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399A -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399A
KR20120114399A KR1020127023097A KR20127023097A KR20120114399A KR 20120114399 A KR20120114399 A KR 20120114399A KR 1020127023097 A KR1020127023097 A KR 1020127023097A KR 20127023097 A KR20127023097 A KR 20127023097A KR 20120114399 A KR20120114399 A KR 20120114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water body
insertion protrusion
sli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773B1 (ko
Inventor
사토시 이시카와
리이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저팬 바녹
페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저팬 바녹, 페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저팬 바녹
Publication of KR2012011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A44B11/258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combined with one buckle element rotat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4Stay means with an articulated or bridg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8Stay means using specif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6Brassiér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Abstract

종래의 연결 부재에 착탈 모두 원터치로 게다가 용이하며 미관도 뛰어나며 코스트적으로도 저렴한 것이 없었다는 점이다. 대응되는 수체와 그 수체에 형성된 꼽는 부위(콘센트부)에 삽입되는 콘센트 편을 갖춘 삽입체로 되어 있어, 전기 삽입편은 단면 L자형으로 되어, 그 약 L자형으로 된 사입편의 후벽면이 수체의 삽입부에 형성된 계합부와 계합되는 것으로 하여, 전기한 수체의 삽입부는 평행상태에서 복수 개가 설정되어있는 것으로 하며, 전기한 수체의 삽입부 슬릿으로 하여 그 슬릿을 향해 삽입체의 삽입편의 삽입 가이드가 되는 구배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결 부재{CONNECTION MEMBER}
본 발명은 분리되어 있는 것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고, 특히 브래지어의 백 벨트에 사용하여 기존의 후크 대신으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연결 부재, 특히 브래지어의 백 벨트를 끼우는 후크는 굴곡된 금속제 후크를 다른 쪽의 루프에 거는 형식이고 그것도 여러 개가 병렬되어 있다. 그래서 착탈이 어렵고 손끝을 등으로 돌리기 때문에, 어깨나 상완 등을 다치는 경우도 있었다.
출원인은 본 발명에 관해서 선행 기술 문헌을 조사했지만 본 발명과 관련해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각별한 문헌은 발견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기존의 연결 부재는 착탈이 원터치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미관적으로도 뛰어나고 코스트도 염가로 되는 것이 없었다는 점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연결 부재는 짝이 되는 수체(受體)와 그 수체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갖춘 삽입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돌기는 단면이 대략적으로 L자형으로 되어있고 그 L자형으로 된 삽입 돌기의 후벽면이 수체의 삽입부에 형성된 계합(係合)부와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연결 부재는 상기한 수체의 삽입부가 평행 상태로 여러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수체의 삽입부는 슬릿으로 하며, 그 슬릿을 향해 삽입체의 삽입 돌기의 삽입 가이드가 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연결 부재는 상기한 삽입 돌기의 뒤쪽에는 계합을 보강하는 보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한 수체와 삽입부의 연결에 의해, 수체와 삽입부가 장착된 대상물은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연결 부재는 상기한 수체가 중합된 베이스 소재 상에 일체가 된 상태로 고착되어 삽입부에서 상기 베이스 소재 중 수체와 접하는 한 장만을 슬릿 컷 해, 삽입 돌기를 삽입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연결 부재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삽입체에 삽입 돌기는 슬립온 상태로 수체의 삽입부에 원터치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삽입 돌기의 후면이 삽입부의 계합부와 계합되는 것으로 연결 상태가 완료한다. 또, 떼어낼 때도 삽입체의 삽입 돌기를 약간 들어 올려 각도를 바꾸기만 하면 쉽게 실행할 수 있고, 특히 신축성이 있는 대상물을 연결하는 경우, 그 인장력으로 계합 상태가 유지되어, 브래지어의 백 벨트 등에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단면도이다.
