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720A - 금속제 양면 무치 및 슬라이드 파스너 - Google Patents

금속제 양면 무치 및 슬라이드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720A
KR20120128720A KR1020127028066A KR20127028066A KR20120128720A KR 20120128720 A KR20120128720 A KR 20120128720A KR 1020127028066 A KR1020127028066 A KR 1020127028066A KR 20127028066 A KR20127028066 A KR 20127028066A KR 20120128720 A KR20120128720 A KR 2012012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sided
metal double
trunk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301B1 (ko
Inventor
후또시 고자또
유우스께 메이와
히로후미 다니꼬시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02Slide fasteners with a series of separate interlocking members secured to each stringer tape
    • A44B19/04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 A44B19/06Stringers arranged edge-to-edge when fastened, e.g. abutting stringers with substantially rectangular members having interlocking projections and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A44B19/382"Two-way" or "double-acting" separable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44Securing metal interlocking members to ready-made stringer tapes
    • A44B19/50Securing one-piece interlock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Abstract

맞물림 오목부와 몸통부와의 경계면에서 유동 융기부가 밀어내 버리지 않도록 구성한 금속제 양면 무치를 제공하고, 동일 금속제 양면 무치를 사용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한다. 맞물림 오목부(5)의 내주면 형상은, 대략 주발 형상의 형상을 나타내어 형성되어 있고, 맞물림 오목부(5)와 몸통부(6)와의 경계면(9)과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에 걸쳐서 오목 형상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제 양면 무치(1)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할 때에, 한쌍의 다리부(2)를 크림핑함으로써 발생하는 유동 융기부가,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발생시켜 버리는 상태까지, 맞물림 오목부측이나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밀어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제 양면 무치 및 슬라이드 파스너{METAL DOUBLE-SIDED TOOTH AND SLIDE FASTENER}
본원 발명은 맞물림 헤드부의 양면에 각각 맞물림 볼록부와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된 금속제 양면 무치 및 동일 금속제 양면 무치를 구비한 슬라이드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가방 등의 개구부에는, 그 개폐를 행하기 위해 슬라이드 파스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파스너로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에 2개의 슬라이더를 윗 부분끼리 마주보게 또는 아래 부분끼리 마주보게 대향해서 배치한, 양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나 1개의 슬라이더를 배치한 편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 등이 알려져 있다.
양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2개의 슬라이더를 무치열에 따라 전후 어느쪽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도,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편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에서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양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나 편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 등의 슬라이드 파스너에 장착되는 무치로서, 금속제 양면 무치를 사용한 것이 있다. 금속제 양면 무치를 사용함으로써, 황방향 당김 강도에 강하고, 또한 금속의 광택면을 갖고 의장면에 있어서도 우수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얻을 수 있다. 금속제 양면 무치의 형상으로서는, 맞물림 헤드부의 양면에 맞물림 볼록부와 맞물림 오목부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오목부에는, 맞물리는 상대측에 형성된 맞물림 볼록부를 맞물릴 수 있다.
금속제 양면 무치의 일 예로서, 본원 출원인은 이미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 양면 무치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무치(특허문헌 1 참조)를 제안하고 있다. 도 9에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금속제 양면 무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양면 무치(50)는 맞물림 헤드부(51)와, 맞물림 헤드부(51)의 후단부측에 배치된 몸통부(52)와, 몸통부(52)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연장설치된 좌우 한쌍의 다리부(53)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맞물림 헤드부(51)의 구성으로서는, 박육 평판부(57)와, 한쌍의 맞물림 볼록부(54)와, 좌우 한쌍의 측방 융기부(55)와, 한쌍의 맞물림 오목부(56)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박육 평판부(57)는 몸통부(52)의 표리 양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몸통부(52)의 판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맞물림 볼록부(54)는 박육 평판부(57)의 좌우 중앙부에 있어서 표리 양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측방 융기부(55)는 각 맞물림 볼록부(54)의 좌우에 배치된 박육 평판부(57)의 부위로부터 몸통부(52)의 표리 양면 방향으로 향해서 각각 연장설치 되고, 몸통부(52)와 일체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맞물림 오목부(56)는, 각각 맞물림 볼록부(54)와 각 측방 융기부(55)와 몸통부(5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오목부(56)에는, 맞물리는 상대방의 맞물림 볼록부(54)를 맞물릴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고 소 55-1425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을 사용해서 설명하면, 종래부터 구성되어 있는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금속제 양면 무치(50)에 있어서의 한쌍의 다리부(53) 사이를 크림핑(crimping)하는 것에 의해,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금속제 양면 무치(50)를 장착시켜 갈 수 있다. 한쌍의 다리부(53) 사이를 크림핑할 때에는, 몸통부(52)에 있어서 금속의 유동이 발생하고, 유동한 금속은 유동 융기부(58)로 되어서 몸통부(52)로부터 튀어나와 버린다.
특히, 알루미늄재나 알루미늄 합금재를 사용해서 금속제 양면 무치(50)를 제조했을 경우에는, 구리재나 동합금재 등을 사용해서 금속제 양면 무치(50)를 제조했을 경우에 비해, 유동하는 금속량이 많아지고, 유동 융기부(58)의 높이도 높아져버린다. 그리고, 맞물림 오목부(56)와 몸통부(52)의 경계면에서는, 유동한 금속에 의해 형성된 유동 융기부(58)가 맞물림 오목부(56) 내 또는 몸통부(52)의 표면(52a) 및 도시하지 않는 이면보다도 또한 외측으로 밀어내 버리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유동한 금속에 의해 튀어나온 유동 융기부(58)에 관한 설명을 도 10의 (a) 및 (b)를 사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의 (a)에는, 도 9에 도시한 금속제 양면 무치(50)를 크림핑하기 전의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10의 (b)에는, 도 9에 도시한 금속제 양면 무치(50)를 크림핑한 후의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금속제 양면 무치(50)를 크림핑하는 것에 의해,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오목부(56)와 몸통부(52)의 경계면에서 유동 융기부(58)가 맞물림 오목부(56) 내 또는 몸통부(52)의 표면(52a) 및 도시하지 않는 이면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밀어내어 버린다. 이러한 상태로 되면, 맞물리는 상대측의 금속제 양면 무치(50)의 맞물림 볼록부(54)를 맞물림 오목부(56) 내에 맞물릴 때에, 유동 융기부(58)가 맞물림을 방해하는 저항으로 되어 버린다.
