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312A -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312A
KR20120125312A KR1020127022192A KR20127022192A KR20120125312A KR 20120125312 A KR20120125312 A KR 20120125312A KR 1020127022192 A KR1020127022192 A KR 1020127022192A KR 20127022192 A KR20127022192 A KR 20127022192A KR 20120125312 A KR20120125312 A KR 20120125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dust
opening
dust collecting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752B1 (ko
Inventor
다까유끼 이찌노
기요시 에베
리쯔오 다께모또
마사또시 다나까
히또시 스즈끼
나오꼬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3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53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332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535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20125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내부에 생기는 선회류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를 행하는 동시에 원심 분리된 진애를 축적하고, 일단 축적된 진애를 확실하게 포집하는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진애 분리 집진부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3)와, 용기 본체(33)에 접속되어 용기 본체(33)의 내주를 따르는 선회류(F)를 발생하는 흡입관(34)과, 흡입관(34)보다 용기 본체(33)의 일단부측에 근접하여 상기 용기 본체(33)에 접속되는 토출관(35)과, 상기 용기 본체(33)의 대략 중심에 제1 개구(37a)를 갖고 흡입관(34)과 토출관(35)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벽(37)과, 흡입관(34)의 접속 부분보다 용기 본체(33)의 타단부측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용기 본체(33)의 내주면과 분리벽(41) 사이에 간극(39)을 형성하고 용기 본체(33)의 중심의 외측에 개구(41a)를 포함하는 분리벽(4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DUST SEPARATING/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ELECTRIC CLEA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내주를 따르는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흡입관을 구비하는 원심 분리 방식의 전기 진공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원심 분리 방식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하고, 용기 본체 내부의 선회류를 이용하여 공기와 진애를 원심 분리하고, 진애를 용기 본체 내부에 축적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공기는 선회류의 소용돌이의 중심 부분, 즉, 유속이 비교적으로 저하되어 있는 부분으로부터 용기 본체 외부로 유출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155239호 공보
본 발명에 관한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 특히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내부에서 선회류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를 행하고, 동시에 원심 분리된 진애의 축적을 행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원심 분리를 행하는 부분(공간)과 진애의 축적을 행하는 부분(공간)을 명확하게 구획하는 부재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에서, 진애의 축적을 행하는 부분(공간)에 일단 축적한 진애가 원심 분리를 행하는 부분(공간)으로 역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진공 청소기는, 단차를 갖는 용기 본체와, 단차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구획판을 구비하고, 원심 분리를 행하는 분리부와 진애의 축적을 행하는 집진실을 이격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일단 집진실에 유입된 공기를 분리부로 되돌리기 위한 통기 구멍을 갖는다. 이 통기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입상으로 질량이 작은 세진(fine dust)을 집진실로부터 분리부로 바람직하지 않게 역류시키게 된다. 또한, 이 공기의 흐름은 선회류의 유속이 저하되는 집진실의 중심부(즉, 선회류의 소용돌이의 중심부)를 집진실로부터 분리부로 직선적으로 다시 흘러서 용기 본체로부터 유출된다. 이 때문에, 이 공기의 흐름은 집진실로부터 분리부로 세진을 용이하게 운반하게 된다.
상술한 같이 종래의 전기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로부터 분리부로 진애가 역류되어 버리고, 집진실로부터 분리부로 되돌리는 직선적인 공기의 흐름에 의해 집진 장치로부터 세진이 유출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내부에 발생하는 선회류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를 행하는 동시에 원심 분리된 진애의 축적을 행함과 함께, 일단 축적한 진애를 확실하게 포집하는 것이 가능한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를 따르는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보다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부측으로 치우쳐서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하는 토출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대략 중심에 제1 개구를 갖고 상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 사이에 있는 구획벽과, 상기 흡입관의 접속 부분보다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에 더 가까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보다 외측에 제2 개구를 갖는 분리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상기 집진 장치와, 상기 집진 장치가 착탈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진공 청소기 본체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의 전기 진공 청소기이다. 전기 진공 청소기(1)는, 피청소면 위를 주행 가능한 진공 청소기 본체(2)와, 진공 청소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관부(3)를 구비한다.
진공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와, 본체 케이스(5)의 양측방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차륜(6)과, 본체 케이스(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진애 분리 집진부(7)(집진 장치)와,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전동 송풍기(8)와, 전동 송풍기(8)의 구동을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와, 전동 송풍기(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11)를 구비한다.
본체 케이스(5)는,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본체 접속구(12)를 갖는다. 본체 접속구(12)는,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유체적인 입구이다.
차륜(6)은, 진공 청소기 본체(2)의 주행용의 큰 직경의 주행륜이다.
진애 분리 집진부(7)는, 전동 송풍기(8)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전기 진공 청소기(1)가 흡입하는 진애를 포함한 공기(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고, 포집한다.
본체 제어부(9)는, 미리 설정하는 복수의 운전 모드를 갖는다. 또한, 본체 제어부(9)는, 임의의 운전 모드가 관부(3)로부터 판독되는 조작 신호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운전 모드로부터 임의의 운전 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전동 송풍기(8)를 운전하게 한다. 각각의 운전 모드는, 관부(3)로부터 판독되는 조작 신호에 대응시켜 서로 다른 입력값[전동 송풍기(8)의 입력값]을 보유 지지한다.
