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285A -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의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의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16285A KR20130016285A KR1020127026995A KR20127026995A KR20130016285A KR 20130016285 A KR20130016285 A KR 20130016285A KR 1020127026995 A KR1020127026995 A KR 1020127026995A KR 20127026995 A KR20127026995 A KR 20127026995A KR 20130016285 A KR20130016285 A KR 201300162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polyolefin
- weight
- polymer composition
- crosslink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DC 전기적 특성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의 전력 케이블 층에서의 용도, 및 이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에 의해 둘러싸인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고 후에 가교결합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고 후에 가교결합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 및 케이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압(HP) 공정에서 생성되는 폴리올레핀은 중합체가 높은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 까다로운 중합체 용도에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 용도, 특히 중간압(MV), 특별히 고압(HV) 및 초고압(EHV) 케이블 용도에서, 중합체 조성물의 전기적 특성은 상당히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중요한 전기적 특성은 교류(AC) 케이블 용도와 직류(DC) 케이블 용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이한 케이블 용도에서 상이할 수 있다.
전형적인 전력 케이블은 적어도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에 의해 그 순서대로 둘러싸인 도체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도체 상에 층을 압출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케이블의
가교결합
종종 상기 층중 하나 이상의 중합체 물질을 가교결합시켜, 예를 들어 케이블의 층(들)의 중합체의 내열성 및 변형 저항성, 크립(creep) 특성, 기계적 강도,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을 개선한다. 중합체의 가교결합 반응에서는, 중합체간 가교결합(가교)이 주로 형성된다. 예컨대 자유 라디칼 발생 화합물을 사용하여 가교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층(들)을 도체 상에 압출시키기 전에 층 물질에 자유 라디칼 발생제를 전형적으로 혼입시킨다. 층상 케이블을 형성시킨 후, 케이블을 가교결합 단계에 적용시켜 라디칼 형성, 및 이에 의해 가교결합 반응을 개시시킨다. 퍼옥사이드가 자유 라디칼 발생 화합물로서 매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생성되는 퍼옥사이드의 분해 생성물은 종종 바람직하지 못한(왜냐하면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휘발성 부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메테인 같은 휘발성 분해 생성물을 가교결합 및 냉각 단계 후에 통상적으로 최소량으로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통상 탈기 단계로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제거 단계에는 시간 및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어, 추가적인 비용을 야기한다.
전기 전도율
DC 전기 전도율은 예를 들어 고압 직류(HV DC) 케이블용 절연 물질에 중요한 물질 특성이다. 우선, 이 특성의 강한 온도 및 전기장 의존성은 전기장에 영향을 미친다. 두번째 문제는 내부 반도체 층과 외부 반도체 층 사이에서 흐르는 누전 전류에 의해 절연 층 내부에서 열이 발생된다는 사실이다. 이 누전 전류는 절연 층의 전기장 및 전기 전도율에 따라 달라진다. 절연 물질의 높은 전도율은 심지어 높은 스트레스/고온 조건하에서 열 폭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도율은 열 폭주를 피하기에 충분히 낮아야 한다.
따라서, HV DC 케이블에서는, 누전 전류에 의해 절연 층이 가열된다. 특정 케이블 디자인의 경우, 가열은 절연 층 전도율×(전기장)2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압이 증가되면 더 많은 열이 발생된다.
JP 2018811A 호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2 내지 20중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함유하는 DC 케이블용 절연 층을 개시한다. 이 블렌드는 개선된 DC 방전 및 임펄스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이 블렌드를 가교결합제 2 내지 3중량%와 혼합한다. 케이블의 유형 및 층 구조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WO 0137289 호는 케이블 층 물질용의 특수한 열가소성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개시한다. 이 물질의 DC 용도에 대한 이용가능성은 논의되어 있지 않고, LV, MV 및 HV AC 케이블 및 원거리 통신 케이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전력 케이블, 특히 직류(DC) 전력 케이블의 전압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높으며, 따라서 감소된 전도율을 갖는 대체(alternative) 중합체 조성물을 찾을 필요성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까다로운 전력 케이블 실시양태에 요구되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 층을 제조하기 위한, 유리한 전기적 특성, 즉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다른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층이 유리한 전기적 특성, 즉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및 그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이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 및 정의된다.
본 발명은 (a) 폴리올레핀(이 폴리올레핀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경우 이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것임),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의 층,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예기치 못하게도, 중합체 조성물은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감소된, 즉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다. 본원에서 호환성 있게 사용되는 "감소된" 또는 "낮은" 전기 전도율은, 이후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정의된 DC 전도율 측정으로부터 수득되는 값이 낮음, 즉 감소됨을 의미한다. 낮은 전기 전도율은 예컨대 전력 케이블의 절연 층에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발열을 최소화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예기치 못하게도, 중합체 조성물은 퍼옥사이드 같은 가교결합제를 사용하는 가교결합 없이도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다. 또한 예기치 못하게도, 가교결합되지 않은 중합체 조성물도 여전히 전력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DC 전력 케이블의 층,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에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 즉 LDPE는 고압 공정에서 생성되는 폴리에틸렌이다. 전형적으로, 개시제(들)의 존재하에서 에틸렌과 임의적인 다른 공단량체(들)의 중합을 고압 공정에서 수행한다. LDPE 중합체의 의미는 널리 공지되어 있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용어 LDPE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약어이긴 하지만, 이 용어는 밀도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저밀도, 중간 밀도 및 고밀도의 LDPE-유사 HP 폴리에틸렌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LDPE는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서 생성되는 PE와 비교하여 상이한 분지화 구조 같은 전형적인 특징을 갖는 HP 폴리에틸렌의 특성만을 기재 및 구분한다. "가교결합되지 않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은 최종 DC 케이블(사용시)의 층에 존재하는 LDPE가 가교결합되지 않고 따라서 열가소성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낮은 전기 전도율은 중합체 조성물이 DC 전력 케이블 용도에 매우 바람직하게 만든다. 전력 케이블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이다(DC). DC 전력 케이블은 임의의 전압 수준에서 작동되는, 전형적으로는 1kV보다 높은 전압에서 작동되는, 에너지를 전달하는 DC 케이블인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중합체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저압(LV), 중간압(MV), 고압(HV) 또는 초고압(EHV)(이들 용어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 전압의 수준을 나타냄) DC 케이블일 수 있는 DC 전력 케이블에 매우 유리한 층 물질이다. 중합체 조성물은 HV DC 케이블 같은, 36kV보다 높은 전압에서 작동되는 DC 전력 케이블에 더더욱 바람직한 층 물질이다. HV DC 케이블의 경우, 작동 전압은 본원에서 대지와 고압 케이블의 도체 사이의 전압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에 의해 그 순서대로 둘러싸인 도체를 포함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이 때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연 층은 (a) 폴리올레핀(이 폴리올레핀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경우 이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것임),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DC 케이블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양태에서 또는 DC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 1 실시양태에서는, 순서대로 내부 반도체 층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절연 층은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며, 외부 반도체 층은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바람직하게는 LDPE 단독중합체 또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와 에틸렌의 LDP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인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DC 케이블의 제 1 실시양태에서는,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 및 절연 층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되지 않고,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이 가교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기치 못하게도, 이 제 1 실시양태의 최종 케이블의 전도율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은 DC 케이블 용도에, 심지어는 EHV DC 용도를 비롯한 HV DC 용도에 매우 적합하다.
이 실시양태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은 이후 제 1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로도 간략하게 칭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더욱 바람직한 제 2 실시양태에서 또는 DC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더욱 바람직한 제 2 실시양태에서는, 순서대로 내부 반도체 층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절연 층은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며, 외부 반도체 층은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LDPE가 아닌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러한 더욱 바람직한 제 2 실시양태에서, LDPE가 아닌 폴리올레핀 (a)는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되지 않는다. 이 실시양태에서,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DC 케이블의 제 2 실시양태에서는,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 및 절연 층의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되지 않고,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이 가교결합되지 않거나 또는 가교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은 이후 제 2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로도 간략하게 칭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40kV 이상, 심지어는 50kV 이상의 전압에서 작동되는 HV DC 전력 케이블의 층에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60kV 이상의 전압에서 작동되는 HV DC 전력 케이블의 층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매우 까다로운 케이블 용도에 매우 적합하고, 70kV보다 더 높은 전압에서 작동되는 HV DC 전력 케이블의 층에 사용될 수 있다. 상한은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적인 상한은 900kV일 수 있다. 본 발명은 75 내지 400kV,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350kV에서 작동되는 HV DC 전력 케이블 용도에 사용하기 유리하다. 본 발명은 또한 심지어 400 내지 850kV에서 작동되는 까다로운 초HV DC 전력 케이블 용도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HV DC 전력 케이블은 본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정된 전압에서 작동되는 HV DC 전력 케이블,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정된 전압에서 작동되는 초HV DC 전력 케이블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용어는 HV DC 케이블 및 EHV DC 케이블 용도 둘 다의 작동 구역을 독립적으로 포괄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본원에서 이후 "중합체 조성물"로도 간략하게 칭해진다. 상기 정의된 그의 중합체 성분은 또한 본원에서 "폴리올레핀 (a)" 및 개별적으로 "제 2 폴리올레핀 (b)"로 간략하게 칭해진다.
중합체 조성물은,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C 전도율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바람직하게는 160fS/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6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0fS/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fS/m, 더욱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fS/m의 전기 전도율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아닌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2 실시양태의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을 제조함으로써, DC 전력 케이블의 중합체 조성물의 전기 전도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즉 낮은 전기 전도율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에 기초하여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중량%, 더욱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중량%의 양으로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a)는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되고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비균질 상(heterophasic) 공중합체, 또는 뷰텐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C3 -20 알파-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된 폴리에틸렌"을 또한 흔히 "저압 폴리에틸렌"으로 칭하여, 이를 LDPE와 분명하게 구분한다. 두 표현 모두 폴리올레핀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a)는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공중합체,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공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이다. 저압 폴리에틸렌은 분자량 분포와 관련하여 단봉형(unimodal) 또는 다봉형(multimodal)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a)는 LLDPE 공중합체, MDPE 공중합체 또는 HDPE 중합체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a)는 분자량 분포와 관련하여 단봉형 또는 다봉형인 LLDPE 공중합체, MDPE 공중합체 또는 HDPE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LLDPE, MDPE 또는 HDPE 중합체는 분자량 분포와 관련하여 다봉형이다.
다른 똑같이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폴리올레핀 (a)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비균질 상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폴리올레핀 (a)로서의 저압 PE 또는 PP,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압 PE,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압 HDPE의 경우, 임의의 이론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저압 PE 또는 PP,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압 PE,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저압 HDPE에 존재하는 결정의 층 두께 및 이러한 결정의 중량 분율이 중합체 조성물의 감소된(즉, 개선된) 전기 전도율(상기 DC 전도율 방법에 따라 결정됨)에 추가로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바람직한 폴리올레핀 (a)가 중합체 조성물에 소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조차도, 이는 중합체 조성물의 개선된 전기 전도율 특성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이후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SC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10nm 이상의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을 3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5중량%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이후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SC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5중량%의, 층 두께가 10nm보다 큰 결정의 중량 분율을 갖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저압 PE 또는 PP,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압 PE,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저압 HDPE인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고, 이 폴리올레핀 (a)는, 이후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SC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10nm 이상의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을 3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5중량% 포함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저압 PE 또는 PP, 더욱 바람직하게는 저압 PE,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저압 HDPE인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고, 이 폴리올레핀 (a)는, 이후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SC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5중량%의,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의 중량 분율을 갖는다. 이러한 중합체는 예를 들어 시판되고 있으며, 예컨대 보레알리스(Borealis), 이네오스(Ineos), 토탈 페트로케미칼즈(Total Petrochemicals), 엑손모빌(Exxonmobil), 다우(Dow) 등에 의해 공급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되는 정의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층 두께" = 물질중 결정 층의 두께(0.1중량% 미만의 분율*은 무시함).
*는 1℃ 간격의 결정 분율을 가리킨다.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 = 중합체의 결정화된 부분의 양에 기초한, 10nm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결정의 분율.
"결정화도" = 결정질인 중합체의 중량%.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의 중량 분율[중량%]" =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결정화도".
하기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SC 방법에 따라, 정의된 특성을 측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에 기초하여 0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9.5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9.0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0중량%, 0 내지 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의 양으로 임의적인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는 제 2 실시양태의 폴리올레핀 (a)에 대해 상기 또는 이하 나중에 정의되는 폴리올레핀이고, 폴리올레핀 (a)와는 상이하거나, 또는 임의적으로 불포화된 LDPE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임의적으로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합체이다. 폴리올레핀 (b)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양태에서, 존재하는 경우 폴리올레핀 (b)는 임의적으로 불포화된 LDPE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임의적으로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LDPE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중 폴리올레핀 (a)와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양은 전형적으로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중합체 성분(들)의 총 중량의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중량%이다. 바람직한 중합체 조성물은 유일한 중합체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 (a)와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로 이루어진다. 이 표현은 중합체 조성물이 다른 중합체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유일한 중합체 성분(들)으로서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를 함유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중합체 조성물이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성분 외의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담체 중합체와의 혼합물, 즉 소위 마스터 배치에 임의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a)와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에 기초하여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지 않는다(폴리올레핀 (b) 0중량%).
따라서, 중합체 조성물이 폴리올레핀 (a)와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에 기초하여 100중량%의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유일한 중합체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 (a)로 이루어진다.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및 이들의 다른 특성 및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이후 나중에 추가로 기재된다.
제 2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은 가교결합제로 가교결합될 때에도 유리한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다.
