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728A - 케이블 가이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728A
KR20120112728A KR1020127020452A KR20127020452A KR20120112728A KR 20120112728 A KR20120112728 A KR 20120112728A KR 1020127020452 A KR1020127020452 A KR 1020127020452A KR 20127020452 A KR20127020452 A KR 20127020452A KR 20120112728 A KR20120112728 A KR 20120112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able
cable guide
bottom portion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하루 히라이
겐지 이토
노리히로 나카야마
가즈히로 노무라
사이지 야마조에
Original Assignee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8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935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60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5401B2/ja
Application filed by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니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케이블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먼지가 발생하기 어려우면서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를 제공한다.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1)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선단부분이 내측방향으로 경사 또는 굴곡된 측벽(2)을 형성하고, 이 바닥부(1)와 측벽(2)에 의하여 케이블 수용부(3)을 구성한다. 그때에 대향하는 측벽(2)의 선단을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하고 또한 바닥부(1) 및 측벽(2)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케이블 가이드(10)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케이블 수용부(3)내로부터 측벽(2)의 선단부분에 대하여 0.044N/mm2의 수직하중을 걸었을 때에 측벽(2)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가 되도록 하거나, 적어도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표면의, JIS K 7125에 규정되어있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가 0.7 이하이면서 동마찰계수가 0.5 이하가 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가이드{CABLE GUIDE}
본 발명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가이드(cable guide)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 장치의 동작을 추종(追從)해서 이동하고, 수용되어 있는 케이블을 안내하는 케이블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로봇암, 공작기계, 게임기의 크레인 및 감시 카메라 등에서는 장치의 동작을 추종해서 케이블(배선)도 이동하지만, 그때에 케이블의 얽힘이나 다른 부재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단선을 방지하기 위해서 케이블 가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케이블의 보호 및 안내를 하는 케이블 가이드는, 일반적으로 추종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접속구나 핀재 등을 사용하여 복수의 유닛(링크 플레이트)을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2 참조.). 또한 종래에 단면이 사각형모양인 복수의 통모양체를 플렉시블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한 구성의 케이블 가이드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4 참조).
한편 측판과 상면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제조비용저감을 도모한 케이블 가이드도 있다(특허문헌5 참조). 또한 바닥부, 측벽 및 뚜껑부(상면)의 모두를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한 케이블 가이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5?8 참조.). 이들 특허문헌5?8에 기재된 케이블 가이드에서는, 굴곡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뚜껑부나 측벽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8347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14723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26450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3-10638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27325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2831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27145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8-25775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에 나타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특허문헌1?3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복수의 유닛을 연결한 구성의 케이블 가이드는, 튼튼하고 길이 조정의 자유 등의 이점이 있지만 그 한편으로 이동시에 접촉마모(接觸摩耗)에 의한 마찰분진(摩擦粉塵)이나 부품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한 소음(騷音)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이들의 케이블 가이드는 마찰분진의 발생의 점에서는 예를 들면 클린룸(clean room) 등의 청정한 환경하에서의 사용에는 적당하지 않고, 또한 소음의 점에서는 예를 들면 작업환경의 악화를 초래한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구성의 케이블 가이드는, 부품수 및 공정수가 많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통모양 부재를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한 특허문헌4에 기재된 케이블 가이드는, 관통한 플렉시블 와이어에만 모든 힘이 걸리고 이동의 반복에 의하여 와이어가 파단(破斷)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4에 기재된 케이블 가이드는, 통모양 부재 상호 간이나 통모양 부재와 와이어 사이에서의 접촉마모가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특허문헌5?8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이, 일부 또는 전부를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접촉마모도 발생하기 어려워지지만, 케이블의 신규배치, 추가배치 및 교환을 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5,8의 케이블 가이드는 성형후에 별도조립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그 외에 케이블 가이드로부터의 마모분진(摩耗粉塵)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필요한 개수의 케이블을 미리 묶여서 테이프 모양으로 하여 케이블 가이드의 사용을 없애는 제안도 되어 있지만, 이 방법에는 폭방향으로 부하(負荷)가 걸렸을 때에, 케이블 다발이 주행하는 홈 등으로부터 탈락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먼지를 발생하기 어렵게 하면서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는, 일방향(一方向)으로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선단부분이 내측(內側)방향으로 경사(傾斜) 또는 굴곡(屈曲)된 측벽(側壁)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대향(對向)하는 측벽의 선단(先端)이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되고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熱可塑性 elastomer)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향하는 측벽의 선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되고, 상면이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출납이 용이하다. 또한 측벽은, 적어도 선단부분이 내측방향으로 경사 또는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 지지성이 우수하고 이동시에 케이블이 탈락하는 일이 없다. 또한 바닥부 및 측벽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시의 변형을 추종가능하여 먼지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고, 또한 압출성형(壓出成形)에 의하여 용이하면서도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케이블 가이드는 상기 바닥부에, 스프링강(spring鋼)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纖維强化 plastic)으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 또는 판재(板材)를 내포(內包)시킬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상기 선재 또는 판재는, 접착성 수지(接着性 樹脂)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와 일체화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측벽에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이면(裏面)에 리브부(rib部)를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에 상기 리브부에는 복수의 노치(notch)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상기 측벽의 홈과 상기 리브부의 노치가,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정합(整合)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는 복수의 케이블이 일체화된 케이블 다발을 수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이 케이블 가이드는 예를 들면 굴곡동작(屈曲動作)시에 상기 바닥부의 이면이 내측에,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개구부(開口部)가 외측(外側)이 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내로부터 상기 측벽의 선단부분에 대하여 0.044N/mm2의 수직하중(垂直荷重)을 걸었을 때에, 상기 측벽과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을 45도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에 수직하중을 부가(附加)했을 때의 측벽과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을 45도 이하로 하면, 수평방향에 있어서의 휨이 적어지고 케이블 지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적어도 상기 측벽에 있어서 경사부 또는 굴곡부보다도 바닥부측의 부분을 상기 바닥부보다도 두껍게 형성하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 측벽 전체가 상기 바닥부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이면에 상기 바닥부보다도 두꺼운 리브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의 경계부분을 곡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하고, 그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를 3?10mm로 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의 경계부분 및 상기 바닥부의 이면과 상기 리브부의 내면의 경계부분의 양방을 곡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하고, 그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를 3?10mm로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경사면(C면)이라는 것은, 입체(立體)를 구성하는 2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면이며 모서리와 평행하면서 모서리로부터 일정 거리에 형성된 2변을 연결한 경사면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의 내측 표면은, 바닥면이 일변(一邊) 6.3cm의 정사각형 모양이고 바닥면 전체가 펠트에 의하여 덮어져 있는 무게 200g의 미끄럼편(sliding片)을 싣고, 상기 미끄럼편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대 정지 마찰력(最大 靜止 摩擦力) 및 동마찰력(動摩擦力)으로부터 구한 정마찰계수(靜摩擦係數)를 0.4 이하, 동마찰계수(動摩擦係數)를 0.3 이하로 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의 내측 표면을 JIS K 7125에 규정되어 있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가 0.7 이하이며 동마찰계수가 0.5 이하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내측 표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의 양방을 낮게 하여 케이블과의 마찰을 저감하면, 이동시의 변형을 추종 가능하게 되고 먼지의 발생이나 소음의 발생도 방지된다.
