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255A - 상이한 유형의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 - Google Patents

상이한 유형의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255A
KR20120123255A KR20127012871A KR20127012871A KR20120123255A KR 20120123255 A KR20120123255 A KR 20120123255A KR 20127012871 A KR20127012871 A KR 20127012871A KR 20127012871 A KR20127012871 A KR 20127012871A KR 20120123255 A KR20120123255 A KR 20120123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rface
push belt
transverse element
transvers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746B1 (ko
Inventor
프란시스 마리아 안토니우스 반 데르 슬루이스
아이리넬 코스민 파라온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23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1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belts, e.g. machine-gun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8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in the form of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2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6)는 적어도 두 가지의 상이한 유형의 횡단 요소(10)를 포함하며, 횡단 요소(10)의 차이는 횡단 요소(10)의 풀리 시브 접촉면(18)에 존재하는 프로파일(24)에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은 적어도 두 가지의 상이한 유형을 지닌 횡단 요소(10)를 사용함에 따라 강화된 견인력, 마모 저감 및 소음 저감을 포함하는 많은 이점이 얻어진다. 프로파일(24)의 설계는 공동(28)의 패턴이 푸쉬 벨트(6)의 접촉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으며, 해당 공동(28)은 오일을 수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공동(28)의 패턴은 무작위 또는 다른 방식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푸쉬 벨트(6)의 접촉면을 따라 연장되는 오일 배출용 경로(29)를 갖출 수 있다.

Description

상이한 유형의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PUSH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TRANSVERSE ELEMENTS}
본 발명은 무단 변속기의 풀리 둘레에 배치되도록 특정되고, 다수의 횡단 요소 및 해당 횡단 요소를 운반하기 위한 링형 캐리어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횡단 요소는 캐리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 및 무단 변속기의 풀리의 일부인 풀리 시브의 접촉면과 맞물리는 접촉면을 가지며, 횡단 요소의 접촉면 상에는 프로파일이 제공되며, 적어도 두 가지 유형의 횡단 요소가 푸쉬 벨트에 존재하며, 한 유형의 횡단 요소의 접촉면 상의 프로파일은 다른 유형의 횡단 요소의 접촉면 상의 프로파일과 다르며, 횡단 요소의 접촉면의 프로파일은 융기부와 오목부가 교번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푸쉬 벨트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대개 이런 푸쉬 벨트는 비교적 다수의 횡단 요소를 수반하는 두 개의 링형 캐리어를 포함한다. 캐리어는 그 직경 면이 비교적 얇은 리본과 흡사하다. 횡단 요소는 캐리어의 전체 주연부를 따라 배열되며, 푸쉬 벨트의 이동과 관련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푸쉬 벨트의 캐리어를 수납하기 위해 오목부가 횡단 요소의 양 측면에 제공되고, 캐리어를 지지하기 위해 횡단 요소는 지지면을 포함한다. 나아가, 횡단 요소와 무단 변속기의 풀리의 풀리 시브 간의 접촉을 위해, 지지면의 방향으로 서로 분기되는 두 개의 접촉면이 횡단 요소의 양 측면에 마련된다. 이하 사용되는 용어 "상단"과 "저부"는 분기의 방향과 관련된 것으로서, 이는 저부에서 상단까지로 한정된다.
저부에서 상단까지, 횡단 요소는 기초부, 중간부 및 상단부를 연이어 포함하고, 중간부의 치수는 상대적으로 작다. 기초부는 지지면과 접촉면을 포함한다. 보통, 푸쉬 밸트에서 기초부는 푸쉬 벨트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반면, 상단부는 푸쉬 벨트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횡단 요소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두 개의 주 몸체 표면을 가진다. 푸쉬 벨트 내에서 횡단 요소의 정확한 위치는 주 몸체면이 푸쉬 벨트의 원주 방향과 대체로 수직을 이루는 위치이다. 제1 주 몸체면의 적어도 일부는 푸쉬 벨트 내의 인접 횡단 요소의 제2 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연접하도록 되어 있는 반면, 횡단 요소의 제2 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푸쉬 벨트 내의 다른 인접 횡단 요소의 제1 주 몸체 표면의 일부와 연접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면과 접촉면을 그 일부로 삼는 원주면은 두 개의 주 몸체면 사이에 연장된다. 나아가, 상단부는 지지면과 마주보며 그 또한 원주면의 일부인 두 개의 보유면을 포함한다. 푸쉬 벨트에서 캐리어의 위치는 푸쉬 벨트의 반경 방향으로 일측에서 지지면에 의해 한정되고 타측에서 보유면에 의해 범위가 한정된다.
