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019A -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019A
KR20130014019A KR1020120074018A KR20120074018A KR20130014019A KR 20130014019 A KR20130014019 A KR 20130014019A KR 1020120074018 A KR1020120074018 A KR 1020120074018A KR 20120074018 A KR20120074018 A KR 20120074018A KR 20130014019 A KR20130014019 A KR 20130014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ilm
outer film
rice lump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즈키마코토
에이이치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에이이치 스즈키
스즈키마코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이치 스즈키, 스즈키마코토 filed Critical 에이이치 스즈키
Publication of KR2013001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3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wrappers disposed one inside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55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밥 덩어리의 포장을 풀 수 있는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을 명확하게 한다.
밥 덩어리(60)를 포장 시트(12)로 싸서 이루어지는 포장 밥 덩어리로서, 포장 시트(12)는 전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외필름(20)과 상기 외필름(20)의 이면측에 구비된 내필름(40)의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50)을 끼워 구성되고, 외필름(20)은, 폭 방향 또한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에만 소정 간격의 절입(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찢어짐부(24)를 가지며, 내필름(40)은, 한 쌍의 내필름편(41)(41)을 외필름(20)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겹치고, 시트형상 식품(50)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외필름(20)과 용착(18)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 시트(12)의 내필름(40) 상에, 외필름(20)의 찢어짐부(24)가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향하도록 밥 덩어리(60)를 얹고, 포장 시트(12)로 밥 덩어리(60)를 싸서, 포장 시트(12)의 단부를 부착 수단(16)에 의해 봉지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PACKAGED BOILED RICE MASS AND UNPACKA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필름과 외필름의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을 끼워 형성한 포장 시트에 의해 밥 덩어리를 포장한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각 주먹밥 등의 밥 덩어리를 포장 시트로 포장한 소위 포장 밥 덩어리가 편의점 등에서 판매되고 있다.
포장 시트로서, 외필름과 내필름의 사이에 시트형상 김을 끼워 형성한 삼중 구조인 것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단되는 컷 테이프를 갖는 외필름에, 2장의 세로로 긴 내필름편으로 이루어지는 내필름을, 내필름편의 내측단들을 외필름의 컷 테이프 상에서 겹치고, 시트형상 김의 둘레 가장자리 근방을 따라 열 용착함으로써 포장 시트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포장 시트로 삼각형 주먹밥을 싸기 위해서는, 포장 시트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 밥 덩어리를 얹고, 포장 시트의 일단측을 밥 덩어리에 씌우며, 모퉁이부를 삼각 주먹밥을 따르도록 구부려접고, 다음에, 반대측도 동일하게 씌워, 그 외필름의 단부를 접착이나 용착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9-185호 공보
상기 포장 밥 덩어리의 포장을 풀기 위해서는,
(1) 밥 덩어리의 꼭대기부에 위치하는 외필름의 컷 테이프를 잡아 빼내어, 외필름을 이분하는 단계,
(2) 좌우로 분단된 포장 시트의 한쪽을 밥 덩어리와 시트형상 김을 남기고 빼내는 단계. 이에 따라, 외필름의 반체와 내필름의 내필름편이 함께 잡아당겨져 나온다.
(3) 다음에, 나머지 외필름의 반체와 내필름편을 밥 덩어리와 시트형상 김으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필요로 하며, 이들 3개의 단계를 거침으로써, 밥 덩어리에 시트형상 김이 직접 씌워진 상태로 할 수 있다.
