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647A -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647A
KR20210083647A KR1020190176138A KR20190176138A KR20210083647A KR 20210083647 A KR20210083647 A KR 20210083647A KR 1020190176138 A KR1020190176138 A KR 1020190176138A KR 20190176138 A KR20190176138 A KR 20190176138A KR 20210083647 A KR20210083647 A KR 20210083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emporary support
shuttle body
warehouse system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558B1 (ko
Inventor
노학승
Original Assignee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5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랙 구조물의 전방에 위치한 리프트에 임시 지지 레일을 설치하여 임시 지지 레일을 통해 셔틀 바디를 지상 외부 공간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틀 바디의 고장이나 기능 장애 발생시 별도의 호이스트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셔틀 바디를 편리하게 외부 인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컴팩트한 구조의 자동 물류 창고 내에서도 셔틀 바디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안전 사고 및 셔틀 바디의 파손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시 지지 레일이 설치된 2개의 리프트에 대해 각 캐리어의 상하 이동을 동기 제어함과 동시에 수평 감지부를 통해 임시 지지 레일의 수평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임시 지지 레일을 수평 유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어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 및 인입시 셔틀 바디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Automatic Warehouse System}
본 발명은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랙 구조물의 전방에 위치한 리프트에 임시 지지 레일을 설치하여 임시 지지 레일을 통해 셔틀 바디를 지상 외부 공간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틀 바디의 고장이나 기능 장애 발생시 별도의 호이스트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셔틀 바디를 편리하게 외부 인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컴팩트한 구조의 자동 물류 창고 내에서도 셔틀 바디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안전 사고 및 셔틀 바디의 파손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시 지지 레일이 설치된 2개의 리프트에 대해 각 캐리어의 상하 이동을 동기 제어함과 동시에 수평 감지부를 통해 임시 지지 레일의 수평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임시 지지 레일을 수평 유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어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 및 인입시 셔틀 바디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라는 용어는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의 줄임말로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제품, 재화를 효과적으로 옮겨주는 기능 또는 활동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포장, 하역, 수송, 보관 및 정보와 같은 여러 활동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제품, 재화를 수송하는 데는 포장, 보관, 집하/적재, 수송, 하역/배달, 보관 등의 여러 과정을 거친다. 어떠한 수송수단을 이용하든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제품, 재화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동의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것이 물적 유통(물류)인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대량생산, 대량판매, 대량소비가 시대의 추세가 되었으며, 그 사이를 잇는 물자의 흐름을 효율화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에 물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물류 창고는 일반적으로 공장 또는 생산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된 각종 식료품, 음료, 의류, 가전, 잡화 및 산업용품 등의 일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품들을 일시 또는 장기간 적재 보관하기 위한 저장창고를 말한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최근 물류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물류의 관리차원에서 벗어나 물류 창고 내 보관재고의 물품배치에서부터 효율적인 입출고는 물론 재고관리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물류 창고는 신속한 화물의 입고와 출고가 생명이기 때문에 대부분 기계화 또는 자동화된 화물의 적재 및 하역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자동화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스태커 크레인은 랙 창고 사이를 주행하며 물품을 승하강 및 수평 이동시켜 랙 창고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장치이고, 셔틀은 다단 랙 창고의 각 단과 동일 높이로 이송 대차가 수평 주행하며 랙 창고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장치이며, 리프트는 랙 창고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셔틀과 같은 물품 이송 장치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랙 창고의 전방 및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최근 온라인 쇼핑 등의 발달로 인해 다품종 소량 주문 형태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자동 창고 시스템 또한 신속한 처리와 효율성 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랙 창고의 효율적인 공간 배치는 물론 스태커 크레인, 셔틀, 리프트 등의 컴팩트한 배치 구조 또한 설계시 중요 고려 사항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컴팩트한 배치 구조에 따라 물류 자동화 설비에 대한 유지 보수 공간이 협소하여 유지 보수 작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셔틀의 경우, 랙 창고 사이 공간에 다단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평 주행 레일을 따라 복수개의 셔틀 바디가 수평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셔틀 바디의 고장이나 기능 장애가 발생하면, 셔틀 바디의 수리를 위해 셔틀 바디를 수평 주행 레일로부터 외부로 인출해야 한다. 이때, 셔틀 바디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호이스트 장비 등을 이용하여 셔틀 바디를 들어올려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 경우, 주변 공간이 협소하여 셔틀 바디를 외부 인출하기가 어렵다. 