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414A -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414A
KR20130005414A KR1020110066770A KR20110066770A KR20130005414A KR 20130005414 A KR20130005414 A KR 20130005414A KR 1020110066770 A KR1020110066770 A KR 1020110066770A KR 20110066770 A KR20110066770 A KR 20110066770A KR 20130005414 A KR20130005414 A KR 20130005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ipe
lead screw
brush
dispo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최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원 filed Critical 최성원
Priority to KR102011006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414A/ko
Publication of KR20130005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76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grinding 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grind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2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designed for particular workpieces
    • B24B29/06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designed for particular workpieces for elongated workpieces having uniform cross-section in one main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각파이프의 표면에서 녹을 쓸어내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 및 이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사각파이프의 단면사이즈에 따라 이들의 사이 간격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서는 제1,제2,제3,제4브러시유닛(430)(440)(450)(460)은 핸들(431)(441)(451)(461)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리드스크루(432)(442)(452)(462)와, 이 리드스크루(432)(442)(452)(462)의 중도에 치합되어 이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리니어모션-이동블록(433))443)(453)(46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측면을 향하도록 리니어모션-이동블록(433)(443)(453)(463)의 상부에 각각 고정 배치되는 구동모터(434)(444)(454)(464)와, 이 구동모터(434)(444)(454)(46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측면을 쓸어내는 컵브러시(435)(445)(455)(4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A RUST REMOVAL APPARATUS FOR SQUARE PIPE}
본 발명은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도 도장작업 직전에 철재 사각파이프의 사각 표면에서 녹과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하면서 작업분진을 집진할 수 있는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용 강제로 사용되는 철재 사각파이프 등은 방청도장(또는, 하도도장)에 앞서 표면에서 녹과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금속 와이어 브러시를 통해 사각파이프의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을 일일이 제거하여 왔다. 이러한 사각파이프의 녹 제거작업에서는 유해한 분진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등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인력을 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생산성이 낮아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녹을 제거하고자 하는 철재 파이프가 표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작업환경이 더욱 열악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철재 사각파이프의 녹을 연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를 출원(출원번호 10-2007-0127285호)하여 권리를 확보(등록번호 10-0829140호)하고 있다. 본 출원인의 발명특허 제10-0829140호에 개재된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는; 철재 사각파이프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 공급장치와, 상기 파이프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사각파이프의 표면에 도장을 하기 위한 도장장치 사이에 인라인 형태로 마련된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것들과 각각 풀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사각파이프를 상기 도장장치 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동일하게 회전하는 복수개의 가이딩롤러와; 상기 가이딩롤러들을 따라 밀려나가는 사각파이프의 하면을 쓸어내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 중도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하부 와이어롤브러시와, 상기 하부 와이어롤브러시의 상부에서 상하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사각파이프의 상면을 쓸어내면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상부 와이어롤브러시를 구비하는 제1브러시유닛과; 상기 가이딩롤러들을 따라 밀려나가는 사각파이프의 좌측면을 쓸어내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프레임 중도에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좌측 와이어롤브러시와, 상기 좌측 와이어롤브러시와 좌우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사각파이프의 우측면을 쓸어내면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우측와이어롤브러시를 구비하는 제2브러시유닛과; 상기 가이딩롤러들 중 상기 파이프 공급장치측과 인접하는 것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딩롤러와의 사이 틈으로 사각파이프가 유입되면 사각파이프를 누르면서 상기 제1,제2브러시유닛측으로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제1피딩롤러와; 상기 프레임 상부에 입설된 브래킷에 상단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기 제1피딩롤러의 회전축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어링블록이 마련된 한 쌍의 조정스크루와; 상기 가이딩롤러들 중 상기 도장장치측과 인접하는 것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가이딩롤러와의 사이 틈으로 사각파이프가 유입되면 사각파이프를 누르면서 상기 도장장치측으로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제2피딩롤러와; 상기 프레임 상부에 입설된 브래킷에 상단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는 상기 제2피딩롤러의 회전축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어링블록이 마련된 한 쌍의 조정스크루와; 상기 제1브러시유닛과 제2브러시유닛을 지나는 사각파이프의 표면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철재 사각파이프의 단면 사이즈에 맞춰 상,하부와이어롤브러시의 간격과 좌,우와이어롤브러시의 간격들을 조정한 후 철재 사각파이프를 피딩하면; 피딩유닛과 상,하부와이어롤브러시 및 좌,우와이어롤브러시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이의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이 연속적으로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10-0829140호에 개시된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서는 철재 사각파이프의 단면 사이즈에 따라 와이어롤브러시들의 간격을 조정하는 작업이 불편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하부와이어롤브러시의 경우에는 양측 마운팅너트를 풀고 조임으로써 양측의 조정스크루를 업/다운시켜 상,하부와이어롤브러시의 수평높이를 조정함으로써 이들의 사이 간격을 셋팅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파이프의 표면에서 녹을 쓸어내 제거하기 위한 브러시 및 이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사각파이프의 단면사이즈에 따라 이들의 사이간격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각파이프의 피딩을 가이드하는 전후 가이딩롤러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사각파이프의 단면사이즈에 따라 