"가교결합될 수 있음"은 중합체 조성물을 최종 용도에서 사용하기 전에 가교결합제(들)를 사용하여 가교결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교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은 가교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교결합의 경우, 중합체 조성물의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이 가교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 또는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유 라디칼 발생제를 사용하는 라디칼 반응을 거쳐 가교결합된다.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형적인 망상조직, 즉 중합체간 가교결합(가교)을 갖는다. 당 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은 언급되거나 문맥상 명백한 바와 같이 중합체 조성물, 가교결합 전 또는 후의 폴리올레핀 (a) 또는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에 존재하는 특징으로 본원에서 정의될 수 있고 정의된다. 예를 들어, 중합체 조성물중 가교결합제의 양 또는 폴리올레핀 (a) 또는 제 2 폴리올레핀 (b)의 MFR, 밀도 및/또는 불포화도 같은 조성 특성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가교결합 전에 정의된다. "가교결합된"은 가교결합 단계가 종래 기술에 대해 추가적인 차이를 만드는 다른 기술적 특징을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공정에 의한 생성물)에 제공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교결합은 중합체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과 변형 저항성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양태에서는, 가교결합되지 않은(즉, 가교결합제를 함유하지 않고 가교결합제로 가교결합되지 않은)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샘플로부터,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전기 전도율을 측정한다.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될 수 있고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는,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의 샘플로부터 전기 전도율을 측정한다(즉, 중합체 조성물의 샘플을 원래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가교결합제로 먼저 가교결합시킨 다음 수득된 가교결합된 샘플로부터 전기 전도율을 측정한다). 가교결합되지 않거나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 샘플로부터의 전도율 측정은,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다. 존재하는 경우 가교결합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아래 주어지는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은 임의적으로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11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90밀리몰(중합체 조성물에 기초하여 0 내지 2.4중량%의 다이큐밀 퍼옥사이드에 상응함),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75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5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4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7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5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4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3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0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20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10.0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7.0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5밀리몰 미만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퍼옥사이드인 가교결합제를 포함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즉, 첨가된 가교결합제 0중량%). 가교결합제가 존재하는 경우, 이의 하한은 제한되지 않으며,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1밀리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5밀리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5.0밀리몰 이상일 수 있다. 더 낮은 퍼옥사이드 함량은 요구되는 경우 생성되는 가교결합된 케이블의 요구되는 탈기 단계를 단축할 수 있다.
단위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밀리몰"은 본원에서 가교결합 전에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측정할 때 중합체 조성물 1kg당 퍼옥사이드 작용기의 함량(밀리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35밀리몰은 중합체 조성물의 총량(100중량%)에 기초하여 0.95중량%의 널리 공지되어 있는 다이큐밀 퍼옥사이드에 상응한다.
이러한 중합체 조성물은 하나의 유형의 퍼옥사이드 또는 둘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퍼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의 양(밀리몰)은 각 퍼옥사이드 유형의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의 양의 합이다. 적합한 유기 퍼옥사이드의 비한정적인 예로서, 다이-3급-아밀퍼옥사이드, 2,5-다이(3급-뷰틸퍼옥시)-2,5-다이메틸-3-헥사인, 2,5-다이(3급-뷰틸퍼옥시)-2,5-다이메틸헥세인, 3급-뷰틸큐밀퍼옥사이드, 다이(3급-뷰틸)퍼옥사이드, 다이큐밀퍼옥사이드, 뷰틸-4,4-비스(3급-뷰틸퍼옥시)-발레레이트, 1,1-비스(3급-뷰틸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3급-뷰틸퍼옥시벤조에이트, 다이벤조일퍼옥사이드, 비스(3급-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세인, 1,1-다이(3급-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1,1-다이(3급-아밀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퍼옥사이드는 2,5-다이(3급-뷰틸퍼옥시)-2,5-다이메틸헥세인, 다이(3급-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다이큐밀퍼옥사이드, 3급-뷰틸큐밀퍼옥사이드, 다이(3급-뷰틸)퍼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퍼옥사이드는 다이큐밀퍼옥사이드이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가교결합되지 않은 중합체 조성물의 전기 전도율은 놀라울 정도로 낮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양태에서, 가교결합되지 않은 중합체 조성물은 매우 유리한 낮은 전기 전도율을 갖고, DC 전력 케이블의 층,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에 사용하기 위해 가교결합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이 실시양태에서는, 케이블 층에 가교결합제를 사용함에 관련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할 수 있다. 자연히, 이 실시양태는 케이블 제조 공정을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한 가교결합되지 않은 중합체 조성물은 제 2 실시양태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이다.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본원에 사용되는 "가교결합 없이", "가교결합되지 않은" 또는 "비-가교결합된"은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기 위하여 중합체 조성물에 가교결합제를 첨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은"은 본원에서 중합체 조성물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기 위해 첨가된 임의의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중합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a),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및 임의적인 퍼옥사이드에 덧붙여, 중합체 성분(들) 및/또는 첨가제(들), 바람직하게는 산화방지제(들), 스코치 방지제(들)(SR), 가교결합 추진제(들), 안정화제(들), 가공 보조제(들), 난연 첨가제(들), 워터 트리(water tree) 지연 첨가제(들), 산 또는 이온 소거제(들), 무기 충전제(들) 및 전압 안정화제(들) 등의 첨가제(들) 같은 추가적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W&C 용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들) 및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코치 방지제(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들)를 포함한다. 첨가제의 사용량은통상적이고 당 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산화방지제의 비한정적인 예로서, 예를 들어 입체 장애 또는 반-장애 페놀, 방향족 아민, 지방족 입체 장애 아민, 유기 포스파이트 또는 포스포나이트, 티오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하위 군을 절연 층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에는 카본 블랙이 없다. 즉,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카본 블랙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에는 "난연제"로서 작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의 난연성 첨가제(들)가 없다. 즉,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난연제"로서 작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의 난연성 첨가제(들)(예를 들면, 난연량의 금속 수산화물 함유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성분의 하기 바람직한 실시양태, 특성 및 하위 군을 독립적으로 일반화시켜, 이들을 임의의 순서대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하여 중합체 조성물 및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추가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설명이 임의적인 가교결합 전의 폴리올레핀에 적용됨이 명백하다.
폴리올레핀
(a)
폴리올레핀 (a)가,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인 경우, 적합한 LDPE는 제 2의 임의적인 폴리올레핀 (b)하에 기재 및 정의되는 LDPE에 따른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a)는 저압 폴리에틸렌, 즉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된 폴리에틸렌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뷰텐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C3 -20 알파-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가장 바람직한 폴리올레핀 (a)는 저압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올레핀 중합 촉매"는 본원에서 통상적인 배위 촉매를 의미한다. 이는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 및 비-메탈로센 촉매를 포함하는 단일 부위 촉매, 또는 크롬 촉매,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용어 "폴리에틸렌"(PE)은 에틸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폴리프로필렌"(PP)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비균질 상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저압 PE 또는 PP는 분자량 분포(MWD = Mw/Mn)와 관련하여 단봉형 또는 다봉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획에 대해 상이한 (중량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생성시키는 상이한 중합 조건하에서 제조된, 둘 이상의 중합체 분획을 포함하는 중합체가 "다봉형"으로 일컬어진다. 접두사 "다"는 중합체에 존재하는 상이한 중합에 분획의 수에 관련된다. 따라서, 예컨대, 다봉형 중합체는 소위 2개의 분획으로 이루어진 "이봉형" 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봉형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곡선의 형태, 즉 분자량의 함수로서의 중합체 중량 분율의 그래프의 외관은 둘 이상의 최대치를 나타내거나 또는 전형적으로는 개별적인 분획의 곡선에 비해 뚜렷하게 넓다. 예를 들어, 직렬 연결된 반응기를 사용하고 각 반응기에서 상이한 조건을 이용하는 연속적인 다단계 공정에서 중합체가 생성되면, 상이한 반응기에서 생성된 중합체 분획은 각각 그들의 고유한 분자량 분포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게 된다. 이러한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 곡선을 기록하는 경우, 이들 분획으로부터의 개별적인 곡선은 전형적으로 함께, 전체적으로 생성되는 중합체 생성물의 더 넓은 분자량 분포를 형성한다.
용어 "다봉형"은 본원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적어도 분자량 분포(MWD = Mw/Mn)와 관련하여 다봉형을 의미하고, 이봉형 중합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다봉형 저압 PE 또는 PP는 더 낮은 중량 평균 분자량(LMW) 성분 (A) 및 더 높은 중량 평균 분자량(HMW) 성분 (B)를 포함한다. 상기 LMW 성분은 HMW 성분보다 더 낮은 분자량을 갖는다.
당연히, 다봉형 저압 PE 또는 PP는 MWD와 관련된 다봉형에 덧붙여 또는 다르게는 밀도 및 공단량체 함량과 관련하여 다봉형일 수 있다. 즉, LMW 및 HMW 성분은 상이한 공단량체 함량 또는 밀도, 또는 둘 다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압 PE 및 PP는 독립적으로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2.9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25,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5의 MWD를 갖는다. 단봉형 PE 또는 PP는 전형적으로 3.0 내지 10.0의 MWD를 갖는다.
저압 PE 또는 PP는 에틸렌 또는 개별적으로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공중합체(랜덤 또는 비균질 상)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공단량체는 에틸렌 또는 개별적으로 프로필렌과 공중합될 수 있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외의 단량체 단위를 의미한다.
저압 PE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단량체(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C3 -20 알파 올레핀,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C4 -12 알파-올레핀,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C4 -8 알파-올레핀, 예를 들어 1-뷰텐, 1-헥센 또는 1-옥텐의 공중합체이다. PE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공단량체(들)의 양은 0.1 내지 15몰%, 전형적으로는 0.25 내지 10몰%이다.
PP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단량체(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C4 -20 알파-올레핀중 하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C4 -12 알파-올레핀중 하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C4 -8 알파-올레핀중 하나 이상, 예를 들어 에틸렌, 1-뷰텐, 1-헥센 또는 1-옥텐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저압 PE 또는 PP 공중합체는 2원 공중합체(즉, 예를 들어 PE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하나의 공단량체를 함유함), 또는 3원 공중합체(즉, 예컨대 PE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2개 또는 3개의 공단량체를 함유함)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올레핀 (a)는 극저밀도 에틸렌 공중합체(VLDPE), 선형 저밀도 에틸렌 공중합체(LLDPE), 중간밀도 에틸렌 공중합체(MDPE) 또는 고밀도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HDPE)로부터 선택되는 저압 PE이다. 이들 널리 공지되어 있는 유형은 이들의 밀도 영역에 따라 명칭이 정해진다. 용어 VLDPE는 본원에서 플라스토머 및 엘라스토머로도 공지되어 있는 PE를 포함하며, 850 내지 909kg/m3의 밀도 범위를 포괄한다. LLDPE는 909 내지 930kg/m3, 바람직하게는 910 내지 929k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915 내지 929kg/m3의 밀도를 갖는다. MDPE는 930 내지 945kg/m3, 바람직하게는 931 내지 945kg/m3의 밀도를 갖는다. HDPE는 945kg/m3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946kg/m3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946 내지 977kg/m3, 더욱 바람직하게는 946 내지 965kg/m3의 밀도를 갖는다.
LLDPE, MDPE 또는 HDPE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a)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유형의 저압 PE이다. 이러한 LLDPE, MDPE 또는 HDPE는 일봉형 또는 다봉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압 PE, 더욱 바람직하게는 LLDPE, MDPE 또는 HDPE는 이봉형 같은 다봉형이다. 다봉형은 열 응력 균열(TSCR) 같은 기계적 특성 및 가공 특성에 기여한다.
저압 PE는 바람직하게는 1200g/10분 이하, 예를 들어 10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g/10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0g/10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0g/10분의 MFR2를 갖는다.
다른 똑같이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올레핀 (a)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비균질 상 공중합체이다. 폴리프로필렌의 유형은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랜덤 공중합체"에서는, 상기 공중합체중 공단량체(들)가 공중합체 쇄 내에 무작위적으로, 즉 공단량체 단위의 통계학적 삽입에 의해 분포되어 있다. 상기 "프로필렌의 비균질 상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일 수 있는 매트릭스 상, 및 상기 매트릭스 상에 분산되어 있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엘라스토머 상(고무 부분이라고도 알려져 있음)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a)로서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양에 기초하여 5중량% 미만, 예컨대 0.1 내지 3중량%의 자일렌 가용성 성분 함량(XS, 중량%)을 갖는다.
폴리올레핀 (a)로서의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 예를 들면 상기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양에 기초하여 30중량% 이하, 예컨대 0.5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중량%의 공단량체를 함유한다. 상기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자일렌 가용성 성분 함량(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예를 들어 0.5 내지 10.0중량%이다.
폴리올레핀 (a)로서의 비균질 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상기 비균질 상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양에 기초하여 9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중량%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매트릭스 상, 8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중량%의 엘라스토머 프로필렌 공중합체 상을 포함한다. 상기 비균질 상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상기 매트릭스 상이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경우, 상기 매트릭스 상의 공단량체 함량 및 XS(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성분 (a)로서의 상기 랜덤 공중합체에 대해 상기 한정된 바와 같다. 상기 매트릭스 상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인 경우, 상기 XS(중량%)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성분 (a)로서의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성분에 대해 상기 한정된 바와 같다. 비균질 상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는 비균질 상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양에 기초하여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의 총 자일렌 가용성 성분(중량%)을 갖는다.
폴리올레핀 (a)로서의 PP는 바람직하게는 1200g/10분 이하, 예를 들어 10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g/1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g/10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0.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0g/10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0g/10분의 MFR2를 갖는다.
폴리올레핀 (a)로서 적합한 저압 PE 및 PP는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시판중이거나 또는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중합 공정에 따라 또는 그와 유사하게 생성될 수 있다.
