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224A -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224A
KR20120138224A KR1020120061948A KR20120061948A KR20120138224A KR 20120138224 A KR20120138224 A KR 20120138224A KR 1020120061948 A KR1020120061948 A KR 1020120061948A KR 20120061948 A KR20120061948 A KR 20120061948A KR 20120138224 A KR20120138224 A KR 20120138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production
moving image
outpu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5204B1 (ko
Inventor
토시히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1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재생장치는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제1 재생 모드와 제2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고속 재생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레임의 동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에 따라 미리 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프레임을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거하여 결정된 프레임 간격으로 프레임을 선택한다.

Description

재생장치{REPRO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 레이트가 다른 복수의 동화상을 연속해서 서치(search) 재생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화상을 촬영해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비디오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이한 프레임 레이트(단위 시간당의 프레임수)로 동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125210호). 이렇게, 상이한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한 동화상을 고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함으로써 슬로우 모션(slow motion) 효과 및/또는 패스트 모션(fast motion)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 프레임/초(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한 동화상을, 60fps로 재생함으로써, 프레임의 표시 간격이 촬영시보다도 길어진다. 그러한 재생에 의해 1/2배속의 슬로우 모션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30fps로 촬영한 동화상을 60fps로 재생함으로써, 2배속의 패스트 모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기록시와 같은 프레임 레이트로 동화상을 표시함으로써 또는, 재생된 동화상의 프레임을 일부 추출한 후에 그 결과를 저프레임 레이트로 표시함으로써, 고프레임 레이트로 기록된 동화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한 동화상을 재생하고, 120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하면, 표시되는 프레임의 타이밍은 촬영시와 같은 표시 타이밍이 된다. 120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한 동화상을 재생하고, 모든 다른 프레임을 일부 추출한 후에 그 결과를 60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하면, 표시되는 프레임의 타이밍은 촬영시와 같은 표시 타이밍이 된다.
상술한 것처럼, 고프레임 레이트로 촬영 및 기록된 동화상을 일반적인 프레임 레이트(60fps)로 재생함으로써, 슬로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을 패스트 포워드(fast-forward) 재생했을 경우, 일반적인 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과 비교하여, 재생 속도(표시 화면의 갱신 주기)가 낮아진다.
그 결과, 패스트 포워드 재생에 의해 원하는 화면을 신속히 찾고 싶은 유저에 있어서는 유용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이한 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을 고속으로 재생할 때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장치를 지향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재생장치는,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제1 재생 모드와 제2 재생 모드 중의 하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고속 재생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레임의 동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에 따라 미리 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하는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거하여 결정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하는 프레임을 선택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 및 측면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는 부호화되는 동화상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재생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4(도 4a 및 4b를 포함)는 제1 재생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5(도 5a 및 5b를 포함)는 제2 재생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6은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은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8은 고속 재생시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의 촬상장치(비디오 카메라)(100)는, 소정의 기록 포맷에 따라 동화상과 음성을 기록한다.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동화상 및 그 밖의 정보는, FAT(File Allocation Table) 파일 시스템에 따라 파일로서 관리된다.
촬상장치(100)는, 촬영하는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단위 시간당의 프레임수)를 60fps, 120fps, 240fps 중 어느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촬상장치(100)는, 기록된 동화상을 60fps로 재생 및 표시한다.
도 1에 있어서, 촬상부(101)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피사체에 해당하는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해서 출력한다. 촬상부(101)는,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 등의 광학계, CMOS(complementrary metal oxide silicon) 센서 등, 아이리스, 촬영한 동화상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촬영된 동화상 데이터에 필요한 처리를 행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음성 입력부(102)는, 마이크로폰, 앰프, 및 AD 변환기를 포함한다. 또, 음성 입력부(102)는 피사체로부터 음성을 취득하고, 그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103)는, 촬상부(101)로부터 출력된 동화상 데이터, 음성 입력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 표시용의 화상 신호, 압축된 동화상 데이터, 및 그 밖의 정보를 기억한다.
