되고 있다. 즉, 외부 물품 반송장치(15)에 의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로 반송된 물품(B)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에 의해 외부 위치(G)로부터 내부 위치 (N)로 반송되고, 또한, 그 내부 위치(N)에서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로부터 퍼올려져,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물품 수납선반(4)에 보관된다. 또한,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물품 수납선반(4)으로부터 꺼내진 물품(B)이, 내부 위치(N)에서 물품 반송장치(5)에 의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로 내려져,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에 의해 내부 위치(N)로부터 외부 위치(G)에 반송되고, 또한, 그 외부 위치(G)에서 외부 물품 반송장치(15)에 의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로부터 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와 외부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반송하기 위해서 반송 컨베이어(100)가 이용되고 있지만, 설정 설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100)를 부착하면, 그 일부가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물품 처리부에서의 기기의 교체에 의해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반송 컨베이어(100)의 돌출된 부분이 방해가 되어, 그 돌출된 부분을 피하면서 기기를 반송하지 않으면 안되어, 기기의 반송 작업이 복잡하게 되고, 혹은, 기기의 반송 작업 자체를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반송 컨베이어(100)를 상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반송 컨베이어(100)를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또한 자유로이 떼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기의 반송작업 등을 행할 때에는, 반송 컨베이어(100)를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냄으로써, 반송 컨베이어(100)의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로의 돌출된 부분을 없애고, 기기를 반송하는 작업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된 반송 컨베이어(100)의 내부 위치(N)가, 반송 컨베이어(100)와 물품 반송장치(5)와의 사이에서의 물품(B)의 주고받음 위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떼어낸 반송 컨베이어 (100)가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부착되면, 반송 컨베이어(100)와 물품 반송장치(5)와의 사이에서의 물품(B)의 주고받음을 적정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반송 컨베이어(100)를 부착할 때에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 및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의 양 방향에서 반송 컨베이어(100)를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반송 컨베이어(100)를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컨베이어(100)로서 제 1 반송 컨베이어(101)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반송 컨베이어(101)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 및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의 양 방향에서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에 대해서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와 외부 물품 반송장치 (15)와의 사이에서의 물품(B)의 주고받음 위치가 되고 있기 때문에,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의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에서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 및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의 양 방향에서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부착하기 위한 구성은, 제 1 반송 컨베이어(101)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에서 같고, 제 2 반송 컨베이어 (102)에는,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에서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부착하기 위한 구성이 더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 제 2 반송 컨베이어 (102)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부착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제 1 반송 컨베이어(101)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제 1 반송 컨베이어(101)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상태로 부착하기 위한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한 선반 상하방향에서의 부착]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반 상하방향(도면중 Z방향)에서 설정 설치 위치에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부착하기 위해서, 구획체(1)의 측벽부(1a)에는, 반송 컨베이어(100)의 바닥부를 자유로이 받아들여 지지하는 받아 멈춤 지지부(16)가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떼어낸 상태에서 선반 가로폭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의 물품 보관 설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물품 보관 설비에 있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설정 설치 위치에 상당하는 부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a)에서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에서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받아 멈춤 지지부(16)는, 구획체(1)의 측벽부(1a)를 구성하는 측벽부 구성체 (17)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고, 그 측벽부 구성체(17)는, 평면에서 보아, 선반 전후 폭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늘어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아 멈춤 지지부(16)는, 측벽부 구성체(17)에 더하여, 평면에서 보아, 일단부가 측벽부 구성체(17)에 고정되어 선반 전후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3개의 제 1 받아 멈춤 지지부(18)와, 선반 전후 폭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갖고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2 받아 멈춤 지지부(1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받아 멈춤 지지부(19)는,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제 1 받아 멈춤 지지부(18)의 단부의 각각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받아 