이들의 사이간격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녹 제거장치의 프레임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하부피딩롤러와, 상기 하부피딩롤러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피딩롤러와의 사이 틈으로 유입되는 사각파이프를 도장장치측으로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상부피딩롤러를 구비하는 피딩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의 좌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1브러시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의 우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2브러시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의 상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3브러시유닛과; 상기 피딩유닛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의 하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4브러시유닛과; 상기 제1 내지 제4브러시유닛을 통해 사각파이프의 표면에서 제거되는 녹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을; 갖춘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유닛은 상기 피딩유닛 출구측의 프레임 좌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1리드스크루와, 상기 제1리드스크루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루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리니어모션-이동블록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의 좌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리니어모션-이동블록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의 좌측면을 쓸어내는 제1컵브러시를 구비하며;
상기 제2브러시유닛은 상기 제1브러시유닛과 대향되는 상기 피딩유닛 출구측의 프레임 우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2리드스크루와, 상기 제2리드스크루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2리드스크루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2리니어모션-이동블록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의 우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리니어모션-이동블록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의 우측면을 쓸어내는 제2컵브러시를 구비하며;
상기 제3브러시유닛은 상기 피딩유닛 출구측의 프레임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3리드스크루와, 상기 제3리드스크루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3리드스크루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3리니어모션-이동블록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3리니어모션-이동블록에 고정 배치되는 제3구동모터와, 상기 제3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의 상측면을 쓸어내는 제3컵브러시를 구비하며;
상기 제4브러시유닛은 상기 피딩유닛 출구측의 프레임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4리드스크루와, 상기 제4리드스크루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4리드스크루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4리니어모션-이동블록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의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4리니어모션-이동블록에 고정 배치되는 제4구동모터와, 상기 제4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의 하측면을 쓸어내는 제4컵브러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상부에 양단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선단에는 핸들이 마련된 가이딩-리드스크루와,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의 양단부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치합되어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이동하는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과, 상기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사각파이프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딩롤러들을 구비하는 프론트-가이딩유닛이 상기 피딩유닛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상부에 양단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선단에는 핸들이 마련된 가이딩-리드스크루와,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의 양단부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치합되어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이동하는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과, 상기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사각파이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딩롤러들을 구비하는 리어-가이딩유닛이 상기 피딩유닛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철재 사각파이프의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이 제1 내지 제4브러시유닛을 지나면서 연속적으로 제거되어 작업생산성을 월등하게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작업 중에 발생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어 작업환경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피딩되는 사각파이프의 단면 사이즈가 달라지거나 장시간의 사용으로 컵브러시가 마모된 경우 제1브러시유닛과 제2브러시유닛의 좌우간격 및 제3브러시유닛과 제4브러시유닛의 상하간격을 조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에 마련된 핸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들의 간격을 보다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컵브러시들은 구동모터의 회전축 선단에 직결식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이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론트-가이딩유닛과 리어-가이딩유닛에 의해 사각파이프의 진입과 배출이 가이딩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며, 이들의 간격 역시 사각파이프 단면 사이즈에 따라 핸들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녹 제거장치의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로, 집진유닛이 제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피딩유닛과 프론트-가이딩유닛 및 제1,제2브러시유닛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제3,제4브러시유닛과 리어-가이딩유닛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구성 설명>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400)는 적재된 철재 사각파이프(300)들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파이프 공급장치(100)와, 이 파이프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사각파이프(300)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도장을 하는 도장장치(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철재 사각파이프(300)의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을 쓸어내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400)는 파이프 공급장치(100)측에서 공급되는 사각파이프(300)를 도장장치(200) 측으로 밀어내는 피딩유닛(420)과, 이 피딩유닛(420)을 통해 이송되는 사각파이프(300)의 좌,우측면을 쓸어내 녹(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제2브러시유닛(430)(440)과, 이 제1,제2브러시유닛(430)(440)을 지난 사각파이프(300)의 상,하측면을 쓸어내 녹(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제4브러시유닛(450)(460)과, 피딩유닛(420)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진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프론트-가이딩유닛(470)과, 피딩유닛(420)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배출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리어-가이딩유닛(480)과, 사각파이프(300) 표면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500)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유닛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 공급장치(100)와 도장장치(300) 사이에는 인라인 형태로 이어주는 녹 제거장치의 프레임(410)이 마련되며, 이 프레임(410)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롤러(411)들이 배치된다. 