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197B1 -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197B1
KR100912197B1 KR1020080086509A KR20080086509A KR100912197B1 KR 100912197 B1 KR100912197 B1 KR 100912197B1 KR 1020080086509 A KR1020080086509 A KR 1020080086509A KR 20080086509 A KR20080086509 A KR 20080086509A KR 100912197 B1 KR100912197 B1 KR 100912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vable beam
driving
movabl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송순덕
Original Assignee
송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덕 filed Critical 송순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8Roof or double shutte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는, 수중에 설치된 지지 구조물 상에 형성된 것으로, 직립 상태를 가질 때, 수직상태를 가지는 제 4플레이트 및,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3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전면을 향해 지지 구조물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동보; 상기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 각각을 연결하여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가 접철 가능하도록 하는 4개의 접철 장치;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측 부에서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동 빔; 상기 구동 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빔을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이 되어, 상기 구동 빔의 회동에 의하여 제 4 플레이트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구조물 방향으로 접철되어, 상기 가동보가 개방 상태를 가질 때 수평 상태에 가까운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동보, 하천 가동보, 전도 게이트, 수중보

Description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SHUTTING FOLDABLE MOVABLE-WEIR}
본 발명은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가동보가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되 이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접철이 가능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가동보의 개폐 시에 가동보 자체에 미치게 될 수압의 영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내구성을 장시간 담보할 수 있는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동보(可動洑)란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수위 조절 및 홍수 시 개방을 통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더불어 하류의 물이 불어 상류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하천을 횡단하는 수공 구조물(수중보)의 일 종류를 말한다.
이러한 가동보는 작동방식에 따라 고무보와 전도 게이트로 분류가 가능한바, 고무보의 경우 소재의 특성에 의하여 쉽사리 파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도 게이트로 이루어진 가동보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전도 게이트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가동보의 구조는 수중에 설치되어 상하 이 동식 내지 하천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 내지 링크에 의하여 실린더에 의한 동력 제공에 따라 회동되는 회동식과 같은 방식이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상하 이동식 가동보는 가동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가동보의 개폐에 상당한 무리와 가동보 자체적인 피로도가 증가하여 가동보 개폐가 용이하지 않거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동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지적된다.
더불어, 회동식 가동보는 일반적으로 가동보의 하 부위에 구비된 힌지의 구동으로 회동이 되는바, 가동보의 하 부위는 동력이 발생하는 힌지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수압에 저항을 받지 않고 가동되는데 지장이 없으나 가동보의 상 부위는 그 하 부위의 구동에 따라 종속되어 회동이 되기 때문에 구동력이 상대적으로 빈약하여 가동보의 상하 부위에서 수압 저항력이 각각 차이를 가져 이러한 힘의 불균형에 의하여 가동보 자체가 균열되거나 내구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 2005-0100341호 "친환경 하천 회동식 가동보"는 이러한 회동식 가동보의 일 례를 게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하상에 매입되는 중공의 키 상부에, 하부에 수조가 형성된 수문이 회동축을 통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수조에 물이 주입 및 배출됨에 따라 각각 기립 및 도복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 적은 동력으로도 효과적인 가동보의 작동이 가능하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에 따른 가동보의 구조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압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부위라 할 수 있는 가동보의 상 부위가 단순히 하 부위로부터 일 직선 내지 곡선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 부위가 수압에 상당히 취약하게 된다는 단점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힌지에 의한 회동식 가동보 구조를 가지되, 가동보의 상 부위를 적절히 지지하여 수압 내구성을 충분하고 안전하게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은 동력으로도 가동보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구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보의 새로운 구조 및 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할 필요가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동보를 접철 가능한 복수 개의 플레이트로 마련하여 가동보의 상 부위에 지지력을 보강함으로써 가동보의 상 부위는 물론 가동보 전체 부위에 수압 내구성과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동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철 가능한 가동보 중 소정 부위가 중력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식으로 접철이 되도록 하여 접철의 편의성과 적은 동력으로 접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동보를 접철할 수 있는 최적의 구동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가동보 개폐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가동보를 접철하는 구동 모듈을 가동보 좌우 1쌍으로 배치하여 가동보 개폐의 안전성과 