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981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981B1
KR101534981B1 KR1020130163726A KR20130163726A KR101534981B1 KR 101534981 B1 KR101534981 B1 KR 101534981B1 KR 1020130163726 A KR1020130163726 A KR 1020130163726A KR 20130163726 A KR20130163726 A KR 20130163726A KR 101534981 B1 KR101534981 B1 KR 101534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ntainer body
filtration filter
vacuum clean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308A (ko
Inventor
야스시 다카이
기요시 에베
히토시 스즈키
겐지 고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52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1765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523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9490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11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Abstract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의 내부에 있는 원통 형상의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제안한다.
전기청소기(1)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5)와, 용기 본체(35)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기 본체(35) 내에 수납되며 용기 본체(35)와의 사이에 환상의 분리실(51)을 형성하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제1 여과 필터부(37)보다 대직경이고, 용기 본체(35)보다도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한쪽 단부에 인접되어, 분리실(51)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52)을 형성하는 격리부(38)와,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4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는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어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를 구비하는 원심분리방식의 전기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분리실내에 발생하는 선회류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원심 분리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23604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77294호
그러나, 전기청소기가 흡입하는 먼지에는 입자형상이나 분말상의 먼지 이외에, 실찌꺼기나 모발과 같은 섬유상의 먼지가 포함된다. 그리고, 여과 필터부의 외주 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는 우발적으로 여과 필터부에 감긴다.
일단,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면 풀어내기는 곤란하다.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긴 경우에는 전기청소기의 사용자는 섬유상의 먼지를 가위 등으로 절단하거나 강하게 잡아당겨 떼어내어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어, 여과 필터의 보수면 및 위생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원통 형상의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내에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부와, 상기 여과 필터부보다 대직경이고,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한쪽의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격리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 및 상기 격리부를 각각 별개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원통 형상의 여과 필터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비교 설명을 위한 종래 도면을 포함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청소기이다. 전기청소기(1)는 피청소면상을 주행할 수 있는 청소기 본체(2)와,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로운 관부(3)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2)와 관부(3)는 연통 접속된다.
청소기 본체(2)는 본체 케이스(5), 본체 케이스(5)의 좌우 양측방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바퀴(6), 본체 케이스(5)의 전반부에 배치되는 착탈 자유로운 먼지분리 집진장치(7), 본체 케이스(5)의 후반부에 수납되는 전동송풍기(8), 주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9) 및 전동송풍기(8)로 전력을 인도하는 전원 코드(11)를 구비한다.
청소기 본체(2)는 전원 코드(11)를 거쳐 공급되는 전력으로 전동송풍기(8)를 구동하고, 전동송풍기(8)의 구동에 수반되는 부압(負壓)을 관부(管部)(3)에 작용시키고, 관부(3)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이하, 「먼지포함공기」라고 함)을 흡입하고,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분리후의 먼지를 포집하여 축적하며 분리 후의 공기를 배기한다.
본체 케이스(5)의 정면 부분에는 본체 접속구(12)가 설치된다. 본체 접속구(12)는 청소기 본체(2)로의 먼지포함공기의 입구이고, 관부(3)와 먼지분리 집진장치(7)를 연통 접속한다.
본체 케이스(5)의 양 측면에 설치된 바퀴(6)는 대직경의 주행바퀴로, 청소기 본체(2)를 지지한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동송풍기(8)가 발생시키는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관부(3) 및 본체 접속구(12)를 거쳐 유입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이하, 「먼지포함공기」라고 언급한다)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고 포집하여 축적한다. 한편,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먼지가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 전동송풍기(8)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청소기 본체(2) 밖으로 배기한다.
여기에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원심분리방식을 채용하고, 선회류에 의해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
본체 제어부(9)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각종 연산 프로그램,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장치(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기억장치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를 기억한다.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는 조작부(24)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한다.
각각의 운전모드는 서로 다른 입력값(전동송풍기(8)의 입력값)으로 설정된다. 본체 제어부(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임의의 운전모드를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모드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기억장치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운전모드에 따라서 전동송풍기(8)를 제어한다.
전원코드(11)의 자유단부에는 삽입 플러그(14)가 설치되어 있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로부터의 흡입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으로부터 먼지포함공기를 흡입하여 청소기 본체(2)로 안내한다. 관부(3)는 청소기 본체(2)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이음매로서의 접속관(19), 접속관(19)에 연통 접속되는 집진 호스(21), 집진 호스(21)에 연통 접속되는 손잡이 조작관(22),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23), 손잡이부(23)에 설치되는 조작부(24), 손잡이 조작관(22)에 착탈 자유롭에 접속되는 연장관(25) 및 연장관(25)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는 흡입구체(26)를 구비한다.