멈춤 지지부(16)는, 평면에서 보아, 측벽부 구성체(17), 제 1 받아 멈춤 지지부(18), 제 2 받아 멈춤 지지부(19)에 의해 직사각형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중,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위의 선반 전후방향의 양단부를, 측벽부 구성체(17) 및 제 2 받아 멈춤 지지부(19)로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가 1조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바닥부끼리를 연결하는 컨베이어 연결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획체(1)의 측벽부(1a)에는, 설정 설치 위치에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위치결정한 상태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에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L자 형상의 고정 브래킷(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 브래킷(21)은,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바닥부에 볼트 등의 고정구의 체결에 의해 연결된다.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선반 가로폭 방향 및 선반 전후 폭방향의 양 방향에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위치결정하기 위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결정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는 제 1 위치결정수단(22)과,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는 제 2 위치결정수단(23)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물품 보관 설비를 선반 전후 폭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물품 보관 설비를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할 때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a)는,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6(b)는,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한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의 위치결정]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위치결정수단(22)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제 1 피걸어맞춤부(24)(피걸어맞춤부에 상당한다)의 각각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는 제 1 걸어맞춤부(25)(걸어맞춤부에 상당한다)를 복수(예를 들면 2개) 구비하고, 그 제 1 걸어맞춤부(25)가 제 1 피걸어맞춤부(24)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피걸어맞춤부(24)는,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 1 피걸어맞춤부(24)는, 2개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바닥부끼리에 연결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연결체(27)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하방측이 개구된 오목 형상의 홈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체(27)에서 그 오목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 개소를 보강하는 오목 형상의 보강체(2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부(25)는, 측벽부 구성체(17)에 설치된 평판 형상의 판 형상체(26)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 형상체(26)는, 선반 상하방향에 일정한 폭을 갖고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늘어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판 형상체(26)가, 측벽부 구성체(17)중,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걸어맞춤부(25)는,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판 형상체(26)로부터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측으로 돌출되는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방측이 개구된 오목 형상의 홈부인 제 1 피걸어맞춤부(24)를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제 1 피걸어맞춤부 (24)에 핀인 제 1 걸어맞춤부(25)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 1 걸어맞춤부(25)를 제 1 피걸어맞춤부(24)에 걸어맞춤시키고, 그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제 2 반송 컨베이어 (102)의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다.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한 선반 전후 폭방향에서의 위치결정]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위치결정수단(23)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제 2 피걸어맞춤부(29)(피걸어맞춤부에 상당한다)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는 제 2 걸어맞춤부(30)(걸어맞춤부에 상당한다)를 구비하고, 그 제 2 걸어맞춤부(30)가 제 2 피걸어맞춤부(29)에 걸어맞춰진 상태에서 제 2 반송 컨베이어 (102)의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피걸어맞춤부(29)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바닥부로부터 가로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된 컨베이어 연결부(20)의 돌출부위(31)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 구멍부(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받아 멈춤 지지부(19)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 구멍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구멍부(32)와 제 2 구멍부(33)와의 위치 관계가,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적정한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제 1 구멍부(32)와 제 2 구멍부(33)가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 동일 위치가 되어, 제 1 구멍부(32)와 제 2 구멍부(33)가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구멍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부(30)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자 형상의 날밑부착된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멍부(32)와 제 2 구멍부(33)가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제 1 구멍부(32)와 제 2 구멍부(33)에 걸쳐서 상하 방향으로 긴 자 형상의 핀인 제 2 걸어맞춤부(30)를 삽입함으로써, 제 2 걸어맞춤부(30)를 제 2 피걸어맞춤부(29)에 걸어맞춤시켜, 그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전후 가로폭 방향(도면중 Y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다.