이송롤러(411)들은 각각 풀리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며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사각파이프(300)를 도장장치(200)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피딩유닛(420)은 이송롤러(411)들을 통해 공급되는 사각파이프(300)를 도장장치(200)측으로 강제 이송하는 것으로; 프레임(410)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하부피딩롤러(421)와, 이 하부피딩롤러(421)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피딩롤러(421)와의 사이 틈으로 사각파이프(300)가 유입되면 이것을 도장장치(200)측으로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상부피딩롤러(422)를 구비한다. 하부피딩롤러(421)는 인접한 이송롤러(411)와 풀리와 벨트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배치됨으로써, 이송롤러(411)와 동일한 방향 및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피딩롤러(422)는 하부피딩롤러(421)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피딩롤러(421)와의 사이 틈으로 사각파이프(300)가 유입되면 이것을 누르면서 도장장치(200)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를 위해, 상부피딩롤러(422)는 방향전환용 풀리와 벨트를 통해 이송롤러(411)의 구동 동력을 전달받도록 배치됨으로써, 이송롤러(411)와 회전 방향은 반대이면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부피딩롤러(422)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사이즈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상부피딩롤러(422)의 양측에는 상단이 프레임(410) 상부에 입설된 브래킷(423)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상부피딩롤러(422)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베어링블록(424)이 마련된 한 쌍의 조정스크루(425L)(425R)가 대칭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조정스크루(425L)(425R)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바(BAR)-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상단이 마운팅너트(426)를 통해 브래킷(423)에 장착된다. 따라서 마운팅너트(426)를 풀고 조임에 따라 조정스크루(45L)(425R)를 업/다운시켜 상부피딩롤러(422)의 수평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피딩유닛(420)의 입구측에는 사각파이프(300)의 진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프론트-가이딩유닛(470)이 배치되어 있다. 이 프론트-가이딩유닛(470)은 프레임(410) 상부에 양단이 베어링블록(도면부호 미부여)을 통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에는 핸들(471)이 마련된 가이딩-리드스크루(472)와, 이 가이딩-리드스크루(472)의 양단부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치합되어 가이딩-리드스크루(47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이동하는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73L)(473R)과, 이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73L)(473R)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진입되는 사각파이프(300)와 접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딩롤러(474L)(474R)들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공급되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사이즈에 따라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73L)(473R)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각파이프(300)는 가이딩롤러(474L)(474R)들과 접하면서 이들 사이 틈으로 정확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제1브러시유닛(430)은 피딩되는 사각파이프(300)의 좌측면을 쓸어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410) 좌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431)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1리드스크루(432)와, 이 제1리드스크루(432)의 중도에 치합되어 제1리드스크루(43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리니어모션-이동블록(43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좌측을 직접 향하도록 제1리니어모션-이동블록(433)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구동모터(434)와, 이 제1구동모터(43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좌측면을 쓸어내는 제1컵브러시(435)를 갖추고 있다. 제1컵브러시(435)는 털 대신에 가능 강철선으로 제작된 것으로, 피딩되는 사각파이프(300)의 좌측면을 쓸어내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장시간의 작업으로 인한 마모 또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에는 핸들(43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제1리니어모션-이동블록(433)의 위치를 가변시켜 제2브러시유닛(440)과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브러시유닛(440)은 피딩되는 사각파이프(300)의 우측면을 쓸어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410) 우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442)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2리드스크루(442)와, 이 제2리드스크루(442)의 중도에 치합되어 제2리드스크루(44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2리니어모션-이동블록(44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좌측을 직접 향하도록 제2리니어모션-이동블록(443)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2구동모터(444)와, 이 제2구동모터(44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우측면을 쓸어내는 제2컵브러시(445)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2브러시유닛(440) 역시 마모 또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에는 핸들(44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제2리니어모션-이동블록(443)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제1브러시유닛(430)과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제3브러시유닛(450)은 피딩되는 사각파이프(300)의 상측면을 쓸어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410)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451)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3리드스크루(452)와, 이 제3리드스크루(452)의 중도에 치합되어 제3리드스크루(45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3리니어모션-이동블록(45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상측을 향하도록 제3리니어모션-이동블록(453)에 고정 배치되는 제3구동모터(454)와, 제3구동모터(45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상측면을 쓸어내는 제3컵브러시(45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3브러시유닛(450) 역시 마모 또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에는 핸들(45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제3리니어모션-이동블록(453)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제4브러시유닛(460)과의 수평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다.
