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831A -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 Google Patents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831A
KR20120129831A KR1020120053174A KR20120053174A KR20120129831A KR 20120129831 A KR20120129831 A KR 20120129831A KR 1020120053174 A KR1020120053174 A KR 1020120053174A KR 20120053174 A KR20120053174 A KR 20120053174A KR 20120129831 A KR20120129831 A KR 20120129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nd
electric vehicle
cab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8444B1 (ko
Inventor
마사시 다나카
아키라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2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 가능한 전원 공급부의 수를 줄이는 일 없이 충전 케이블의 일부를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는 상자형의 스탠드 본체(1)와, 스탠드 본체(1)내에 수납되어 전기 차량에의 급전로로 되는 충전 케이블(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2) 및 콘센트 유닛(3)을 구비하고, 충전 케이블(4)은 전기 케이블(41)과, 충전 건(40)을 갖고, 스탠드 본체(1)는 충전 케이블(4) 중 전기 케이블(41) 이외의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충전 건(40)을 유지하는 홀더(5)를 우측면에 구비하고, 홀더(5)는 전기 케이블(41)을 감아 유지하는 감기부(55)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은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동 이륜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 등과 같이, 전기를 주동력으로 해서 주행하는 기능을 갖는 차량(이하,「전기 차량」이라 함)이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전기 차량의 보급에 맞춰, 전기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이차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탠드의 제공도 개시되기 시작하고 있다. 종래의 충전 스탠드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내부에 복수의 수납 공간을 갖고 전기 자동차를 주차하는 지면에 세워 마련되는 스탠드 본체와, 콘센트를 유지하여 스탠드 본체의 수납 공간내에 수납되는 하우징체를 구비한 콘센트 유닛을 구비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스탠드이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0-277855호
그런데, 상기 종래 예와 같은 충전 스탠드에서는 전기 차량에의 급전로로 되는 충전 케이블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기 케이블을 스탠드 본체내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2개의 수납 공간에 걸치는 수납용의 유닛을 스탠드 본체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기 케이블 이외에도, 전기 케이블의 일단에 마련되어 전기 차량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충전 건(충전 접속부)도 스탠드 본체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역시 상기와 같은 수납용의 유닛을 스탠드 본체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충전 스탠드에서는 전기 케이블이나 충전 건과 같은 충전 케이블의 일부, 특히 충전 건과 같은 중량이 있는 부분을 스탠드 본체에 수납(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스탠드 본체내의 비어 있는 스페이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콘센트 유닛과 같이 충전 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의 수납 가능한 수가 줄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납 가능한 전원 공급부의 수를 줄이지 않고 충전 케이블의 일부를 유지할 수 있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는 상자형의 스탠드 본체와, 상기 스탠드 본체내에 수납되어 전기 차량에의 급전로로 되는 충전 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의 전기 케이블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기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전기 차량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충전 접속부를 갖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접속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케이블을 감아 유지하는 감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감기부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기 케이블에 마련되어 상기 전기 차량에의 급전을 제어하는 충전 회로 차단 장치를 갖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회로 차단 장치를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납 가능한 전원 공급부의 수를 줄이지 않고 충전 케이블의 일부를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충전 건을 유지한 상태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c)는 충전 건을 떼어낸 상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의 (a)?(e)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전원 유닛의 개략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콘센트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도어체를 연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 5의 (a)?(c)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에 있어서의 충전 건의 유지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하나의 충전 건 홀더를 마련한 경우의 정면도이고, (b)는 복수의 충전 건 홀더를 마련한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a)의 주요부 확대도이며, (c)는 사시도이고, (d)는 (c)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에서 이용되는 충전 케이블의 개략 블럭도이다.