도3은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디자인을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은 다른 디자인을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은 다른 디자인을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은 다른 디자인을 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는 수체의 장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삽입체의 장착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다른 실시 예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는 통기공을 마련한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3은 슬릿에 보강 리브를 설치한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4는 다른 실시 예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으로 나타내고 실시 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으로 실현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브래지어의 백 벨트에 장착하는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수체를 나타낸다. 이 수체 1은 평탄한 플라스틱 판으로 성형되어 있고, 작용 방향에 직교하는 삽입부 2, 2가 평행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부 2, 2는 슬릿으로 되어 있고 그 수용하는 쪽에는 패인 원호형의 면을 갖는, 후술 하는 삽입 돌기의 삽입 가이드가 되는, 테이퍼면 3, 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삽입부 2, 2에 따라 형성되는 테이퍼면 3, 3의 선단은 아래 쪽으로 굴곡 돌출해, 후술하는 삽입 돌기의 계합부 4, 4가 되어 있다.
한편, 도 5는 삽입체를 나타내며 이 삽입체 5도 수체 1과 동질의 평탄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삽입체 5는 선단 측에, 아래 쪽을 향해 단면이 L자 모양인 삽입 돌기 6이 일체가 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 삽입 돌기 6을 포함해 전체적으로 크랭크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삽입 돌기 6의 후면은 약간 예각으로 하는 것으로 미끄러짐이 억제되어 계합 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삽입 돌기 6을 수체 1의 테이퍼면 3에 따라 삽입부 2내에 삽입해, 삽입체 5를 수체 1과 평행 상태로 하는 것으로, 삽입 돌기 6의 후벽면이 계합부 4와 계합해 연결 상태가 완료한다. 여기서, 수체 1과 삽입체 5 모두, 혹은 한쪽이 신축성이 있는 소재의 선단부에 장비되어 있으면 그 소재의 인장력에 의해 이 계합 상태는 양호하게 유지하게 된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장착 공정과 같이, 수체 1및 삽입체 5는 각각 두겹으로 접어서 중합된 베이스 소재 7, 7, 특히, 프렌치 파일(래치 파일) 상에 일체가 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 일체화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도 행해진다. 특히 삽입체 5는 베이스 소재 7의 접은 주름 부분에서 삽입 돌기 6이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다. 수체 1은 베이스 소재 7의 수체 1과 접하는 한 장에 삽입부 2, 2에서 커터칼에 의해 슬릿컷을 실시하고, 삽입 돌기 6이 그 수체 1과 접하는 베이스 소재 7의 하부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가 있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한 베이스 소재 7, 7은 각각, 브래지어의 백 벨트의 양쪽 끝 부분에 봉착 고정되어, 사용자의 등에 가능한 한 피트해서 붙도록, 완만한 원호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로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연결 부재의 다른 실시 예이다. 수체 1 a와 삽입체 5 a에 의한 삽입부 2 a와 삽입 돌기 6 a의 계합 구조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지만, 이 경우는 삽입 돌기 6 a의 뒷면에 계합을 보강하는 보조부 8이 돌기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이 보조부 8에 의해, 외부 압력과 충격에 의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한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것은, 각 수체, 삽입체에 디자인을 하고, 사용자의 취향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예이다. 도 5 내지 도 8에 있어서 A는 분리 상태, B는 끝에 가까운 삽입부에 삽입 돌기를 삽입한 상태, C는 두 번째 삽입부를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는, 수체 1 b, 삽입체 5 b 모두 정사각형 판을 위치를 조금씩 다르게 해서 겹친 것과 같은 입체 모양을 하고 있고, 삽입 돌기 6 b를 삽입부 2 b에 삽입하고 연결 상태로 했을 때에, 상기 정사각형이 연속되는 것과 같은 외관이 된다. 도 6에 있어서는 수체 1 c의 중앙 부분을 잘록하게 한 형상으로 해, 삽입체 5 c는 선단으로 갈수록 조금씩 폭이 좁아지는 것으로 되어 있어, 특히 두 번째 삽입부 2 c에 삽입 돌기 6 c를 삽입한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X자 모양과 같은 외관이 된다.
또, 도7에 있어서는 수체 1 d를, 중간 부분을 잘록하게 한 두 개의 원이 연속되는 형상으로 하고, 삽입체 5 d는 대략적인 원형으로 하며, 그 선단부에 삽입 돌기 6 d가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선단부에 가까운 삽입부 2 d에 삽입 돌기 6 d를 삽입한 경우에는, 마치 세 개의 원이 연속되는 것과 같은 외관이 되어, 두 번째의 삽입부 2 d를 사용했을 경우, 두 개의 원이 연속하는 눈사람과 같은 외관이 된다. 도 8에 있어서는, 수체 1 e, 삽입체 5 e 모두 반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 돌기 6 e를 어느 삽입부 2 e에 삽입해도 전체적으로 타원 형상의 외관이 된다.
