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197A -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197A
KR20160117197A KR1020160032458A KR20160032458A KR20160117197A KR 20160117197 A KR20160117197 A KR 20160117197A KR 1020160032458 A KR1020160032458 A KR 1020160032458A KR 20160032458 A KR20160032458 A KR 20160032458A KR 20160117197 A KR20160117197 A KR 20160117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reproduction
playback
time
i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490B1 (ko
Inventor
코이치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재생 제어장치는,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 지시부와,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재생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을 때,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종단부까지의 나머지 시간이 제1 기간과 제2 기간의 합계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제1 기간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합계 기간 이하이며 상기 제2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종단부 앞의 상기 제 2 기간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REPRODUC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화상과 음성 등의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 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화상과 음성 등의 시계열 데이터에 있어서, 유저가 원하는 장면을 찾아 재생시킬 수 있도록, 빨리 감기/빨리 되감기와 점프 재생 등의, 장면 탐색에 유용한 재생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 2011-259110호 공보에는, 동화상 중의 1매의 화상을 지정된 빨리 감기 또는 빨리 되감기 속도에 따른 점프 간격으로 점프시키면서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빨리 감기 또는 빨리 되감기 재생을 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유저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기기의 이용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동화상 또는 음성을 재생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 05-325508호 공보에는, 일련의 음성 기록 동작을 종료한 후에 재생 동작을 개시할 경우, 최신의 기록의 결과로써 기록된 부분의 선두에서 재생을 개시함으로써, 기록된 오디오 신호의 기록 상태를 유저가 확인하고 싶을 때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한 개의 유스 케이스(use case)는, 1개의 동화상 단위나 음성 단위의 종단 부근에 있는 기록된 데이터를 유저가 확인하고 싶은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05-325508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이, 유저가 기록된 음성의 기록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경우, 최후에 기록된 음성의 최후의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면, 유저는 원하는대로 음성이 최후까지 기록되었는지 아닌지, 혹은 재기록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최후에 기록된 음성의 최후의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면, 계속된 음성 기록에 있어서 어떤 종류의 음성을 기록할 것인지를 판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동화상의 촬영에도 적용된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개 2011-259110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은 점프 재생을 행할 때, 1개의 동화상 단위의 종단 부근이 점프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어, 1개의 동화상 단위의 종단 부근을 재빠르게 그리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었을 때에, 시계열 데이터의 종단 부근을 재빠르게 그리고 확실하게 재생할 수 있는 재생 제어를 실현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 지시부와,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재생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을 때,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종단부까지의 나머지 시간이 제1 기간과 제2 기간의 합계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제1 기간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합계 기간 이하이며 상기 제2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종단부 앞의 상기 제 2 기간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 재생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을 때,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종단부까지의 나머지 시간이 제1 기간과 제2 기간의 합계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제1 기간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합계 기간 이하이며 상기 제2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종단부 앞의 상기 제 2 기간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제어장치의 재생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었을 때에, 시계열 데이터의 종단 부근을 재빠르게 그리고 확실하게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형태의 재생 처리 시퀀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REC 리뷰에서 재생 대상 클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REC 리뷰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REC 리뷰에서의 클립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재생 제어장치를 디지털 영상을 촬영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치 구성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하, 비디오 카메라)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촬상부(1)는 렌즈,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 오토포커스(AF) 기구, 줌 기구를 포함한다. 촬상부(1)는, 카메라 제어부(3)의 지시에 따라, 피사계에 대하여 초점 및 광량 등을 조정하고, 렌즈를 통과시켜서 결상된 피사계의 광학상을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영상신호를 카메라 신호 처리부(2)에 송출한다.
카메라 제어부(3)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고, 시스템 제어부(4) 및 조작부(10)의 지시 등에 따라 카메라계를 제어한다.