또한, 제4브러시유닛(460)은 피딩되는 사각파이프(300)의 하측면을 쓸어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410)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461)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4리드스크루(462)와, 이 제4리드스크루(462)의 중도에 치합되어 제4리드스크루(46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4리니어모션-이동블록(46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하측을 향하도록 제4리니어모션-이동블록(463)에 고정 배치되는 제4구동모터(464)와, 제4구동모터(46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하측면을 쓸어내는 제4컵브러시(46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4브러시유닛(460) 역시 마모 또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에는 핸들(46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제4리니어모션-이동블록(463)의 상하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제3브러시유닛(450)과의 수평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셋팅할 수 있다.
또한, 피딩유닛(420) 출구측에 해당하는 제1,제2브러시유닛(430)(440)과 제3,4브러시유닛(450)(460) 사이에는 사각파이프(30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리어-가이딩유닛(48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리어-가이딩유닛(480) 역시 프레임(410) 상부에 양단이 베어링블록을 통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에는 핸들(481)이 마련된 가이딩-리드스크루(482)와, 이 가이딩-리드스크루(482)의 양단부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치합되어 가이딩-리드스크루(48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이동하는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83L)(483R)과, 이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83L)(483R)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진입되는 사각파이프(300)와 접하면서 회전하는 가이딩롤러(484L)(484R)들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공급되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사이즈에 따라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83L)(483R)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사각파이프(300)는 가이딩롤러(484L)(484R)들과 접하면서 이들 사이틈으로 정확하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집진유닛(5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제2,제3,제4브러시유닛(430)(440)(450)(460)들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후드(510)와, 이 후드(510)와 연계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펌프(520)와, 이 흡입펌프(520)에서 흡입 배출되는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통(550)을 갖추고 있다. 후드(510)는 제1,제2,제3,제4브러시유닛(430)(440)(450)(460)들의 주변을 여유있게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며 녹 제거 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흡입펌프(520)는 입구측이 연통관(530)을 통해 후드(510) 중앙부와 연계되어 후드(510) 내부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흡입하게 된다. 또한, 집진통(550)은 흡입펌프(520)의 출구측과 연결덕트(540)를 통해 연결되며 내부가 필터부재(560)를 통해 구획되어 흡입펌프(520)에서 흡입 배출되는 이물질은 집진하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연결덕트(540)가 연결되는 흡입구(580)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덕트(570)가 마련된다. 그리고 필터부재(560)는 흡입구(580)와 배출덕트(570)측을 구획하도록 집진통(550)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망과 필터의 다중구조로 구성된 것으로, 이로 인해 흡입구(580)를 통해 들어온 이물질은 집진통(550) 저부에 포집되며 공기는 필터부재(56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녹을 제거하고자 하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 두께와 폭에 맞춰 프론트-가이딩유닛(470)의 가이딩롤러(474L)(474R)들의 간격과 리어-가이딩유닛(480)의 가이딩롤러(484L)(484R)들의 간격을 각각 조정한다. 그리고 제1브러시유닛(430)과 제2브러시유닛(440) 제1,제2컵브러시(435)(445)들의 사이 간격과, 제3브러시유닛(450)과 제4브러시유닛(460) 제3,제4컵브러시(455)(465)들의 수평 사이 간격을 각각 조정한다.
