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433A -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433A
KR20120137433A KR1020127029125A KR20127029125A KR20120137433A KR 20120137433 A KR20120137433 A KR 20120137433A KR 1020127029125 A KR1020127029125 A KR 1020127029125A KR 20127029125 A KR20127029125 A KR 20127029125A KR 20120137433 A KR20120137433 A KR 20120137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chromate
chromate treatment
treatment solution
discoloration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813B1 (ko
Inventor
토모유키 마에다
사토시 토리카이
테츠야 가네코
유스케 오자키
사키코 토모나가
Original Assignee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3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5Electrochemical coating; Electrochemical impregnation
    • H01M4/0452Electrochemical coating; Electrochemical impregnation from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2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hexavalent chrom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68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solutions with pH between 6 and 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9/00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 C25D9/04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with inorganic materials
    • C25D9/08Electrolytic coating other than with metals with inorganic materials by cathod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Treatment Of Metal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Abstract

이차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수명을 개선하기 위해, 보다 내변색성이 뛰어난 음극 집전체용 동박(특히,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동박에 녹방지(防銹) 처리를 실시해 이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용 동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당해 동박을 pH가 3.5 내지 7.0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처리함으로써 당해 동박의 표면에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을 채용한다.

Description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ODUCTION OF COPPER FOIL FOR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본 발명은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용 동박에 적합한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요 휴대용 전자기기인 휴대전화, 모바일 컴퓨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등에는, 동력원으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많다. 넓은 행동 범위에서 이러한 휴대 기기를 원하는 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방전 용량이 큰 이차 전지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차 전지를 대용량화하기 위해 대형화하면, 휴대 기기의 사이즈가 커짐과 동시에 질량도 증가한다. 즉, 방전 용량과 소형 경량화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 제조사에서는 이차 전지의 질량 및 체적당 방전량을 크게 하면서, 또한, 충방전 사이클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해 왔다.
여기에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구조에 초점을 맞추면, 음극 집전체에는 압연 동박이나 전해 동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동박에는, 표면에서 전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중시해, 제조 비용이 저렴한 BTA 처리나 크로메이트 처리가 일반적으로 녹방지(防銹) 처리로서 채용되고 있다.
이들 녹방지 처리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1은 양호한 녹방지력을 가짐과 동시에 전해액 공존하에서도 필요한 밀착성을 유지하고, 나아가서는 장기간의 충방전 사이클을 가능하게 하는 이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차 전지의 전극에 이용되는 동박의 제조 방법으로서 동박 표면에 알칼리성 크로메이트욕(Chromate bath)을 이용하는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해 동박(두께: 10㎛, 후루카와서킷호일(주)(Furukawa Circuit Foil Co., Ltd.) 제품)을 무수 크롬산의 알칼리 용액(무수 크롬산: 6 g/L, 수산화 나트륨: 15 g/L, pH: 12.5, 욕온: 25℃)에 5초간 침지해, 광택면측(음극 드럼측)이 0.024 mg-Cr/dm2, 조면(粗面)측(전해욕측)이 0.018 mg-Cr/dm2인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한다. 이 크로메이트 피막을 구비하는 동박은 40℃ 90% RH 분위기에서 72시간 유지한 후 및 160℃ 10분간의 오븐 가열의 어떤 조건에서도 변색이 발생하지 않고, 1-메틸-2-피롤리돈과의 젖음성(Wettability)이나 카본 페이스트와의 밀착성도 양호하다고 되어 있다. 또한, 동일한 처리액을 이용해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한 동박에서는 내변색성이 개선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는, Li 이온 이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용 동박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적어도 한 면에서의 전기 이중층 용량의 역수(1/C)가 0.1 내지 0.3 ㎠/㎌이며, 또한 탈지 후의 압연 동박 또는 전해 제박 후에 수세?