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498A -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498A
KR20130006498A KR1020127028744A KR20127028744A KR20130006498A KR 20130006498 A KR20130006498 A KR 20130006498A KR 1020127028744 A KR1020127028744 A KR 1020127028744A KR 20127028744 A KR20127028744 A KR 20127028744A KR 20130006498 A KR20130006498 A KR 20130006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load current
value
rotational speed
curren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126B1 (ko
Inventor
신타로 다다
마사유키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40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drawn or delivered by the motor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loa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6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rs for pig-ir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7/00Stirring devices for molten materi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1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for preventing overspeed or under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Abstract

소정의 설정 회전수 X0으로 임펠러(3)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 임펠러(3)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4)의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하고, 부하 전류값 I가 소정의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에,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Description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IMPELLER ROTATION SPEE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 전류값 I가 소정의 임계값 I0을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 임펠러의 회전수를 상승시킴으로써, 임펠러가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임펠러의 내용(耐用) 회수(cycle life)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및 제강소에서는 취화(脆化) 원인으로 되는 유황분(불순물 원소)을 용철에서 제거하기 위해, 제선 공정과 제강 공정의 사이에서 탈유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탈유 처리에서는 용철이 수용된 레이들 등의 용기에 예를 들면 생석회, 소다회, 카바이드, 가성 소다, 및 소석회 등의 탈황제를 공급한 후에, 용기내의 용철에 침지된 임펠러(교반날개)에 의해 교반을 실행함으로써, 탈유 반응을 촉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탈유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등에 기재된 구성을 들 수 있다. 즉, 종래 구성에서는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부하 전류값으로부터, 모터의 100% 운전시의 발열량에 대한 현재 운전시의 발열량의 비인 과부하 잔량을 추정한다. 그리고, 이 추정한 과부하 잔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하회한 경우에 임펠러의 회전수를 내리도록 함으로써, 모터 과부하에 의한 운전 정지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한의 회전수로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있다. 이 제어는 임펠러(3)의 회전수를 항상 약간 높게 설정함으로써, 탈유 불량의 발생을 최대한 회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사내 기술이기 때문에 특별히 문헌으로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지만, 임펠러의 사용 회수로부터 경험적으로 임펠러의 마모 상황을 상정하고, 이 상정된 마모 상황에 의거하여 임펠러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것도 실행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82409호
상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모터 과부하에 의한 운전 정지가 발생하지 않는 최대한의 회전수로 임펠러를 회전시키므로, 임펠러의 성능에 따라서는 필요 이상의 회전수로 임펠러를 회전시켜 버리게 된다. 또, 경험적으로 상정된 마모 상황에 의거하여 임펠러의 회전수를 결정하는 경우에도, 탈유 불량의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회전수를 약간 높게 설정하는 경향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는 임펠러가 불필요하게 마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으며, 임펠러의 내용 회수가 저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임펠러가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임펠러의 내용 회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은 용융 금속에 침지된 임펠러에 의해, 용융 금속 및 용융 금속에 첨가된 탈황제의 교반을 실행할 때의 상기 임펠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설정 회전수 X0으로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하고, 부하 전류값 I가 소정의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에,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임펠러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의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소정의 설정 회전수 X0으로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 임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하고, 부하 전류값 I가 소정의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에,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임펠러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므로, 당초부터 임펠러의 회전수를 약간 높게 설정할 필요를 없앨 수 있고, 적정한 회전수에서의 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가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임펠러의 내용 회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이 실시되는 기계식 탈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에 의해 실시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수 제어 동작이 실시된 경우의 임펠러의 회전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이 실시되는 기계식 탈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레이들(1)(용기)에는 용철(2)(용융 금속)이 수용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용철(2)은 제선 공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며, 취화 원인으로 되는 유황분(불순물 원소)을 포함하고 있다. 이 유황분을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생석회, 소다회, 카바이드, 가성 소다, 및 소석회 등의 탈황제(도시하지 않음)가 용철(2)에 첨가되어 있다.
용철(2)에는 내화물로 이루어지는 임펠러(3)(교반 날개)가 침지되어 있다. 이 임펠러(3)에는 회전축(3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3a)의 단부에는 모터(4)가 접속되어 있다. 즉, 모터(4)의 동작에 의해 임펠러(3)가 회전 구동된다. 임펠러(3)가 회전 구동되면, 용철(2) 및 탈황제가 교반되어, 탈유 반응이 촉진된다.
또한, 임펠러(3)는 복수 챠지에 걸쳐 사용되는 것이며, 사용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모가 진행하는 것이다. 또, 임펠러(3) 및 모터(4)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 장치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용철(2)의 탈유 처리가 실행될 때에 임펠러(3)가 용철(2)에 침지되는 위치까지 강하된다.