이와 같이, 간격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1내지 제4구동모터(434)(444)(454)(464) 및 흡입펌프(520)에 전원을 공급하고 프론트-가이딩유닛(470)과 피딩유닛(420)으로 사각파이프(300)를 진입시키면; 이것은 제1,제2브러시유닛(430)(440)과 제3,제4브러시유닛(450)(460)을 지나면서 도장장치(200)측으로 빠져나간다.
이때, 제1,제2브러시유닛(430)(440)의 제1,제2컵브러시(435)(445)들은 사각파이프(300)의 좌,우측면을 쓸어내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3,제4브러시유닛(450)(460)의 제3,제4컵브러시(455)(465)들은 사각파이프(300)의 상,하측면을 쓸어내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즉, 피딩유닛(420)에서 밀려나온 사각파이프(300)는 각 구동모터(434)(444)(454)(464)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컵브러시(435)(445)(455)(465)들 사이로 진입됨으로써, 이의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이 떨어진다.
또한, 집진유닛(500)의 흡입펌프(520)가 구동함에 따라 후드(510)에서는 상당한 흡입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사각파이프(300) 표면에서 떨어진 녹과 이물질 등은 후드(510)와 연통관(530)을 통해 흡입펌프(520) 측으로 흡입되며, 계속하여 연결덕트(540)를 통해 집진통(550)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집진통(550)으로 들어온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집진통(550) 저부에 포집되며, 공기는 필터부재(560)를 통과하면서 배출덕트(5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녹 제거장치의 프레임(410) 상부를 철재 사각파이프(300)가 연속적으로 지나감에 따라 이의 표면에 발생된 녹과 이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는 것은 물론이며 제거된 이물질은 집진유닛(500)의 집진통(550)으로 보내져 포집된다.
한편, 피딩되는 사각파이프(300)의 단면적 사이즈가 변하거나 녹 제거장치를 장시간 구동시키면 컵브러시(435)(445)(455)(465)들이 마모된 경우에는 이들의 사이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각각에 마련된 핸들(431)(441)(451)(461)을 조작하여 간단하게 셋팅할 수 있다.
100..파이프 공급장치 200..도장장치
300..파이프 400..녹 제거장치
410..프레임 411..이송롤러
420..피딩유닛 430..제1브러시유닛
440..제2브러시유닛 450..제3브러시유닛
460..제4브러시유닛 470..프론트-가이딩유닛
480..리어-가이딩유닛 500..집진유닛

Claims (3)

  1. 녹 제거장치의 프레임(410)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하부피딩롤러(421)와, 상기 하부피딩롤러(421)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피딩롤러(421)와의 사이 틈으로 유입되는 사각파이프(300)를 도장장치(200)측으로 밀어내도록 회전하는 상부피딩롤러(422)를 구비하는 피딩유닛(420)과; 상기 피딩유닛(420)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300)의 좌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1브러시유닛(430)과; 상기 피딩유닛(420)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300)의 우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2브러시유닛(440)과; 상기 피딩유닛(420)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300)의 상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3브러시유닛(450)과; 상기 피딩유닛(420)에서 밀려나오는 사각파이프(300)의 하측면을 쓸어내 녹을 제거하는 제4브러시유닛(460)과; 상기 제1 내지 제4브러시유닛(430)(440)(450)(460)을 통해 사각파이프(300)의 표면에서 제거되는 녹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유닛(500)을; 갖춘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브러시유닛(430)은 상기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410) 좌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431)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1리드스크루(432)와, 상기 제1리드스크루(432)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루(43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리니어모션-이동블록(43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좌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1리니어모션-이동블록(433)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1구동모터(434)와, 상기 제1구동모터(43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좌측면을 쓸어내는 제1컵브러시(435)를 구비하며;
