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884A -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884A
KR20120106884A KR1020127020724A KR20127020724A KR20120106884A KR 20120106884 A KR20120106884 A KR 20120106884A KR 1020127020724 A KR1020127020724 A KR 1020127020724A KR 20127020724 A KR20127020724 A KR 20127020724A KR 20120106884 A KR20120106884 A KR 20120106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tact member
shaped member
contact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012B1 (ko
Inventor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Original Assignee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filed Critical 고오이찌 사까끼바라
Publication of KR2012010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 B60C27/04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restricted arcuate part of tread the ground-engaging part being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U-형상 단면을 구비한 스키드 방지 본체가 자동차 타이어 둘레에 배열되어 있는 스키드 방지 장치에서, 타이어 상에 접촉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다. 스키드 방지 본체(1a, 1b, 1c)는 전방측 U-형상 부재(2) 및 후방측 U-형상 부재(3)를 구비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는 외부 부분(2b, 3b) 및 내부 부분(2c, 3c)을 갖고, 접촉 부재(6)가 타이어(T)의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에 장착된다. 접촉 부재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및 내부 부분은 타이어 상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외부 및 내부 부분의 단부는 전방측 및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돌출하고, 접촉 부재는 외부 및 내부 부부분의 단부의 돌출 부분에 끼워진다.

Description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TYRE ANTI-SKID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타이어에 부착되는 스키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이하에서, PTL)은, 예를 들어, U-형상 단면을 갖는 스키드 방지 본체가 자동차의 타이어 내에 타이어의 원주 면으로부터 끼워지는 스키드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2개 이상의 스키드 방지 본체가 타이어의 전체 원주부 둘레에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2개 이상의 스키드 방지 본체는 원형으로 타이어에 부착된다. 스키드 방지 장치가 타이어로부터 탈착되도록 요구될 때, 스키드 방지 본체들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해제된다.
각각의 스키드 방지 본체는 자동차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타이어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는 전방측 U-형상 부재 및 후방측 U-형상 부재와,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는 내부측 선형 부재를 포함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 각각은 타이어의 지면 접촉 표면을 횡단하는 횡단 부분, 타이어의 외측 표면을 따라 위치되는 외부 부분, 및 타이어의 내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는 내부 부분을 갖는다. 내부측 선형 부재는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들의 내부 부분들을 서로 연결한다.
스키드 방지 본체의 외부 부분들은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에서 각각의 링크 부재에 부착된다. 각각의 링크 부재는 체인으로서 제공되고, 링크 구성요소에 부착된다. 스키드 방지 본체들을 결합시킬 때, 하나의 스키드 방지 본체의 후방측 링크 부재는 링크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다음의 스키드 방지 본체의 전방측 링크 부재와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스키드 방지 본체의 외부 부분은 타이어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에 부착된다. 스키드 방지 본체의 내부 부분 또한 타이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에 부착된다.
일본 특허 제3557464호 일본 특허 제3718779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308149호
타이어를 위한 상기 스키드 방지 장치에서, 각각의 스키드 방지 본체는 각각의 접촉 부재가 외부 부분의 전방측 및 후방측 그리고 내부 부분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유사한 부착 구조가 그러한 4개의 접촉 부재에 대해 채용된다. 외부 부분의 전방측 접촉 부재에 대한 부착 구조에 관한 문제점이 설명될 것이다.
링크 플레이트가 스키드 방지 본체의 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부분과 링크 부재 사이에 제공된다. 링크 플레이트는 스키드 방지 본체의 폭 방향으로 통과하는 나사 구멍이 내부에 형성된다. 볼트와 같은 나사 샤프트가 나사 구멍 내로 나사 결합된다. 나사 샤프트는 스키드 방지 본체의 폭 방향으로 링크 플레이트를 관통한다. 스키드 방지 본체 내로 돌출하는 나사 샤프트의 내측 단부는 디스크형 접촉 부재로서 작용한다. 스키드 방지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나사 샤프트의 외측 단부는 너트 내로 나사 결합되고, 너트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제공된다.
접촉 부재를 위한 그러한 부착 구조는 상당수의 구성요소를 요구하고, 조립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접촉 부재는 가능하게는 타이어의 휠과 접촉할 때 그를 손상시킬 수 있고, 이는 대체로 접촉 부재가 금속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스키드 방지 본체의 외부 부분의 전방측 접촉 부재에 대한 부착 구조에 관한 신규한 개념이 설명될 것이다.