도 9로 나타내는 것은 수체 1의 베이스 소재 7에의 장착 공정이다. 봉착하기 쉽기 때문에 프렌치 파일(래치 파일)을 사용한 베이스 소재 7은 평탄한 그대로의 형태로, 혹은 두 겹으로 접어서 그 상면에 수체 1을 올려놓고 금형에 삽입해 인서트 성형한다. 이 성형은 접착제 등을 사용해도 가능하다. 베이스 소재 7을 평탄한 형태로 사용했을 때는 그대로, 또는 접어서 사용했을 때는 그 베이스 소재 7을 펴서 평탄한 상태로 하고, 삽입부 2, 2에 커터칼 선단을 넣고 베이스 소재 7을 슬릿 컷 9 한다. 그리고 그 슬릿 컷 9, 9가 된 베이스 소재 7을 두 겹으로 접어서 중합하고, 그 가장자리는 용착(溶着) 10을 한다. 이 베이스 소재 7을 브래지어의 백 벨트에 봉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착 10 부분을 휘갑치기하고 피부에의 접촉감을 부드럽게 하여 양호하게 한다.
또한 도 10으로 나타내는 것은, 삽입체 5의 베이스 소재 7에의 장착 공정이다. 프렌치 파일(래치 파일)을 사용한 베이스 소재 7을 두 겹으로 접어서 중합하고 그 중합 가장자리에서 삽입 돌기 6이 돌출한 상태로 삽입체 5를 겹쳐 이것을 금형에 삽입해 인서트 성형한다. 이 성형도 접착제 등의 사용으로도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성형한 후에는 베이스 소재 7의 중합 가장자리는 용착 10을 한다. 이 베이스 소재 7을 브래지어의 백 벨트에 봉착할 경우에 용착 10 부분을 휘갑치기 하는 것은 수체 1의 장착 공정과 같다.
도 11로 나타내는 것은 수체 1 f와 삽입체 5 f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이며, 도 3, 도 4로 나타낸 실시 예와 같이 삽입체 5 f의 삽입 돌기 6 f의 후면에 계합을 보강하는 보조부 8 f을 돌기 형태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보조부 8 f의 뒤쪽으로 향해 튀어나온 부분이 도 3, 도 4로 나타낸 실시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부 8 f의 뒤쪽으로 향해 튀어나온 부분을 크게 하는 것으로 수체 1 f와 삽입체 5 f의 계합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체 1 f의 이면에는 상기 보조부 8 f의 뒤쪽 끝부분을 삽입할 수 있는 홈 11을 설치해, 도 11(b)에 나타내듯이 상기 삽입 돌기 6 f를 상기 수체 1 f의 삽입부 2 f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삽입체 5 f를 직립 상태로 했을 때에, 상기 보조부 8 f의 뒤쪽 선단 부분이 상기 홈 11에 삽입되어 직립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상기 삽입체 5 f의 상기 삽입 돌기 6 f에는, 단면 형상이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퍼 형상을 채용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 돌기 6 f을 원활하게 삽입부 2 f에 삽입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삽입 돌기 6 f의 평면 형상을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같은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로 나타내는 것은 수체 1 g와 삽입체 5 g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이며, 수체 1 g와 삽입체 5 g에 각각 여러 개의 통기공 12를 마련한 실시 예이다. 상기 통기공 12는 원형이며 수체 1 g에 4개, 삽입체 5 g에 5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통기공12를 마련하는 것으로 베이스 소재의 건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기공 12의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개수나 크기에 대해서도 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체 1 g와 삽입체 5 g의 강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형상, 크기 및 개수를 적절히 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삽입체 5 g의 삽입 돌기 6 g의 평면 형상은 선단 끝이 가늘어 지는 테이퍼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퍼 형상을 채용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 돌기 6 g를 원활하게 삽입부 2 g에 삽입할 수가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은 수체 1 h와 삽입체 5 h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이며, 수체 1 h의 삽입부 2 h인 슬릿을 보강 리브 13에 의해 2개로 분할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체 5 h의 삽입 돌기 6 h도 2개로 분할되어 있고, 분할된 2개의 삽입 돌기 6 h가 분할된 삽입부 2 h의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보강 리브 13을 마련하는 것으로 연결 부재를 반복해서 사용했을 경우에 삽입부 2 h의 슬릿이 벌어져서 결합 상태가 약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1개의 삽입부에 보강 리브를 여러 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로 나타내는 것은 수체 1 i와 삽입체 5 i로 이루어지는 연결 부재이며, 삽입체 5 i의 삽입 돌기 6 i의 후면에 계합을 보강하는 보조부 8 i를 돌기 형태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보조부 8 i의 상면에 경사를 마련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체 1 i의 이면에는 상기 보조부 8 i의 뒤쪽 끝부분의 경사에 맞춘 홈 11 i를 마련하는 것으로, 한층 더 빠지기 어렵게 한 것이다.