    상기 제2브러시유닛(440)은 상기 제1브러시유닛(430)과 대향되는 상기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410) 우측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2리드스크루(442)와, 상기 제2리드스크루(442)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2리드스크루(44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2리니어모션-이동블록(44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우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2리니어모션-이동블록(443)의 상부에 고정 배치되는 제2구동모터(444)와, 상기 제2구동모터(44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우측면을 쓸어내는 제2컵브러시(445)를 구비하며;
    상기 제3브러시유닛(450)은 상기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310)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451)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3리드스크루(452)와, 상기 제3리드스크루(452)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3리드스크루(45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3리니어모션-이동블록(45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3리니어모션-이동블록(453)에 고정 배치되는 제3구동모터(454)와, 상기 제3구동모터(45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상측면을 쓸어내는 제3컵브러시(455)를 구비하며;
    상기 제4브러시유닛(460)은 상기 피딩유닛(420) 출구측의 프레임(410) 하부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핸들(461)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하는 제4리드스크루(462)와, 상기 제4리드스크루(462)의 중도에 치합되어 상기 제4리드스크루(46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4리니어모션-이동블록(463)과, 회전축이 사각파이프(300)의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제4리니어모션-이동블록(463)에 고정 배치되는 제4구동모터(464)와, 상기 제4구동모터(464)의 회전축 선단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사각파이프(300)의 하측면을 쓸어내는 제4컵브러시(46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유닛(420)의 입구측에는;
    상기 프레임(410) 상부에 양단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선단에는 핸들(471)이 마련된 가이딩-리드스크루(472)와,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472)의 양단부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치합되어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47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이동하는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73L)(473R)과, 상기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73L)(473R)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딩롤러(474L)(474R)들을 구비하는 프론트-가이딩유닛(47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유닛(420)의 출구측에는;
    상기 프레임(410) 상부에 양단이 정역방향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선단에는 핸들(481)이 마련된 가이딩-리드스크루(482)와,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482)의 양단부에 각각 반대방향으로 치합되어 상기 가이딩-리드스크루(482)의 정역방향 회전에 따라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이동하는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83L)(483R)과, 상기 한 쌍의 리니어모션 이동블록(483L)(483R) 상부에 각각 축결합되어 사각파이프(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딩롤러(484L)(484R)들을 구비하는 리어-가이딩유닛(480)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KR1020110066770A 2011-07-06 2011-07-06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KR20130005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70A KR20130005414A (ko) 2011-07-06 2011-07-06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770A KR20130005414A (ko) 2011-07-06 2011-07-06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14A true KR20130005414A (ko) 2013-01-16

Family

ID=4783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770A KR20130005414A (ko) 2011-07-06 2011-07-06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414A (ko)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8628A (zh) * 2015-08-29 2015-12-02 东莞市钜铧机械有限公司 一种方管抛光机进给装置
CN105458889A (zh) * 2015-12-25 2016-04-06 苏州达力客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极片打磨装置