촉매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배위 촉매, 바람직하게는 지글러 나타, 널리 공지되어 있는 메탈로센 및 비-메탈로센 촉매를 포함하는 단일 부위, 또는 크롬 촉매,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촉매 시스템이 보조 촉매를 포함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저압 PE에 적합한 지글러 나타 촉매는 예컨대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EP 0810235 호 또는 EP 0688794 호에 기재되어 있다. PP에 적합한 지글러 나타 촉매는 예를 들어 모두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WO 03000754 호 또는 EP 1 484 345 호에 기재되어 있다.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PP 촉매는 전형적으로 내부 또는 외부 공여체를 함유할 수 있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글러 나타 촉매의 촉매 활성 성분 같은 촉매 활성 촉매 성분(들)을 통상 활성화제와 합친다. 또한, 촉매 시스템은 실리카계 또는 Mg계 담체 같은 외부 담체 등의 담체 상에 지지될 수 있거나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널리 공지되어 있고 기재되어 있는 방식으로 단일 반응기에서 단일 단계 중합에 의해 단봉형 저압 PE 및 PP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별도의 중합체 성분을 기계적으로 블렌딩함으로써, 또는 바람직하게는 성분의 중합 공정 동안 동일 반응계 내에서 블렌딩함으로써, 다봉형(예컨대, 이봉형) 저압 PE 또는 PP를 제조할 수 있다. 기계적 블렌딩 및 동일 반응계 내 블렌딩은 둘 다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동일 반응계 내 블렌딩은 예를 들어 다단계, 즉 둘 이상의 단계의 중합에서 상이한 중합 조건하에서, 또는 단일 단계 중합에서 다중 부위 또는 이중 부위 촉매를 비롯한 둘 이상의 상이한 중합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다단계 중합 및 둘 이상의 상이한 중합 촉매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중합체 성분을 중합함을 의미한다. 다단계 중합 공정에서는, 둘 이상의 중합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서 중합체를 중합시킨다. 하나의 반응기 내의 둘 이상의 별개의 중합 대역에서 또는 둘 이상의 별도의 반응기에서 각 중합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익렬(cascaded) 중합 대역에서 다단계 중합 공정을 수행한다. 중합 대역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중합 대역을 익렬 방식으로 작동시킨다. 중합 대역을 벌크 상, 슬러리 상, 용액 상 또는 기상 조건에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다단계 공정에서는, 제 1 중합 단계를 하나 이상의 슬러리, 예컨대 루프 반응기에서 수행하고, 제 2 중합 단계를 하나 이상의 기상 반응기에서 수행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다단계 공정이 EP 517868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a)로서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파스퀴니(Nello Pasquini)가 편집한 문헌[Polypropylene Handbook, Hanser, Munich, 2005, 페이지 15-14]을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저압 PE 및 PP 중합에서의 온도는 전형적으로 50 내지 11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이다. 압력은 1 내지 150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바이다. 상이한 유형의 촉매를 사용하고 상이한 공단량체 및/또는 수소 공급물을 사용하여 중합 조건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제 중합 단계(들) 전에 예비 중합을 선행시킬 수 있다.
프로필렌의 비균질 상 공중합체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단일 단계에서 또는 다단계 공정으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매트릭스를 제조할 수 있고, 동일 반응계 내 중합으로서, 예컨대 선행 단계에서 제조된 매트릭스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별도의 반응기, 예컨대 기상 반응기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엘라스토머(고무) 부분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르게는,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로필렌의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부분을 매트릭스 상 물질에 기계적으로 혼련(compound)시킬 수 있다.
수득되는 저압 PE 또는 PP 중합 생성물을 공지 방식으로, 및 임의적으로는 첨가제(들)와 함께 혼련하고, 추후 사용을 위해 펠렛화시킬 수 있다.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본원에서는 또한 "제 2 폴리올레핀"이라고 간략하게 칭함)는 폴리올레핀 (a)에 대해 정의된 임의의 폴리올레핀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합체일 수 있다. 적합한 LDPE에 대한 하기 설명을 또한 폴리올레핀 (a)의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임의의 통상적인 폴리올레핀 같은 임의의 폴리올레핀일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의 층,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절연 층에 사용될 수 있다.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예를 들어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컨대 시판되고 있거나 또는 화학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중합 공정에 따라 또는 그와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a)에 대해 기재된 저압 폴리올레핀 및 LDPE 중합체가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도 똑같이 바람직하다.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저압 폴리올레핀에 대한 설명은 상기 폴리올레핀 (a)를 참조한다.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에 대해서는, LDPE 중합체는 에틸렌의 저밀도 단독중합체(본원에서는 LDPE 단독중합체로 지칭함)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저밀도 공중합체(본원에서는 LDPE 공중합체로 지칭함)일 수 있다. LDPE 공중합체의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또는 하기에 정의되는 극성 공단량체(들), 비-극성 공단량체(들) 또는 극성 공단량체(들)와 비-극성 공단량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상기 LDPE 단독중합체 또는 LDPE 공중합체는 임의적으로 불포화될 수 있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단량체"는 공중합될 수 있는 공단량체 단위를 가리킨다.
상기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공중합체의 극성 공단량체로서, 하이드록실기(들), 알콕시기(들), 카본일기(들), 카복실기(들), 에터기(들) 또는 에스터기(들)를 함유하는 공단량체(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복실기(들) 및/또는 에스터기(들)를 함유하는 공단량체(들)를 상기 극성 공단량체로서 사용한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LDPE 공중합체의 극성 공단량체(들)는 아크릴레이트(들), 메타크릴레이트(들) 또는 아세테이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LDPE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경우, 극성 공단량체(들)는 바람직하게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성 공단량체는 C1- 내지 C6-알킬 아크릴레이트, C1- 내지 C6-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성 LDPE 공중합체는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뷰틸 아크릴레이트 같은 C1- 내지 C4-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공중합체의 비-극성 공단량체(들)로서, 상기 정의된 극성 공단량체 외의 공단량체(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극성 공단량체는 하이드록실기(들), 알콕시기(들), 카본일기(들), 카복실기(들), 에터기(들) 또는 에스터기(들)를 함유하는 공단량체(들) 외의 것이다. 바람직한 비-극성 공단량체(들)의 하나의 군은 단일불포화(즉, 하나의 이중 결합) 공단량체(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알파-올레핀, 더욱 바람직하게는 C3 내지 C10 알파-올레핀, 예를 들어 프로필렌, 1-뷰텐, 1-헥센, 4-메틸-1-펜텐, 스타이렌, 1-옥텐, 1-노넨; 다중불포화(즉, 하나보다 많은 이중 결합) 공단량체(들); 실레인기 함유 공단량체(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로 이루어진다.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들)는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와 관련하여 이후 추가로 기재된다.
LDPE 중합체가 공중합체인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를 0.001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 미만,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그의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성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LDPE 중합체는 임의적으로 불포화될 수 있다. 즉,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제 2 폴리올레핀 (b), 바람직하게는 LDPE 중합체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C=C-)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불포화"는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제 2 폴리올레핀 (b)가 탄소 원자 1000개당 0.4개 이상의 총량으로 탄소 원자 1000개당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함을 의미한다.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가 최종 케이블에 사용되는 경우, LDPE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전형적으로 불포화되지 않는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성분(들), 가교결합 추진제(들) 또는 스코치 방지제(들) 같은 저분자량(Mw) 화합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중합체 조성물에 불포화가 제공될 수 있다. 이중 결합의 총량은 본원에서 불포화에 기여하도록 계획적으로 첨가되는 공지의 공급원(들)으로부터 결정된 이중 결합을 의미한다. 불포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중 결합의 상기 공급원 둘 이상이 선택되는 경우, 중합체 조성물중 이중 결합의 총량은 이중 결합 공급원에 존재하는 이중 결합의 합을 의미한다. 각각의 선택된 공급원에 대해 조정하기 위한 특징적인 모델 화합물을 사용하여 정량적인 적외선(FTIR) 결정을 가능케 함이 명백하다.
임의적인 가교결합 전에 임의의 이중 결합 측정을 수행한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임의적인 가교결합 전에) 불포화된 것인 경우, 불포화는 적어도 임의적인 제 2 불포화된 폴리올레핀 (b) 성분(존재하는 경우)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포화된 제 2 폴리올레핀 (b)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불포화된 폴리에틸렌,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포화된 LDPE 중합체,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불포화된 LDPE 단독중합체 또는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이다. 상기 불포화된 폴리올레핀으로서의 LDPE 중합체에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들)가 존재하는 경우, LDPE 중합체는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이다.
불포화된 실시양태에서, 용어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총량"은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경우 불포화된 제 2 폴리올레핀 (b)로부터 정의되며,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존재하는 경우 비닐기, 비닐리덴기 및 트랜스-비닐렌기로부터 유래되는 이중 결합의 합쳐진 양을 가리킨다. 물론 제 2 폴리올레핀 (b)가 반드시 상기 세 유형의 이중 결합을 모두 함유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존재하는 경우 세 유형중 임의의 것이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총량"에 계산된다. 이중 결합의 각 유형의 양은,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된다.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단독중합체가 불포화된 것인 경우, 불포화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같은 연쇄 전달제(CTA)에 의해 및/또는 중합 조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공중합체가 불포화된 것인 경우, 불포화는 하기 수단중 하나 이상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연쇄 전달제(CTA)에 의해, 하나 이상의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들)에 의해 또는 중합 조건에 의해. 피크 온도 및 압력 같은 선택되는 중합 조건이 불포화도에 영향을 가질 수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의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 및 임의적으로,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공단량체(들)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되는 극성 공단량체(들) 같은 다른 공단량체(들)와 에틸렌의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는 적어도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들)와 에틸렌의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이다.
불포화된 제 2 폴리올레핀 (b)에 적합한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의 탄소 원자 및 비-공액 이중 결합(이중 적어도 하나는 말단임) 사이에 4개 이상의 탄소를 갖는 탄소 직쇄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는 다이엔, 바람직하게는 8개 이상의 탄소 원자, 말단인 제 1 탄소-탄소 이중 결합 및 제 1 이중 결합에 대해 비-공액인 제 2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다이엔이다. 바람직한 다이엔은 C8 내지 C14 비-공액 다이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옥타다이엔, 1,9-데카다이엔, 1,11-도데카다이엔, 1,13-테트라데카다이엔, 7-메틸-1,6-옥타다이엔, 9-메틸-1,8-데카다이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다이엔은 1,7-옥타다이엔, 1,9-데카다이엔, 1,11-도데카다이엔, 1,13-테트라데카다이엔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지만, 상기 다이엔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필렌을 공단량체로서 또는 연쇄 전달제(CTA)로서 또는 둘 다 로서 사용함으로써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총량, 바람직하게는 비닐기의 총량에 기여할 수 있음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는, 프로필렌 같은 공단량체로서도 작용할 수 있는 화합물이 이중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CTA로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공중합될 수 있는 공단량체를 공단량체 함량에 계산하지 않는다.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중합체가 불포화된 것인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4개보다 많은,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5개보다 많은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는 존재하는 경우 비닐기, 비닐리덴기 및 트랜스-비닐렌기로부터 유래됨)의 총량을 갖는다. 폴리올레핀에 존재하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양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5.0개 미만,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3.0개 미만일 수 있다.
예컨대 낮은 퍼옥사이드 함량으로 더 높은 가교결합도가 요구되는 일부 실시양태에서는, 불포화된 LDPE중 탄소-탄소 이중 결합(이는 존재하는 경우 비닐기, 비닐리덴기 및 트랜스-비닐렌기로부터 유래됨)의 총량이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40개보다 많고,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50개보다 많고,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60개보다 많다.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가 상기 정의된 불포화된 LDPE인 경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비닐기를 함유하며, 비닐기의 총량은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05개보다 많고,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08개보다 많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11개보다 많다. 바람직하게는, 비닐기의 총량은 탄소 원자 1000개당 4.0개 미만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 전에 제 2 폴리올레핀 (b)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20개보다 많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0개당 0.30개보다 많은 총량으로 비닐기를 함유한다.
전형적으로는 및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및 케이블(W&C) 용도에서,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중합체의 밀도는 860kg/m3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밀도는 960kg/m3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945kg/m3이다. 제 2 폴리올레핀 (b), 바람직하게는 LDPE 중합체의 MFR2(2.16kg, 190℃)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g/10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0g/1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g/10분이다.
따라서,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로서의 LDPE 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개시되는 중합(고압(HP) 라디칼 중합으로 일컬어짐)에 의해 고압에서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HP 반응기는 예를 들어 널리 공지되어 있는 관상 반응기 또는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관상 반응기일 수 있다. 고압(HP) 중합 및 목적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폴리올레핀의 다른 특성을 추가로 조절하기 위한 공정 조건의 조정은 널리 공지되어 있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으며, 당 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적합한 중합 온도는 4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50℃이고, 압력은 7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50MPa이다. 적어도 압축 단계 후 및/또는 관상 반응기 후에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온도는 모든 단계 동안 수개의 지점에서 측정될 수 있다.
분리 후 수득된 LDPE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용융물의 형태이며, 이는 통상 HP 반응기 시스템에 연결되어 배치되는 펠렛화 압출기 같은 펠렛화 구역에서 혼합 및 펠렛화된다. 임의적으로, 산화방지제(들) 같은 첨가제(들)를 공지 방식으로 이 혼합기에 첨가할 수 있다.
고압 라디칼 중합에 의한 에틸렌 (공)중합체의 생성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문헌[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6 (1986), pp 383-410; 및 Encyclopedia of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2001 Elsevier Science Ltd.: "Polyethylene: High-pressure, 클리메쉬(R. Klimesch), 리트만(D. Littmann) 및 묄링(F.-O. Mahling), pp. 7181-7184]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에틸렌의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에 요구되는 특성 및 C=C 이중 결합의 양에 따라,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들), 연쇄 전달제(들), 또는 둘 다의 존재하에서,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다중불포화된 공단량체 및/또는 연쇄 전달제의 목적하는 공급비를 사용하여 에틸렌을 중합시킴으로써 탄소-탄소 이중 결합 함량을 조정할 수 있다. WO 9308222 호에는 다중불포화된 단량체와 에틸렌의 고압 라디칼 중합이 기재되어 있다. 그 결과, 불포화가 랜덤 공중합 방식으로 중합체 쇄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최종 사용 및 최종 용도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직류(DC) 전력 케이블의 층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에 의해 그 순서대로 둘러싸인 도체를 포함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을 제공하며, 이 때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연 층은 (a) 폴리올레핀(이 폴리올레핀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경우, 이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것임)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력 케이블의 내부 반도체 층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절연 층은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외부 반도체 층은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조성물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연 조성물은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과 전도성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의 혼합물인 중합체(들)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올레핀(들)은 예를 들어 저압 공정에서 생성되는 폴리에틸렌 또는 HP 공정에서 생성되는 폴리에틸렌(LDPE)이다. 폴리올레핀 (a)와 관련하여, 또한 개별적으로 제 2의 임의적인 폴리올레핀 (b)와 관련하여 상기 주어진 중합체에 대한 개괄적인 기재내용이 반도체 층에 적합한 중합체에도 적용된다. 카본 블랙은 DC 전력 케이블의 반도체 층들, 바람직하게는 DC 전력 케이블의 반도체 층에 사용되는 임의의 통상적인 카본 블랙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은 하기 특성중 하나 이상을 갖는다: a) ASTM D3849-95a, 분산 절차 D에 따른 수평균 입경으로서 정의되는 5nm 이상의 1차 입자 크기, b) ASTM D1510에 따른 30mg/g 이상의 요오드가, c) ASTM D2414에 따라 측정된 30ml/100g 이상의 오일 흡수가. 카본 블랙의 비한정적인 예는 예를 들어 아세틸렌 카본 블랙, 퍼니스(furnace) 카본 블랙 및 켓젠(Ketjen) 카본 블랙, 바람직하게는 퍼니스 카본 블랙 및 아세틸렌 카본 블랙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반도체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0 내지 50중량%의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DC 케이블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양태에서는, 순서대로 내부 반도체 층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절연 층은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며, 외부 반도체 층은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바람직하게는 LDPE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LDP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인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지 않고, 절연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 폴리올레핀 (a)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C 케이블의 더욱 바람직한 제 2 실시양태에서는, 순서대로 내부 반도체 층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절연 층은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며, 외부 반도체 층은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LDPE가 아니고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는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 실시양태에서, LDPE가 아닌 폴리올레핀 (a)는 가교결합되지 않거나 가교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제 2 실시양태의 DC 전력 케이블은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DC 전력 케이블이 가교결합될 수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연 층은 (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아닌 폴리올레핀,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 및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110밀리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90밀리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1.0 내지 75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50밀리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40밀리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37밀리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35밀리몰 미만,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1 내지 34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5 내지 33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5.0 내지 30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7.0 내지 30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10.0 내지 30밀리몰의 양의 퍼옥사이드인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실시양태의 더욱 바람직한 DC 케이블에서는, 순서대로 내부 반도체 층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절연 층은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고, 외부 반도체 층은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LDPE가 아니고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이 제 2 실시양태에서는,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2 반도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지 않고, 절연 층은, LDPE가 아니고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a)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및 하기 본원에서 사용되는 "가교결합 없이", "가교결합되지 않은" 또는 "비-가교결합된"이라는 표현은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킬 목적으로 중합체 조성물에 가교결합제를 첨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은"이라는 표현은 본원에서 중합체 조성물이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킬 목적으로 중합체 조성물에 첨가된 임의의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 또는 LDPE가 아닌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a)는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당연히, 중합체 조성물 또는 그의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성분에 대해 상기 또는 하기 정의된 상기 특성, 다른 특성, 변형체 및 실시양태의 다른 바람직한 하위 군을 본 발명의 DC 전력 케이블에 유사하게 적용한다.