또한, 작업 인력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높은 곳에 위치한 셔틀 바디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인출 과정에서 셔틀 바디가 파손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717447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랙 구조물의 전방에 위치한 리프트에 임시 지지 레일을 설치하여 임시 지지 레일을 통해 셔틀 바디를 지상 외부 공간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틀 바디의 고장이나 기능 장애 발생시 별도의 호이스트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셔틀 바디를 편리하게 외부 인출할 수 있어 컴팩트한 구조의 자동 물류 창고 내에서도 셔틀 바디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안전 사고 및 셔틀 바디의 파손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시 지지 레일이 설치된 2개의 리프트에 대해 각 캐리어의 상하 이동을 동기 제어함과 동시에 수평 감지부를 통해 임시 지지 레일의 수평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임시 지지 레일을 수평 유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 및 인입시 셔틀 바디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한 작동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다수개의 랙이 상하 방향으로 다단 형성되는 랙 구조물과, 상기 랙 구조물과 인접하게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주행 레일을 따라 셔틀 바디가 이동하며 상기 랙 구조물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셔틀 장치와, 상기 셔틀 바디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상기 랙 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어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 구조물은 상기 셔틀 장치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편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리프트는 상기 랙 구조물 각각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셔틀 장치의 전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리프트 사이에는 상기 셔틀 바디가 임시 이동 안착할 수 있는 임시 지지 레일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셔틀 바디는 상기 수평 주행 레일로부터 상기 임시 지지 레일로 임시 이동하여 상기 임시 지지 레일과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리프트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스트 프레임; 및 상기 마스프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컨베이어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은 2개 리프트의 캐리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틀 바디를 상기 수평 주행 레일로부터 상기 임시 지지 레일로 임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의 주행면이 상기 수평 주행 레일의 주행면과 동일 높이로 유지되도록 상기 캐리어가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상하 높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은 2개의 리프트 중 어느 하나의 캐리어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수평 주행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레일과, 2개의 리프트 중 나머지 하나의 캐리어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제 1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은 별도의 연결 프레임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전방 및 후방 끝단부에는 상기 셔틀 바디가 이동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틀 바디의 전후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가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셔틀 바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제한 해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이 연결 결합되는 2개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이 동일 높이로 유지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기 제어되어 동일한 속도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이 동일 높이로 수평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2개의 캐리어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수평 상태가 기준치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2개의 캐리어의 상하 이동이 중단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은 상기 2개의 리프트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랙 구조물의 전방에 위치한 리프트에 임시 지지 레일을 설치하여 임시 지지 레일을 통해 셔틀 바디를 지상 외부 공간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셔틀 바디의 고장이나 기능 장애 발생시 별도의 호이스트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셔틀 바디를 편리하게 외부 인출할 수 있어 컴팩트한 구조의 자동 물류 창고 내에서도 셔틀 바디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안전 사고 및 셔틀 바디의 파손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시 지지 레일이 설치된 2개의 리프트에 대해 각 캐리어의 상하 이동을 동기 제어함과 동시에 수평 감지부를 통해 임시 지지 레일의 수평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임시 지지 레일을 수평 유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셔틀 바디의 외부 인출 및 인입시 셔틀 바디의 추락 사고 등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한 작동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지지 레일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서 셔틀 바디의 인출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지지 레일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서 셔틀 바디의 인출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다수개의 랙(110)이 상하 방향으로 다단 형성되는 랙 구조물(100)이 설치된다. 다수개의 랙(110)은 물품을 적재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랙 구조물(100)과 인접한 위치에는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주행 레일(210)을 따라 셔틀 바디(220)가 이동하며 랙 구조물(100)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셔틀 장치(200)가 설치된다. 수평 주행 레일(210)은 다수개 랙(110)의 각 단에 대응하여 수평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셔틀 바디(220)는 각각의 수평 주행 레일(21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셔틀 바디(220)에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되어 물품을 파지 및 파지 해제하는 텔레스코픽 아암(미도시)이 설치되고, 이러한 텔레스코픽 아암을 통해 랙(110)으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한다.