모터(4)에는 제어장치(5)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5)는 예를 들면, 인버터 및 연산 장치(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된 것이며, 모터(4)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임펠러(3)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제어장치(5)에는 전류 측정 장치(6) 및 기억장치(7)가 접속되어 있다. 전류 측정 장치(6)는 모터(4)에 공급되는 전류값, 즉 모터(4)의 부하 전류값 I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부하 전류값 I는 임펠러(3)를 회전시키기 위해 소비되고 있는 에너지(임펠러(3)에 의해 용철(2) 및 탈황제를 교반하는 에너지)에 대응하고 있고, 용철(2)내에서의 임펠러(3)의 회전에 관한 저항과 임펠러(3)의 회전수에 비례한다. 임펠러(3)의 회전에 관한 저항은 임펠러(3)가 마모될수록, 즉 임펠러(3)의 교반 능력이 저하할수록 작아진다. 즉, 일정한 기준으로 되는 회전수일 때의 부하 전류값 I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임펠러(3)의 교반 능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기억장치(7)에는 소정의 설정 회전수 X0과 임계값 I0이 기억되어 있다.
제어장치(5)는 기억장치(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 X0으로 임펠러(3)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 전류 측정 장치(6)에 의해 측정된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한다. 또한, 이 때 판독되는 부하 전류값 I는 소정 시간내의 평균 전류값이다.
또, 제어장치(5)는 판독한 부하 전류값 I가, 기억장치(7)에 기억되어 있는 임계값 I0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제어장치(5)는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즉, 제어장치(5)는 부하 전류값 I와 임계값 I0의 비교에 의해, 임펠러(3)의 교반 능력이 소정의 기준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것을 검출한 경우에,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킴으로써 교반 능력의 저하를 보충한다. 이것에 의해, 당초부터 임펠러(3)의 회전수를 약간 높게 설정할 필요를 없앨 수 있고, 적정한 회전수에서의 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3)가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임펠러(3)의 내용 회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임계값 I0은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부하 전류값 I의 하한값으로 설정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킴으로써, 임펠러(3)의 회전수를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최저한도의 회전수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낮은 회전수에서의 운용을 더욱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한값은 레이들(1)의 내경, 용철(2)의 양, 임펠러(3)의 침지 깊이 및, 모터(4)의 용량을 포함하는 탈유 조건에 따라 좌우되지만, 모터(4)의 부하 전류값 I를 측정하면서 탈유 효율을 비교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제어장치(5)는 임펠러(3)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X0에 도달했을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한다. 이것은 설정 회전수 X0에서의 교반 상태가 안정하게 되었을 때의 부하 전류값 I를 이용함으로써, 교반 능력의 판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 제어장치(5)는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미리 설정된 고정값 ΔX만큼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이것은 임펠러(3)의 마모가 완만한 변화이고,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을 하회하는 양도 미리 상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승량을 고정값 ΔX로 함으로써, 연산 프로그램을 간략화할 수 있고, 설비 코스트(비용)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5)는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킨 경우에, 기억장치(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 X0을 상승 후의 회전수로 갱신한다. 가령, 설정 회전수 X0이 고정되어 있으면, 임펠러(3)의 마모가 진행하고 있는 경우에, 그 시점의 마모 상황에 따른 적정 회전수로부터 크게 어긋난 회전수로 교반 능력의 판정을 실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회전수가 적정 회전수로 될 때까지 충분한 교반을 실행할 수 없으며, 탈유 부족의 원인으로 되어 버린다. 즉, 설정 회전수 X0을 갱신하도록 함으로써, 교반 능력의 판정이 종료될 때까지도 유효한 교반을 실행할 수 있으며, 탈유 부족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임펠러(3)가 교환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의 조작 등에 따라, 제어장치(5)에 리세트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장치(5)는 리세트 신호에 의해 임펠러(3)의 교환을 검출한 경우, 설정 회전수 X0을 리세트한다. 환언하면, 갱신된 설정 회전수 X0은 임펠러(3)가 교환될 때까지 계속해서 사용된다.
다음에, 도 2는 도 1의 제어장치(5)에 의해 실시되는 임펠러(3)의 회전수 제어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본 실시형태의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용철(2)에 임펠러(3)가 침지되면, 제어장치(5)에 의한 모터(4)의 동작 제어에 따라, 임펠러(3)의 회전수가 기억장치(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 X0까지 상승된다(스텝 S1). 이 때, 용철(2)에 탈황제가 첨가되는 동시에, 임펠러(3)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X0에 도달하면, 상기 임펠러(3)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X0에 도달했을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가 제어장치(5)에 의해 판정되고(스텝 S2), 대기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후에, 전류 측정 장치(6)에 의해 측정된 부하 전류값 I가 제어장치(5)에 의해서 판독된다(스텝 S3).