용어 "도체"는 상기 및 하기 본원에서 도체가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또한,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체는 전기 도체이고 하나 이상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한다.
층,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의 중합체 조성물이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LDPE가 아닌 폴리올레핀 (a)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b) 또는 다른 중합체 성분(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은 임의적으로 스크린(들), 쟈켓 층(들), 다른 보호 층(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같은 추가적인 층, 예를 들어 절연 층 또는 존재하는 경우 외부 반도체 층을 둘러싸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도체 상에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절연 층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외부 반도체 층을 이 순서대로 적용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가교결합제의 존재하에 가교결합 조건하에서 수득된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층을 가교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DC 전력 케이블의 제조 방법도 제공하는데,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층의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폴리올레핀(이 폴리올레핀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경우 이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것임), 더욱 바람직하게는 (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아닌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는다. 이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절연 층의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면서, 수득된 케이블의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 및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임의적으로 가교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의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면서,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거나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의 본 발명의 절연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a)가 제 2 실시양태에 따르고(즉, 폴리올레핀 (a)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아님)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는 DC 전력 케이블을 제조하되, 이 때 방법은, (a) 중합체, 카본 블랙, 및 임의적으로, 다른 성분(들)을 포함하는 내부 반도체 층용의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는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압출기에서 혼합, 바람직하게는 용융 혼합하고, 절연 층용의 본 발명의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압출기에서 혼합, 바람직하게는 용융 혼합하며,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고 중합체, 카본 블랙, 및 임의적으로, 다른 성분(들)을 포함하는 외부 반도체 층용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제공하고, 압출기에서 혼합, 바람직하게는 용융 혼합하는 단계; (b)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도체 상에 단계 (a)에서 수득된 제 1 반도체 조성물의 용융 혼합물을 가하여 내부 반도체 층을 형성하고, 단계 (a)에서 수득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혼합물을 가하여 절연 층을 형성하며, 단계 (a)에서 수득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의 용융 혼합물을 가하여 외부 반도체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임의적으로, 수득된 케이블의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 및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가교결합시키고, 임의적으로, 절연 층의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연 층의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a) 폴리올레핀(폴리올레핀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경우, 이는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음),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아닌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에서,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거나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의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면서 가교결합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계 (c)에서,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거나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의 중합체 조성물 및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면서 가교결합시킨다.
용융 혼합은 수득되는 혼합물의 적어도 주요 중합체 성분(들)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혼합함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중합체 성분(들)의 융점 또는 연화점보다 15℃ 이상 더 높은 온도에서(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음) 수행된다.
용어 "(공)압출"은 본원에서 둘 이상의 층의 경우,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듯이, 상기 층을 개별적인 단계에서 압출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층중 둘 이상 또는 모두를 동일한 압출 단계에서 공압출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공)압출"은 본원에서 또한 하나 이상의 압출 헤드를 사용하여 층(들)중 모두 또는 일부를 동시에 형성시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층을 형성하는데 삼중 압출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보다 많은 압출 헤드를 이용하여 층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2개의 압출 헤드(첫번째 헤드는 내부 반도체 층 및 절연 층의 내부를 형성시키기 위한 것, 두번째 헤드는 외부 절연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를 이용하여 층을 압출할 수 있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및 임의적이고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은 케이블 제조 공정 전 또는 케이블 제조 공정 동안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및 임의적이고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케이블 제조 공정의 (용융)혼합 단계 a)에 도입하기 전에 최종 조성물의 성분(들)중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및 임의적으로, 임의적인 제 1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분말, 입자(grain) 또는 펠렛의 형태로 케이블 제조 공정에 제공한다. 펠렛은 본원에서 통상적으로 반응기에서 제조된 중합체(반응기로부터 바로 수득됨)를 반응기-후 개질에 의해 고체 중합체 입자로 만듦으로써 제조되는 임의의 중합체 생성물을 의미한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반응기-후 개질은 중합체 생성물과 임의적인 첨가제(들)의 용융 혼합물을 펠렛화 설비에서 펠렛화시켜 고체 펠렛으로 만드는 것이다. 펠렛은 임의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a) 및 존재하는 경우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을 동일한 분말, 입자 또는 펠렛 생성물에서 합칠 수 있는데, 따라서 이들 분말, 입자 또는 펠렛 생성물은 폴리올레핀 (a) 및 제 2 폴리올레핀 (b)의 고체 중합체 혼합물을 함유한다. 다르게는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a) 및 존재하는 경우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를 별도로, 예를 들어 2개의 개별적인 펠렛 생성물로서 케이블 제조 공정에 제공한다.
따라서, 중합체 조성물의 폴리올레핀 (a) 및 존재하는 경우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을 함께 예비 혼합, 예컨대 용융 혼합시키고 펠렛화시킨 다음, 혼합 단계 (a)에 제공한다. 다르게는 및 바람직하게는, 이들 성분을 예를 들어 별도의 펠렛으로 (용융)혼합 단계 (a)에 제공하고, 이 단계에서 펠렛을 함께 블렌딩한다.
본 발명의 제공되는 중합체 조성물과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의 (용융)혼합 단계 (a)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압출기에서 수행된다. 케이블 제조 공정의 단계 a)는, 임의적으로, 예컨대 케이블 제조 라인의 케이블 압출기에 연결되고 그에 선행하여 배치되는 혼합기에서의 별도의 혼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성분(들)을 외부 가열(외부 열원을 사용한 가열)하에 또는 외부 가열 없이 혼합함으로써, 선행하는 별도의 혼합기에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폴리올레핀 (a) 또는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중 하나 , 또는 퍼옥사이드 또는 추가적인 첨가제(들) 같은 임의적인 추가의 성분(들) 및 제 1 또는 제 2 반도체 조성물의 성분(들)중 일부 또는 전부를 케이블 제조 공정 동안 폴리올레핀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혼합 단계 (a) 동안의 임의의 단계에서, 예를 들어 케이블 압출기에 선행하는 임의적인 별도의 혼합기에서 또는 케이블 압출기의 임의의 지점(들)에서 첨가(들)를 수행할 수 있다. 임의적인 퍼옥사이드 및 임의적인 첨가제(들)의 첨가는 그 자체로, 바람직하게는 액체 형태로, 또는 널리 공지되어 있는 마스터 배치로 혼합 단계 (a) 동안의 임의의 단계에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양태의 중합 조성물은, 임의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퍼옥사이드인 가교결합제를 포함한다. 케이블 제조 공정 전에 또는 (용융)혼합 단계 (a) 동안 가교결합제를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제 및 첨가제(들) 같은 임의적인 추가의 성분(들)은 케이블 제조 공정의 제조 라인에서 사용하기 전에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중 하나 이상에 이미 존재할 수 있다. 가교결합제를 예컨대 폴리올레핀 (a) 또는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 또는 둘 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임의적인 추가 성분(들)과 함께 용융 혼합할 수 있으며, 이후 용융 혼합물을 펠렛화시킨다. 다르게는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성분 또는 중합체 조성물의 고체 중합체 입자, 바람직하게는 펠렛 상으로 가교결합제를 첨가, 바람직하게는 함침시킨다.
(용융)혼합 단계 (a)로부터 수득되는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혼합물이 유일한 중합체 성분(들)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a) 및 존재하는 경우, 임의적으로, 제 2 폴리올레핀 (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적이고 바람직한 첨가제(들)를 그 자체로 또는 담체 중합체와의 혼합물로서, 즉 소위 마스터 배치 형태로 중합체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케이블 제조 공정의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될 수 있는 DC 전력 케이블이 제조되는데, 이 때 절연 층은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은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임의적인 가교결합제(들)는 가교결합 단계 c)에 도입하기 전에 또는 가교결합 단계 동안 도입하기 전에 임의적인 제 1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에 이미 존재할 수 있다.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교결합제의 유형에 따라 선택되는 승온에서 임의적인 가교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0℃보다 높은 온도, 예컨대160 내지 350℃가 전형적이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공 온도 및 장치는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종래의 혼합기 및 1축 또는 2축 압출기 같은 압출기가 본 발명의 공정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연 층,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에 의해 그 순서대로 둘러싸인 도체를 포함하는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되는 DC 전력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HV DC 전력 케이블을 추가로 제공하며, 이 때 적어도 절연 층은 상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가교결합되지 않은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내부 반도체 조성물 및 임의적이고 바람직한 외부 반도체 조성물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임의적으로 가교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중합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되고,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제 2 실시양태의 중합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은 가교결합되지 않는다.
상기, 하기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되는 바와 같이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 외부 반도체 층과 함께, 가교결합되지 않은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 내부 반도체 층 및 절연 층을 갖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 HV DC 케이블의 절연 시스템의 최적의 전기적 성능,
- 가교결합되지 않은 열가소성 절연 조성물로 인해 케이블의 접속이 매우 편리함,
- 가교결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절연 층 및 내부 반도체 층을 통한 열 전달을 기다릴 필요도 허용할 필요도 없다. 특히 두꺼운 절연 층을 갖는 HV 용도에서 전체적인 생산 효율이 개선되는데, 내부 반도체 층 및 절연 층이 가교결합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내부 및 외부 반도체 층 및 절연 층의 가교결합에는 통상 1시간 이상이 걸리는데 반해, 외부 반도체 층만의 가교결합에는 8분 미만이 걸림,
- 내부 반도체 층 및 절연 층에서 스코치(바람직하지 못한 이른 가교결합) 위험이 없기 때문에, 더 높은 압출 속도 및 품질에서 안정한 생산 기간을 더 길게 만들 수 있는 강건한 고속 압출이 가능함,
- 탈기 단계를 감소시켜 전체적인 케이블 제조 공정을 가속시킬 수 있는데, 가교결합제로부터 형성되는 임의의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 즉 분해 생성물을 외부 층에서만 제거, 즉 탈기시키는 것이 더 쉽기 때문임,
- 가교결합된 외부 반도체 층이 예기치 못하게도 절연 층을 기계적 및 열 균열 개시(TSCR(열 응력 균열)로 표현됨)로부터 보호하기에 기계적으로 충분함.
본 발명의 바람직한 DC 전력 케이블은 HV DC 전력 케이블이다. 바람직하게는, HV DC 전력 케이블은 목적하는 최종 케이블 용도에 따라 HV DC 케이블 또는 초HV DC 케이블에 대해 상기 정의된 전압에서 작동된다.
DC 전력 케이블, 더욱 바람직하게는 HV DC 전력 케이블의 절연 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케이블의 절연 층의 단면으로부터 측정될 때, 2mm 이상, 바람직하게는 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mm, 통상적으로는 5 내지 40mm, 예컨대 5 내지 35mm이다. 내부 및 외부 반도체 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절연 층의 두께보다 작으며, HV DC 전력 케이블에서는 예를 들어 내부 반도체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이 0.1mm보다 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3 내지 20mm, 0.3 내지 10mm일 수 있다. 내부 반도체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0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mm,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2.0mm이다. 외부 반도체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mm, 예컨대 0.3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mm,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3.0mm이다. DC 케이블의 층 두께가 최종 용도 케이블의 의도되는 전압 수준에 따라 달라지고 그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이 당 업자에게는 명백하다.
결정 방법
상세한 설명 또는 실험 파트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특성 결정을 위해서는 하기 방법을 이용하였다.