신호 처리부(5)는, 집적회로나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구비하고, 시스템 제어부(4)의 지시에 따라, 동화상과 음성 등의 시계열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의 기록/재생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부(5)는, 기록 신호 처리부(6)와 재생 신호 처리부(7)를 갖는다. 기록 신호 처리부(6)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2)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와 마이크(11)에서 출력된 음성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재생 신호 처리부(7)는, 기록 신호 처리부(6)에서 생성된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5)는, 시스템 제어부(4)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 영상(음성을 갖는 동화상)의 기록 매체(9)에의 기록 처리와, 기록 매체(9)에 기록한 영상의 재생 처리를 행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5)는, 시스템 제어부(4)로부터 송출되는 문자 정보와 인쇄 범위 프레임 표시 정보를 영상신호에 중첩하여, 결과적으로 얻어진 신호를 표시부(8)에 송출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5)는, 시스템 제어부(4)의 지시에 따라, 영상에 포함되는 음성 혹은 음성만을 스피커(12)로부터 출력하는 재생 처리를 행한다.
액정 패널 등인 표시부(8)는 유저에 대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문자와 기호를 사용하여 카메라 본체의 각종 정보의 표시, 메뉴 설정시의 가이드 표시 등을 행한다.
기록 매체(9)에는 신호 처리부(5)에 의해 생성된 영상이 기록되고, 이미 기록되어 있는 영상이 기록 매체(9)에서 판독된다. 기록 매체(9)는, 비디오 카메라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또는, 비디오 카메라에 내장된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다.
조작부(10)의 일부는, 후술하는 카메라 모드와 재생 모드의 전환, 및 비디오 카메라 전체에 관한 각종 조작 스위치류(UP 버튼, RIGHT 버튼, DOWN 버튼, LEFT 버튼, SET 버튼, MENU 버튼, REPRODUCE 버튼, FAST FORWARD 버튼/FAST REWIND 버튼, STOP 버튼, START/STOP 버튼, REC REVIEW 버튼 등)를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4)에 송출한다. 조작부(10)의 일부는, 카메라계에 관한 각종 스위치 및 다이얼류(AF ON/OFF, AE 오토/록, 프로그램 AE, 줌 등)를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시스템 제어부(4)를 거쳐 카메라 제어부(3)에 송출한다.
마이크(11) 및 스피커(12)는 카메라 모드와 재생 모드에서의 음성신호의 입력과 출력을 행한다.
시스템 제어부(4)는, 비디오 카메라의 각종 기능을 총괄해서 제어하기 위한, CPU(101), RAM(102), R0M(103), 전용의 회로 등을 포함한다. CPU(101)은, 불휘발성 메모리인 R0M(103)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워크 메모리로서의 역할을 하는 RAM(102)에 전개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REC 리뷰 기능을 포함하는 각종의 제어 시퀀스를 실행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2), 카메라 제어부(3), 시스템 제어부(4), 신호 처리부(5)에 대해서는 각각 전용의 회로를 사용해도 되고, 프로그램된 범용의 프로세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기능을 1개의 회로 또는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되고, 또는 1개의 기능을 복수의 회로 및/또는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REC 리뷰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REC 리뷰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REC 리뷰 기능은, 비디오 카메라를 재생 전용의 동작 모드(재생 모드)로 설정하지 않고, 영상 기록을 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재빠르게 기록 영상(클립)을 재생하여 기록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이다. REC 리뷰는 직전에 기록한 클립의 확인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재생 대상이 되는 클립 전체, 또는 그 클립의 최후의 수초간 만을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REC 리뷰중에 시간축에 대하여 정방향(현재의 재생 위치로부터 전방) 또는 역방향(현재의 재생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10초 단위로 재생 위치를 점프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또한, REC 리뷰는 최소 4초 이상 동안 재생을 행하는 기능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때, 이들 시간은 본 실시형태의 설명의 편의상 제공된 것이며, 다른 시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클립 1 내지 3은 본 실시형태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기록한 동화상 데이터이다. 비디오 카메라가 카메라 모드에 있을 때, 유저가 조작부(10)에 있는 START/STOP 버튼을 눌러 기록 개시와 기록 정지의 지시를 행함으로써 클립이 생성된다. 도 3에서는 기록 개시와 기록 정지의 지시를 3회 행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3개의 클립 1 내지 3이 기록되어 있다. 클립 3의 기록이 완료한 후, 유저가 카메라 모드에서 조작부(10)에 포함되는 REC REVIEW 버튼을 누르면, 직전에 기록한 클립 3만이 재생된다. REC 리뷰에서는, 미리 설정된 내용에 따라, 클립 3의 선두로부터, 혹은 클립 3의 종단부 앞의 4초부터 재생이 행해진다.