CN105751033A (zh) * 2016-03-24 2016-07-13 魏会芳 一种钢材打磨一体机
CN105773371A (zh) * 2016-04-06 2016-07-20 天津正安无缝钢管有限公司 一种具有锈屑收集功能的钢管除锈装置
CN105773339A (zh) * 2016-05-05 2016-07-20 宁波金坦磁业有限公司 钕铁硼磁体的辅助加工设备
CN106181724A (zh) * 2016-09-26 2016-12-07 安阳合力创科冶金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钢筋除鳞机
CN106514472A (zh) * 2016-09-28 2017-03-22 煌盛集团重庆管业有限公司 可转向的金属管道磨削系统
CN106926101A (zh) * 2017-03-06 2017-07-07 安徽鑫艺达抛光机械有限公司 一种方箱数控打磨机
CN107150277A (zh) * 2017-07-18 2017-09-12 蔡敬东 一种航空航天器圆管抛光机
CN108655924A (zh) * 2018-05-15 2018-10-16 安徽工程大学 一种水利施工管道外表面除锈装置
CN109048612A (zh) * 2018-10-10 2018-12-21 山东天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钢管内外壁除锈装置
CN110238742A (zh) * 2019-07-26 2019-09-17 龙泉越来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钢筋升降式除锈装置
KR102022654B1 (ko) * 2018-10-30 2019-09-19 (주)카비스 차량용 에어필터 프레임 제작장치
CN110253397A (zh) * 2019-05-31 2019-09-20 陈宏尤 一种工业用钢筋除锈装置
CN110695799A (zh) * 2019-10-15 2020-01-17 黄伟 一种锅炉制造精加工处理设备及方法
CN110757267A (zh) * 2018-07-28 2020-02-07 宁国市金优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用抛光装置
CN110883657A (zh) * 2019-11-28 2020-03-17 江川 一种用于球墨铸铁顶管的打磨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883665A (zh) * 2019-12-05 2020-03-17 江西清科九扬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钢管打磨机器人
CN110977669A (zh) * 2019-12-26 2020-04-10 重庆新美鱼博洋铝业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自动打磨生产线
CN111482853A (zh) * 2020-05-18 2020-08-04 郭佳佳 一种市政供水pe管表面处理方法
CN111975495A (zh) * 2020-09-02 2020-11-24 武汉德创天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钢材打磨装置
CN112476195A (zh) * 2020-11-20 2021-03-12 南京举森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化工管道防腐除锈处理工艺
KR20210000792U (ko) * 2019-10-01 2021-04-12 시그마 씨엔씨 테크놀로지 머쉬너리 씨오 엘티디 다중 그룹 연마 기구를 구비하는 그라인딩 머신
CN112975723A (zh) * 2021-01-26 2021-06-18 佛山市源恒丰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不锈钢方管生产用表面金属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CN113334231A (zh) * 2020-09-25 2021-09-03 湖南大鼎钢构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钢结构加工抛光装置
CN113370021A (zh) * 2021-08-16 2021-09-10 南通海润机床有限公司 一种方管端口内侧壁磨削机床
CN113400166A (zh) * 2020-08-03 2021-09-17 南京毕升创艺科技有限公司 一种防腐蚀不锈钢管加工设备及其工艺方法
CN114654363A (zh) * 2022-03-24 2022-06-24 安徽中耀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子穿戴设备的电路板磨板机
CN114683160A (zh) * 2022-03-13 2022-07-01 中山德立洁具有限公司 一种用于不锈钢方管镜面研磨抛光的加工设备及工艺
KR20220140990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지엔티코퍼레이션 파이프 크리닝 장치
KR20220150011A (ko) 2021-05-03 2022-11-10 송기수 금속 막대 세척장치
KR20230122493A (ko) * 2022-02-14 2023-08-22 최점석 건축용 장식부재의 표면 가공장치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8628A (zh) * 2015-08-29 2015-12-02 东莞市钜铧机械有限公司 一种方管抛光机进给装置
CN105458889A (zh) * 2015-12-25 2016-04-06 苏州达力客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极片打磨装置
CN105751033A (zh) * 2016-03-24 2016-07-13 魏会芳 一种钢材打磨一体机
CN105773371A (zh) * 2016-04-06 2016-07-20 天津正安无缝钢管有限公司 一种具有锈屑收集功能的钢管除锈装置
CN105773339A (zh) * 2016-05-05 2016-07-20 宁波金坦磁业有限公司 钕铁硼磁体的辅助加工设备
CN106181724A (zh) * 2016-09-26 2016-12-07 安阳合力创科冶金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钢筋除鳞机
CN106514472A (zh) * 2016-09-28 2017-03-22 煌盛集团重庆管业有限公司 可转向的金属管道磨削系统
CN106926101A (zh) * 2017-03-06 2017-07-07 安徽鑫艺达抛光机械有限公司 一种方箱数控打磨机
CN106926101B (zh) * 2017-03-06 2019-04-02 安徽鑫艺达抛光机械有限公司 一种方箱数控打磨机
CN107150277A (zh) * 2017-07-18 2017-09-12 蔡敬东 一种航空航天器圆管抛光机