또한,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유동 융기부가 밀어내어 버리면, 유동 융기부에 의해 맞물림시에 인접하는 양면 무치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버리거나, 또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켜 버린다.
이와 같이, 맞물림 오목부(56)와 몸통부(52)와의 경계면에서 맞물림 오목부(56) 내에 유동 융기부(58)가 밀어내 버리거나,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유동 융기부가 밀어내 버리면, 유동 융기부(58)는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되어서 작용하게 된다.
파스너 스트링거를 형성한 후에, 맞물림 오목부(56)와 몸통부(52)의 경계면이나 몸통부(52)의 표면(52a) 및 이면에 형성된 유동 융기부(58)를 제거하는 가공을 실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금속제 양면 무치(50)의 양면으로부터 유동 융기부(58)를 제거하는 것에는 시간과 수고가 걸리게 된다. 게다가, 금속제 양면 무치(50)의 양면으로부터 유동 융기부(58)를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은 곤란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맞물림 오목부와 몸통부와의 경계면에서, 또는 몸통부(52)의 표면(52a) 및 도시하지 않는 이면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유동 융기부가 밀어내 버리지 않도록 한 금속제 양면 무치를 제공하고, 동일 금속제 양면 무치를 사용한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에서는, 맞물림 헤드부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의 후단부측에 배치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후단부측에서 연장설치된 좌우 한쌍의 다리부를 평판부의 표면 및 이면에 각각 구비한 금속제 양면 무치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헤드부는, 표면과 이면 사이의 판의 두께가 상기 몸통부에 있어서의 판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된 상기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한 한쌍의 맞물림 볼록부와, 상기 각 맞물림 볼록부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평판부의 부위로부터 상기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 방향으로 향해서 각각 융기하고, 상기 몸통부와 일체화된 좌우 한쌍의 측방 융기부와, 상기 각 맞물림 볼록부 및 상기 각 측방 융기부 및 상기 몸통부에 의해 둘러싸여서 상기 평판부의 표면 및 이면에 형성된 한쌍의 맞물림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맞물림 오목부와 상기 몸통부와의 경계면에는 오목 형상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상기 오목 형상부가 저면을 갖고, 상기 맞물림 볼록부측 및 상기 금속제 양면 무치의 상하 방향측을 개방시킨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상기 오목 형상부는 적어도 상기 저면이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저면의 3변을 둘러싸는 3개의 측면을 갖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상기 오목 형상부의 좌우 폭방향의 치수가, 상기 저면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측에 있어서의 측변의 길이 치수 이하의 길이로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 이상의 길이로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상기 저면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측에 있어서의 측변을 포함하는 상기 저면과의 수직면과 상기 몸통부의 표면 또는 이면의 몸통 연장면과의 교선을 가정했을 때, 상기 오목 형상부의 전후 방향의 치수가, 상기 교선과 몸통부의 후단부 테두리와의 최단 거리에 대하여, 40% 이상에서 60% 이하의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상기 오목 형상부의 깊이 방향의 치수가, 상기 각 맞물림 오목부의 깊이 치수에 대하여, 10% 이상에서 50% 이하의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상기 오목 형상부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경계면은 상기 몸통부의 상면까지인 것으로 가정한 상태에 있어서, 평판부의 표면 또는 이면을 연장한 평판 연장면과, 상기 평판 연장면의 수직면과 평행한 면이며, 상기 몸통부의 후단부 테두리에 있어서 가장 맞물림 헤드부측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후단부면과, 상기 경계면과 상기 각 측방 융기부와의 교선을 포함해 상기 후단부면으로부터의 수직면으로 되는 한쌍의 측방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몸통부내의 용적을 가정하고, 상기 용적을 100%의 용적이라고 했을 때, 상기 오목 형상부가 상기 용적의 5% 이상에서 13% 이하의 용적이 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슬라이드 파스너에는, 파스너 테이프의 측부 테두리부에 상술한 본원 발명의 금속제 양면 무치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시킨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를 구비한 것을 다른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금속제 양면 무치에서는, 경계면에 오목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제 양면 무치를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장착하는 작업 시에, 몸통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크림핑에 의한 금속의 유동에 의해 유동 융기부가 형성된다. 이때,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측으로 밀어낸 상태로 되었다고 하여도,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때까지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측으로 밀어내지 않도록, 오목 형상부에 의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유동 융기부가 밀어내어도, 유동 융기부에 의해 맞물림시에 인접하는 양면 무치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버리는 상태로 될 때까지, 또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로로 밀어내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켜 버리는 상태로 될 때까지, 유동 융기부가 밀어나 버리는 것을 오목 형상부에 의해 방지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오목 형상부에 의해, 인접하는 양면 무치 사이의 간격을 정확한 맞물림 위치로 되도록 해 둘 수 있고, 또한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키지 않도록 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오목 형상부는 유동 융기부에 대한 완충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오목 형상부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파스너의 미끄럼 이동 저항으로 되는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측으로 밀어낸다고 해도, 서로 맞물리는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림 볼록부와의 맞물림을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밖에, 유동 융기부를 맞물림 오목부측에는 밀어내지 않도록 해 둘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를 설치함으로써,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유동 융기부가 밀어난다고 해도, 인접하는 양면 무치 사이의 간격을 정확한 맞물림 위치 간격으로서 둘 수 있다. 그리고, 유동 융기부의 밀어냄에 의해 발생하고 있었던 슬라이더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 양면 무치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시키는 구성으로서는,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직접 장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형성한 코어 스트립부에 금속제 양면 무치를 장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오목 형상부의 형성으로서는, 저면을 갖고, 맞물림 볼록부측 및 금속제 양면 무치의 상하 방향측을 개방시킨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해 둘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로서, 적어도 저면이 평면시에 있어서 4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저면의 3변을 둘러싸는 3개의 측면을 갖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해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오목 형상부의 형상을 특정해 둘 수도 있다.