도 9의 (a)?(d)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에 관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실시형태 1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히 단정하지 않는 한은 도 2의 (a)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를 상하 좌우 방향, 지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을 전방향, 지면 안쪽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후방향으로 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의 (a), 도 2, 도 6의 (b)에 있어서는 전기 케이블(41)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자형의 스탠드 본체(1)와, 스탠드 본체(1)내에 수납되어 전기 차량(도시하지 않음)에의 급전로로 되는 충전 케이블(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전원 공급부)(2) 및 콘센트 유닛(전원 공급부)(3)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충전 케이블(4) 중 전기 케이블(41)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을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후술하는 충전 건(40)을 유지하는 홀더(5)를 스탠드 본체(1)의 우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또, 「충전 케이블(4) 중 전기 케이블(41) 이외의 부분」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충전 건(40)이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충전 회로 차단 장치(이하,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라 함)(43) 등의, 전기 케이블(41) 이외의 특히 중량이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스탠드 본체(1)는 도 2의 (a)?(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직사각형판형상으로 형성된 3개의 금속판(좌측판(10), 우측판(11), 배면판(12))을 조립함으로써, 전면 및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탠드 본체(1)의 최상부에는 원환형상의 형광 램프(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고, 아크릴 수지 등의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램프 커버(13)가 스탠드 본체(1)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해당 형광 램프를 덮고 있다. 또, 형광 램프는 스탠드 본체(1)내에 수납되는 점등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시각이나 주위의 밝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점등/소등된다.
또한, 스탠드 본체(1)의 전면에 있어서의 최상부와 최하부에는 각각 직사각형판형상의 상부 패널(1A)과 하부 패널(1B)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탠드 본체(1)내에 있어서, 상부 패널(1A)의 하단에서 하부 패널(1B)의 상단까지의 공간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수납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상하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의 2개의 수납 공간에 각각 전원 유닛(2), 콘센트 유닛(3)이 수납되어 있고, 하측의 2개의 수납 공간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스탠드 본체(1)의 전면에 있어서의 사용하고 있지 않은 2개의 수납 공간과 대응하는 부위에는 각각 직사각형판 형상의 중간 패널(1C)이 부착되어 있다.
충전 케이블(4)은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선과 통신선을 포함하는 코어가 많은 전기 케이블(41)과, 전기 케이블(41)의 일단에 마련되어 전기 차량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충전 건(충전 접속부)(40)으로 구성된다. 전기 케이블(41)의 타단은 후술하는 전원 유닛(2)에 마련된 충전 회로 차단 장치(200)의 접속 단자대(202)에 접속되어 있다.
충전 건(40)은 도 5의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차량의 충전구(받이측의 커넥터)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커넥터부(40D)를 갖는 것으로서, 작업자(운전자)가 들기 쉽도록 통형상의 그립(40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립(40A)의 후단(도 5의 (b)에 있어서의 하단)으로부터는 전기 케이블(41)이 인출되고 있다. 또, 커넥터부(40D)에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후술하는 홀더(5)의 홈(53B)에 끼워 맞추는 돌기부(40E)가 아래방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충전 건(40)의 선단부에는 전기 차량의 충전구에 접속되었을 때에, 해당 충전구의 주위에 형성된 피걸림부(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는 걸림 발톱(40C)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립(40A)에는 누름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40B)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조작부(40B)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걸림 발톱(40C)을 피걸림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건(40)을 전기 차량의 충전구에 접속했을 때에, 피걸림부에 걸림 발톱(40C)이 걸어 맞춰짐으로써 충전 건(4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 유닛(2)은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체(도시하지 않음)와, 하우징체의 개구를 덮는 덮개(20)를 구비한다. 또, 덮개(20)에는 하우징체 내부로부터 전기 케이블(41)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 구멍(20A)이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체의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차량과의 접속 상태의 검출이나 누전 검출, 이상시에 전기 차량-전원간의 급전로의 차단을 실행하는 충전 회로 차단 장치(CCID)(200)가 마련되어 있다. CCID(200)는 2개의 접속 단자대(201, 202)와, 제어 회로(203)와, 릴레이(204)를 갖고 있다. 한쪽의 접속 단자대(201)는 외부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 급전선의 일단과 접속되고, 다른쪽의 접속 단자대(202)는 전기 케이블(41)의 타단과 접속된다. 릴레이(204)는 릴레이 접점(204A)과 여자 코일(204B)로 구성된다. 그리고, 릴레이(204)에서는 제어 회로(203)가 여자 코일(204B)에 여자 전류가 흐르게 하고 있는 동안만 릴레이 접점(204A)이 닫히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각 접속 단자대(201, 202)를 거쳐서 전기 케이블(41)에 급전된다. 제어 회로(203)는 마이크로 컴퓨터나 메모리를 주된 구성요소로 하고, 전기 케이블(41)의 통신선을 거쳐 전기 차량과 통신하는 통신 기능이나, 상술한 릴레이(204)에 의한 제어 기능 등을 실현한다.