신호 처리부(104)는, 기록시에 있어서는, 촬영된 동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공지의 MPEG 방식에 따른 부호화 처리를 적용한다. 또, 신호 처리부(104)는 그러한 데이터의 정보량을 압축하고, 그 결과를 메모리(103)에 기억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04)는, 재생시에 있어서는, 재생된 동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그 정보량을 신장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제어부(10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화상과 각종의 정보를 표시부(106)에 출력한다. 표시부(106)는 액정 패널 등, 공지의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제어부(107)는 마이크로컴퓨터(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다른 필요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불휘발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해서 촬상장치(100)의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부(108)는, 유저에 의해 조작가능한 전원 스위치, 동화상의 촬영 시작, 정지를 지시하는 트리거 스위치, 재생 스위치, 및 메뉴 스위치를 포함하는 각종의 스위치를 구비한다.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를 통해 입력되는 유저의 지시를 접수한다. 또한, 유저는 메뉴 스위치를 조작해서 표시부(106)에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 유저는 이 메뉴 화면을 이용해서 촬상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또 설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록 재생부(109)는, 제어부(107)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각종의 정보를 기록 매체(110)에 기록하고, 기록 매체(110)로부터 각종 정보를 재생한다. 기록 매체(110)는 메모리 카드와 하드 디스크(HDD) 등의 랜덤하게 액세스 가능한 기록 매체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110)는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한 교체가능한 메모리 카드다. 유저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로딩 및 배출 기구를 이용해서, 촬상장치(100)에/로부터 용이하게 기록 매체(110)를 로딩 및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111)는, 스피커와 앰프를 포함한다. 음성 출력부(111)는 재생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 인터페이스(IF)(112)는, PC(personal computer)와 외부의 표시장치 등의 외부기기와의 사이에서, 동화상, 음성 데이터, 및 그 밖의 정보를 통신한다. 내부 버스(113)는, 촬상장치(100)의 각부의 사이에서, 각종의 데이터와 커멘드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음에, 촬상장치(100)의 기록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작부(108)에 의해 촬상장치(100)의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부(107)는 각부를 제어하여, 촬상부(101)에 의해 취득된 동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03)에 기억한다.
제어부(107)는 프레임 레이트를 60fps로 설정하고, 촬영한 동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촬상부(101)를 제어한다. 또, 제어부(107)는 메모리(103)에 기억된 동화상 데이터에 따른 피사체의 동화상을 표시부(106)에 출력해서 표시하고, 기록 대기 상태가 된다.
유저는, 기록 대기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08)를 조작함으로써 촬영하는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전술한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시작으로부터 촬영 정지까지의 사이에서, 유저는 촬영되는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할 수 없다.
이러한 기록 대기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08)로부터 기록 시작의 지시가 있으면, 제어부(107)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프레임 레이트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촬상부(101)에 대하여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촬상부(101)에 의해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부호화하도록 신호 처리부(104)에 지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신호처리부(104)는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를 MPEG 방식에 따라 부호화한다. MPEG 방식에서는, 동화상의 각 프레임을, 프레임내 부호화(I 프레임), 전방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P 프레임), 양쪽방향 예측 프레임간 부호화(B 프레임)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해서 부호화한다.
MPEG 방식에 의하면, GOP(group of pictures)라고 불리는 소정수의 프레임을 단위로서 부호화를 행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GOP을 15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각 GOP은, 1개의 I프레임을, 2프레임의 간격(3프레임마다 1프레임의)으로 P프레임과 함께 포함한다.
도 2는, GOP를 나타낸다. 데이터 열 201은, 촬상부(101)로부터 출력된 동화상 데이터의 GOP를 나타낸다. 데이터 열 202는, 데이터 열 201의 부호화 순서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I가 부가된 프레임은 I프레임을 나타낸다. P이 부가된 프레임은 P프레임을 나타낸다. B이 부가된 프레임은 B프레임을 나타낸다. 숫자는 입력 순서를 나타낸다.
기록 재생부(109)는, 이렇게 부호화된 동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103)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기록 매체(110)에 기록한다. 제어부(107)는,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가 60fps이외인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의 부호화와 기록을 금지하도록 각부에 지시한다. 그 때문에 프레임 레이트가 120fps, 240fps인 동화상을 기록할 경우에는, 음성은 기록되지 않는다.