전원 코드(11)는, 자유단부에 전원 플러그(14)를 구비한다.
관부(3)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동안 진공 청소기 본체(2)로부터 작용하는 부압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함진 공기를 흡입하여 이 함진 공기를 진공 청소기 본체(2)에 안내한다. 관부(3)는,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본체 접속구(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조인트로서의 접속관(19)과, 접속관(19)에 접속되는 집진 호스(21)와, 집진 호스(21)에 접속되는 손잡이측 조작관(22)과, 손잡이측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는 파지부(23)와, 파지부(23)에 구비되는 조작부(24)와, 손잡이측 조작관(2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25)과, 연장관(25)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26)를 구비한다.
집진 호스(21)는,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1)의 한쪽의 단부(후방의 단부)는, 접속관(19)에 유체적으로 접속한다. 집진 호스(21)는, 접속관(19)을 통해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손잡이측 조작관(22)의 한쪽의 단부(후방의 단부)는, 집진 호스(21)의 다른 쪽의 단부에 접속된다. 손잡이측 조작관(22)은, 접속관(19) 및 집진 호스(21)를 통해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파지부(23)는,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전기 진공 청소기(1)를 조작한다. 파지부(23)는, 손잡이측 조작관(22)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손잡이측 조작관(22)의 한쪽의 단부를 지향하여 만곡한다.
조작부(24)는, 각각의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 송풍기(8)의 운전 정지 조작을 수취하는 정지 스위치(24a)와, 전동 송풍기(8)의 운전 개시 조작을 수취하는 기동 스위치(24b)를 구비한다. 기동 스위치(24b)는, 약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강 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별개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 송풍기(8)의 운전 모드 중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연장관(25)은, 신축 가능한 가늘고 긴 대략 원통 형상의 관이다. 연장관(25)은, 복수의 통 형상체를 중합한 텔레스코픽 구조를 갖는다. 연장관(25)의 한쪽의 단부(후방의 단부)는, 손잡이측 조작관(22)의 다른 쪽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연장관(25)은, 접속관(19), 손잡이측 조작관(22) 및 집진 호스(21)를 통해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의 다른 쪽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흡입구체(26)는, 나무 바닥이나 카페트 등 피청소면 위를 주행 가능한 구조를 갖고, 주행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갖는다. 또한,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 청소체(29)와, 회전 청소체(29)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31)를 구비한다.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측 조작관(22) 및 집진 호스(21)를 통해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전기 진공 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가 운전 개시 조작을 수취하면 전동 송풍기(8)를 운전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내부에 부압(흡입 부압)을 발생한다. 이 부압은, 본체 접속구(12)로부터 집진 호스(21)와 손잡이측 조작관(22)과 연장관(25)을 거쳐서 흡입구체(26)의 흡입구(28)에 작용한다. 흡입구(28)에 작용한 부압을 이용하여, 전기 진공 청소기(1)는 피청소면에 저류된 진애를 공기와 함께 흡입구(28)로부터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전기 진공 청소기(1)는 흡입구(28)에 흡입된 함진 공기를 진애 분리 집진부(7)에 보내고,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의해 공기와 진애로 원심 분리함과 함께 분리된 진애를 포집한다. 한편, 공기는, 진애 분리 집진부(7)를 통과하여 전동 송풍기(8)를 거쳐서 진공 청소기 본체(2) 외부로 유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집진 장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3)와, 용기 본체(33)에 접속되어 용기 본체(33)의 내주를 따르는 선회류(F)(도 2에서, 실선 화살 F)를 발생하는 흡입관(34)과, 흡입관(34)보다 용기 본체(33)의 일단부(33a)측으로 치우쳐서 용기 본체(33)에 접속되는 토출관(35)과, 용기 본체(33)의 대략 중심에 개구(37a)(제1 개구)를 갖고 흡입관(34)과 토출관(35) 사이에 있는 구획벽(37)과, 구획벽(37)의 개구(37a)와 토출관(35) 사이의 유로에 위치하는 플리츠 필터부(38)와, 흡입관(34)의 접속 부분보다 용기 본체(33)의 타단부(33b)측에 있고 용기 본체(33)의 내주면과 분리벽(41) 사이에 간극(39)을 형성하고, 용기 본체(33)의 중심보다 외측에 개구(41a)(제2 개구)를 갖는 분리벽(41)을 구비한다.
또한, 진애 분리 집진부(7)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을 수직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진공 청소기 본체(2)에 결합해도 좋고, 중심선(C)을 수평 방향으로 설정되도록 진공 청소기 본체(2)에 결합해도 좋다. 또한, 이 밖의 임의의 각도로 중심선(C)을 설정하여도 좋다.
용기 본체(33)는, 구획벽(37)과 일단부(33a)측의 단부면 사이에 있는 배기 풍로(42)와, 구획벽(37)과 분리벽(41) 사이에 있는 분리부(43)와, 분리벽(41)과 타단부(33b)측의 단부면 사이에 있는 집진실(44)(제1 공간)을 갖는다. 용기 본체(33)의 타단부(33b)는 개폐 가능한 덮개(46)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집진실(44)이 축적하는 진애를 용기 본체(33)의 외부로 폐기할 수 있다.