횡단 요소의 일측 주 몸체면에는 돌출부가 마련되는 반면, 횡단 요소의 타측 주 몸체면에는 이하 함몰부로 지칭되는 오목부가 마련된다. 돌출부와 함몰부의 위치는 서로 대응하는데, 돌출부와 함몰부는 대개 상단부에 배치된다. 푸쉬 벨트에서, 모든 횡단 요소의 돌출부는 인접 횡단 요소의 함몰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그에 따라 푸쉬 벨트의 원주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횡단 요소가 상호 변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캐리어와 횡단 요소를 갖춘 푸쉬 벨트가 올바르게 기능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그리고 푸쉬 벨트가 적용될 수 있는 무단 변속기의 최적 토크 전달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푸쉬 벨트의 횡단 요소와 무단 변속기의 풀리가 효과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횡단 요소의 접촉면에는 흔히 물결 모양 또는 톱니 모양의 프로파일이 제공된다. 이 프로파일은 둘 모두가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열로 푸쉬 벨트의 원주 방향으로 접촉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히 연장되는 융기부와 오목부, 특히 리브(rib)와 그루브(groove)가 교번되는 패턴을 취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접촉면에 프로파일이 제공되는 경우, 실제로 프로파일은 횡단 요소의 접촉면과 풀리 시브의 접촉면 사이에 오일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결과 푸쉬 벨트가 풀리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횡단 요소의 접촉면에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방식이 가지는 또 다른 이로운 효과는 푸쉬 벨트의 횡단 요소들 간의 치수 상의 근소한 상호 격차가, 해당 프로파일이 접촉면의 근소한 마모가 그 격차가 가장 큰 지점에서 발생되는 상황을 허용함으로써 푸쉬 벨트와 풀리의 길들임 운전(running-in) 과정 도중에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이다. 즉, 풀리와 푸쉬 벨트는 서로에 대하여 경미한 초기 마모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이후 푸쉬 벨트의 횡단 요소의 접촉면과 풀리 시브가 양호하게 파지되도록 하며 푸쉬 벨트는 극히 안정적인 방식으로 풀리를 따라 유도된다.
사실, 횡단 요소의 접촉면의 프로파일이 리브와 그루브가 교번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리브의 상단은 초기에는 표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풀리 시브와 접촉시 비교적 쉽게 마모되고 그 결과 푸쉬 벨트의 다양한 횡단 요소 간의 치수 차이가 사라지게 된다. 유럽특허 제 0 994 275호에서는, 횡단 요소의 접촉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프로파일이 기술되어 있으며, 사인(sine) 형태의 프로파일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되어 있다.
풀리 시브와 횡단 요소 간의 접촉은 주로 프로파일의 리브 지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풀리 시브의 접촉면 전체가 토크의 전달에 관여하게 된다.