이렇게, 동화상과 음성의 기록을 시작한 후, 조작부(108)로부터 기록 정지의 지시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제어부(107)는, 기록 재생부(109)에 대하여, 동화상의 기록 정지를 지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하고, 동화상 파일의 부가 정보로서 기록 매체(110)에 부가 정보를 기록하도록 기록 재생부(109)에 지시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기록 시작의 지시로부터 기록 정지의 지시까지의 사이에 기록된 일련의 동화상과 음성을 하나의 파일로서 관리한다.
제어부(107)는, 기록 매체(110)에 기록된 관리 파일을 갱신하도록 기록 재생부(109)에 지시한다. 관리 파일은, 기록 매체(110)에 기록된 각 파일의 기록 위치와 파일명 및/또는 각 동화상 파일의 재생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파일이다.
도 8은, 상술한 것처럼 촬영 및 기록된 동화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동화상 데이터(801)는, T0로부터 T1까지의 기간에서 60fps의 동화상, T1로부터 T2까지의 기간에서 240fps의 동화상, 및 T2로부터 T3까지의 기간에서 120fps의 동화상을 포함한다. 도 8의 시간 축은 기록시의 실제의 시간의 경과에 대응한다.
다음에, 재생 처리를 설명한다. 유저가 조작부(108)를 조작하여 재생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107)는, 기록 재생부(109)에 대하여, 기록 매체(110)에 기록된 각 동화상 파일의 선두 부분을 판독하도록 지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신호 처리부(104)에 대하여, 각 동화상 파일의 선두 부분을 복호하고, 섬네일(thumbnail) 화상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지시한다.
신호 처리부(104)는, 각 동화상 파일의 선두 부분을 복호화한 후, 첫 번째 프레임의 사이즈를 축소해서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제어부(105)에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복수의 동화상 파일의 섬네일 화상으로 이루어진 인덱스 화면을 생성한다. 또, 표시 제어부(105)는, 섬네일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 화상과 그 밖의 정보와 함께, 표시부(106)에 인덱스 화면을 출력해서 표시한다.
제어부(107)는, 각 동화상 파일의 부가 정보에 의거하여, 각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정보와 함께 섬네일 화상을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한다.
유저는 조작부(108)를 조작하여, 인덱스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섬네일 화상으로부터 원하는 섬네일 화상을 선택해서 재생 시작을 지시한다. 제어부(107)는, 재생 시작의 지시가 있으면, 선택된 섬네일에 대응하는 동화상 파일을 재생하도록 기록 재생부(109)에 지시한다. 기록 재생부(109)는, 지정된 동화상 파일을 기록 매체(110)로부터 재생하고, 재생된 동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03)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신호 처리부(104)는, 메모리(103)로부터 재생된 동화상과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동화상과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하며, 다시 그 결과를 메모리(103)에 기억한다. 표시 제어부(105)는, 메모리(103)로부터 복호화된 동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덱스 화면 대신에 재생된 동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111)는, 메모리(103)로부터 복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고, 스피커로부터 음성을 출력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재생 모드는, 제1 재생 모드와 제2 재생 모드를 포함한다. 유저는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108)를 조작함으로써, 제1 재생 모드와 제2 재생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
제1 재생 모드에서는, 고프레임 레이트 동화상, 즉, 120fps와 240fps의 동화상의 모든 프레임을 재생 및 복호화하고, 60fps로 표시한다. 그 결과, 제1 재생 모드에서는, 120fps의 동화상은 1/2배속의 슬로우 재생(효과)에 의해 재생된다. 240fps의 동화상은 1/4배속의 슬로우 재생에 의해 재생된다.
제2 재생 모드에서는, 고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을 일부 추출해서 재생하고, 60fps로 표시한다. 표시 화면의 갱신 주기가 촬영시에 있어서의 실시간의 갱신 주기와 일치하도록 고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을 재생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120fps의 동화상의 경우에 있어서는, 표시 프레임 간격을 2프레임으로 설정한다. 2프레임마다 1프레임을 재생해서 표시한다. 또한, 240fps의 동화상에 대해서는, 표시 프레임 간격을 4프레임으로 설정한다. 4프레임마다 1프레임을 재생해서 표시한다. 제2 재생 모드에서는,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관계없이, 실시간에 대한 외견상의 재생 속도는 통상의 속도이다.