흡입관(34)은, 진공 청소기 본체(2)의 본체 접속구(12)와 용기 본체(33)의 분리부(43)를 유체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용기 본체(33)의 중심]에 대하여 기우는 유로를 갖는다. 이 유로는, 용기 본체(33) 내부에 그 내주면을 따르도록 지향하는 흐름을 발생한다. 즉, 흡입관(34)은 전동 송풍기(8)의 운전동안 용기 본체(33) 내부에 부압이 작용하면, 관부(3)로부터 흡입관(34)을 거쳐서 용기 본체(33) 내부에 유입되는 함진 공기에 선회류(F)를 일으킨다.
토출관(35)은, 용기 본체(33)의 분리부(43)와 전동 송풍기(8)의 흡입구(도시 생략)를 유체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흡입관(34) 및 토출관(35)은 용기 본체(33)에 일체 성형해도 좋다.
구획벽(37)은, 분리부(43)에 유입되는 함진 공기가 배기 풍로(42)로 직접적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분리부(43)와 배기 풍로(42)를 구획한다. 구획벽(37)은, 용기 본체(33)에 보유 지지된다. 개구(37a)는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의 근방에 위치한다.
또한, 구획벽(37)은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통(48)을 구비한다. 내통(48)은 용기 본체(33) 내부에서 구획벽(37)으로부터 분리벽(41)까지 연장되어 분리벽(41)을 보유 지지한다. 내통(48)은, 내통(48)의 내부 공간을 통해 개구(37a)에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개구(48a)(제1 개구)를 갖는다. 메쉬 형상의 여과 부재(51)(제3 여과부)는 개구(48a)를 막아, 개구(48a)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한다. 여과 부재(51)는,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8)의 운전 개시 직후나 작동 정지로부터 얼마 안 되는 기간 등 분리부(43)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을 때(이하, 단순히 「선회류(F)의 과도기」라고 함), 분리부(43)로부터 배기 풍로(42)로 진애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리츠 필터부(38)는 배기 풍로(42)에 구비되고, 여과 부재(51)를 투과할 정도로 미세한 입자 형상의 세진을 포획하고, 전동 송풍기(8)가 세진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간극(39) 및 개구(41a)는 분리부(43)와 집진실(44)을 유체적으로 접속한다. 간극(39)은 용기 본체(33)의 내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된다.
개구(41a)는 간극(39)보다 용기 본체(33)의 중심 부근에 있고, 또한 개구(37a)의 분리벽(41)으로의 투영부보다 외측 부근에 있다. 여과 부재(53)(여과부)는 개구(41a)를 막아, 개구(41a)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한다. 여과 부재(53)는 집진실(44)에 유입된 실 부스러기와 솜 뭉치 등의 섬유 형상의 진애가 여과 부재(53)을 거쳐 분리부(43)로 복귀되지 않으면 거친 것이 좋다. 여과 부재(53)는 용기 본체(33)의 타단부(33b)를 향한[즉, 집진실(44)] 분리벽(41)의 표면에 구비된다.
또한, 개구(41a)는 용기 본체(33)의 중심에 대해서 동심 형상 및 등간격인 복수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개구군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각 개구의 개구 직경을 집진실(44)에 유입된 실 부스러기 및 솜 뭉치 등의 섬유 형상의 진애가 분리부(43)로 복귀되는 것을 차단하기에 충분히 작은 적절한 값(예를 들어, 직경 5㎜ 이하)으로 설정하면, 여과 부재(53)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간극(39) 및 개구(41a)는 용기 본체(33)의 중심의 주위를 반드시 전체 둘레에 걸쳐 구비될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간극(39)은 용기 본체(33)의 내주를 따라 호 형상이면 좋다. 또한, 개구(41a)는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의 둘레에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간극(39) 및 개구(41a)는, 서로 다른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애 분리 집진부(7)는 전동 송풍기(8)가 운전을 개시하면 토출관(35)을 통해 배기 풍로(42)에 부압이 작용한다. 이 배기 풍로(42)의 부압은 개구(37a)를 통해 분리부(43)에 작용한다. 또한, 분리부(43)의 부압은 흡입관(34)을 통해 관부(3)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관부(3)는 피청소면 위의 진애와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관부(3)가 흡입한 함진 공기는, 관부(3)를 반대로 거슬러 올라가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유입된다.
진애 분리 집진부(7)에 유입된 함진 공기는, 흡입관(34)에 의해 용기 본체(33)의 내주면을 향하여 분리부(43)에 유입되어 선회류(F)를 발생한다. 이 선회류(F)는 함진 공기를 공기와 진애로 원심 분리한다. 분리된 진애는, 공기에 비해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한다. 한편, 분리된 공기의 일부는, 선회류(F)의 소용돌이의 중심 근방에 위치하는 개구(48a)를 통과하여 내통(48)의 내부 공간 및 개구(37a)를 통과하여 배기 풍로(42)에 이른다(도 2에서, 실선 화살 Fe). 분리된 공기의 잔량부 및 분리된 진애는, 용기 본체(33)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하면서 간극(39)을 통과하여 집진실(44)에 유입된다.