도 4는, REC 리뷰의 재생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비디오 카메라의 설정 메뉴 중 1개)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이 메뉴 화면에서 "클립 선두로부터"를 선택하고 있을 때는, REC 리뷰에서 재생되는 범위는 클립의 선두부터가 된다. 이 경우, 도 5a에 나타낸 위치 501로부터 재생이 행해지게 된다. "최종 4초"가 선택된 경우에는, 클립의 종단부 앞의 4초의 시점부터 REC 리뷰 재생이 실행된다. 이 경우, 도 5a에 나타낸 위치 502로부터 클립이 재생되게 된다.
동작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 바꾼 후에 실행하는 통상의 재생 처리는 REC 리뷰와는 동작 내용이 다르다. 조작부(10)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4)가 비디오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 바꾼 후, 조작부(10)에 포함되는 REPRODUCE 버튼을 누르면, 선택되어 있는 클립의 선두로부터 재생이 개시된다. 복수의 클립이 기록되어 있을 때에는, 현재 재생하고 있는 클립에 이어서 다음 클립이 연속해서 재생되고, 시계열 순으로 차례차례로 클립이 재생되는 재생처리가 REC 리뷰와는 다르다.
재생 처리
다음에,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REC 리뷰 재생을 실행할 경우와 통상 재생을 실행할 경우의 재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2a 및 도 2b의 처리는, CPU(101)이 R0M(103)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RAM(102)에 전개해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스텝 S101에서는, CPU(101)은, 현재의 동작 모드가 카메라 모드인지 재생 모드인지를 판정한다. 카메라 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S102로 처리를 진행하고, 재생 모드의 경우에는 스텝 S12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2에서는, CPU(101)은, 재생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카메라 모드에서의 재생 지시가 존재하였기 때문에, CPU(101)은, 조작부(10)에 포함되는 REC REVIEW 버튼이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 판정의 결과, REC REVIEW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0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PU(101)는 스텝 S102에서 REC REVIEW 버튼이 눌러지는 것을 기다린다. 이때, 이 판정 이외에도, 동화상의 기록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 재생 모드로 전환하는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 및 설정 메뉴를 표시하는 지시가 있었는지 아닌지의 판정도 행하고, 이에 따라 처리도 행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103에서는, CPU(101)은, 4초 재생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도 4에서 전술한 REC 리뷰의 재생 방법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을지를 판정하고 있고, R0M(103)에 기억된 설정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판정을 행한다. 판정의 결과, "최종 4초"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처리를 진행하고, "클립 선두로부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는, CPU(101)은, REC 리뷰의 재생 개시 위치를 최후에 촬영한 클립(최신의 클립)의 종단부 앞의 4초인 지점(종단 위치 앞의 제2 기간인 지점)으로 설정한다.
스텝 S105에서는, CPU(101)은, REC 리뷰의 재생 개시 위치를, 최신의 클립의 시작 단부(선두)로 설정한다.
스텝 S106에서는, CPU(101)은, 스텝 S104 또는 스텝 S105에서 설정된 REC 리뷰의 재생 개시 위치부터 동화상의 재생을 개시한다(REC 리뷰를 행한다).