또한, 평면시에 있어서 4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저면을 갖는 오목 형상부에서는, 오목 형상부의 좌우 폭방향의 치수로서, 저면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측에 있어서의 측변의 길이 치수 이하의 길이로서 형성해 두고, 또한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 이상의 길이로서 형성해 둘 수 있다.
오목 형상부의 좌우 폭방향의 치수가 저면의 맞물림 오목부측 있어서의 측변 치수보다도 긴 길이로서 구성한 경우에는,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강도 저하를 초래해 버리게 된다. 또한, 성형에 의해 금속제 양면 무치를 성형할 때의 금형에 수형부를 형성해 두지 않으면 안되고, 수형부의 선단부가 떨어져 버릴 우려도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의 좌우 폭방향의 치수가 맞물림 볼록부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짧은 길이 치수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유동 융기부를 맞물림 오목부측으로 밀어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완충 기능을 오목 형상부에 있어서 발휘하게 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오목 형상부의 좌우 폭방향의 치수로서 상술한 치수 범위 내의 길이로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오목 형상부에 있어서의 맞물림 오목부측의 측변과 몸통부측의 측변 사이의 최단 거리로서, 저면의 맞물림 오목부측에 있어서의 측변을 포함하는 수직면과 몸통 연장면과의 교선을 가정했을 때에, 상기 교선과 몸통부의 후단부 테두리와의 최단 거리에 대하여, 40% 이상에서 60% 이하의 길이 치수가 되도록 형성해 둘 수 있다.
오목 형상부에 있어서의 맞물림 오목부측의 측변과 몸통부측의 측변 사이의 최단 거리가 상기 교선과 몸통부의 후단부 테두리와의 최단 거리에 대하여 40% 미만이면, 금속제 양면 무치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시킬 때의 유동 융기부의 팽창이 크게 되고,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와 몸통부와의 경계면보다도 크게 밀어내,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켜 버린다.
또한, 60%보다도 크게 하면, 파스너 테이프로의 금속제 양면 무치의 장착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즉, 몸통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측과 후단부측과의 간격이 좁아져, 이 부분에 있어서의 강도가 저하되어 버리게 된다.
오목 형상부의 깊이 방향의 치수로서, 각 맞물림 오목부에 있어서의 몸통부의 표면 또는 이면으로부터의 깊이 치수에 대하여, 10% 이상에서 50% 이하의 길이 치수가 되도록 형성해 둘 수 있다. 이 깊이 치수가 맞물림 오목부의 깊이 치수의 10% 미만인 경우에는,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맞물림 오목부측으로의 유동 융기부의 밀어냄량을 억제해 두는 것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 그리고, 유동 융기부는 맞물림 오목부내로 크게 밀어내 버려, 슬라이더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저항을 발생시켜 버린다. 또한, 상술한 깊이 치수가 맞물림 오목부의 깊이 치수의 50%보다도 클 경우에는, 맞물림 볼록부를 맞물림선의 맞물림 오목부내에 안정되어서 맞물리게 해 둘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는, 오목 형상부의 용적을 다음과 같이 규정해 둘 수 있다. 즉, 오목 형상부를 형성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생각했을 때에, 평판부의 표면 또는 이면을 연장한 평판 연장면과, 후단부면과, 한쌍의 측방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몸통부내의 용적을 가정하고, 이 용적을 100%의 용적으로 했을 때에, 오목 형상부가 상기 용적의 5% 이상에서 13% 이하의 용적이 되도록 구성해 둘 수 있다.
오목 형상부의 용적이 이러한 용적 범위 내로 되도록 구성해 둠으로써, 오목 형상부 형상으로서는, 평면시에서 원호와 현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상으로 되는 기둥 형상의 오목부 등으로서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한, 평면시에서 원호 형상 대신에 타원의 원주에 있어서의 일부 형상, 포물선 형상 등으로 형성한 기둥 형상의 오목부로서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로서 오목면부를 저면에 갖는 형상으로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금속제 양면 무치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드의 미끄럼 이동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파스너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슬라이드 파스너의 평면도이다(실시예).
도 2는 금속제 양면 무치의 사시도이다(실시예).
도 3은 맞물림 헤드부의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실시예).
도 4는 맞물림 헤드부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실시예).
도 5는 오목 형상부의 용적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설명도).
도 6은 금속제 양면 무치의 맞물림 상황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실시예).
도 7은 맞물림 헤드부의 변형예에 대해서 그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실시예).
도 8은 맞물림 헤드부에 있어서의 다른 변형예에 대해서 그 주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실시예).
도 9는 금속제 양면 무치의 사시도이다(종래예).
도 10은 크림핑시의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원 발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또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이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예
본원 발명에 있어서, 금속제 양면 무치의 전후 방향은 동일 금속제 양면 무치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했을 때의 테이프 폭방향으로 되는 방향을 말하고, 맞물림 헤드부측의 방향을 전방향으로 하고, 파스너 테이프측의 방향을 후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금속제 양면 무치의 좌우 방향은 동일 금속제 양면 무치를 각각 파스너 테이프에 설치했을 때의 테이프 표리 방향으로 되는 방향을 말하고, 금속제 양면 무치의 상하 방향은 동일 금속제 양면 무치를 각각 파스너 테이프에 설치했을 때의 테이프 길이 방향이 되는 방향을 말한다.