중량%: 중량 기준 %
용융 유동 지수
용융 유동 지수(MFR)는 ISO 1133에 따라 결정되며, g/10분의 단위로 표시된다. MFR은 중합체의 유동성, 따라서 가공성의 지표이다. 용융 유동 지수가 높을수록 중합체의 점도가 낮다. MFR은 폴리에틸렌의 경우 190℃에서,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경우 230℃에서 결정된다. MFR은 2.16kg(MFR2) 또는 21.6kg(MFR21) 같은 상이한 하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분자량
하기 방법에 따른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Mz, Mw, Mn 및 MWD를 측정한다:
ISO 16014-4:2003 및 ASTM D 6474-99에 따라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분자량 분포(MWD = Mw/Mn; 여기에서, Mn은 수 평균 분자량이고, Mw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Mz는 z-평균 분자량임)를 측정한다. 굴절률 검출기 및 온라인 점도계가 설치된 워터스(Waters) GPCV2000 기기를, 토소 바이오사이언스(Tosoh Bioscience) 제품인 2×GMHXL-HT 및 1×G7000HXL-HT TSK-겔 칼럼 및 140℃ 및 1mL/분의 일정한 유속에서 용매로서 1,2,4-트라이클로로벤젠(TCB, 250mg/L의 2,6-다이-3급-뷰틸-4-메틸-페놀로 안정화됨)과 함께 사용하였다. 매 분석시 샘플 용액 209.5μL를 주입하였다. 1kg/몰 내지 12000kg/몰 범위에서 15개 이상의 좁은 MWD 폴리스타이렌(PS) 기준물을 사용하는 포괄적 보정(ISO 16014-2:2003)을 이용하여 칼럼 세트를 보정하였다. ASTM D 6474-99에 주어진대로 마크 휴윙크(Mark Houwink) 상수를 사용하였다. 안정화된 TCB(이동상과 동일함) 4mL(140℃)에 중합체 0.5 내지 4.0mg을 용해시키고, GPC 기기 내로 샘플링하기 전에 일정하게 온화하게 흔들면서 최대 160℃에서 최대 3시간동안 유지시킴으로써, 모든 샘플을 제조하였다.
공단량체
함량
a) 폴리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중 공단량체 함량:
정량적인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적외선(FTIR) 분광법을 이용하여 공단량체의 양을 정량하였다. 정량적인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공단량체 함량과 대비시킴으로써 보정을 수행하였다.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정량적인 13C-NMR 분광법으로부터 수득된 결과에 기초한 보정 절차를 밟았다. 공단량체의 양(N)을 하기 수학식을 통해 중량%로서 결정하였다:
N = k1(A/R)+k2
상기 식에서, A는 공단량체 밴드에서 한정되는 최대 흡광도이고, R은 참조 피크의 피크 높이로서 정의되는 최대 흡광도이며, k1 및 k2는 보정에 의해 수득되는 선형 상수이다. 에틸렌 함량이 무작위적인지(730cm-1) 또는 블록 형인지(비균질 상 PP 공중합체에서와 같이)(720cm-1)의 여부에 따라 에틸렌 함량 정량에 사용되는 밴드를 선택한다. 참조 밴드로서 4324cm-1에서의 흡광도를 사용하였다.
b) NMR 분광법에 의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중 알파-올레핀 함량의 정량:
기본 지정 후 정량적인 13C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에 의해 공단량체 함량을 결정하였다[랜달(J. Randall) JMS - Rev. Macromol. Chem. Phys., C29(2&3), 201-317 (1989)]. 이 특수한 과제를 위한 정량적인 스펙트럼의 측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실험 매개변수를 조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브루커 어밴스III(Bruker AvanceIII) 400 분광계를 사용하는 용액-상태 NMR 분광법을 이용하였다. 가열 블록 및 140℃의 회전 튜브 오븐을 이용하여 10mm 샘플 관에서 중수소화된-테트라클로로에텐 2.5ml에 중합체 약 0.200g을 용해시킴으로써 균질 샘플을 제조하였다. NOE(자동 덮개)가 있는 양성자 분리된 13C 단일 펄스 NMR 스펙트럼을 하기 획득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90° 숙임각, 4 가공 스캔, 1.6초의 획득 시간에 4096 과도현상, 20kHz 스펙트럼 폭, 125℃ 온도, 2단식 WALTZ 양성자 분리 계획 및 3.0초의 이완 지연. 하기 처리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생성된 FID를 처리하였다: 32k 데이터 지점까지의 제로-파일링 및 가우스 윈도우 함수를 사용한 아포다이제이션(apodisation); 자동 0차 및 1차 상 수정 및 관심 영역으로 제한된 5차 다항식을 사용한 자동 기준선 수정.
당 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기초한 대표 부위의 신호 적분의 단순 수정된 비를 사용하여 양을 계산하였다.
c) 저밀도 폴리에틸렌중 극성 공단량체의 공단량체 함량
(1) 6중량%보다 많은 극성 공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정량적인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으로 보정된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결정에 기초하여 공지 방식으로 공단량체 함량(중량%)을 결정하였다. 하기는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뷰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극성 공단량체 함량의 결정을 예시한다. FTIR 측정을 위해 중합체의 필름 샘플을 제조하였다: 6중량%보다 많은 양의 에틸렌 뷰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0.5 내지 0.7mm의 두께,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경우 0.10mm의 필름 두께를 이용하였다. 150℃ 및 약 5톤에서 1 내지 2분간 스페캑(Specac) 필름 가압기를 사용하여 필름을 가압한 다음,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냉수로 냉각시켰다. 수득된 필름 샘플의 정확한 두께를 측정하였다.
FTIR로 분석한 후, 분석되어야 하는 피크에 대해 흡광도 모드의 기준선을 그렸다. 공단량체의 흡광도 피크를 폴리에틸렌의 흡광도 피크로 정규화시켰다(예를 들어, 3450cm-1에서의 뷰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의 피크 높이를 2020cm-1에서의 폴리에틸렌의 피크 높이로 나누었다). 아래 설명되는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NMR 분광법 보정 절차를 수행하였다.
메틸 아크릴레이트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0.10mm 두께의 필름 샘플을 제조하였다. 분석 후, 3455cm-1에서의 메틸 아크릴레이트에 대한 피크의 최대 흡광도에서 2475cm-1에서의 기준선의 흡광도 값을 뺐다(A메틸아크릴레이트-A2475). 이어, 2660cm-1에서의 폴리에틸렌 피크에 대한 최대 흡광도 피크에서 2475cm-1에서의 기준선의 흡광도 값을 뺐다(A2660-A2475). 이어, (A메틸아크릴레이트-A2475)와 (A2660-A2475) 사이의 비를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계산에 의해 중량%를 몰%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는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다.
NMR 분광법에 의한 중합체중 공중합체 함량의 정량
기본 지정 후 정량적인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에 의해 공단량체 함량을 결정하였다[예를 들어, "NMR Spectra of Polymers and Polymer Additives", 브랜돌리니(A. J. Brandolini) 및 힐즈(D. D. Hills), 2000, Marcel Dekker, Inc. 뉴욕]. 이 특수한 과제를 위한 정량적인 스펙트럼의 측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실험 매개변수를 조정하였다[예를 들어, "200 and More NMR Experiments: A Practical Course", 버거(S. Berger) 및 브라운(S. Braun), 2004, Wiley-VCH, 바인하임].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대표 부위의 신호 적분의 단순 수정된 비를 사용하여 양을 계산하였다.
(2) 6중량% 이하의 극성 공단량체 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
정량적인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으로 보정된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 결정에 기초하여 공지 방식으로 공단량체 함량(중량%)을 결정하였다. 하기는 에틸렌 뷰틸 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극성 공단량체 함량의 결정을 예시한다. FT-IR 측정을 위해, 방법 1) 하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0.05 내지 0.12mm 두께의 필름 샘플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필름 샘플의 정확한 두께를 측정하였다.
FT-IR로 분석한 후, 분석되어야 하는 피크에 대해 흡광도 모드의 기준선을 그렸다. 공단량체의 피크에 대한 최대 흡광도(예를 들어, 1164cm-1에서의 메틸아크릴레이트 및 1165cm-1에서의 뷰틸아크릴레이트)에서 1850cm-1에서의 기준선의 흡광도 값을 뺐다(A극성 공단량체-A1850). 이어, 2660cm-1에서의 폴리에틸렌 피크에 대한 최대 흡광도 피크에서 1850cm-1에서의 기준선의 흡광도 값을 뺐다(A2660-A1850). 이어, (A공단량체-A1850)와 (A2660-A1850) 사이의 비를 계산하였다. 방법 1) 하에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NMR 분광법 보정 절차를 수행하였다.
계산에 의해 중량%를 몰%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는 문헌에 잘 기재되어 있다.
하기는 양에 따라 상기 방법 (1) 또는 (2)로부터 수득된 극성 공단량체 함량을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의 정의에 사용되는 극성 공단량체 1g당 마이크로몰 또는 밀리몰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아래 기재되는 바와 같이 밀리몰 및 마이크로몰 계산을 수행하였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코-뷰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1g이 뷰틸아크릴레이트 20중량%를 함유하는 경우, 이 물질은 0.20/M뷰틸아크릴레이트(128g/몰) = 1.56×10-3몰(=1563마이크로몰)을 함유한다.
극성 공중합체중 극성 공단량체 단위의 함량(C극성 공단량체)은 밀리몰/g(공중합체)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뷰틸 아크릴레이트 공단량체 단위 20중량%를 함유하는 극성 폴리(에틸렌-코-뷰틸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1.56밀리몰/g의 C극성 공단량체를 갖는다. 사용되는 분자량은 다음과 같다: M뷰틸아크릴레이트 = 128g/몰, M에틸아크릴레이트 = 100g/몰, M메틸아크릴레이트 = 86g/몰.
밀도
저밀로 폴리에틸렌(LDPE): ISO 1183-2에 따라 밀도를 측정하였다. ISO 1872-2 표 3Q(압축 성형)에 따라 샘플 제조를 수행하였다.
저압 공정 폴리에틸렌: ISO 1183/1872-2B에 따라 중합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자일렌 가용성 성분(
XS
)
ISO 6427에 따라 23℃에서 자일렌 가용성 성분을 결정하였다.
중합체 조성물 또는 중합체중 이중 결합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
A)
IR
분광법에 의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양의 정량
정량적인 적외선(IR) 분광법을 이용하여 탄소-탄소 이중 결합(C=C)의 양을 정량하였다. 대표적인 공지 구조의 저분자량 모델 화합물중 C=C 작용기의 몰 흡광 계수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보정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통해 1000개의 총 탄소 원자당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수(C=C/1000C)로서 이들 기 각각의 양(N)을 결정하였다.
N = (A×14)/(E×L×D)
상기 식에서, A는 피크 높이로서 정의되는 최대 흡광도이고, E는 해당 기의 몰 흡광 계수(l·몰-1·mm-1)이며, L은 필름 두께(mm)이고, D는 물질의 밀도(g·cm-1)이다.
개별적인 C=C 함유 성분의 N의 합을 통해 1000개의 총 탄소 원자당 C=C 결합의 총량을 계산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샘플의 경우, 4cm-1의 해상도에서 압축 성형된 박막(0.5 내지 1.0mm) 상에서 FTIR 분광계[퍼킨 엘머(Perkin Elmer) 2000]를 사용하여 고상 적외선 스펙트럼을 기록하고, 흡수 모드에서 분석하였다.
1) 극성
공단량체를
0.4중량%보다 많이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제외한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폴리에틸렌의 경우, 3가지 유형의 C=C 함유 작용기를 정량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특징적인 흡수를 갖고 각각 상이한 모델 화합물에 대해 보정하여 개별적인 흡광 계수를 생성시켰다:
● 비닐(R-CH=CH2): 1-데센[데크-1-엔]에 기초하여 910cm-1을 통해 E = 13.13l·몰-1·mm-1을 제공함
● 비닐리덴(RR'C=CH2): 2-메틸-1-헵텐[2-메틸헵트-1-엔]에 기초하여 888cm-1을 통해 E = 18.24l·몰-1·mm-1을 제공함
● 트랜스-비닐렌(R-CH=CH-R'): 트랜스-4-데센[(E)-데크-4-엔]에 기초하여 965cm-1을 통해 E = 15.14l·몰-1·mm-1을 제공함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0.4중량% 미만의 극성 공단량체를 갖는 공중합체의 경우, 약 980cm-1과 840cm-1 사이에서 선형 기준선 교정을 적용하였다.
2) 0.4중량%보다 많은 극성
공단량체를
갖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0.4중량%보다 많은 극성 공단량체를 갖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경우, 2가지 유형의 C=C 함유 작용기를 정량하였는데, 이들은 각각 특징적인 흡수를 갖고 각각 상이한 모델 화합물에 대해 보정하여 개별적인 흡광 계수를 생성시켰다:
● 비닐(R-CH=CH2): 1-데센[데크-1-엔]에 기초하여 910cm-1을 통해 E = 13.13l·몰-1·mm-1을 제공함
● 비닐리덴(RR'C=CH2): 2-메틸-1-헵텐[2-메틸헵트-1-엔]에 기초하여 888cm-1을 통해 E = 18.24l·몰-1·mm-1을 제공함
EBA:
폴리(에틸렌-코-뷰틸아크릴레이트)(EBA) 시스템의 경우, 약 920cm-1과 870cm-1 사이에서 선형 기준선 교정을 적용하였다.
EMA:
폴리(에틸렌-코-메틸아크릴레이트)(EMA) 시스템의 경우, 약 930cm-1과 870cm-1 사이에서 선형 기준선 교정을 적용하였다.
3) 불포화된
저분자량
분자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저분자량 C=C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스템의 경우, 저분자량 화합물 자체중의 C=C 흡수의 몰 흡광 계수를 이용하여 직접 보정하였다.
B)
IR
분광법에 의한 몰
흡광
계수의 정량
ASTM D3124-98 및 ASTM D6248-98에 주어진 절차에 따라 몰 흡광 계수를 결정하였다. 4cm-1의 해상도에서 경로 길이 0.1mm의 액체 셀이 설치된 FTIR 분광계(퍼킨 엘머 2000)를 이용하여 용액 상태 적외선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하기 수학식을 통해 몰 흡광 계수(E)를 l·몰-1·mm-1로서 결정하였다:
E = A/(C×L)
상기 식에서, A는 피크 높이로서 정의되는 최대 흡광도이고, C는 농도(몰·l-1)이며, L은 셀 두께(mm)이다.
카본다이설파이드(CS2)중 0.18몰·l-1의 용액 셋 이상을 사용하였고, 몰 흡광 계수의 평균 값을 결정하였다.
DSC
방법: 층 두께 및 결정화도 결정.
하기 설명에 따라 층 두께 분포를 분석한다. 수득되는 샘플 5mg의 DSC(시차 주사 열계량법) 분석으로부터의 용융 곡선 및 융점을 층 두께 분포 계산에 사용한다. 열가소성 물질의 경우, DSC 분석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먼저 10℃/분의 속도로 30℃에서 180℃로 가열한 다음, 샘플을 180℃에서 2분간 유지시키고, 10℃/분의 속도로 180℃에서 -30℃로 냉각시킨 다음, 샘플을 -30℃에서 2분간 유지한 후, 10℃/분의 속도로 -30℃에서 220℃로 두번째로 가열한다. 퍼옥사이드 함유 물질의 경우에는, DSC 분석 사이클이 다음과 같다: 10℃/분의 속도로 30℃에서 130℃로 첫번째로 가열하고 샘플을 130℃에서 2분간 유지시킨 다음, 10℃/분의 속도로 130℃에서 -30℃로 냉각시키고 샘플을 -30℃에서 2분간 유지시킨 다음, 10℃/분의 속도로 -30℃에서 220℃로 두번째로 가열한다.
