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697A -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 Google Patents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697A
KR20120102697A KR1020127015057A KR20127015057A KR20120102697A KR 20120102697 A KR20120102697 A KR 20120102697A KR 1020127015057 A KR1020127015057 A KR 1020127015057A KR 20127015057 A KR20127015057 A KR 20127015057A KR 20120102697 A KR20120102697 A KR 20120102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tape
rib
thickness dimension
cut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 가타다
?이치 이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41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lide fastener, e.g. adapted to interlock with a sheet between the interlocking members having sections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32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interlocking surface with continuous cross section
    • Y10T24/2534Opposed interlocking surface having dissimilar cross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지퍼 테이프의 커트부 (44) 에,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의 두께 치수 (D2) 와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 (D) 를 갖는 리브 (47) 를 설치했기 때문에, 지퍼 테이프를 백체에 접착시킬 때,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와 리브 (47) 를 내면 (211A) 에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장백 (1) 을 찢어 개봉할 때, 인장 강도가 작은 박육부 (46) 에 응력이 집중하여 그 박육부 (46) 에서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절단 지점이 1 지점이 되어, 잘린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포장백 (1) 을 찢을 때, 리브 (47) 에 의해 커트 라인을 위치 결정하므로 커트라인이 사행하지 않아, 직선 커트성을 얻을 수 있어 용이하게 찢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ZIPPER TAPE AND PACKAGING BAG WITH ZIPPER TAPE}
본 발명은,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에 관한 것이다.
식품, 약품, 의료품, 잡화 등의 각종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재로는, 백체의 개구부에 대해 암수가 맞물리는 한 쌍의 띠형상 지퍼 테이프를 배열 형성하고, 이러한 맞물림 상태를 개폐 자유롭게 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이하, 「포장백」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포장백은 개구부가 시일됨으로써 밀봉된다. 포장백을 개봉할 때에는, 포장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노치 등의 절입 (切入) 이나 절결 등으로부터 백체의 기재 필름을 찢듯이 시일 부분을 제거하여 개봉할 수 있다.
최근에는, 누구라도 개봉하기 쉬운 포장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용이하게 기재 필름을 찢을 수 있는 개봉 용이성이 우수한 포장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끼워맞춤구는, 백체에 접착되는 테이프부에,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신장된 소정 폭의 커트 용이성 기능을 갖는 수지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지층에는 테이프부와 상이한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는, 수 부재 및 암 부재의 폭방향의 한 가장자리에 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트부는, 제 1 후육부와 제 2 후육부 사이에 제 1 후육부 및 제 2 후육부보다 얇은 박육부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개봉시에는, 박육부가 찢어지게 되어, 지퍼 테이프의 맞물림 해제를 위한 충분한 백체의 파지 부분을 확보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44027호 WO2008/035494A1
그러나, 특허문헌 1 과 같은 커트 용이성 기능을 갖는 수지층에서는, 소정의 폭 치수를 갖기 위해 커트부 영역이 넓어져 있다. 그 때문에, 수지층을 찢을 때의 힘을 가하는 방식에 따라, 커트 라인이 사행하여 용이하게 찢을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 수지층을 찢을 때, 수지층의 폭방향의 양단의 2 지점에서 찢어지는 경우가 있어, 그 경우, 수지층이 섬유상 또는 끈 형상의 잘린 찌꺼기가 되어, 외관이 악화되거나, 잘린 찌꺼기가 맞물림을 저해하여 충분한 밀봉을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 의 박육부도 마찬가지로, 소정의 폭 치수를 가지므로 커트 라인이 사행하거나 복수 지점에서 찢어져 잘린 찌꺼기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수 부재 및 암 부재가 각각 한 쌍의 띠형상 기부에 형성된 지퍼 테이프로서, 상기 한 쌍의 띠형상 기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이 띠형상 기부의 두께 치수보다 두꺼운 한 쌍의 후육부와, 이들 후육부간에 설치되고 당해 후육부의 두께 치수보다 얇은 박육부와, 이 박육부에 돌출 형성되고 당해 후육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의 리브를 갖는 커트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또, 상기 리브의 두께 치수 (D) 는, 상기 리브의 상기 박육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 치수 및 상기 박육부의 두께 치수의 합으로, 상기 리브의 두께 치수 (D) 와 상기 후육부의 두께 치수 (D2) 의 비 ((D)/(D2)) 가 0.8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 그리고, 상기 후육부의 두께 치수 (D2) 와 상기 박육부의 두께 치수 (D1) 의 비 ((D2)/(D1)) 는 3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4) 또, 상기 띠형상 기부, 상기 한 쌍의 후육부 및 상기 리브의 한 면에는, 접착층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5)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띠형상 기부 및 상기 커트부에 사용되는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6)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은, 봉입물을 봉입 가능한 개구부를 가진 백체의 개구부 내면에, 전술한 본 발명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를, 상기 띠형상 기부, 상기 후육부, 및 상기 리브의 한 면을 접착시킨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에 의하면, 후육부와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를 갖는 리브를 가지므로, 지퍼 테이프를 백체에 접착시킬 때, 후육부와 리브를 백체의 내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찢어 개봉할 때, 후육부 및 리브보다 인장 강도가 작은 박육부에서 절단되므로, 절단 지점이 1 지점이 되어, 잘린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리브에 의해 커트 라인이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커트 라인이 사행하지 않아 직선 커트성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찢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의 커트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의 노치 부분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는 다른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비교예 1 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비교예 2 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의 커트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1) (이하, 「포장백 (1)」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은 백체 (2) 와 백체 (2) 의 내면 (211A) 에 접착되는 지퍼 테이프 (3) 를 구비한다.