CN108655924A (zh) * 2018-05-15 2018-10-16 安徽工程大学 一种水利施工管道外表面除锈装置
CN110757267A (zh) * 2018-07-28 2020-02-07 宁国市金优机械配件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用抛光装置
CN109048612A (zh) * 2018-10-10 2018-12-21 山东天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用钢管内外壁除锈装置
KR102022654B1 (ko) * 2018-10-30 2019-09-19 (주)카비스 차량용 에어필터 프레임 제작장치
CN110253397A (zh) * 2019-05-31 2019-09-20 陈宏尤 一种工业用钢筋除锈装置
CN110238742A (zh) * 2019-07-26 2019-09-17 龙泉越来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用钢筋升降式除锈装置
KR20210000792U (ko) * 2019-10-01 2021-04-12 시그마 씨엔씨 테크놀로지 머쉬너리 씨오 엘티디 다중 그룹 연마 기구를 구비하는 그라인딩 머신
CN110695799A (zh) * 2019-10-15 2020-01-17 黄伟 一种锅炉制造精加工处理设备及方法
CN110695799B (zh) * 2019-10-15 2020-11-03 浙江嘉昱达机械有限公司 一种锅炉制造精加工处理设备及方法
CN110883657A (zh) * 2019-11-28 2020-03-17 江川 一种用于球墨铸铁顶管的打磨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883665A (zh) * 2019-12-05 2020-03-17 江西清科九扬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钢管打磨机器人
CN110977669A (zh) * 2019-12-26 2020-04-10 重庆新美鱼博洋铝业有限公司 一种铝合金型材自动打磨生产线
CN111482853A (zh) * 2020-05-18 2020-08-04 郭佳佳 一种市政供水pe管表面处理方法
CN113400166A (zh) * 2020-08-03 2021-09-17 南京毕升创艺科技有限公司 一种防腐蚀不锈钢管加工设备及其工艺方法
CN111975495A (zh) * 2020-09-02 2020-11-24 武汉德创天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钢材打磨装置
CN113334231B (zh) * 2020-09-25 2022-07-08 怀化市昌顺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钢结构加工抛光装置
CN113334231A (zh) * 2020-09-25 2021-09-03 湖南大鼎钢构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钢结构加工抛光装置
CN112476195A (zh) * 2020-11-20 2021-03-12 南京举森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化工管道防腐除锈处理工艺
CN112476195B (zh) * 2020-11-20 2022-11-11 杭州芦茵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压力容器化工管道防腐除锈处理工艺
CN112975723A (zh) * 2021-01-26 2021-06-18 佛山市源恒丰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不锈钢方管生产用表面金属处理设备及其使用方法
KR20220140990A (ko)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지엔티코퍼레이션 파이프 크리닝 장치
KR20220150011A (ko) 2021-05-03 2022-11-10 송기수 금속 막대 세척장치
CN113370021A (zh) * 2021-08-16 2021-09-10 南通海润机床有限公司 一种方管端口内侧壁磨削机床
KR20230122493A (ko) * 2022-02-14 2023-08-22 최점석 건축용 장식부재의 표면 가공장치
CN114683160A (zh) * 2022-03-13 2022-07-01 中山德立洁具有限公司 一种用于不锈钢方管镜面研磨抛光的加工设备及工艺
CN114654363A (zh) * 2022-03-24 2022-06-24 安徽中耀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子穿戴设备的电路板磨板机
CN114654363B (zh) * 2022-03-24 2023-12-22 安徽中耀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子穿戴设备的电路板磨板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5414A (ko)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KR100637257B1 (ko)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KR100829140B1 (ko) 철재 사각파이프용 녹 제거장치
KR101165227B1 (ko) 파이프 샌딩 장치
CN102941191B (zh) 片材除尘机构
JPH08209649A (ja) ガードレール清掃機
CN206326328U (zh) 一种堆焊机表面熔渣的清理装置
CN110026839B (zh) 一种旧钢筋除锈养护装置
CN203185111U (zh) 一种清刷抛光系统
KR20110085316A (ko) 볼트 나사산 스케일 제거장비
CN212639547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电缆输送机
CN112548808A (zh) 一种钢板表面处理方法
CN210024622U (zh) 一种铣床除尘结构
CN114800179B (zh) 一种用于柱体铝合金表面整平的打磨设备
CN111659594A (zh) 一种基于铝型材的表面防腐处理方法
CN112744545B (zh) 一种用于烟草制造带式输送机托辊清垢装置
CN220316367U (zh) 一种耐磨球自动化生产设备
CN110695826B (zh) 一种复合绝缘子芯棒打磨系统
KR20130110583A (ko) 냉장고용 섀시의 표면연마장치
CN209831135U (zh) 一种管道外壁除锈清理平台
CN210100279U (zh) 模台清理机
CN115582701A (zh) 回转筒体高精度卷圆成型装置
KR100785461B1 (ko) 철재 녹 제거장치
CN213855637U (zh) 一种高效筛沙机
CN211100877U (zh) 一种整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