접속관(19)은 본체 접속구(12)에 대해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이고, 본체 접속구(12)를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
집진 호스(21)는 길고 가요성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호스이다. 집진 호스(21)의 한쪽 단부(여기에서는, 먼지포함공기가 흐르는 방향에서의 하류측의 단부)는 접속관(19)에 연통 접속된다.
손잡이 조작관(22)은 집진 호스(21)와 연장관(25)을 중계한다. 손잡이 조작관(22)의 한쪽 단부(하류측 단부)는 집진 호스(21)의 다른쪽 단부(상류측의 단부)에 연통 접속된다.
손잡이부(23)는 전기청소기(1)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쥘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이루고, 손잡이 조작관(22)으로부터 돌출된다.
조작부(24)는 복수의 운전모드에 대응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4)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정지조작에 대응되는 정지 스위치(24a)와, 전동송풍기(8)의 운전개시조작에 대응되는 기동 스위치(24b)를 구비한다.
정지 스위치(24a) 및 기동 스위치(24b)는 본체 제어부(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기청소기(1)의 사용자는 조작부(24)를 조작하여 전동송풍기(8)의 운전모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동 스위치(24b)는 전동송풍기(8)의 운전 중에, 운전 모드의 선택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이 경우, 본체 제어부(9)는 기동 스위치(24b)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취할 때마다 운전 모드를 강→중→약→강→……의 순으로 전환한다. 또한, 조작부(24)는 기동 스위치(24b)를 대신하여 약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중운전 스위치(도시 생략) 및 강운전 스위치(도시 생략)를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연장관(25)은 신축 가능한 세로로 긴 대략 원통 형상의 관이다. 연장관(25)은 복수의 통형상체를 겹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를 갖는다. 연장관(25)의 한쪽 단부(하류측 단부)와 손잡이 조작관(22)의 다른쪽 단부(상류측의 단부)는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를 구비한다. 연장관(25)은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
흡입구체(26)는 나무바닥이나 카펫 등의 피청소면상을 주행 자유로운 또는 활주 자유로운 구조를 갖고, 주행 상태 또는 활주 상태에서 피청소면에 대향하는 저면에 흡입구(28)를 구비한다. 또한, 흡입구체(26)는 흡입구(28)에 배치되는 회전 자유로운 회전청소체(29)와, 회전청소체(29)를 구동시키는 전동기(31)를 구비한다.
흡입구체(26)의 한쪽 단부(여기에서는, 하류측의 단부)는 연장관(25)의 다른쪽 단부(상류측 단부)에 착탈 자유로운 이음매 구조를 구비한다. 흡입구체(26)는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및 접속관(19)을 통하여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연통 접속된다. 즉, 흡입구체(26), 연장관(25), 손잡이 조작관(22), 집진 호스(21), 접속관(19) 및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동송풍기(8)로부터 흡입구(28)에 도달하는 흡입풍로를 형성하고 있다.
전기청소기(1)는 기동 스위치(24b)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으로 전동송풍기(8)를 시동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청소기(1)는 전동송풍기(8)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24b)가 조작되면, 우선 전동송풍기(8)를 강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다시 기동 스위치(24b)의 조작으로 전동송풍기(8)를 중운전 모드로 운전하며, 다시 기동 스위치(24b)의 조작에 의해 전동송풍기(8)를 약운전 모드로 운전하고 이하 동일하게 반복한다.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및 약운전 모드는 미리 설정되는 복수의 운전 모드이며, 강운전 모드, 중운전 모드, 약운전 모드의 순으로 전동송풍기(8)에 대한 전력입력값이 작다. 시동한 전동송풍기(8)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부터 공기를 배기하여 그 내부를 부압(負壓)으로 한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 내의 부압은 본체 접속구(12), 접속관(19), 집진 호스(21), 손잡이 조작관(22), 연장관(25) 및 흡입구(2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흡입구체(26)의 흡입구(28)에 작용한다. 전기청소기(1)는 흡입구(28)에 작용한 부압에 의해 피청소면상의 먼지를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피청소면을 청소한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기청소기(1)에 흡입된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여 축적한다. 한편,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분리된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보낸다.
다음에,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주 형상을 이룬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용기 본체(35), 흡입관(36),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 여과 필터부(39), 회전 지지부(41), 덮개벽(42), 토출관(43)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구비한다.