백체 (2) 는 포장재가 되는 기재 필름 (21) 이 중첩되어 형성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사이드 시일부 (22) 및 톱 시일부 (23) 를 구비한다. 톱 시일부 (23) 는 백체 (2) 의 봉입물을 투입하는 개구부 (24) 가 시일됨으로써 형성된다.
사이드 시일부 (22) 는 톱 시일부 (23) 측의 단부에 인열 개시부로서의 V 자형 노치 (25) 가 각각 형성된다.
기재 필름 (21) 으로는, 단층 필름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층 (212) 에 실런트층 (211) 을 적층한 구성의 적층 필름이어도 되고,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기재층 (212) 과 실런트층 (211)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가스 베리어층, 차광층, 강도 향상층 등을 적층한 구성의 적층 필름층을 사용해도 된다.
기재층 (212) 에는,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P 필름) 외에,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PET 필름),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축 연신 폴리아미드 필름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각종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런트층 (211) 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CP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지퍼 테이프 (3) 는, 일방의 사이드 시일부 (22) 로부터 타방의 사이드 시일부 (22) 에 걸쳐서, 개구부 (24) 의 내면 (211A) 에 접착되어 있다.
지퍼 테이프 (3) 는, 암 부재를 갖는 암측 띠형상 기부 (40) 와, 암측 띠형상 기부 (40) 의 개구부 (24) 측의 단부에 연결된 커트부 (44) 와 수 부재를 갖는 수측 띠형상 기부 (50) 와 수측 띠형상 기부 (50) 의 개구부 (24) 측의 단부에 연결된 커트부 (54) 를 구비한다.
암측 띠형상 기부 (40) 는, 띠형상 기부 본체 (41) 와, 이 띠형상 기부 본체 (41) 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암 부재로서의 제 1 훅부 (42) 및 제 2 훅부 (43) 를 갖는다. 제 1 훅부 (42) 및 제 2 훅부 (43) 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1 훅부 (42) 및 제 2 훅부 (43) 는 수측 띠형상 기부 (50) 의 헤드부 (53) 에 걸고벗김이 가능하게 맞물려 맞물림부 (6) 를 구성한다.
또, 암측 띠형상 기부 (40) 는, 내면 (211A) 에 대향하는 백측면 (40A) 을 가지며, 백측면 (40A) 에는, 백측면 (40A) 을 내면 (211A) 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으로서의 시일층 (40B) 이 적층되어 있다.
도 2,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트부 (44) 는 맞물림부 (6) 로부터 개구부 (24) 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련으로 제 1 후육부 (45A) 와 박육부 (46) 와 리브 (47) 와 제 2 후육부 (45B) 를 구비한다.
제 1 후육부 (45A) 는 맞물림부 (6) 측에 배치되고, 제 2 후육부 (45B) 는 개구부 (24)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는 띠형상 기부 본체 (41) 의 두께 치수보다 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는 띠형상 기부 본체 (41) 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후육부 (45A) 는, 내면 (211A) 에 대향하는 제 1 백측면 (45A1) 과, 제 1 백측면 (45A1) 과 반대측의 면으로 수측 띠형상 기부 (50) 에 대향하는 제 1 내측면 (45A2) 을 갖는다. 제 1 백측면 (45A1) 에는, 제 1 백측면 (45A1) 을 내면 (211A) 에 접착시키기 위한 시일층 (45A3) 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 시일층 (45A3) 은 시일층 (40B) 과 연속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후육부 (45B) 도, 내면 (211A) 에 대향하는 제 2 백측면 (45B1) 과, 제 2 백측면 (45B1) 과 반대측의 면으로 수측 띠형상 기부 (50) 에 대향하는 제 2 내측면 (45B2) 을 갖는다. 제 2 백측면 (45B1) 에는, 제 2 백측면 (45B1) 을 내면 (211A) 에 접착시키기 위한 시일층 (45B3) 이 적층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는 두께 치수 (D2) 를 갖는다.