스텝 S107에서는, CPU(101)은, REC 리뷰의 재생 위치를 정방향으로 점프하는 조작이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는, 조작부(10)에 포함되는 RIGHT 버튼을 누름으로써 행할 수 있다.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가 있었을 경우(RIGHT 버튼이 눌러진 경우)는 스텝 S108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클립의 종단 위치와 현재의 재생 위치의 차이 a를 산출한다.
스텝 S109에서는, CPU(101)은, 스텝 S108에서 산출한 클립의 종단 위치와 현재의 재생 위치의 차이 a가 14초(1회의 점프 지시에 응답하여 점프한 표준의 점프 초수인 제1 기간(10초)과, REC 리뷰가 재생되는 최저 재생 초수로서 설정되어 있는 제2 기간(4초)의 가산하여 얻어진 합계 기간)보다도 큰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이 차이 a가 14초보다도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10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이 차이 a가 14초 이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1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0에서는,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를, 현재의 재생 위치 뒤의 10초인 지점(현재의 재생 위치 뒤의 제1 기간인 지점)으로 설정한다. 클립의 종단 위치와 현재의 재생 위치의 차이 a가 14초보다 크면, 정방향으로 10초의 점프를 실시하더라도, REC 리뷰가 최저 재생 초수인 적어도 4초 동안 실행되므로, 재생 개시 위치는 현재의 재생 위치에 표준의 점프 초수인 10초를 가산하여 얻어진 위치가 된다.
이어지는 스텝 S118에서는,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설정된 위치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의 개념도를 도 5b의 b1에 나타낸다. 점프전에 재생하고 있었던 위치가 클립의 종단부 앞의 적어도 14초인 위치 521인 경우, CPU(101)은,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에 응답하여, 위치 521 뒤의 10초인 위치 522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스텝 S111에서는, 클립의 종단 위치와 현재의 재생 위치의 차이 a가 합계 기간 이하, 즉 14초 이하인 것으로 판정되었으므로, CPU(101)은, 클립의 종단 위치와 현재의 재생 위치의 차이 a가 4초보다 큰지 아닌지를 더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이 차이가 4초보다 큰 경우에는 스텝 S112로 처리를 진행하고, 이 차이가 4초 이하인 경우에는 점프를 실행하지 않고 스텝 S118로 처리를 진행하여,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의 재생을 계속한다.
스텝 S112에서는,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를 클립의 종단부 앞의 최저 재생 초수인 4초의 지점(종단 위치 앞의 제2 기간인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어지는 스텝 S118에서는,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설정된 위치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의 개념도를 도 5b의 b2에 나타낸다. 점프전에 재생하고 있었던 위치는 클립의 종단부 앞의 적어도 4초인 위치 523이었을 경우, CPU(101)는,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에 응답하여, 위치 523으로부터 클립 종단부 앞의 4초의 위치 524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의 위치 523과 위치 524의 시간차(점프 초수)는 10초 이하이며, 점프 전의 재생 위치 523에 따라 다르다.
CPU(101)가 스텝 S111에서 클립의 종단 위치와 현재의 재생 위치의 차이 a가 4초 이하라고 판정하여, 점프를 실행하지 않고 스텝 S118에서 현재의 위치부터 재생을 계속할 경우의 개념도를 도 5b의 b3에 나타낸다. 점프 전에 재생하고 있었던 위치가 클립의 종단부 앞의 4초보다 작은 위치 525인 경우,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가 있었더라도, 점프는 행하지 않고 그대로 재생을 계속한다.
스텝 S113에서는, CPU(101)은, REC 리뷰의 재생 위치를 음 방향으로 점프하는 조작이 있었던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음 방향으로의 점프 지시는, 조작부(10)에 포함되는 LEFT 버튼을 누름으로써 행해진다. 음 방향으로의 점프 지시가 있었을 경우(LEFT 버튼이 눌러진 경우)는 스텝 S114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9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4에서는,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현재의 재생 위치와 클립의 선두 위치의 차이 b를 산출한다. 그러나, 현재의 재생 위치의 초수가 클립 선두로부터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산출을 특별히 행할 필요가 없다.