집진실(44)에서는 선회류(F)의 중심인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에 가까울수록 유속이 저하되고 압력이 회복되기 때문에, 집진실(44)에 유입된 공기는 분리벽(41)의 개구(41a)를 통과하여 분리부(43)로 복귀된다. 한편, 진애에 포함되는 섬유 형상의 진애는, 분리부(43) 및 집진실(44) 내부를 선회하면서 통합되고, 개구(41a) 또는 여과 부재(53)를 더 이상 통과할 수 없게 되어 그 주위에 포획된다.
개구(41a)를 거쳐 분리부(43)로 복귀된 공기의 일부는, 선회류(F)에 포획되어 다시 집진실(44)에 유입되는 순환류(Fc)를 발생한다. 순환류(Fc)는 분리벽(41)의 개구(41a) 또는 여과 부재(53)가 포착하는 섬유 형상의 진애를 서서히 함께 가압하여 섬유 형상의 진애의 밀도를 높인다. 또한, 개구(41a)를 거쳐 분리부(43)로 복귀되는 공기에는 개구(41a) 및 여과 부재(53)를 통과하기에 충분히 작은 미세한 입자 형상의 세진이 포함되고, 순환류(Fc)는, 이 세진을 다시 집진실(44)에 유입한다. 다시 집진실(44)에 유입된 세진은 분리벽(41)의 개구(41a) 또는 여과 부재(53)에 대해 함께 가압되어 밀도가 높아진 섬유 형상의 진애로 포착된다.
또한, 상술된 순환류(Fc)는, 항상 동일한 공기가 순환하는 흐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분리실(43)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와 교환을 행하면서 집진실(44)과 분리부(43) 사이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칭한다.
다음으로,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애 분리 집진부(7)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애 분리 집진부(7A)에서 진애 분리 집진부(7)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A)(집진 장치)는, 용기 본체(33A)의 타단부(33b)측의 집진실(44)(제1 공간)과 흡입관(34)이 접속되는 분리부(43)(제2 공간)를 이격하는 두께를 갖는 분리벽(41A)을 구비한다. 또한, 진애 분리 집진부(7A)는, 용기 본체(33A)의 타단부(33b)를 면하는 분리벽(41A)의 표면의 대략 중심에 구비된 돌출부(55)를 구비한다.
분리벽(41A)은 단순한 판 형상의 것이 아니라, 용기 본체(33A)의 중심선(C)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56)에 의해 형성된 두께를 가진 원반 형상을 갖고, 분리부(43)와 집진실(44)을 이격하는 간극(39A)을 형성한다. 두께가 있는 분리벽(41A)은 간극(39A)에 의해 집진실(44)과 분리부(43)를 이격하고, 선회류(F)의 백-플로우(back-flow)가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33A)는 분리벽(41A)의 근방으로부터 타단부(33b)측 상의 용기 본체(33A)의 일부의 직경을 불연속으로 증가시켜 형성된 단차부(57)를 구비한다. 단차부(57)는, 간극(39A)에 도달하는 선회류(F)의 백-플로우가 분리부(43)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55)는, 여과 부재(53)가 포집하는 섬유 형상의 진애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진애의 적층 방향을 용기 본체(33A)의 타단부(33b)측을 향하여 가이드한다. 돌출부(55)는 분리벽(41A)으로부터 용기 본체(33A)의 덮개(46)에 도달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돌출부(55)는 덮개(46)측일수록 직경이 작은 중공 원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55)는 그 측면에 개구(55a)를 갖고, 개구(55a)는 집진실(44)과 분리부(43)를 유체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내통 덮개(58)는 돌출부(55)의 내부 공간과 내통(48)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양쪽 공간 사이의 유체적인 접속을 차단한다. 개구(55a) 및 그 후 돌출부(55)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분리부(43)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돌출부(55)는 집진실(44) 내부의 진애를 집진실(44)의 중심에 한데 모은다. 이 개구(55a)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및 개구(41a)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돌출부(55)는 진애의 적층 방향의 가이드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발휘한다. 여과 부재(61)(제2 여과부)는 개구(55a)를 막아, 개구(55a)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한다.