그 다음에, 부하 전류값 I가 기억장치(7)에 기억되어 있는 임계값 I0 미만인지 아닌지가 제어장치(5)에 의해 판정된다(스텝 S4). 이 때,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마모에 의해 임펠러(3)의 교반 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어,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임펠러(3)의 회전수가 상승된다(스텝 S5). 또한,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을 하회하는 양은 미리 상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임펠러(3)의 회전수의 상승량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 ΔX로 되어 있다. 또, 임계값 I0은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부하 전류값 I의 하한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승 후의 회전수는 그 시점에서의 임펠러(3)의 마모 상황에 대응한,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낮은 회전수로 된다. 임펠러(3)의 회전수가 상승되면, 기억장치(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 X0이 제어장치(5)에 의해 상승 후의 회전수로 갱신된다(스텝 S6).
이에 대해,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임펠러(3)의 교반 능력이 소정의 기준에 도달해 있는 것이 검출되어, 설정 회전수 X0에서의 교반동작이 유지된다(스텝 S7). 즉, 임펠러(3)의 회전수 상승(스텝 S5) 및 설정 회전수 X0의 갱신(스텝 S6)은 실시되지 않는다.
이 회전수 제어 동작은 임펠러(3)에 의한 교반이 개시되었을 때부터 소정의 교반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반복 실시된다. 또, 회전수 제어 동작은 교반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종료된다. 또한, 회전수 제어 동작이 종료된 경우에도, 기억장치(7)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회전수 X0은 유지된다. 즉, 설정 회전수 X0이 갱신된 경우, 후속의 챠지에서는 교반 개시 직후부터 갱신 후의 설정 회전수 X0까지 임펠러(3)의 회전수가 상승된다. 설정 회전수 X0은 임펠러(3)가 교환된 경우에 리세트된다.
다음에,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출원인은 Cr을 10질량% 내지 30질량%, Ni를 0질량% 내지 20질량%, 탄소를 2질량% 내지 4질량%, 잔부에 Si나 Cu, Mo 등을 포함한 철 및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전기로 스테인리스 용선을 용선 도가니에 배출한 후에, 전로 장입에 앞서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의 기계식 탈유 장치하에서 탈유 처리를 실행하였다.
형식 임펠러 캔틸레버 선회 방식
용량 8OT
구동 모터 구동 모터 용량: 200KW
회전 회전수: max, 150rpm
임펠러 재질: Al2O3계 캐스터블
내화물 최대직경: 1200㎜
탈황제 생석회
탈황제 원단위 8~11kg/T
교반시간 10분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임펠러(3)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함에 있어서, 각 설정값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설정 회전수 X0의 초기값:70rpm
임계값 I0:        150A
고정값 ΔX:       10rpm
대기 시간:        3분
전류 측정 시간:     10초
또, 본 출원인은 비교예로서, 본 출원인이 종래 실시하고 있던 탈유 조업(경험적으로 설정한 설정 회전수에서의 탈유 조업)도 아울러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한 경우와, 종래의 탈유 조업을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 임펠러(3)의 회전수의 추이, 탈유율((탈유 전의 유황량[질량%]-탈유 후의 유황량[질량%])/탈유 전의 유황량[질량%]×100[%]), 및 임펠러의 내용 회수의 조사를 각각 실행하였다.
우선, 임펠러(3)의 회전수의 추이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회전수 제어 동작이 실시된 경우의 임펠러(3)의 회전수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에 있어서, 종축은 임펠러(3)의 회전수를 나타내고, 횡축은 임펠러(3)의 사용 회수(사용 챠지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 사용 회수 200CH까지, 본 실시형태의 회전수 제어가 실시된 경우의 임펠러(3)의 회전수가 경험적으로 설정되어 있던 종래의 설정 회전수를 하회하였다.
다음에, 탈유율 및 임펠러의 내용 회수의 조사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다.
