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503A -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 Google Patents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503A
KR20120115503A KR1020127016687A KR20127016687A KR20120115503A KR 20120115503 A KR20120115503 A KR 20120115503A KR 1020127016687 A KR1020127016687 A KR 1020127016687A KR 20127016687 A KR20127016687 A KR 20127016687A KR 20120115503 A KR20120115503 A KR 2012011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eight direction
water
opening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이치 나카야스
도시아키 모리이
유이치로 기무라
히데유키 니이자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arrag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과제]
기립시에, 도어체가 크게 동요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개구부(d)의 노면(s)에 설치되고, 개구부(d)로부터 물(w)이 유입되려고 할 때 유입되려고 하는 물(w)의 수압과 도어체(2)의 부력을 이용하여 도어체(2)를 기립시켜서 상기 개구부(d)를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1)이다. 도어체(2)를, 높이방향으로 분할한, 예를 들면 3개의 도어체 블록(2a~2c)으로 구성한다. 이들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2a~2c)을,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부(d)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w)의 방향을 향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한 회전기구(3a~3c)에 의하여 연결한다.
[효과]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어떤 수위이더라도 도어체가 크게 흔들리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FLOATING BODY CONNECTION-TYPE FLAP GATE}
본 발명은, 증수(增水) 시에 불어난 물이 공공장소(公共場所)로 유입(流入)되지 않도록, 방조벽(防潮壁)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고,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수압(水壓)과 도어체(door體)의 부력(浮力)을 이용해서 도어체를 기립(起立)시켜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浮體連結式 flap gate)에 관한 것이다.
증수 시에 불어난 물이 공공장소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조벽의 개구부에,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2).
이러한 종류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도어체에 단수개(單數個)의 큰 부체(浮體)를 구비하고 있어, 방조벽의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수압과 도어체 자체의 부력을 이용해서 도어체를 기립시켜서 개구부를 차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도어체는, 높이방향으로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위(水位)가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도어체 전체가 단숨에 기립하기 때문에 도어체의 동요(動搖)가 커서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9에서의 d는 방조벽의 개구부, 2는 개구부에 설치된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도어체, w는 물이다.
또한 개구부에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는 유입 초기에는, 물의 유입에 추종해서 도어체가 기립하지 않고 물의 유입보다 늦게 기립하기 때문에, 기립이 늦어지는 동안에 개구부로부터 물이 침입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도어체의 기립시에 유체력(流體力)이 큰 물(급류 또는 격류)이 유입된 경우, 기립완료시에 도어체에 큰 충격력이 발생해서 도어체가 손상된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1-214425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25391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방조벽의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종래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는, 수위(水位)가 일정한 높이에 도달하면 도어체 전체가 단숨에 기립하기 때문에 도어체의 동요가 커서 위험성이 높다고 하는 점이다. 또한 개구부에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는 유입 초기는, 도어체가 물의 유입보다 늦게 기립하기 때문에 누수(漏水)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또한 기립 중에 유체력이 큰 물이 유입된 경우, 도어체가 손상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는,
기립시에 도어체가 크게 동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개구부(開口部)의 노면(路面)에 설치되고, 개구부로부터 물이 유입(流入)되려고 할 때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수압(水壓)과 도어체(door體)의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도어체를 기립(起立)시켜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로서,
도어체를, 높이방향으로 분할한 2개 이상의 도어체 블록(door體 block)으로 구성하고,
이들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을,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을 향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한 회전기구(回轉機構)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유입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높이방향의 상방을 향하여 분할된 도어체 블록이 노면 측에서부터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부상(浮上)하기 때문에, 어떠한 수위에서도 도어체 전체가 크게 흔들리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높이방향의 선단측 도어체 블록(先端側 door體 block)만이,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선단측 도어체 블록이 물의 유입에 대하여 선행해서 기립한다. 이 경우, 개구부로부터 유입된 물은 도복상태(倒伏狀態; 엎드려진 상태)의 도어체 블록의 하방측으로 인도되어서, 도어체 하측의 경사면에 수압을 작용시킨다. 이에 따라 개구부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는 유입 초기에 도어체 블록의 부상동작이 빨라져서, 개구부로부터의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 사이에 설치한 회전기구의 회전각도 범위를, 기단측 도어체 블록과 노면 사이에 설치한 회전기구의 회전각도 범위보다 작게 한다. 이렇게 하였을 경우는, 기단측 도어체 블록의 기립완료 직전에 상부의 도어체 블록이 수면으로부터 들려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기립완료시에 기단측 도어체 블록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완화되어, 기립 중에 유체력이 큰 물이 유입되어도 도어체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서는,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노면측에서부터 높이방향의 상방을 향하여 분할된 도어체 블록이, 노면측에서부터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부상하기 때문에,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어떤 수위이더라도 도어체가 크게 흔들리는 일이 없다.