건조한 전해 동박을, 적어도 트리아졸류를 용매에 용해해 이루어지는 용액 또는 삼산화 크롬, 크롬산염, 중크롬산염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물에 용해해 이루어지는 수용액에 침지해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의 실시예에 의하면, 한 면에서의 전기 이중층 용량의 역수(1/C)가 0.1 내지 0.3 ㎠/㎌를 만족하는 크로메이트 피막이나 벤조트리아졸 피막을 갖는 동박을 음극 집전체로서 이용한 젤리롤형(jelly roll type) 구조의 비수용매 이차 전지는, 첫회 충전시의 충전량이 크고, 충방전 사이클 수명도 우수하다고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11-15865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평11-273683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이 개시하는 알칼리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동박에서는, 40℃ 90% RH 분위기에서 72시간 유지한 후에도 변색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고 있지만, 온도를 10℃ 상승시키는 것만으로 이 동박에는 심한 변색이 발생한다. 즉, 충분히 관리된 보관 환경에 두지 않는 한, 계절 요인에 의해서도 동박 표면에는 변색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변색한 동박을 음극 집전체로서 이용하면, 변색 부분에는 산화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활물질을 도포했을 때 활물질과 음극 집전체 사이에 충분한 밀착성을 얻을 수 없다. 그 결과, 이차 전지로서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활물질이 음극 집전체로부터 박리되어, 소기의 전지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크롬 수화 산화물을 주체로 하는 무기 유전체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서는, 당해 무기 유전체 피막을 형성할 때, 크로메이트 처리액의 pH가 산성 영역에서 알칼리성 영역까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1 내지 12로 설정된다고 하고 있어, 특별히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지 않다.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값은 양호한 내변색성을 갖는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특허 문헌 2에 개시하는 방법을 이용해 제조된 이차 전지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전술한 이유에 의해 소기의 전지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동박의 녹방지 처리 방법으로서 산성 크로메이트 처리법을 채용하면, 웹 형상의 동박을 연속 처리하는 중에 6가(價) 크롬이 3가(價) 크롬으로 환원되어, 크로메이트 처리액의 pH가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경우, 무수 크롬산이나 황산 등을 이용해 pH를 산성으로 유지하는 조정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황산 등을 이용해 pH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공존하는 황산 이온 등 음이온 농도 상승의 영향을 받아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워져, 내변색성이 떨어지는 녹방지 피막이 된다. 즉, 이후로도 이차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 수명 등의 개선 요구가 강해질 것을 생각하면, 보다 내변색성이 뛰어난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예의 연구한 결과, 본건 발명자들은 보다 내변색성이 뛰어난 크로메이트 피막을 동박의 표면에 형성하는 처리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은, 동박에 녹방지 처리를 실시해 이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용 동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동박을 pH가 3.5 내지 7.0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처리함으로써 동박의 표면에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는, 크롬 농도가 0.3 g/L 내지 7.2 g/L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는, 액온을 15℃ 내지 60℃로 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동박을 침지 처리 또는 전해 처리한 후에 용액을 제거하고, 30℃ 내지 150℃의 가열 공기를 이용해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 침지 처리는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0.5초 내지 10초간 동박을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 전해 처리는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침지한 동박을 음극으로 하여, 음극 전류 밀도 0.1 A/d㎡ 내지 25 A/d㎡로 0.5초 내지 10초간 전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동박을 pH가 3.5 내지 7.0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처리함으로써 당해 동박의 표면에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방지 처리 방법을 채용하면, 종래는 40℃ 90% RH 분위기에서 72시간 유지하는 것이 한계였던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내변색성을, 50℃ 95% RH 분위기에서 48시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형태: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는, 동박을 pH가 3.5 내지 7.0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처리함으로써 동박의 표면에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pH 범위로 관리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동박을 처리하면, 내변색성 등의 특성이 양호하고, 또한 편차가 작은 크로메이트 피막을 동박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가 3.5를 밑돌면, pH 조정에 이용한 황산 이온 등의 음이온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같은 음이온인 중크롬산 이온 등의 반응이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형성된 크로메이트 피막의 내변색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보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pH가 7.0을 넘으면, 6가 크롬이 중크롬산 이온의 형태로 존재하지 못하고,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기 어려운 형태, 예를 들면 크롬산 이온 등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가 6.2를 넘으면, 미량 함유되는 동 이온이 수산화동의 침전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침전이 부착된 동박 표면에는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보다 바람직한 pH는 3.5 내지 6.2이다. 