유럽특허 제 0 994 2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리 시브의 접촉면이 훨씬 넓은 부분에 걸쳐 사용되어 토크의 전달이 더욱 최적화될 수 있고 마모가 저감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목적은 횡단 요소의 총 수효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다른 형태를 지닌 인접 횡단 요소들의 융기부와 오목부의 패턴이 푸쉬 벨트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경되는 푸쉬 벨트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목적은 횡단 요소의 접촉면 상의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융기부 및 오목부 패턴에서 규칙적인 융기부 및 오목부 패턴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가 제거되며, 횡단 요소의 접촉면 상에 생략된 융기부를 배치하는 방식이 다양한 유형의 횡단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푸쉬 벨트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유형의 횡단 요소가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이한 유형의 수효는 적어도 두 가지이다. 횡단 요소의 유형은 융기부와 오목부가 교번되는 패턴을 포함하는 접촉면 상의 프로파일의 설계와 관련하여 구분된다. 주목할 점은 푸쉬 벨트에 두 가지 다른 유형의 횡단 요소를 구비하는 방식은 원래 유럽특허 제 0 994 275호에서 공지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유럽특허 제 0 994 275호는 인접 횡단 요소 간에 융기부와 오목부를 변경 배치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유럽특허 제 0 994 275호는 융기부와 오목부의 규칙적인 패턴에 적어도 하나의 공동를 갖추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대해서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푸쉬 벨트가 무단 변속기에 사용되는 경우, 무단 변속기의 풀리 시브의 접촉면은 횡단 요소의 접촉면에 의해 지속적으로 맞물린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유효하게 사용되는 풀리 시브의 접촉면의 부분이 종래의 경우보다 커지는 상황을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 명백히 가능해진다. 단지 필요한 것은, 상호 보완적인 의미에서 서로 다른, 즉 한 유형의 프로파일은 풀리 시브의 접촉면의 일정 부위에 접촉되도록 설계되는 종래의 프로파일이고 다른 유형의 프로파일은 이들 접촉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위에 접촉되도록 설계된 각기 다른 프로파일을 횡단 요소의 접촉면에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모든 횡단 요소에 동일한 패턴의 융기부와 오목부가 마련되는 푸쉬 벨트를 가지는 것이 가능한데, 한 유형의 횡단 요소가 다른 유형의 횡단 요소와 대비되는 경우에는 그 패턴이 푸쉬 벨트의 반경 방향으로 변경된다. 이렇게 하여, 예컨대 두 가지 유형의 횡단 요소가 푸쉬 벨트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풀리 시브의 접촉면의 제1 일련 부위는 제1 유형의 횡단 요소로 커버되고, 이와 다른 풀리 시브의 접촉면의 제2 일련 부위는 제2 유형의 횡단 요소로 커버되는 것이 성취된다.
융기부와 오목부가 교번되는 규칙적인 패턴과 비교하여 접촉면 상의 프로파일의 융기부 및 오목부 패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가 생략되는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푸쉬 벨트도 가능하다. 위에 언급된 특정 패턴은, 융기부가 없는 지점에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이 존재하기 때문에 횡단 요소의 접촉면과 풀리 시브 사이에 오일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기여한다.
바람직하게는, 횡단 요소의 접촉면 상의 결여된 융기부의 위치는 다양한 유형의 횡단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 횡단 요소는 무작위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모든 공동이 인접 횡단 요소의 공동과 서로 연결되도록 횡단 요소를 선택하고 배열함으로써 오일이 배출되는 특정 경로를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는, 오일 집적이 가능한 지점으로 오일을 수송할 용도로 복수의 경로가 푸쉬 벨트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횡단 요소를 일정하게 배열하는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에, 이 배열은 횡단 요소의 총 수효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서는, 접촉면 상의 결여된 융기부의 배치가 한 횡단 요소에서 다른 횡단 요소로 나아가면서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그런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배열은 서로 인접하는 횡단 요소의 각각의 쌍에서 결여된 융기부의 위치가 동일하게 상호 변경되는 그런 것일 수도 있다.
결여된 융기부의 수효는 실제 사례에서는 하나 또는 둘 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수효도 역시 가능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하나의 푸쉬 벨트에서 횡단 요소의 접촉면에 다양한 프로파일을 갖추는 것은, 푸쉬 벨트와 해당 푸쉬 벨트가 사용될 수 있는 무단 변속기의 풀리 간의 마찰이 강화됨으로써 견인력이 증대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다른 이점은 덜 단조로운 거동을 통한 소음 저감, 푸쉬 벨트와 풀리 사이에서의 향상된 오일 분산, 횡단 요소의 접촉면이 풀리 시브의 접촉면과 맞물릴 시 오일이 제거되는 시간의 단축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되는데,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푸쉬 벨트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푸쉬 벨트가 무단 변속기의 풀리 상에 배열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3과 도 4는 푸쉬 벨트의 일부인 횡단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횡단 요소가 풀리에 의해 작동되는 푸쉬 벨트의 일부로 존재할 때의 양측 풀리 시브 사이에 횡단 요소가 배치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6은 풀리 시브에 접촉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벨트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횡단 요소의 표면에 존재하는 프로파일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벨트에 대한 제1 실시예의 두 개의 인접 횡단 요소의 프로파일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8은 종래의 경우 및 본 발명이 적용될 때 구현될 수 있는 경우 양측 모두에 대한 횡단 요소와 풀리 시브 간의 접촉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벨트에 대한 제2 실시예의 다수의 횡단 요소의 접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 벨트에 대한 제3 실시예의 다수의 횡단 요소의 접촉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횡단 요소의 프로파일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과 도 2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무단 변속기를 도시한다. 무단 변속기는 참조 번호 1로 일괄 표기된다.