이 케이블 가이드에 있어서의 바닥부 및 측벽의 내측 표면은 예를 들면 산술평균조도(算術平均粗度)Ra를 0.10μm 이하, 10점평균조도(10點平均粗度)Rz를 1.0μm 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흑연분말(黑煙粉末) : 0.1?5질량부 및/또는 실리콘 오일 : 0.1?5질량부를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때에 흑연분말 및/또는 실리콘 오일의 양을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0.5?5질량부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이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출납이 용이하고 또한 바닥부 및 측벽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제품보다도 먼지가 발생하기 어렵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10)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5는 도4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20)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다.
도6(a)?(c)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8(a) 및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9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5실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12는 측벽과 바닥면이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JIS K 7125에 규정되는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의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2는 그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는 케이블이 1단 또는 다단으로 수용되는 것이며,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1)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부(1) 및 측벽(2)에 의하여 케이블 수용부(3)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의 측벽(2)은 상부가 내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이 경사부(2a)에 의하여 케이블 수용부(3)내에 수용된 케이블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이 케이블 가이드(10)에서는, 대향하는 측벽(2)의 선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되어 있고, 케이블 수용부(3)는 상면이 개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개구부분으로부터 케이블을 용이하게 출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바닥부(1) 및 측벽(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성형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압출성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척(長尺)의 케이블 가이드를 연속하여 성형하는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장척의 케이블 가이드(10)를 사용자가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부(1) 및 측벽(2)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Polyester-Elastomer:TPEE), 열가소성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Polyamid-Elastomer:TPA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Polyurethane-Elastomer:TPU), 열가소성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Polystyrene-Elastomer:TPS), 열가소성 폴리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Poly(vinyl chloride)-Elastomer:TPVC),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Thermoplastic-Polyolefine-Elastomer:TPO)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함으로써 굴곡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측벽(2)에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굴곡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추종해서 이동할 때의 휨이나 횡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는, 바닥부(1)의 이면측이 내측에, 케이블 수용부(3)의 개구부가 외측에, 즉 케이블이 수용되어 있는 측을 외측으로 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 장치의 동작을 추종해서 그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 또는 굴곡이동 하여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케이블을 안내한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는 대향하는 측벽(2)의 선단이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되고 상면이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통모양이나 뚜껑이 설치되어 있는 종래 제품에 비하여 케이블의 출납이 용이하다. 이 케이블 가이드(10)는 측벽(2)의 상부가 내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면이 개구하고 있어도 케이블이 탈락하는 일은 없다. 특히 굴곡이동 할 때에는, 측벽(2) 전체가 내측으로 기울어져 케이블을 양측으로부터 에워싸기 때문에 케이블의 지지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는, 바닥부(1) 및 측벽(2)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간의 접촉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동시의 먼지의 발생이 억제되기 때문에 클린룸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시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 레벨의 접촉음 등은 사실상 발생하지 않아 소음에 의한 작업환경의 악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케이블 가이드(10)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벽(2)에 경사부(2a)가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1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벽의 선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굴곡하고 있어도 좋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11)는, 측벽(12)의 상부에 내측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절곡반경이 작은 경우에도 케이블 수용부(13)로부터의 케이블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굴곡부(12a)는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했을 때에 잡아 당겨져서 더 굴곡되어 굴곡부에서의 케이블의 탈락이 더 억제된다. 이 케이블 가이드(11)에는 복수의 케이블(4)이 일체화된 케이블 다발(14)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경사부(2a)나 굴곡부(12a)는 선단부에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측벽 전체가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고 또한 하부가 완만하게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그것보다도 각도를 가지고 내측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5는 그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다. 또 도4 및 도5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의 구성요소와 같은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20)는, 바닥부(1)의 이면측에 리브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부(6)는 케이블 가이드(20)의 횡 흔들림이나 직선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케이블 가이드(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V자모양의 노치(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6a)의 폭(d)는, 절곡반경을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케이블 가이드(20)의 바닥부(1)의 폭방향 중심부에 있어서의 반원주가 L1, 리브부(6)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반원주가 L2, 노치의 수가 x인 경우에는 하기 수식(1)에 의하여 구해지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수1]
Figure pct00001
이와 같이 리브부(6)에 절곡반경에 따른 노치(6a)를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절곡반경으로 굴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20)에서는, 측벽(2)의 선단으로부터 바닥부(1)를 향해서 그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cut)(5)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5)을 형성함으로써 절곡반경이 작은 경우에도 측벽(2)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한 측벽(2)의 홈(5)과 리브부(6)의 노치(6a)는, 바닥부(1)의 길이방향, 즉 케이블 가이드(2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정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굴곡부에 있어서 측벽(2)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20)에서는 바닥부(1)의 이면측에 노치(6a)를 구비한 리브부(6)를 형성하고 또한 측벽(2)에 홈(4)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절곡반경이 작은 경우에도 측벽(2)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20)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같다.