이하, CCID(200)의 동작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충전 건(40)이 전기 차량의 충전구에 접속되고, 전기 차량으로부터 통신선을 거쳐 송신되어 오는 신호(충전 개시를 알리는 CPLT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회로(203)는 여자 코일(204B)에 여자 전류가 흐르게 하여, 릴레이 접점(204A)을 닫는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케이블(41), 충전 건(40)을 거쳐 전기 차량에 급전되고, 충전이 개시된다. 다음에, 전기 차량의 이차전지의 충전이 종료하고, 전기 차량으로부터 통신선을 거쳐 송신되어 오는 신호(충전 종료를 알리는 CPLT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회로(203)는 여자 코일(204B)에 여자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릴레이 접점(204A)을 연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케이블(41), 충전 건(40)을 거친 전기 차량에의 급전이 정지되고, 충전이 종료한다.
또, 제어 회로(203)가 구비하는 기능은 상기와 같은 충전 개시 및 충전 종료의 검출에 의한 전로(電路)의 도통, 차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기 케이블(41)의 누전을 검출해서 전기 회로를 차단하는 누전 검출 기능이나, 전기 케이블(41)이 접속되는 전기 차량을 식별해서 충전을 실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식별 기능 등을 제어 회로(203)가 구비해도 좋다.
콘센트 유닛(3)은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 창(31A)을 갖는 상자형의 하우징체(31)와, 하우징체(31)내에 유지되는 콘센트 블럭(32)과, 개구 창(31A)을 개폐 자유롭게 막는 도어체(30)를 구비한다. 또, 콘센트 유닛(3)은 전원 유닛(2)과는 달리, 그 내부에는 CCID(200)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콘센트 유닛(3)은 전원 유닛(2)과는 달리, 전기 케이블(41)의 타단이 미리 급전선을 거쳐 외부 전원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콘센트 유닛(3)에서는 전기 케이블(41)의 전원 플러그(42)(도 8 참조)를 후술하는 콘센트(32C)에 꽂음으로써, 전기 케이블(41)이 급전선을 거쳐 외부 전원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도어체(30)는 편평한 직사각형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좌단부는 힌지부(30C)에 의해서 하우징체(31) 전면의 좌단부에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체(30)는 개구 창(31A)을 막는 닫힘 위치와 개구 창(31A)을 개방하는 열림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도어체(30)에는 잠금 장치(30A)가 부착되어 있고,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장치(30A)에 의해서 도어체(30)가 잠겨진다. 또, 도어체(30)의 우측 하부 코너부에는 하우징체(31) 내부로부터 전기 케이블(41)을 인출하기 위한 절결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콘센트 블럭(32)은 콘센트(32C)와, 콘센트(32C)의 삽입구에 대향하는 둥근 구멍(32B)을 갖고 해당 콘센트(32C)를 유지하는 콘센트 패널(32A)과, 콘센트 패널(32A)의 둥근 구멍(32B)을 개폐 자유롭게 막는 콘센트 커버(32D)를 구비한다.