또한, 개구(55a)는, 복수의 작은 개구로 이루어지는 개구군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작은 개구의 개구 직경을 집진실(44)에 유입된 실 부스러기 및 솜 뭉치 등의 섬유 형상의 진애가 분리부(43)로 복귀되는 것을 차단하기에 충분히 작은적당한 값(예를 들어, 직경 5㎜ 이하)으로 설정하면, 여과 부재(61)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애 분리 집진부(7B)에서 진애 분리 집진부(7A)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B)(집진 장치)는, 돌출부(55B)의 측면으로부터 용기 본체(33A)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애 포획벽(62)을 구비한다. 진애 포획벽(62)은 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55B)의 높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진애 포획벽(62)은 집진실(44)의 내부에서 돌출부(55B)의 주위에 유속이 보다 저하된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진애 포획벽(62)은 돌출부(55B)의 측면에 방사 형상으로 복수 설치해도 좋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 7A, 7B)는, 진애의 원심 분리를 행하는 분리부(43)와 진애의 축적을 행하는 집진실(44) 사이에 분리벽(41, 41A)이 구비되고, 분리벽(41, 41A)의 개구(41a)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해 집진실(44) 내부의 공기를 분리부(43)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로 유입되는 진애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 7A, 7B)는, 개구(41a)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과하여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로 역류하는 세진을 순환류(Fc)에 의해 다시 집진실(44)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 7A, 7B)는, 개구(41a)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분리벽(41, 41A)에 대해 섬유 형상의 진애를 함께 가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 7A, 7B)는, 순환류(Fc)에 의해 다시 집진실(44)로 복귀되는 세진을, 분리벽(41, 41A)에 대해 함께 가압되어 밀도가 높아진 섬유 형상의 진애에 의해 포획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개구(41a)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과할 수 있는 세진을 집진실(44) 내부에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 7A, 7B)는, 개구(41a)를 통해 분리부(43)로 복귀되는 공기를 순환류(Fc)에 의해 다시 집진실(44)에 유입되게 한다. 이에 따라, 유속이 저하되는 용기 본체(33, 33A)의 중심부에서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로 직선적으로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즉, 세진이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로 직선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A, 7B)는, 개구(41a) 및 개구(55a)의 주위에 의해 대량의 섬유 형상의 진애를 포획하여 함께 가압될 수 있다. 진애 분리 집진부(7A, 7B)는, 개구(41a) 및 개구(55a)의 주위에 의해 대량의 섬유 형상의 진애를 함께 가압하여 밀도를 높임으로써 세진을 더욱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진애 분리 집진부(7A, 7B)는, 돌출부(55)의 주위에 진애를 도넛 형상으로 함께 가압한다. 이에 따라, 집진실(44)로부터 진애를 폐기할 때, 용기 본체(33A)의 덮개(46)를 개방하면 도넛 형상의 진애 덩어리가 돌기부(55)로부터 빠져 나가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B)는, 진애 포획벽(62)에 의해 돌출부(55B) 주위의 유속을 저하하고 섬유 형상의 진애의 축적을 촉진하여, 더 대량의 섬유 형상의 진애를 포획하여 함께 가압할 수 있다. 진애 분리 집진부(7B)는, 함께 가압된 섬유 형상의 진애의 양이 증가되기 때문에, 순환류(Fc)에 포함되는 세진을 매우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 및 진애 분리 집진부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7C)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7)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C)(집진 장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3)와, 용기 본체(33)에 접속되어 용기 본체(33)의 내주를 따르는 선회류(F)(도 7에서, 실선 화살 F)를 발생하는 흡입관(34)과, 흡입관(34)보다 용기 본체(33)의 일단부(33a)측으로 치우쳐서 용기 본체(33)에 접속되는 토출관(35)과, 용기 본체(33)의 대략 중심에 개구(37a)(제1 개구)를 갖고 흡입관(34)과 토출관(35)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벽(37)과, 구획벽(37)의 개구(37a)와 토출관(35) 사이의 유로에 위치되는 플리츠 필터부(38)와, 흡입관(34)의 접속 부분보다 용기 본체(33)의 타단부(33b)측에 있고 용기 본체(33)의 내주면과 분리벽(41C) 사이에 간극(39)을 형성하고 용기 본체(33)의 중심보다 외측에 개구(41b)(제2 개구)를 갖는 분리벽(41C)을 구비한다.
또한, 진애 분리 집진부(7C)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을 수직 방향으로 설정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에 결합해도 좋고, 중심선(C)을 수평 방향으로 설정하여 진공 청소기 본체(2)에 결합해도 좋다. 이와 달리, 이 밖의 임의의 각도로 중심선(C)을 설정해도 좋다.
용기 본체(33)는, 구획벽(37)과 일단부(33a)측의 단부면 사이에 있는 배기 풍로(42)와, 구획벽(37)과 분리벽(41C) 사이에 있는 분리부(43)와, 분리벽(41C)과 타단부(33b)측의 단부면 사이에 있는 집진실(44)(제1 공간)을 갖는다.
구획벽(37)은,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통(48)을 구비한다. 내통(48)은 용기 본체(33) 내에서 구획벽(37)으로부터 분리벽(41C)까지 연장되어 분리벽(41C)을 보유 지지한다.
개구(41b)는, 간극(39)보다 용기 본체(33)의 중심 부근에 더 근접하게 구비되고 용기 본체(33)와 분리벽(41C) 사이의 간극(39)과 집진실(44)을 유체적으로 접속한다. 여과 부재(53)(여과부)는 개구(41b)를 막아, 개구(41b)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한다.
또한, 개구(41b)는, 용기 본체(33)의 중심에 대해서 동심 형상 및 등간격인 복수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개구군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각 개구의 개구 직경을 집진실(44)에 유입된 실 부스러기 및 솜 뭉치 등의 섬유 형상의 진애가 분리부(43)로 복귀되는 것을 차단하기에 충분히 작은 적당한 값(예를 들어, 직경 5㎜ 이하)으로 하면, 여과 부재(53)는 구비될 필요가 없다.