도1은 기립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는 도복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를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a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확대도, (b)는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했을 때의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b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연결전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확대도, (b)는 (a)의 측면도, (c)는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했을 때의 도면이다.
도5는 도1의 c부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연결전의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b)는 도복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의 (a)~(d)는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의 기립상태를 순서에 따라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물의 유입에 대하여 선단측 도어체 블록이 선행해서 기립하는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8은 도어체 블록끼리의 연결부에 설치한 수밀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신장시, (b)는 굴곡시의 도면이다.
도9의 (a)~(e)는 종래의 부체식 플랩 게이트의 기립상태를, 순서에 따라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립(起立)시에 도어체가 크게 동요하지 않도록 한다는 목적을, 높이방향으로 분할한 2개 이상의 도어체 블록을,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개구부(開口部)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을 향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실현시켰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1~도8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기립상태(起立狀態; 세워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浮體連結式 flap gate)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2는 도복상태(倒伏狀態; 엎드려진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를 상면(上面)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3~도5는 도1의 a부~c부의 확대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의 기립상태를 순서에 따라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7은 물의 유입에 대하여 선단측(先端側)의 도어체 블록이 선행해서 기립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8은 도어체 블록끼리의 연결부에 설치한 수밀부재(水密部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도8에 있어서, 1은 예를 들면 방조벽(防潮壁)의 개구부(d)의 노면(路面)(s)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이다. 이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는, 상기 개구부(d)(도1의 지면(紙面) 좌측방향)에서부터 공공장소(도로면)으로 물(w)이 유입되려고 할 때, 유입되려고 하는 물(w)의 수압과 도어체(2)의 부력을 이용해서 도어체(2)를 기립시켜서 상기 개구부(d)를 차단하는 것이다.
방조벽에 있어서 개구부(d)의 노면(s)으로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의 설치태양은, 도1에 나타낸 매설형(埋設型)과 도시되지 않은 탑재형(搭載型)의 2개의 타입이 있지만 어느 쪽의 설치태양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노면매설형(路面埋設型)은, 도로면(道路面)보다 낮은 위치에 구축되는 개구부(d)의 노면(s)에 오목면(s1)(매설 피트; 埋設 pit)을 형성하고, 이 오목면(s1)에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도복상태)를 수용하는 것이다. 이 노면매설형에서는, 오목면(s1)에서부터 해양측(하천측)으로 물을 배출하는 배수로(排水路)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노면탑재형(路面搭載型)은, 도로면과 같은 위치에 구축되는 개구부의 노면에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도복상태)를 탑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를 구성하는 도어체(2)를, 높이방향으로, 예를 들면 강철제(鋼鐵製)의 중공구조(中空構造)인 3개의 도어체 블록(door體 block)(2a~2c)으로 분할한 구성이다. 이하, 이들 3개의 도어체 블록(2a~2c)을 높이방향의 상부로부터, 선단측 도어체 블록(先端側 door體 block)(2a), 2번째 도어체 블록(2b), 기단측 도어체 블록(基端側 door體 block)(2c)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들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2a~2c) 사이 및, 기단측 도어체 블록(2c)과 노면(s) 사이는,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부(d)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w)의 방향을 향해서, 소정 각도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기구(回轉機構)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하, 선단측 도어체 블록(2a)과 2번째 도어체 블록(2b)을 연결하는 회전기구를 1번째 회전기구(3a), 2번째 도어체 블록(2b)과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을 연결하는 회전기구를 2번째 회전기구(3b)라고 한다. 또한 기단측 도어체 블록(2c)과 노면(s)을 연결하는 회전기구를 3번째 회전기구(3c)라고 한다.