균형성을 추구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평상시에 각 플레이트가 수압에 의하여 중력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구동 빔이 특정 플레이트를 지탱하도록 함과 동시에, 각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접철 장치가 제어에 의하여 평상시에는 접철 방지 상태를 가지고 가동보(플레이트)의 개방 시에는 접철 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는, 수중에 설치된 지지 구조물 상에 형성된 것으로, 직립 상태를 가질 때, 수직상태를 가지는 제 4플레이트 및,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3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전면을 향해 지지 구조물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동보; 상기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 각각을 연결하여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가 접철 가능하도록 하는 4개의 힌지;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측 부에서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동 빔; 상기 구동 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빔을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이 되어, 상기 구동 빔의 회동에 의하여 제 4 플레이트가 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순차적으로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구조물 방향으로 접철되어, 상기 가동보가 개방 상태를 가질 때 수평 상태에 가까운 상태를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힌지의 설치 위치 내지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는, 상기 가동보의 접철 시에 지그재그 형식으로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듈은,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구비된 피스톤 로드의 직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커넥터; 일 측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고 타 측은 상기 구동 빔에 고정 연결되어, 시계 방향 내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빔을 회동하도록 하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구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에 의하면,
1) 사다리꼴 링크 구조와 유사한 가동보 측 구조 형상을 마련하여 각 면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 가동보 개폐의 원활함과 가동보에 대한 수압 저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2) 가동보 좌우 1쌍으로 구비되는 구동 수단에 의하여 가동보의 개폐 내지 접철이 안정적이고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 가동보의 부분을 이루는 플레이트에서 소정 플레이트가 지그재그로 접철이 되어 중력 친화적인 접철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은 동력원으로도 충분히 가동보의 접철 내지 개폐를 원활하게 이룰 수가 있을 뿐 아니라,
4) 거의 수평에 가까운 개방 상태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방류 시 역류 내지 와류가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에 대한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에 대한 투시사시도이다.
도 1,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는 수중, 즉 하천 등의 바닥 면에 매설되어 있는 지지 구조물(1) 상에 구비되어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를 통해 돌출 입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가 서로 접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가동보(10), 상기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를 접철 가능하게 각각 연결하는 제 1 내지 제 4 힌지(21,22,23,24), 구동부, 구동 보조부로 이루어져 상기 가동보(10)를 회동하여 접철 내지 개폐를 이루는 접철 모듈(100), 제 4 플레이트(24)에서 수직 연장되어 구동부의 샤프트(40)와 연결된 구동 빔(1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의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10)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치 개략적으로 사다리꼴(제 3 플레이트와 자지 구조물이 평행에 가깝고 제 1,2 플레이트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형태)과 유사하게 형성된 도형 형태를 수직으로 2등분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가동보(10)의 양 측 부위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도면부호는 없으나 구동부를 싸고 있는 부위를 말함- 이 하우징을 비롯한 구동부는 지지 구조물(2) 상에 위치하고 있음)에 의하여 가려져 있으며, 가동보(10)의 하부는 지지 구조물(1)에 의하여 지지가 되어 있는 상태를 가져, 가동보(10)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6개의 폐 면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육면체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또한, 지지 구조물(1,2)은 일반적으로는 기존 하천에 설치되어 있거나 새로이 설치한 콘크리트 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만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것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10)를 그 상부에 추가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작 공정의 편의성과 비용 절감의 장점까지 가질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물(1,2)은 이러한 콘크리트 재질 이외에 현재 가능한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가동보(10)를 이루는 데 중추적 구성을 담당하는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는 도 1, 2를 기준으로 바라보았을 때 가동보(10)의 정면, 평면, 배면을 이루는 부위를 의미한다.
먼저, 제 4 플레이트(14)는 가동보(10)의 배면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가동보(10) 하부에 지지되어 있는 지지구조물(1)에서 수직 연장되어 있고, 구동부의 샤 프트(40)의 회동력을 1차적으로 전달받아 가동보(10) 전체를 접철,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처럼, 제 4 플레이트(14)는 구동력이 직접적이고 1차적으로 전달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다른 제 1 내지 3 플레이트(11,12,13)보다 견고한 재질 내지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불어, 수직 연장 구조 뿐 아니라 약간 전방을 향해 기운 구조로 이루어져 수압 저항을 상대적으로 덜 받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플레이트(13)는 상기 제 4 플레이트(14)에서 정면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있는 부위로서 가동보(10)의 평면 부위에 해당하게 된다.