특히, 아이나 노인들에게는, 상기 3개의 단계를 순서대로 순조롭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여, 보다 간단하게 포장을 풀 수 있는 포장 밥 덩어리에 대한 요청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밥 덩어리의 포장을 풀 수 있는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포장 밥 덩어리는,
밥 덩어리(60)를 포장 시트(12)로 싸서 이루어지는 포장 밥 덩어리로서,
밥 덩어리(60)는, 대향하는 측면이 대략 평행한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포장 시트(12)는 전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외필름(20)과 상기 외필름(20)의 이면측에 구비된 내필름(40)의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50)을 끼워 구성되고, 외필름(20)은, 폭 방향 또한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에만 소정 간격의 절입(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찢어짐부(24)를 가지며, 내필름(40)은, 한 쌍의 내필름편(41)(41)을 외필름(20)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겹치고, 시트형상 식품(50)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외필름(20)과 용착(18)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 시트(12)의 내필름(40) 상에, 외필름(20)의 찢어짐부(24)가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향하도록 밥 덩어리(60)를 얹고, 포장 시트(12)로 밥 덩어리(60)를 싸서, 포장 시트(12)의 단부를 부착 수단(16)에 의해 봉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필름(20)의 이면측에, 절입(21)을 내측으로부터 막도록 찢어짐부(24)를 따라 한 변이 외필름(20)에 용착(17)된 폭이 좁은 커버 필름편(2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장 밥 덩어리(10)에 의하면, 찢어짐부(24)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외필름(20)의 끝 가장자리를 각각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외필름(20)은 찢어짐부(24)에서 찢어지고, 또한 외필름(20)의 끝 가장자리를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외필름(20)은 찢어짐부(24)에서 길이 방향으로 분단되며, 분단된 한쪽의 외필름(20)과 내필름편(41)을 시트형상 식품(50)을 밥 덩어리(60)에 남긴 상태로 빼내는 단계와,
다른 쪽의 외필름(20)의 반체와 내필름편(41)을 밥 덩어리(60)와 시트형상 식품(50)으로부터 빼내어, 시트형상 식품(50)이 직접 씌워진 밥 덩어리(60)를 얻는 단계의 2개의 단순한 단계만으로 포장을 풀 수 있다.
따라서, 종래보다, 포장을 푸는 단계를 간략화할 수 있어, 매우 용이하게 포장 밥 덩어리(10)의 포장을 풀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장을 푸는 방법이 알기 쉽기 때문에, 아이나 노인도 용이하게 포장 밥 덩어리(10)의 포장을 풀어 먹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포장 밥 덩어리(10)는, 절입(21)으로 이루어지는 찢어짐부(24)를 외필름(2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략 일치하는 길이에만 설치하고 있으므로, 절입(21)으로부터 습기 등이 침입하지 않아, 시트형상 식품(50)의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찢어짐부(24)를 이면측으로부터 커버 필름편(22)으로 덮음으로써, 절입(21)으로부터의 습기 등의 침입을 가급적 방지하여, 시트형상 식품(50)의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한 상태의 포장 시트에 밥 덩어리를 얹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른 포장 시트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버 필름편의 길이 방향의 한 변이 외필름의 이면측에 용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포장 시트로 밥 덩어리를 포장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포장 시트로 밥 덩어리를 포장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포장 시트로 밥 덩어리를 포장한 포장 밥 덩어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찢어짐부에서 외필름이 분단되어 가는 모양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포장 시트가 분단된 상태의 포장 밥 덩어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포장이 풀리고, 시트형상 식품이 직접 밥 덩어리에 씌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포장 시트를 이용하여, 밥 덩어리를 주머니형상으로 포장한 포장 밥 덩어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포장 밥 덩어리(10)의 포장 시트(12)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시트(12)는, 직사각형이고 투명한 외필름(20)과, 외필름(20)의 폭 방향이 되는 단변의 대략 반분의 폭의 내필름편(41)(41)으로 이루어지는 내필름(40)의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50)을 끼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필름(20)은,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필름이며, 길이 방향의 길이가 약 23㎝, 폭 방향의 길이가 약 14㎝이다.
외필름(20)은, 폭 방향 또한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의 찢어짐부(24)를 갖고 있다. 찢어짐부(24)는 소정 간격의 절입(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찢어짐부(24)는, 밥 덩어리(60)의 폭(약 3.5cm)과 대략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조금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밥 덩어리(60)보다 조금 긴 약 4cm로 하고 있다.
