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304A -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304A
KR20120106304A KR1020110024340A KR20110024340A KR20120106304A KR 20120106304 A KR20120106304 A KR 20120106304A KR 1020110024340 A KR1020110024340 A KR 1020110024340A KR 20110024340 A KR20110024340 A KR 20110024340A KR 20120106304 A KR20120106304 A KR 2012010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k portion
black
window
im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189B1 (ko
Inventor
김혜선
김은아
라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189B1/ko
Priority to US13/351,474 priority patent/US8970107B2/en
Publication of KR2012010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평판 표시 장치와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평판 표시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영역을 구비한 패널과, 그 패널을 덮는 윈도우, 화상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윈도우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 및, 패널과 윈도우를 접합시키기 위한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을 포함하며, 블랙매트릭스가 자외선을 차단하는 블랙잉크부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평판 표시 장치에서는 블랙매트릭스가 있는 영역을 포함한 전 영역에 걸쳐서 윈도우 접합용 레진층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레진층 미경화에 의한 윈도우의 접합 불량이 대폭 감소된다.

Description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평판 표시 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윈도우(window)의 접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OLED)나 액정표시장치(LCD)와 같은 박형의 평판 표시 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패널 위에 보호용으로 윈도우를 설치하게 된다. 즉, 레진을 매개로 패널과 윈도우를 밀착시킨 후, 그 윈도우 외측 상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레진을 경화시킴으로써 패널과 윈도우를 견고히 결합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윈도우에는 패널의 화상영역 테두리를 가려주는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블랙매트릭스를 통해서는 자외선이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블랙매트릭스 하부의 레진은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어서 자칫 윈도우 접합 불량이 발생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외선을 윈도우의 상방에서 뿐만이 아니라 측방에서도 조사함으로써 블랙매트릭스에 의해 자외선이 차단되는 영역을 해소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패널에 연성회로기판(FPC)이 설치된 부위에서는 측방에서 조사되는 자외선도 이 연성회로기판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즉, 연성회로기판은 패널과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재인데, 매우 유연하게 굴곡될 수 있는 부재라서 몸체 일부가 굴곡되면서 레진층의 측방을 가려버리는 경우가 자꾸 생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레진층의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윈도우가 잘 접합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블랙매트릭스 영역에서의 윈도우의 접합 불량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춰줄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레진층의 경화를 위한 자외선 조사가 전 영역에 걸쳐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윈도우의 접합 불량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개선된 평판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영역을 구비한 패널; 상기 패널을 덮는 윈도우; 상기 화상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윈도우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 상기 패널과 윈도우를 접합시키기 위한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을 포함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블랙잉크부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랙잉크부는 카본블랙 100% 재질일 수 있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카본블랙에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투과재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솔벤트(Aromatic Hydrocarbon solvent),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잉크부가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그 화상영역의 둘레 중 상기 패널에 연성회로기판이 설치된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확산잉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블랙잉크부가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블랙잉크부의 내측 경계선을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잉크부가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패널의 화상영역 안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패널과 상기 레진 사이에 편광필름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은,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영역을 구비한 패널 및 상기 패널을 덮을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화상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윈도우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 형성 단계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블랙잉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블랙잉크부는 카본블랙 100%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확산잉크부는 카본블랙에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투과재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솔벤트(Aromatic Hydrocarbon solvent),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잉크부는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그 화상영역의 둘레 중 상기 패널에 연성회로기판이 설치된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확산잉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블랙잉크부는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블랙잉크부의 내측 경계선을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잉크부는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패널의 화상영역 안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패널과 상기 레진 사이에 편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평판 표시 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블랙매트릭스가 있는 영역을 포함한 전 영역에 걸쳐서 윈도우 접합용 레진층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레진 미경화에 의한 윈도우의 접합 불량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100)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윈도우(120) 측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100)는 화상을 구현하는 패널(110)을 보호용 강화 유리인 윈도우(120)가 덮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널(110)은 실런트(114)로 결합된 하부기판(111)과 상부기판(113) 사이에 디스플레이부(112)가 마련되고, 상부기판(113) 위에는 외광의 반사를 억제해주는 편광필름(115)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2)에서 생성된 화상은 편광필름(115)과 윈도우(120)를 통해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120)는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140)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110)에 접착된다. 상기 레진층(14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이 있어서, 상기 윈도우(120)와 패널(110)을 이 레진층(140)을 개재하여 밀착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레진층(140)이 경화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윈도우(120)에는 상기 패널(110)의 화상영역(110a; 도 1b 참조)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2)에 의해 생성된 화상이 표현되는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블랙매트릭스(1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화상이 표현되는 화상영역(110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어두운 색상의 블랙매트릭스(130)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연성회로기판(150) 등을 포함한 복잡한 배선들이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것이다.