도6(a)?(c)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4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20)에서는 케이블(4)을 1단으로 수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6(a)?(c)에 나타나 있는 케이블 가이드(21, 22, 23)와 같이 케이블(4)을 다단으로 수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케이블(4)의 높이에 따라 측벽(2)의 높이나 경사각도를 설정하면 좋다. 또 이것은 도1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10)에 있어서도 같다.
또한 도4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20)에서는 바닥부(1)의 양쪽 테두리부를 따라 리브부(6)를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6(b), (c)에 나타나 있는 케이블 가이드(22, 23)와 같이 바닥부(1)의 폭방향 중심부나, 바닥부(1)의 가장자리부보다도 폭방향 중심부쪽으로 리브부(6)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바닥부(1)의 가장자리부에 더하여 이들 장소에도 리브부(6)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가이드의 횡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또 도7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2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20)의 구성요소와 같은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30)는, 바닥부(1)에 스프링강 또는 스프링강과 동등한 특성(강성이나 강도) 등을 구비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판재(7)가 내포되어 있다. 이 판재(7)는 케이블 가이드(30)의 길이방향으로 내포되어 있고 텐션 부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반복 절곡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스프링강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강 및 스테인레스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아라미드섬유강화 플라스틱(aramid fiber reinforced plastic), 탄화규소섬유강화 플라스틱(silicon carbide fiber reinforced plastic),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및 폴리파라페닐렌 벤조비스옥사졸 섬유강화 플라스틱(polyparaphenylene benzobisoxazole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보강섬유(補强纖維)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강화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보강섬유를 직물로 한 것으로 강화한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판재(7)를 내포시키는 위치는 바닥부(1)의 폭방향 중심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바닥부(1)의 폭방향 양단부에 2개의 판재(7)를 내포시킬 수도 있다.
이 케이블 가이드(30)는 판재(7)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동시에 압출성형하여 복합화할 수 있다. 그때에 판재(7)와 바닥부(1)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사이에 접착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바닥부(1)와 판재(7)의 밀착성을 높여도 좋다.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판재(7)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30)는, 바닥부(1)에 스프링강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판재(7)를 내포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하여 반복 절곡성이 우수하고 또한 직선부의 휨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30)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한 제2실시형태와 같다.
도8(a) 및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7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30)에서는 바닥부(1)에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는 판재(7)를 내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8(a) 및 (b)에 나타나 있는 케이블 가이드(31, 32)와 같이, 바닥부(1)에 스프링강 또는 스프링강과 동등한 특성을 구비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선재(8)를 내포시킬 수도 있다.
그 경우에 바닥부(1)에 선재(8)를 내포시키는 위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재(8)를 바닥부(1)의 폭방향 양단부에 배치하더라도 좋고, 또는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부(1)의 단부(端部)보다도 내측에 배치하더라도 좋다. 이렇게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는 선재(8)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선재(8)를 케이블 가이드(31, 32)의 길이방향으로 복합화한다.
이에 따라 선재(8)가 텐션 부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반복 절곡성이 우수한 케이블 가이드가 얻어진다. 또 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31, 32)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 및 제3실시형태와 같다.
(제4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또 도9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의 구성요소와 같은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40)는 케이블 수용부(3)로부터 측벽(2)의 선단부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0.044N/mm2의 하중을 걸었을 때에, 측벽(2)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이 45도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평방향의 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폭방향의 부가에 대한 케이블 지지성이 향상되고, 이동 및 굴곡을 반복한 경우에도 케이블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규정하고 있는 측벽(2)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은 측벽(2)의 폭이 10mm가 되도록 가공한 시료에 대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측벽(2)의 선단부분」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는 구성의 케이블 가이드(40)의 경우에는, 경사부(2a)가 선단부분에 상당한다. 또한 후술하는 리브부를 구비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 리브부를 절단하여 측정을 한다.
또 0.044N/mm2의 수직하중에 대한 측벽(2)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이 45도를 넘으면, 케이블의 폭방향으로 부하가 걸렸을 때에, 측벽(2)이 케이블의 무게를 견딜 수 없어 케이블 가이드(10)로부터 케이블이 탈락하거나, 굴곡부에서 케이블이 튀어나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측벽(2)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을 45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벽(2)의 두께를 바닥부(1)보다도 두껍게 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 바닥부(1)는 케이블 가이드(40)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그 두께는 케이블 지지 성능에 대한 영향은 적지만, 측벽의 두께는 강도에 영향을 주고 특히 후술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그 영향이 크다.
이 측벽(2)과 바닥부(1)의 두께의 차이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재질, 크기 및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 가이드(40)를 영률(Young's modulus)이 94.1MPa인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측벽(2)의 두께를 바닥부(1)보다도 0.1?2.0mm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1.5mm 두껍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측벽(2)과 바닥부(1)의 두께의 차이가, 0.1mm 미만인 경우에 각도(α)의 변화량을 충분하게 작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차이가 2.0mm를 넘으면 각도(α)의 변화량은 작아져 성능면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용도나 수용하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서는 과잉성능이 되어 비용면에서 불리해질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40)는, 상기한 제3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와 마찬가지로, 바닥부(1)에 스프링강 또는 스프링강과 동등한 특성(강성이나 강도) 등을 구비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나 선재를 그 길이방향으로 내포시켜도 좋다. 그 경우에 판재 또는 선재를 내포시키는 위치 및 개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닥부(1)의 폭방향 중심부분에 1개의 판재 또는 선재를 배치하더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2개의 판재 또는 선재를 바닥부의 폭방향 양단부에 배치하거나, 3개 이상의 선재 또는 선재를 배치하거나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40)에 있어서는, 0.044N/mm2의 수직하중에 대한 측벽(2)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을 45도 이하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시 및 굴곡시에 있어서의 수평방향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되어 있는 케이블을 가압하는 힘, 즉 케이블 지지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이동 및 굴곡을 반복해도 케이블이 탈락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케이블 및 케이블 가이드(10)를 그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같은 사용 조건에 있어서도 케이블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40)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같다. 또한 판재 또는 선재를 내포시켰을 경우의 효과는 상기한 제3실시형태와 같다.