도 1은 본원 실시형태에 관한 금속제 양면 무치를 사용한 슬라이드 파스너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 파스너(20)는 금속제 양면 무치(1)를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시킨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1)와,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1) 사이를 개폐하는 슬라이더(22)와, 슬라이더(22)의 미끄럼 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상부 멈춤 부재(23a)와 하부 멈춤 부재(23b)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금속제 양면 무치를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장착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형성한 코어 스트립부에 금속제 양면 무치를 장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22)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파스너(20)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도시 예에서는, 편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에 금속제 양면 무치(1)를 장착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원 발명에 관한 금속제 양면 무치(1)로서는 양측 개방식 슬라이드 파스너나 개방 격리용 끼움 부재 부착 슬라이드 파스너에 대하여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금속제 양면 무치(1)에 있어서의 맞물림 헤드부(3)의 구성에 특징을 갖고 있지만, 금속제 양면 무치(1)의 전체 구성으로서는, 구리재, 구리합금재, 알루미늄재, 알루미늄 합금재 등의 금속재를 사용하여 종래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금속판에 대하여 적어도 1회 이상의 프레스 가공을 행하고, 프레스 가공을 행한 금속판을 금속제 양면 무치(1)의 외주 형상으로 펀칭함으로써, 금속제 양면 무치(1)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Y 바라고 불리는 금속제 선재를 소정의 두께 치수로 절단하고, 절단후에 있어서의 무치의 맞물림 헤드부(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헤드부(3)와, 맞물림 헤드부(3)의 후단부측에 배치된 몸통부(6)와, 몸통부(6)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연장설치된 좌우 한쌍의 다리부(2)를 구비한 금속제 양면 무치(1)를 제조할 수 있다. 맞물림 헤드부(3)는 맞물림 헤드부(3)의 표리 양면에 있어서 동일한 배치 구성으로 되어 있고, 평판부(8)와, 한쌍의 맞물림 볼록부(4)와, 좌우 한쌍의 측방 융기부(7)와, 한쌍의 맞물림 오목부(5)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맞물림 오목부(5)와 몸통부(6)의 경계면(9) 및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에 걸쳐서, 후술하는 오목 형상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경계면(9)으로서는, 몸통부(6)의 측면이며, 평판부(8)의 표면(8a) 및 이면(8b)으로부터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을 향한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판부(8)는 맞물림 볼록부(4)의 주위에 위치하는 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몸통부(6)에 있어서의 표면(6a)과 이면(6b) 사이에 있어서의 판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맞물림 볼록부(4)는 평판부(8)의 좌우 중앙부에 있어서 평판부(8)의 표면(8a) 및 이면(8b)으로부터 각각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정상부에는,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과 거의 동일한 높이의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측방 융기부(7)는 각 맞물림 볼록부(4)의 좌우에 배치된 평판부(8)의 부위로부터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 방향으로 향해서 각각 연장설치되고, 몸통부(6)와 일체화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한쌍의 맞물림 오목부(5)는 각각 맞물림 볼록부(4)와 각 측방 융기부(7)와 몸통부(6)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오목부(5)에는, 맞물리는 상대방의 맞물림 볼록부(4)를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융기부(7)의 표면과 몸통부(6)와의 표면(6a) 및 이면(6b)은 면일로 구성되어 있고, 융기부(7)는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를 향해서 점차 경사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맞물림 오목부(5)의 내주면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볼록부(4)와 측방 기부(7) 사이가 이격한 형상이지만, 대략 주발 형상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맞물림 오목부(5)의 저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확대 개방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오목부(5)와 몸통부(6)의 경계면(9) 및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에 걸쳐 오목 형상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 형상부(10)를 형성해 둠으로써,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다리부(2)를 크림핑할 때에 유동 융기부가 발생하고, 이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5) 내, 또는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밀어낸 상태로 되었다고 하여도,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때까지 유동 융기부가 밀어내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즉,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증대시킬 때까지 유동 융기부를 맞물림 오목부측으로 밀어내지 않는 완충부로서 본원 발명의 오목 형상부는 기능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금속제 양면 무치(1)의 한쌍의 다리부(2)를 크림핑해서, 파스너 테이프의 단부 테두리부에 금속제 양면 무치(1)를 장착할 때에, 금속제 양면 무치(1)의 몸통부(6)에 있어서 융기하는 유동 융기부가 크게 밀어내 버리는 것을 방지해 둘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금속제 양면 무치(1)는 한쌍의 다리부(2)를 크림핑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유동 융기부를 도시하면, 오목 형상부(10)의 형상이 보기 흉해져버리기 때문에,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쌍의 다리부(2)를 크림핑했을 때에 발생하는 유동 융기부의 도시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오목 형상부(10)의 형상으로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사각형 형상의 저면(11)의 측방이 사각형 형상의 측면(12, 14)으로 구성하고, 안쪽부측의 측면(13)을 사각형형의 일 형태인 직사각형으로 구성하고, 저면(11)의 3변만을 측면(12 내지 14)에 의해 둘러싼 형상으로 구성해 둘 수 있다.