도 3은, 재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3의 처리는 제어부(107)가 각부를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제어부(107)는 전술한 것처럼, 유저가 인덱스 화면으로부터 원하는 섬네일 화상을 선택하고, 재생 시작의 지시를 하면, 도 3의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 S301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재생 모드가, 제1 재생 모드인지 제2 재생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제1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301에서 YES), 스텝 S302에서, 제어부(107)는, 제1 재생 모드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2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스텝 S301에서 NO), 스텝 S303에서, 제어부(107)는 제2 재생 모드의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제1 재생 모드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4(도 4a 및 4b를 포함)는, 제1 재생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스텝 S401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재생된 동화상의 모든 프레임을 표시 프레임으로서 설정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선택된 동화상 파일에 관한 부가 정보에 의거하여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 FR(fps)을 검출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프레임 레이트FR가 60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프레임 레이트 FR가 60인 경우(스텝 S403에서 YES), 동화상과 함께 음성도 기록되어 있다. 스텝 S404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선택된 동화상 파일에 기억된 동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순차 재생하고, 복호화하도록 기록 재생부(109)와 신호 처리부(104)에 지시한다. 스텝 S405에서, 제어부(107)는, 복호화된 동화상의 모든 프레임을 표시부(106)에 출력해서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한다. 제어부(107)는, 재생된 음성을 음성 출력부(111)로부터 출력한다.
이렇게 재생을 시작한 후, 스텝 S406에서,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로부터 고속 재생(패스트 포워드 재생)의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고속 재생의 지시가 있는 경우(스텝 S406에서 YES), 스텝 S411에서, 제어부(107)는, 고속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고속 재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406에서, 고속 재생의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406에서 NO), 스텝 S407에서, 제어부(107)는, 현재 재생중의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을 경우(스텝 S407에서 YES), 스텝 S410에서, 제어부(107)는, 관리 파일에 기억된 재생 순서에 관한 정보에 따라 다음 씬(동화상 파일)을 선택한다. 그 후에 처리는 S402로 돌아간다.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하지 않았을 경우(스텝 S407에서 NO), 스텝 S408에서, 제어부(107)는,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으면(스텝 S408에서 YES), 스텝 S409에서, 제어부(107)는 동화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한다. 제어부(107)는, 다시 인덱스 화면을 표시시킨다. 재생 정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408에서 NO), 처리는 S404로 돌아간다.
스텝 S403에서, 프레임 레이트 FR가 60이 아닌 경우(스텝 S403에서 NO), 음성 데이터는 기록되지 않는다. 스텝 S412에서, 제어부(107)는, 선택된 동화상 파일에 기억된 동화상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순차 재생하고 복호화하도록 기록 재생부(109)과 신호 처리부(104)에 지시한다. 스텝 S413에서, 제어부(107)는, 복호화된 동화상의 모든 프레임을 표시부(106)에 출력해서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한다.
이렇게 재생을 시작한 후, 스텝 S414에서,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로부터 고속 재생(패스트 포워드 재생)의 지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고속 재생의 지시가 있는 경우(스텝 S414에서 YES), 스텝 S417에서,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고속 재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414에서, 고속 재생의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414에서 NO), 스텝 S415에서, 제어부(107)는, 현재 재생 중의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을 경우(스텝 S415에서 YES), 스텝 S418에서, 제어부(107)는, 관리 파일에 기억된 재생 순서의 정보에 따라, 다음 씬(동화상 파일)을 선택한다.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402로 돌아간다.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하지 않았을 경우(스텝 S415에서 NO), 스텝 S416에서, 제어부(107)는,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으면(스텝 S416에서 YES), 스텝 S409에서, 제어부(107)는 동화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다시 인덱스 화면을 표시시킨다. 재생 정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416에서 NO), 처리는 S412로 돌아간다.