스텝 S115에서는, CPU(101)은, 클립 선두로부터 현재의 재생 위치까지의 시간이 10초(1회의 점프 지시에 응답한 표준의 점프 초수)보다도 긴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 시간이 10초보다도 길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S116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이 시간이 10초 이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11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16에서는,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를, 현재의 재생 위치 앞의 10초의 지점(현재의 재생 위치 앞의 제1 기간인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어지는 스텝 S118에서,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설정된 위치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의 개념도를 도 5c의 c1에 나타낸다. 점프 전에 재생하고 있었던 위치가 클립 선두 뒤의 적어도 10초인 위치 531인 경우, CPU(101)는, 음 방향으로의 점프 지시에 응답하여, 위치 531 앞의 10초의 위치 532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스텝 S117에서는,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를 클립의 선두 위치로 설정한다.
이어지는 스텝 S118에서, CPU(101)은, 점프후의 재생 개시 위치로서 설정된 위치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의 개념도를 도 5c의 c2에 나타낸다. 점프전에 재생하고 있었던 위치가 클립 선두로부터 10초 이내인 위치 533인 경우, 음 방향으로의 점프 지시에 응답하여, 현재의 재생 위치 533으로부터, 클립 선두인 위치 534로 점프한 후 재생을 행한다. 이 경우의 위치 533과 위치 534의 시간차(점프 초수)는 10초 이하이며, 점프전의 재생 위치 533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스텝 S119에서는, CPU(101)은, REC 리뷰의 재생 시간이 4초로 고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때, REC 리뷰의 재생 시간은 설정 메뉴로부터 유저 조작에 따라 설정가능하며, "4초 고정"과 "클립 종단부까지" 중 어느 한개로 설정되어 R0M(103)에 기록된다. CPU(101)은, R0M(103)의 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4초 고정"으로 재생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4초 고정"으로 재생 시간이 설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 S120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즉, "클립 종단부까지"로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스텝 S121로 처리를 진행한다. 이때, 재생 시간이 4초로 고정되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는, 유저가 설정하는 것은 아니고, 비디오 카메라의 사양으로서 정해져 있어도 된다. 비디오 카메라의 사양으로서 재생 시간이 4초로 고정되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19의 판정 처리는 행하지 않고 스텝 S1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0에서는, CPU(101)은, 스텝 S106에서 행해진 REC 리뷰의 재생과, 점프후에 스텝 S118애서 행해진 재생 중 가장 최근의 재생 개시로부터 4초가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4초가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122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1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21에서는, CPU(101)은, 현재의 재생 위치가 클립의 종단부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종단부에 이른 경우에는 S122로 처리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PU(101)가 스텝 S107로 되돌아간다.
스텝 S122에서는, CPU(101)은 REC 리뷰의 재생을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촬영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즉, 표시부(8)에 촬상부(1)에 의해 촬상한 영상을 라이브 뷰 표시하고, 비디오 카메라가 촬영 지시를 접수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시간이 4초로 고정되어 설정되어 있을 경우 4초가 경과하거나, 클립 종단부에 이르면, REC 리뷰를 종료하고 있지만, 유저가 STOP 버튼을 누른 것에 의해 발생한 정지 지시나 촬영의 지시로부터 발생한 인터럽트 처리 등에 의해 REC 리뷰를 종료할 수도 있다.
이때, 스텝 S101에서 현재의 동작 모드가 카메라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비디오 카메라는 재생 모드에 있다. 그 경우의 재생은, REC 리뷰가 아니라 통상 재생이 된다. 통상 재생에서는, 복수의 클립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모든 클립이 재생의 대상으로 될 수 있다. 스텝 S123에서 재생 지시가 있었다고(조작부(10)에 포함되는 REPRODUCE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정하면, CPU(101)은, 스텝 S124에서 동화상의 재생을 개시한다. 재생 대상은, 재생을 개시한 시점보다도 시계열적으로 뒤에 위치하는 모든 클립이다.