또한, 콘센트 유닛(3)에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 록 스위치(33)와 릴레이(34)로 이루어지는 인터 록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릴레이(34)는 릴레이 접점(34A)과 여자 코일(34B)로 구성되고, 인터 록 스위치(33)가 온된 경우만 여자 코일(34B)을 통전시켜 릴레이 접점(34A)을 닫고, 콘센트(32C)를 급전선에 도통시킨다. 즉, 인터 록 장치에 의해서, 도어체(30)가 닫힘 위치에 없을 때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콘센트(32C)에의 급전로가 차단되고, 도어체(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만 외부 전원으로부터 콘센트(32C)에의 급전로를 도통상태로 한다.
이 인터 록 장치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체(30)의 후면으로부터 뒷방향으로 돌출된 구동편(33A)에 의해서 누름 구동되는 액추에이터(33B)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도어체(3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에만, 액추에이터(33B)가 구동편(33A)에 의해서 누름 구동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콘센트(32C)에의 급전로가 닫힌다. 또한, 도어체(30)가 닫힘 위치에 없을 때에는 액추에이터(33B)가 구동편(33A)에 의해서 누름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콘센트(32C)에의 급전로는 차단된다.
홀더(5)는 도 5의 (a),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상의 부위와 반원통형상의 부위를 일체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홀더 본체(50)를 구비하고, 그 도 5의 (a)에 있어서의 지면 바로 앞쪽측의 면, 및 하면의 일부는 개구되어 있다. 홀더 본체(50)의 도 5의 (a)에 있어서의 지면 바로 앞쪽측, 및 지면안쪽측의 단부에는 각각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윗방향으로 돌출된 직사각형판형상의 제 1 플랜지(51) 및 제 2 플랜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5의 (c) 참조). 이 제 2 플랜지(52)를 예를 들면 나사 고정 등의 수단에 의해서 스탠드 본체(1)의 우측판(11)에 고정시킴으로써, 홀더(5)가 스탠드 본체(1)의 우측면에 부착된다. 또한, 이들 각 플랜지(51, 52)와, 홀더 본체(50)에 있어서의 반원통형상의 부위에, 전기 케이블(41)의 여분의 길이를 두루 감아 감기 유지하는 감기부(55)를 구성하고 있다.
홀더 본체(50)는 중공이며, 그 내부는 충전 건(40)의 선단부가 수납되는 수납 오목부(50A)를 구성하고 있다. 홀더 본체(50)의 수납 오목부(50A)의 내부에는 충전 건(40)의 커넥터부(40D)를 유지하기 위한 통부(53)가 마련되어 있다. 통부(53)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50) 내부의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된 1쌍의 봉형상의 지주(54)에 의해서 공중에 매달려 고정되어 있다. 통부(53) 내측의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하측의 부위에는 충전 건(40)의 돌기부(40E)가 끼워 맞춰지는 홈(53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통부(53) 외측의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위에는 충전 건(40)의 걸림 발톱(40C)이 걸리는 걸림 돌기(5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돌기(53A)는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아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경사면이 충전 건(40)의 걸림 발톱(40C)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충전 건(40)을 홀더(5)에 유지시키는 방법에 대해 도 5의 (c)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부(40D)의 돌기부(40E)를 통부(53)의 홈(53B)에 끼워 맞출 수 있도록 충전 건(40)의 위치 맞춤을 실행하고, 충전 건(40)의 선단부를 통부(53)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걸림 발톱(40C)이 걸림 돌기(53A)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윗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충전 건(40)을 더욱 밀어 넣으면, 걸림 발톱(40C)이 걸림 돌기(53A)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걸림 돌기(53A)에 걸린다. 이에 따라, 충전 건(40)을 홀더(5)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41)의 여분의 길이를 감기부(55)에 두루 감음으로써, 전기 케이블(41)을 홀더(5)에 감아 유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케이블(41)을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스탠드 본체(1) 내부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납 가능한 전원 유닛(2) 및 콘센트 유닛(3)의 수를 줄이는 일 없이 전기 케이블(41)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충전 건(40)을 홀더(5)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조작부(40B)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걸림 발톱(40C)을 도 5의 (c)에 있어서의 윗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걸림 돌기(53A)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면 좋다. 