또한, 내변색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는 3.5 내지 5.9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는, 크롬 농도가 0.3 g/L 내지 7.2 g/L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농도로 조정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소정 시간 동박을 처리하면, 내변색성 등의 특성이 양호하고, 또한 편차가 작은 크로메이트 피막을 동박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 중의 크롬 농도가 0.3 g/L를 밑돌면, 크로메이트 처리 시간을 아무리 길게 해도 양호한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크롬 농도의 상한은, 내변색성의 관점에서는 설정할 필요가 없지만,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 중의 크롬 농도가 7.2 g/L를 넘으면 동박 표면에 얼룩이 보이게 된다. 또한, 유해 물질인 6가 크롬의 부착량이 많아지면, 환경 부담에 대한 요구가 엄격한 용도 등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크로메이트 처리 후의 수세수의 처리나 크로메이트 처리액의 폐수 처리 등도 고려하면,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 중의 크롬 농도는 낮게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 중의 크롬 농도는 0.3 g/L 내지 1.0 g/L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에서는, 액온을 15℃ 내지 60℃로 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동박을 침지 처리 또는 전해 처리한 후에 용액을 제거하고, 30℃ 내지 150℃의 가열 공기를 이용해 건조한다.
여기에서,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과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법을 각각 이용한 경우의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는 반응계를 생각해 보자.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에서는 치환이 주반응이며,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법에서는 전해가 주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표면 특성의 면내 편차에 착안하면,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을 이용해 치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크로메이트 피막은,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법을 이용해 얻어진 크로메이트 피막에 비해, 면내 편차가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법에서는, 동박의 표면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전류 밀도 분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법에서 얻어지는 크로메이트 피막의 면내 편차가 약간이지만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형성된 크로메이트 피막이 소정 수준으로 균일하게 부착되어 있으면, 음극 집전체로서 이용했을 때 이 편차가 이차 전지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적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액온에 대해 설명한다.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에서는 치환이 주반응이기 때문에 액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치환 반응으로 형성되는 크로메이트 피막은 단분자 피막 정도로, 단분자 피막으로는 충분한 내변색성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내변색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이 단분자 피막에 대해 더 흡착된 크로메이트 피막이 필수이다. 이와 같은 흡착 상태는 저온이 될수록 안정적으로 얻어지게 되기 때문에, 저온측의 액온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액온이 15℃를 밑돌면, 동박 표면에 필수적인 단분자 피막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치환 반응이 늦어져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액온이 60℃를 웃돌면, 흡착 크로메이트 피막의 두께에 편차가 커져 안정적인 내변색성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동박을 전해 처리하는 경우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액온도 침지 처리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15℃ 내지 60℃로 함으로써,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과 공통으로 온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법에서는, 이 온도 범위를 벗어나도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동박을 침지 처리하는 경우는, 동박을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0.5초 내지 10초간 침지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동박에 0.5초 내지 10초간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후에 용액을 제거하면, 동박의 표면에는 금속 크롬 환산의 질량 두께로 1.0 ㎎/㎡ 내지 3.9 ㎎/㎡의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어 양호한 내변색성을 발휘한다. 그러나, 동박을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침지하는 시간이 0.5초를 밑돌면, 동박 표면에서 치환 반응이 불충분한 부위가 보일 수 있어, 국부적으로 내변색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동박을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침지하는 시간이 10초를 넘어도, 그 이상 내변색성을 개선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동박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비용도 상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침지한 동박을 용액 제거하는 방법인데, 전술한 바와 같이,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으로 형성한 크로메이트 피막은 단분자 피막 레벨의 박막에 크로메이트층이 흡착한 형태이다. 따라서, 기계적인 마찰이 발생하면 크로메이트 피막이 박리한다. 따라서, 용액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에어 블로우법 등 동박과의 기계적인 접촉 없이 균일하게 용액을 제거하는 방법이나, 동박과 접촉해도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방법을 채용한다. 한편, 전술한 금속 크롬 환산의 질량 두께는, 이와 같은 용액 제거 방법을 이용한 경우의 값이지만, 크로메이트 처리 공정 후에 수세 공정을 마련해도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기해 둔다.