무단 변속기(1)는 따로 떨어진 풀리 샤프트(4, 5) 상에 배치되는 두 개의 풀리(2, 3)를 포함한다. 폐쇄 루프와 유사한 형태인 무단 푸시 벨트(6)가 풀리(2, 3) 둘레에 배치되어 풀리 샤프트(4, 5) 간에 토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원래 공지된 방식으로, 각각의 풀리(2, 3)는 두 개의 풀리 시브(2a, 2b, 3a, 3b)를 포함하며, 이때 푸쉬 벨트(6)가 상기 두 개의 풀리 시브(2a, 2b, 3a, 3b) 사이에 배치되어 죄어짐으로써, 마찰의 도움으로 풀리(2, 3)와 푸쉬 벨트(6) 간에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도 2는 푸쉬 벨트(6)가 대체로 타원형인 다수의 링으로 대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단 캐리어(7)를 포함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횡단 요소(10)가 캐리어(7)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배열되며 횡단 요소(10)는 서로 밀착 접촉된다. 단순화를 위해, 도 2에 제공된 개략적인 묘사에서는 일단의 횡단 요소(10)만이 도시되어 있다. 보통, 푸쉬 벨트(6)의 캐리어(7)와 횡단 요소(10)는 둘 다 금속으로 제조된다.
도 3과 도 4는 횡단 요소(10)를 도시하고 있다. 횡단 요소(10)의 제1 주 몸체면은 참조 번호 11로 일괄 표기되는 반면, 횡단 요소(10)의 제2 주 몸체면은 참조 번호 12로 일괄 표기된다. 원주면(13)은 주 몸체면(11, 12) 사이에서 연장된다.
저부에서 상단까지, 횡단 요소는 기초부(14), 비교적 협소한 중간부(15) 및 화살촉과 유사한 형태인 상단부(16)를 연이어 포함한다. 보통, 푸쉬 벨트(6)에서는 기초부(14)가 푸쉬 벨트(6)의 내주면측에 배치되는 반면, 상단부(16)는 푸쉬 벨트(6)의 외주면측에 배치된다. 나아가, 푸쉬 벨트(6)에서, 횡단 요소(10)의 제1 주 몸체면(11)의 적어도 일부는 인접 횡단 요소(10)의 제2 주 몸체면(12)의 적어도 일부와 연접하는 반면, 횡단 요소(10)의 제2 주 몸체면(12)의 적어도 일부는 다른 인접 횡단 요소(10)의 제1 주 몸체면(11)의 적어도 일부와 연접한다. 중간부(15)로 이행되는 지점에서, 횡단 요소(10)의 기초부(14)는 두 캐리어(7)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두 개의 지지면(17)을 포함한다. 나아가, 기초부(14)는 이하 풀리 시브 접촉면으로 지칭되는 두 개의 표면(18)을 포함한다. 횡단 요소(10)가 풀리(2, 3) 상에서 이동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 요소(10)와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 사이에서 상기 풀리 시브 접촉면(18)을 통해 접촉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횡단 요소(10)는 풀리 시브 접촉면(18) 사이에 연장되는 기저면(19)을 포함한다. 지지면(17), 풀리 시브 접촉면(18) 및 기저면(19)은 원주면(13)의 일부이다.