제 1, 2 플레이트(11,12)는 가동보(10)의 정면 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제 4 플레이트(14)와 달리 지지구조물(1)에 수직 연장되어 있지 아니하고 전면 방향을 향해 하방 경사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는 힌지(21,22,23,24)에 의하여 각각 연결이 되어 특정 제어에 의하여 접철이 가능하며,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 장치(21,22,23,24)는 4개로서 구성이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접철 장치(21)는 지지 구조물(1)과 제 1 플레이트(11)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고, 제 2 접철 장치(22)는 제 1 플레이트(11)와 제 2 플레이트(12)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며, 제 3 접철 장치(23)는 제 2 플레이트(12)와 제 3 플레이트(13)를 역시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함과 동시에 제 4 접철 장치(24)는 제 3 플레이트(13)와 제 4 플레이트(14)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접철장치는 도면에서는 마치 경첩으로 구현이 된 것으로 표현이 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힌지로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흐르는 물살 내지 수압에 의하여 의도하는 바와 달리 상술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중력 방향으로 주저앉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평상시에는 회동이 되지 않다가 가봉보가 접철될 경우에만 접철을 보장하는 구성을 가진 힌지, 예를 들어 걸림 편에 걸림/해제를 반복할 수 있는 스토퍼 힌지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장치가 스토퍼 힌지로서 구현된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2 플레이트(11,12) 사이에 형성된 제 2 접철장치(22)를 특화하여 구성한 스토퍼 힌지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제 2 접철장치(22)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나머지 접철장치, 즉 제 1, 3, 4 접철장치(21,23,24)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단지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접철장치를 제시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스토퍼 힌지(100)는 제 1, 2 경첩부(101,102)와 상기 제 1,2 경첩부(101,102) 사이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는 하우징(110)(도 7b에서 하우징만 점선 처리되어 있음), 하우징(110) 내에서 모터(120)의 구동에 따라 걸림 편(140)으로 인입 및 인출이 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130)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130)가 걸림 편(140)에 삽입이 될 때는 걸림 편(140) 내의 잠금 수 단(미도시)에 의하여 제 1,2 경첩부(101,102)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접철 장치의 작동이 하우징(110) 내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130)가 걸림 편에 걸리게 되는 기능(즉, 스토퍼가 걸림 편에 걸려 있어(엄밀히는 삽입되어 있어) 힌지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에 의하여 수행되지 않다가,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를 접철하여 가동보(10)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모터(120)에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130)를 모터(120)의 회전으로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 스토퍼(130)가 걸림 편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여 제 1,2 경첩부(101,102)가 접철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10)은 모터(120) 및 스토퍼(130), 걸림 편(140)을 포함한 상태로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어, 스토퍼(130)의 이동 반경을 보장하도록 한다. 모터(120)는 하우징 단부에 고정이 되어 회전에 의하여 스토퍼(130)의 이동성만을 보장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평상시에는 각각의 플레이트 사이에서 플레이트가 중력방향으로 접철되지 않도록 플레이트 세트(즉, 스토퍼 힌지 양측에 있는 2개의 플레이트)를 지탱하고 있다가 가동보(10)를 개방할 경우에만 제어 신호(즉, 스토퍼 걸림 해제 신호)를 스토퍼 힌지(100)에 전달하여 스토퍼 힌지(100)가 비로소 접철되도록 한다.
더불어, 각 접철 장치(21,22,23,24)는 인접 플레이트에 연결이 되어 있는 샤 프트와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텝 모터로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한바, 구동 모듈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샤프트 일 측에 마련된 스텝 모터가 회전하여 스텝 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샤프트를 회전시키며 이 때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이에 연결되어 있는 플레이트가 접철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스텝 모터는 각각의 접철장치와 연동이 되어 구동 모듈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접철되는 상태에 상응하여 회전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접철 장치(21,22,23,24)는 물론 전후 양 방향으로 방향 특성을 타지 않고 각 플레이트의 접철을 보장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전하고 중력 방향에 의한 접철 특성을 부여하여 원활하게 접철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 2 내지 4 접철 장치(22,23,24,25)는 특정 방향으로만 해당 플레이트가 접철될 수 있게 방향 특성을 부여한다.