그리고, 동박을 전해 처리하는 경우는,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침지한 동박을 음극으로 하여, 음극 전류 밀도 0.1 A/d㎡ 내지 25 A/d㎡, 전해 시간 0.5초 내지 10초간 전해한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동박에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면,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박의 표면에는 금속 크롬 환산의 질량 두께로 1.0 ㎎/㎡ 내지 3.9 ㎎/㎡의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어, 양호한 내변색성을 발휘한다. 그러나, 동박을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하는 시간이 0.5초를 밑돌면, 동박 표면에 균일한 전해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어, 국부적으로 내변색성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동박을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하는 시간이 10초를 넘어도, 균일한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효과는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그 이상 내변색성을 개선할 수 없다. 따라서, 동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음극 전류 밀도에 대해서는, 0.1 A/d㎡를 밑돌면, 동박의 표면 전위 분포에 편차가 발생하여 균일한 크로메이트 피막을 얻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음극 전류 밀도가 25 A/d㎡를 넘으면, 동박 표면으로부터 수소의 발생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수소 가스가 동박 표면에 부착하면, 동박 표면에 균일한 크로메이트 피막이 형성되는 것이 저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안정적인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0.5 A/d㎡ 내지 5.0 A/d㎡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방법을 이용해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한 동박은, 30℃ 내지 150℃의 가열 공기를 이용해 건조한다.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이나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법으로 동박 표면에 형성한 크로메이트 피막은, 모두 수산기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그대로의 형태에서는 내변색성을 발휘하는 것이 곤란한 피막이다. 그러나, 건조에 의해 크로메이트 피막이 포함한 수산기를 분해해 물로서 증발시켜 적정량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크로메이트 피막으로 한다면, 내변색성 등의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런데, 건조 공정에서는, 원적외선 등을 조사해 물 분자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 증발시키는 방법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건조 방법을 채용한 경우, 동박은 원적외선을 반사하기 때문에 동박 표면, 즉 크로메이트 피막의 온도를 관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열 공기를 동박에 불어 건조시킨다. 가열 공기를 이용하면 동박과 크로메이트 피막 사이의 열전도에 의해 확실하게 가열된다. 동시에, 동박의 온도가 가열 공기의 온도보다 높아지지 않고, 가열에 의한 동박 물성의 변화도 일으키기 힘들기 때문에, 가열 공기를 이용하는 건조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열 공기의 온도가 30℃를 밑돌면, 건조 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수산기의 분해가 불충분하게 되어, 내변색성이 양호한 크로메이트 피막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가열 공기의 온도가 150℃를 넘으면, 단시간의 건조로도 크로메이트 피막이 함유한 수산기의 분해가 과잉이 되어, 크로메이트 피막에는 많은 균열(crack)이 발생한다. 그 결과, 크로메이트 피막에 의한 동박의 피복이 불충분하게 되어, 크로메이트 피막이 녹방지 피막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크로메이트 피막을 갖는 동박을 100℃ 부근의 온도에서 장시간 유지하면, 크로메이트 피막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동박을 30℃ 내지 70℃의 가열 공기를 이용해 건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동박에 부착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수세하고 나서 건조한다. 수세하면,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이 함유하는 음이온이나 양이온이 동박 표면에 잔류하지 않아 내변색성의 개선에 보다 크게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을 이용해 제조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내변색성은, 전해 동박의 드럼면에서 평가한다. 드럼면이라면 마이크로 레벨의 표면 형상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에 형성한 크로메이트 피막의 비교 평가가 용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도 기재하는 바와 같이, 항온항습 처리(50℃ 95% RH 분위기 중에 48시간 유지) 전후의 광택도(Gs(60°))를 드럼면의 폭 방향에서 측정해, 이하의 수학식 1로 나타내는, 항온항습 처리 전의 광택도(Gs-A)와 항온항습 처리 후의 광택도(Gs-EH)의 차이를 나타내는 ΔGs(광택도차)의 값이 20 이하이면, 내변색성이 양호하다고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평가 방법에 의하면, 특허 문헌 1이 개시하는 발명에서 제작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으로서 후술하는 비교예 4의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ΔGs(광택도차)의 값은 63.7이며, 실시예의 ΔGs(광택도차)의 값은 20 이하이기 때문에, 이 범위이면 내변색성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을 이용해 제조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내변색성은, 항온항습 처리 전후의 드럼면의 색조(L*/a*/b*)를 측정해, 이하의 수학식 2에 나타내는 각 지표의 차이의 제곱합의 제곱근인 색차의 값이 2.0 이하이면, 내변색성이 양호하다고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평가 방법에 의하면, 비교예 4의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색차의 값이 18.0이고, 실시예의 색차의 값이 2.0 이하이기 때문에, 이 범위이면 내변색성이 뛰어나다고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제작]