이 블랙매트릭스(130)에는 카본블랙 100% 재질의 블랙잉크부(131)와, 카본블랙에 자외선 투과재를 혼합한 확산잉크부(132)가 포함되어 있다. 즉, 자외선을 실질적으로 거의 다 차단하는 블랙잉크부(131)와,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되어 있어서 상당량의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13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의 확산잉크부(132)도 기본적으로는 카본블랙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120) 안쪽에 있는 복잡한 배선은 가려줄 수 있다. 대신, 상기와 같이 자외선은 투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132)를 블랙매트릭스(130) 안에 두는 이유는 그 하방에 위치한 연성회로기판(150) 때문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140)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도 1a에서 볼 때 윈도우(120) 상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는데, 블랙매트릭스(130)의 블랙잉크부(131)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그 밑에 있는 레진층(140)의 경우 경화가 잘 안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20) 상방 뿐 아니라 측방에서도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는데, 이때 패널(110) 측면에 설치된 연성회로기판(150)이 자유롭게 굴곡되는 특성 때문에 레진층(140)의 측면을 가릴 수가 있다. 이렇게 되면 블랙매트릭스(130) 아래 부위의 경화를 위해 측방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이 연성회로기판(150)에 의해 또 차단됨에 따라 경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연성회로기판(150)이 있는 부위에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된 확산잉크부(132)를 둠으로써 상방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그 확산잉크부(132) 아래의 레진층(140)에도 잘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블랙매트릭스(130) 아래 부위는 자외선이 통과하지 못해서 경화가 잘 안 될 수 있으므로 측방에서도 자외선을 조사하되, 연성회로기판(150)이 있는 부위는 측방에서 조사되는 자외선마저 차단될 수 있으므로, 해당 부위에는 블랙잉크부(131) 대신에 확산잉크부(132)를 형성하여 상방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투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레진층(140)의 블랙매트릭스(130) 아래 부위도 경화가 원활하게 진행되므로, 윈도우(120)와 패널(110)의 접합 불량과 같은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산잉크부(132)에 혼합되는 자외선 투과재로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솔벤트(Aromatic Hydrocarbon solvent),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상,하부기판(111)(113)과 디스플레이부(112) 및 편광필름(115) 등을 포함한 패널(110)과, 상기 블랙매트릭스(130)가 형성된 윈도우(120)를 각각 준비한다.
이때, 상기 블랙매트릭스(130)는 블랙잉크부(131)와 확산잉크부(132)가 각각 형성된 구조이며, 연성회로기판(150)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부위에 확산잉크부(132)가 형성된다.
이렇게 준비된 패널(110)과 윈도우(120)는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140)을 개재하여 서로 합착되며, 합착 후에는 윈도우(120)의 상방과 측방에서 자외선을 각각 조사하여 레진층(140)을 경화시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100) 구조에 의하면 블랙매트릭스(130) 하부까지 포함하여 레진층(140)이 원활하게 경화될 수 있으므로, 패널(110)과 윈도우(120) 간의 접합 불량과 같은 문제가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200) 역시 화상을 구현하는 패널(210)을 보호용 강화 유리인 윈도우(220)가 덮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널(210)은 실런트(214)로 결합된 하부기판(211)과 상부기판(213) 사이에 디스플레이부(212)가 마련되고, 상부기판(213) 위에는 외광의 반사를 억제해주는 편광필름(215)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12)에서 생성된 화상은 편광필름(215)과 윈도우(220)를 통해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220)는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240)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210)에 접착된다. 상기 레진층(24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이 있어서, 상기 윈도우(220)와 패널(210)을 이 레진층(240)을 개재하여 밀착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레진층(240)이 경화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윈도우(220)에는 상기 패널(210)의 화상영역(210a; 도 2b 참조)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12)에 의해 생성된 화상이 표현되는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블랙매트릭스(2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화상이 표현되는 화상영역(210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어두운 색상의 블랙매트릭스(230)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연성회로기판(250) 등을 포함한 복잡한 배선들이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것이다.