항목 종래 본 발명
평균 탈유율(%) 72.9% 85.5%
평균 탈황제 원단위(kg/T) 9.4kg/T 9.4kg/T
임펠러 내용 회수 184CH 271CH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실시의 탈유 조업의 평균 탈유율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한 경우의 평균 탈유율은 12.6% 상승하였다. 이것은 임펠러(3)의 설정 회전수 X0을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최저 한도의 회전수로 설정함으로써, 임펠러(3)의 양호한 형상을 높은 사용 회수까지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고려된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평균 탈황제 원단위는 1개의 임펠러를 계속 사용한 기간에 있어서, 탈유 조업을 실행했을 때에 사용한 탈황제의 사용량의 평균값(kg-탈황제/Ton-용선)을 나타내고 있다. 탈황제의 사용량에 따라서도 탈유 성능이 변화한다고 고려되지만, 본 발명을 이용해서 조업한 경우와 종래의 조업에 있어서 평균 탈황제 원단위를 동등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평균 탈유율의 향상은 탈황제의 사용량에 기인하는 것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또, 종래 실시의 탈유 조업에서는 임펠러(3)를 184CH 사용하면, 임펠러(3)를 교환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한 경우에는 271CH까지 임펠러(3)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회전수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탈유율 및 임펠러 내용 회수를 개선할 수 있고, 더욱 경제적이고 또한 효과적인 탈유 조업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임펠러(3)의 회전수 제어 방법에서는 소정의 설정 회전수 X0으로 임펠러(3)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 임펠러(3)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4)의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하고, 부하 전류값 I가 소정의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에,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므로, 당초부터 임펠러(3)의 회전수를 약간 높게 설정할 필요를 없앨 수 있고, 적정한 회전수에서의 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3)가 불필요하게 마모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임펠러(3)의 내용 회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임계값 I0은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부하 전류값 I의 하한값이므로, 임펠러(3)의 회전수를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최저 한도의 회전수로 할 수 있고, 낮은 회전수에서의 운용을 더욱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임펠러(3)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X0에 도달했을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후에, 부하 전류값 I가 판독되므로, 설정 회전수 X0에서의 교반상태가 안정하게 되었을 때의 부하 전류값 I를 이용할 수 있고, 교반 능력의 판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수의 상승량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 ΔX이므로, 연산 프로그램을 간략화할 수 있고, 설비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설정 회전수 X0은 임펠러(3)의 회전수가 상승된 경우에 상승 후의 회전수로 갱신되므로, 교반 능력의 판정이 종료될 때까지도 유효한 교반을 실행할 수 있고, 탈유 부족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부하 전류값 I가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미리 설정된 고정값 ΔX만큼 임펠러(3)의 회전수가 상승된다고 설명했지만, 부하 전류값 I와 임계값 I0의 차분값에 의거하여,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양을 결정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차분값이 0으로 되도록,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상승량을 차분값에 의거하여 결정하도록 하면, 더욱 세세하게 회전수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1; 레이들 2; 용철
3; 임펠러 4; 모터
5; 제어장치 6; 전류 측정 장치
7: 기억장치

Claims (6)

  1. 용융 금속(2)에 침지된 임펠러(3)에 의해, 상기 용융 금속(2) 및 상기 용융 금속(2)에 첨가된 탈황제의 교반을 실행할 때의 상기 임펠러(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설정 회전수 X0으로 상기 임펠러(3)를 회전시키고 있을 때, 상기 임펠러(3)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4)의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하고,
    상기 부하 전류값 I가 소정의 임계값 I0 미만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부하 전류값 I가 상기 임계값 I0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임펠러(3)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 I0은 탈유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부하 전류값 I의 하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3)의 회전수가 상기 설정 회전수 X0에 도달했을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후에, 상기 부하 전류값 I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의 상승량은 미리 설정된 고정값 Δ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의 상승량은 상기 부하 전류값 I와 상기 임계값 I0의 사이의 차분값에 의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회전수 X0은 상기 임펠러(3)의 회전수가 상승된 경우에 상승 후의 회전수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KR1020127028744A 2011-03-08 2012-02-29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KR101410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9827A JP5309172B2 (ja) 2011-03-08 2011-03-08 インペラの回転数制御方法