각 융점에 대한 층 두께를 하기 톰슨-깁스(Thompson-Gibbs) 방정식에 따라 계산한다:
Tm = T°m(1-2σe/ΔH°mLc)
상기 식에서, T°m은 무한 결정의 평형상태 융점이고, σe는 기저면의 비표면 자유 에너지이며, ΔH°m은 질량 단위당 용융 엔탈피이며, 이들은 모두 상수이고, Lc는 층 두께이고, Tm은 층의 융점이다.
폴리에틸렌의 층 두께 계산을 위한 매개변수
T°m[m/K] 415
σe[J/m2] 93×10-3
ΔH°m[J/m3] 300×106
참조 문헌: 파커(J.A. Parker), 바셋(D.C. Bassett), 올리(R.H. Olley), 자스켈라이넨(P. Jaaskelainen); On high pressure crystallization and the characterization of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s; Polymer 1994, 35 (19), 4140-4145.
상기 값을 사용하면, 톰슨-깁스 방정식을 이용하여 PE의 층 두께를 결정하는 방정식이 다음과 같아진다:
Lc = 0.62×10-9×415/(415-Tm)
융점은 켈빈 온도로 주어지고, 층 두께의 단위는 nm이다.
샘플의 열 이력이 확실히 없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DSC 분석의 제 2 가열 사이클을 이용하여 층 두께 분포를 결정한다. -20℃에서 220℃까지 1℃ 간격으로 층 두께 분포를 계산한다. 톰슨-깁스 방정식에 따른 특정 층 두께 간격에 관련되는 각각의 온도 간격에 대해, 상응하는 특이적 열 투입량 ΔHi를 DSC 분석으로부터 계산한다. 모든 결정의 용융을 위한 총 특이적 열 투입량 ΔH총으로 ΔHi를 나눔으로써, 특정 층 두께 간격에서 용융되는 결정의 중량 분율을 계산한다.
ΔH총으로부터, 물질의 결정화도를 계산할 수 있다: 결정화도[%] = 100×ΔH총/ΔH100 %(여기에서, PE의 ΔH100 %(J/g)는 290.0임)[맨델켐(L. Mandelkem), Macromolecular Physics, Vol. 1-3, Academic Press, New York 1973, 1976 & 1980].
이러한 유형의 분석으로부터의 결과는 통상 층 두께의 함수로서의 결정 분율을 나타내는 플롯으로 기재된다.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을 결정하는데 이 데이터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질의 전체 결정화도와 이 분율을 곱하면 전체적인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의 중량 분율"이 생긴다.
DSC 방법으로 결정된 이용되는 특성: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이용되는 정의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층 두께" = 물질의 결정 층의 두께(0.1중량% 미만의 분율*은 무시한다).
*은 1℃ 간격의 결정 분율을 가리킨다.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 = 중합체의 결정화된 부분의 양에 기초한, 10nm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결정의 분율.
"결정화도" = 결정질인 중합체의 중량%.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의 중량 분율[중량%]" =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결정화도"
DC
전도율 결정 방법
시험 중합체 조성물의 펠렛으로부터 플라크를 압축 성형시킨다. 최종 플라크는 시험 중합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1mm의 두께 및 330mm의 직경을 갖는다.
임의적인 가교결합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시험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전도율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가교결합제가 없는 경우에는, 하기 절차를 이용하여 가교결합되지 않은 플라크 샘플로부터 전도율을 측정한다. 시험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플라크 샘플의 제조 동안 가교결합이 발생되는 바, 생성되는 가교결합된 플라크 샘플로부터 하기 절차에 따라 전도율을 측정한다. 가교결합 전에 중합체 조성물에 가교결합제가 존재한다면, 이는 본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퍼옥사이드이다.
압력을 2MPa에서 20MPa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130℃에서 12분간 플라크를 가압 성형한다. 그 후, 온도를 높여 5분 후에 180℃에 도달시킨다. 이어, 온도를 180℃에서 15분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그 동안 플라크는 시험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하는 퍼옥사이드에 의해 완전히 가교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압력이 풀릴 때 15℃/분의 냉각 속도를 이용하여 실온에 도달할 때까지 온도를 감소시킨다. 휘발성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이 풀린 직후 플라크를 금속 호일에 싼다.
상부 전극에 고압 전원을 연결하여 시험 샘플에 전압을 인가한다. 샘플을 통해 생성되는 전류를 전위계로 측정한다. 측정 셀은 황동 전극을 갖는 3개 전극 시스템이다. 황동 전극에는 가열 공기순환기에 연결된 가열 파이프를 설치하여 승온에서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고 시험 샘플의 균일한 온도를 제공한다. 측정 전극의 직경은 100mm이다. 황동 전극 가장자리와 시험 샘플 사이에 실리콘 고무 스커트를 위치시켜, 전극의 둥근 가장자리로부터의 섬락(flashover)을 피한다.
인가된 전압은 30kV/mm의 평균 전기장을 의미하는 30kV DC였다. 온도는 70℃였다. 24시간동안 지속되는 전체 실험에 걸쳐 플라크를 통한 전류를 기록하였다. 24시간 후의 전류를 사용하여 절연 층의 전도율을 계산하였다.
이 방법 및 전도율 측정을 위한 측정 설비의 개략적인 그림은 문헌[Nordic Insulation Symposium 2009 (Nord-IS 09), 스웨덴 고텐버그, 2009년 6월 15일 내지 17일, 페이지 55 내지 58: 올슨(Olsson) 등,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DC conductivity for XLPE insulation"]에 충분하게 기재되었다.
실험
파트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성분: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공단량체로서 1-뷰텐)인 시판중인 볼메드(Bormed) HE9621-PH(공급처: 보레알리스)는 12g/10분(190℃/2.16kg)의 MFR2 및 962kg/m3의 밀도를 갖는다.
이봉형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공단량체로서 1-뷰텐)인 시판중인 볼스타(Borstar) HE6068(공급처: 보레알리스)은 10g/10분(190℃/2.16kg)의 MFR2 및 944kg/m3의 밀도를 갖는다.
LLDPE: 1.2g/10분의 MFR2(190℃/2.16kg), 919kg/m3의 밀도, 133000 GPC의 분자량(Mw) 및 4.5의 MWD(Mw/Mn)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시판중인 제품 FG5190(공급처: 보레알리스).
PP1: 2.2g/10분의 MFR2(230℃/2.16kg), 9.5g/10분의 MFR5(230℃/5kg), 161 내지 165℃의 융점(DSC)(ISO 3146에 따름)을 갖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인 시판중인 제품 볼클린(Borclean) HB311BF(공급처: 보레알리스).
PP2: 0.8g/10분의 MFR2, 138 내지 142℃의 융점(DSC)(ISO 3146에 따름) 및 900kg/m3의 밀도를 갖는 랜덤-비균질 상 공중합체인 시판중인 제품 볼소프트(Borsoft) SA233CF(보레알리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참조예
LDPE
: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압 반응기에서 생성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정제된 에틸렌을 압축 및 90바 및 -30℃로의 냉각에 의해 액화시키고, 각각 약 14톤/시간의 2개의 동일한 스트림으로 나누었다. CTA(메틸 에틸 케톤(MEK)), 공기 및 용매에 용해된 시판중인 퍼옥사이드 라디칼 개시제를 개별적인 양으로 두 액체 에틸렌 스트림에 첨가하였다. 이 때 또한 1,7-옥타다이엔을 40kg/h의 양으로 반응기에 첨가하였다. 증압기 4개의 어레이를 통해 두 혼합물을 별도로 펌핑하여 2200 내지 2300바의 압력 및 약 40℃의 출구 온도에 도달시켰다. 이들 두 스트림을 각각 분리-공급 2개-대역 관상 반응기의 전방(대역 1)(50%) 및 측부(대역 2)(50%)에 공급하였다. 두 반응기 대역의 내경 및 길이는 대역 1의 경우 32mm 및 200m였고, 대역 2의 경우 38mm 및 400m였다. MEK를 190kg/h의 양으로 전방 스트림에 첨가하여 약 2g/10분의 MFR2를 유지하였다. 전방 공급 스트림을 가열 구역을 통해 통과시켜, 발열성 중합 반응이 개시되기에 충분한 온도에 도달시켰다. 반응이 도달한 피크 온도는 제 1 대역 및 제 2 대역에서 각각 251℃ 및 290℃였다. 측부 공급 스트림은 반응을 162℃의 제 2 대역 개시 온도로 냉각시켰다. 공기 및 퍼옥사이드 용액을, 표적 피크 온도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두 스트림에 첨가하였다. 생성물 밸브에 의해 반응 혼합물을 감압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중합체를 미반응 기체로부터 분리하였다.
기본 수지 특성 | LDPE |
MFR2, 190℃[g/10분] | 1.90 |
밀도[kg/m3] | 922 |
비닐[C=C/1000C] | 0.33 |
성분 | 본 발명의 조성물 P1 | 본 발명의 조성물 P2 | 본 발명의 조성물 P3 | 본 발명의 조성물 P4 | 본 발명의 조성물 P5 | 본 발명의 조성물 P6 | 참조 조성물 |
LDPE, 중량%* | 100 | 100 | |||||
LLDPE, 중량%* | 100 | ||||||
HDPE, 중량%* | 100 | ||||||
이봉형 HDPE, 중량%* | 100 | ||||||
PP1, 중량%* | 100 | ||||||
PP2, 중량%* | 100 | ||||||
가교결합제,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밀리몰(중량%**) | - | - | - | - | - | - | 50 (1.35) |
AO, 중량%** | 0.08 | 0.08 | |||||
SR, 중량%** | 0.35 | ||||||
층 두께[nm] | 2.1-16.2 | 4.8-66.8 | 2.7-27 | - | - | 1.7-9.7 | 1.8-8.6 |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중량%] | 34 | 90 | 69 | - | - | 0 | 0 |
결정화도[중량%] | 46.7 | 79.8 | 63 | - | - | 43 | 40 |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의 중량 분율[중량%] | 15.9 | 71.8 | 43.5 | - | - | 0 | 0 |
DC 전도율, fS/m | 2.2 | 1.5 | 3.2 | 2.8 | 0.6 | 152 | 122 |
가교결합제: 다이큐밀퍼옥사이드(CAS 번호 80-43-3) AO: 산화방지제: 4,4'-티오비스(2-3급-뷰틸-5-메틸페놀)(CAS 번호 96-69-5) SR: 스코치 방지제: 2,4-다이페닐-4-메틸-1-펜텐(CAS 6362-80-7) 참조물은 가교결합된 LDPE이다. 참조물은 가교결합제를 함유하였고,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C 전도율 방법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가교결합되었으며, 가교결합된 플라크로부터 전도율을 측정하였다. *표에 나열된 중합체 성분의 양은 사용된 중합체 성분의 합쳐진 양에 기초한다. 표 1에서 중합체 성분 100중량%의 양은 중합체가 유일한 중합체 성분임을 의미한다. **퍼옥사이드(중량%), AO 및 SR의 양은 최종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다. |
이와 관련하여, 상기 사용된 정의는 하기 의미를 갖는다:
"층 두께" = 물질의 결정 층의 두께(0.1중량% 미만의 분율*은 무시한다).
*은 1℃ 간격의 결정 분율을 가리킨다.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 = 중합체의 결정화된 부분의 양에 기초한, 10nm보다 큰 두께를 갖는 결정의 분율.
"결정화도" = 결정질인 중합체의 중량%.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의 중량 분율[중량%]" = "10nm보다 큰 층 두께를 갖는 결정 분율"×"결정화도".
표 2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의 가교결합되지 않은 저압 중합체는 탁월한 낮은 DC 전도율을 나타낸다. 또한, 고압으로 생성된 가교결합된 LDPE는 전력 케이블 절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는 예기치 못하게도 산업상 편리한 DC 전도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가교결합되지 않은 중합체는 DC 전력 케이블, 바람직하게는 HV DC 전력 케이블에 특히 바람직하다.