다음에, 제2 재생 모드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5(도 5a 및 5b)는, 제2 재생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스텝 S501에서, 제어부(107)는, 선택된 동화상 파일의 부가 정보에 의거하여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 FR(fps)을 검출한다. 스텝 S502에서, 제어부(107)는, 재생된 동화상 중, 표시하는 프레임의 간격을 FR/60로 설정한다. 스텝 S503에서, 제어부(107)는 프레임 레이트 FR가 60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프레임 레이트 FR가 60인 경우(스텝 S503에서 YES), 표시 프레임 간격은 1이다. 즉, 모든 프레임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FR가 60인 경우(스텝 S503에서 YES), 동화상과 함께 음성도 기록되어 있다. 스텝 S504에서, 제어부(107)는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도, 선택된 동화상 파일에 기억된 동화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순차 재생하고 복호화하도록 기록 재생부(109)과 신호 처리부(104)에 지시한다.
스텝 S505에서, 제어부(107)는, 복호화된 동화상을 표시부(106)에 출력해서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07)는 재생된 음성을 음성 출력부(111)로부터 출력한다.
이렇게 재생을 시작한 후, 스텝 S506에서,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로부터 고속 재생(패스트 포워드 재생)의 지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고속 재생의 지시가 있는 경우(스텝 S506에서 YES), 스텝 S511에서,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고속 재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506에서, 고속 재생의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506에서 NO), 스텝 S507에서, 제어부(107)는, 현재 재생중의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을 경우(스텝 S507에서 YES), 스텝 S510에서, 제어부(107)는, 관리 파일에 기억된 재생 순서에 관한 정보에 따라 다음 씬(동화상 파일)을 선택한다. 그 후에 처리는 S501로 돌아간다.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하지 않았을 경우(스텝 S507에서 NO), 스텝 S508에서, 제어부(107)는,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으면(스텝 S508에서 YES), 스텝 S509에서, 제어부(107)는 동화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다시 인덱스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스텝 S508에서, 재생 정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508에서 NO), 처리는 스텝 S504로 돌아가고, 제어부(107)는 전술한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503에서, 프레임 레이트 FR가 60이 아닌 경우(스텝 S503에서 NO), 음성 데이터는 기록되지 않는다. 스텝 S512에서, 제어부(107)는, 선택된 동화상 파일에 기억된 동화상 데이터를 선두로부터 순차 재생하고, 복호화하도록 기록 재생부(109)과 신호 처리부(104)에 지시한다.
프레임 레이트 FR가 120fps인 경우에는, 표시 프레임 간격이 2프레임이다. 프레임 레이트 FR가 240fps인 경우에는, 표시 프레임 간격이 4프레임이다. 스텝 S513에서, 제어부(107)는, 복호화된 동화상 중, 표시하는 프레임으로서 선택한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부(106)에 출력해서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한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제2 재생 모드에서는, 모든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 복호화한 후, 그 일부를 추출해서 표시한다. 시간에 맞춰서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1 재생 모드보다도 고속으로 복호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재생 모드에서는, 120fps의 동화상에 대해서는, 1초 동안에 60프레임의 동화상을 복호화하면 된다. 제2 재생 모드에서는, 120프레임, 즉 2배의 프레임의 동화상을 복호화해서 그것의 60프레임을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2 재생 모드에서 240fps의 동화상을 재생한 경우에도, 화면의 표시가 제공되도록, 신호 처리부(104)가 고속으로 동화상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이렇게 재생을 시작한 후, 스텝 S514에서,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로부터 고속재생(패스트 포워드 재생)의 지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고속 재생의 지시가 있는 경우(스텝 S514에서 YES), 스텝 S517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고속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고속재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514에서, 고속재생의 지시가 없는 경우(스텝 S514에서 NO), 스텝 S515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현재 재생중인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을 경우(스텝 S515에서 YES), 스텝 S518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관리 파일에 기억된 재생 순서에 관한 정보에 따라 다음 씬(동화상 파일)을 선택한다. 그 후에, 처리는 S501로 돌아간다.
또한,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하지 않은 경우(스텝 S515에서 NO), 스텝 S516에서, 제어부(107)는,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으면(스텝 S516에서 YES), 스텝 S509에서, 제어부(107)는 동화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다시 인덱스 화면을 표시시킨다. 스텝 S516에서, 재생 정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516에서 NO), 처리는 스텝 S512로 돌아가고, 제어부(107)는 전술한 처리를 실행하다.