찢어짐부(24)는 폭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찢을 수 있다.
외필름(20)의 이면에는, 상기 절입(21)으로 이루어지는 찢어짐부(24)를 막는 커버 필름편(22)이 구비되어 있다. 커버 필름편(22)은, 폭이 좁으며(예를 들면 1.5㎝), 찢어짐부(24)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막도록 설치된다. 커버 필름편(22)은, 찢어짐부(24)를 덮도록 구비하며, 길이 방향의 한 변을 외필름(20)에 열 용착(17) 등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외필름(20)에 부착할 수 있다.
커버 필름편(22)은, 절입(21)으로부터의 습기 등의 침입을 막아, 포장 시트(12) 내의 시트형상 식품(50)의 건조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커버 필름편(22)은, 찢어짐부(24)보다 조금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약 5cm로 하고 있다.
시트형상 식품(50)은, 시트형상 김을 예시할 수 있다. 시트형상 식품(50)은, 외필름(20)의 이면측의 대략 중앙에 얹혀져 있다.
시트형상 식품(50)은, 대략 직사각형인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모퉁이부가 모따기된 형상인 것을 이용하거나, 길이 방향의 단부가 둥글게 모따기된 형상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필름(20)과 내필름(40)을 구성하는 내필름편(41)을 밥 덩어리(60)와 시트형상 식품(50)으로부터 잡아당겨 빼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형상 식품(50)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약 16㎝, 폭 방향의 길이가 약 8㎝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시트형상 식품(50)은 시트형상 김을 이용하고 있는데, 얇은 식품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예로서는, 말린 오징어를 얇게 편 것이나, 초절임 다시마를 시트형상으로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내필름(4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형의 2장의 필름편(41)(41)으로 구성되고, 서로의 내측 가장자리를 상기 외필름(20)의 폭 방향 중앙의 찢어짐부(24) 상에서, 약 1㎝의 겹침폭으로 겹쳐져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각 필름편(41)(41)은, 길이 방향의 길이를 외필름(20)과 동일한 약 23㎝, 폭 방향의 길이를 약 7.5㎝로 하고 있다.
내필름(40)은, 밥알이 잘 붙지 않는 재료의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내필름(40), 즉, 내필름편(41)(41)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균일하게 분포된 엠보스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엠보스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밥 덩어리(60)로부터의 밥알이 잘 붙지 않게 되어, 내필름(40) 등에 밥알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필름(20)의 이면측의 대략 중앙에 시트형상 식품(50)이 얹히고, 그 위로부터, 내필름(40)을 구성하는 내필름편(41)(41)이 서로의 내측 가장자리를 찢어짐부(24) 상에서 겹치도록 얹히며, 시트형상 식품(50)을 둘러싸도록 외필름(20)의 둘레 가장자리 근방을 따라 외필름(20)과 내필름(40)을 선형상으로 용착(18)함으로써, 포장 시트(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필름편(41)(41)의 겹침부에는 용착은 실시되지 않는다.
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상 식품(50)이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트형상 식품(50)의 길이 방향의 일단 또는 양단의 근방에서, 각 내필름편(41)(41)은, 외필름(20)에 용착(19)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포장 시트(12)는, 찢어짐부(24)를 외필름(20)의 일부에만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찢어짐부를 외필름(2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전체 길이에 형성한 경우에 비해, 외부로부터의 습기 등의 침입을 저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경우,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절입을 형성한 외필름과 비교하여, 습기 등의 침입을 약 1/5 이하로 저감할 수 있어, 포장 시트(12) 내의 시트형상 식품(50)을 건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찢어짐부(24)를 내측으로부터 막는 커버 필름편(22)을 설치함으로써, 절입(21)으로부터 포장 시트(12)의 내부에 들어가는 습기 등의 침입을 더욱 막을 수 있어, 포장 시트(12) 내의 시트형상 식품(50)을 건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포장 시트(12)를 이용하여, 밥 덩어리(60)가 포장된다.