랙 구조물(100)의 전방에는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300)가 설치되며, 컨베이어(300)는 셔틀 바디(220) 및 리프트(400)와 물품을 상호 전달한다. 이러한 컨베이어(300)는 다수개의 랙(110)의 각 단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된다. 셔틀 바디(220)에 의해 랙(110)으로부터 출고된 물품은 셔틀 바디(220)의 이동에 의해 컨베이어(300)에 전달되고, 컨베이어(300)에 전달된 물품은 리프트(400)에 전달되어 리프트(40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와 반대로 리프트(400)로부터 컨베이어(300)로 물품이 전달되면, 셔틀 바디(220)는 컨베이어(300)에 전달된 물품을 파지하고 수평 주행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여 특정 위치의 랙(110)에 물품을 입고시킨다.
리프트(400)는 컨베이어(3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컨베이어(300)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컨베이어(300)로부터 물품을 전달받고 전달받는 물품을 상하 이동시켜 외부에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전달받은 물품을 상하 이동시켜 컨베이어(300)에 전달한다.
랙 구조물(100)은 셔틀 장치(20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편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컨베이어(300)와 리프트(400)는 랙 구조물(100) 각각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컨베이어(300)와 리프트(400)는 셔틀 장치(200)의 전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셔틀 장치(200)의 전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리프트(400) 사이에는 셔틀 바디(220)가 임시 이동 안착할 수 있는 임시 지지 레일(50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셔틀 바디(220)는 수평 주행 레일(210)로부터 임시 지지 레일(500)로 임시 이동 가능하며, 임시 지지 레일(500)에 이동 안착한 상태에서 임시 지지 레일(500)과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서는 셔틀 바디(220)의 고장이나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셔틀 바디(220)를 수평 주행 레일(210)로부터 인출해야 하는 경우, 작업자가 셔틀 바디(220)를 밀어 임시 지지 레일(500)로 이동시키고, 셔틀 바디(220)가 임시 지지 레일(500)에 이동 안착된 상태에서 임시 지지 레일(500)을 하향 이동시켜 셔틀 바디(220)를 지상 외부 공간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호이스트 장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셔틀 바디(220)를 편리하게 외부 인출할 수 있어 컴팩트한 구조의 자동 물류 창고 내에서도 셔틀 바디(22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많은 작업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안전 사고 및 셔틀 바디(220)의 파손과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임시 지지 레일(500)은 2개의 리프트(400) 사이에 배치되는 별도의 상하 구동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하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프트(400)의 작동을 통해 임시 지지 레일(500)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리프트(40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스트 프레임(410)과, 마스트 프레임(410)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컨베이어(300)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캐리어(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임시 지지 레일(500)은 양측이 2개 리프트(400)의 캐리어(420)에 각각 연결 결합되어 캐리어(420)와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임시 지지 레일(500)이 2개 리프트(400)의 캐리어(420)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 결합되어 해당 캐리어(420)와 함께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임시 지지 레일(5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리프트(400) 중 어느 하나의 캐리어(420)에 연결 결합되며 수평 주행 레일(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레일(510)과, 2개의 리프트(400) 중 나머지 하나의 캐리어(420)에 연결 결합되며 제 1 레일(5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레일(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이 동일 높이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을 연결하며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별도의 연결 프레임(530)(도 5 참조)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임시 지지 레일(500)은 셔틀 바디(220)의 인출 과정에서만 필요하므로, 평상시에는 제거될 수 있도록 2개의 리프트(4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셔틀 바디(220)를 인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리프트(400)의 캐리어(420)는 물품의 상하 이송을 위해 별도의 리프트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마스트 프레임(41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데, 고장난 셔틀 바디(22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리프트(400)의 캐리어(420)에 결합된 임시 지지 레일(500)이 해당 셔틀 바디(220)의 수평 주행 레일(210)과 동일 주행면을 이루도록 캐리어(420)를 상하 높이 조절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셔틀 바디(220)를 밀어내어 수평 주행 레일(210)로부터 임시 지지 레일(500)로 이동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420)를 하향 이동시켜 지상 외부 공간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캐리어(420)의 상하 이동은 리프트(400)의 리프트 구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리프트 구동장치는 별도의 제어부(600)를 통해 동작 제어된다.