스키드 방지 본체의 전방측 U-형상 부재는 그의 외측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원통형 형상을 갖는 접촉 부재가 외부 부분의 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된다. 원통형 접촉 부재는 타이어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외측 표면을 갖는다.
원통형 접촉 부재가 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부분의 전방측 연장 단부 부분 내에 삽입되는 부착 구조는 볼트와 같은 나사 샤프트 및 너트를 사용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구성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구조가 단순화되도록 허용한다.
원통형 접촉 부재는 고무 또는 탄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원통형 접촉 부재가 고무 또는 탄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면, 타이어의 휠은 손상이 방지될 것이다. 또한, 원통형 접촉 부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접촉 부재의 타이어의 외부 표면과의 접촉 위치가 변하도록 허용하여, 불균형 마모를 방지한다.
1.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스키드 방지 장치는 자동차의 타이어 내에 끼워지고, 타이어의 전체 원주부 둘레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스키드 방지 본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키드 방지 본체는 U-형상 단면을 갖고, 자동차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타이어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는 전방측 U-형상 부재 및 후방측 U-형상 부재를 포함한다. 전방측 U-형상 부재 및 후방측 U-형상 부재 각각은 타이어의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따라 각각 외부 부분 및 내부 부분을 갖는다. 외부 부분은 타이어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에 부착된다. 내부 부분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에 부착된다. 각각의 접촉 부재는 타이어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전방측 U-형상 부재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는 그의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 또는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부재는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연장 단부 부분 내에 삽입된다.
2. 타이어를 위한 그러한 스키드 방지 장치에서, 각각의 스키드 방지 본체는 하나 이상의 외부 부분의 전방측 및 후방측이 타이어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각각의 외부 접촉 부재에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내부 부분의 전방측 및 후방측이 타이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각각의 내부 접촉 부재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부 접촉 부재 및 내부 접촉 부재는 원통형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방측 U-형상 부재는 그의 외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부의 접촉 부재는 외부 부분의 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된다. 전방측 U-형상 부재는 아울러 그의 내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내부 부분의 단부가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내부의 접촉 부재는 내부 부분의 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후방 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된다. 후방측 U-형상 부재는 그의 외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의 단부가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외부의 접촉 부재는 외부 부분의 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된다. 후방측 U-형상 부재는 아울러 그의 내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내부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내부의 접촉 부재는 내부 부분의 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된다.
3. 타이어를 위한 상기 스키드 방지 장치에서, 각각의 접촉 부재는 고무 또는 탄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4. 타이어를 위한 상기 스키드 방지 장치에서, 각각의 접촉 부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5. 타이어를 위한 상기 스키드 방지 장치에서, 각각의 접촉 부재는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6. 타이어를 위한 상기 스키드 방지 장치에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연장 단부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연장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접촉 부재는 원통형 표면 또는 각기둥형 표면의 외측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부재의 외측 표면은 타이어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7. 타이어를 위한 상기 1 내지 5의 스키드 방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연장 단부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연장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접촉 부재는 원추형 표면 또는 피라미드 표면의 외측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부재의 외측 표면은 그의 대경 단부가 소경 단부에 비해 타이어의 중심 부근에 위치되도록 타이어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의 내측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원통형 접촉 부재가 전방측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는 부착 구조가 간단하다.
각각의 접촉 부재가 고무 또는 탄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면, 타이어의 휠은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키드 방지 장치가 타이어에 부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스키드 방지 본체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스키드 방지 본체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A-A를 따른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키드 방지 장치가 타이어에 부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스키드 방지 본체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스키드 방지 본체의 확대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선 B-B를 따른 확대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도 1 내지 4 참조)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스키드 방지 장치가 자동차의 타이어(T)에 부착된 상태가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보인다. 스키드 방지 장치는 제1 스키드 방지 본체(1a), 제2 스키드 방지 본체(1b), 및 제3 스키드 방지 본체(1c)(본원에서 개별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집합적으로 스키드 방지 본체 또는 본체(1)들)가 규칙적인 간격으로 타이어(T)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3개의 스키드 방지 본체(1a, 1b, 1c)는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제1 스키드 방지 본체(1a)가 대표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제1 스키드 방지 본체(1, 1a)가 도 2 및 도 3에서 타이어(T)의 상부에 부착될 때의 자세를 각각 도시하는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A-A을 따른 확대된 단면도이다.