횡단 요소(10)의 제1 주 몸체면(11)에는 함몰부(21)가 마련된다. 도 4에서, 함몰부(21)는 점선으로 묘사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함몰부(21)는 상단부(16)에 배치되고, 제2 주 몸체면(12)의 돌출부(22)에 대응된다. 푸쉬 벨트(6)에서, 횡단 요소(10)의 돌출부(22)는 후속 횡단 요소(10)의 함몰부(2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돌출부(22)와 대응되는 함몰부(21)는 푸쉬 벨트(6)의 원주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인접 횡단 요소(10)가 상호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단부(16)는 지지면(17)과 마주보며 원주면(13)의 일부인 두 개의 보유면(23)을 포함한다. 횡단 요소(10)가 푸쉬 벨트(6)에 배치될 때, 캐리어(7)의 반경 방항 위치는 일측에서 지지면(17)에 의해 한정되고 타측에서 보유면(23)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은 푸쉬 벨트(6)에서 횡단 요소(10)의 풀리 시브 접촉면(18)의 설계와 관련이 있다. 풀리 시브 접촉면(18)에는 프로파일(24)이 제공된다. 도 6은 이 프로파일(24)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24)은 요철 형태를 가지며, 리브(25)와 그루브(26)가 교번되는 패턴을 포함하는데, 리브(25)와 그루브(26)는 풀리 시브 접촉면(18)의 전체 폭을 따라, 즉 횡단 요소(10) 상에서 주 몸체면(11, 12)에 대체로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프로파일(24)의 중요한 기능은 푸쉬 벨트(6)가 풀리(2, 3) 상에 파지(grip)되는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무단 변속기(1)에서 효과적인 토크 전달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양호한 파지와 미끄럼 방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프로파일(24)을 갖추는 것은 무단 변속기(1)의 성능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흔히 사용되는 방식은 푸쉬 벨트(6)의 횡단 요소(10)가 풀리 시브 접촉면(8)의 프로파일(24)의 설계에 관련해서 모두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쉬 벨트(6)는 적어도 두 가지의 상이한 유형을 지닌 횡단 요소(10)를 가지며, 프로파일(24)의 설계는 각 유형 마다 차이가 난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차이는 모든 유형의 횡단 요소(10)를 감안하여,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이 최대한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이들 접촉면(8)이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와 관련된 이점은 마모가 특정 부위에만 집중되는 현상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7은 푸쉬 벨트(6)의 두 개의 인접한 횡단 요소(10)의 프로파일(24)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는데, 프로파일(24)이 풀리 시브 접촉면(18)을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그 결과, 횡단 요소(10) 중 하나의 리브(25)는 다른 횡단 요소(10)의 그루브(26)의 경로를 따르고 상기 하나의 횡단 요소(10)의 그루브(26)는 다른 횡단 요소(10)의 리브(25)의 경로를 따른다. 그에 따라, 프로파일(24)의 리브(25)에 의해 접촉될 수 있는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 부위의 숫자는 유사한 설계의 리브(25)와 그루브(26) 유형을 지닌 종래의 경우에 비해 두 배가 된다. 이 사실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면은 네 개의 연이은 횡단 요소(10)와 풀리 시브(2a, 2b, 3a, 3b) 간의 접촉 부위(27)를 도 8 상단측인 종래의 경우와 도 8 하단측인 본 발명에 따른 경우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종래의 경우에는 접촉 부위(27)가 모든 횡단 요소(10)에 대하여 동일한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경우에는 그와는 달리 보다 큰 면적의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이 커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두 가지 다른 실시예가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두 실시예 모두에서는, 각각의 횡단 요소(10)의 프로파일(24)에, 규칙적인 패턴의 리브(25)와 그루브(26)와 비교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25)가 생략되어 있다. 도 11은 이런 방식으로 얻어진 프로파일(24)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는데, 규칙적인 패턴에서 리브(25)가 결여되어 있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횡단 요소(10)의 실용적인 실시예에서, 하나의 풀리 시브 접촉면(18)의 리브의 수효는 약 35 개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 내지 세 개 정도로 적은 수효의 연속 배치되는 리브(25)가 생략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는, 횡단 요소(10)의 풀리 시브 접촉면(18)과 풀리 시브(2a, 2b, 3a, 3b) 간의 접촉 시에 공동(28)이 생긴다. 이들 공동(28)은 접촉이 일어나는 부위로부터 오일을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의 일부가 생략된다고 하더라도, 횡단 요소(10)와 풀리 시브(2a, 2b, 3a, 3b) 간의 파지가 강화될 수 있다. 당연히, 오일은 윤활 및 냉각 목적으로 무단 변속기(1) 내에 존재한다.
