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882Y1 - 쇼핑백손잡이 - Google Patents

쇼핑백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882Y1
KR0127882Y1 KR2019960011121U KR19960011121U KR0127882Y1 KR 0127882 Y1 KR0127882 Y1 KR 0127882Y1 KR 2019960011121 U KR2019960011121 U KR 2019960011121U KR 19960011121 U KR19960011121 U KR 19960011121U KR 0127882 Y1 KR0127882 Y1 KR 0127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opping bag
stitching
bag hand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1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403U (ko
Inventor
김몽복
Original Assignee
김몽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몽복 filed Critical 김몽복
Priority to KR2019960011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882Y1/ko
Publication of KR9700604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4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4Shopping bags; Shopping net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쇼핑백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쇼핑백(8)의 상단에 직접적으로 스티칭(stitching; 바느질에 의한 꿰맴)에 의하여 체결되어질 수 있는, 손잡이(1) 2개가 서로에 대하여 면접하도록 하여 결합되어져 사용상태가 되는 쇼핑백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손잡이는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에 있어서, 파지구(7)가 형성된 손잡이(1)의 내측면 일측에 돌출부(4)가 그 단부에 형성되어진 체결돌기(3)를 형성시키고, 타측에 외방으로 향하여 넓어지도록 하여 테이퍼(6)가 형성되어진 체결홈(5)을 형성시키며, 그 하단에는 손잡이(1) 전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지는 스티칭판(2)을 일체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쇼핑백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쇼핑백에 부착되어진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2개가 서로에 대하여 면접하도록 하여 결합되어진 상태의 제2도와 같은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스티칭판
3 : 체결돌기 4 : 돌출부
5 : 체결홈 6 : 테이퍼
7 : 파지구 8 : 쇼핑백
본 고안은 쇼핑백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쇼핑백의 상단에 직접적으로 스티칭(stitching; 바느질에 의한 꿰맴)에 의하여 체결되어질 수 있는, 손잡이 2개가 서로에 대하여 면접하도록 하여 결합되어져 사용상태가 되는 쇼핑백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 중에서나 특히 쇼핑을 하는 경우 등에서 물건들, 특히 다수의 소형의 물건들을 취급 및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쇼핑백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쇼핑백은 단순히 손잡이가 없는 봉지형에서부터 주로 직사각형의 봉투의 상단에 손잡이를 취부시킨 것에까지 실로 다양한 형태의 쇼핑백들이 개발되어지고 또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쇼핑백들의 경우에서 손잡이가 없는 단순한 봉지형의 경우 제작이 용이하게 생산비가 저렴하기는 하나, 손잡이가 없는 관계로 취급이 불편하고, 사용자가 꼭 받쳐들어야 한다는 불편점이 있었으며, 손잡이가 달린 종래의 쇼핑백들도 손잡이가 단순히 주로 종이로 된 봉지의 상단에 연질의 합성수지로 된 끈으로 고리를 형성하여 파지하도록 이루어져 손잡이 부분이나 봉지의 상단, 즉 고리형의 손잡이가 취부되어진 부분이 쉽게 파손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부재, 제2부재 및 4개의 결합부재로 구성되어 2개의 결합부재가 쇼핑백의 상부 일변부에서 쇼핑백을 관통하면서 제1부재의 구멍들 내로 각각 밀어넣어져 쇼핑백의 일변부와 제1부재를 결합시키고, 나머지 2개의 결합부재가 마찬가지로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향되는 위치의 쇼핑백의 타변부와 결합시킨 후,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각각 그들에 일체로 형성되어져 구비되어진 암스냅결합재와 수스냅결합재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지도록 하므로써 하나의 완전한 손잡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쇼핑백손잡이가 개발되어졌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6015호 및 대한민국 의장등록 제20920호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에 있어서, 결합부재가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구멍으로 삽입될 때 돌기부의 단부의 둥근부분이 탄력성이 부족해서 자주 부러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쇼핑백과 제1부재 및 제2부재 사이의 결합 및 제1부재와 제2부재간의 스냅결합이 불완전하게 되어 서로에 대하여 들뜨게 되어 간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우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서로 형상이 달라 각각 별도로 생산하여 이를 한 벌로 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1부재나 제2부재들 중의 어느 하나의 파손이나 망실 등에 의하여 다른 하나마저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와 같이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서로 다른 형상의 한벌로 구성되지 않는, 동일한 형상의 손잡이 두개를 서로에 대하여 면접하도록 하여 결합시켜 하나의 완전한 손잡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의 쇼핑백손잡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쇼핑백의 상단과의 결합에서 별도의 고정구 등을 사용하여 쇼핑백의 상단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대신에 스티칭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스티칭판을 갖는 손잡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손잡이는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에 있어서, 파지구(7)가 형성된 손잡이(1)의 내측면 일측에 돌출부(4)가 그 단부에 형성되어진 체결돌기(3)를 형성시키고, 타측에 외방으로 향하여 넓어지도록 하여 테이퍼(6)가 형성되어진 체결홈(5)을 형성시키며, 그 하단에는 손잡이(1) 전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지는 스티칭판(2)을 일체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의 손잡이(1) 자체는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 등의 방법으로 성형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합성수지의 선택이나 성형의 방법 및 성형을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금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쇼핑백손잡이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구(7)가 형성된 손잡이(1) 자체의 외형은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손잡이(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스티칭판(2)과 손잡이(1)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체결돌기(3) 및 체결홈(5)의 배치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스티칭판(2)이라 함은 통상의 쇼핑백(8)의 상단과 손잡이(1) 자체를 서로 결합시킬 때 사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1)와 동일한 합성 수지로 성형되기는 하나 그 두께를 얇게 하고 프레싱 가공 등의 방법으로 성형시켜 쇼핑백(8)의 상단과 함께 스티칭(stitching; 바느질이나 기계미싱 등에 의한 꿰맴)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종래의 쇼핑백손잡이가 단순히 그 하단에 홈을 형성시켜 역시 상단에 홈이 형성되어진 쇼핑백(8)의 상단을 서로 겹쳐놓고 별도의 고정구 등을 사용하여 서로 체결시키는 것을 개선시켜 손잡이(1)가 달린 쇼핑백(8)의 생산성을 증대시켜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생산비를 극히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상기 체결돌기(3)와 체결홈(5)은 하나의 쇼핑백(8)의 손잡이(1)의 내측면 일측에 체결돌기(3)만을 그리고 그 타측에 체결홈(5)만을 형성시킨 것으로서, 이렇게 형성된 손잡이(1) 두개를 서로에 대하여 면접하도록 하여 결합시켜 하나의 완전한 쇼핑백손잡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금형으로 동일한 형태의 다수의 손잡이(1)를 생산하여 완전히 동일한 다수의 손잡이(1)들 중의 임의의 두개를 서로에 대하여 면접하도록 하여 결합시켜 하나의 완전한 쇼핑백 손잡이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손잡이(1) 자체의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뿐 아니라 종래의 쇼핑백손잡이에서와 같이 암수 또는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파손이 발생되어지더라도 임의의 다른 하나와 그대로 결합되어져 하나의 완전한 쇼핑백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체결돌기(3)는 그 단부의 가장자리가 외방으로 향하여 둥글게 돌출된 돌출부(4)를 갖도록 하여 형성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단부에서의 돌출부(4)는 상기한 체결홈(5)과의 체결에서 체결돌기(3)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홈(5)은 그 내부에서 체결돌기(3)가 접근하여 체결되어지는 방향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6)가 형성되어지며, 이러한 체결홈(5)에서의 테이퍼(6)의 형성은 상기한 체결홈(5)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단지 하나의 동일한 형상의 손잡이(1)를 생산하기 때문에 손잡이(1) 자체의 생산이 극히 용이하게 되어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암수의 구별 또는 제1부재와 제2부재 간의 구별없이 동일한 형상의 손잡이(1) 두개를 서로에 대하여 면접시켜 하나의 완전한 쇼핑백손잡이를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간의 호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쇼핑백(8)과의 결합을 스티칭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손잡이(1)가 달린 쇼핑백(8)의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1)