제1 스키드 방지 본체(1, 1a)는 전방측 U-형상 부재(2), 후방측 U-형상 부재(3),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측 선형 부재(4)를 포함한다. "전방측"은 본원에서 자동차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도 1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타이어(T)의 양의 회전 방향으로의 전방측을 의미하도록 의도되고, 이는 도 1, 도 2, 및 도 3에서 제1 스키드 방지 본체(1a)의 좌측을 나타낸다. "후방측"은 본원에서 타이어(T)의 양의 회전 방향으로의 후방측을 의미하도록 의도되고, 이는 도 1, 도 2, 및 도 3에서 제1 스키드 방지 본체(1a)의 우측을 나타낸다. "내부측" 또는 "내부"는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자동차의 내부측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는 강철 원형 로드가 타이어(T)의 외측 원주부측 내에 끼워지도록 U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공간 대칭 구조로 형성된다. U-형상 부재(2, 3)는 각각 타이어(T)의 트레드 영역(지면 접촉 영역)을 횡단하는 횡단 부분(2a, 3a), 타이어(T)의 외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는 외부 부분(2b, 3b), 및 타이어(T)의 내부 표면을 따라 위치되는 내부 부분(2c, 3c)을 갖는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는 약 60°의 중심각을 이루도록 타이어(T) 내에 끼워지도록 사용된다.
전방측 U-형상 부재(2)는 외부 부분(2b)이 타이어(T)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2b)의 단부가 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부분(2b)의 전방측 연장 단부는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전방측 U-형상 부재(2)는 아울러 내부 부분(2c)이 타이어(T)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내부 부분(2c)의 단부가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부분(2c)의 후방측 연장 단부 또한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후방측 U-형상 부재(3)는 외부 부분(3b)이 타이어(T)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3b)의 단부가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부분(3b)의 후방측 연장 단부는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후방측 U-형상 부재(3)는 아울러 내부 부분(3c)이 타이어(T)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내부 부분(3c)의 단부가 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부분(3c)의 전방측 연장 단부 또한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된다.
내부측 선형 부재(4)는 체인으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체인(4)은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핀에 의해 스트링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판형 링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내부측 선형 부재(4)는 리프 체인(leaf chain)으로서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U-형상 부재(2)는 하나의 접촉 부재(6)가 외부 부분(2b)의 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고, 다른 접촉 부재(6)가 내부 부분(2c)의 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도록, 원통형 형상을 각각 갖는 2개의 접촉 부재(6)에 부착된다. 또한, 후방측 U-형상 부재(3) 또한 하나의 접촉 부재(6)가 외부 부분(3b)의 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고, 다른 접촉 부재(6)가 내부 부분(3c)의 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도록, 원통형 형상을 각각 갖는 2개의 접촉 부재(6)에 부착된다. 그러한 접촉 부재(6)들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촉 부재(6)는 고무로 만들어지고, 그의 외측 표면은 원통형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외부 접촉 부재(6)의 외측 표면의 원통형 표면은 타이어(T)의 외부 표면과 접촉한다. 내부 접촉 부재(6)의 외측 표면의 원통형 표면은 타이어(T)의 내부 표면과 접촉한다. 각각의 접촉 부재(6)는 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외부 접촉 부재(6)는 타이어(T)의 외부 표면의 내측 영역 내에서 타이어(T)와 접촉한다. 내부 접촉 부재(6) 또한 타이어(T)의 내부 표면의 내측 영역 내에서 타이어(T)와 접촉한다. 타이어(T)는 그의 단면에 있어서, 지면 접촉 시에 낮은 프로파일로 변형되고, 이어서 그의 프로파일을 회복하여, 외측 직경 및 외측 폭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결과를 낳는다. 타이어(T)의 외측 폭의 변동량은 지면 접촉의 측면에서의 외측 영역에 비해 림의 측면에서의 내측 영역 내에서 더 작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및 내부 접촉 부재(6)는 각각 타이어(T)의 외부 및 내부 표면의 내측 영역과 접촉하고, 스키드 방지 본체(1)는 따라서 헐거워져서 타이어(T) 상에서 이동하거나 조여져서 타이어(T)로부터 큰 힘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전방측 U-형상 부재(2)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3)에서, 외부 접촉 부재(6) 및 내부 접촉 부재(6)는 각각 폭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기보다는 스키드 방지 본체(1)의 폭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을 갖도록 위치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외부 및 내부 접촉 부재(6)들 사이의 거리는 스키드 방지 본체(1)의 내측 폭보다 더 크다. 타이어(T)의 외측 폭은 내측 영역 내에서보다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 사이의 중간 영역 내에서 더 크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키드 방지 본체(1)는 타이어(T)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제거되기 쉽고, 이는 외부 및 내부 접촉 부재(6)들 사이의 거리가 스키드 방지 본체(1)의 내측 폭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측 선형 부재(4)의 선단 단부는 볼트(7) 및 너트(8)를 사용하여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내부 부분(2c)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너트(8)는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할 핀을 구비한다. 