여기까지, 여러가지 형태의 연결 부재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연결 부재에 재질로서는 탄성이 양호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접어 구부려도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반복 사용하는 연결 부재에는 요구된다. 또한 수체와 삽입체의 외주(外周)에는, 촉감을 좋게 하기 위해 연질재를 사용하고, 또한 수체의 슬릿 주변과 삽입 돌기에는 강도가 필요하므로 경질재를 사용한 복합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연결 부재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서는 브래지어의 후크 대용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의 버클이나 가방, 주머니, 지갑 등의 개구, 폐색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 광범위한 대상에 응용할 수가 있다.
또, 수체와 삽입체의 소재에 관해서도 플라스틱에 한정하지 않고 가소성을 가지는 금속으로도 성형은 가능하고, 삽입부도 슬릿에 한정하지 않고 줄지어 설치 하는 투공(透孔)으로 하고, 삽입 돌기도 이것에 대응해 빗살모양, 포크모양 등의 틈새가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 수체
1a 수체
1b 수체
1c 수체
1d 수체
1e 수체
1f 수체
1g 수체
1h 수체
1i 수체
2 삽입부
2a 삽입부
2b 삽입부
2c 삽입부
2d 삽입부
2e 삽입부
2f 삽입부
2g 삽입부
2h 삽입부
2i 삽입부
3 테이퍼면
4 계합부
5 삽입체
5a 삽입체
5b 삽입체
5c 삽입체
5d 삽입체
5e 삽입체
5f 삽입체
5g 삽입체
5h 삽입체
5i 삽입체
6 삽입 돌기
6a 삽입 돌기
6b 삽입 돌기
6c 삽입 돌기
6d 삽입 돌기
6e 삽입 돌기
6f 삽입 돌기
6g 삽입 돌기
6h 삽입 돌기
6i 삽입 돌기
7 베이스 소재
8 보조부
8f 보조부
8i 보조부
9 슬릿 컷
10 용착
11 홈
11i 홈
12 통기공
13 보강 리브

Claims (14)

  1. 짝이 되는 수체와, 그 수체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를 갖춘 삽입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 돌기는 단면이 대략적으로 L자형으로 된 삽입 돌기의 후벽면이 수체의 삽입부에 형성된 계합부와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체의 삽입부는 평행 상태로 여러 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3. 청구항1 내지 청구항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의 삽입부는 슬릿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을 향해 삽입체의 삽입 돌기의 삽입 가이드가 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체의 삽입부인 슬릿은 보강 리브에 의해 2개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삽입체의 삽입 돌기가 2개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의 뒤쪽에는 계합을 보강하는 보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체의 이면에는 상기 삽입체의 삽입 돌기의 뒤쪽에서 돌출되어 설치된 보조부의 뒤쪽 선단을 삽입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의 삽입 돌기의 뒤쪽에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된 보조부의 상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와 삽입체와의 연결에 의해 수체와 삽입체가 장착된 대상물은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는 중합된 베이스 소재 상에 일체가 된 상태로 고착되어 삽입부로부터 상기 베이스 소재 중 수체와 접하는 한 장만을 슬릿 절단 하여 삽입 돌기를 삽입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 및 삽입체는 사용 대상의 표면에 피트하는 원호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체 및 삽입체는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의 삽입 돌기는 단면 형상 또는 평면 형상으로서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재질로 탄성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체와 상기 삽입체의 외주에는 연질재를 사용해 상기 수체의 슬릿 주변과 상기 삽입 돌기에 경질재를 사용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부재.