이들 회전기구(3a~3c)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1번째 회전기구(3a)는, 2번째 도어체 블록(2b)의 선단측 도어체 블록(2a)과의 인접단부(隣接端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반경위치(半徑位置)에 예를 들면 2개의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aa, 3ab)을 형성한다. 한편 선단측 도어체 블록(2a)의 2번째 도어체 블록(2b)과의 인접단부에 있어서, 상기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aa, 3ab)과 동일 반경위치에, 이 가이드 구멍(3aa, 3ab)으로 안내되어서 이동하는 핀(pin)(3ac, 3ad)을 설치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2번째 회전기구(3b)는,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의 2번째 도어체 블록(2b)과의 인접단부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반경위치에 예를 들면 2개의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ba, 3bb)을 형성한다. 한편 2번째 도어체 블록(2b)의 기단측 도어체 블록(2c)과의 인접단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3ba, 3bb)과 동일 반경위치에, 이 가이드 구멍(3ba, 3bb)으로 안내되어서 이동하는 핀(3bc, 3bd)을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3번째 회전기구(3c)는, 노면(s)의 기단측 도어체 블록(2c)과의 인접단부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반경위치에 예를 들면 2개의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ca, 3cb)을 형성한다. 한편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의 노면(s)과의 인접단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3ca, 3cb)과 동일 반경위치에, 이 가이드 구멍(3ca, 3cb)으로 안내되어서 이동하는 핀(3cc, 3cd)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기구(3a~3c)의 경우,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aa, 3ab, 3ba, 3bb, 3ca, 3cb)의 반경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각 도어체 블록(2a와 2b, 2b와 2c), 및 노면(s)에 대하여 도어체 블록(2c)이 회전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d)로부터 물(w)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유입되는 물(w)의 수위(水位)에 따라, 도6(a)~(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면(s) 측에서부터, 분할된 도어체 블록 2c, 2b, 2a의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하면서 순차적으로 부상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수위이더라도 도어체(2) 전체가 크게 흔들리는 일이 없다.
이 때,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aa, 3ab, 3ba, 3bb, 3ca, 3cb)의 원호모양의 길이를 최적으로 결정함으로써 각 도어체 블록(2a와 2b, 2b와 2c) 및 노면(s)에 대한 도어체 블록(2c)의 회전가능 각도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1번째 및 2번째 회전기구(3a, 3b)는, 상기 개구부(d)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w)의 방향을 향해서, 70도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aa, 3ab, 3ba, 3bb)의 원호모양의 길이를 결정한다. 또한 3번째 회전기구(3c)는 상기 개구부(d)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w)의 방향을 향해서, 75도만큼 회전이 가능하게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ca, 3cb)의 원호모양의 길이를 결정한다.
1번째 및 2번째 회전기구(3a, 3b)와 3번째 회전기구(3c)의 회전각도 범위를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하였을 경우,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의 회전각도가 70도를 지나게 되면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이 받는 유체력(流體力)이, 2번째 도어체 블록(2b)을 잡아당기는 것 같은 형태로 수면으로부터 들어 올린다.
이렇게 하면, 기립완료 직전에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의 기립 속도가 저감하여 충격력이 완화되고, 기립 중에 유체력이 큰 물(w)이 유입되어도 도어체(2)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가이드 구멍(3aa, 3ab, 3ba, 3bb, 3ca, 3cb)의 원호길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제한함과 아울러, 노면(s) 측에서부터, 도어체 블록 2c 및 2b를 통하여 도어체 블록 2a까지 와이어 로프(wire rope)(6)를 통하게 해서, 모든 회전기구(3a~3c)의 합계의 꺾임각도를 제한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했을 경우,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가 도복될 때에, 3개로 분할한 각 도어체 블록(2a~2c)이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번째 회전기구(3a)는 상기 개구부(d)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w)의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도, 예를 들면 15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호모양 가이드 구멍(3aa, 3ab)의 원호모양의 길이를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는, 선단측 도어체 블록(2a)이,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물(w)의 유입에 대하여 선행해서 기립하게 된다. 따라서 유입된 물(w)을 도복상태의 도어체 블록(2b, 2c)의 하방측으로 인도할 수 있어서, 개구부(d)로 물(w)이 유입되기 시작하는 유입 초기에 있어서 도어체 블록(2a~2c)의 부상동작(浮上動作)이 빨라지게 되어, 개구부(d)로부터의 물(w)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는, 상기 1~3번째 회전기구(3a~3c)의 상기 회전중심 근방에,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밀부재(水密部材)(4)를 부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 수밀부재(4)를 부착한 경우에는, 회전기구(3a~3c)에 의한 회전시에 수밀부재(4)의 신축(伸縮)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체(2)가 기립·도복을 반복하였을 경우에도 수밀부재(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1~3번째 회전기구(3a~3c)의 회전중심 근방에 수밀부재(4)를 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체(2a~2c)의 회전기구(3a~3c)로서 회전중심에 축을 사용한 단순한 구조를 채용하더라도 좋다.