Claims (17)
- 적어도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에 의해 그 순서대로 둘러싸인 도체를 포함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절연 층을 제조하기 위한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로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a)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며, 단 상기 폴리올레핀 (a)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경우 가교결합되지 않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이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층이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이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바람직하게는 LDPE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LDP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인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는, DC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이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층이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이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LDPE가 아니고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임의적으로,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2 반도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는, DC 전력 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한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본원 명세서에서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C 전도율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160fS/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0fS/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6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fS/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0fS/m,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fS/m, 더욱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4.0fS/m의 전기 전도율을 갖는, 용도. -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a)의 양이,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에 기초하여, 0.1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중량%, 더욱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중량%인, 용도.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a)가,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되고 에틸렌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이거나; 또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비균질 상(heterophasic) 공중합체, 또는 뷰텐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바람직하게 선택되는 C3 -20 알파-올레핀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용도.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a)가,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공중합체, 중간밀도 폴리에틸렌(MDPE) 공중합체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에틸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a)가, LLDPE 공중합체, MDPE 공중합체 또는 HDPE 중합체로부터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a)가, 분자량 분포와 관련하여 단봉형(unimodal) 또는 다봉형(multimodal)인 LLDPE 공중합체, MDPE 공중합체 또는 HDPE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a)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비균질 상 공중합체인, 용도.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본원 명세서에서 "결정 방법"이라는 부제 하에 기재된 DSC 방법에 따라 측정될 때, 1중량% 이상의, 10nm보다 큰 층(lamella) 두께를 갖는 결정의 중량 분율을 갖는,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가,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서 폴리올레핀 (a)에 대해 정의된 폴리올레핀이고 폴리올레핀 (a)와는 상이하거나, 또는 LDPE 중합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레핀 (a)는 제 3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고, 상기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는 임의적으로 불포화된 LDPE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임의적으로 불포화된 LDP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양이,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에 기초하여, 0 내지 99.9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9.5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9.0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5.0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90중량%, 0 내지 8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0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폴리올레핀 (b)를 포함하지 않는(폴리올레핀 (b) 0중량%),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폴리올레핀 (a) 및 임의적인 제 2 폴리올레핀 (b)의 합쳐진 중량에 기초하여, 100중량%의 폴리올레핀 (a)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유일한 중합체 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 (a)로 이루어지는, 용도. -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a)가 LDPE가 아닌 폴리올레핀이고,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임의적으로 가교결합제를 포함하고, 이 가교결합제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11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90밀리몰(중합체 조성물에 기초하여 0 내지 2.4중량%의 다이큐밀 퍼옥사이드에 상응함),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75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5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40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7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5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4밀리몰,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3밀리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 1kg당 -O-O- 0 내지 30밀리몰의 양의 퍼옥사이드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가교결합제를 포함하지 않고(즉, 첨가된 가교결합제 0중량%) 가교결합되지 않는, 용도. - 적어도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층 및 외부 반도체 층에 의해 그 순서대로 둘러싸인 도체를 포함하는 직류(DC) 전력 케이블로서,
하나 이상의 층,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절연 층이,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a)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되, 단 상기 폴리올레핀 (a)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인 경우 가교결합되지 않는 것인, 직류(DC) 전력 케이블.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이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층이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이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바람직하게는 LDPE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들)의 LDPE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LDPE인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DC 케이블.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이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 층이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이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LDPE가 아니고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2 반도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임의적으로,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거나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2 반도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가교결합된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반도체 층은 가교결합되지 않은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는, DC 케이블. - 제 14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DC 전력 케이블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도체 상에, 제 1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부 반도체 층, 절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절연 층 및 제 2 반도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외부 반도체 층을 그 순서대로 적용하되,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층의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은, (a) 폴리올레핀(이 폴리올레핀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면, 이는 가교결합되지 않은 것임), 바람직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아닌 폴리올레핀, 및 (b) 임의적으로, 폴리올레핀 (a)와 상이한 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는, 단계, 및
임의적으로, 수득된 케이블의 하나 이상의 층을 가교결합제의 존재하에 가교결합 조건에서 가교결합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임의적으로,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조성물로 구성되는 절연 층의 절연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면서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 및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조성물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가교결합시키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 적어도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임의적으로 및 바람직하게, 내부 반도체 층의 제 1 반도체 조성물 및 절연 층의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지 않으면서 외부 반도체 층의 제 2 반도체 중합체 조성물을 가교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0156722.0 | 2010-03-17 | ||
EP10156722 | 2010-03-17 | ||
PCT/EP2011/052988 WO2011113685A1 (en) | 2010-03-17 | 2011-03-01 | Polymer composition for w&c application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2086A Division KR102094653B1 (ko) | 2010-03-17 | 2011-03-01 |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의 중합체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6285A true KR20130016285A (ko) | 2013-02-14 |
Family
ID=425626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6995A KR20130016285A (ko) | 2010-03-17 | 2011-03-01 |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의 중합체 조성물 |
KR1020197032086A KR102094653B1 (ko) | 2010-03-17 | 2011-03-01 |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의 중합체 조성물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2086A KR102094653B1 (ko) | 2010-03-17 | 2011-03-01 |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의 중합체 조성물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0811164B2 (ko) |
EP (1) | EP2548208A1 (ko) |
KR (2) | KR20130016285A (ko) |
CN (1) | CN102947895B (ko) |
BR (1) | BR112012023424B1 (ko) |
CA (1) | CA2792989C (ko) |
RU (1) | RU2579146C2 (ko) |
WO (1) | WO201111368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6665A (ko) | 2020-12-01 | 2022-06-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크롬이 도핑된 리튬티타늄산화물 나노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소듐이온전지용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소듐이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소듐이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08196B2 (en) | 2010-03-17 | 2019-02-19 | Borealis Ag | Polymer composition for W and C application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JP6092481B2 (ja) | 2013-08-12 | 2017-03-08 | エービービー テクノロジー エルティーディー. | ケーブルの絶縁体のための熱可塑性ブレンド組成物 |
KR102253901B1 (ko) | 2013-12-19 | 2021-05-20 | 보레알리스 아게 | 신규 가교결합된 중합체 조성물, 전력 케이블 절연 및 전력 케이블 |
PL3569648T3 (pl) * | 2013-12-19 | 2021-04-19 | Borealis Ag | Kabel elektroenergetyczny |
PL3083797T3 (pl) | 2013-12-19 | 2020-05-18 | Borealis Ag | Nowa kompozycja polimerowa o małym mfr, izolacja kabla zasilającego i kabel zasilający |
KR102409093B1 (ko) | 2014-08-19 | 2022-06-14 | 보레알리스 아게 | 신규한 가교결합형 폴리머 조성물, 구조화된 층 및 케이블 |
WO2016097249A1 (en) * | 2014-12-19 | 2016-06-23 | Borealis Ag | Power cable polymer composition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WO2016097254A1 (en) * | 2014-12-19 | 2016-06-23 | Borealis Ag | Power cable polymer composition, power cable and uses with advantageous properties |
EP3234954A1 (en) | 2014-12-19 | 2017-10-25 | Borealis AG | Polymer composition for w&c application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CN107112071A (zh) | 2014-12-19 | 2017-08-29 | 博里利斯股份公司 | 包含热塑性塑料并且具有有利性质的电力缆线聚合物组合物 |
US10689502B2 (en) | 2015-05-22 | 2020-06-23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Processes for preparing cables with a crosslinked insulation layer and cables for same |
KR102544970B1 (ko) * | 2016-03-30 | 2023-06-20 |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 메틸-라디칼 포착제를 갖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
WO2017220616A1 (en) | 2016-06-21 | 2017-12-28 | Borealis Ag | Polymer composition for wire and cable applications with advantageous thermomechanical behaviour and electrical properties |
EP3261093B1 (en) | 2016-06-21 | 2023-08-02 | Borealis AG | Cable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EP3261095A1 (en) | 2016-06-21 | 2017-12-27 | Borealis AG | Cable with improved electrical properties |
EP3261094A1 (en) | 2016-06-21 | 2017-12-27 | Borealis AG | Cable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EP3261096A1 (en) | 2016-06-21 | 2017-12-27 | Borealis AG | Cable and composition |
DE102016111612A1 (de) * | 2016-06-24 | 2017-12-28 | Kromberg & Schubert Gmbh | Kab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abels |
EP3739001B1 (en) | 2019-05-16 | 2023-10-18 | Borealis AG | Polymer composition for cable insulation |
KR20230129486A (ko) | 2021-01-08 | 2023-09-08 | 보레알리스 아게 | 조성물 |
US20240071647A1 (en) | 2021-01-08 | 2024-02-29 | Borealis Ag | Composition |
WO2022148860A1 (en) | 2021-01-08 | 2022-07-14 | Borealis Ag | Composition |
KR20240060705A (ko) | 2021-09-24 | 2024-05-08 | 보레알리스 아게 | 중합체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28523A (en) | 1948-06-12 | 1950-11-07 | Du Pont | Process for extruding and insolubilizing polymers of ethylene |
US2601224A (en) | 1951-01-05 | 1952-06-24 | Du Pont | Preparation of difunctional compounds |
US3079370A (en) | 1955-05-18 | 1963-02-26 | Gen Electric | Peroxide cured polyethylene |
US3242150A (en) | 1960-03-31 | 1966-03-22 | Phillips Petroleum Co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covery of solid olefin polymer from a continuous path reaction zone |
US3405109A (en) | 1960-10-03 | 1968-10-08 | Phillips Petroleum Co | Polymerization process |
US3280220A (en) * | 1963-04-29 | 1966-10-18 | Phillips Petroleum Co | Blend of high density polyethylene-1-butene copolymer |
US3324093A (en) | 1963-10-21 | 1967-06-06 | Phillips Petroleum Co | Loop reactor |
US3374211A (en) | 1964-07-27 | 1968-03-19 | Phillips Petroleum Co | Solids recovery from a flowing stream |
US3401020A (en) | 1964-11-25 | 1968-09-10 | Phillips Petroleum Co |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carbon black |
US3738866A (en) | 1970-08-19 | 1973-06-12 | Gen Electric | Flam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 and article formed thereof |
GB1377737A (en) | 1971-07-15 | 1974-12-18 | Dow Corning Ltd | Crosslinking of olefin polymers |
US3922335A (en) | 1974-02-25 | 1975-11-25 | Cabot Corp | Process for producing carbon black |
US4413066A (en) | 1978-07-05 | 1983-11-01 | Mitsubishi Petrochemical Company, Ltd. | Crosslinkable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s |
JPS5566809A (en) | 1978-11-13 | 1980-05-20 | Mitsubishi Petrochemical Co | Method of manufacturing crosslinked polyethylene resinncoated wire |
US4305489A (en) | 1979-12-05 | 1981-12-15 | Eaton Corporation | Variable ratio regenerative braking device |
JPS5693542A (en) | 1979-12-27 | 1981-07-29 | Mitsubishi Petrochemical Co | Bridged polyethylene resin laminated film or sheet |
JPS5695940A (en) | 1979-12-28 | 1981-08-03 | Mitsubishi Petrochem Co Ltd | Ethylene polymer composition |
JPS5938993B2 (ja) | 1980-03-11 | 1984-09-20 |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 カ−ボンブラックの製造装置 |
FR2502160B1 (fr) | 1981-03-19 | 1986-04-18 |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 Materiau polymere ignifuge |
US4532311A (en) | 1981-03-26 | 1985-07-30 | Union Carbide Corporation | Process for reducing sheeting during polymerization of alpha-olefins |
JPS57207632A (en) | 1981-06-16 | 1982-12-20 | Mitsubishi Petrochem Co Ltd | Crosslinkable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
US4621952A (en) | 1981-07-28 | 1986-11-11 | Union Carbide Corporation | Fluidized bed discharge process |
JPS5861129A (ja) | 1981-10-08 | 1983-04-12 | Sekisui Plastics Co Ltd | 発泡体の製造法 |
US4543399A (en) | 1982-03-24 | 1985-09-24 | Union Carbide Corporation | Fluidized bed reaction systems |
US4391789A (en) | 1982-04-15 | 1983-07-05 | Columbian Chemicals Company | Carbon black process |
JPS6079540U (ja) | 1983-11-08 | 1985-06-03 | 三井造船株式会社 | 気相流動層反応器のガス分散板支持装置 |
SE8402396L (sv) | 1984-05-03 | 1985-11-04 | Unifos Kemi Ab | Isoleringskomposition for kabel |
US4933149A (en) | 1984-08-24 | 1990-06-12 |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 Fluidized bed polymerization reactors |
US4582816A (en) | 1985-02-21 | 1986-04-15 | Phillips Petroleum Company | Catalysts, method of preparation and polymerization processes therewith |
US4732939A (en) | 1986-01-20 | 1988-03-22 |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 Flame-retar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s |
US4855370A (en) | 1986-10-01 | 1989-08-08 | Union Carbide Corporation | Method for reducing sheeting during polymerization of alpha-olefins |
US5026795A (en) | 1987-02-24 | 1991-06-25 | Phillips Petroleum Co | Process for preventing fouling in a gas phase polymerization reactor |
US4812505A (en) | 1987-05-18 | 1989-03-14 | Union Carbide Corporation | Tree resistant compositions |