또한, 안쪽부측의 측면(13) 형상을 사각형의 일 형태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오목 형상부(10)의 형상을 오목 형상부(10)의 저면(11)으로부터 외측을 향해서 확대 개방하는 형상으로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한, 4각형 형상으로서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 형상이다. 또한, 사각형 형상은 4개의 변과 4개의 내각을 갖는 형상을 말하고, 사다리꼴 형상이라함은 대향해서 배치되는 2변의 세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트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2변이 평행한 사각 형상을, 여기에서는 사다리꼴 형상이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각 사각형의 측면(12 내지 14)의 상변(12a 내지 14a)과, 상기 경계면(9)의 연장면인 경계 연장면(M1)과 상기 몸통부(6)의 표면(6a) 또는 이면(6b)의 연장면인 몸통 연장면(M2)과의 제1 교선(K)에 의해 구성되는 가상의 사각형 형상을 생각했을 때에, 몸통부(6)측의 측변인 상변(13a)의 길이 치수(A)가 저면(11)의 맞물림 오목부(5)측의 측변(11a)의 길이 치수(G) 이하의 길이, 즉 각 측방 융기부(7)의 내측면과 측변(11a)과의 교점 간격(G) 이하의 길이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상변(13a)의 길이 치수(A)를 사용하여, 길이 치수(A)를 구성해 둘 때의 범위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오목 형상부(10)에 있어서의 평균적인 폭방향의 치수를 길이 치수(A)로서 정의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상변(13a)의 길이 치수(A)를 맞물림 볼록부(4)의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F) 이상의 길이로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으로 된다. 즉, G≥A≥F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여기서, 길이 치수(F)로서, 맞물림 볼록부(4)의 좌우 방향의 길이로 규정하고 있지만, 그렇게 규정해 두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저면(11)이 형성된 면을 포함하는 몸통 연장면(M2)과 평행한 면에 있어서, 절단했을 때의 맞물림 볼록부(4)의 절단면을 사용하여, 이 절단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로서 규정해 둘 수도 있다.
상변(13a)의 길이 치수(A)가 저면(11)의 측변(11a)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G)보다도 긴 길이 치수로서 구성한 경우에는, 상변(13a)의 양단부와 금속제 양면 무치(1)의 좌우 방향의 외주 테두리에 존재하는 간격이 좁게 구성되어 버리게 된다. 또한, 측방 융기부(7)의 내측면과 측변(11a)과의 교점보다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서 오목 형상부(10)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측방 융기부(7)를 포함하는 맞물림 헤드부(3)에 있어서의 강도 저하를 초래해버리게 된다.
또한, 성형에 의해 금속제 양면 무치(1)를 성형할 때의 금형에 수형부를 형성해 두지 않으면 안되고, 수형부의 선단부가 떨어져 버릴 우려도 있다.
또한, 금속제 양면 무치(1)를 성형하는 금형의 수명도 고려하는 것이라면, 치수(A)를 각 측방 융기부(7)의 내측면과 측변(11a)과의 교점 간격과 동일한 길이 치수로 구성해 둠으로써, 금형의 형상을 간략화시킬 수 있고, 금형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변(13a)의 길이 치수(A)가 길이 치수(F)보다도 짧은 길이 치수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유동 융기부를 오목 형상부(10)에 의한 완충 기능은 저하되어 버린다.
본원 발명에서는, 저면(11)의 측변(11a)을 포함하는 수직면과 몸통부 연장면(M2)이 교차할 때의 교선(L)을 가정했을 때에, 저면(11)으로부터 연장설치된 측면(12, 14)의 상변(12a) 또는 상변(14a)의 길이 치수인 제1 교선(K)과 가상의 사각형 형상에 있어서의 몸통부(6)측의 상변(13a)과의 최단 거리(B)가, 상기 교선(L)과 몸통부(6)의 후단부 테두리(6c)와의 최단 거리(D)에 대하여, 40% 이상에서 60% 이하의 길이 치수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으로 된다.
환언하면, 오목 형상부(10)의 전후 방향의 치수(B)를, 동일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몸통부(6)의 최단 거리(D)에 대하여, 0.6×D≥B≥0.4×D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또한, 일반적인 무치 형상은, 좌우 방향의 중심을 경면 대상으로 하고, 한쌍의 다리부끼리가 연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무치의 좌우 방향의 중심선상에 있어서, 몸통부(6)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가 최단 거리(D)가 된다.
상변(12a) 또는 상변(14a)의 길이 치수(B)가 최단 거리(D)의 40% 미만이고, 금속제 양면 무치(1)를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시킬 때의 유동 융기부의 팽창이 커져버려,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5)와 몸통부(6)와의 경계면(9)보다도 맞물림 오목부(5)측으로 크게 밀어내어 버린다.
그리고, 맞물림 오목부(5)측으로 크게 밀어낸 유동 융기부에 의해, 맞물림 오목부(5)와 이 맞물림 오목부(5)에 맞물리는 상대측의 맞물림 볼록부(4)와의 맞물림을 방해해 버리게 된다. 즉, 맞물림 오목부(5)측으로 크게 밀어낸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5)와 이 맞물림 오목부(5)에 맞물리는 상대측의 맞물림 볼록부(4)와의 맞물림 영역내에 돌출해 버리게 된다.
또한,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보다도 또한 외측으로 밀어낸 유동 융기부에 의해, 맞물림시에 인접하는 양면 무치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버리는 상태로 된다. 또는,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영역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켜 버리는 상태로 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파스너에 있어서의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이 나빠져 버린다. 또한, 길이 치수(B)를 최단 거리(D)의 60%보다도 크게 하면, 상변(13a)과 몸통부(6)의 후단부 테두리(6c)와의 간격이 좁게 구성되어 버리고, 이 좁게 구성된 부위에 있어서의 강도가 저하해 버린다. 그리고, 파스너 테이프에의 금속제 양면 무치(1)의 장착 강도가 저하해 버리게 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오목 형상부(10)의 깊이 치수(C)는 몸통 연장면(M2)으로부터의 맞물림 오목부(5)의 깊이 치수(E)에 대하여, 10% 이상에서 50% 이하의 길이 치수가 되도록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즉, 0.5×E≥C≥0.1×E의 관계가 되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깊이 치수(C)로서는, 각 측면(12 내지 14)의 높이 치수로서 잡을 수도 있다.