도1의 5는, 기립완료 각도(예컨대, 75도)를 초과하여 도어체(2)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도어체(2)의 개구부(d) 측에 설치한 2접 로드(2摺 rod)이다. 이 로드(5)는, 기립완료 직전의 도어체(2)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화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누수방지를 위하여 도어체 블록(2a~2c)의 양측부에는 수밀 고무를 부착할 수 있으며, 개구부(d)의 양측 벽면에 설치된 슬라이딩면을 통해 슬라이딩 하므로 틈새없이 접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를, 방조벽의 개구부(d)의 노면(s)에 설치하였을 경우의 기립동작에 대해서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3개의 도어체 블록(2a~2c)을 연결해서 도어체(2)를 형성한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6(a)에 나타나 있는 증수(增水)하지 않고 있는 도복상태로부터, 증수 시의 수위에 따라 도6(b)~도6(d) 중 어느 하나까지 기립한다.
도6(a)는, 홍수 등의 재해가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는 개구부(d)의 노면(s)에 형성된 오목면(s1)에 수용되어 있다.
도6(a)에 나타나 있는 도복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홍수에 의하여 물이 불어나면, 도복상태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에는 증가하는 물(w)에 의하여 부력과 수압이 작용한다. 이 부력과 수압에 의하여 기단측 도어체 블록(2c)만이, 3번째 회전기구(3c)의 회전중심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개구부(d)의 반대방향을 향해서 회전상승하여 기립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을 제외한 2개의 도어체 블록(2a, 2b)은 수면에 떠있는 상태로 되고, 선단측 도어체 블록(2a)의 꼭대기 면이 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6(b)의 상태에서부터 더욱 물이 불어나면, 증가하는 물(w)에 의하여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에 작용하는 수압이 더욱 증가하고, 2번째 도어체 블록(2b)이 2번째 회전기구(3b)의 회전중심을 지점으로 하여 개구부(d)의 반대방향을 향해서 회전상승하여 기립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번째 회전기구(3a)만이 접혀져서 선단측 도어체 블록(2a)은 수면에 떠있는 상태로 된다.
도6(c)의 상태에서부터 더욱 물이 불어나면, 증가하는 물(w)에 의하여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에 작용하는 수압이 더욱 증가하여, 선단측 도어체 블록(2a)이 1번째 회전기구(3a)의 회전중심을 지점으로 하여 개구부(d)의 반대방향을 향해서 회전상승하여 기립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6(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도어체 블록(2a~2c)의 기립이 완료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를, 도6(d)에 나타난 기립상태로부터, 도6(a)에 나타난 개구부(d)의 노면(s)에 도복시키는 경우의 도복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6(d)는 홍수 등의 재해가 수습되기 전의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는 모든 도어체 블록(2a~2c)이 기립한 상태로 된다.
도6(d)에 나타나 있는 모든 도어체 블록(2a~2c)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예컨대 수위가 내려가면, 기립상태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에 작용하는 수압이 감소한다. 이 수압의 감소에 의하여 선단측 도어체 블록(2a)이 1번째 회전기구(3a)의 회전중심을 지점으로 하여 개구부(d)를 향해서 회전하강(回轉下降)하여 도복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6(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번째 회전기구(3a)만이 접혀져서 선단측 도어체 블록(2a)은 수면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도6(c)에서부터 더욱 수위가 내려가면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에 작용하는 수압이 더욱 감소하고, 2번째 도어체 블록(2b)이 2번째 회전기구(3b)의 회전중심을 지점으로 하여 개구부(d)를 향해서 회전하강하여 도복하기 시작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번째 회전기구(3b)만이 접혀져서 선단측 도어체 블록(2a)과 2번째 도어체 블록(2b)은 수면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도6(b)에서부터 더욱 수위가 내려가면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에 작용하는 수압이 더욱 감소하여, 기단측 도어체 블록(2c)이 3번째 회전기구(3c)의 회전중심을 지점으로 하여 개구부(d)를 향해 회전하강해서 도복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도어체 블록(2a~2c)은 오목면(s1)으로의 수용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예에 한하지 않고, 각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이면 적절하게 실시형태를 변경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회전기구(3a~3c)부에 이물질이 끼워지거나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기구(3a~3c)의 내면측에 커버를 부착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어체 블록(2a~2c)의 합계의 절곡각도는, 도어체 블록(2a~2c) 사이에 통과시킨 와이어 로프(6)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제한되므로, 수위 저하시에 도어체(2)가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는 2접 로드(5)를 부착하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노면에 매설하지 않는 탑재형이라도 좋다. 이들 경우의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1)의 기립·도복 동작도, 앞서 설명한 발명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1 :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2 : 도어체