즉, 도 5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2 접철 장치(22)는 제 1 플레이트(11)와 제 2 플레이트(12)가 내측 방향으로만 들어가면서 접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제 3 접철 장치(23)는 제 2 플레이트(12)와 제 3 플레이트(13)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접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 4 접철 장치(24)는 제 3 플레이트(13)와 제 4 플레이트(14)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접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11,12,13)는 서로 지그재그로 적층되면서 접히도록 이루어져, 접철의 안정성과 편의성을 도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다른 구동 보(15)는 제 4 플레이트와 같이 직립 설치(즉, 제 4 플 레이트의 내 측면 주변에 설치)되어 있되, 일정폭과 넓이를 가져 상부 면의 폭 내지 두께가 제 3 플레이트(13)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제 3 플레이트(13)는 위에서 작용하는 수압 내지 흐르는 물살에 의한 압력에 의해서도 구동 빔(15)의 상부 면에 안전하게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 치우치는 문제없이 수평 상태(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3 플레이트(13)의 일 단 부위가 구동 빔(15)에 의하여 일정 폭 지지되므로, 제 3 플레이트(13)가 수압에 의하여 부러지지 않는 이상은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 3 플레이트(13)가 접철 장치 및 구동 보(15)에 의하여 평상시에도 수평 상태를 유지할 경우, 제 1 및 제 2 플레이트(11,12) 역시 그 사이에 설치된 접철장치가 구부러지거나 회동하지 않게 됨으로 제 1 내지 제 2 플레이트(11,12)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는 사다리꼴을 2등분한 것과 같은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모듈(100)은 크게 구동부와 구동 보조부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부는 가동보(10)의 측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하우징이 구비되어 이 하우징이 구동부를 수용할 수가 있다. 이 때, 하우징은 가동보(10)의 측 부위와 동일 측 부위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동보(10)의 측 부위와 밀착되어 있어 가동보(10)의 측 부위의 적절한 밀폐 상태를 이룰 수가 있다.
구동부는 실질적으로 가동보(10)를 접철 내지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물론 현재 알려진 다양한 기계적 구조에 의하여 회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족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지지 구조물(1)에 연결이 되어 있는 실린더(30), 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31)의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커넥터(32), 커넥터(32)에 의하여 회전이 되되 제 4 플레이트(14)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구동 빔(15)에 연결되어 구동 빔(15)(제 4 플레이트)(14)의 회전을 도모하는 샤프트(40)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31)의 구동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담보가 된다.
더불어, 구동 보조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제 4 플레이트(14)가 회동되는 상태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가동보(10)의 대략적으로 내부 중앙 공간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보조부는 지지 구조물(1)의 소정 부위에 안착되어 있는 1쌍의 러그(41)와 상기 1쌍의 러그(41)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4 플레이트(14)에 구비된 가이드 빔(50)을 향해 연장되어 가이드 빔(50)에 구비된 슬릿(51)에 연결되어 있는 1쌍의 가이드 바(42), 가이드 바(42)가 슬릿(51)에서 상하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양자를 연결하는 회동 접철 장치(43), 제 4플레이트(14) 내벽에 직립하도록 구비되어 가이드 바(42)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슬릿(51)을 구비한 가이드 빔(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 보조부는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제 4 플레이트(41)가 회동할 때, 제 4 플레이트(41)를 회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보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 4 플레이트(41)의 중앙 부위에 지지력을 제공하여 제 4플레이트(14)가 보다 안전하고 균형적인 힘 안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보다 안정적인 구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러그(41)와 가이드 바(42)의 연결 부위에 별도로 구비된 모터에 의해 회동 가능한 샤프트가 추가로 연결되어 제 4 플레이트(14)의 회동 상태를 증강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구동부는 가동보(10)의 일 측에 하나로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나,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가동보(10)의 좌우에 1쌍으로 구비되어 가동보(10), 구체적으로 제 4플레이트(14)의 회동 상태를 균형적이고 안전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반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반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가동보(10)가 직립 상태를 가질 경우에는 하천 등에서 담수 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가동보(1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평상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31)가 최대 연장 상태(이완 상태)를 가지고 있어 제 4 플레이트(14)가 직립 상태를 가지도록 지지되어 있고, 이에 상응하여 가이드 바(42) 역시 가이드 빔(5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뻗어 있어 제 4 플레이트(14)의 직립 상태를 지지하고 있게 된다.