오목 형상부(10)의 깊이 치수(C)가 맞물림 오목부(6)의 상술한 깊이 치수(E)에 대하여 10% 미만의 경우에는, 맞물림 오목부(5)측으로 크게 밀어낸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5)와 이 맞물림 오목부(5)에 맞물리는 상대측의 맞물림 볼록부(4)와의 맞물림 영역내로 돌출해 버리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몸통부의 표면 및 이면보다도 더욱 외측으로 밀어낸 유동 융기부에 의해, 맞물림시에 인접하는 양면 무치 사이의 간격이 넓어져 버리거나, 슬라이더의 미끄럼 이동에 대하여 간섭을 일으켜 버리거나 한다.
오목 형상부(10)의 깊이 치수(C)가 맞물림 오목부(5)의 깊이 치수(E)의 50%보다도 클 경우에는, 맞물림 볼록부(4)를 맞물림선의 맞물림 오목부(5) 내에 맞물렸을 때, 오목 형상부(10)에 맞물린 맞물림 볼록부(4)의 주위에 형성되는 틈이 커지고, 오목 형상부(10)에 맞물린 맞물림 볼록부(4)의 영역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맞물림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맞물림 강도가 저하한다.
알루미늄재, 알루미늄 합금재와 같은 부드러운 금속재를 사용해서 금속제 양면 무치(1)를 구성했을 때에는, 한쌍의 다리부(2)를 크림핑할 때에 몸통부(6)에 있어서 생성되는 유동 융기부의 높이는 구리재나 동합금재를 사용해서 금속제 양면 무치를 구성한 경우에 비해 높게 생성되게 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상술한 오목 형상부(10)에 있어서의 형상을 규제해 둠으로써, 알루미늄재, 알루미늄 합금재와 같은 부드러운 금속재를 사용해서 금속제 양면 무치(1)를 구성한 경우라도, 몸통부(6)에 있어서 생성되는 유동 융기부가 크게 팽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용적을 사용해서 오목 형상부(10)의 구성을 특정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해서 특정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 형상부(10)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를 생각했을 때에 있어서, 평판 연장면(M3)과, 후단부면(M4)과, 한쌍의 측방면(M5)에 의해 둘러싸이는 몸통부(6) 내의 용적(V)을 가정한다. 도 5에서는, 용적(V)을 사선부로 도시하고 있다.
평판 연장면(M3)은 평판부(8)의 표면(8a) 또는 이면(8b)을 연장한 연장면이며, 후단부면(M4)은 몸통부(6)의 후단부 테두리(6c)에 있어서 제1 교선(K)과의 거리가 최단 거리가 되는 점을 통과하고, 평판 연장면(M3)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이다. 또한, 한쌍의 측방면(M5)은 경계면(9)과 각 측방 융기부(7)의 내측면과의 교선 및 이 교선을 포함하는 후단부면(M4)으로부터의 수직면에 의해 규정되는 한쌍의 면이다.
이 가정한 용적(V)을 100%의 용적이라고 했을 때에, 이 용적(V)의 5% 이상에서 13% 이하의 용적이 되도록 오목 형상부(10)를 구성해 둘 수 있다.
오목 형상부(10)의 용적을 이러한 범위 내의 값으로서 구성해 두는 것에 의해, 크림핑시에 발생하는 유동 융기부가, 맞물림 오목부(5)와 이 맞물림 오목부(5)에 맞물리는 상대측의 맞물림 볼록부(4)와의 맞물림 영역내 또는 몸통 연장면(M2)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해 버리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해 둘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오목 형상부(10)로서, 사각형 형상을 6면에 갖는 가상의 입체 형상으로 성형했을 때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저면 형상으로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오목 형상부(24)의 저면이 측변(11a)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오름 경사의 경사면(25)으로서 구성해 둘 수도 있다.
게다가, 이 오름 경사의 경사면(25)은 평면으로서 구성해 두는 것도, 곡면으로서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오름 경사의 경사면의 후단부측의 측변이 배치되는 위치로서는, 몸통부(6)의 표면(6a) 또는 이면(6b) 위의 위치로 해서 구성해 두는 것도, 몸통부(6)의 표면(6a) 또는 이면(6b)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해 둘 수도 있다.
오목 형상부(10)의 형상으로서는, 평판부(8)의 표면(8a)측 및 이면(8b)측에 있어서, 반드시 동일 형상으로 형성해서 둘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평판부(8)의 표면(8a)측에 형성한 오목 형상부(10)의 형상과, 평판부(8)의 이면(8b)측에 형성한 오목 형상부(10)의 형상을 각각 상이하게 한 형상으로 해 둠으로써, 예를 들어 금속제 양면 무치(1)에 있어서의 표리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사각형 형상을 6면에 갖는 가상의 입체 형상으로 오목 형상부(10)를 성형했을 때의 각 치수에 대한 제한을 설명했지만, 사각형 형상을 6면에 갖는 가상의 입체 형상으로 성형했을 때의 오목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용적에서 오목 형상부의 형상을 특정시켜 둘 수도 있다. 즉, 상기 설명에서는, 상변(12a, 14a)의 길이 치수(B)에 대한 제한, 상변(13a)의 길이 치수(A)에 대한 제한 및 측면(12 내지 14)의 높이 치수(C)에 대한 제한을 설명했다.
환언하면, 사각형 형상을 6면에 갖는 가상의 입체 형상으로 성형했을 때의 오목 형상부(10)에 있어서의 용적은 상변(12a, 14a)의 길이 치수, 상변(13a)의 길이 치수 및 측면(12 내지 14)의 높이 치수, 또한 경계면(9)의 경사 상태를 사용해서 특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가상의 입체 형상을 사용함으로써, 이 가상의 입체 형상내에 내포되는 구성으로서 오목 형상부(10)의 형상 및 용적을 특정시킬 수도 있다. 이때, 오목 형상부(10)의 용적으로서는, 상술한 용적(V)의 5% 이상에서 13% 이하의 용적이 되도록 구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즉, 상기 가상의 입체 형상내에 내포되는 형상으로 오목 형상부(10)를 구성해 두면, 유동 융기부가 경계면(9)보다도 맞물림 오목부(5) 내에 밀어내 버리는 것을 방지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오목 형상부(10)의 구성으로서는, 상기 가상의 입체 형상으로부터 밀려나오지 않도록 구성해 둘 수 있다.