덧붙여서, 제 2 걸어맞춤부(30)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자 형상의 날밑부착된 핀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날밑부가 그것보다 선단측 부위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구멍부분에 삽입시킬 때에 날밑부의 단차부가 접촉함으로써 그 이상의 구멍부에의 삽입량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 걸어맞춤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로이 끼우고 떼내는 핀 수납부(34)가, 제 1 받아 멈춤 지지부(18)로부터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설치된 연장 설치체(35)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걸어맞춤부(30)는, 일단부가 제 1 받아 멈춤 지지부(18)에 고정된 끈 등의 끈 형상체(36)에 연결되어 있어, 제 2 걸어맞춤부(30)의 분실 등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걸어맞춤상태 검출]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선반 가로폭 방향 및 선반 전후 폭방향의 양 방향에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가 위치결정되는 것이지만, 제 2 반송 컨베이어(102)가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위치결정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걸어맞춤부가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춰져 있는 걸어맞춤상태를 검출하는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은,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걸어맞춤부(30)가 제 2 피걸어맞춤부(29)에 걸어맞춰져 있는 걸어맞춤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은, 제 2 걸어맞춤부(30)가, 제 2 피걸어맞춤부(29)인 제 1 구멍부(32) 및 제 2 구멍부(33)에 삽입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함으로써, 걸어맞춤상태인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있다. 즉,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은, 투광부에서 투광된 빛을 수광부에서 수광하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투수광식의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제 2 걸어맞춤부(30)가 제 1 구멍부(32) 및 제 2 구멍부(33)에 삽입되면, 제 2 걸어맞춤부(30)에서 투광부로부터의 빛이 차단되어 수광부에서 수광되지 않고, 걸어맞춤상태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한 선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결정]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는,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었을 때에 물품 반송방향의 절반 이상이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에 존재하므로(도 2 참조), 받아 멈춤 지지부(16)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중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위를 받아 멈추고 지지하는 것만으로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와 외부 물품 반송장치(15)와의 사이에서 물품(B)을 주고받는 위치로 되어 있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외부 위치(G)가 선반 상하방향에서 하방측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중,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에 존재하는 부위를 지지하는 매달기식의 지지수단(3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반송 컨베이어 (102)는, 그 매달기식의 지지수단(36)에 대해서 자유로이 부착 및 떼어내도록 구성되어 있고, 매달기식의 지지수단(36)에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부착하는 경우에,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는 높이용 위치결정부(3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달기식의 지지수단(36)은, 천정부에 매달아 지지되어 선반 전후 폭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1 매달기 지지부(38)와, 그 제 1 매달기 지지부(38)로부터 하방측으로 늘어나는 2개의 제 2 매달기 지지부(39)와, 제 1 매달기 지지부(38)와 제 2 매달기 지지부(39)의 하단부 부근을 연결하는 매달기 연결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있다. 한편,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에는, 매달기식의 지지수단(36)에 부착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늘어나는 2개의 컨베이어측 매달기 지지부(41)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컨베이어측 매달기 지지부(41)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물품 반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1개의 컨베이어측 매달기 지지부(41)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제 2 매달기 지지부(39)와 2개의 컨베이어측 매달기 지지부(41)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지지수단(36)에 대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되어 있고, 2개의 제 2 매달기 지지부(39)와 2개의 컨베이어측 매달기 지지부(41)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지지수단(36)으로부터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자유로이 떼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수단(36)에 대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부착했을 때에는, 지지수단(36)이,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중, 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에 존재하는 부위를 매달아 지지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높이용 위치결정부(37)는, 제 2 매달기 지지부 (39)와 컨베이어측 매달기 지지부(41)를 연결하는 개소가 되는, 제 2 매달기 지지부(39)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높이용 위치결정부(37)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도록 높이용 걸어맞춤부(43)를 구비하고, 그 높이용 걸어맞춤부(43)가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는, 컨베이어측 매달기 지지부(4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고,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수평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잘린 부분(44)이 형성된 2매의 판 형상체를 상하 방향으로 포개어 구성되어 있다. 높이용 걸어맞춤부 (43)는, 제 2 매달기 지지부(39)의 하단 부위 중, 그 바깥지름 및 그 외형의 형상이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에 자유로이 끼우고 떼도록 형성된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2 매달기 지지부(39)의 하단부에는, 그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설정 높이 범위의 부위에 나사부(4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45)가 높이용 걸어맞춤부(43)로서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에 자유로이 끼우고 떼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사부(45)에는, 잘린 부분(44)보다 크기가 큰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2개의 너트부가 나사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측에 위치하는 제 2 너트부(47)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간격을 넓혀,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사이에서의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에 자유로이 끼우고 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사이에서의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 (42)의 잘린 부분(44)에 끼워 넣었을 때에는, 제 1 너트부(46)가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를 받아들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수단(36)에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부착할 때에는, 제 2 너트부(47)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간격을 넓혀 두고,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사이에서의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에 끼워 넣음으로써, 높이용 걸어맞춤부(43)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에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그리고,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 (42)의 잘린 부분(44)에 끼워넣은 상태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하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 너트부(46)가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를 받아들여 지지한다. 그 후, 제 2 너트부(47)를 회전시켜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에서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높이용 위치결정부(37)는, 나사부(45)인 높이용 걸어맞춤부(43), 제 1 너트부(46), 제 2 너트부 (47)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수단(36)으로부터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떼어낼 때에는, 제 2 너트부(47)를 회동시킴으로써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간격을 넓혀,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사이에서의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지지수단(36)으로부터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자유로이 떼어내도록 되어 있다.