임시 지지 레일(500)이 2개 리프트(400)의 캐리어(420)에 각각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경우, 임시 지지 레일(500)이 연결 결합된 2개의 캐리어(420)는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이 동일 높이로 유지되도록 동일한 속도로 상하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2개의 캐리어(420)를 상하 이동시키는 리프트 구동장치를 동기화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이 동일 높이의 수평 상태로 하향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임시 지지 레일(500)과 함께 하향 이동하는 셔틀 바디(220)가 기울어지거나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이 동일 높이로 수평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 감지부(7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수평 감지부(7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2개의 캐리어(420)에 대한 상하 이동 상태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수평 감지부(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일(510)에 장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 센서(710)와, 제 2 레일(520)에 장착되어 발광 센서(710)의 광을 수광하는 수광 센서(72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수평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평 감지부(700)에 의해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의 수평 상태가 기준치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600)는 2개의 캐리어(420)의 상하 이동이 중단되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레일(510)과 제 2 레일(520)의 전방 및 후방 끝단부에는 셔틀 바디(220)가 안착된 상태에서 셔틀 바디(220)의 전후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530)(도 3 참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토퍼(530)는 셔틀 바디(220)가 수평 주행 레일(210)로부터 임시 지지 레일(5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이동 범위 제한이 해제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셔틀 바디(2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제한 해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30)는 제 1 레일(510) 및 제 2 레일(520)의 주행면에 상향 돌출되거나 돌출 해제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랙 구조물
110: 랙
200: 셔틀 장치
210: 수평 주행 레일
220: 셔틀 바디
300: 컨베이어
400: 리프트
410: 마스트 프레임
420: 캐리어
500: 임시 지지 레일
510: 제 1 레일
520: 제 2 레일
530: 스토퍼
600: 제어부
700: 수평 감지부

Claims (10)

  1.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는 다수개의 랙이 상하 방향으로 다단 형성되는 랙 구조물과, 상기 랙 구조물과 인접하게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주행 레일을 따라 셔틀 바디가 이동하며 상기 랙 구조물로부터 물품을 입출고하는 셔틀 장치와, 상기 셔틀 바디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상기 랙 구조물의 전방에 설치되어 물품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물품을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리프트를 포함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랙 구조물은 상기 셔틀 장치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편에 각각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와 상기 리프트는 상기 랙 구조물 각각의 전방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셔틀 장치의 전후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2개의 리프트 사이에는 상기 셔틀 바디가 임시 이동 안착할 수 있는 임시 지지 레일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셔틀 바디는 상기 수평 주행 레일로부터 상기 임시 지지 레일로 임시 이동하여 상기 임시 지지 레일과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스트 프레임; 및
    상기 마스프 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하며 상기 컨베이어와 물품을 상호 전달하는 캐리어
    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은 2개 리프트의 캐리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와 함께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바디를 상기 수평 주행 레일로부터 상기 임시 지지 레일로 임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의 주행면이 상기 수평 주행 레일의 주행면과 동일 높이로 유지되도록 상기 캐리어가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작 제어되어 상하 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은
    2개의 리프트 중 어느 하나의 캐리어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수평 주행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레일과, 2개의 리프트 중 나머지 하나의 캐리어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제 1 레일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은 별도의 연결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전방 및 후방 끝단부에는 상기 셔틀 바디가 이동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틀 바디의 전후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가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셔틀 바디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거나 제한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이 연결 결합되는 2개의 