볼트(7)를 빼내기 위해 분할 핀을 제거하고 너트(8)를 역회전시키면,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내부 부분(2c)과 내부측 선형 부재(4)가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내부측 선형 부재(4)가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내부 부분(2c)으로부터 분리되면, 내부 부분(2c)의 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된 내부 접촉 부재(6)는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해제되도록 허용된다. 이러한 접촉 부재(6)는 따라서 교환 가능하다. 접촉 부재(6)는 외측 직경과 같은 크기가 적응 가능하지 않으면,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접촉 부재(6)는 또한 마멸되거나 손상되면 새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선단 단부와 유사하게, 내부측 선형 부재(4)의 후연 단부는 볼트(7) 및 너트(8)를 사용하여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내부 부분(3c)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너트(8)는 떨어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할 핀을 구비한다. 볼트(7)를 빼내기 위해 분할 핀을 제거하고 너트(8)를 역회전시키면,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내부 부분(3c)과 내부측 선형 부재(4)가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내부측 선형 부재(4)가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내부 부분(3c)으로부터 분리되면, 내부 부분(3c)의 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된 내부 접촉 부재(6)는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해제되도록 허용된다. 이러한 접촉 부재(6)는 따라서 교환 가능하다.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외부 부분(2b)은 전방측 링크 부재(11)에 부착된다.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외부 부분(3b) 또한 후방측 링크 부재(12)에 부착된다. 전방측 및 후방측 링크 부재(11, 12)는 각각 체인으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체인(11 또는 12)은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핀에 의해 스트링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판형 링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링크 부재(11, 12)는 리프 체인으로서 제공된다. 전방측 링크 부재(11)의 선단 단부는 암형 링크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후방측 링크 부재(12)의 후연 단부는 수형 링크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러한 수형 및 암형 링크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 가능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전방측 링크 부재(11)의 후연 단부는 볼트(7) 및 너트(8)를 사용하여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외부 부분(2b)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 구조는 볼트(7) 및 너트(8)를 사용하는 내부측 선형 부재(4)에 대한 것과 유사하다. 볼트(7)를 풀기 위해 너트(8)를 역회전시키면,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외부 부분(2b)과 전방측 링크 부재(11)가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전방측 링크 부재(11)가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외부 부분(2b)으로부터 분리되면, 외부 부분(2b)의 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된 외부 접촉 부재(6)는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해제되도록 허용된다. 이러한 접촉 부재(6)는 따라서 교환 가능하다.
전방측 링크 부재(11)와 유사하게, 후방측 링크 부재(12)의 선단 단부는 볼트(7) 및 너트(8)를 사용하여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외부 부분(3b)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볼트(7)를 풀면,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외부 부분(3b)과 후방측 링크 부재(12)가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후방측 링크 부재(12)가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외부 부분(3b)으로부터 분리되면, 외부 부분(3b)의 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된 외부 접촉 부재(6)는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해제되도록 허용된다. 이러한 접촉 부재(6)는 따라서 교환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스키드 방지 본체(1)는 타이어(T) 내에 끼워지도록 U-형상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U-형상 단면을 구비한 스키드 방지 본체(1)는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의 횡단 부분(2a, 3a)이 타이어(T)의 지면 접촉 표면을 횡단하는 횡단 부분을 나타내고;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의 외부 부분(2b, 3b)이 타이어(T)의 외부 표면을 따라 배열되는 외부 부분을 나타내고;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의 내부 부분(2c, 3c) 및 내부측 선형 부재(4)가 타이어(T)의 내부 표면을 따라 배열되는 내부 부분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스키드 방지 본체(1)의 각각의 외부 부분은 타이어(T)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스키드 방지 본체(1)의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에서 전방측 링크 부재(11) 및 후방측 링크 부재(12)에 부착된다. 각각의 접촉 부재(6)는 외부 부분의 전방측 및 후방측 그리고 내부 부분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서 스키드 방지 본체(1)에 부착된다.