또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청소기 본체(2)에 장착 상태에서의 자세로서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수직방향으로 향해도 좋고 수평방향으로 향해도 좋으며 또는 다른 임의의 각도로 기울여 배치되어도 좋다.
용기 본체(35)는 도시한 상방의 단부에 개방단(47) 및 하방의 단부에 폐색단(48)을 구비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룬다. 용기 본체(35) 내부에는 먼지포함공기를 먼지와 공기로 원심 분리하는 분리실(51)과, 분리된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 형성된다.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의 측벽(35a)의 개방단(47)측으로 치우쳐 용기 본체(35)에 연통 접속되고, 먼지포함공기를 먼지분리 집진장치(7)내에 유입시키는 입구가 된다.
흡입관(36)은 관부(3)로부터 먼지분리 집진장치(7)로 유입되는 공기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용기 본체(35)내로 인도하고,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킨다. 흡입관(36)은 측벽(35a)에 일체 성형된다.
또한, 흡입관(36)은 용기 본체(35) 내에 선회류(F)를 발생시키는 한,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직교하는 평면, 예를 들어 중심선(C)이 연직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의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단부)는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설치한 덮개벽(42)에 인접된다.
제1 여과 필터부(37)는 용기 본체(35) 내에 수납되며, 원통 형상부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원통 형상부 내주면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51)을 형성하고 있고, 제1 여과 필터부(37)는 먼지분리 집진장치(7)의 1차 필터가 된다.
분리실(51)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을 구획하고, 선회류(F)를 발생시켜 먼지포함공기로부터 먼지와 공기를 분리한다. 그리고, 전동송풍기(8)의 시동직후나 정지 과도기 등 분리실(51) 내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 또한 선회류(F)가 발달한 후에도 당연히, 용기 본체(35)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는 먼지의 유출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 크게 개구되는 원통 형상의 보형틀(53)과, 보형틀(53)에 설치되는 제1 여과 필터(55)를 구비하고, 제1 여과 필터(55)는 보형틀(53)을 둘러싸도록 하여 원통 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보형틀(53)은 제1 여과 필터(55)를 원통 형상으로 유지한다. 보형틀(53)은 원통 형상의 측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직선형상의 틀부재(56)와, 틀부재(56)에 연결되어 원통 형상의 양단부 각각의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환형상의 틀부재(57)를 구비한다.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보다 대직경이고, 용기 본체(35)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룬다.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인접된다. 격리부(38)는 개구(58)를 갖고 또한 서로 인접하는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간극(59)에 의해 연통 접속시킨 상태로 구획되어 있다.
격리부(38)의 개구(58)는 격리부(38)의 외주 가장자리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과의 환형상의 간극(59)보다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가깝고, 간극(59)과 동일하게 분리실(51)과 집진실(52)을 연통 접속하고 있다.
격리부(38)보다도 용기 본체의 하방(저면)측의 공간은 분리실(51)로부터 간극(59)을 통하여 유입되는 먼지를 축적하는 집진실(52)이다. 간극(59)은 분리실(51) 내에서 발생하는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하고, 개구(58)는 집진실(52) 내에 인도된 선회류(F)를 분리실(51)로 복귀시킨다.
또한, 격리부(38)는 도 2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5)의 저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2점 쇄선으로 도시한 격리부(38)의 원통 형상의 측벽(63)의 외주면은 용기 본체(35)와의 사이에 간극(61)을 형성하고, 또한 격리부(38)의 하단과 용기 본체(35)의 저면 사이에는 간극(62)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실(51) 및 집진실(52)은 간극(59, 61, 62)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간극(61)은 용기 본체(35)의 내주면, 격리부(38)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간극(59, 61, 62)은 분리실(51)내에서 발생한 선회류(F)를 먼지와 함께 집진실(52)로 인도한다.
격리부(38)의 개구(58)에 설치된 복귀 여과 필터부(39)는 집진실(52)에 유입된 실찌꺼기나 솜먼지 등의 섬유상의 먼지가 분리실(51)로 되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눈이 성긴 것, 예를 들어 메시 필터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지지부(41)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41)는 용기 본체(35)의 저부에 설치되는 제1 축심 유지부(65)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측에 배치되는 제2 축심 유지부(66)와, 제1 축심 유지부(65)와 제2 축심 유지부(66) 사이를 가로지르는 축심부(67)와,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68)과,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69)을 구비한다.