[개폐체]
도 3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획체(1)의 측벽부(1a)에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부착하기 위한 개구부(7)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구부(7)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개폐체(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체(49)는, 작업자 등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와의 사이에서 선반 상하방향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개폐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승 위치가 개구부(7)를 개구시키는 위치가 되어 있고, 하강 위치가 개구부(7)를 폐색하는 위치가 되어 있다. 그리고, 상승 위치 및 하강 위치의 각각에서 개폐체(49)의 위치를 유지하는 개폐체 받아 멈춤부(50)나 잠금부(5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개폐체(49)로 개구부(7)가 폐색되어 있는 폐색상태를 검출하는 폐색상태 검출수단(52)이 설치되어 있다. 폐색상태 검출수단(52)은, 개폐체(49)에 설치된 피검출체(53)를 검출하는 센서(54)(예를 들면 근접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54)는, 개구부(7)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7)가 개폐체(49)로 폐색되면, 개폐체(49)에 설치된 피검출체(53)가 센서(54)에 근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54)가 피검출체(53)를 검출함으로써, 폐색상태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떼어내져 있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는, 컨베이어 반송용 대차(55)에 얹어놓고 지지하는 상태로 자유로이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높은 위치에 얹어놓고 지지한 상태에서 컨베이어 반송용 대차(55)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가 반송되어, 개폐체(49)를 조작하여 개구부(7)를 열고, 개구부(7)를 통하여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가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에 삽입된다. 덧붙여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는, 떼어내졌을 때에 주행체(100b)를 컨베이어 본체(100a)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이 부착되어 있고, 이 고정 브래킷에 의해 주행체 (100b)가 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반송용 대차(55)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얹어놓고 지지하는 높이를 자유로이 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얹어놓고 지지하는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중, 선반 설치공간(2)의 내부에 삽입된 부위를 받아 멈춤 지지부(16)에 얹어놓고 지지시킨다. 이 때,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부(25)를 제 1 피걸어맞춤부(24)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 1 위치결정수단(22)에 의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걸어맞춤부(30)를 제 2 피걸어맞춤부(29)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제 2 위치결정수단 (23)에 의해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선반 가로폭 방향(도면중 X방향)에서의 위치 및 선반 전후 폭방향(도면중 Y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면, 고정 브래킷(21)을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바닥부에 볼트 등의 고정구(K)의 체결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설정 설치 위치에 제 2 반송 컨베이어 (102)를 부착한다.
그 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너트부(47)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간격을 넓혀 두고,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와의 사이에서의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에 끼워 넣음으로써, 높이용 걸어맞춤부(43)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에 걸어맞춘다. 그리고,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에 끼워 넣은 상태로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하방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 너트부(46)가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를 받아들인다. 그 후, 제 2 너트부(47)를 회전시켜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에서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를 끼워 넣음으로써,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설정 설치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다.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낼 때에는, 컨베이어 반송용 대차(55)를 소정의 위치(선반 설치공간(2)의 외부에 존재하는 제 2 반송 컨베이어(102)의 부위를 얹어놓고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시켜 두고, 제 2 걸어맞춤부(30)를 제 2 피걸어맞춤부(29)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후, 고정구(K)를 떼어낸다. 그리고, 컨베이어 반송용 대차(55)의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얹어놓고 지지하는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제 1 걸어맞춤부(25)를 제 1 피걸어맞춤부(2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고,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받아 멈춤 지지부(16)로부터 들어 올린다. 그 후,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너트부(47)를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의 간격을 넓혀, 제 1 너트부(46)와 제 2 너트부(47)의 사이에서의 나사부(45)를 높이용 피걸어맞춤부(42)의 잘린 부분(44)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지지수단(36)으로부터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떼어낸다. 그리고, 컨베이어 반송용 대차(55)에서 소정의 개소에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반송하고, 개폐체(49)를 조작하여 개구부(7)를 닫는다.