스텝 S125에서는, CPU(101)은, 재생 개시 시점보다도 시계열적으로 뒤에 위치하는 모든 클립의 재생이 완료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들 모든 클립의 재생이 완료한 경우에는 스텝 S126으로 처리를 진행하여, 동화상의 재생을 정지한다. 이때, 유저가 STOP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발생한 정지 지시나, 촬영 지시로부터 발생한 인터럽트 처리 등에 의해 재생 모드에서의 동화상의 재생을 종료할 수도 있다. 또한, 재생 모드에서의 동화상 재생 도중에는, 조작부(10)에 포함되는 FAST FORWARD/FAST REWIND 버튼에 응답하여 동화상의 빨리 감기 또는 빨리 되감기도 행할 수 있다. 또한, RIGHT 버튼의 누름에 따른 정방향으로의 점프와, LEFT 버튼의 누름에 따른 음 방향으로의 점프도 행할 수 있다. 단, 재생 모드에서의 정방향으로의 점프의 경우에는, REC 리뷰에서 설정된 4초와 같은 최저 재생 초수는 설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3의 클립 2의 재생중에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가 행해진 경우,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클립 2의 종단부까지의 시간이 10초보다 긴 경우에는(합계 기간이 14초 이내라도),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10초 전방으로 점프한 후 재생한다. 또한, 클립 2의 재생중에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가 행해진 경우,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클립 2의 종단부까지의 시간이 10초 이내인 경우에는, 클립 2의 종단부(다음의 클립인 클립 3의 선두)로 재생 위치를 점프시켜, 클립 3의 선두로부터 재생을 행한다.
클립의 종단 부근에서의 정방향으로의 점프에 관한 동작을, 이와 같이 REC 리뷰와 재생 모드 사이에서 다르게 행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즉, REC 리뷰를 행하는 목적은 직전에 촬영한 동화상(최신의 동화상, 최후에 촬영한 동화상)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경우, 유저가 직전에 촬영한 동화상의 종단 부근을 확인하여, 최후에 촬영한 동화상이 어떤 장면에서 끝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다음에 어떤 동화상을 촬영해야 할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스 케이스가 생각된다. 이와 달리, 유저가 최후에 촬영한 동화상이 어떤 장면에서 끝나고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유저가 촬영하고 싶었던 피사체의 동작이 끝까지 촬영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동화상을 재촬영이 필요한지 아닌지의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스 케이스도 생각된다. 촬영 모드시에 이용되는 REC 리뷰에서는, 유저로부터의 정방향으로의 점프 지시가 행해져도, 최저 수초(본 실시형태에서는 4초) 동안 클립의 종단부를 재생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한편, 재생 모드에서 동화상을 재생하고 있는 동안의 점프 지시는, 유저가 다음에 무엇을 촬영할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찾기보다는, 재생해서 감상하고 싶은 장면을 찾을 목적으로 점프를 이용한다고 상정된다. 따라서, 클립의 종단부를 수초 동안 확인하기 위한 점프는 행하지 않고, 재생 위치가 클립의 종단부에 가까운 위치일 때 점프 지시가 행해진 것이라면, 다음의 클립의 선두로 점프함으로써, 재빠른 장면 탐색을 우선하고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102 내지 스텝 S122의 처리를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REC 리뷰에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과, 다른 동화상 재생 기기에 있어서의 통상의 동화상 재생중의 재생 위치의 점프에도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감상하고 있는 동화상의 종단 부근을 재빠르게 그리고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화상의 재생에 있어서의 재생 위치의 점프에 대해 설명했지만, 시계열 데이터인 음성의 재생에 있어서의 재생 위치의 점프에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이때, 음성의 재생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도,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예와 마찬가지로, 모드가 음성의 기록 모드중에 최후에 기록한 음성을 재생하는 동작 모드인지, 재생 모드에서 음성을 재생하는 모드인지에 따라 처리를 나누는 것이 더욱 적합하다. 즉, 음성의 기록 모드에서 최후에 기록한 음성을 재생할 경우에는, 음성 클립의 최후의 수초(도 2a 및 도 2b의 예에서는 4초)는 재생되도록, 스텝 S102 내지 스텝 S122와 유사한 처리를 음성에 대해 행한다. 