간극(39) 및 개구(41b)는 용기 본체(33)의 중심의 주위를 반드시 전체 둘레에 걸쳐 구비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는, 간극(39)은 용기 본체(33)의 내주를 따라 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41b)는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의 둘레에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진애 분리 집진부(7C)는, 전동 송풍기(8)가 운전을 개시하면 토출관(35)을 통해 배기 풍로(42)에 부압이 작용한다. 이 배기 풍로(42)의 부압은 개구(37a)를 통해 분리부(43)에 작용한다. 또한, 분리부(43)의 부압은 흡입관(34)을 통해 관부(3)에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관부(3)는 피청소면 위의 진애와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관부(3)가 흡입한 함진 공기는, 관부(3)를 통해 반대로 거슬러 올라가 진애 분리 집진부(7C)에 유입된다.
진애 분리 집진부(7C)에 유입된 함진 공기는, 흡입관(34)에 의해 용기 본체(33)의 내주면을 향하여 분리부(43)에 유입되어 선회류(F)를 발생한다. 이 선회류(F)는 함진 공기를 공기와 진애로 원심 분리한다. 분리된 진애 및 먼지는 공기에 비해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회한다. 한편, 분리된 공기의 일부는, 선회류(F)의 소용돌이의 중심 근방에 위치된 개구(48a)를 통과하여 내통(48)의 내부 공간 및 개구(37a)를 통과하여 배기 풍로(42)에 이른다(도 7에서, 실선 화살 Fe). 분리된 공기의 잔량부 및 분리된 진애는, 용기 본체(33)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간극(39)을 통과하여 집진실(44)에 유입된다.
집진실(44)에서는 선회류(F)의 중심인 용기 본체(33)의 중심선(C)에 가까울수록 유속이 저하되고 압력이 회복되기 때문에, 집진실(44) 내부의 공기는 분리벽(41C)의 개구(41b)를 통과하여 용기 본체(33)와 분리벽(41C)의 간극(39)에 송풍된다. 한편, 진애에 포함되는 섬유 형상의 진애 및 먼지는, 분리부(43) 및 집진실(44) 내부를 선회하고 있는 동안에 통합되고, 개구(41b)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과할 수 없게 되어 그 주위에 포획된다.
개구(41b)를 통해 간극(39)으로 불어 들어온 공기의 일부는, 선회류(F)에 포획되어 다시 집진실(44)에 유입되는 순환류(Fc)를 발생한다. 순환류(Fc)는 분리벽(41C)의 개구(41b) 또는 여과 부재(53)가 포착하는 섬유 형상의 진애를 서서히 밀어 한데 모아 밀도를 높인다. 또한, 개구(41b)를 통해 간극(39)으로 불어 들어온 공기에는 개구(41b) 및 여과 부재(53)를 통과하기에 충분히 작은 미세한 입자 형상의 세진이 포함되고, 순환류(Fc)는 이 세진을 간극(39)으로부터 집진실(44)에 다시 유입하게 한다. 다시 집진실(44)에 유입된 세진은, 분리벽(41C)의 개구(41b) 또는 여과 부재(53)에 대해 함께 가압되어 밀도가 높아진 섬유 형상의 진애 및 먼지에 의해 포획된다.
다음으로,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애 분리 집진부(7C)의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애 분리 집진부(7D)에서 진애 분리 집진부(7C)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D)(집진 장치)는, 용기 본체(33A)의 타단부(33b)측의 집진실(44)(제1 공간)과 흡입관(34)이 접속되는 분리부(43)(제2 공간)를 이격하는 두께를 갖는 분리벽(41D)을 구비한다. 또한, 진애 분리 집진부(7D)는 용기 본체(33A)의 타단부(33b)측을 면하는 분리벽(41D)의 표면의 대략 중심에 있는 돌출부(55)를 구비한다.
분리벽(41D)은 단순한 판 형상의 것이 아니라, 용기 본체(33A)의 중심선(C)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41d)에 의해 형성된 두께가 있는 원반 형상을 갖고, 분리부(43)와 집진실(44)을 이격하는 간극(39A)을 형성한다. 분리벽(41D)의 개구(41b)는, 분리벽(41D) 내부 공간 및 개구(41c)를 거쳐 간극(39A)에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개구(41c)는 측면(41d)에 위치된다. 측면(41d)은 용기 본체(33A)의 내주면에 대향한다.
또한, 용기 본체(33A)는 분리벽(41D)의 근방으로부터 타단부(33b)측 상의 용기 본체(33A)의 일부의 직경을 불연속으로 증가시켜 형성된 단차부(57)를 구비한다.
진애 분리 집진부(7D)에서, 분리부(43)와 집진실(44)을 이격하는 분리벽(41D)의 두께 및 단차부(57)는 간극(39A)에 도달하는 선회류(F)의 백-플로우가 분리부(43)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55)는 분리벽(41D)으로부터 용기 본체(33A)의 덮개(46)에 도달하도록 연장된다.