그리고, 조작부(40B)를 누름 조작한 상태에서 충전 건(40)을 통부(53)로부터 빼냄으로써, 충전 건(40)을 홀더(5)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충전 건(40) 및 전기 케이블(41)로 구성되는 충전 케이블(4)의 일부를 스탠드 본체(1)의 외측부에 설치한 홀더(5)에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케이블(4)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스탠드 본체(1) 내부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납 가능한 전원 유닛(2) 및 콘센트 유닛(3)의 수를 줄이는 일 없이 충전 케이블(4)의 일부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전원 유닛(2)과 같이 CCID(200)를 내장한 전원 공급부를 스탠드 본체(1)에 수납하는 경우에는 CCID(200)를 내장하기 위해 스페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충전 케이블(4)의 일부를 수납하는 스페이스가 제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원 유닛(2)을 스탠드 본체(1)에 수납하는 경우에도, 수납 가능한 전원 유닛(2)의 수를 줄이는 일 없이 충전 케이블(4)의 일부를 스탠드 본체(1)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유닛(2)에 충전 케이블(4)의 일부를 유지시키는 구조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원 유닛(2)의 제품단가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홀더(5)의 수는 상기와 같이 1개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유닛(2)의 수에 따라 복수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탠드 본체(1)가 전원 유닛(2)을 4개 구비하는 경우이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탠드 본체(1)의 좌우 측면의 각각에 2개씩 홀더(5)를 설치하면 좋다. 물론, 홀더(5)를 설치하는 개소는 스탠드 본체(1)의 좌우 측면에 한정되지 않고, 스탠드 본체(1)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기부(55)를 홀더(5)와 일체로 마련하고 있지만, 감기부(55)를 홀더(5)와는 별체로 마련해도 좋다. 물론, 사용하는 전기 케이블(41)이 감기 유지를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짧은 경우에는 감기부(55)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의 실시형태 2에 대해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공통이므로, 공통된 부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는 CCID(200)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콘센트 유닛(3)을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며, 본 실시형태의 충전 케이블(4)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건(40)과, 전기 케이블(41)과, 전원 플러그(42)와, CCID(43)로 구성된다. CCID(43)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상의 장치 본체(430)를 구비하고, 장치 본체(430)의 내부에, 2개의 접속 단자대(201, 202), 제어 회로(203), 릴레이(204)를 수납하고 있다. 즉, CCID(43)의 구성은 장치 본체(430)를 제외하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CCID(200)의 구성과 동일하다.
CCID(43)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41)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CCID(43)의 한쪽의 접속 단자대(201)에는 전기 케이블(41)을 거쳐서 전원 플러그(42)가 접속되어 있고, 다른쪽의 접속 단자대(202)에는 전기 케이블(41)을 거쳐서 충전 건(40)이 접속되어 있다.
콘센트 유닛(3)을 이용해서 전기 차량의 충전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전원 플러그(42)를 콘센트 유닛(3)내의 콘센트(32C)에 꽂는다.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41)이 급전선을 거쳐서 외부 전원과 접속된다. 그 후, 충전 건(40)을 전기 차량의 충전구에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 차량에 급전되고, 전기 차량의 이차전지의 충전이 시작된다.
그런데, 전기 차량의 충전시에는 CCID(43)는 스탠드 본체(1)의 외측에서 매달린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콘센트 유닛(3)의 하측에 있는 콘센트 유닛(3)을 사용하는 경우에, CCID(43)가 해당 콘센트 유닛(3)의 전방에서 매달려 있음으로써, 하측 콘센트 유닛(3)의 사용의 방해로 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는 도 7의 (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케이블(4) 중 전기 케이블(41) 이외의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부로서, CCID(43)를 유지하는 유지기구(6)를 스탠드 본체(1)의 우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유지구(6)는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판형상의 부착판(60)을 구비하고, 그 전단부에는 평면에서 보아 삼각형상의 지지편(60A)이 우측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이 부착판(60)을 예를 들면 나사고정 등의 수단에 의해서 스탠드 본체(1)의 우측판(11)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지기구(6)가 스탠드 본체(1)의 우측면에 부착된다.