2a~2c : 도어체 블록 3a~3c : 회전기구
3aa, 3ab, 3ba, 3bb, 3ca, 3cb : 가이드 구멍
3ac, 3ad, 3bc, 3bd, 3cc, 3cd : 핀
4 : 수밀부재 6 : 와이어 로프

Claims (10)

  1. 개구부(開口部)의 노면(路面)에 설치되고, 개구부로부터 물이 유입(流入)되려고 할 때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수압(水壓)과 도어체(door體)의 부력(浮力)을 이용하여 도어체를 기립(起立)시켜서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는 부체식 플랩 게이트(浮體式 flap gate)로서,
    도어체를, 높이방향으로 분할한 2개 이상의 도어체 블록(door體 block)으로 구성하고,
    이들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을,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을 향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한 회전기구(回轉機構)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높이방향의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을 향해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기 회전기구는,
    높이방향의 상방(上方)에 위치하는 일방의 도어체 블록과, 높이방향의 하방(下方)에 위치하는 타방의 도어체 블록, 또는 노면의,
    어느 일방의 인접단부(隣接端部)에는, 회전중심에서부터 소정의 반경위치(半徑位置)에 원호모양의 가이드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어느 타방의 인접단부 또는 노면에는, 상기 원호모양의 가이드 구멍과 동일 반경위치에 이 가이드 구멍으로 안내되어서 이동하는 핀(pin)을 설치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도어체 블록의 인접단부 사이 및 노면과 기단측 도어체 블록(基端側 door體 block)의 단부(端部) 사이의 상기 회전중심 근방에, 수밀부재(水密部材)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 중 높이방향의 선단측 도어체 블록(先端側 door體 block)만이, 상기 개구부로부터 유입되려고 하는 물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도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 사이에 설치된 회전기구의 회전각도 범위가, 기단측 도어체 블록과 노면 사이에 설치된 회전기구의 회전각도 범위보다 작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방향으로 분할된 도어체 블록 간에 설치된 회전기구의 회전각도 범위가, 기단측 도어체 블록과 노면 간에 설치된 회전기구의 회전각도 범위보다 작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노면에서부터 높이방향의 중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어체 블록을 통하여 높이방향의 선단측 도어체 블록까지 와이어 로프(wire rope)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8. 제4항에 있어서,
    노면에서부터 높이방향 중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어체 블록을 통하여 높이방향의 선단측 도어체 블록까지 와이어 로프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9. 제5항에 있어서,
    노면에서부터 높이방향 중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어체 블록을 통하여 높이방향의 선단측 도어체 블록까지 와이어 로프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10. 제6항에 있어서,
    노면에서부터 높이방향 중간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도어체 블록을 통하여 높이방향의 선단측 도어체 블록까지 와이어 로프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KR1020127016687A 2010-01-27 2010-10-05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KR201201155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5823 2010-01-27
JP2010015823A JP5329452B2 (ja) 2010-01-27 2010-01-27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503A true KR20120115503A (ko) 2012-10-18

Family

ID=4431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687A KR20120115503A (ko) 2010-01-27 2010-10-05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11042B2 (ko)
JP (1) JP5329452B2 (ko)
KR (1) KR20120115503A (ko)
CN (1) CN102713075B (ko)
HK (1) HK1171252A1 (ko)
WO (1) WO2011092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0785B2 (ja) * 2011-06-21 2014-08-27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JP6305940B2 (ja) * 2012-02-08 2018-04-04 ウォーターズ,ルイス,エー,ジュニア 自己作動する洪水防水壁
JP5931580B2 (ja) * 2012-05-17 2016-06-08 開成工業株式会社 浮体式陸閘ゲート
CZ306685B6 (cs) * 2012-07-18 2017-05-10 Eismann Zařízení k ochraně budov proti povodním a záplavám
JP5883756B2 (ja) * 2012-09-28 2016-03-15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の扉体構造
JP6227477B2 (ja) * 2014-05-16 2017-11-08 日立造船株式会社 管路止水装置