돌출부(55)는 그 측면에 분리벽(41D)의 내부 공간 및 개구(41c)를 거쳐서 집진실(44)과 간극(39A)을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개구(55a)를 갖는다. 개구(55a) 및 그 후 돌출부(55)의 내부 공간 및 분리벽(41D)의 내부 공간을 통과해서 간극(39A)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돌출부(55)는 집진실(44) 내부의 진애 및 먼지를 집진실(44)의 중심측으로 함께 모은다. 이 개구(55a)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 및 개구(41b)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돌출부(55)는 진애의 적층 방향의 가이드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발휘한다. 여과 부재(61)(제2 여과부)는 개구(55a)를 막아, 개구(55a)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집진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1)의 진애 분리 집진부(7E)에서 진애 분리 집진부(7D)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E)(집진 장치)는 돌출부(55B)의 측면으로부터 용기 본체(33A)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애 포획벽(62)을 구비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C, 7D, 7E)에서, 진애의 원심 분리를 행하는 분리부(43)와 진애의 축적을 행하는 집진실(44) 사이에 분리벽(41C, 41D)이 구비되고, 또한 분리벽(41C, 41D)의 개구(41b)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해 집진실(44) 내부의 공기를 용기 본체(33, 33A)와 분리벽(41C, 41D) 사이의 간극(39, 39A)으로 배출한다. 이에 따라, 진애가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C, 7D, 7E)는, 개구(41b)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과하여 집진실(44)로부터 간극(39, 39A)에 유입되는 세진을 순환류(Fc)에 의해 다시 집진실(44)로 복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C, 7D, 7E)는 개구(41b)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분리벽(41C, 41D)에 대해 섬유 형상의 진애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C, 7D, 7E)는 순환류(Fc)에 의해 다시 집진실(44)로 복귀되는 세진을, 분리벽(41C, 41D)에 대해 가압되어 밀도가 높아진 섬유 형상의 진애에 의해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여, 개구(41b) 또는 여과 부재(53)를 통과 가능한 세진을 집진실(44) 내부에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C, 7D, 7E)는 개구(41b)로부터 간극(39, 39A)에 유입되는 공기를 순환류(Fc)에 의해 다시 집진실(44)에 유입한다. 이에 따라, 유속이 저하되는 용기 본체(33, 33A)의 중심부에서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로 이 공기가 직선적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즉, 세진이 집진실(44)로부터 분리부(43)로 직선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D, 7E)는, 개구(41b) 및 개구(55a)의 주위에 대량의 섬유 형상의 진애를 포획하여 가압할 수 있다. 진애 분리 집진부(7D, 7E)는 개구(41b) 및 개구(55a)의 주위에 대량의 섬유 형상의 진애를 가압하여 밀도를 높임으로써 세진을 더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진애 분리 집진부(7D, 7E)에서 돌출부(55)의 주위에 진애 및 먼지는 도넛 형상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집진실(44)로부터 진애를 폐기할 때, 용기 본체(33A)의 덮개(46)를 개방하면 도넛 형상의 진애 덩어리가 돌기부(55)로부터 빠져 나가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진애 분리 집진부(7E)에서, 진애 포획벽(62)에 의해 돌출부(55B) 주위의 유속이 저하되어 섬유 형상의 진애의 축적을 촉진하고, 또한 대량의 섬유 형상의 진애를 포획하여 함께 가압할 수 있다. 진애 분리 집진부(7E)에서, 함께 가압된 섬유 형상의 진애의 양이 커지기 때문에 순환류(Fc)에 포함되는 세진을 매우 대량으로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 및 진애 분리 집진부(7C, 7D, 7E)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3, 33A) 내부에 발생하는 선회류(F)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를 행하는 동시에 원심 분리된 진애 및 먼지의 축적을 행함과 함께, 일단 축적한 진애를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1) 및 진애 분리 집진부(7, 7A, 7B, 7C, 7D, 7E)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3, 33A) 내부에 발생하는 선회류(F)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를 행하는 동시에 원심 분리된 진애의 축적을 행함과 함께, 일단 축적한 진애를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진공 청소기는 캐니스터형의 전기 진공 청소기(1)에 한정되지 않고, 직립형(upright), 스틱형, 또는 핸디형 등의 전기 진공 청소기이어도 좋다.
몇 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단지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신규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및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기술 사상을 포함하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 전기 진공 청소기
2 : 진공 청소기 본체
3 : 관부
5 : 본체 케이스
6 : 차륜
7, 7A, 7B, 7C, 7D, 7E : 진애 분리 집진부
8 : 전동 송풍기
9 : 본체 제어부
11 : 전원 코드
12 : 본체 접속구
14 : 전원 플러그
19 : 접속관
21 : 집진 호스
22 : 손잡이측 조작관
23 : 파지부
24 : 조작부
24a : 정지 스위치
24b : 기동 스위치
25 : 연장관
26 : 흡입구체
28 : 흡입구
29 : 회전 청소체
31 : 전동기
33, 33A : 용기 본체
33a : 일단부
33b : 타단부
34 : 흡입관
35 : 토출관
37 : 구획벽
37a : 개구
38 : 플리츠 필터부
39, 39A : 간극
41, 41A, 41B, 41C, 41D : 분리벽
41a, 41b, 41c : 개구
41d : 측면
42 : 배기 풍로
43 : 분리부
44 : 집진실
46 : 덮개
48 : 내통
48a : 개구
51 : 여과 부재
53 : 여과 부재
55, 55B : 돌출부
55a : 개구
56 : 리브
57 : 단차부
58 : 내통 덮개
61 : 여과 부재
62 : 진애 포획벽

Claims (16)

  1. 바닥이 있는(closed-end)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를 따르는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보다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부측에 근접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접속되는 토출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대략 중심에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벽과,
    상기 흡입관의 접속 부분보다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분리벽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의 외측에 제2 개구를 포함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집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의 제1 공간을 상기 흡입관이 접속되는 제2 공간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집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분리벽 사이의 간극을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의 제1 공간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를 폐쇄하는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을 대면하는 상기 분리벽의 면에 구비되는, 집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의 제1 공간을 상기 흡입관이 접속되는 제2 공간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두께를 갖는, 집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되는, 집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에 대해 등간격 및 동심 형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개구로 형성되는, 집진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을 대면하는 상기 분리벽의 면의 대략 중심에 구비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부측의 제1 공간을 상기 흡입관이 접속되는 제2 공간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분리벽 사이의 간극을 상기 흡입관이 접속되는 제1 공간에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를 폐쇄하는 제2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애 포획벽을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분리벽의 근방으로부터 타단부측의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의 직경을 불연속으로 증가시켜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는, 집진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를 폐쇄하는 제3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집진 장치와,
    상기 집진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진공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진공 청소기.