밥 덩어리(60)는, 백미나 가미한 밥 등을 단단하게 하여, 편평 형상으로 한 덩어리를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 측면이 대략 평행해지고, 상기 양 측면들을 평면형상 또는 곡면형상의 둘레면으로 연결한 형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밥 덩어리(60)의 폭은 약 3.5cm이다.
또한, 밥 덩어리(60)에는,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참깨 등의 밥에 뿌려먹는 식품을 뿌리고, 속재료를 얹거나, 속재료를 내부에 끼우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에서는, 밥 덩어리(60)는 삼각형의 주먹밥인데, 환형의 주먹밥이나, 사각형의 주먹밥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의 포장 시트(12)에 의해 밥 덩어리(60)를 포장하는 순서를 이하에 기재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필름(40)측을 상향으로 한 포장 시트(12)에 밥 덩어리(60)를 얹는다. 밥 덩어리(60)가 삼각 주먹밥인 경우, 포장 시트(12)로 밥 덩어리(60)를 포장하였을 때에, 삼각 주먹밥의 저면의 중심이, 상기 찢어짐부(24)와 대향하도록 밥 덩어리(60)를 얹는다.
다음에, 도 2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밥 덩어리(60)를 감싸도록, 포장 시트(12)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밥 덩어리(60)에 씌운다. 이어서, 도 5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시트(12)의 일단의 양 모퉁이를 밥 덩어리(60)의 둘레면을 따르게 한다.
다음에,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 시트(12)의 타단의 한쪽의 모퉁이를 밥 덩어리(60)를 감싸도록 씌우고, 또한, 도 7의 화살표 E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쪽의 모퉁이를 밥 덩어리(60)에 씌운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된 포장 시트(12)의 단부를 테이프 등을 예로 하는 부착 수단(16)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포장 밥 덩어리(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부착 수단(16)은 테이프이지만, 제조 연월일이나 내용물 등을 기재한 라벨을 이용하거나, 용착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부착 수단(16)이 포장 시트(12)의 폭 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부착 수단(16)에 뜯는선과 같은 절입을 넣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포장 시트(12)로 밥 덩어리(60)를 포장한 후, 찢어짐부(24)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포장 시트(12)의 끝 가장자리는, 포장 밥 덩어리(10)의 측면을 따라 구부려접어, 테이프나 시일 등의 봉지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펼쳐지지 않도록 부착이나 고정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포장 시트(12)의 끝 가장자리를 구부려접는 경우, 상기 끝 가장자리는 포장 밥 덩어리(10)의 저면을 향해 구부려접는 것이 아니라, 상향으로 구부려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저면을 하측으로 향하게 하여 가게의 앞쪽에서 진열하거나 할 때에, 포장 밥 덩어리(10)의 안정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얻어진 포장 밥 덩어리(10)는, 이하의 2단계로 포장을 풀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로서, 찢어짐부(24)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외필름(20)의 끝 가장자리를, 도 7의 화살표 F,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좌우로 잡아당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끝 가장자리를 부착 또는 고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미리 그 부착 또는 고정을 풀어 둔다.
외필름(20)의 끝 가장자리를 각각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도 8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외필름(20)이 찢어짐부(24)에서 찢어지고, 또한 이들 끝 가장자리가 잡아당겨짐으로써, 외필름(20)은 찢어짐부(24)에서 찢어져 가도록 길이 방향으로 분단(25)되어 간다. 또한, 도 8 중, 찢어짐부(24)의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는, 분단에 의해 절단된 절입(21)(21) 사이에 있었던 외필름(20)이다.
또한 끝 가장자리를 잡아당김으로써, 외필름(20)은 전체 길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분담됨과 더불어, 분단된 한쪽의 외필름(20)과 내필름편(41)을 시트형상 식품(50)을 밥 덩어리(60)에 남긴 상태로 빼낼 수 있다.