실시예 1에서는, 무수 크롬산을 이온 교환수에 용해해 크롬 농도 0.6 g/L의 크롬산 용액을 조제하고, 가성 소다를 이용해 pH를 5.7로 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조제했다.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는 동박으로는 8㎛ 두께의 미처리 전해 동박(DFF: 미쓰이금속광업(三井金屬鑛業)(주) 제품)을 이용해 황산 100 g/L 수용액에 30초간 침지해 산세한 후, 이온 교환수에 30초간 침지해 수세했다. 크로메이트 처리에서는, 유리 비커 내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액온을 40℃로 하여 천천히 교반해, 동박을 3초간 침지한 후 용액을 제거하고, 온도 70℃의 가열 공기에서 3초간 건조해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했다. 전술한 시험 조건을,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 2 내지 9와 비교예 1 내지 5 및 참고예의 시험 조건과 함께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내변색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은, 항온항습 처리(50℃ 95% RH로 설정한 항온항습조에서 48시간 유지) 전후에서의 드럼면 폭 방향의 광택도 Gs(60°)를 광택도계(VG-2000: 니혼덴쇼쿠코교(日本電色工業)(주) 제품)로 측정하고, 색조 L*/a*/b*를 색차계(SE-2000: 니혼덴쇼쿠코교(주) 제품)로 측정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예 2 내지 9과 비교예 1 내지 5 및 참고예의 평가 결과와 함께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 조제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를 4.5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에서 조제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를 6.2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1에서 조제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크롬 농도를 0.3 g/L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서는, 가열 공기의 온도를 100℃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3에서 조제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황산을 첨가해 pH를 5.7로 조정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서는, 실시예 1에서 조제한 액온 40℃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치수 안정성 양극(DSA)을 대극으로 하여 동박을 음극 전류 밀도 1.0 A/d㎡로 1.5초간 전해한 후에 수세해 용액을 제거하고, 온도 70℃의 가열 공기에서 3초간 건조해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했다. 실시예 7에서 제작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서는, 실시예 2에서 조제한 액온 40℃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서는, 실시예 3에서 조제한 액온 40℃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에서 조제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를 7.2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크롬 농도를 3.6 g/L로 하고, pH가 6.5가 되도록 조제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황산을 첨가해 pH를 3.2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서는, 크롬 농도를 3.6g/L로 하고, pH를 12.5로 조정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비교예 4에서는, 특허 문헌 1의 실시예 1을 추적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비교예 5에서는, 후술하는 참고예에서 조제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복수 매의 동박에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고, pH가 3.0이 된 단계에서 황산을 첨가해 pH를 1.3으로 재조정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참고예]
참고예에서는, 크롬 농도가 3.6 g/L이고 pH가 1.3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작해 내변색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와 비교예의 대비]
ΔGs(광택도차):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5를 대비하면, 실시예의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에서의 ΔGs(광택도차)의 값은 0.3 내지 4.6이며, 비교예의 21.6 내지 67.1과 대비하면 1/10 수준이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6은,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한 동박이지만, ΔGs(광택도차)의 값이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한 동박인 실시예 7 내지 9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양호하다.