더불어, 제 3 플레이트(13)는 가급적 넓은 상부 표면적을 가지는 구동 빔의 상부 면에 안착하기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 쏠리거나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를 확보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접철 장치(21,22,23,24) 역시 평상시에는 스토퍼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어 있어 보다 안전하고 확실하게 중령 방향으로 각 플레이트(21,22,23,24)가 회동되거나 구부러지지 않게 하여 가봉보의 담수 등의 기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도 1 내지 도 3의 상태에서, 가동보(10)의 구동, 즉 가동보(10)를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터가 작동하여 실린더(30)의 피스톤 로드(31)를 수축하기 시작한다.
도 5a, 도 5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피스톤 로드(31)가 수축되기 시작하면 이에 연결된 커넥터(32)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동시에 샤프트(40)의 반 시계 방향 회전을 도모하고, 샤프트(40)에 고정 연결이 되어 있는 구동 빔(15)은 샤프트(40)를 따라 반 시계 방향 즉, 직립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회동되기 시작 한다.
구동 빔(15)의 이러한 회동에 따라 구동 빔(15)이 고정 부착되어 있는 부위인 제 4 플레이트(14) 역시 반 시계 방향, 즉 수평 상태를 향한 방향으로 회동이 되면서 제 3플레이트(13)를 누르게 되고 이 때 가동보(10)는 직립 상태를 균형이 깨지면서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11,12,13)가 접철되기 시작한다.
제 3플레이트(13)가 하방으로 내려오면서 제 1 및 제 2 플레이트(11,12)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접철 장치(21,22)에 설정된 접철 방향에 따라 접철이 되는데, 이 때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11,12,13)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철이 되어 접철되는 플레이트 전체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중력 방향에 순응하여 쪼개어 지듯이 접철이 되기 때문에 마치 살며시 주저 않는 것과 같이 접철이 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완전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반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6b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가동보(10)가 완전 개방이 되면 마치 가동보가 납작하게 눌려 있는 것과 같이 거의 수평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가동보를 직립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는 회동에 의하여 기립 및 수평 상태를 가지되, 공지의 회동식 가동보와 달리 가동보(10) 전체의 구 조가 입체적으로 견고하게 조직되어 있어 가동보(10)의 상 부위의 내구성을 보장하게 됨으로 전체적으로 수압에 탁월한 내구성을 가질 뿐 아니라 입체 구조물이면서도 수압에 저항을 덜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직립 및 수평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10)를 이루는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11,12,13,14)는 반드시 4개의 플레이트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천의 너비 내지 각기 상황에 따라서 그 이상의 플레이트 조합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본적 사상을 고려한다면 당연하다 할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에 대한 전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에 대한 투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의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반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반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완전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보 개폐장치에서의 가동보가 반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 장치의 일 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동보 30: 실린더
11: 제 1 플레이트 31: 피스톤 로드
12: 제 2 플레이트 32: 커넥터
13: 제 3 플레이트 40 : 샤프트
14: 제 4 플레이트 41: 러그
15: 구동 빔 42: 가이드 바
21: 제 1 접철 장치 43: 회동 힌지
22: 제 2 접철 장치 50: 가이드 빔
23: 제 3 접철 장치 51: 슬릿
24: 제 4 접철 장치

Claims (7)

  1.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로서,
    수중에 설치된 지지 구조물 상에 형성된 것으로, 직립 상태를 가질 때, 수직상태를 가지는 제 4플레이트 및,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3플레이트,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전면을 향해 지지 구조물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동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구조물 사이를 연결하여 각각의 상기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 상호 간에 접철 가능하도록 하는 4개의 접철 장치;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측 부에서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동 빔;
    상기 구동 빔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빔을 회동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이 되어,
    상기 구동 빔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 4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을 향해 회동되는 것을 시작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플레이트가 접철이 되어, 상기 가동보의 개방 형상이라 할 수 있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플레이트의 접철 완료 형상이 수평 상태에 가깝도록 상기 지지 구조물 상에 적층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모터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구비된 피스톤 로드의 직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커넥터;