  1. 졸래의 쇼핑백손잡이에 있어서, 파지구(7)가 형성된 손잡이(1)의 내측면 일측에 돌출부(4)가 그 단부에 형성되어진 체결돌기(3)를 형성시키고, 타측에 외방으로 향하여 넓어지도록 하여 테이퍼(6)가 형성되어진 체결홈(5)을 형성시키며, 그 하단에는 손잡이(1) 전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연장되어지는 스티칭판(2)을 일체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백손잡이.
KR2019960011121U 1996-05-08 1996-05-08 쇼핑백손잡이 KR0127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121U KR0127882Y1 (ko) 1996-05-08 1996-05-08 쇼핑백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1121U KR0127882Y1 (ko) 1996-05-08 1996-05-08 쇼핑백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403U KR970060403U (ko) 1997-12-10
KR0127882Y1 true KR0127882Y1 (ko) 1998-12-01

Family

ID=1945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1121U KR0127882Y1 (ko) 1996-05-08 1996-05-08 쇼핑백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8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3594A1 (en) * 2003-04-21 2004-11-04 Chong-Kuk Yi Shopping ba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3594A1 (en) * 2003-04-21 2004-11-04 Chong-Kuk Yi Shopping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403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2725A (en) Snap buckle
KR920007048Y1 (ko) 표면형 파스너
JP3733232B2 (ja) テープ付雌雄形係止具
US3844000A (en) Clasp
KR0127882Y1 (ko) 쇼핑백손잡이
EP0292892A1 (en) Pair of snappingly engageable members
CA1108830A (en) Clamping closure for releasably connecting two parts
US6217246B1 (en) Two-piece paper fastener having rounded sides
KR960014744B1 (ko) 끈고정구
KR100385734B1 (ko) 비닐가방 및 그 제조방법
JP2986777B1 (ja) 衣類用ベルトセットとそれに使用されるバックル及びベルト
JP3859932B2 (ja) 支持体付きスナップ
JPS6342812Y2 (ko)
JPS6342806Y2 (ko)
KR102113743B1 (ko) 단추
JPH032085U (ko)
CN2443632Y (zh) 扣合装置
US2683909A (en) Separable button
KR200193577Y1 (ko) 결착구용 테이프
KR200254726Y1 (ko) 지퍼
JP2000157309A (ja) バックル
KR200193736Y1 (ko) 넥타이 매듭구
KR200232017Y1 (ko) 비닐가방
KR950004656Y1 (ko) 쇼핑백 손잡이
KR200193576Y1 (ko) 결착구용 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