제1 축심 유지부(65) 및 제2 축심 유지부(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상에, 봉형상의 축심부(67)를 지지하는 보스((boss)이다.
제2 축심 유지부(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2 축심 유지부(66)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뼈대부재(71)에 의해 덮개벽(42) 또는 토출관(43)에 고정된다. 복수의 뼈대부재(71) 사이의 공간은 제1 여과필터부(37)의 내측으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통과시킨다.
축심부(67)는 제1 축심 유지부(65)와 제2 축심 유지부(66) 사이를 가로질러 용기 본체(35)에 대해서 고정된다. 축심부(67)는 용기 본체(35) 저부의 제1 축심 유지부(65)로부터 격리부(38)에 도달하는 제1 축심 절반부(72)와, 제1 축심 절반부(72)에 이어져 제2 축심 유지부(66)에 도달하는 제2 축심 절반부(73)를 구비한다.
제1 축심 절반부(72)는 격리부(38)를 지지하고, 격리부(38)를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비회전으로 고정한다. 제1 축심 절반부(72)는 집진실(52) 내에 배치되어 있고, 분리실(51)측으로부터 집진실(52)측으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는 저항체(75)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체(75)는 제1 축심 절반부(72)로부터 용기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판형상을 이룬다. 저항체(75)는 제1 축심 절반부(72) 주위의 공기류를 흐트러트려, 집진실(52) 내의 먼지를 제1 축심 절반부(72)의 주위에 체류시키거나 엉겨붙게 하여 집진실(52) 내에서의 먼지의 집진을 촉진시킨다.
또한, 저항체(75)는 제1 축심 절반부(72) 이외에, 용기 본체(35)의 저부에 용기 본체(35)와 일체 성형되어도 좋고, 용기 본체(35)의 내주면측에 치우쳐 설치되어도 좋다.
제2 축심 절반부(73)는 금속제이고 제1 베어링(68) 및 제2 베어링(69)을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 자유롭게 유지한다.
제1 베어링(68) 및 제2 베어링(69)은 윤활유가 함침된 슬라이딩 베어링이고, 자기 윤활성을 발휘하는 소위 오일리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여과 필터부(37)는 제1 베어링(68)을 유지하는 제1 베어링 유지부(76)와, 제2 베어링(69)을 유지하는 제2 베어링 유지부(77)를 구비한다.
제1 베어링 유지부(76)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를 막는 저벽(37a)에 설치된다.
제2 베어링 유지부(77)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에 대해서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2 베어링 유지부(77)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뼈대부재(78)에 의해 제1 여과 필터부(37)에 고정된다.
복수의 뼈대부재(78) 사이의 공간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통과시킨다.
제1 여과 필터부(37)는 회전 지지부(4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 즉 선회류(F)를 받아 회전된다. 선회류(F)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과정이나 제1 여과 필터(55)를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 여과 필터부(37)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는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대략 동심의 개구(42a)를 갖는다. 개구(42a)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의 공간과 토출관(43) 내를 연통 접속시킨다.
제1 여과 필터부(37)와 격리부(38)의 인접 부분에는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는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79)가 설치된다.
제1 여과 필터부(37)를 덮개벽(4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덮개벽(42)과 제1 여과 필터부(37)의 인접 부분에는 분리실(51)측으로부터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 공간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해하는 시일부(81)가 설치된다.
가령, 제1 여과 필터부(37)와 덮개벽(42)의 미소한 간극에 먼지 등이 들어가면, 제1 여과 필터부(37)는 회전을 저해받는다. 그래서, 시일부(81)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덮개벽(42)의 미소한 간극에서의 공기의 유통 또는 먼지의 침입을 방해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확실한 회전을 확보한다. 시일부(81)는 예를 들어 소위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를 이룬다.
토출관(43)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고, 덮개벽(42)을 덮어 가린다. 토출관(43)은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서의 공기의 출구이고, 제1 여과 필터부(37) 및 제2 여과 필터부(45)를 통과하는 공기를 전동송풍기(8)로 송출하는 배기 풍로(82)가 된다.
제2 여과 필터부(45)는 덮개벽(42)의 개구(42a)로부터 배기 풍로(82)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제2 여과 필터부(45)는 전동송풍기(8)의 시동 직후나 정지 직후 등 분리실(51)의 선회류(F)가 충분히 발달해 있지 않은 기간에, 제1 여과 필터부(37)를 투과하는 미세한 입자형상의 미세 먼지를 포집하고 미세한 입자형상의 미세 먼지가 전동송풍기(8)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여과 필터부(45)는 원반 형상을 이루고 중심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산 부분과 골짜기 부분이 번갈아 나열되는 플리티드 필터(pleated filter)이다.