JPJP-P-2011-049827 2011-03-08
PCT/JP2012/055084 WO2012121078A1 (ja) 2011-03-08 2012-02-29 インペラの回転数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98A true KR20130006498A (ko) 2013-01-16
KR101410126B1 KR101410126B1 (ko) 2014-06-25

Family

ID=4679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744A KR101410126B1 (ko) 2011-03-08 2012-02-29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02042B2 (ko)
EP (1) EP2684966B1 (ko)
JP (1) JP5309172B2 (ko)
KR (1) KR101410126B1 (ko)
CN (1) CN102859006B (ko)
ES (1) ES2682272T3 (ko)
MY (1) MY154440A (ko)
TW (1) TWI518248B (ko)
WO (1) WO2012121078A1 (ko)
ZA (1) ZA201207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3342B2 (ja) * 2012-09-21 2015-05-27 日新製鋼株式会社 地金回収方法
CN103642981A (zh) * 2013-12-24 2014-03-19 辽宁新邦科技有限公司 铁水脱硫自动控制装置
JP6337835B2 (ja) * 2015-05-20 2018-06-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銑の脱硫方法
KR101709134B1 (ko) * 2015-12-04 2017-02-23 주식회사 포스코 정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정련 방법
JP6524446B2 (ja) * 2016-07-29 2019-06-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インペラー脱硫制御装置、インペラー脱硫設備およびインペラー脱硫制御方法
CN107586913B (zh) * 2017-08-25 2019-12-20 宁波钢铁有限公司 一种高效率的搅拌脱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903A (ja) * 1986-07-28 1988-02-16 日工株式会社 アスフアルトプラントにおけるミキサ−の混練方法
US5275385A (en) * 1992-12-23 1994-01-04 Praxair Technology, Inc. Rotor speed control for an aluminum refining system
JP2665646B2 (ja) 1993-05-29 1997-10-22 謙一 山地 ▲ほぞ▼切り補助スタンド
JPH08302420A (ja) * 1995-04-28 1996-11-19 Nisshin Steel Co Ltd 溶鋼の真空脱ガス処理法
JPH08337811A (ja) * 1995-06-07 1996-12-24 Sumitomo Metal Ind Ltd Rh真空槽の地金付着防止方法
JP2001207209A (ja) 2000-01-27 2001-07-31 Kawasaki Steel Corp 溶鋼環流方式の真空脱ガス装置
JP3722033B2 (ja) * 2001-09-12 2005-11-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攪拌用モータの回転数制御方法
JP2004035934A (ja) * 2002-07-02 2004-02-05 Jfe Steel Kk 溶銑の脱硫方法
JP4114697B2 (ja) * 2006-06-23 2008-07-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制御方法
JP2010132989A (ja) * 2008-12-05 2010-06-17 Sumitomo Metal Ind Ltd 溶銑の脱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84966A1 (en) 2014-01-15
WO2012121078A1 (ja) 2012-09-13
KR101410126B1 (ko) 2014-06-25
US9602042B2 (en) 2017-03-21
TWI518248B (zh) 2016-01-21
US20130333521A1 (en) 2013-12-19
JP5309172B2 (ja) 2013-10-09
JP2012184485A (ja) 2012-09-27
TW201237278A (en) 2012-09-16
EP2684966A4 (en) 2014-10-01
MY154440A (en) 2015-06-15
ES2682272T3 (es) 2018-09-19
ZA201207529B (en) 2013-12-23
CN102859006A (zh) 2013-01-02
EP2684966B1 (en) 2018-05-23
CN102859006B (zh)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26B1 (ko) 임펠러의 회전수 제어 방법
KR20140004594A (ko) 슬러지 처리 시스템, 슬러지 처리 시스템의 운전제어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N210441642U (zh) 一种自耗式机械强力搅拌熔炼装置
KR101709134B1 (ko) 정련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정련 방법
CN111185583B (zh) 一种连铸浸入式水口堵塞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CN106957938B (zh) 铁水脱硫渣的渣铁分离、冷却装置的总体结构
WO2019142277A1 (ja) アルミ溶解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5408417B2 (ja) フェロニッケル製錬用電気炉の操業方法
JP4986383B2 (ja) 溶銑の脱硫方法
US8702953B2 (en)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ng condition for rotary surface treating apparatus
JP3645306B2 (ja) 電気炉設備
JP2015017290A (ja) フェロニッケルの脱硫方法
CN210071620U (zh) 一种容器内壁中结瘤和侵蚀状态的测量装置
JP2011042865A (ja) 溶銑の脱硫処理方法
JP4123973B2 (ja) 撹拌式脱硫装置
JP3560677B2 (ja) 電極消耗を低減した電気製錬炉の操業方法
JP3589075B2 (ja) 溶融金属用取鍋及び溶融金属の精錬方法
CN117431360A (zh) 一种提升kr脱硫剂利用率的排渣装置及使用方法
CN208794418U (zh) 浸没水封出灰机构
CN212768299U (zh) 一种碳化硅电热元件用送料装置
CN215902722U (zh) 一种钢铁冶炼用具有内壁旋刮组件的钢水除渣装置
CN209960967U (zh) 一种熔炼炉
JP2023131619A (ja) 溶銑温度の測定方法および高炉の操業方法
JP2016199774A (ja) 鋳鉄の精錬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精錬炉
JP6466826B2 (ja) 溶銑の脱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