상기한 제4실시형태에서는 측벽(2)에 경사부(2a)가 형성된 케이블 가이드(1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벽의 선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굴곡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9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40)에서는 측벽(2)의 전체를 바닥부(1)보다도 두껍게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바닥부(1)에 대하여 수직인 부분이 두꺼워져 있으면 좋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또 도10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11)의 구성요소와 같은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41)는 도3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11)와 마찬가지로 측벽이 바닥부(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2b)와 내측을 향하여 굴곡하는 굴곡부(12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41)에서는, 측벽의 수직부(12b)만이 바닥부(1)보다도 두꺼워져 있고 굴곡부(12a)는 바닥부(1)와 동등한 두께가 되어 있다. 이렇게 수직부(12b)만을 두껍게 한 경우에도, 케이블 수용부(13)로부터 측벽의 선단부분(굴곡부(12a))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0.044N/mm2의 하중을 걸었을 때에, 측벽(수직부(12b))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을 45도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41)에 있어서도 우수한 케이블 지지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41)는 각 굴곡부(12a)가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했을 때에 잡아 당겨져서 더 굴곡되어 굴곡부로부터의 케이블의 탈락이 더 억제된다. 이 케이블 가이드(41)에는 복수의 케이블(4)이 일체화된 케이블 다발(14)이 특히 적합하다. 또 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한 제4실시형태 및 제1실시형태의 변형예와 같다.
또한 제4실시형태 케이블 가이드(40) 및 그 변형예의 케이블 가이드(41)에 있어서의 경사부(2a)나 굴곡부(12a)는 선단부에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측벽 전체가 내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고, 또한 하부가 완만하게 내측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그것보다도 각도를 가지고 내측으로 경사진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측벽 전체를 바닥부보다도 두껍게 하거나, 또는 경사부 또는 굴곡부보다도 바닥부측의 부분을 바닥부보다도 두껍게 하거나 하면 좋다.
(제5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은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또 도11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2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20)의 구성요소와 같은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50)는 바닥부(1)의 이면측에 바닥부(1)보다도 두꺼운 리브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부(6)는 케이블 가이드(50)의 횡 흔들림이나 직선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5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2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케이블 가이드(5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V자모양의 노치(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노치(6a)의 폭(d)나 효과는 상기한 제2실시형태와 같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50)에서는, 케이블 수용부(3)에 있어서의 바닥부(1)와 측벽(2)의 경계부분 및 바닥부(1)의 이면과 리브부(6)의 내면의 경계부분이 곡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가 3?10mm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1)와 측벽(2)의 경계부분을 R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함으로써 바닥부(1)와 측벽(2)의 접촉면적이 커지고, 측벽(2)이 보다 큰 면적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측벽(2)이 외측으로 개구하는 것에 의한 케이블 지지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계부분을 R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하면, 경계부분을 이러한 형상으로 하지 않고 있을 경우와 비교해서 케이블 수용부(3)내로부터 측벽(2)의 선단부분에 대하여 0.044N/mm2의 수직하중을 걸었을 때의 측벽(2)과 바닥부(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화량을 동등하게 설계하였을 경우에는 측벽(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 수지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압출성형에 의하여 장척의 케이블 가이드를 제조하면 측벽부분이 외측으로 개구하거나 수직부분이 기울거나 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 부분을 곡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성형시의 형상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바닥면의 양단부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측벽(2)에 홈(5)을 형성하거나 리브부(6)에 노치(6a)를 형성하거나 한 경우에도 장기간 반복굴곡시켜도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이 경계부분을 경사면(C면)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R면보다도 내부의 수용량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수용하는 케이블의 개수를 많게 하고 싶을 경우 등에는 경사면(C면)보다도 R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경계부분의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가 3mm 미만인 경우에 상기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경계부분의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가 10mm를 넘으면, 케이블 수용부(3)의 용적이 작아져 수용할 수 있는 케이블의 개수가 적어지거나, 케이블과의 접촉면적이 커져 소음이나 먼지가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50)는 바닥부(1)보다도 두꺼운 리브부(6)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 가이드(50)의 횡 흔들림이나 휨이 억제되어 케이블 지지 성능이 더 향상된다. 또한 바닥부(1)와 측벽(2) 및 리브부(6)와의 경계부분을, 특정한 곡률반경(R)을 구비하는 곡면 또는 특정치수의 경사면(C면)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시의 형상 안정성이 향상되고 케이블 지지성도 우수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50)에 있어서의 상기 이외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한 제4실시형태와 같다.
또한 도11에는 바닥부(1)와 측벽(2)의 경계부분 및 바닥부(1)와 리브부(6)의 경계부분의 양방이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케이블 가이드(50)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케이블 수용부(3)측의 경계부분이 특정한 곡률반경(R)을 구비하는 곡면 또는 특정치수의 경사면(C면)이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리브부(6)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9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40)나 도10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41)의 바닥부(1)와 측벽(2)의 경계부분을 특정한 곡률반경(R)을 구비하는 곡면 또는 특정치수의 경사면(C면)으로 구성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도11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50)에서는 케이블(4)을 1단으로 수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블(4)을 다단으로 수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케이블(4)의 높이에 따라 측벽(2)의 높이나 경사각도를 설정하면 좋고 이것은 도9에 나타내는 케이블 가이드(40)에 있어서도 같다.
(제6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10)에 대해서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 즉 수용부(3)의 내측 표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를 낮게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은 JIS K 7125에 규정되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가 0.7 이하이면서 동마찰계수가 0.5 이하이거나 또는 바닥면이 일변 6.3cm의 정사각형 모양이고 바닥면 전체가 펠트에 의하여 덮어져 있는 무게 200g의 미끄럼편을 싣고, 이 미끄럼편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대 정지 마찰력 및 동마찰력으로부터 구한 정마찰계수가 0.4 이하이면서 동마찰계수가 0.3 이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의 마찰계수(摩擦係數)를 낮게 하면, 이동시 특히 왕복 반복 운동시의 케이블과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분진이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단지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에 대해서 JIS K 7125에 규정되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가 0.7을 넘거나 또는 바닥면이 펠트에 의하여 덮어진 미끄럼편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대 정지 마찰력으로부터 구한 정마찰계수가 0.4를 넘으면, 초동시(初動時)에 있어서의 소음의 발생정도 및 동작불량이나 과부하 등에 의한 이동 트러블의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에 대해서, JIS K 7125에 규정되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동마찰계수가 0.5를 넘거나 또는 바닥면이 펠트에 의하여 덮어진 미끄럼편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을 때의 동마찰력으로부터 구한 동마찰계수가 0.3을 넘으면, 연속적인 이동에 있어서의 소음이나 먼지의 발생정도 및 동작불량이나 과부하 등에 의한 이동 트러블의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에서는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에 한하지 않고, 이들의 외측표면에 관해서도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를 상기한 범위로 하더라도 좋다.