CN104120907A (zh) * 2014-08-13 2014-10-29 南京军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挡水装置
TWI565858B (zh) * 2014-10-15 2017-01-11 Li-Yu Zeng Freestyle-type flood control gate
JP6438282B2 (ja) 2014-11-28 2018-12-12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JP6118958B1 (ja) 2016-06-06 2017-04-26 英外 ▲濱▼田 改良型可動式津波緩衝設備
JP6738707B2 (ja) * 2016-09-30 2020-08-12 日立造船株式会社 起伏ゲートの回転支承および起伏ゲート
CN108265673A (zh) * 2018-04-04 2018-07-10 黄芳 一种挡水装置
JP7535749B2 (ja) 2020-08-31 2024-08-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処理システム
CN112982284B (zh) * 2021-02-25 2023-02-10 青岛理工大学 一种地下车库水动力阻水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49A (en) * 1897-03-23 Automatic movable dam ob sluiceway gate
US602803A (en) * 1898-04-19 John groom
US2183288A (en) * 1936-06-03 1939-12-12 Cicin Paul Double-sluice weir
JPS57193721U (ko) * 1981-05-31 1982-12-08
JPS5813815A (ja) 1981-07-17 1983-01-26 Sato Tekko Kk フロ−チングゲイト
GB2183719A (en) * 1985-11-27 1987-06-10 A J Petrie The doubile rotation hinge
CN2045759U (zh) 1988-12-28 1989-10-11 卢植槐 活动杩杈闸坝
JP3542537B2 (ja) 2000-02-02 2004-07-14 日本エフ・アール・ピー株式会社 建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ゲートのロック装置
NL1017109C2 (nl) * 2000-03-18 2001-09-21 Cornelis Elizabeth Rijlaarsdam Waterkering.
NO314414B1 (no) * 2001-03-16 2003-03-17 Aquafence As En flombarriereseksjon og en flombarriere
JP4204064B2 (ja) * 2001-08-27 2009-01-07 飯田鉄工株式会社 起伏ゲート
US6453483B1 (en) * 2001-10-16 2002-09-24 Jacuzzi Whirlpool Bath, A Division Of Jacuzzi, Inc. Spa weir system
JP2003253912A (ja) 2002-03-01 2003-09-10 Kumagai Gumi Co Ltd 水位追従式起伏ゲート装置
US6623209B1 (en) * 2002-04-04 2003-09-23 Floodbreak Llc Automatic flood gate
TWI225532B (en) * 2003-11-20 2004-12-21 Avision Inc Duplex hinge device and a multi-function peripheral using the same
CN2727240Y (zh) * 2004-06-03 2005-09-21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 悬挂式双向挡水闸门
US7467911B2 (en) 2006-01-20 2008-12-23 Flury Ronald J Storm drain basin gate system
CN2905896Y (zh) * 2006-05-24 2007-05-30 江苏润源水务设备有限公司 浮箱式自动闸门
KR100912197B1 (ko) * 2008-04-21 2009-08-14 송순덕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JP2009299427A (ja) * 2008-06-17 2009-12-24 Hitachi Zosen Corp 起伏ゲート式防波堤及びその起立方法
JP2011202474A (ja) * 2010-03-26 2011-10-13 Hitachi Zosen Corp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1042B2 (en) 2015-04-21
HK1171252A1 (en) 2013-03-22
CN102713075A (zh) 2012-10-03
WO2011092897A1 (ja) 2011-08-04
US20120294678A1 (en) 2012-11-22
CN102713075B (zh) 2015-02-25
JP2011153468A (ja) 2011-08-11
JP5329452B2 (ja)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5503A (ko) 부체연결식 플랩 게이트
JP6506906B2 (ja) 自動作動洪水ガード
JP5762822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US10174474B2 (en) Movable tsunami buffer dam
JP6625911B2 (ja) フラップゲート及びゲート設備
WO2014097712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149846B1 (ko) 제방 여유고 부족공간에 설치되는 무빙월
US10619318B1 (en) Flood barrier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JP2017166415A (ja) 排水機場および排水方法
JP6461699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JP2015212505A (ja) 防潮堤
JP4203798B2 (ja) 回転式ゲート
JP2011202474A (ja)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JP2014125762A (ja) 防潮水門
WO2017175459A1 (ja) 縦孔閉塞装置
KR102192482B1 (ko)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JP7507597B2 (ja) 流木捕捉工
KR101969457B1 (ko) 월류 방지 구조물
JP5118525B2 (ja) 津波・高潮対策水門
WO2017163691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設備
KR102331810B1 (ko) 자동기립 및 자동복귀가 가능한 가동식 상치콘크리트 구조
KR102219969B1 (ko) 모래유실 방지장치를 이용한 해안침식방지방법
JP3248069B2 (ja) 水門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35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912

Effective date: 2018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