재생 모드에서 음성을 재생할 경우에는, 음성 클립의 종단부를 수초 동안 확인하기 위한 점프는 행하지 않고, 재생 위치가 클립의 종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 때 점프 지시가 행해진 것이라면, 다음의 클립의 선두로 점프함으로써, 재빠른 탐색을 우선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CPU(101)이 행하는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가 행해도 되고,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가 처리를 분담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을 그것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다양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형태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재생 제어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동화상과 음성 등의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전방/후방으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면 적용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전화단말이나 휴대형의 화상 뷰어,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리코더, 음성 리코더, 동화상 플레이어,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등에 적용가능하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3)

  1.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도록 구성된 지시부와,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재생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을 때,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종단부까지의 나머지 시간이 제1 기간과 제2 기간의 합계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제1 기간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합계 기간 이하이며 상기 제2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종단부 앞의 상기 제 2 기간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 재생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은 상기 제2 기간보다도 긴 재생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2 기간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를 행하는 재생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제2 기간과 같은 길이의 시간 동안 재생을 행하면 자동적으로 재생을 정지하는 재생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지시를 상기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중에 접수하는 재생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로부터 상기 재생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시작 단부까지의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제1 기간만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기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시작 단부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재생 제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장치는, 재생할 범위가 선택된 1개의 시계열 데이터에 한정되는 제1 모드, 또는 재생할 범위가 복수의 시계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합계 기간 이하이더라도,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제1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제1 기간만큼 전반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재생 제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장치는, 재생할 범위가 선택된 1개의 시계열 데이터에 한정되는 제1 모드, 또는 재생할 범위가 복수의 시계열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합계 기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재생중인 상기 시계열 데이터의 종단부, 또는 재생중인 상기 시계열 데이터 다음의 시계열 데이터의 선두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재생 제어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모드에서 행해진 재생 지시와 관련된 동작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기록된 시계열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 모드인 재생 제어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열 데이터는 동화상과 음성 중 적어도 한 개를 포함하는 재생 제어장치.
  11. 시계열 데이터의 재생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지시가 있을 때, 현재의 재생 위치부터 종단부까지의 나머지 시간이 제1 기간과 제2 기간의 합계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제1 기간만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나머지 시간이 상기 합계 기간 이하이며 상기 제2 기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상기 현재의 재생 위치를 상기 종단부 앞의 상기 제 2 기간인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제어장치의 재생 제어방법.