제2 실시예(도 5 내지 도 8 참조)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로부터 부분적으로 변형되었다. 구체적으로, 외부 부분(2b, 3b) 및 내부 부분(2c, 3c)의 연장 단부의 형상 및 그러한 연장 단부에 부착되는 접촉 부재(6)의 형상에 관하여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에 대한 변화가 이루어졌다.
도 5 내지 도 8은 각각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4에 대응한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의 외부 부분(2b, 3b) 및 내부 부분(2c, 3c)의 연장 단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을 타이어(T)의 방사상 방향을 따른 위치로부터 전방측 또는 후방측을 향해 구부리기 위한 각도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90° 약간 미만이 아닌 약 60°가 되도록 변형되었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의 외부 부분(2b, 3b) 및 내부 부분(2c, 3c)의 전방측 연장 단부 및 후방측 연장 단부는 각각 타이어(T)의 원주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열된다.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내부 부분(2c)의 후방측 연장 단부,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내부 부분(3c)의 전방측 연장 단부, 및 이들 사이의 내부측 선형 부재(4)는 직선 상에 위치된다.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외부 부분(2b)의 전방측 연장 단부 및 대응하는 전방측 링크 부재(11)는 직선 상에 위치되고, 그러한 전방측 링크 부재(11)와 연결된 다음의 스키드 방지 본체의 후방측 링크 부재(12) 및 대응하는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외부 부분(3b)의 후방측 연장 단부 또한 동일한 직선 상에 위치된다.
전방측 및 후방측 U-형상 부재(2, 3)의 외부 부분(2b, 3b) 및 내부 부분(2c, 3c)의 전방측 연장 단부 또는 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연장 단부들 내에 삽입된 원통형 접촉 부재(6)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균일한 직경을 구비한 원통형 표면을 갖기보다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표면의 외측 표면을 갖도록 만들어진다. 접촉 부재(6)들은 외측 표면인 각각의 원추형 표면의 대경 단부가 소경 단부에 비해 타이어(T)의 림 또는 중심 부근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원추형 표면은 타이어(T)의 외부 표면의 내측 영역 또는 타이어(T)의 내부 표면의 내측 영역과 접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외측 폭은 타이어(T)의 림 또는 중심에 접근함에 따라 림 측에서의 내측 영역 내에서 좁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T)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과의 각 접촉 부재(6)의 접촉 표면은 외측 표면인 각각의 원추형 표면의 대경 단부가 소경 단부에 비해 타이어(T)의 림 또는 중심 부근에 위치되도록 접촉 부재(6)들이 배열되기 때문에, 증가된다.
다른 특징은 제1 실시예의 특징과 유사하다. 도면에서, 제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6)들은 그들의 대향 측면을 향해 이동 가능하면서, 맞닿기 때문에, 볼트(7) 및 너트(8)의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접촉 부재(6)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절한 슬립 스토퍼를 제공함으로써 그러한 대향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허용되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2. 상기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6)들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대안적으로, 접촉 부재(6)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촉 부재(6)의 외측 표면은 원통형 표면 또는 원추형 표면으로서 만들어진다. 대안적으로, 접촉 부재(6)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기둥형 표면 또는 파라미드 표면으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4. 상기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6)는 고무로 만들어진다. 대안적으로, 이는 탄성 합성 수지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5. 상기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6)에 대해 보강재가 사용되지 않는다. 코어와 같은 보강재가 접촉 부재(6)에 대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6. 상기 실시예에서, 접촉 부재(6)의 중심 구멍은 원형 구멍이다. 대안적으로, 이는 직사각형 구멍일 수 있다.