다음에, 고속 재생 처리를 설명한다. 도 6은,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M배속의 고속 재생 처리(S411, S417)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6에 있어서, 스텝 S601에서,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에 따라, 표시 프레임 간격을 M으로 설정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GOP 구성에 따라 동화상을 부호화한다. 고속 재생시에는, 도 2에 나타내는 프레임으로부터, I프레임과 P프레임을 선택해서 복호화하고, 표시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를 3배로 설정하고, 표시 프레임 간격 M도 3으로 설정한다.
GOP 구성 중, I프레임을 선택해서 재생, 복호화함으로써 15배속의 고속 재생도 가능해진다. 기록 매체(110)로부터의 데이터 판독 속도와, 신호 처리부(104)의 복호화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를 3 이외의 임의인 값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602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시에 표시하는 프레임, 여기에서는 I프레임과 P프레임에 관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복호화하도록 기록 재생부(109)과 신호 처리부(104)에 지시한다. 스텝 S603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복호화된 동화상을 표시부(106)에 출력해서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한다.
이렇게 고속 재생을 시작한 후, 스텝 S604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로부터 고속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108)로부터 보통 재생의 지시 또는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으면(스텝 S604에서 YES),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 처리를 정지하고, 처리는 도 4에서 설명한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고속재생 정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604에서 NO), 처리는 스텝 S602로 되돌아온다.
제1 재생 모드에서는, 재생 중의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관계없이, 표시하는 프레임 간격은 일정하다. 도 8에서, 행 802는,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에 표시되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8의 행 802에 나타낸 것처럼, 어느 것인가의 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을 재생하고 있을 경우에도, 3프레임마다 1프레임이 선택되어서 표시된다. 그 때문에 실시간(촬영시의 경과 시간)에 대한 재생 속도가, 각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60fps의 동화상은 3배속으로 재생된다. 240fps의 동화상은, 실시간에 대하여 3/4배속으로 재생된다. 또한, 120fps의 동화상은, 실시간에 대하여 3/2배속으로 재생된다.
다음에,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7은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스텝 S701에서,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시의 재생 속도와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표시 프레임 간격을 FR/60×M으로 설정한다.
스텝 S702에서,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시에 표시하는 프레임, 여기에서는 I프레임과 P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재생하고 복호화하도록 기록 재생부(109)과 신호 처리부(104)에 지시한다. 스텝 S703에서, 제어부(107)는, 복호화된 동화상 중, 표시하는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된 프레임을 표시부(106)에 출력해서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부(105)에 지시한다.
제2 재생 모드에서는, 고속 재생시에 있어서도, 실시간에 대한 재생 속도가 통상 재생시의 M배, 여기에서는 3배속이 되도록, 재생중의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표시하는 프레임 간격을 결정한다.
도 8에서, 행 803은,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에 표시되는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8의 행 8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간의 경과에 대하여 표시되는 프레임의 갱신 간격이 일정하도록,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고속 재생시에 표시하는 프레임 간격을 결정한다.
이렇게 고속 재생을 시작한 후, 스텝 S704에서, 제어부(107)는, 재생 중의 동화상 파일을 끝까지 재생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동화상을 끝까지 재생했을 경우(스텝 S704에서 YES), 스텝 S706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관리 파일에 기억된 재생 순서의 정보에 의거하여 다음의 씬을 선택한다. 스텝 S707에서는, 제어부(107)는 선택된 씬의 동화상 파일의 부가 정보에 의거하여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 FR를 검출한다. 그리고, 처리는 스텝 S701로 되돌아간다.
동화상을 끝까지 재생하지 않은 경우(스텝 S704에서 NO), 스텝 S705에 있어서는, 제어부(107)는, 조작부(108)로부터 고속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108)로부터 보통 재생의 지시, 또는 재생 정지의 지시가 있으면(스텝 S705에서 YES), 제어부(107)는, 고속 재생 처리를 정지하고, 도 5에서 설명한 처리로 되돌아온다. 또한, 고속 재생 정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스텝 S705에서 NO), 처리는 스텝 S702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1 재생 모드 및 제2 재생 모드를 제공한다. 제1 재생 모드에서는, 모든 프레임을 재생하고,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한다. 제2 재생 모드에서는, 고프레임 레이트의 동화상의 일부를 추출해서 재생하고,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표시한다.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에는, 재생중의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관계없이, 표시하는 프레임 간격은 일정하다. 또한,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에는, 실시간의 경과에 대하여 표시되는 프레임의 간격이 재생 속도에 따라 일정하도록,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고속 재생시에 표시하는 프레임을 변경한다.