오목 형상부의 용적이 이러한 용적 범위 내가 되도록 구성해 둠으로써, 오목 형상부(10)를 육면체로서 구성해 두지 않아도,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원호와 현에 의해 둘러싸이는 기둥 형상의 오목 형상부(26)와 같이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한, 평면시에서 원호 형상으로 해서 형성하는 대신에 타원의 원주에 있어서의 일부 형상, 포물선 형상 등으로 형성한 기둥 형상의 오목부가 되도록 오목 형상부를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오목 형상부의 구성으로서는 오목면부를 저면에 갖는 형상으로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시에서 저면 형상이 사다리꼴형 형상으로 되도록 오목 형상부(27)를 구성해 둘 수도 있다. 이때, 측방 융기부(7)의 내측면을 연장한 면이 오목 형상부(27)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양측면이 되도록 구성해 둘 수도 있다.
도 6에는, 금속제 양면 무치(1)를 장착한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1)(도 1 참조)를 도시하지 않는 슬라이더에 의해 맞물리고 있는 상태를 단면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6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 테이프에 장착한 금속제 양면 무치(1)에 있어서는, 크림핑에 의한 장착시에 발생하는 유동 융기부는, 맞물림 오목부(5)와 이 맞물림 오목부(5)에 맞물리는 상대측의 맞물림 볼록부(4)와의 맞물림 영역내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금속제 양면 무치(1)끼리의 맞물림을 스무스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린 금속제 양면 무치(1)끼리를 해제할 경우라도, 맞물린 맞물림 볼록부(4)끼리의 맞물림 상태 및 맞물린 맞물림 볼록부(4)와 맞물림 오목부(5)의 맞물림 상태를 스무스하고 게다가 원활하게 개방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은 가방이나 의류 등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의 무치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금속제 양면 무치
3 : 맞물림 헤드부
4 : 맞물림 볼록부
5 : 맞물림 오목부
6 : 몸통부
9 : 경계면
10 : 오목 형상부
12a 내지 14a : 상변
20 : 슬라이드 파스너
24, 26, 27 : 오목 형상부
25 : 경사면
50 : 금속제 양면 무치
54 : 맞물림 볼록부
56 : 맞물림 오목부
58 : 유동 융기부
K : 제1 교선
L : 제2 교선
M1 : 경계 연장면
M2 : 몸통 연장면
M3 : 평판 연장면
M4 : 후단부면
M5 : 측방면

Claims (8)

  1. 맞물림 헤드부(3)와, 상기 맞물림 헤드부(3)의 후단부측에 배치된 몸통부(6)와, 상기 몸통부(6)의 후단부측에서 연장설치된 좌우 한쌍의 다리부(2)를 평판부(8)의 표면(8a) 및 이면(8b)에 각각 구비한 금속제 양면 무치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헤드부(3)는, 표면(8a)과 이면(8b) 사이의 판의 두께가 상기 몸통부(6)에 있어서의 판의 두께보다도 얇게 형성된 상기 평판부(8)와, 상기 평판부(8)의 표면(8a) 및 이면(8b)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한쌍의 맞물림 볼록부(4)와, 상기 각 맞물림 볼록부(4)의 좌우에 배치된 상기 평판부(8)의 부위로부터 상기 몸통부(6)의 표면(6a) 및 이면(6b) 방향을 향해서 각각 융기하고, 상기 몸통부(6)와 일체화된 좌우 한쌍의 측방 융기부(7)와, 상기 각 맞물림 볼록부(4) 및 상기 각 측방 융기부(7) 및 상기 몸통부(6)에 의해 둘러싸여서 상기 평판부(8)의 표면(8a) 및 이면(8b)에 형성된 한쌍의 맞물림 오목부(5)를 구비하고,
    상기 각 맞물림 오목부(5)와 상기 몸통부(6)의 경계면(9)에는 오목 형상부(1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무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부(10)가 저면(11)을 갖고, 상기 맞물림 볼록부(4)측 및 상기 금속제 양면 무치의 상하 방향측을 개방시킨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무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부(10)는 적어도 상기 저면(11)이 평면시에 있어서 4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11)의 3변을 둘러싸는 3개의 측면(12 내지 14)을 갖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무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부(10)의 좌우 폭방향의 치수(A)가, 상기 저면(11)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5)측에 있어서의 측변(11a)의 길이 치수(G)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맞물림 볼록부(4)의 정상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F)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무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11)의 상기 맞물림 오목부(5)측에 있어서의 측변(11a)을 포함하는 상기 저면(11)과의 수직면과 상기 몸통부(6)의 표면(6a) 또는 이면(6b)의 몸통 연장면(M2)과의 교선(L)을 가정했을 때,
    상기 오목 형상부(10)의 전후 방향의 치수(B)가, 상기 교선(L)과 몸통부(6)의 후단부 테두리(6c)와의 최단 거리(D)에 대하여, 40% 이상에서 60% 이하의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무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부(10)의 깊이 방향의 치수(C)가, 상기 각 맞물림 오목부(5)의 깊이 치수(E)에 대하여, 10% 이상에서 50% 이하의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무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형상부(10)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경계면(9)은 상기 몸통부(6)의 상면까지인 것으로 가정한 상태에 있어서, 평판부(8)의 표면(8a) 또는 이면(8b)을 연장한 평판 연장면(M3)과, 상기 평판 연장면(M3)의 수직면과 평행한 면이고, 상기 몸통부(6)의 후단부 테두리(6c)에 있어서 가장 맞물림 헤드부측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후단부면(M4)과, 상기 경계면(9)과 상기 각 측방 융기부(7)와의 교선을 포함해 상기 후단부면(M4)으로부터의 수직면이 되는 한쌍의 측방면(M5)에 의해 둘러싸이는 몸통부(6) 내의 용적(V)을 가정하고, 상기 용적(V)을 100%의 용적이라고 했을 때, 상기 오목 형상부(10)가 상기 용적(V)의 5% 이상에서 13% 이하의 용적이 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양면 무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제 양면 무치(1)를, 파스너 테이프의 측부 테두리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시킨 한쌍의 파스너 스트링거(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KR1020127028066A 2010-04-28 2010-04-28 금속제 양면 무치 및 슬라이드 파스너 KR101356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7586 WO2011135699A1 (ja) 2010-04-28 2010-04-28 金属製両面務歯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720A true KR20120128720A (ko) 2012-11-27
KR101356301B1 KR101356301B1 (ko) 2014-01-28

Family