이 물품 보관 설비에는, 반송 컨베이어(100)의 작동 및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에는, 폐색상태 검출수단(52)으로 폐색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고 또한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반송 컨베이어(100)가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상태라고 판별하고, 폐색상태 검출수단(52)으로 폐색상태가 검출되어 있고 또한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반송 컨베이어(100)가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내져 있는 떼어냄 상태라고 판별하는 설치상태 판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설치상태 판별수단으로 부착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는 경우에, 반송 컨베이어(100) 및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허용하고, 반송 컨베이어 (100) 및 물품 반송장치(5)를 작동시켜 물품 보관 설비를 운용하고 있다. 또한, 제어수단은, 설치상태 판별수단으로 떼어냄 상태라고 판별하고 있는 경우에, 물품 반송장치(5)의 작동을 허용하고, 물품 반송장치(5)를 작동시켜 물품 보관 설비를 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상태 판별수단으로 부착상태 및 떼어냄 상태를 정확하게 판별함으로써, 부착상태 뿐만 아니라, 떼어냄 상태에서도, 물품 반송 설비를 운용할 수 있어, 설비의 운용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에,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물품(B)을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100)의 반송 작동을 금지하고,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48)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반송 컨베이어(100)의 반송 작동을 허용하는 반송 작동 규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실제로 설정 설치 위치에 반송 컨베이어(100)가 부착되었을 때에만, 반송 컨베이어(100)의 반송 작동을 허용할 수 있어, 안전성의 면에서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별도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물품 반송장치(15)로서, 천정 반송식 반송대차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 외 각종의 반송대차 등을 적응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컨베이어(100)로서, 제 1 반송 컨베이어 (101)와 제 2 반송 컨베이어(102)를 구비하고 있지만, 제 1 반송 컨베이어(101)만 혹은 제2 반송 컨베이어(102)만 구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1 : 구획체
2 : 선반 설치공간
3 : 수납부
4 : 물품 수납선반
5 : 물품 반송장치
7 : 개구부
15 : 외부 물품 반송장치
16 : 받아 멈춤 지지부
22 : 제 1 위치결정수단
23 : 제 2 위치결정수단
24 : 제 1 피걸어맞춤수단
25 : 제 1 걸어맞춤부
29 : 제 2 피걸어맞춤부
30 : 제 2 걸어맞춤부
36 : 지지수단
37 : 높이용 위치결정부
42 : 높이용 피걸어맞춤부
43 : 높이용 걸어맞춤부
48 :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
49 : 개폐체
52 : 폐색상태 검출수단
100 : 반송 컨베이어
B : 물품
N : 내부 위치
G : 외부 위치

Claims (7)

  1.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구획체와, 상기 구획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의 내부 위치와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의 외부 위치에 걸쳐서 늘어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부 위치와 상기 내부 위치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자유로이 반송하도록 반송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내부에는, 복수의 수납부를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한 물품 수납선반과,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 및 상기 수납부에 대한 정지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또한 그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 및 상기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물품 반송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로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내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일단부로 하고 또한 상기 외부 위치를 물품 반송방향의 타단부로 하는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받아 멈춤 지지부로 받아들여 지지되는 상태로 자유로이 부착하도록 또한 그 설정 설치 위치에 대해서 자유로이 떼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피걸어맞춤부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도록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그 걸어맞춤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위치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설치 위치는, 그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내부 위치가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선반 상하방향 및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 상기 수납부와 나란한 위치에 자유로이 배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으로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선반 가로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한 제 1 위치결정수단과,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상기 물품 수납선반의 선반 전후 폭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한 제 2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걸어맞춤상태를 검출하는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물품을 반송하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작동을 금지하고,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작동을 허용하는 반송작동 규제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에 대한 정지 위치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또한 그 정지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외부 위치에 대해서 물품을 자유로이 이동 적재하도록 한 외부 물품 반송장치와,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는 반송 컨베이어중, 상기 선반 설치공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는, 상기 지지수단에 대해서 자유로이 부착 및 떼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를 부착하는 경우에,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높이용 피걸어맞춤부에 자유로이 걸어맞추도록 높이용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그 