  12.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재생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13. 컴퓨터를 청구항 1에 기재된 재생 제어장치의 각 부로서 기능시키는,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KR1020160032458A 2015-03-30 2016-03-18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9805A JP6452519B2 (ja) 2015-03-30 2015-03-30 再生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JP-P-2015-069805 201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197A true KR20160117197A (ko) 2016-10-10
KR101984490B1 KR101984490B1 (ko) 2019-09-03

Family

ID=5566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458A KR101984490B1 (ko) 2015-03-30 2016-03-18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59904B2 (ko)
EP (1) EP3076393B1 (ko)
JP (1) JP6452519B2 (ko)
KR (1) KR101984490B1 (ko)
CN (1) CN106027940B (ko)
RU (1) RU2631262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3762B2 (ja) * 2017-03-1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508A (ja) * 1992-05-25 1993-12-10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WO2003021940A2 (en) * 2001-09-04 2003-03-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plementation of mandatory segments in multimedia content
EP1365411A2 (en) * 2002-05-24 2003-11-26 Pioneer Corporation Record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record medium playback method
EP1519577A1 (en) * 2003-09-24 2005-03-30 D & M Holdings Inc. Contents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s reproduction method
KR20060090758A (ko) * 2005-02-10 2006-08-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 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화상 기록 재생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JP2007115308A (ja) * 2005-10-18 2007-05-10 Canon Inc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US20090113501A1 (en) * 2005-12-27 2009-04-30 Takehiko Hanada Distribution Apparatus and Playback Apparatus
US20110085778A1 (en) * 2009-07-09 2011-04-14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2011259110A (ja) * 2010-06-07 2011-12-22 Panasonic Corp 動画再生方法および動画再生装置
KR20120138224A (ko) * 2011-06-13 2012-12-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재생장치
WO2013077047A1 (ja) * 2011-11-24 2013-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54B2 (ja) * 1988-10-05 1995-03-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サーチ方法
JP3208288B2 (ja) * 1995-07-26 2001-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TW318906B (ko) 1995-12-08 1997-11-01 Sony Co Ltd
JP3073485U (ja) * 2000-05-24 2000-11-3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508A (ja) * 1992-05-25 1993-12-10 Sony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WO2003021940A2 (en) * 2001-09-04 2003-03-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plementation of mandatory segments in multimedia content
EP1365411A2 (en) * 2002-05-24 2003-11-26 Pioneer Corporation Record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record medium playback method
EP1519577A1 (en) * 2003-09-24 2005-03-30 D & M Holdings Inc. Contents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contents reproduction method
KR20060090758A (ko) * 2005-02-10 2006-08-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화상 기록 장치 및 방법, 화상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화상 기록 재생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
JP2007115308A (ja) * 2005-10-18 2007-05-10 Canon Inc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US20090113501A1 (en) * 2005-12-27 2009-04-30 Takehiko Hanada Distribution Apparatus and Playback Apparatus
US20110085778A1 (en) * 2009-07-09 2011-04-14 Sony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2011259110A (ja) * 2010-06-07 2011-12-22 Panasonic Corp 動画再生方法および動画再生装置
KR20120138224A (ko) * 2011-06-13 2012-12-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재생장치
WO2013077047A1 (ja) * 2011-11-24 2013-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115439A (ja) * 2011-11-24 2013-06-10 Sharp Corp 再生装置、再生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50172738A1 (en) * 2011-11-24 2015-06-18 Sharp Kabushiki Kaisha Reproduction device,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7940A (zh) 2016-10-12
CN106027940B (zh) 2019-08-02
US9959904B2 (en) 2018-05-01
JP6452519B2 (ja) 2019-01-16
EP3076393B1 (en) 2020-01-29
JP2016189579A (ja) 2016-11-04
RU2631262C1 (ru) 2017-09-20
US20160293211A1 (en) 2016-10-06
KR101984490B1 (ko) 2019-09-03
EP3076393A1 (en)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1773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9843728B2 (en) Focus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storage medium therefor,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1712982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6442709B2 (ja) 撮像装置
US11570353B2 (en) Focus adjustment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focus adjust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60117197A (ko) 재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6220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which assists a panning shot with specific framing
US11588981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41967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7219697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6858065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973635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6189579A5 (ko)
US1127755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performs focus bracketing,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11050923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22209342A1 (ja) 撮像装置、フォーカス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9095047A (ja) 録画再生装置
JP6532354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83159B2 (ja) 撮像装置
JP2021004913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45585A (ja) 撮像装置
JP2016015654A (ja) 再生装置
JP2012191503A (ja) 画像記録装置、画像再生装置、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7336342A (ja) 撮像装置、ガイド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286686A (ja) 画像再生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