바닥부(1) 및 측벽(2)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의 주성분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상기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TPEE, TPAE, TPU, TPS, TPVC, TP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MFR(melt flow rate)이 170 ? 250도의 범위 중의 어느 하나에서 0.5 ? 5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MFR이 0.5g/10분 이하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면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생산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한편 MFR이 5g/10분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면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아서 성형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또한 그 사용 환경에도 의하지만, 연화온도(軟化溫度)는 80도 이상, 유리 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는 0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굴곡탄성율은 20?300MPa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굴곡탄성율이 20MPa 이하이면, 휨이나 횡 흔들림 등의 변형이 일어나기 쉬워지기 때문에 케이블의 수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이동시의 변형량이 지나치게 커져서, 케이블 가이드 상호 간이나 케이블 가이드를 사용한 장치의 각 부위와 접촉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날 경우가 있다. 한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굴곡탄성율이 300MPa 이상이면, 변형하기가 지나치게 어려워져 굴곡이동이나 장치의 동작을 추종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함으로써 굴곡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측벽(2)에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굴곡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추종해서 이동할 때의 휨이나 횡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 및 측벽(2)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는, 동마찰계수 및 정마찰계수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유동 파라핀(流動 paraffin), 파라핀왁스(paraffin wax), 합성 폴리에틸렌 왁스(合成 polyethylene wax) 등의 탄화수소계 윤활제(炭化水素系 潤滑劑), 실리콘 오일계 윤활제(silicone oil系 潤滑劑),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등의 지방산계 윤활제(脂肪酸系 潤滑劑), 스테아릴알코올(stearyle alcohol) 등의 고급 알코올류, 스테아린산 아마이드(stearic acid amide), 올레인산 아마이드(oleic acid amide), 에루크산 아마이드(erucic acid amide) 등의 지방산 아마이드류(脂肪酸 amide類), 메틸렌 비스 스테아린산 아마이드(methylene bis stearic acid amide), 에틸렌 비스 스테아린산 아마이드(ethylene bis stearic acid amide) 등의 알킬렌지방산 아마이드류(alkylene 脂肪酸 amide類), 스테아린산 납(lead stearate), 스테아린산 아연(zinc stearate), 스테아린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등의 스테아린산 금속염류(stearic acid 金屬鹽類), 스테아린산 모노글리세리드(stearic acid monoglyceride),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stearyl stearate) 등의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류(脂肪酸 ester類), 흑연(그래파이트(graphite)), 2황화몰리브덴(molybden disulphide), 2황화텅스텐(Tungsten Disulphide), 불화흑연(graphite fluoride), 질화붕소, 구리, 니켈, 납, 주석, 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ethylene), 폴리이미드,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분말 등의 고체윤활제(固體潤滑劑)를 배합할 수도 있다.
또 이들의 첨가 성분은 단독으로 배합하더라도 좋지만 복수 종류를 혼합하여 배합할 수도 있다. 특히 흑연분말 등의 고체윤활제나 실리콘 오일 등의 액체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자를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되게 마찰계수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미리, 이들의 첨가 성분이 배합되어 있는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첨가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첨가 성분의 성상(性狀) 등을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연분말이나 실리콘 오일을 배합하는 경우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0질량부당 각각 0.1?5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5질량부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의 양방을 저감하고, 케이블과의 마찰에 의한 분진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케이블 가이드(10)를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압출성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척의 케이블 가이드를 연속하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제품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장척의 케이블 가이드(10)를 사용자가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는 적어도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의 마찰계수가 낮아져 있으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면 바닥부(1) 및 측벽(2)을 내측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이 다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적층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는,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의 표면조도(表面粗度)가, 산술평균조도Ra가 0.10μm 이하, 10점평균조도Rz가 1.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케이블과의 마찰에 의한 먼지의 발생, 소음 및 미진동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는, 상기한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바닥부(1)에 스프링강 또는 스프링강과 동등한 특성(강성이나 강도) 등을 구비하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판재나 선재를 그 길이방향으로 내포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판재 및 선재가 텐션 부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반복 절곡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직선부의 휨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는, 바닥부(1) 및 측벽(2)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적어도 그 내측 표면은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의 양방이 낮게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간 및 케이블과의 사이에 접촉마모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이동시의 분진이 억제되기 때문에 클린룸에 있어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시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 레벨의 접촉음 등은 사실상 발생하지 않아, 소음에 의한 작업환경의 악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케이블 가이드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 가이드는 상기한 제2실시형태와 같이, 측벽의 선단부가 내측을 향하여 굴곡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상기한 제3실시형태와 같이, 바닥부의 외측의 면에 리브부(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리브부(6)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바닥부(1) 및 측벽(2)의 내측 표면과 마찬가지로 리브부(6)의 표면도 JIS K 7125에 규정되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를 0.7 이하이면서 동마찰계수를 0.5 이하, 또는 바닥면이 일변 6.3cm의 정사각형 모양이고 바닥면 전체가 펠트에 의하여 덮어져 있는 무게 200g의 미끄럼편을 싣고, 이 미끄럼편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대 정지 마찰력 및 동마찰력으로부터 구한 정마찰계수를 0.4 이하이면서 동마찰계수를 0.3 이하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리브부(6)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에 의하여 다른 부분과 일체로 성형하고, 그 표면의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의 양방을 낮게 함으로써 횡 흔들림이나 처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동시의 먼지의 발생 및 소음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1실시예로서, 도9에 나타내는 형상에서 측벽의 선단부분에 0.044N/mm2의 수직하중을 걸었을 때 측벽과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인 케이블 가이드(실시예1?8)와, 측벽과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이 45도를 넘고 있는 케이블 가이드(비교예1)를 제작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각도(α)의 변화량>
도12는 측벽과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벽(62)과 바닥부(6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케이블 가이드를 길이방향으로 100mm의 길이로 절단하고, 또한 그 일방의 측벽(62)을 폭이 10mm가 되도록 가공한 시료(60)를 사용해 실시했다.