다음에, 두 번째 단계로서, 남은 다른 쪽의 외필름(20)의 반체와 내필름편(41)을, 도 9의 화살표 G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밥 덩어리(60)와 시트형상 식품(50)으로부터 빼내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상 식품(50)이 직접 씌워진 밥 덩어리(60)를 얻는다.
상기 2개의 단계에 의해 포장이 풀리고, 시트형상 식품(50)이 직접 씌워진 밥 덩어리(60)는, 시트형상 식품(50)의 단부를 밥 덩어리(60)에 감음으로써, 먹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복잡한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2개의 단순한 단계만으로 포장을 풀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적절한 치수나 바람직한 형상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치수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찢어짐부(24)의 길이나 포장 시트(12) 등의 크기는, 밥 덩어리(60)의 크기에 맞추어 제작하면 된다.
또한, 시트형상 식품(50)의 모퉁이부에 모따기 또는 단부에 둥글게 모따기를 실시해 둠으로써, 외필름(20)과 내필름(40)의 절곡부에, 시트형상 식품(50)이 끼이지 않으므로, 시트형상 식품(50)을 찢지 않고, 외필름(20)과 내필름(40)을 시트형상 식품(50)과 밥 덩어리(60)로부터 빼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거나, 혹은 범위를 감축하도록 해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포장 시트(12)를 주머니형상으로 형성한 실시예이다. 이 경우도, 찢어짐부(24)를 밥 덩어리(도시 생략)의 저면의 폭과 대략 일치하는 영역에만 형성하고 있다.
포장을 풀기 위해서는, 좌우에 위치하는 외필름(20)의 끝 가장자리를, 각각 좌우로 잡아당겨, 외필름(20)을 찢어짐부(24)로부터 순서대로 외필름(20)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찢어 가서, 분단된 한쪽의 외필름(20)과 내필름편(41)을 시트형상 식품(50)을 밥 덩어리(60)에 남긴 상태로 빼내고, 다른 쪽의 외필름(20)의 반체와 내필름편(41)을 밥 덩어리(60)와 시트형상 식품(50)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상기와 동일하게, 시트형상 식품(50)으로 직접 싸여진 밥 덩어리(60)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매우 용이하게 포장을 풀 수 있는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으로서 유용하다.
10 : 포장 밥 덩어리
12 : 포장 시트
16 : 부착 수단
20 : 외필름
21 : 절입(찢어짐부)
22 : 커버 필름편
24 : 찢어짐부
40 : 내필름
41 : 내필름편
50 : 시트형상 식품
60 : 밥 덩어리

Claims (6)

  1. 밥 덩어리(60)를 포장 시트(12)로 싸서 이루어지는 포장 밥 덩어리로서,
    밥 덩어리(60)는, 대향하는 측면이 대략 평행한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포장 시트(12)는 전개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외필름(20)과 상기 외필름(20)의 이면측에 구비된 내필름(40)의 사이에 시트형상 식품(50)을 끼워 구성되고, 외필름(20)은, 폭 방향 또한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에만 소정 간격의 절입(21)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찢어짐부(24)를 가지며, 내필름(40)은, 한 쌍의 내필름편(41)(41)을 외필름(20)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서 서로 겹치고, 시트형상 식품(50)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외필름(20)과 용착(18)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장 시트(12)의 내필름(40) 상에, 외필름(20)의 찢어짐부(24)가 밥 덩어리(60)의 폭과 대향하도록 밥 덩어리(60)를 얹고, 포장 시트(12)로 밥 덩어리(60)를 싸서, 포장 시트(12)의 단부를 부착 수단(16)에 의해 봉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밥 덩어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필름(20)의 이면측에, 절입(21)을 내측으로부터 막도록 찢어짐부(24)를 따라 한 변이 외필름(20)에 용착(17)된 폭이 가는 커버 필름편(22)을 구비하는, 포장 밥 덩어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시트형상 식품(50)의 길이 방향의 모퉁이부에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는, 포장 밥 덩어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시트형상 식품(5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둥글게 모따기가 실시되어 있는, 포장 밥 덩어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필름(40)의 내필름편(41)(41)은, 요철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실시된 엠보스 필름인, 포장 밥 덩어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 밥 덩어리의 포장을 푸는 방법으로서,
    찢어짐부(24)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외필름(20)의 끝 가장자리를 각각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외필름(20)은 찢어짐부(24)에서 찢어지고, 또한 외필름(20)의 끝 가장자리를 좌우로 잡아당김으로써, 외필름(20)은 찢어짐부(24)에서 길이 방향으로 분단되며, 분단된 한쪽의 외필름(20)과 내필름편(41)을 시트형상 식품(50)을 밥 덩어리(60)에 남긴 상태로 빼내는 단계와,
    다른 쪽의 외필름(20)의 반체(半體)와 내필름편(41)을 밥 덩어리(60)와 시트형상 식품(50)으로부터 빼내어, 시트형상 식품(50)이 직접 씌워진 밥 덩어리(60)를 얻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밥 덩어리의 포장을 푸는 방법.