제1 여과 필터부(37), 격리부(38), 복귀 여과 필터부(39) 및 회전 지지부(41)는 덮개벽(42) 및 토출관(43)에 일체화되어 있고,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으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용기 본체(35) 내로 수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제1 여과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서의 제1 여과 필터부(37)에는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을 받기 위한 날개판(83)을 구비한다.
날개판(83)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주측에 설치되고, 제1 여과 필터부(37)의 중심선, 즉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향하여 연장된다. 날개판(83)은 보형틀(53)에 일체화되어 있다. 날개판(83)은 제1 여과 필터(55)를 통과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받아 제1 여과 필터부(37)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이어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우선 제1 실시형태와의 비교를 위해 도 4, 도 5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10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제1 여과 필터부(102)를 구비하는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의 (a), (b) 및 (c)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서는 먼지분리 집진장치(105)에 제1 여과 필터부(102)의 외주 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의해 유입되면, 먼지(fi)의 한쪽의 단부가 여과 필터(106)에 끼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서는 용기 본체(101)에 대해서 제1 여과 필터부(102)가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가 여과 필터(106)에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흐르는 채로 여과 필터(106)에 감기기 시작한다.
결국에는 도 4의 (c)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의 먼지(fi)가 여과 필터(106)에 감겨 용이하게는 풀리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의 (a), (b), (c) 및 (d)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있어서도 먼지분리 집진장치(7)에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길이를 초과하는 긴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의해 유입되면, 먼지(fi)의 한쪽의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에 끼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에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가 선회류(F)에 흐르는 채로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기기 시작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부(37)가 선회류(F)에 수반되어 회전하므로(도 6 중, 실선 화살표 R), 제1 여과 필터(55)가 부착된 섬유상의 먼지(fi)와 함께 회전하고 또한 선회류(F)에 흐르는 먼지(fi)와 제1 여과 필터(55)의 상대적인 속도차가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비하여 작고,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길 때까지는 분리실(51)내에서 보다 장시간, 보다 장거리로 흐르게 된다.
먼지(fi) 및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이 계속되고 있는 한중간에, 선회류(F)의 약간의 흐트러짐 등을 계기로 하여,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지(fi)의 한쪽 단부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또는 탈락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에 비하여 먼지(fi)와 제1 여과 필터(55)의 상대적인 속도차가 작고,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에 감길 때까지 보다 장시간, 보다 장거리의 여유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선회류(F)의 약간의 흐트러짐 등을 계기로 여러 차례 조우(遭遇)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또는 탈락할 기회가 상당한 정도로 높아진다.
그리고, 결국에는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유상의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55)로부터 이탈, 탈락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진실(52)에 축적된다.
그런데, 선회류(F)는 일주할 때마다 흡입관(36)으로부터 분리실(51)로 유입되는 신규의 먼지함유공기에 합류하면서,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방향, 다시 말하면 제1 여과 필터(55)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풍향을 변화시킨다. 풍향을 변화시킨 선회류(F)의 일부는 제1 여과 필터(55)를 통과하고 먼지분리 집진장치(7) 밖으로 인도된다.