그리고 우선, 도12에 나타내는 시료(60)를 수평인 장소에 설치하고, 또한 그 바닥부(61)의 하중을 걸어도 이동하지 않고 또한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추를 실었다. 다음에 측벽(62)의 선단부분(62a)에, 디지털포스게이지(digital force gauge)(일본전산심포사 제품 FGN-50B)를 접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가압하여 0.044N/mm2의 힘을 가했다. 그리고 분도기에 의하여 그 측벽(62)과 바닥부(61)가 이루는 각도(α)의 변화량을 측정했다.
<소음>
소음의 평가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케이블 가이드에 지름 10mm의 우레탄피복 5연 케이블(urethane 被覆 5連cable)을 수용하고, 그 상태에서 굴신동작(屈伸動作) 및 폭방향으로의 이동동작을 하고, 그때 발생하는 소음의 상태를 확인했다. 그 결과, 거의 소리를 못 들었던 것을 ◎, 비연속적인 발생이며 소음량(小音量)이었기 때문에 그다지 신경쓰이지 않았던 것을 ○, 비연속적인 발생이지만 약간 귀에 거슬렸던 것을 △, 연속적으로 소리가 발생하고 귀에 거슬렸던 것을 ×라고 했다.
<이동 시의 케이블 튀어나옴>
케이블 튀어나옴의 평가에서는, 우선,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케이블 가이드를 길이 1m로 절단한 것에 지름 10mm의 우레탄피복 5연 케이블(1kg/m)을 수용했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케이블 가이드의 양단을 고정하고, 가로방향으로 2G의 가속도로 100회 왕복시켜 케이블의 튀어나옴의 유무를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1]
Figure pct00002
상기 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직하중에 대한 각도(α)의 변화량이 45도를 넘고 있는 비교예1의 케이블 가이드는, 이동시에 케이블의 튀어나옴이 발생했지만, 이 각도(α)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인 실시예1?8의 케이블 가이드에서는 튀어나옴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들 실시예1?8의 케이블 가이드 중에서도 특히 측벽(2)과의 경계부분을 곡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하고, 그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가 3?10mm의 범위내인 실시예3?6의 케이블 가이드는 각도(α)의 변화량도 적고 소음의 발생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청구항9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종래 제품에 비하여, 폭방향의 부하에 대한 케이블 지지성이 우수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기 어려운 케이블 가이드를 실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제2실시예로서, 청구항15에 관한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예11?13의 케이블 가이드 및 범위에서 벗어나는 비교예11,12의 케이블 가이드를 제조하고 그 「케이블 배치성」, 「분진발생」 및 「소음」에 대하여 비교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실시예11로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MR : 1.5g/10분?220도, 연화온도 : 166도, 유리 전이점(glass transition point) : -35도, 굴곡탄성율 : 94.1MPa) 100질량부에, 슬라이딩성 흑연을 20질량%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베이스 폴리머 :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3질량부를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압출성형하고, 도4에 나타내는 형상의 케이블 가이드(20)를 일체로 성형했다.
또한 실시예12로서, 상기한 실시예11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실리콘 오일 50질량%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베이스 폴리머 :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4질량부를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압출성형하고 도4에 나타내는 형상의 케이블 가이드(20)를 일체로 성형했다.
또한 실시예13으로서, 상기한 실시예11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슬라이딩성 흑연을 20질량% 및 실리콘 오일 50질량%를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베이스 폴리머 :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4질량부를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압출성형하고 도4에 나타내는 형상의 케이블 가이드(20)를 일체로 성형했다.
한편 비교예11로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만을 압출성형하고 실시예11?13과 동일한 형상의 케이블 가이드를 일체로 성형했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나 있는 방법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케이블 가이드의 마찰계수, 표면조도, 케이블 배치성, 분진발생 및 소음에 대하여 평가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서 시판되는 유닛 조립식 플라스틱제 케이블 가이드에 관해서도,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케이블 배치성, 분진발생 및 소음을 평가했다(비교예12)
<마찰계수>
마찰계수의 측정은 JIS K 7125에 규정되는 방법을 참고로 하여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11?13 및 비교예11의 케이블 가이드와 같은 조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 제작한 시험편(시트)의 위에, 바닥면이 펠트에 의하여 덮어져 있고 무게 200g인 미끄럼편을 싣고, 그것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겨서 최대 정지 마찰력과 동마찰력을 측정했다. 그때에 펠트(미끄럼편의 바닥면)와 시험편의 접촉면적은, 6.3cm(인장방향과 수직변)×6.3cm(인장방향과 평행변)으로 했다. 그리고 이들의 값으로부터 하기 수식(2), (3)에 나타내는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를 구했다.
[수2]
Figure pct00003
[수3]
Figure pct00004
<표면조도>
표면조도의 측정은 상기한 시험편을 사용하여 미쓰토요사 제품의 서프 테스트(surftest)SJ-400을 사용해 실시했다. 그때에 컷오프(cutoff)는 0.8mm, 측정 길이는 2.4mm, 스위프속도(Sweep speed)는 0.5mm/초로 했다.
<케이블 배치성>
실시예 및 비교예의 케이블 가이드에, 지름 10mm의 우레탄피복 5연 케이블을 배치하고, 그 시간 및 노동력을 상대 평가했다. 그리고 완전히 스트레스 없이 배치할 수 있던 것을 ◎, ◎의 것보다도 2배 전후의 시간?노동력을 요한 것을 ○, ◎의 것보다도 5배 이상의 시간?노동력을 요한 것을 ×라고 했다.