KR1020127023097A 2010-02-08 2011-02-02 연결 부재 KR101739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25035 2010-02-08
JPJP-P-2010-025035 2010-02-08
PCT/JP2011/052128 WO2011096424A1 (ja) 2010-02-08 2011-02-02 連結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399A true KR20120114399A (ko) 2012-10-16
KR101739773B1 KR101739773B1 (ko) 2017-06-08

Family

ID=4435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097A KR101739773B1 (ko) 2010-02-08 2011-02-02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47415B2 (ko)
KR (1) KR101739773B1 (ko)
CN (1) CN103037727B (ko)
TW (1) TWI512207B (ko)
WO (1) WO20110964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4835A (zh) * 2015-08-18 2015-12-09 何浩然 拼装组合文胸专用弹性锁扣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4334B (en) * 2015-11-13 2021-03-17 Dubrosky & Tracy Patent Service Corp An ultra-slim fasten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8015142A1 (en) * 2016-07-18 2018-01-25 Mårtensdotter Mari Fastening mechanism for gar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701U (ko) * 1977-06-16 1979-01-19
JPS5740803Y2 (ko) * 1979-02-22 1982-09-08
JPH02146108U (ko) * 1989-05-15 1990-12-12
JPH0726322Y2 (ja) * 1989-06-03 1995-06-14 株式会社ワコール ブラジャーの留め具
JP2004218119A (ja) * 2003-01-14 2004-08-05 Gunze Ltd ブラジャー用前部連結具
JP2006200084A (ja) * 2005-01-21 2006-08-03 Utax:Kk ブラジャーなどのバック部を有する衣類
TWM282519U (en) * 2005-07-22 2005-12-11 Shin-Lung Chen Brassiere structure with one-piece seamless straps and buckle
JP2007037591A (ja) * 2005-07-29 2007-02-15 Bambi:Kk バンドの留め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時計バンド,バンド部材並びに腕時計
GB0717581D0 (en) * 2007-09-10 2007-10-17 Pitman Raymond D Fastening
JP5134437B2 (ja) * 2008-05-28 2013-01-30 株式会社ニフコ バック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4835A (zh) * 2015-08-18 2015-12-09 何浩然 拼装组合文胸专用弹性锁扣
CN105124835B (zh) * 2015-08-18 2016-08-24 佛山市南海适妍科技有限公司 拼装组合文胸专用弹性锁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47415B2 (ja) 2015-07-15
TWI512207B (zh) 2015-12-11
WO2011096424A1 (ja) 2011-08-11
KR101739773B1 (ko) 2017-06-08
CN103037727A (zh) 2013-04-10
CN103037727B (zh) 2016-01-20
JPWO2011096424A1 (ja) 2013-06-10
TW201139868A (en)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3651B2 (en) Buckle
USD907493S1 (en) Plastic cover
USD976107S1 (en) Plastic cover
KR20120114399A (ko) 연결 부재
JP4898115B2 (ja) 鋏における指掛部構造
JP3089399U (ja) 合成樹脂ケース及び合成樹脂ケースの製造装置
JP4993735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2011072745A (ja)
JP6134791B2 (ja) 被着体と連結具の連結構造、及び連結具
JP4624807B2 (ja) 育苗ポット
JP6407572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及び保護シート
US6217246B1 (en) Two-piece paper fastener having rounded sides
JP4663168B2 (ja) 椅子における張り材の取付構造
JP4850361B2 (ja) 椅子における張り材の取付構造
WO2007119979A1 (en) Binding tool
JP4494087B2 (ja) シート状清掃具
JP3087072U (ja) 合成樹脂ケース及び合成樹脂ケースの製造装置
JP2000270906A (ja) 引き剥がしの方向性を有するスナップボタン
JP3207578U (ja) ベルト通し環
JP2012010983A (ja) 摘み具
JP5026609B1 (ja) ポケット部付きファィ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83577U (ja) 紐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6470036B2 (ja) 清掃具
KR0127882Y1 (ko) 쇼핑백손잡이
JP4397775B2 (ja) 書類綴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