US4803251A (en) | 1987-11-04 | 1989-02-07 | Union Carbide Corporation | Method for reducing sheeting during polymerization of alpha-olefins |
US4840996A (en) | 1987-11-30 | 1989-06-20 |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 Polymeric composition |
DE3816397A1 (de) * | 1988-05-13 | 1989-11-23 | Basf Ag | Elektrische kabel, die isolierungen auf basis von ehtylenpolymerisaten mit hoher widerstandsfaehigkeit gegenueber der bildung von wasserbaeumchen enthalten |
JPH0218811A (ja) | 1988-07-05 | 1990-01-23 | Fujikura Ltd | 直流電力ケーブル |
GB2223877B (en) * | 1988-10-17 | 1993-05-19 | Pirelli General Plc | Extra-high-voltage power cable |
IT1231174B (it) | 1989-07-24 | 1991-11-22 | Ausimont Srl | Mescole vulcanizzabili di fluoroelastomeri contenenti bromo o iodio e di perossidi organici |
JPH0376288A (ja) | 1989-08-18 | 1991-04-02 | Sanyo Electric Co Ltd | 埋め込み型半導体レーザ |
FI86867C (fi) | 1990-12-28 | 1992-10-26 | Neste Oy | Flerstegsprocess foer framstaellning av polyeten |
FI89929C (fi) | 1990-12-28 | 1993-12-10 | Neste Oy | Foerfarande foer homo- eller sampolymerisering av eten |
DE69229852T2 (de) | 1991-05-31 | 2000-02-24 | Borealis A/S, Lyngby | Vernetzbare Polymerzusammensetzung |
US6270856B1 (en) * | 1991-08-15 | 2001-08-07 | Exxon Mobil Chemical Patents Inc. | Electrical cables having polymeric components |
US5571878A (en) | 1991-09-24 | 1996-11-05 | Chevron Chemical Company | Ethylene-alkyl acrylate copolymers and derivatives having improved melt-point temperatures and adhesive strength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
SE9103077D0 (sv) | 1991-10-22 | 1991-10-22 | Neste Oy | Omaettad etensampolymer och saett foer framstaellning daerav |
JP3327341B2 (ja) | 1992-04-20 | 2002-09-24 | 新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 エチレン系共重合体またはその組成物からなる高絶縁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力ケーブル |
US5276202A (en) | 1993-02-23 | 1994-01-04 | Phillips Petroleum Company | Organic peroxide compositions and process therefor |
JPH07133139A (ja) | 1993-11-04 | 1995-05-23 |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 ハーメチック光ファイバ |
FI942949A0 (fi) | 1994-06-20 | 1994-06-20 | Borealis Polymers Oy | Prokatalysator foer producering av etenpolymerer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daerav |
EP0690458A3 (en) * | 1994-06-27 | 1997-01-29 | Mitsubishi Cable Ind Ltd | Insulating composition and formed articles |
UA47394C2 (uk) | 1995-05-16 | 2002-07-15 | Юнівейшн Текнолоджіз, Ллс | Етиленовий полімер, який має підвищену придатність до обробки та вирiб, що містить етиленовий полімер |
SE504455C2 (sv) * | 1995-07-10 | 1997-02-17 | Borealis Polymers Oy | Kabelmantlingskomposition, dess användning samt sätt för dess framställning |
BR9709117A (pt) * | 1996-04-10 | 1999-08-03 | Dow Chemical Co | Cabo e encapamento de cabo |
US5767034A (en) | 1996-05-31 | 1998-06-16 | Intevep, S.A. |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with additive comprising aluminum-silicon composition, calixarene derivatives or cyclodextrin derivatives |
US5731082A (en) * | 1996-06-24 | 1998-03-24 |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 Tree resistant cable |
SE9603683L (sv) | 1996-10-09 | 1998-02-09 | Borealis Polymers Oy | Sätt för kompoundering av en multimodal polymerkomposition |
JPH1129616A (ja) | 1997-07-11 | 1999-02-02 | Fujikura Ltd | 絶縁電線用エチレン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 |
JP3582335B2 (ja) * | 1997-12-15 | 2004-10-27 |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 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SE513079C2 (sv) * | 1997-12-15 | 2000-07-03 | Borealis As | Komposition för en elektrisk kabel |
SE520000C2 (sv) | 1998-01-02 | 2003-05-06 | Borealis Polymers Oy | Isolerande komposition för en elektrisk kraftkabel samt kraftkabel innefattande den isolerande kompositionen |
SE9800567L (sv) * | 1998-02-25 | 1999-08-26 | Abb Ab | En elektrisk likströmskabel med ett isoleringssystem innefattande en komposition baserad på extruderad, tväbunden polyeten och en metod för tillverkning av en sådan kabel |
EP0947550A1 (en) * | 1998-03-30 | 1999-10-06 |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 Tree resistant cable |
US6924031B2 (en) * | 1998-09-25 | 2005-08-02 | Pirelli Cavi E Sistemi S.P.A. | Low-smoke self-extinguishing electrical cable and flame-retardant composition used therein |
US6849217B1 (en) * | 1998-12-24 | 2005-02-01 | Pirelli Cavi E Sistemi S.P.A. | Process for producing self-extinguishing cables with low-level production of fumes, and flame-retardant compositions used therein |
DK1159747T3 (da) | 1998-12-30 | 2008-02-04 | Prysmian Cavi Sistemi Energia | Kabler med en genanvendelig belægning |
EP1041113A1 (en) * | 1999-03-30 | 2000-10-04 | Fina Research S.A. | Polyolefins and uses thereof |
SE516260C2 (sv) | 1999-07-01 | 2001-12-10 | Borealis Polymers Oy | Isolerande komposition för en elektrisk kraftkabel |
AU2356201A (en) | 1999-11-17 | 2001-05-30 | Pirelli Cavi E Sistemi S.P.A. |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
US6861143B2 (en) * | 1999-11-17 | 2005-03-01 | Pirelli Cavi E Sistemi S.P.A. |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
US6225510B1 (en) | 1999-12-10 | 2001-05-01 | Crompton Corporation | Preparation of di-t-alkyl peroxides and t-alkyl hydroperoxides from n-alkyl ethers |
FR2805656B1 (fr) * | 2000-02-24 | 2002-05-03 | Cit Alcatel | Cable d'energie haute et tres haute tension a courant continu |
US6197852B1 (en) * | 2000-02-28 | 2001-03-06 | Equistar Chemicals, Lp | Polyolefin concentrates and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arbon black dispersion |
KR100756786B1 (ko) | 2000-03-31 | 2007-09-07 |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 전기 절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피복해서이루어지는 전선 또는 케이블 |
US8257782B2 (en) * | 2000-08-02 | 2012-09-04 | Prysmian Cavi E Sistemi Energia S.R.L. | Electrical cable for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and insulating composition |
CA2418067A1 (en) * | 2000-08-07 | 2002-02-14 | Luca Castellani | Process for producing a cable, particularly for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and cable produced therefrom |
US6441309B1 (en) | 2000-09-26 | 2002-08-27 |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 Tree resistant cable |
US6824870B2 (en) * | 2000-09-28 | 2004-11-30 | Pirelli S.P.A. | Cable with recyclable covering |
WO2002047092A1 (en) * | 2000-12-06 | 2002-06-13 | Pirelli S.P.A. | Process for producing a cable with a recyclable coating |
ES2266053T3 (es) | 2001-06-20 | 2007-03-01 | Borealis Technology Oy | Preparacion de un componente de catalizador para la polimerizacion de olefina. |
ES2232767T3 (es) * | 2001-08-31 | 2005-06-01 | Dow Global Technologies Inc. | Material de polietileno multimodal. |
WO2003022920A1 (fr) * | 2001-09-06 | 2003-03-20 | Mitsui Chemicals, Inc. |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ethylene |
US7317054B2 (en) * | 2001-12-14 | 2008-01-08 | Corrugated Polyethleyne Pipe, Ltd. | Melt blended high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with enhanced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US20030113496A1 (en) * | 2001-12-17 | 2003-06-19 | Harris Michael G. | Polyethylene melt blends for high density polyethylene applications |
CN1320556C (zh) * | 2002-04-29 | 2007-06-06 | 皮雷利&C.有限公司 | 耐火电缆 |
DE60315450T2 (de) * | 2002-06-04 | 2008-04-24 |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 Danbury | Polymerzusammensetzung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rohren daraus |
WO2004026921A1 (en) * | 2002-09-20 | 2004-04-01 |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 Polymer production at supercritical conditions |
WO2004066317A1 (en) * | 2003-01-20 | 2004-08-05 | Gabriele Perego | Cable with recycable covering layer |
BRPI0407495A (pt) * | 2003-02-13 | 2006-02-14 | Stichting Dutch Polymer Inst | polìmero reforçado |
US7327554B2 (en) * | 2003-03-19 | 2008-02-05 | Ngk Spark Plug Co., Ltd. | 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 interposer and substrate |
KR100625803B1 (ko) * | 2003-04-04 | 2006-09-20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트래킹 저항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
EP1484345A1 (en) | 2003-06-06 | 2004-12-08 | Borealis Technology Oy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propylene using a Ziegler-Natta catalyst |
NZ547567A (en) * | 2003-12-03 | 2007-12-21 | Prysmian Cavi Sistemi Energia | Impact resistant cable |
US20050203232A1 (en) | 2004-03-05 | 2005-09-15 | Rolland Loic P. | Ethylene copolymer modified oriented polypropylene |
DE102004032152A1 (de) * | 2004-07-02 | 2006-01-26 | Ticona Gmbh | Verbund umfassend mindestens eine harte Komponente und mindestens eine weiche Komponente |
ATE517421T1 (de) | 2004-07-22 | 2011-08-15 | Borealis Tech Oy | Halbleitende polymerzusammensetzungen |
US7806977B2 (en) | 2004-10-29 | 2010-10-05 | Millennium Inorganic Chemicals,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titanium dioxide pigments and coupling agents |
KR100753478B1 (ko) * | 2005-02-15 | 2007-08-3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혼성 담지 메탈로센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틸렌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PL1695992T3 (pl) | 2005-02-28 | 2010-07-30 | Borealis Tech Oy | Sposób wytwarzania usieciowanych polimerów |
EP1731564B1 (en) * | 2005-06-08 | 2010-03-10 | Borealis Technology Oy | Water tree retarding composition |
ATE466901T1 (de) | 2005-06-08 | 2010-05-15 | Borealis Tech Oy | POLYMERZUSAMMENSETZUNG MIT VERBESSERTEN ßWET- AGEINGß-EIGENSCHAFTEN |
EP1739691B1 (en) * | 2005-06-30 | 2008-12-03 | Borealis Technology Oy | Outer sheath layer for power or communication cable |
NZ565048A (en) * | 2005-07-15 | 2010-06-25 | Prysmian Cavi Sistemi Energia | Cable having expanded, strippable jacket |
US20070049711A1 (en) | 2005-09-01 | 2007-03-01 | Chi-I Kuo | Catalyst compositions comprising support materials having an improved particle-size distribution |
US7655731B2 (en) | 2005-09-01 | 2010-02-02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Soft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high temperature properties |
WO2007035506A1 (en) | 2005-09-16 | 2007-03-29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odified filler-containing polypropylene resins |
EP1834987B1 (en) * | 2006-03-15 | 2015-08-12 | Borealis Technology Oy |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selective cross-linkable dispersed phase |
DE602006001583D1 (de) | 2006-04-26 | 2008-08-07 | Borealis Tech Oy | Vernetzbare Polyolefinzusammensetzung enthaltend hochmolekuaren Silanolkondensationskatalysator |
ATE456139T1 (de) * | 2006-07-10 | 2010-02-15 | Borealis Tech Oy | Kabelschicht auf der basis von polypropylen mit hoher elektrischer ausfall-spannungsfestigkeit |
US7696437B2 (en) * | 2006-09-21 | 2010-04-13 | Belden Technologies, Inc. | Telecommunications cable |
DK2074167T3 (da) | 2006-10-16 | 2012-07-23 | Basf Se | Stabiliseret medium og højspændingsisolerings-sammensætning |
PT1916672E (pt) | 2006-10-27 | 2010-11-02 | Borealis Tech Oy | Cabo distribuidor de corrente, flexível com resistência à arborescência melhorada |
WO2008066168A1 (fr) | 2006-12-01 | 2008-06-05 | Idemitsu Kosan Co., Ltd. | Copolymère greffé, composition de résine thermoplastique comprenant le copolymère greffé, et leur procédé de production |
US7863522B2 (en) * | 2006-12-20 | 2011-01-04 | Dow Global Technologies Inc. | Semi-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wire and cable |
US9200103B2 (en) | 2006-12-21 | 2015-12-01 | Dow Global Technologies Llc | Functionalized olefin polymers, compositions and article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
US20080240661A1 (en) * | 2007-03-16 | 2008-10-02 | Real Helvenstein | Optical cable for connection to a general distribution network, and a method of connecting said cable |
US7999188B2 (en) * | 2007-06-28 | 2011-08-16 | Prysmian S.P.A. | Energy cable |
EP2015314B1 (en) | 2007-07-12 | 2012-04-04 | Borealis Technology Oy | Process for preparing and crosslinking a cable comprising a polymer composition and a crosslinked cable |
EP2015315B1 (en) | 2007-07-12 | 2012-12-12 | Borealis Technology Oy | Process for preparing and crosslinking a cable comprising a polymer composition and a crosslinked cable |
EP2083046A1 (en) | 2008-01-25 | 2009-07-29 |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
WO2009097560A1 (en) * | 2008-01-30 | 2009-08-06 | Dow Global Technologies Inc. | ETHYLENE/α-OLEFIN BLOCK INTERPOLYMERS |
WO2009111185A2 (en) | 2008-02-29 | 2009-09-11 | Dow Global Technologies Inc. | FIBERS AND FABRICS MADE FROM ETHYLENE/α-OLEFIN INTERPOLYMERS |
JP5183365B2 (ja) * | 2008-08-27 | 2013-04-17 |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 非架橋電線用ポリエチレン樹脂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
KR101311230B1 (ko) * | 2009-03-24 | 2013-09-24 | 에스케이종합화학 주식회사 | 전력케이블용 비 가교 폴리에틸렌 조성물 |
US10208196B2 (en) | 2010-03-17 | 2019-02-19 | Borealis Ag | Polymer composition for W and C application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JP2012121995A (ja) * | 2010-12-08 | 2012-06-28 | Hitachi Cable Ltd | 樹脂組成物及び発泡絶縁電線 |
US8809456B2 (en) | 2012-04-18 | 2014-08-19 |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 Polyolef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
US9575030B2 (en) * | 2012-09-17 | 2017-02-21 | Aem Performance Electronics | Digital controller for an oxygen sensor |
-
2011
- 2011-03-01 KR KR1020127026995A patent/KR20130016285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3-01 RU RU2012142300/04A patent/RU2579146C2/ru active
- 2011-03-01 WO PCT/EP2011/052988 patent/WO201111368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3-01 BR BR112012023424-2A patent/BR112012023424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01 CN CN201180019497.6A patent/CN102947895B/zh active Active
- 2011-03-01 US US13/635,517 patent/US10811164B2/en active Active
- 2011-03-01 KR KR1020197032086A patent/KR10209465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01 CA CA2792989A patent/CA2792989C/en active Active
- 2011-03-01 EP EP11705597A patent/EP2548208A1/en active Pending
-
2020
- 2020-09-03 US US17/011,613 patent/US20210027912A1/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76665A (ko) | 2020-12-01 | 2022-06-08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크롬이 도핑된 리튬티타늄산화물 나노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소듐이온전지용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소듐이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소듐이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947895A (zh) | 2013-02-27 |
US10811164B2 (en) | 2020-10-20 |
RU2012142300A (ru) | 2014-04-27 |
BR112012023424A2 (pt) | 2018-05-15 |
CA2792989A1 (en) | 2011-09-22 |
CA2792989C (en) | 2018-08-14 |
BR112012023424B1 (pt) | 2020-09-29 |
US20210027912A1 (en) | 2021-01-28 |
WO2011113685A1 (en) | 2011-09-22 |
KR20190124829A (ko) | 2019-11-05 |
KR102094653B1 (ko) | 2020-03-30 |
EP2548208A1 (en) | 2013-01-23 |
US20130081854A1 (en) | 2013-04-04 |
RU2579146C2 (ru) | 2016-04-10 |
CN102947895B (zh) | 201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4653B1 (ko) |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와이어 및 케이블 용도의 중합체 조성물 | |
US10626265B2 (en) | Polymer composition for W and C application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
KR102024393B1 (ko) | 전기 장치용 중합체 조성물 | |
EP3212710B1 (en) | Polymer composition for cable applications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
KR101834581B1 (ko) |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가교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 및 케이블 | |
KR102080451B1 (ko) | 가교결합성 중합체 조성물 및 유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케이블 | |
KR102056952B1 (ko) | 전기 장치용 중합체 조성물 | |
US10822478B2 (en) | Polymer composition and cable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 |
KR20220010605A (ko) | Ldpe, 폴리프로필렌 및 작용화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조성물 | |
CN109313960B (zh) | 具有有利的电性能的电缆 | |
EP3261095A1 (en) | Cable with improved electrical properties | |
CN114041193A (zh) | 包含ldpe和官能化聚烯烃的组合物 | |
KR20140030232A (ko) | 전기 장치용 중합체 조성물 | |
KR20230129486A (ko) |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