ID=4486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066A KR101356301B1 (ko) 2010-04-28 2010-04-28 금속제 양면 무치 및 슬라이드 파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01182B2 (ko)
EP (1) EP2564720B1 (ko)
JP (1) JP5460862B2 (ko)
KR (1) KR101356301B1 (ko)
CN (1) CN102858200B (ko)
ES (1) ES2648252T3 (ko)
HK (1) HK1179129A1 (ko)
TW (1) TWI397384B (ko)
WO (1) WO2011135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89682B1 (en) * 2011-03-24 2017-03-08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and slider with simple locking mechanism
CN103829466B (zh) * 2014-03-05 2016-01-13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双向链牙及拉链
WO2016102022A1 (en) * 2014-12-23 2016-06-30 Fluidra, S.A. Updating software packets in water installation controlling apparatus
GB201520349D0 (en) 2015-11-18 2015-12-30 Ykk Europ Ltd And Ykk Corp Slide fastener and method of preparation
JP7083025B2 (ja) * 2018-08-06 2022-06-09 Ykk株式会社 エレメント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109527722B (zh) * 2018-11-21 2021-08-24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链牙及具有该链牙的拉链
WO2021001984A1 (ja) * 2019-07-04 2021-01-07 Ykk株式会社 エレメント部材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付き製品
BR112022002487A2 (pt) * 2019-10-10 2022-04-26 Ykk Corp Elemento metálico e fecho de correr
WO2021199203A1 (ja) * 2020-03-30 2021-10-0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その設計方法
WO2022030564A1 (ja) * 2020-08-04 2022-02-10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エレメントおよびスライドファスナストリン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2295A (en) * 1949-02-05 1952-12-23 Conmar Prod Corp Slide fastener
US2748440A (en) * 1950-06-24 1956-06-05 Conmar Prod Corp Slide fasteners
US3634915A (en) * 1970-04-14 1972-01-18 Herbert Alberts Zipper tooth
JPS5514252Y1 (ko) * 1970-12-30 1980-04-01
JPS5514252A (en) 1978-07-18 1980-01-31 Teijin Ltd Film for print wrapping
JPH01160502A (ja) 1987-12-18 1989-06-23 Yoshida Kogyo Kk <Ykk> スライドフアスナー用金属製エレメント
JP2690430B2 (ja) * 1992-07-06 1997-12-10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務歯の成形方法及び装置
CH690893A5 (it) * 1996-05-22 2001-02-28 Riri Sa Dente a due testine e due cave per cerniere azionabili in due direzioni.
JP3917452B2 (ja) 2002-04-11 2007-05-23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務歯形成用金属線材と同金属線材から形成され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務歯
JP4215660B2 (ja) * 2004-02-25 2009-01-28 Ykk株式会社 金属製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エレメント
JP4749389B2 (ja) 2007-06-20 2011-08-17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両面務歯
DE602008005212D1 (de) 2007-07-10 2011-04-14 Ykk Corp Metallisches, doppelseitiges Element und Reißverschlu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36547A (en) 2011-11-01
EP2564720A4 (en) 2016-12-28
EP2564720B1 (en) 2017-09-20
JPWO2011135699A1 (ja) 2013-07-18
JP5460862B2 (ja) 2014-04-02
KR101356301B1 (ko) 2014-01-28
US9101182B2 (en) 2015-08-11
CN102858200A (zh) 2013-01-02
WO2011135699A1 (ja) 2011-11-03
ES2648252T3 (es) 2017-12-29
CN102858200B (zh) 2015-08-05
US20130007993A1 (en) 2013-01-10
TWI397384B (zh) 2013-06-01
HK1179129A1 (en) 2013-09-27
EP2564720A1 (en)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1B1 (ko) 금속제 양면 무치 및 슬라이드 파스너
JP5042358B2 (ja) 金属製片面務歯及び両開き式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5771126B2 (ja) クリップ
JPH06217810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務歯および務歯成形方法
WO2011151882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2006320642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チエン
CN110636773B (zh) 拉链
JP6546287B2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型
EP1745713B1 (en) Slide fastener
KR101330432B1 (ko)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 조립체
WO2017072926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416765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及びその使用方法
US9132476B2 (en) Multi-wall gas turbine airfoil cast using a ceramic core formed with a fugitive inse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6203620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7104008A1 (ja) 止具を有す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8036140A1 (zh) 链牙、链带及拉链
JP2006149707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チエン
WO201812291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7104007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7083025B2 (ja) エレメント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220534762U (zh) 一种过桥上止封合式拉链模具及拉链
JP2007210152A (ja) 樹脂成形品
JP6880395B2 (ja) 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
WO2018061905A1 (ja) 樹脂部品及びその成形方法、成形装置
JP6363963B2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