<분진발생>
분진발생은, 슬라이딩 시험을 하여 그때의 분진의 발생 상황을 관찰해서 그 결과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마찰계수 및 표면조도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시험편을 준비하고, 그 시험편상에서 케이블 외피(폴리우레탄)를 약200g의 부하를 걸어서 슬라이딩시켰다. 그때에 슬라이딩 길이는 200mm, 슬라이딩 사이클은 67회/분, 슬라이딩 회수는 10만회로 했다. 그 결과, 분진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을 ◎, 거의 발생하지 않았던(목시할 수 없는 정도) 것을 ○, 목시로 분진을 확인할 수 있던 것을 △라고 했다.
<소음>
소음의 평가는, 지름 10mm의 우레탄피복 5연 케이블을 수용한 상태에서, 굴신동작 및 폭방향으로의 이동동작을 하고 그때의 소음발생 상태를 확인했다. 그 결과, 거의 소리를 못 들었던 것을 ◎, 비연속적인 발생이며 소음량이었기 때문에 그다지 신경쓰이지 않았던 ○, 연속적인 발생이지만 소음량이었기 때문에 약간 귀에 거슬렸던 것을 △, 소리가 발생하고 연속적인 발생이어서 귀에 거슬렸던 것을 ×라고 했다.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2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2]
Figure pct00005
상기 표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청구항15에 관한 발명의 범위내에서 제작하고, 바닥면이 펠트에 의하여 덮어진 미끄럼편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대 정지 마찰력 및 동마찰력으로부터 구한 정마찰계수가 0.4 이하, 동마찰계수가 0.3 이하인 실시예11?13의 케이블 가이드는, 비교예11,12의 케이블 가이드에 비하여 케이블 배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분진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제3실시예로서, 상기한 제2실시예로 평가한 실시예11?13 및 비교예11의 각 케이블 가이드에 대해서, JIS K 7125에 규정되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와 「케이블 배치성」, 「분진발생」 및 「소음」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했다. 또한 실시예14로서, 실시예11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슬라이딩성 흑연을 20질량% 함유하는 마스터배치(베이스 폴리머 :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1.5질량부를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압출성형하고, 도4에 나타내는 형상의 케이블 가이드(20)를 일체로 성형한 것에 관해서도 평가를 했다.
<마찰계수>
도13은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의 측정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JIS K 7125에 규정되는 방법을 따라 마찰계수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11?14 및 비교예11의 케이블 가이드와 같은 조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 제작한 2매의 시험편(시트)(70)을 적층하고, 그 위에 바닥면이 펠트(71)에 의하여 덮어진 무게 200g의 추(72)를 실었다.
그때에 펠트(71)(추(72)의 바닥면)와 시험편(70)의 접촉면적은 6.3cm(인장방향과 수직변)×6.3cm(인장방향과 평행변)로 했다. 그리고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시험편(70)을 10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겨서 최대 정지 마찰력과 동마찰력과를 측정하고, 그것들의 값으로부터 상기 수식(2),(3)에 나타내는 정마찰계수 및 동마찰계수를 구했다.
한편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케이블 가이드의 표면조도, 케이블 배치성, 분진발생 및 소음에 대해서는, 상기한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방법 및 조건에서 평가했다. 이상의 결과를 하기 표3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또 하기 표3에는 비교를 위하여 시판되는 유닛 조립식 플라스틱제 케이블 가이드(비교예12)의 평가결과도 더불어서 나타낸다.
[표3]
Figure pct00006
상기 표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청구항16에 관한 발명의 범위내에서 제작하고, JIS K 7125에 규정되어 있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가 0.7 이하, 동마찰계수가 0.5 이하인 실시예11?14의 케이블 가이드는, 비교예11,12의 케이블 가이드에 비하여 케이블 배치성이 우수하고 또한 분진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1 : 바닥부
2, 12, 62 : 측벽
2a : 경사부
3, 13 : 케이블 수용부
4 : 케이블
5 : 홈
6 : 리브부
6a : 홈
7 : 판재
8 : 선재
10, 11, 20, 21, 22, 23, 30, 31, 32, 40, 41, 50 : 케이블 가이드
12a : 굴곡부
12b : 수직부
14 : 케이블 다발
60 : 시료
62a : 선단부분
70 : 시험편
71 : 펠트
72 : 추

Claims (21)

  1. 일방향(一方向)으로 연장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폭방향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선단부분이 내측방향으로 경사(傾斜) 또는 굴곡(屈曲)된 측벽(側壁)으로 구성되는 케이블 수용부(cable 收容部)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대향하는 측벽의 선단(先端)이 일정한 간격으로 격리되고 또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熱可塑性 elastomer)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가이드(cable guid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스프링강(spring鋼) 또는 섬유강화 플라스틱(纖維强化 plastic)으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 또는 판재(板材)를 내포(內包)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 또는 판재는, 접착성 수지(接着性 樹脂)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그 선단으로부터 상기 바닥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홈(cu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이면에는 리브부(rib部)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부에는 복수의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 가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홈과 상기 리브부의 노치가, 상기 바닥부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정합(整合)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복수의 케이블이 일체화된 케이블 다발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곡동작(屈曲動作)시에, 상기 바닥부의 이면(裏面)이 내측(內側)에,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개구부(開口部)가 외측(外側)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내로부터 상기 측벽의 선단부분에 대하여 0.044N/mm2의 수직하중(垂直荷重)을 걸었을 때에, 상기 측벽과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의 변화량이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측벽에 있어서 경사부 또는 굴곡부보다도 바닥부측의 부분은, 상기 바닥부보다도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측벽 전체가 상기 바닥부보다도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이면에는, 상기 바닥부보다도 두꺼운 리브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의 경계부분은 곡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가 3?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부와 상기 측벽의 경계부분 및 상기 바닥부의 이면과 상기 리브부의 내면의 경계부분은 어느 것이나 모두 곡면 또는 경사면(C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곡률반경(R) 또는 경사면(C면) 치수가 3?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의 내측 표면은, 바닥면이 일변 6.3cm의 정사각형 모양이고 바닥면 전체가 펠트에 의하여 덮어져 있는 무게 200g의 미끄럼편(sliding片)을 싣고, 상기 미끄럼편을 50mm/분의 속도로 잡아당겼을 때의 최대 정지 마찰력(最大 靜止 摩擦力) 및 동마찰력(動摩擦力)으로부터 구한 정마찰계수(靜摩擦係數)가 0.4 이하이며, 동마찰계수(動摩擦係數)가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의 내측 표면은, JIS K 7125에 규정되어 있는 방법을 따라서 측정한 정마찰계수가 0.7 이하이며, 동마찰계수가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의 내측 표면의 표면조도(表面粗度;surface roughness)는, 산술평균조도(算術平均粗度)Ra가 0.10μm 이하, 10점평균조도(10點平均粗度)Rz가 1.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8. 제15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은,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흑연분말(黑煙粉末)을 0.1?5질량부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은,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흑연분말을 0.5?5질량부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20. 제15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은,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오일을 0.1?5질량부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측벽은, 엘라스토머 100질량부에 대하여 실리콘 오일을 0.5?5질량부 배합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이드.