캐리어는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이 동일 높이로 유지되도록 별도의 제어부에 의해 동기 제어되어 동일한 속도로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이 동일 높이로 수평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평 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2개의 캐리어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감지부에 의해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수평 상태가 기준치 이상 벗어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2개의 캐리어의 상하 이동이 중단되도록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지지 레일은 상기 2개의 리프트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KR1020190176138A 2019-12-27 2019-12-27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KR10239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38A KR102390558B1 (ko) 2019-12-27 2019-12-27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38A KR102390558B1 (ko) 2019-12-27 2019-12-27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647A true KR20210083647A (ko) 2021-07-07
KR102390558B1 KR102390558B1 (ko) 2022-04-27

Family

ID=7686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138A KR102390558B1 (ko) 2019-12-27 2019-12-27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5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174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4방향 주행셔틀
CN115872084A (zh) * 2022-12-31 2023-03-31 中山市博测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高柔性立库老化单元生产线
KR20230117772A (ko) * 2022-02-03 2023-08-10 티더블유에스 주식회사 Cnc 기반 머신 비전 검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305A (ja) * 1993-01-19 1994-08-02 Hitachi Ltd 自動倉庫設備及びその入出庫設備
JPH08312186A (ja) * 1995-05-15 1996-11-26 Murata Mach Ltd 昇降台の傾斜検知装置
KR20090051821A (ko) * 2007-11-20 2009-05-2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티칭용 지그
KR101697657B1 (ko) * 2014-07-16 2017-01-18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화물 시스템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305A (ja) * 1993-01-19 1994-08-02 Hitachi Ltd 自動倉庫設備及びその入出庫設備
JPH08312186A (ja) * 1995-05-15 1996-11-26 Murata Mach Ltd 昇降台の傾斜検知装置
KR20090051821A (ko) * 2007-11-20 2009-05-25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티칭용 지그
KR101697657B1 (ko) * 2014-07-16 2017-01-18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 화물 시스템
KR101717447B1 (ko) 2015-05-21 2017-03-2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셔틀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창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174A (ko)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4방향 주행셔틀
KR20230117772A (ko) * 2022-02-03 2023-08-10 티더블유에스 주식회사 Cnc 기반 머신 비전 검사 시스템
CN115872084A (zh) * 2022-12-31 2023-03-31 中山市博测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高柔性立库老化单元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558B1 (ko) 202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558B1 (ko) 자동 물류 창고 시스템
TWI642611B (zh) Picking system and picking method
EP3099605B1 (en) A multi-storey goods storage arrangement
EP3166875B1 (en) Lift configuration for carriage-based warehouse
US10479601B2 (en) Sorting system and sorting method
JP6521063B2 (ja) 自動倉庫及び懸垂式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733544B1 (ko) 화물 비상 반출이 가능한 물류 자동창고 시스템
CN110436105B (zh) 一种智能物流存储仓库
JP6973994B2 (ja) 立体自動倉庫
GB1249481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ystems for the storage, handling, sele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JP6694126B2 (ja) 立体自動倉庫
JPS6337006A (ja) 物品仕分け設備
JP7135243B2 (ja) 立体自動倉庫
JP3164204B2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JP6657661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KR102124818B1 (ko) 물품 이송 대차용 포크 어셈블리
US20060228203A1 (en) Method for the takeover and/or handover and for the transport of goods
JP6579492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4898490B2 (ja) 自動倉庫および入庫方法
JP6693299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ピッキング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395047B1 (ko) 천장 주행형 물품 이송 시스템
JP3510045B2 (ja) 物品保管設備
JP2018034968A (ja) ツインシャトルラックシステム
KR102367429B1 (ko) 셔틀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JP7206811B2 (ja) 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