색차: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5를 대비하면, 실시예의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에서의 색차의 값은 0.45 내지 1.62이며, 비교예의 색차의 값 2.30 내지 18.7의 1/2 이하의 수준이다. 여기에서, 실시예 1 내지 6의 색차의 값은 모두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2.0 이하인 것에 대해, 비교예 4의 색차의 값은 18.0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특허 문헌 1의 실시예를 추적해 제작한 비교예 4는, 40℃ 90% RH로 설정한 항온항습조에서 72시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이라도, 50℃ 95% RH로 설정한 항온항습조에서 48시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6은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한 동박이지만, 색차의 값이 전해 크로메이트 처리한 동박인 실시예 7 내지 9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양호하다.
[참고예와 비교예 5의 대비]
참고예에서 제작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에서는, ΔGs(광택도차)의 값이 0.6, 색차의 값이 1.79로서, 실시예에서 제작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과 같은 수준의 내변색성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비교예 5에서 제작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에서는, ΔGs(광택도차)의 값이 52.7, 색차의 값이 15.4로서, 명백히 내변색성이 떨어지는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이 되어 있다.
따라서, 참고예와 비교예 5 사이에 내변색성에 큰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고찰해 본다. 비교예 5에서 이용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은, 참고예에서 이용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가 반복되는 크로메이트 처리에 의해 상승한 다음, 황산을 이용해 pH를 1.3으로 재조정하고 있다. 즉, 비교예 5에서 이용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은, 참고예에서 이용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과 비교하면, pH 조정에 이용한 황산 이온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소정 레벨의 농도로 존재하는 황산 이온은 안정적인 크로메이트 피막의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산성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하는 침지 크로메이트 처리법에서는, 황산 등을 이용해 pH 조정을 하면서 동박의 크로메이트 처리를 행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황산 이온 농도가 어느 레벨에 도달한 시점에서 양호한 크로메이트 처리 피막의 형성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갱신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내변색성을 갖는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안정적인 생산 자체가 곤란하게 되는 것도 분명하다.