푸쉬 벨트(6) 내에 공동(28)을 구비하되 횡단 요소(10)를 무작위로 배열하는 옵션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런 푸쉬 벨트에서는, 횡단 요소(10)와 풀리(2, 3) 간에 접촉이 이루어질 때 횡단 요소(10)와 풀리 시브(2a, 2b, 3a, 3b) 사이의 부위로부터 공동(28)으로 오일이 압착 배출되어, 그 결과 횡단 요소(10)가 풀리 시브(2a, 2b, 3a, 3b)와 접촉되는 정도가 강화된다.
푸쉬 벨트(6) 내에 공동(28)을 구비하되 횡단 요소(10)를 일정하게 배열하는 옵션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동(28)은 횡단 요소(10)를 따라 연속되는 경로(29)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데, 공동(28)은 푸쉬 벨트(6)의 원주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며, 경로(29)는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 상의 공동(28)의 위치가 여전히 무작위가 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다. 이 푸쉬 벨트(6)에서, 오일은 국부적인 수준에서 공동(28)으로 배출될 뿐만 아니라 공동(28)의 연쇄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29)를 통해서도 배출될 수 있다. 경로(29)를 사용함으로써, 오일은 적절한 축압 위치로 수송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횡단 요소(10)의 폴리 시브 접촉면(18)에 존재하는 프로파일(24) 면에서 차이가 나는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유형을 지닌 횡단 요소(10)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1)용 푸쉬 벨트(6)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24)의 차이는 무단 변속기(1)의 풀리(2, 3)에 접촉되는 푸쉬 벨트(6)의 접촉 부위(27)가 각각의 유형의 횡단 요소(10)에 따라 달라지도록, 즉 폴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에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특히,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의 프로파일(24)은 융기부(25)와 오목부(26)가 교번되는 패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유형의 인접하는 횡단 요소(10)의 융기부(25)와 오목부(26)의 패턴은 푸쉬 벨트(6)의 반경 방향으로 횡단 요소(10)의 총 수효 중 적어도 일부를 대상으로 서로에 대하여 변화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가지의 다른 유형을 지닌 횡단 요소(10)를 사용함에 따라, 푸쉬 벨트(6)와 풀리(2, 3) 간의 강화된 마찰에 기인하는 향상된 견인력,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의 마모의 저감 및 소음 저감을 포함하는 많은 이점이 얻어진다. 푸쉬 벨트(6)와 풀리(2, 3) 간의 강화된 파지는, 푸쉬 벨트(6)와 풀리(2, 3) 사이의 오일이 고르게 분산되고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데에 기인한다. 프로파일(24)의 설계는 공동(28)의 패턴이 푸쉬 벨트(6)의 접촉면에 형성되도록, 즉 풀리(2, 3)에 접촉되는 푸쉬 벨트(6) 측에 형성되어 해당 공동(28)이 오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동(28)의 패턴은 무작위 또는 다른 방식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오일 배출 경로(29)가 푸쉬 벨트(6)의 접촉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가 위에서 검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여러 종류의 변경과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로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 것이다.
1: 무단 변속기 2, 3: 풀리
2a, 2b, 3a, 3b: 풀리 시브 6: 푸쉬 벨트
10: 횡단 요소 24: 프로파일
25: 융기부 26: 오목부
28: 공동 29: 경로

Claims (6)

  1. 무단 변속기(1)의 풀리(2, 3) 둘레에 배치되도록 특정되고, 다수의 횡단 요소(10) 및 해당 횡단 요소(10)를 운반하기 위한 링형 캐리어(7)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1)용 푸쉬 벨트(6)로서,
    상기 횡단 요소(10)는 상기 캐리어(7)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7)과, 상기 무단 변속기(1)의 풀리(2, 3)의 일부인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과 맞물리는 접촉면(18)을 가지며, 상기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에는 프로파일(24)이 마련되고, 적어도 두 가지 유형의 횡단 요소(10)가 상기 푸쉬 벨트(6)에 존재하며, 한 유형의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 상의 프로파일(24)은 다른 유형의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 상의 프로파일(24)과 다르고, 상기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의 프로파일(24)은 융기부(25)와 오목부(26)가 교번되는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횡단 요소(10)의 총 수효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서로 다른 유형을 지닌 인접 횡단 요소(10)의 융기부(25)와 오목부(26)의 패턴이 푸쉬 벨트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변화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6).