    일 측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고 타 측은 상기 구동 빔에 고정 연결되어, 시계 방향 내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 빔을 회동하도록 하는 샤프트;로 이루어진, 구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감싸되, 상기 가동보의 직립 시 측면 형상과 유사한 측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동보의 좌우 양 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가동보에 의해 발생되는 공간 내부에 해당하는 소정의 상기 지지구조물 부위에 안착되어 있는 1쌍의 러그;
    상기 1쌍의 러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4플레이트까지 연장 형성된 1쌍의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한 슬릿을 구비하여, 수직 상태로서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내벽에 부착 처리된 가이드 빔;으로 이루어진 구동 보조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하여 제 4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빔은,
    직립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상부 면에서 상기 제 3 플레이트와 접촉하여 상기 제 3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7. 삭제
KR1020080086509A 2008-04-21 2008-09-02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KR100912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79 2008-04-21
KR20080036779 2008-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197B1 true KR100912197B1 (ko) 2009-08-14

Family

ID=4120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509A KR100912197B1 (ko) 2008-04-21 2008-09-02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1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2897A1 (ja) * 2010-01-27 2011-08-04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064725B1 (ko) 2010-10-29 2011-09-14 강남구 잠수형 가동보
CN108166459A (zh) * 2018-02-26 2018-06-15 衢州市长河翻板闸门有限公司 一种曲臂钢坝闸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4527U (ja) 1982-02-15 1983-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連動起倒式水門扉
JP2000220128A (ja) 1999-02-02 2000-08-08 Marsima Aqua System Corp 土砂排除機能付き起伏ゲート
KR200316524Y1 (ko) 2003-03-28 2003-06-18 김기철 수문 개폐장치
KR20060092450A (ko) * 2005-02-17 2006-08-23 (주)청강하이텍 전도식 수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4527U (ja) 1982-02-15 1983-08-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連動起倒式水門扉
JP2000220128A (ja) 1999-02-02 2000-08-08 Marsima Aqua System Corp 土砂排除機能付き起伏ゲート
KR200316524Y1 (ko) 2003-03-28 2003-06-18 김기철 수문 개폐장치
KR20060092450A (ko) * 2005-02-17 2006-08-23 (주)청강하이텍 전도식 수문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2897A1 (ja) * 2010-01-27 2011-08-04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JP2011153468A (ja) * 2010-01-27 2011-08-11 Hitachi Zosen Corp 浮体連結式フラップゲート
US9011042B2 (en) 2010-01-27 2015-04-21 Hitachi Zosen Corporation Floating body connection-type flap gate
KR101064725B1 (ko) 2010-10-29 2011-09-14 강남구 잠수형 가동보
CN108166459A (zh) * 2018-02-26 2018-06-15 衢州市长河翻板闸门有限公司 一种曲臂钢坝闸门
CN108166459B (zh) * 2018-02-26 2023-10-17 浙江河好闸门科技有限公司 一种曲臂钢坝闸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197B1 (ko) 접철 가능한 가동보 개폐장치
CN101115883B (zh) 具有互连挡壁构件的挡壁
CN110418530B (zh) 一种电气控制柜
KR102042017B1 (ko) 조류발전용 터빈 및 조류발전용 터빈의 리프트 장치와 수위대응형 고정장치
KR100514555B1 (ko) 혼합형 수문장치
KR101118731B1 (ko) 유압식 가동보
CH708897A1 (fr) Ouvrage de franchissement mobile.
KR200401338Y1 (ko) 받침틀식 가동보
US7467923B2 (en) Fluid flow energy conversion apparatus
KR101444885B1 (ko) 로터리식 가동보
KR101109305B1 (ko) 전도식 수문
KR102291951B1 (ko) 안전기능을 구비한 교량 구조
KR10206678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보행자 안전 휀스
KR101372225B1 (ko) 삼각관절형 링크기구를 갖는 전도식 수문
KR102277999B1 (ko) 수문의 파손과 이물질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방지판이 구비된 전도식 가동보
KR200349382Y1 (ko) 전도식 수문
US534704A (en) Drawbridge
KR101848553B1 (ko) 건물의 케이블 트레이 매립형 연결 장치
KR20130029534A (ko) 유격을 이용한 수문 뒤틀림 방지 기능이 구비된 와이드 스팬 가동보
CN217053267U (zh) 一种挡潮闸门系统
KR101574680B1 (ko) 수문 개폐용 사프트 처짐 방지장치
WO2017175459A1 (ja) 縦孔閉塞装置
KR102359903B1 (ko) 전도식 가동보
KR100663633B1 (ko) 가동보 개폐장치
CN219450659U (zh) 一种液压驱动的人字闸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