전술한 바로부터, 실시예의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고온 다습 분위기에서의 내변색성은, 비교예 4에서 제작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로 제작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과 비교하면, 분명하게 다른 수준으로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pH측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대비하면,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가 4.5에서 3.2가 된 것만으로 내변색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한편, 높은 pH측의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한 실시예 3과 비교예 1을 비교하면,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가 6.2에서 7.2가 된 것만으로 내변색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pH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1 내지 12의 범위로 하는 것 만으로는 불충분하고, 3.5 내지 7.0으로 하는 것이, 양호한 내변색성을 갖는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조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H가 3.5를 밑도는 영역에서는, 소정 농도로 공존하는 황산 이온이 양호한 크로메이트 피막의 형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동박의 제조 방법을 채용하면,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의 크롬 농도가 낮아도 내변색성이 뛰어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메이트 처리 동박의 제조에 필요한 6가 크롬량도 적어도 되고, 이후로도 규제가 엄격해질 유해물의 관리도 용이해지기 때문에,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에 한정하지 않고, 보다 광범위한 용도에서의 동박의 표면 처리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동박에 녹방지 처리를 실시해 이차 전지의 음극 집전체용 동박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동박을 pH가 3.5 내지 7.0인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처리함으로써 당해 동박의 표면에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크롬 농도가 0.3 g/L 내지 7.2 g/L인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온을 15℃ 내지 60℃로 한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을 이용해 상기 동박을 침지 처리 또는 전해 처리한 후에 용액을 제거하고, 30℃ 내지 150℃의 가열 공기를 이용해 건조시키는 동박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 처리는,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0.5초 내지 10초간 동박을 침지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처리는, 상기 크로메이트 처리 용액에 침지한 동박을 음극으로 하여, 음극 전류 밀도 0.1 A/d㎡ 내지 25 A/d㎡로 0.5초 내지 10초간 전해하는 동박의 제조 방법.
KR1020127029125A 2010-06-30 2011-06-29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 KR101520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50115 2010-06-30
JP2010150115 2010-06-30
PCT/JP2011/064888 WO2012002418A1 (ja) 2010-06-30 2011-06-29 負極集電体用銅箔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433A true KR20120137433A (ko) 2012-12-20
KR101520813B1 KR101520813B1 (ko) 2015-05-15

Family

ID=4540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125A KR101520813B1 (ko) 2010-06-30 2011-06-29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306486A1 (ko)
JP (1) JP5898616B2 (ko)
KR (1) KR101520813B1 (ko)
CN (1) CN102933746B (ko)
TW (1) TWI530586B (ko)
WO (1) WO20120024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1332B2 (ja) * 2012-11-13 2016-11-24 Jx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それを用いた積層体、プリント配線板、電子部品及び表面処理銅箔の製造方法
CN103441283A (zh) * 2013-06-26 2013-12-11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集流体结构及包含该结构的电池
TWI539032B (zh) 2013-08-01 2016-06-21 Chang Chun Petrochemical Co Electrolytic copper foil, cleaning fluid composition and cleaning copper foil method
TWI616122B (zh) 2014-05-28 2018-02-21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表面處理銅箔、附載體銅箔、積層體、印刷配線板、電子機器、表面處理銅箔的製造方法及印刷配線板的製造方法
CN105810949A (zh) * 2016-05-25 2016-07-27 江苏深苏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比表面积集流体的制备方法
KR20180054985A (ko) * 2016-11-15 2018-05-25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말림이 최소화된 전해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473030B1 (ko) 2017-08-30 2022-11-30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전해동박,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용량 Li 이차전지용 음극
CN107761139A (zh) * 2017-11-30 2018-03-06 烟台晨煜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铜箔表面防氧化处理的镀铬液及工艺