이 과정에서 도 4의 종래의 전기청소기(104)의 경우, 회전하지 않는 여과 필터(10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여과 필터(106)의 대략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여과 필터(106)의 해당 부분에는 서서히 먼지가 부착되고 이윽고 필터 눈이 막히게 된다. 여과 필터(106)의 특정 부분에 눈막힘이 일어나면 눈막힘 부분의 유속이 저하되고, 또한 범위가 넓어져 결국에는 여과 필터(106) 전체의 눈막힘을 유발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55)를 선회류(F)에 수반하여 회전시키므로,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제1 여과 필터(55)의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지 않고, 통과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 널리 분산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55)의 어느 좁은 범위에서 눈막힘이 일어나기 어려워 통기성을 유지하기 쉽고, 더 나아가 제1 여과 필터(55) 전체의 통기성을 유지하기 쉽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내에 회전 자유로운 제1 여과 필터부(37)를 구비하므로, 분리실(51) 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선회류(F)에 의해 회전시키는 부위를 제1 여과 필터부(37)로 좁힘으로써,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 속도를 얻기 쉽고, 선회류(F)에 대한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대적인 속도차를 대폭 감소시켜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선회류(F)에 의해 회전시키는 부위를 제1 여과 필터부(37)로 좁힘으로써 전기청소기(1)의 시동시,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과 선회류(F)의 조속한 동기를 도모하기 쉽고, 시동 과도기에도 선회류(F)에 대한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대적인 속도차를 대폭 감소시켜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 내에 발생하는 선회류(F)로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시키므로, 추가적인 원동기 등의 부재나, 선회류(F)의 유속에 동기시키기 위한 측정기나 제어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증가 수량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에 날개판(83)을 구비하므로, 제1 여과 필터부(37)의 구동토크를 크게 하고, 선회류(F)와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의 회전을 동기시키기 쉽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날개판(83)을 겸비하는 보형틀(53)을 구비함으로써, 제1 여과 필터부(37)의 조립에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주측에 날개판(83)을 구비하므로, 제1 여과 필터(55)의 외주면, 즉 선회류(F)에 노출되는 면에 유속이 복잡한 분포나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제1 여과 필터(55)로의 먼지의 부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집진실(52)내에 저항체(75)를 구비하므로, 집진실(52)내의 먼지의 축적효율을 높이고 보다 다량의 먼지가 덩어리로 뭉쳐 흩어지기 어려움에 의한 폐기 용이화, 청결화를 모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 따르면,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35)의 내부에 있는 원통 형상의 제1 여과 필터(55)에 섬유상의 먼지가 감기기 어려운 전기청소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먼지분리 집진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제1 실시형태에서의 도 2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이한 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은, 제1 여과 필터부와 격리부가 각각 별개로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룬다. 먼지분리 집진장치(7)는 용기 본체(35)와 흡입관(36)과, 제1 여과 필터부(37)와, 격리부(38)와, 복귀 여과 필터부(39)와, 회전 지지부(141)와, 덮개벽(42)과, 토출관(43)과, 제2 여과 필터(45)를 구비한다.
회전 지지부(141)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141)는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측에 배치되는 축심 유지부(166)와, 축심 유지부(166)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는 축심부(167)와,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베어링(168)과,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2 베어링(169)을 구비한다.
축심 유지부(1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상에 봉형상의 축심부(167)를 지지하는 보스이다. 축심 유지부(166)는 용기 본체(35)의 중심선(C)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 축심 유지부(166)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뼈대부재(171)에 의해 덮개벽(42) 또는 토출관(43)에 고정된다.
복수의 뼈대부재(171) 사이의 공간은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부터 토출관(43)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통과시킨다.
축심부(167)는 축심 유지부(166)로부터 돌출되어 제1 여과 필터부(37)를 관통하여 격리부(38)에 도달한다. 축심부(16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축심 유지부(166)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며, 축심부(16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격리부(38)에 고정된다.
축심부(167)는 금속제이고, 제1 베어링(168) 및 제2 베어링(169)을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를 회전 자유롭게 유지한다.
또한, 축심부(167)는 C링(172)을 통하여 축심 유지부(166)에 회전 자유롭게 유지된다. C링(172)은 축심 유지부(166)의 미세 간극(173)에 끼워져 축심부(167)의 홈(175)에 끼워 넣어진다. C링(172)은 축심 유지부(166)로부터 축심부(167)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축심 유지부(166)에 대한 축심부(167)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 베어링(168) 및 제2 베어링(169)은 윤활유가 함침된 슬라이딩 베어링으로, 자기 윤활성을 발휘하는 소위 오일리스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이다.
제1 여과 필터부(37)는 제1 베어링(168)을 유지하는 제1 베어링 유지부(176)와, 제2 베어링(169)을 유지하는 제2 베어링 유지부(177)를 구비한다. 제1 베어링 유지부(176) 및 제2 베어링 유지부(177)는 제1 여과 필터부(37)에 일체 성형되어 슬리브 형상을 이룬다.
제1 베어링 유지부(176)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를 막는 저벽(37a)에 설치된다.
제2 베어링 유지부(177)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상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1 여과 필터부(37)는 회전 지지부(14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분리실(51)을 선회하는 공기의 흐름, 즉 선회류(F)를 받아 회전된다. 선회류(F)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외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과정이나, 제1 여과 필터 (55)를 통하여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1 여과 필터부(37)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격리부(38)는 축심부(167)의 하방의 단부(용기 본체(35)의 폐색단(48)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축심부(167)와 함께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의 개방단(47)을 막는다. 덮개벽(42)은 용기 본체(35)에 대하여 대략 동심의 개구(42a)를 갖는다. 개구(42a)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내측 공간과 토출관(43)을 연통시킨다.