슬로우 효과를 목적으로 고프레임 레이트로 동화상을 촬영한다. 유저는 제2 재생 모드에서 고속으로 동화상을 재생함으로써, 보다 신속히 원하는 화면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촬영한 동화상을 60fps로 재생하는 구성이었다. 그렇지만, 이외의 프레임 레이트로 동화상을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재생시의 프레임 레이트를 FRa(자연수)이라고 하고, 동화상 촬영시의 프레임 레이트를 FRb(FRb≥FRa의 정수)이라고 가정한다. FRb이 FRa와 같을 경우에는, 동화상과 음성을 모두 기록한다. FRb이 FRa와 같지 않은 경우에는, 동화상만을 기록한다.
그리고,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표시 프레임 간격을, FRb/FRa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고속 재생시의 표시 프레임 간격을, FRb/FRa×M로 설정하면 된다.
여기에서, FRb이 FRa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에는, 표시 타이밍은 표시 프레임 간격으로부터 결정된다. 그 다음에, 표시 타이밍에 가장 가까운 동화상의 프레임을 표시 프레임으로서 선택한다. 이 경우, 동화상의 프레임 레이트 FRb이 클수록, 표시 프레임 간격이 길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를, 네트워크 또는 각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통해서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한다. 그리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microprocessing unit) 등)가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와,
    제1 재생 모드와 제2 재생 모드 중의 하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고속 재생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레임의 동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에 따라 미리 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와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거하여 결정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는,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에 관계없이, 상기 미리 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는, 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가 클수록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프레임 간격이 커지도록,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의 프레임 간격을 결정하는, 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프레임의 갱신 간격이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실시간의 일정한 경과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의 프레임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갱신 간격은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에 대응하는, 재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 통상 재생이 지시되었을 경우,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모든 프레임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 통상 재생이 지시되었을 경우,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실시간의 경과와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프레임의 갱신 기간이 일치하도록,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의 선택된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재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프레임내 부호화 및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를 이용해서 부호화되고,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프레임내 부호화에 의해 부호화된 프레임의 간격과 관련되어 있는, 재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상기 출력부가 프레임을 출력하는 레이트보다 높은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장치.
  9.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된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와,
    제1 재생 모드와 제2 재생 모드 중의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고속재생의 지시에 따라, 상기 재생된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프레임의 동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에 따라 미리 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고속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와 상기 재생 단계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에 의거하여 결정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어를 행하는, 재생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에 관계없이, 상기 미리 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서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도록 상기 제어를 행하는, 재생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프레임 레이트가 클수록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프레임 간격이 커지도록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의 프레임 간격을 결정하도록 상기 제어를 행하는, 재생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출력 프레임의 갱신 간격이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실시간의 일정한 경과에 대응하도록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해 출력해야 할 프레임의 프레임 간격을 결정하도록, 상기 제어를 행하고, 상기 갱신 간격은 상기 고속 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에 대응하는, 재생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모드에 있어서 통상 재생이 지시되었을 경우,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모든 재생된 프레임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있어서 통상 재생이 지시되었을 경우,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시에 있어서의 실시간의 경과와 상기출력 프레임의 갱신 주기가 일치하도록 상기 동화상 데이터의 일부 선택된 재생된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어를 행하는, 재생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프레임내 부호화 및 프레임간 예측 부호화를 이용해서 부호화되고, 상기 고속재생을 위한 재생 속도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상기 프레임내 부호화에 의해 부호화된 프레임의 간격과 관련되어 있는, 재생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프레임 레이트가 상이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에 의해 재생된 상기 동화상 데이터는 상기 출력 단계가 프레임을 출력하는 레이트보다 높은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재생방법.