높이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높이용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한 상태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선반 상하방향에서의 위치를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자유로이 위치결정하도록 높이용 위치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개폐체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로 상기 개구부가 폐색되어 있는 폐색상태를 검출하는 폐색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걸어맞춤상태를 검출하는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폐색상태 검출수단으로 폐색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설정 설치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부착상태라고 판별하고, 상기 폐색상태 검출수단으로 폐색상태가 검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걸어맞춤상태 검출수단으로 걸어맞춤상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설정 설치 위치로부터 떼어내져 있는 떼어냄 상태라고 판별하는 설치상태 판별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KR1020110009267A 2010-02-01 2011-01-31 물품 보관 설비 KR101560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0596 2010-02-01
JP2010020596A JP5370775B2 (ja) 2010-02-01 2010-02-01 物品保管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824A true KR20110089824A (ko) 2011-08-09
KR101560019B1 KR101560019B1 (ko) 2015-10-13

Family

ID=4458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267A KR101560019B1 (ko) 2010-02-01 2011-01-31 물품 보관 설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70775B2 (ko)
KR (1) KR101560019B1 (ko)
TW (1) TWI46011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110A (ko) * 2011-08-11 2013-02-2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KR20160084420A (ko) * 2013-11-12 2016-07-13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 설비
KR20170082465A (ko) * 2016-01-06 2017-07-1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 선반, 및 물품 수납 선반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0343B2 (ja) * 2012-08-06 2016-03-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TWI606963B (zh) * 2013-11-15 2017-12-01 大福股份有限公司 物品收納設備
JP6512127B2 (ja) * 2016-02-16 2019-05-1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搬送設備
CN107380910A (zh) * 2017-07-21 2017-11-24 艾信智慧医疗科技发展(苏州)有限公司 用于医院物流系统的吊装支架
WO2021152781A1 (ja) * 2020-01-30 2021-08-05 平田機工株式会社 搬送装置、搬送システム及び位置決め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726B2 (ja) * 1989-09-27 1995-12-13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H04106014A (ja) * 1990-08-23 1992-04-08 Daifuku Co Ltd クリーンルーム用コンベヤ装置
JPH09216703A (ja) * 1996-02-15 1997-08-19 Daifuku Co Ltd 自動倉庫設備
WO1999013495A2 (en) * 1997-09-12 1999-03-18 Novus Corporation Sealed cabinet for storage of semiconductor wafers
JP3832294B2 (ja) * 2001-08-31 2006-10-11 株式会社ダイフク 荷保管設備
JP3832293B2 (ja) * 2001-08-31 2006-10-11 株式会社ダイフク 荷保管設備
JP2003182811A (ja) * 2001-12-20 2003-07-03 Daifuku Co Ltd 物品の搬送装置
JP4254135B2 (ja) * 2002-05-30 2009-04-15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装置
JP3991852B2 (ja) * 2002-12-09 2007-10-17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110A (ko) * 2011-08-11 2013-02-2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KR20160084420A (ko) * 2013-11-12 2016-07-13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 설비
KR20170082465A (ko) * 2016-01-06 2017-07-1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수납 선반, 및 물품 수납 선반을 구비한 물품 수납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0775B2 (ja) 2013-12-18
TWI460112B (zh) 2014-11-11
JP2011157184A (ja) 2011-08-18
KR101560019B1 (ko) 2015-10-13
TW201139237A (en)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9824A (ko) 물품 보관 설비
KR102276842B1 (ko) 층간 반송 설비
US20170267469A1 (en) Raising/Lowering Conveyance Apparatus For Article Conveying Container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KR102432628B1 (ko) 물품 지지 장치
EP1626012A1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system
TW200521051A (en) Overhead traveling crane system
KR20190040086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0555B1 (ko) 적재물의 높이에 따른 거치 위치조절이 가능한 자동창고
KR20150010962A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시스템에서의 물품의 일시 보관 방법
US10988311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storage units
EP1918798B1 (en) Overhead travelling vehicle having ID reader
KR101584389B1 (ko) 창고 설비
CN114919909A (zh) 一种用于立体穿梭库的四向穿梭车的位置定位方法
KR20210083647A (ko)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KR20080044185A (ko) 물품 수납 장치용 프레임 시스템
CN114435833A (zh) 物品容纳设备
JP6287514B2 (ja) 物品搬送装置
CN219771680U (zh) 自动升降设备以及医疗物流搬运系统
BR102018007530A2 (pt) sistema de movimentação de cargas utilizando veículo guiado automaticamente
US11932488B2 (en) Modular vertical lift system
US7758293B2 (en) Apparatus for loading and/or unloading a transport compartment
JP4618513B2 (ja) ピッキング式の物品収納設備
JP5454880B2 (ja) 物品搬送設備
KR20240026100A (ko) 반송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