  2. 무단 변속기(1)의 풀리(2, 3) 둘레에 배치되도록 특정되고, 다수의 횡단 요소(10) 및 해당 횡단 요소(10)를 운반하기 위한 링형 캐리어(7)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1)용 푸쉬 벨트(6)로서,
    상기 횡단 요소(10)는 상기 캐리어(7)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7)과, 상기 무단 변속기(1)의 풀리(2, 3)의 일부인 풀리 시브(2a, 2b, 3a, 3b)의 접촉면(8)과 맞물리는 접촉면(18)을 가지며, 상기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에는 프로파일(24)이 마련되고, 적어도 두 가지 유형의 횡단 요소(10)가 상기 푸쉬 벨트(6)에 존재하며, 한 유형의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 상의 프로파일(24)은 다른 유형의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 상의 프로파일(24)과 다르고, 상기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의 프로파일(24)은 융기부(25)와 오목부(26)가 교번되는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횡단 요소(10)는 해당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 상의 프로파일(24)이 융기부(25)와 오목부(26)로 구성된 패턴의 경우에 융기부(25)와 오목부(26)의 규칙적인 패턴에서 적어도 하나의 융기부(25)가 제거되는 푸쉬 벨트(6)에 존재하고,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 상에 결여된 융기부(25)를 배치하는 방식은 다양한 유형의 횡단 요소(10)마다 각기 다른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6).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유형의 횡단 요소(10)가 푸쉬 벨트(6) 상에 무작위로 분포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6).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 요소(10)의 총 수효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횡단 요소(10)의 접촉면(18) 상에 결여된 융기부(25)를 배치하는 것이 인접한 횡단 요소(10)에서 규칙적인 방식으로 변화하되, 이는 결여된 융기부(25) 위치의 동일한 상호 변화가 인접한 횡단 요소(10)로 구성된 각각의 쌍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6).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신장된 리브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신장된 그루브(26)로 형성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6).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푸쉬 벨트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1).
KR1020127012871A 2009-11-19 2010-10-27 상이한 유형의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 KR101785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37483A NL1037483C2 (en) 2009-11-19 2009-11-19 Push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transverse elements.
NL1037483 2009-11-19
PCT/NL2010/000155 WO2011062480A1 (en) 2009-11-19 2010-10-27 Push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transverse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55A true KR20120123255A (ko) 2012-11-08
KR101785746B1 KR101785746B1 (ko) 2017-10-16

Family

ID=42244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871A KR101785746B1 (ko) 2009-11-19 2010-10-27 상이한 유형의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3908B2 (ko)
EP (1) EP2501959B1 (ko)
JP (1) JP5680103B2 (ko)
KR (1) KR101785746B1 (ko)
CN (1) CN102667234B (ko)
NL (1) NL1037483C2 (ko)
WO (1) WO20110624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38486C2 (en) * 2010-12-30 2012-07-03 Bosch Gmbh Robert Transverse element for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ving two contact surface parts at either lateral side thereof.
NL1038910C2 (en) * 2011-06-30 2013-01-03 Bosch Gmbh Robert Drive belt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transverse members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O2014156432A1 (ja) * 2013-03-28 2014-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金属ベルト
NL1040791B1 (en) * 2014-05-06 2016-02-23 Bosch Gmbh Robert Transverse member for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a drive belt provided therewith.
JP6506062B2 (ja) * 2015-03-24 2019-04-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金属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US11149820B2 (en) * 2017-03-03 2021-10-19 Aisin Aw Co., Ltd. Element designing method and power transfer belt
JP6523381B2 (ja) * 2017-07-28 2019-05-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金属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6621495B2 (ja) * 2018-04-03 2019-1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金属エレメントおよび無段変速機用金属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NL1043501B1 (en) * 2019-12-10 2021-08-31 Bosch Gmbh Robert A transverse segment for a drive belt and a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cluding the transverse segment and a ring stack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963A (en) * 1983-05-23 1985-05-14 Borg-Warner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chain-belt
US4871344A (en) * 1987-09-24 1989-10-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chain belt
NL8900266A (nl) * 1989-02-03 1990-09-03 Doornes Transmissie Bv Overbrenging voorzien van een drijfriem en v-vormige poelies.