제1 여과 필터부(37)와 격리부(38)의 인접 부분에는 먼지의 침입을 막는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179)가 설치된다.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179)는 제1 여과 필터부(37)의 틀부재(57)의 가장자리와 격리부(38)의 주면(主面)의 접촉에 의한 미소한 힘으로 접촉된다.
즉, 격리부(38)는 선회류(F)에 의해서도 회전하는 한편, 제1 여과 필터부(37)에 접촉되어 제1 여과 필터부(37)로부터도 회전력을 얻는다.
다시 말하면, 격리부(38)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에 종속하여 회전한다.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의 틀부재(57)의 가장자리와 격리부(38)의 주면과의 접촉에 의한 미소한 힘이라는 것은, 선회류(F)에 의한 상호의 상대적인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힘이다.
이어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는 제1 여과 필터(55)를 선회류(F)에 의해 회전시키고, 풍향을 바꾼 선회류(F)의 일부가 제1 여과 필터(55)의 정위치를 계속 통과하지 않고, 통과 부분을 전체 둘레에 걸쳐 넓게 분산시키므로, 분리실(51)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에서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함께 격리부(38)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선회류(F)에 추가하여 격리부(38)에서도 집진실(52)내의 먼지를 교반할 수 있으므로 집진실(52) 내의 먼지 분포밀도의 균질화를 도모하고 먼지의 편중을 해소하여 보다 많은 먼지를 축적할 수 있다.
그런데, 집진실(52) 내의 먼지축적량이 증가하면, 용기 본체(35)와 격리부(38) 사이에 다량의 먼지가 개재되고, 이 먼지가 격리부(38)의 회전을 방해한다. 또한, 집진실(52) 내의 먼지축적량이 소량이어도, 비교적 큰 먼지를 흡입하여 용기 본체(35)와 격리부(38) 사이에 큰 먼지가 끼어 격리부(38)의 회전이 방해받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함으로써 가령 격리부(38)의 회전이 방해받아 정지되었다고 해도, 제1 여과 필터부(37)측의 회전을 유지함으로써, 분리실(51)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fi)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용기 본체(35) 내에 회전 자유로운 제1 여과 필터부(37)를 구비하므로, 분리실(51) 내를 선회하는 먼지, 특히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여과 필터부(37) 및 격리부(38)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먼지의 축적량이 증가하는 등의 원인으로 격리부(38)의 회전이 정지되어도 제1 여과 필터부(37)의 회전을 유지함으로써, 섬유상의 먼지가 제1 여과 필터부(37)에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제1 여과 필터부(37)와 동일한 방향으로 격리부(38)를 회전시키므로, 격리부(38)를 회전시키는 개별적인, 추가적인 원동기 등의 부재나, 선회류(F)의 유속에 동기시키기 위한 측정기나, 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의 증가 수량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청소기(1)는 캐니스터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업라이트형, 스틱형 또는 핸디형 등의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전기청소기 2: 청소기 본체
3: 관부 5: 본체 케이스
6: 주행바퀴 7: 먼지분리 집진장치
8: 전동송풍기 9: 본체 제어부
11: 전원코드 12: 본체 접속구
14: 삽입 플러그 19: 접속관
21: 집진 호스 22: 손잡이 조작관
23: 손잡이부 24: 조작부
24a: 정지 스위치 24b: 기동 스위치
25: 연장관 26: 흡입구체
28: 흡입구 29: 회전청소체
31: 전동기 35: 용기 본체
35a: 측벽 36: 흡입관
37: 제1 여과 필터부 37a: 저벽
38: 격리부 39: 복귀 여과 필터부
41, 141: 회전 지지부 42: 덮개벽
42a: 개구 43: 토출관
45: 제2 여과 필터부 47: 개방단
48: 폐색단 51: 분리실
52: 집진실 53: 보형틀
55: 제1 여과 필터 56, 57: 틀부재
58: 개구 59, 61, 62: 간극
63: 측벽 65: 제1 축심 유지부
66: 제2 축심 유지부 67, 167: 축심부
68, 168: 제1 베어링 69, 169: 제2 베어링
71, 171: 뼈대부재 72: 제1 축심 절반부
73: 제2 축심 절반부 75: 저항체
76, 176: 제1 베어링 유지부 77, 177: 제2 베어링 유지부
78: 뼈대부재 79, 179: 계단 형상 끼워맞춤부
81: 시일부 82: 배기 풍로
83: 날개판 101: 용기 본체
102: 제1 여과 필터부 103: 격리부
104: 전기청소기 105: 먼지분리 집진장치
106: 여과 필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원통 형상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보다 짧은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수납되며, 상기 용기 본체와의 사이에 환형상의 분리실을 형성하는 여과 필터부,
    상기 여과 필터부보다 대직경이고, 상기 용기 본체보다 작은 외경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여과 필터부의 한쪽 단부에 인접되어, 상기 분리실과 서로 이웃하여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집진실을 형성하는 격리부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여과 필터부 및 상기 격리부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를 구비하는 전기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는 상기 여과 필터부에 종속되어 회전하는 전기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부는 상기 여과 필터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여과 필터부로부터 회전력을 얻는 전기청소기.