KR1020120074018A 2011-07-27 2012-07-06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KR20130014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3780A JP2013027323A (ja) 2011-07-27 2011-07-27 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JP-P-2011-163780 2011-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019A true KR20130014019A (ko) 2013-02-06

Family

ID=47785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018A KR20130014019A (ko) 2011-07-27 2012-07-06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27323A (ko)
KR (1) KR201300140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9098B2 (ja) * 2016-01-18 2018-11-07 アイワ工業株式会社 握り飯用包装材、握り飯用包装材原反および包装握り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836B1 (ja) * 1999-04-12 2000-08-28 允 鈴木 おにぎり包装シート及び包装おにぎり
JP3081838B1 (ja) * 1999-06-07 2000-08-28 允 鈴木 包装おにぎり
JP3065610B1 (ja) * 1999-05-11 2000-07-17 允 鈴木 おにぎり包装シ―ト及び包装おにぎり
JP2002051714A (ja) * 2000-08-11 2002-02-19 Howa Sangyo Kk 米飯包装体、及び米飯包装用の包材
JP2003034381A (ja) * 2001-07-26 2003-02-04 Makoto Suzuki 包装棒状飯及びその包装シート
JP3124926U (ja) * 2006-06-22 2006-08-31 允 鈴木 包装棒状飯及びその包装シート
JP5303179B2 (ja) * 2008-04-16 2013-10-02 朋和産業株式会社 米飯加工食品用包装材及び米飯加工食品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7323A (ja)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402B1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2014204680A (ja) 包装シート、包装食品及び包装食品の包装を解く方法
JP2015008717A (ja) 包装シート
KR20130014019A (ko)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JP6039303B2 (ja) 包装シート及び該包装シートにより包装された包装飯塊
JP5890116B2 (ja) 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KR20120115148A (ko) 포장 밥 덩어리 및 그 포장을 푸는 방법
JP6272669B2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KR20190002325A (ko) 포장 밥 덩어리
JP6077257B2 (ja) 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6101392B1 (ja) 包装シート、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6809850B2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JP5757773B2 (ja) 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JP3157781U (ja) 包装飯塊
JP2014073115A (ja) 包装飯塊
JP6617026B2 (ja) 包装シート及び棒状包装飯塊
JP2011078373A (ja) 包装飯塊
JP2021084671A (ja) 飯塊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JP6042176B2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JP5765997B2 (ja) 包装飯塊及びその包装を解く方法
KR20200066206A (ko) 포장 시트 및 포장 밥 덩어리
JPH11206328A (ja) 棒状食品用包装材
JP3153134U (ja) 副食付き包装飯塊
JP2006273376A (ja) 包装部材及び包装おにぎり
JP2017038546A (ja) 包装シート及び包装飯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