7. 상기 실시예에서, 전방측 U-형상 부재(2) 및 후방측 U-형상 부재(3)는 원형 로드로 만들어진다. 대안적으로, 이중 적어도 하나는 직사각형 로드(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8. 상기 실시예에서,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내부 부분(2c), 내부측 선형 부재(4), 및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내부 부분(3c)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방측 U-형상 부재(2)의 외부 부분(2b)과 전방측 링크 부재(11)는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후방측 U-형상 부재(3)의 외부 부분(3b) 후방측 링크 부재(12) 또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는 소형, 중형, 또는 대형 승용차 또는 트럭과 같은 다양한 자동차에 대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T: 자동차용 타이어
1, 1a, 1b, 1c: 스키드 방지 본체
1a: 제1 스키드 방지 본체
1b: 제2 스키드 방지 본체
1c: 제3 스키드 방지 본체
2: 전방측 U-형상 부재
2a: 횡단 부분
2b: 외부 부분
2c: 내부 부분
3: 후방측 U-형상 부재
3a: 횡단 부분
3b: 외부 부분
3c: 내부 부분
4: 내부측 선형 부재
2a, 3a: 스키드 방지 본체의 횡단 부분
2b, 3b: 스키드 방지 본체의 외부 부분
2c, 3c, 4: 스키드 방지 본체의 내부 부분
6: 접촉 부재, 원통형 접촉 부재, 외부 접촉 부재, 내부 접촉 부재
7: 볼트
8: 너트
11: 전방측 링크 부재
12: 후방측 링크 부재

Claims (7)

  1.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이며,
    자동차의 타이어 내에 끼워지고, 타이어의 전체 원주부 둘레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되는 2개 이상의 스키드 방지 본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스키드 방지 본체는 U-형상 단면을 갖고, 자동차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타이어의 회전 방향에 대해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위치되는 전방측 U-형상 부재 및 후방측 U-형상 부재를 포함하고, 전방측 U-형상 부재 및 후방측 U-형상 부재 각각은 타이어의 외부 표면 및 내부 표면을 따라 각각 외부 부분 및 내부 부분을 갖고, 외부 부분은 타이어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에 부착되고, 내부 부분은 타이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재에 부착되고,
    각각의 접촉 부재는 타이어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원통형 형상을 갖고,
    전방측 U-형상 부재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는 그의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 또는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접촉 부재는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는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키드 방지 본체는 외측부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타이어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외측의 접촉 부재를 부착하고, 내측부의 전방측과 후방측에, 각각 타이어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내측의 접촉 부재를 부착하고,
    외측의 접촉 부재와 내측의 접촉 부재는 각각 통 형상으로 하고,
    전방측 U-형상 부재는 그의 외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외부의 접촉 부재는 외부 부분의 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고, 전방측 U-형상 부재는 아울러 그의 내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내부 부분의 단부가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의 접촉 부재는 내부 부분의 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고,
    후방측 U-형상 부재는 그의 외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외부 부분의 단부가 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외부의 접촉 부재는 외부 부분의 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고, 후방측 U-형상 부재는 아울러 그의 내부 부분이 타이어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내부 부분의 단부가 전방측을 향해 구부러져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의 접촉 부재는 내부 부분의 전방측 연장 단부에 부착되어 전방측 연장 단부 내에 삽입되는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부재는 고무 또는 탄성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는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부재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부재는 교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연장 단부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연장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접촉 부재는 원통형 표면 또는 각기둥형 표면의 외측 표면을 갖고,
    원통형 접촉 부재의 외측 표면은 타이어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 U-형상 부재의 외부 부분 또는 내부 부분의 연장 단부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위치되고, 연장 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접촉 부재는 원추형 표면 또는 피라미드 표면의 외측 표면을 갖고, 원통형 접촉 부재의 외측 표면은 그의 대경 단부가 소경 단부에 비해 타이어의 중심 부근에 위치되도록 타이어의 외부 표면 또는 내부 표면의 내측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KR1020127020724A 2010-07-06 2011-05-12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KR101323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3698A JP5269005B2 (ja) 2010-07-06 2010-07-06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JP-P-2010-153698 2010-07-06
PCT/JP2011/060964 WO2012005053A1 (ja) 2010-07-06 2011-05-12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884A true KR20120106884A (ko) 2012-09-26
KR101323012B1 KR101323012B1 (ko) 2013-10-29

Family

ID=4544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724A KR101323012B1 (ko) 2010-07-06 2011-05-12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279625A1 (ko)
EP (1) EP2591925A4 (ko)
JP (1) JP5269005B2 (ko)
KR (1) KR101323012B1 (ko)
CN (1) CN102753370A (ko)
AU (1) AU2011275171B2 (ko)
CA (1) CA2786247C (ko)
RU (1) RU2510336C1 (ko)
WO (1) WO2012005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9005B2 (ja) 2010-07-06 2013-08-21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6764B2 (ja) 2011-03-17 2013-07-17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179625B2 (ja) 2011-04-26 2013-04-10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4687B1 (ja) * 2012-02-28 2013-07-10 孝一 榊原 タイヤ滑止装置
JP5253609B1 (ja) * 2012-07-23 2013-07-31 孝一 榊原 タイヤ滑止装置
RU2612744C1 (ru) * 2016-03-30 2017-03-13 Евгений Степанович Важинск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проходимости автомобиля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489A (en) * 1911-10-17 1912-03-19 Leonard B Gaylor Antiskid-grip.