JPH031343U (ko) * 1989-05-29 1991-01-09
JP2584617Y2 (ja) * 1991-12-12 1998-11-05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高負荷伝動ベルト
JPH10213185A (ja) * 1997-01-31 1998-08-11 Nissan Motor Co Ltd 無段変速機のvベルト用エレメント
NL1006776C2 (nl) * 1997-08-15 1999-02-16 Doornes Transmissie Bv Drijfriem, schakel daarvoor en constructie waarin zulks is toegepast.
JP3284974B2 (ja) 1998-06-15 2002-05-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vベルト
DE69818466T2 (de) * 1998-10-12 2004-07-22 Van Doorne's Transmissie B.V. Treibriemen, Element dafür und mit diesem versehene Vorrichtung
JP3692837B2 (ja) * 1999-06-22 2005-09-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3715166B2 (ja) * 2000-01-19 2005-1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ベルト
NL1017122C2 (nl) * 2001-01-16 2002-07-17 Doornes Transmissie Bv Dwarselement voor een drijfriem voor een continu variabele transmissie.
JP4168839B2 (ja) * 2003-03-06 2008-10-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金属ベルト
JP2006144978A (ja) * 2004-11-22 2006-06-08 Toyota Motor Corp 押圧ベルト
NL1027685C2 (nl) * 2004-12-08 2006-06-09 Bosch Gmbh Robert Drijfriem voor een transmissie met gebombeerde poelieschijven.
JP4557704B2 (ja) * 2004-12-17 2010-10-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ベルトの製造方法
JP4545709B2 (ja) * 2006-05-10 2010-09-15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ベルト
JP4667342B2 (ja) * 2006-11-07 2011-04-1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動力伝達用無端ベルト
JP2009185945A (ja) * 2008-02-07 2009-08-20 Toyota Motor Corp 無段変速機用ベルトのエレメント
JP4641319B2 (ja) * 2008-05-12 2011-03-02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用ベルト
JP2011089588A (ja) * 2009-10-22 2011-05-06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用ベルト
NL1038910C2 (en) * 2011-06-30 2013-01-03 Bosch Gmbh Robert Drive belt comprising different types of transverse members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77048A1 (en) 2012-11-01
US9133908B2 (en) 2015-09-15
JP5680103B2 (ja) 2015-03-04
CN102667234A (zh) 2012-09-12
EP2501959B1 (en) 2015-06-24
WO2011062480A1 (en) 2011-05-26
KR101785746B1 (ko) 2017-10-16
CN102667234B (zh) 2015-10-14
JP2013511680A (ja) 2013-04-04
EP2501959A1 (en) 2012-09-26
NL1037483C2 (en) 201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746B1 (ko) 상이한 유형의 횡단 요소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기용 푸쉬 벨트
US8435146B2 (en) Chain wheel
KR20000070000A (ko) 양 측면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동력 전달 벨트, 풀리 및 양측면에 다수의 리브가 형성된 벨트와 제 2 측면 풀리의 조합체
EP1352182B1 (en) Belt
EP1356216A1 (en) Belt
JP6008982B2 (ja) 連続可変トランスミッション用の異なるタイプの横断部材を備えた駆動ベルト
NL1006776C2 (nl) Drijfriem, schakel daarvoor en constructie waarin zulks is toegepast.
US7571895B2 (en) Rope sheave
WO2013098653A1 (en) Drive belt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mprising two types of transverse members having a mutually different width
ATE301785T1 (de) Querelement für einen antriebsriemen für stufenlos regelbares getriebe
US20090192000A1 (en) Toothed plate-link chain
JP5430532B2 (ja) 無段変速伝動機構
JP5614223B2 (ja) 無段変速伝動機構
JP2009185945A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のエレメント
JP2005321066A (ja) 動力伝達チェ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JPH0446241A (ja) サイレントチェーン
US20030104891A1 (en) Silent chain
JP6530162B2 (ja) 両側面に2つの接触面部分を有する、無段変速機のための駆動ベルト用横方向エレメント
JP2008144825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JP6711184B2 (ja) チェーン式無段変速伝動機構
JP2006226401A (ja) 動力伝達用チェーン及びそれを用いた動力伝達装置
JP6322992B2 (ja) チェーン式無段変速伝動機構の製造方法
JP2008190554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KR20130140078A (ko) 표면 프로파일이 구비된 가요성 금속 링 및 이러한 링의 적층된 세트를 포함하는 구동 벨트
JPH01399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