KR1020127020452A 2010-01-29 2010-12-27 케이블 가이드 KR20120112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8328 2010-01-29
JP2010018328A JP5393508B2 (ja) 2010-01-29 2010-01-29 ケーブルガイド
JPJP-P-2010-160073 2010-07-14
JP2010160073 2010-07-14
JPJP-P-2010-160295 2010-07-15
JP2010160295A JP5405401B2 (ja) 2010-07-15 2010-07-15 ケーブルガイ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728A true KR20120112728A (ko) 2012-10-11

Family

ID=4431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452A KR20120112728A (ko) 2010-01-29 2010-12-27 케이블 가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20112728A (ko)
CN (1) CN102725932A (ko)
TW (1) TW201203765A (ko)
WO (1) WO20110929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84B1 (ko) * 2020-06-04 2021-07-20 주식회사 케이에프디산업 케이블 베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5737A (ja) * 2011-09-01 2013-03-2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ケーブルガイド
DE102012020105A1 (de) * 2012-10-12 2014-04-17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Kabelführungseinrichtung zur Verwendung bei der Installation von Kabeln
JP5713139B1 (ja) * 2014-11-12 2015-05-07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保護パイ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DE102014226334A1 (de) * 2014-12-17 2016-06-23 Leoni Kabel Holding Gmbh Kabelführungs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Kabelführungsvorrichtung
JP2017022812A (ja) * 2015-07-08 2017-01-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ケーブルガイド
FR3043441B1 (fr) * 2015-11-06 2017-12-01 Lisi Automotive Rapid Piece de maintien d'elements longilignes tels que des cables ou tubes, sur une surface de support
CN106932221B (zh) * 2015-12-30 2023-11-21 核动力运行研究所 一种用于核电站的电缆留样装置
US11329470B2 (en) * 2018-01-19 2022-05-10 Junkosha Inc. Supporting member, conduit supporting device, and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EP3591776B1 (en) * 2018-07-05 2022-01-05 TRUMPF Medizin Systeme GmbH + Co. KG Cable routing system
CN114017471A (zh) * 2021-10-29 2022-02-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缆线保护引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632A (ja) * 1991-03-29 1993-06-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ラットケーブル
ES2145334T3 (es) * 1991-11-26 2000-07-01 Kabelschlepp Gmbh Disposicion de guiado de tubo con fondos de ranura ensanchados.
JP2747181B2 (ja) * 1992-11-26 1998-05-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の支持構造
JPH0767230A (ja) * 1993-08-20 1995-03-10 Sanden:Kk 追加形配線ダクト
CN1115837A (zh) * 1994-07-26 1996-01-31 美国W.L.戈尔及合伙人有限公司 牵引链代用品
JP2000193158A (ja) * 1998-10-19 2000-07-14 Fujikura Ltd 電線引き入れ用パイプ
AU2003297292A1 (en) * 2002-11-22 2004-06-1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pport member for an assembly
US6858797B2 (en) * 2002-11-22 2005-02-22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upport member for an assembly
JP2006166492A (ja) * 2004-12-02 2006-06-22 Yazaki Corp ハーネス保護具
JP5164364B2 (ja) * 2006-05-12 2013-03-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流体輸送用チューブ
JP2007336754A (ja) * 2006-06-16 2007-12-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線保護用のチューブおよび該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4118311B2 (ja) * 2006-11-28 2008-07-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935347B2 (ja) * 2006-12-27 2012-05-23 東洋紡績株式会社 耐熱性コルゲートチューブ
JP2009170413A (ja) * 2007-12-20 2009-07-30 Kyowa Co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ノンハロゲンシート
CN101550281B (zh) * 2009-04-29 2011-09-28 株洲时代工程塑料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热塑性弹性体复合材料制备方法及其制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684B1 (ko) * 2020-06-04 2021-07-20 주식회사 케이에프디산업 케이블 베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2991A1 (ja) 2011-08-04
TW201203765A (en) 2012-01-16
CN102725932A (zh)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2728A (ko) 케이블 가이드
CN103453075B (zh) 线缆类保护引导部件
US10175439B2 (en) Cable jackets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cable jackets having designed microstructures
US8208773B2 (en) Optical fiber cable having raised coupling supports
US8229263B2 (en) Optical fiber cable having a deformable coupling element
TWI703786B (zh) 長形體及纜線等支持裝置
KR101437400B1 (ko) 긴 부재들을 내부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성 보호 가이드
TWI503494B (zh) 可內部保持長形構件之撓性保護導件
US20040234209A1 (en) Strain relief boot with flexible extension for guiding fiber optic cable
EP1882867A3 (en) Folding assembly type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20130033307A (ko) 케이블용 보호 가이드 및 보호 가이드에 이용되는 브라켓
JP2012039845A (ja) ケーブルガイド
CN111965772B (zh) 一种轻质光缆
JP5393508B2 (ja) ケーブルガイド
US6845789B2 (en) High density fiber optic cable inner ducts
JP5405401B2 (ja) ケーブルガイド
CN205582486U (zh) 电子设备
KR20190114991A (ko) 탄소 섬유 강화 성형체
US10505351B2 (en) Flexible conduit systems for routing cables
JP2013032817A (ja) ケーブルガイド
JP2013034327A (ja) ケーブルガイド
JP2015194206A (ja) ケーブルガイド
JP5594885B2 (ja) 織物部材からなる横ずれ防止用案内部材
JP2000227145A (ja) ケーブルキャリア
JP2013258907A (ja) ケーブル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