US3752204A (en) * 1971-12-29 1973-08-14 P Ouellette Cable tire chain tensioning and locking device
DE2929781A1 (de) * 1979-07-23 1981-02-12 Salvatore Sanvitale Start- und fahrhilfeeinrichtung
CN2121362U (zh) * 1992-04-23 1992-11-11 威海环翠区电子研究所 汽车防滑链
US5318087A (en) * 1993-02-05 1994-06-07 Rocket Electric Co., Ltd. Snow chain device for a motor vehicle tire
JP3557464B2 (ja) * 2001-11-05 2004-08-25 孝一 榊原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US7096905B2 (en) * 2002-10-09 2006-08-29 Kouichi Sakakibara Slip-preventing device for vehicle tire
JP3718779B2 (ja) * 2004-05-24 2005-11-24 孝一 榊原 タイヤのスリップ防止装置
CN2701674Y (zh) * 2004-05-29 2005-05-25 赵建德 防滑链主链
JP2007290627A (ja) * 2006-04-26 2007-11-08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CN2902772Y (zh) * 2006-04-28 2007-05-23 孙维国 汽车防滑装置
JP2008137394A (ja) 2006-05-15 2008-06-19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8273455A (ja) * 2007-05-02 2008-11-13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8308149A (ja) * 2007-05-17 2008-12-25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9045973A (ja) * 2007-08-16 2009-03-05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09120050A (ja) * 2007-11-15 2009-06-04 Koichi Sakakibar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74394B2 (ja) 2009-07-03 2013-08-28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69005B2 (ja) 2010-07-06 2013-08-21 孝一 榊原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16963A (ja) 2012-01-26
AU2011275171B2 (en) 2013-09-26
WO2012005053A1 (ja) 2012-01-12
CN102753370A (zh) 2012-10-24
US20120279625A1 (en) 2012-11-08
JP5269005B2 (ja) 2013-08-21
CA2786247A1 (en) 2012-01-12
CA2786247C (en) 2014-02-18
RU2510336C1 (ru) 2014-03-27
KR101323012B1 (ko) 2013-10-29
AU2011275171A1 (en) 2012-08-02
EP2591925A1 (en) 2013-05-15
EP2591925A4 (en)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012B1 (ko) 타이어를 위한 스키드 방지 장치
JP6347774B2 (ja) エアレスタイヤ
US20150246578A1 (en) Multi-piece rim assembly
US20140182758A1 (en) Anti-skid device for tires
JP2008110680A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74394B2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6773B2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US7658455B2 (en) Traction enhancement device
JP2008137394A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2011063164A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JP5236673B2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WO2012147220A1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US2343251A (en) Nonskid two-piece metal jacket
US10889148B1 (en) Airless tire
JP6835796B2 (ja) 滑り止め具付車両用ホイール
US2227782A (en) Nonskid device
WO2015104850A1 (ja) タイヤ滑止装置およびタイヤ滑止装置用部材
US1146076A (en) Armor for vehicle-wheels.
JP2008120226A (ja) タイヤの滑り止め装置
US928986A (en) Shield for pneumatic tires.
US1091004A (en) Traction gripping attachment for wheels.
US1049734A (en) Antiskidding attachment.
US1301535A (en) Non-skid device.
US1247529A (en) Antiskid attachment.
US1298149A (en) Ground-gripping device for vehicle-whe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