이 블랙매트릭스(230)에는 카본블랙 100% 재질의 블랙잉크부(231)와, 카본블랙에 자외선 투과재를 혼합한 확산잉크부(232)가 포함되어 있다. 즉, 자외선을 실질적으로 거의 다 차단하는 블랙잉크부(231)와,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되어 있어서 상당량의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23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의 확산잉크부(232)도 기본적으로는 카본블랙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220) 안쪽에 있는 복잡한 배선은 가려줄 수 있다. 대신, 상기와 같이 자외선은 투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232)를 블랙매트릭스(130) 안에 두는 이유는 자외선 조사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240)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도 2a에서 볼 때 윈도우(220) 상방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는데, 블랙매트릭스(230)의 블랙잉크부(231)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때문에 그 밑에 있는 레진층(140)의 경우 경화가 잘 안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윈도우(120) 상방 뿐 아니라 측방에서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하려면, 자외선을 상방에서 먼저 조사하고, 이어서 측방에서 조사하는 식으로 자외선 조사 단계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레진층(240)이 있는 윗 부분은 블랙매트릭스(230)를 모두 블랙잉크부(231)가 아닌 확산잉크부(232)로 형성한다. 즉, 레진층(140) 위에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부위는 모두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확산잉크부(232)로 블랙매트릭스(230)를 형성함으로써 상방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만으로도 레진층(240)의 경화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확산잉크부(232)에 혼합되는 자외선 투과재로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솔벤트(Aromatic Hydrocarbon solvent),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20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상,하부기판(211)(213)과 디스플레이부(212) 및 편광필름(215) 등을 포함한 패널(210)과, 상기 블랙매트릭스(230)가 형성된 윈도우(220)를 각각 준비한다.
이때, 상기 블랙매트릭스(230)는 블랙잉크부(231)와 확산잉크부(232)가 각각 형성된 구조이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영역(210a)를 둘러싸는 폐루프 형태로서 블랙잉크부(231)는 바깥 쪽에, 확산잉크부(232)는 안쪽 즉, 레진층(240)과 겹쳐지게 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준비된 패널(210)과 윈도우(220)는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240)을 개재하여 서로 합착되며, 합착 후에는 윈도우(220)의 상방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레진층(240)을 경화시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200) 구조에 의하면 윈도우(220) 상방에서의 자외선 조사만으로도 블랙매트릭스(230) 하부까지 포함하여 레진층(140)이 원활하게 경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3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300)도 화상을 구현하는 패널(310)을 보호용 강화 유리인 윈도우(320)가 덮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패널(310)은 실런트(314)로 결합된 하부기판(311)과 상부기판(313) 사이에 디스플레이부(312)가 마련되고, 상부기판(313) 위에는 외광의 반사를 억제해주는 편광필름(315)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12)에서 생성된 화상은 편광필름(315)과 윈도우(320)를 통해서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320)는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340)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310)에 접착된다. 상기 레진층(340)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이 있어서, 상기 윈도우(320)와 패널(310)을 이 레진층(340)을 개재하여 밀착시킨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레진층(340)이 경화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윈도우(220)에는 상기 패널(310)의 화상영역(310a; 도 3b 참조)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312)에 의해 생성된 화상이 표현되는 영역의 둘레를 둘러싸는 블랙매트릭스(330)가 형성되어 있다. 즉, 화상이 표현되는 화상영역(310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어두운 색상의 블랙매트릭스(330)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연성회로기판(350) 등을 포함한 복잡한 배선들이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것이다.