KR1020120061948A 2011-06-13 2012-06-11 재생장치 KR101445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31421 2011-06-13
JP2011131421A JP5751942B2 (ja) 2011-06-13 2011-06-13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224A true KR20120138224A (ko) 2012-12-24
KR101445204B1 KR101445204B1 (ko) 2014-09-29

Family

ID=4660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948A KR101445204B1 (ko) 2011-06-13 2012-06-11 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77161B2 (ko)
JP (1) JP5751942B2 (ko)
KR (1) KR101445204B1 (ko)
CN (1) CN102833480B (ko)
DE (1) DE102012209760B4 (ko)
GB (1) GB24919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197A (ko) * 2015-03-30 2016-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4357B2 (ja) * 2009-05-20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6098681B2 (ja) * 2015-05-22 2017-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62516B2 (en) 2015-05-22 2018-12-25 Casio Computer Co., Ltd.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10157323B2 (en) * 2016-08-30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to provide a spoofing or no spoofing indication
JP7034729B2 (ja) * 2017-02-10 202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11739193B (zh) * 2020-06-17 2021-12-17 重庆蓝岸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行车记录仪图像显示方法及行车记录仪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0542B1 (ja) 1995-09-29 2002-1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方法、記録装置、光ディスク
JP2002093125A (ja) 1997-09-17 2002-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ビデオデータ編集装置、編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再生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0125210A (ja) 1998-10-14 2000-04-28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2001016546A (ja) 1999-06-30 2001-01-19 Toshiba Corp 動画像録画再生装置
JP4323685B2 (ja) * 2000-06-09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DE10043961C2 (de) * 2000-09-06 2003-03-27 Fraunhofer Ges Forschung Kombinierte Standard-Video- und High-Speed-Kamera
JP2002135709A (ja) 2000-10-18 2002-05-10 Sony Corp 編集装置、記録再生装置、編集方法、及び記録媒体
JP4222869B2 (ja) * 2002-12-10 2009-02-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再生装置
JP4553379B2 (ja) 2004-09-10 2010-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98159B2 (ja) * 2005-02-03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89033B2 (ja) * 2005-03-25 2010-06-23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パン・チルト判定装置および映像装置
JP2007074037A (ja) * 2005-09-02 2007-03-22 Sony Corp 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187037A (ja) * 2006-02-17 2006-07-13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再生方法
WO2008050806A1 (en) * 2006-10-24 2008-05-02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reproduction control device
JP2009177619A (ja) * 2008-01-25 2009-08-06 Panasonic Corp 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装置、記録媒体、画像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83231B2 (ja) * 2008-02-05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9246775A (ja) * 2008-03-31 2009-10-22 Canon Inc 画像再生装置
JP5092983B2 (ja) * 2008-08-13 2012-1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動画再生装置、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371493B2 (ja) * 2009-03-09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WO2011052045A1 (ja) * 2009-10-27 2011-05-05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装置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197A (ko) * 2015-03-30 2016-10-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204B1 (ko) 2014-09-29
GB201210098D0 (en) 2012-07-25
JP2013005041A (ja) 2013-01-07
US8577161B2 (en) 2013-11-05
DE102012209760B4 (de) 2018-04-12
CN102833480B (zh) 2015-09-30
JP5751942B2 (ja) 2015-07-22
CN102833480A (zh) 2012-12-19
US20120314967A1 (en) 2012-12-13
GB2491948B (en) 2014-10-22
DE102012209760A1 (de) 2012-12-13
GB2491948A (en)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204B1 (ko) 재생장치
JP5498064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225361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ならびに、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2006261953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6057701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250103A (ja) 再生装置
JP2014096766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13046125A (ja) 撮像装置
JP6278353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撮像装置
KR20110070809A (ko) 정보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카메라
JP2013005054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11146847A (ja) 画像再生制御装置、画像再生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5686574B2 (ja) 記録装置
JP2010074296A (ja) 画像再生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097727A (ja) 動画再生装置
JP2015099995A (ja)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JP5683220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18195923A (ja) 記録装置
JP6082269B2 (ja)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70373B2 (ja) 記録装置及び制御方法
JP5511739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5778937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の制御方法
JP5925020B2 (ja) 再生装置
JP5930807B2 (ja) 撮像装置
JP2015099996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