KR1020127022192A 2010-02-26 2011-02-25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 KR101399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3321A JP5405351B2 (ja) 2010-02-26 2010-02-26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JP-P-2010-043322 2010-02-26
JPJP-P-2010-043321 2010-02-26
JP2010043322A JP5405352B2 (ja) 2010-02-26 2010-02-26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PCT/JP2011/054334 WO2011105562A1 (ja) 2010-02-26 2011-02-25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312A true KR20120125312A (ko) 2012-11-14
KR101399752B1 KR101399752B1 (ko) 2014-05-27

Family

ID=4450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192A KR101399752B1 (ko) 2010-02-26 2011-02-25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40206B1 (ko)
KR (1) KR101399752B1 (ko)
CN (1) CN102858218B (ko)
RU (1) RU2526008C2 (ko)
WO (1) WO20111055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982B1 (ko)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KR101534981B1 (ko)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3513A (en) * 2010-09-13 2012-03-14 Chunju Electric Hk Ltd Vacuum cleaner cyclone
DE102015101107A1 (de) * 2015-01-27 2016-07-28 Miele & Cie. Kg Abscheidebehälter für einen Staubsauger
CN204618101U (zh) * 2015-04-28 2015-09-09 江苏美的春花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吸尘器的尘桶组件和具有其的吸尘器
CN108463151B (zh) 2015-11-10 2021-07-23 创科实业有限公司 手持式真空清洁器
FR3048172B1 (fr) * 2016-02-26 2018-06-22 Seb Sa Dispositif anti-recirculation
JP7104545B2 (ja) * 2018-04-11 2022-07-21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CN112674644B (zh) * 2019-10-18 2023-08-04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旋风分离装置及清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239A (ja) 1995-12-13 1997-06-17 Tsutomu Nozaki 高さを極力低くした円錐部なしサイクロン
JP2000317348A (ja) * 1999-05-06 2000-11-21 Mitsuhiro Sekino 遠心・慣性効果型分級方式
US6221134B1 (en) * 1999-07-27 2001-04-24 G.B.D.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a cyclonic fluid flow
JP3476076B2 (ja) * 2000-08-10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667219B2 (ja) * 2000-10-04 2005-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3788589B2 (ja) * 2001-09-20 2006-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0607439B1 (ko) * 2004-08-23 2006-08-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07440B1 (ko) * 2004-09-13 2006-08-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JP2006346141A (ja) * 2005-06-16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6346140A (ja) * 2005-06-16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CN1751800A (zh) * 2005-09-20 2006-03-29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旋风分离装置
US20080264015A1 (en) * 2007-04-30 2008-10-30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st compressing apparatus of vacuum cleaner
JP5405352B2 (ja) * 2010-02-26 2014-02-05 株式会社東芝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982B1 (ko)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KR101534981B1 (ko)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2141042A (ru) 2014-04-10
CN102858218A (zh) 2013-01-02
RU2526008C2 (ru) 2014-08-20
EP2540206A4 (en) 2013-07-31
CN102858218B (zh) 2015-08-26
EP2540206A1 (en) 2013-01-02
EP2540206B1 (en) 2015-03-25
WO2011105562A1 (ja) 2011-09-01
KR101399752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752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
RU2253346C1 (ru) Циклонное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JP3699679B2 (ja) 電気掃除機
JP2005305114A (ja) 掃除機用集塵装置
JP2004321777A (ja) 真空掃除機用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6297051A (ja) 真空掃除機用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真空掃除機
KR101379054B1 (ko) 집진 장치 및 진공 청소기
KR101390549B1 (ko) 전기 청소기
JP5164944B2 (ja) 電気掃除機
JP4169735B2 (ja) 電気掃除機
JP5405351B2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5487041B2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6158072B2 (ja) 電気掃除機
JP2004255119A (ja) 電気掃除機
JP6800566B2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7125416A (ja) 電気掃除機
JP2007021176A (ja) ゴミ分離装置
JP5405352B2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5077473B1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2009072627A (ja) 電気掃除機
JP2007313057A (ja) 電気掃除機
JP5666849B2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4065698A (ja) 電気掃除機
JP4783207B2 (ja) 電気掃除機の集塵装置
JP2020146515A (ja) 塵埃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