지지편(60A)의 상단부에는 직사각형판형상의 주편(61)을 회전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힌지부(64)가 마련되어 있다. 주편(61)은 스탠드 본체(1)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쓰러뜨린 상태에서 스탠드 본체(1) 전면보다도 앞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그 전단부에는 중간부가 뒷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측편(6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60A)의 상단부에는 윗방향으로 돌출된 직사각형판형상의 돌기편(6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측편(62)과의 사이에서 CCID(43)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측편(62)은 상기와 같이 그 중간부가 절곡되어, 뒷방향으로 편향력이 발생된다. 이 때문에,CCID(43)를 측편(62)과 돌기편(63)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할 수 있고, CCID(4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편(61)에는 그 회전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돌기편(63)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직사각형형상의 삽입통과구멍(61A)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CCID(43)를 유지기구(6)에 유지시키는 방법에 대해 도 9의 (d)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힌지부(64)를 축으로 해서 주편(61)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주편(61)을 스탠드 본체(1)의 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쓰러뜨린다. 그 후, CCID(43)의 장치 본체(430)를 위쪽으로부터 측편(62)과 돌기편(63)의 사이에 밀어 넣음으로써, 장치 본체(430)가 측편(62)과 돌기편(63)의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협지된다. 이에 따라, CCID(43)를 스탠드 본체(1)의 저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유지기구(6)에 유지시킬 수 있다. CCID(43)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장치 본체(430)를 위쪽으로 들어 올리면 좋다.
또, 유지기구(6)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힌지부(64)를 축으로 해서 주편(61)을 회전운동하여 스탠드 본체(1)의 저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함으로써, 스탠드 본체(1) 전면보다도 앞방향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CCID(43)를 스탠드 본체(1)의 외측에 마련한 유지기구(6)에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CCID(43)가 스탠드 본체(1)의 앞쪽에서 처지는 일이 없으므로, 다른 콘센트 유닛(3)을 사용하는 경우에 CCID(43)이 사용의 방해로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기구(6)의 수는 상기와 같이 1개에 한정되지 않고, 콘센트 유닛(3)의 수에 따라 복수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탠드 본체(1)가 콘센트 유닛(3)을 4개 구비하는 경우이면, 스탠드 본체(1)의 좌우 측면의 각각에 2개씩 유지기구(6)를 설치하면 좋다. 물론, 유지기구(6)를 설치하는 개소는 스탠드 본체(1)의 좌우 측면에는 한정되지 않고, 스탠드 본체(1)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하면 좋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CCID(200)를 내장한 전원 유닛(2)을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지 않지만, 전원 유닛(2)을 스탠드 본체(1)에 수납해서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전원 유닛(2)과 콘센트 유닛(3)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 1의 홀더(5)와, 상기 실시형태 2의 유지기구(6)의 양쪽을 스탠드 본체(1)의 외측부에 필요한 수에 따라 설치하면 좋다.