JP7251927B2 (ja) * 2018-06-05 2023-04-04 Jx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銅張積層板及びプリント配線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7288A (en) * 1964-03-31 Process for coating zinc and zinc-iron
US3053691A (en) * 1958-01-29 1962-09-11 Allied Res Products Inc Protective coating
JPH0635666B2 (ja) * 1984-01-21 1994-05-11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金属材の塗装前処理方法
US4719038A (en) * 1983-12-27 1988-01-12 Nippon Paint Co., Ltd. Corrosion resistant, coated metal laminate, its preparation and coating materials
JPH0614590B2 (ja) * 1987-07-07 1994-02-23 日本電解株式会社 プリント回路用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33467B2 (ja) * 1989-05-02 1994-05-02 日紘グールド・フォイル株式会社 圧延銅箔の表面処理方法
ATE186443T1 (de) * 1995-07-20 1999-11-15 Circuit Foil Luxembourg Trading Sarl Kupferfolie für gedruckte schaltung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H11158652A (ja) * 1997-11-25 1999-06-15 Furukawa Circuit Foil Kk 二次電池用電極材料の製造方法
US6306215B1 (en) * 1998-03-10 2001-10-23 Valence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coating current collectors
JP3581784B2 (ja) * 1998-03-19 2004-10-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非水溶媒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
JP3032514B1 (ja) * 1998-12-14 2000-04-17 株式会社日鉱マテリアルズ 光沢面の耐酸化性に優れた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34318A1 (en) * 2003-01-28 2006-06-22 Alan Hudd Method of forming a conductive metal region on a substrate
US8435603B2 (en) * 2003-12-05 2013-05-07 Conductive Inkjet Technology Limited Formation of solid layers on substrates
WO2006137240A1 (ja) * 2005-06-23 2006-12-28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
JP2007332418A (ja) * 2006-06-15 2007-12-27 Fukuda Metal Foil & Powder Co Ltd 表面処理銅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33746B (zh) 2017-10-13
WO2012002418A1 (ja) 2012-01-05
CN102933746A (zh) 2013-02-13
TW201211310A (en) 2012-03-16
TWI530586B (zh) 2016-04-21
US20130306486A1 (en) 2013-11-21
JP5898616B2 (ja) 2016-04-06
KR101520813B1 (ko) 2015-05-15
JPWO2012002418A1 (ja)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813B1 (ko) 음극 집전체용 동박의 제조 방법
Xu et al. Ultra‐fast and scalable saline immersion strategy enabling uniform Zn nucleation and deposition for high‐performance Zn‐ion batteries
KR101612334B1 (ko) 전해질성 구리 호일, 세정 유체 조성물, 및 구리 호일을 세정하는 방법
CN101777432A (zh) 特高压铝电解电容器用阳极箔的化成工艺
WO2013062026A1 (ja) 多孔アルミニウム箔の製造方法、多孔アルミニウム箔、蓄電デバイス用正極集電体、蓄電デバイス用電極、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2011241457A (ja) 高耐食性を有する金属多孔体
Oury et al. Oxygen evolution on alpha-lead dioxide electrodes in methanesulfonic acid
US2079516A (en) Aluminum electrode and method of preparing
TW201340150A (zh) 固體電解電容器及其製造方法
CN102800483A (zh) 降低低压化成箔漏电流的化成处理方法
JP2011134651A (ja) 非水溶媒二次電池負極集電体用銅箔その製造方法及び非水溶媒二次電池負極電極の製造方法
CN103258649A (zh) 提高低压化成箔耐水性的化成处理方法
CN111225997B (zh) 铝箔及电极用铝部件
KR101336443B1 (ko) 고내식성 마그네슘 합금 산화피막의 제조방법
CN103762081A (zh) 一种铝基强诱电体薄膜的制造方法
CN109791850B (zh) 电极用铝部件及电极用铝部件的制造方法
KR101122630B1 (ko)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오산화바나듐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너지 저장능력이 향상된 오산화바나듐 박막
WO2022054597A1 (ja) 電解銅箔、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Zhang et al. Highly efficient lithium composite anode with hydrophobic molten salt in seawater
Bu et al. A Green Conversion Coating on a Magnesium Alloy for Corrosion Protection
KR102002801B1 (ko) 내식성 향상을 위한 리드 탭의 무크롬 표면처리방법
KR102534518B1 (ko) 알루미늄박, 알루미늄박의 제조 방법, 집전체, 리튬 이온 커패시터, 및, 리튬 이온 배터리
JP4460055B2 (ja) リチウム2次電池電極用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該銅箔を用いたリチウム2次電池用電極およびリチウム2次電池
Shang et al. Corrosion resistance and molecular dynamics behavior of the MAO/SAM composite coatings on magnesium alloy
Guo et al. Kinetics Conditioning of (Electro) Chemically Stable Zn Anode with pH Regulation Toward Long‐Life Zn‐Storag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