KR1020130163726A 2013-03-14 2013-12-26 전기청소기 KR101534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2326A JP2014176501A (ja) 2013-03-14 2013-03-14 電気掃除機
JPJP-P-2013-052326 2013-03-14
JP2013052325A JP6494900B2 (ja) 2013-03-14 2013-03-14 電気掃除機
JPJP-P-2013-052325 201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308A KR20140113308A (ko) 2014-09-24
KR101534981B1 true KR101534981B1 (ko) 2015-07-07

Family

ID=5149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726A KR101534981B1 (ko) 2013-03-14 2013-12-26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4981B1 (ko)
CN (1) CN104042166B (ko)
TW (1) TWI5847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512B2 (en) 2015-12-30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982B1 (ko) * 2013-03-14 2015-07-0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JP2016165384A (ja) * 2015-03-10 2016-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102308501B1 (ko) 2015-03-27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1671116B1 (ko) 2015-07-09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물 청소기구
EP3528682B1 (en) 2016-12-13 2022-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GB201706357D0 (en) * 2017-04-21 2017-06-07 Grey Tech Ltd Bagged vacuum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574A (ko) * 2003-02-21 2004-08-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60024147A (ko) * 2004-09-13 2006-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20120125312A (ko) * 2010-02-26 2012-11-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
KR20140113309A (ko) * 2013-03-14 2014-09-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414B1 (ko) * 2002-05-11 2004-05-3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39762B1 (ko) * 2004-03-09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KR100617093B1 (ko) * 2005-03-21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집진장치
CN2889142Y (zh) * 2005-12-05 2007-04-18 苏州金莱克清洁器具有限公司 吸尘器的除尘装置
CN101675871A (zh) * 2008-09-16 2010-03-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器集尘桶
CN101744576A (zh) * 2008-12-19 2010-06-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集尘桶组件的压缩板连接结构
CN201609332U (zh) * 2009-11-20 2010-10-20 宁波富佳实业有限公司 吸尘器旋风分离尘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5574A (ko) * 2003-02-21 2004-08-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20060024147A (ko) * 2004-09-13 2006-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20120125312A (ko) * 2010-02-26 2012-11-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집진 장치 및 전기 진공 청소기
KR20140113309A (ko) * 2013-03-14 2014-09-2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기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512B2 (en) 2015-12-30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42166B (zh) 2017-04-12
CN104042166A (zh) 2014-09-17
KR20140113308A (ko) 2014-09-24
TWI584773B (zh) 2017-06-01
TW201434428A (zh)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981B1 (ko) 전기청소기
US10827890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2124512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 청소기
US20180325339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534982B1 (ko) 전기청소기
US8152877B2 (en) Shroud for a cleaning service apparatus
RU2504324C1 (ru) Электропылесос
EP2540206B1 (en) Dust separating/dust collecting container and electric cleaner
KR101379054B1 (ko) 집진 장치 및 진공 청소기
WO2021126687A1 (en) Vacuum cleaner
CN108968804A (zh) 自清洁真空吸尘器
JP5487041B2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1177294A (ja) 塵埃分離集塵容器および電気掃除機
JP6494900B2 (ja) 電気掃除機
JP6189058B2 (ja) 電気掃除機
JP6453531B2 (ja) 電気掃除機
JP2014176501A (ja) 電気掃除機
JP2016002135A (ja) 電気掃除機
CN111417332B (zh) 包括盘叠式分离器的空气清洁器具
JP2014176502A (ja) 電気掃除機
TWI619466B (zh) 塵埃分離裝置以及電動掃除機
JP5077371B2 (ja) サイクロン分離装置並びに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