이 블랙매트릭스(330)에는 카본블랙 100% 재질의 블랙잉크부(331)와, 카본블랙에 자외선 투과재를 혼합한 확산잉크부(332a)(332b)가 포함되어 있다. 즉, 자외선을 실질적으로 거의 다 차단하는 블랙잉크부(331)와,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되어 있어서 상당량의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332a)(332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의 확산잉크부(332a)(332b)도 기본적으로는 카본블랙을 베이스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320) 안쪽에 있는 복잡한 배선은 가려줄 수 있다. 대신, 상기와 같이 자외선은 투과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대로, 본 실시예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도 2a 및 도 2b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영역(310a) 안에도 블랙매트릭스(330)의 확산잉크부(332b)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즉, 최근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화상영역(310a) 내에도 블랙매트릭스(330)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화상영역(310a) 하방은 레진층(340)과 겹쳐지는 영역이므로 블랙잉크부(331)로 형성할 경우 경화 불량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화상영역(310a) 안에 블랙매트릭스(330)를 형성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확산잉크부(332b)를 사용하여 그 하부의 레진층(340)이 경화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300)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상,하부기판(311)(313)과 디스플레이부(312) 및 편광필름(315) 등을 포함한 패널(310)과, 상기 블랙매트릭스(330)가 형성된 윈도우(320)를 각각 준비한다.
이때, 상기 블랙매트릭스(330)는 블랙잉크부(331)와 확산잉크부(332a)(332b)가 각각 형성된 구조이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잉크부(331)는 화상영역(310a)을 둘러싸는 바깥 쪽에, 확산잉크부(232)는 블랙잉크부(331)의 안쪽과 화상영역(310a) 안에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준비된 패널(310)과 윈도우(320)는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340)을 개재하여 서로 합착되며, 합착 후에는 윈도우(320)의 상방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레진층(340)을 경화시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 실시예의 평판 표시 장치(300) 구조에 의하면 윈도우(320) 상방에서의 자외선 조사만으로도 블랙매트릭스(330) 하부까지 포함하여 레진층(340)이 원활하게 경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한 실시예들의 평판 표시 장치(100)(200)(300)에 의하면, 블랙매트릭스(130)(230)(330)가 있는 영역을 포함한 전 영역에 걸쳐서 윈도우 접합용 레진층(140)(240)(340)의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레진층(140)(240)(340) 미경화에 의한 윈도우(120)(220)(320)의 접합 불량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평판 표시 장치 110,210,310...패널
120,220,320...윈도우 130,230,330...블랙매트릭스
131,231,331...블랙잉크부 132,232,332...확산잉크부
140,240,340...레진층 150,250,350...연성회로기판

Claims (16)

  1.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영역을 구비한 패널;
    상기 패널을 덮는 윈도우;
    상기 화상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윈도우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
    상기 패널과 윈도우를 접합시키기 위한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을 포함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블랙잉크부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는 카본블랙 100% 재질인 평판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잉크부는 카본블랙에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된 재질인 평판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투과재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솔벤트(Aromatic Hydrocarbon solvent),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가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그 화상영역의 둘레 중 상기 패널에 연성회로기판이 설치된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확산잉크부가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가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블랙잉크부의 내측 경계선을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가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패널의 화상영역 안에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레진 사이에 편광필름이 개재된 평판 표시 장치.
  9. 화상이 구현되는 화상영역을 구비한 패널 및 상기 패널을 덮을 윈도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화상영역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윈도우에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외선 경화형 레진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 형성 단계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블랙잉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확산잉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는 카본블랙 100% 재질인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잉크부는 카본블랙에 자외선 투과재가 혼합된 재질인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투과재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 솔벤트(Aromatic Hydrocarbon solvent),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는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그 화상영역의 둘레 중 상기 패널에 연성회로기판이 설치된 부위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확산잉크부를 형성하는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는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블랙잉크부의 내측 경계선을 따라 폐루프 형태로 형성하는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잉크부는 상기 화상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하고,
    상기 확산잉크부는 상기 패널의 화상영역 안에 형성하는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레진 사이에 편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제조방법.