1: 스탠드 본체 2: 전원 유닛(전원 공급부)
3: 콘센트 유닛(전원 공급부) 4: 충전 케이블
40: 충전 건(충전 접속부) 41: 전기 케이블
43, 200: CCID(충전 회로 차단 장치) 5: 홀더
55: 감기부 6: 유지기구

Claims (5)

  1. 상자형의 스탠드 본체와, 상기 스탠드 본체내에 수납되어 전기 차량에의 급전로로 되는 충전 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전 케이블의 전기 케이블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기 케이블에 접속되어 상기 전기 차량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충전 접속부를 갖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접속부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케이블을 감아 유지하는 감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기부는 상기 홀더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블은 상기 전기 케이블에 마련되어 상기 전기 차량에의 급전을 제어하는 충전 회로 차단 장치를 갖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스탠드 본체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 회로 차단 장치를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KR1020120053174A 2011-05-18 2012-05-18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KR101408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11676 2011-05-18
JPJP-P-2011-111676 2011-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31A true KR20120129831A (ko) 2012-11-28
KR101408444B1 KR101408444B1 (ko) 2014-06-17

Family

ID=4715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174A KR101408444B1 (ko) 2011-05-18 2012-05-18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08444B1 (ko)
CN (1) CN102790413B (ko)
TW (1) TWI4982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995A (ko) * 2019-10-16 2021-04-26 홍성진 배터리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1433B2 (ja) * 2011-05-18 2016-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車両用充電スタンド
WO2015197826A1 (en) * 2014-06-27 2015-12-30 Easycharge.Me Gmbh Ceiling mounted charging station and parking structur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CN104319852B (zh) * 2014-11-12 2016-09-14 成都汉度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电动车充电桩
CN106427641A (zh) * 2016-11-06 2017-02-22 宁波隆兴电信设备制造有限公司 交流充电桩
CN106684964A (zh) * 2016-11-11 2017-05-17 深圳日海通讯技术股份有限公司 充电桩及其挂枪座
DE102017115640A1 (de) 2017-07-12 2019-01-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ühleinheit für eine Ladesäule und Ladesäule mit einer Kühleinheit
CN208028319U (zh) * 2017-11-28 2018-10-30 蔚来汽车有限公司 充电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230B2 (ja) * 2002-02-15 2007-06-0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
TWM241859U (en) * 2003-06-20 2004-08-21 Matsushita Electric Tw Co Ltd Charger
TWM241860U (en) * 2003-06-30 2004-08-21 Matsushita Electric Tw Co Ltd Serially-connected charger
TWM329280U (en) * 2007-09-26 2008-03-21 Formosa Electronic Ind Inc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re-coiling structure
TWM338497U (en) * 2007-11-16 2008-08-11 Formosa Electronic Ind Inc Portable electric energy supply modul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adapting wires
JP5408765B2 (ja) 2008-11-07 2014-02-05 日東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充電接続ケーブル収納箱及び充電装置
JP2010213373A (ja) * 2009-03-06 2010-09-24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643948B2 (ja) 2009-03-23 2014-12-24 日東工業株式会社 充電装置
JP4835724B2 (ja) * 2009-05-28 2011-12-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2010279181A (ja) * 2009-05-28 2010-12-09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JP5421721B2 (ja) * 2009-10-13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充電スタンド
CN201623233U (zh) * 2009-11-25 2010-11-03 王帆 电动车充电器和充电线收纳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995A (ko) * 2019-10-16 2021-04-26 홍성진 배터리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0413B (zh) 2015-04-08
CN102790413A (zh) 2012-11-21
TWI498237B (zh) 2015-09-01
KR101408444B1 (ko) 2014-06-17
TW201302514A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297B1 (ko)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KR20120129831A (ko) 전기 차량용 충전 스탠드
JP5845456B2 (ja) コネクタ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充電装置
JP5645266B2 (ja) 電気車両用充電設備のモジュール、及び電気車両用充電設備
JP5473410B2 (ja) 充電装置
US9120641B2 (en) Electric vehicle charger
JP5584569B2 (ja) 充電プラグ保持装置
JP5879539B2 (ja) 電気車両用充電設備
CN102774335A (zh) 供电控制装置
JP2012090408A (ja) 車両用充電装置
JP5600534B2 (ja) 充電装置
JP5775363B2 (ja) 充電システム
JP2013109981A (ja) 給電制御装置
KR102452031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JP2012165531A (ja) 電気車両用充電設備
JP6238160B2 (ja) 充電ボックス
CN111002850A (zh) 电力供应装置和插头保持器
JP2013223362A (ja) 車両用充電装置
CN111746314B (zh) 电力供给装置
JP2015208090A (ja) 充電スタンド
KR20210078732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스테이션 구조
CN111837310A (zh) 车辆用充电装置和车辆用充放电装置
JP2023169792A (ja) 移動体用充電装置、及びコネクタホルダ
JP2024002236A (ja) 移動体用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