KR1020110024340A 2011-03-18 2011-03-18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7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340A KR101776189B1 (ko) 2011-03-18 2011-03-18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3/351,474 US8970107B2 (en) 2011-03-18 2012-01-17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340A KR101776189B1 (ko) 2011-03-18 2011-03-18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304A true KR20120106304A (ko) 2012-09-26
KR101776189B1 KR101776189B1 (ko) 2017-09-08

Family

ID=4682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340A KR101776189B1 (ko) 2011-03-18 2011-03-18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70107B2 (ko)
KR (1) KR1017761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579A (ko) * 2012-10-05 201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150015243A (ko) * 2013-07-31 2015-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101499452B1 (ko) * 2013-10-15 2015-03-06 안성룡 커버 글래스 합착 방법
KR20150084220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41047A (ko) * 2015-10-0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53136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90100901A (ko) * 2019-08-19 2019-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725225B2 (en) 2017-12-20 2020-07-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417B2 (ja) * 2012-09-14 2016-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カバー部材
JP2014056222A (ja) * 2012-09-14 2014-03-27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及びカバー部材
KR101468421B1 (ko) * 2012-09-21 2014-12-03 주식회사 삼한일렉트로닉스 전자 제품 윈도우 제조 방법
JP2014122947A (ja) * 2012-12-20 2014-07-03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及びカバー部材
JP2014182164A (ja) * 2013-03-18 2014-09-29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
KR20140147536A (ko) * 2013-06-20 2014-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35352B1 (ko) * 2013-08-20 2020-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226652B2 (ja) * 2013-09-09 2017-11-08 昭和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200294B1 (ko) * 2014-01-22 2021-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654278B2 (ja) 2014-06-10 2020-02-26 天馬微電子有限公司 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29031B1 (ko) * 2015-11-20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이의 제조 방법, 및 커버 글라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R3056776B1 (fr) * 2016-09-28 2019-07-12 Dav Dispositif d'affichag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fabrication
KR102622426B1 (ko) * 2019-04-01 202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1968604B (zh) * 2020-08-28 2022-01-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1773B2 (ja) * 2003-09-26 2010-06-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7103027A (ja) 2005-09-30 2007-04-19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1166B1 (ko) 2005-12-29 2013-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5243811B2 (ja) * 2008-02-14 2013-07-2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0107935A (ja) 2008-10-28 2010-05-1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平板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23132B1 (ko) 2008-10-28 2011-03-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110012780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605088B2 (ja) * 2009-12-03 2014-10-15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426426B2 (ja) * 2010-02-19 2014-0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579A (ko) * 2012-10-05 2014-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US11090919B2 (en) 2012-10-05 2021-08-17 Samsung Display Co., Ltd. Device for bonding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50015243A (ko) * 2013-07-31 2015-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KR101499452B1 (ko) * 2013-10-15 2015-03-06 안성룡 커버 글래스 합착 방법
KR20150084220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41047A (ko) * 2015-10-0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53136A (ko) * 2016-11-11 2018-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725225B2 (en) 2017-12-20 2020-07-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100901A (ko) * 2019-08-19 2019-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189B1 (ko) 2017-09-08
US8970107B2 (en) 2015-03-03
US20120235048A1 (en)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6304A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6654278B2 (ja) 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05711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밀봉방법
TWI480625B (zh) 附前窗顯示裝置之製造方法
CN103376606B (zh) 显示设备
US8016632B2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730424B2 (en) Display apparatus
US89531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5977400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JP2010186068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20014509A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액정 표시 패널 제조 방법
TW201437039A (zh) 透明面材及使用其之顯示裝置
KR102152737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057519A1 (en) Curing device and method for curing frame of liquid crystal panel
TWI515114B (zh) 貼合載具及應用其的貼合方法
KR2010005400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270699B1 (ko) 액정표시패널 제조장치
CN104235642B (zh) 光照射装置和利用其制造显示装置的方法
KR101719800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0072368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412673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38670A1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JP5398203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373221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10656B1 (ko) 표시장치용 경화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접착물질의 경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