박육부 (46) 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사이에 직사각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길이 방향의 양단이 노치 (25)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박육부 (46) 는 내면 (211A) 에 대향하는 백측 박육면 (461) 과, 백측 박육면 (461) 과 반대측의 면인 내측 박육면 (462) 을 갖는다. 백측 박육면 (461) 은 제 1 및 제 2 백측면 (45A1, 45B1) 에 대해 두께 방향에서 백체 (2) 의 내부측으로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박육부 (46) 의 백측 박육면 (461) 은 제 1 및 제 2 백측면 (45A1, 45B1) 에 대해 단차상으로 형성되어, 내면 (211A) 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있어, 내면 (211A) 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또, 내측 박육면 (462) 도 제 1 내측면 (45A2) 및 제 2 내측면 (45B2) 에 대해 두께 방향에서 내면 (211A) 측으로 후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박육부 (46) 의 내측 박육면 (462) 은 제 1 내측면 (45A2) 및 제 2 내측면 (45B2) 에 대해 단차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박육부 (46) 는 제 1 후육부 (45A) 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과 제 2 후육부 (45B) 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에 리브 (47) 를 개재하여 대략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박육부 (46) 는, 띠형상 기부 본체 (41),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박육부 (46) 의 두께 치수 (D1) 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다.
여기서, 박육부 (46) 의 두께 치수 (D1) 가 50 ㎛ 미만인 경우, 내면 (211A) 에 지퍼 테이프 (3) 를 접착시킬 때, 박육부 (46) 가 구부러지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내면 (211A) 에 리브 (47) 가 충분히 접착되지 않아, 직선상으로 찢을 수 없는 우려가 있다.
그리고, 박육부 (46) 는 폭 치수가 0.5 ㎜ 이상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 ㎜ 이상 3 ㎜ 이하이다. 박육부 (46) 의 폭 치수가 0.5 ㎜ 미만인 경우, 리브 (47) 를 형성하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박육부 (46) 가 5 ㎜ 를 초과하는 경우, 커트 라인 (C) (도 4 참조) 을 리브 (47) 를 따라 유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의 두께 치수 (D2) 와 박육부 (46) 의 두께 치수 (D1) 의 비 ((D2)/(D1)) 는 3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 이하이다.
여기서, 상기 비 ((D2)/(D1)) 가 3 보다 작은 경우, 박육부 (46) 가 내면 (211A) 에 접착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비 ((D2)/(D1)) 가 12 보다 큰 경우, 박육부 (46) 가 구부러지기 쉬워져, 상기와 같은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리브 (47) 는 백측 박육면 (461) 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백측 리브 (471) 와, 내측 박육면 (462) 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내측 리브 (472) 와, 이들 백측 리브 (471) 및 내측 리브 (472) 간의 박육부 (4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백측 리브 (471) 및 내측 리브 (472) 는 각각 3 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백측 리브 (471) 와 내측 리브 (472) 는 박육부 (46) 의 폭방향의 대략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백측 리브 (471) 는 내면 (211A) 에 대향하는 백측 리브면 (471A) 을 가지며, 백측 리브면 (471A) 에는 백측 리브면 (471A) 을 내면 (211A) 에 접착시키기 위한 시일층 (473) 이 적층되어 있다.
내측 리브 (472) 는 수측 띠형상 기부 (50) 에 대향하는 내측 리브면 (472A) 을 갖는다. 이들 백측 리브 (471) 및 내측 리브 (472) 는 박육부 (46) 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리브 (47) 는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와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 (D) 를 가지며, 그 두께 치수 (D) 는 백측 리브 (471) 의 높이 치수 (H11), 내측 리브 (472) 의 높이 치수 (H12) 및 박육부 (46) 의 두께 치수 (D1) 의 합이다. 그리고, 리브 (47) 의 두께 치수 (D) 와 제 1 또는 제 2 후육부 (45A, 45B) 의 두께 치수 (D2) 의 비 ((D)/(D2)) 는 0.8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다.
여기서, 상기 비 ((D)/(D2)) 가 1.2 보다 큰 경우, 내면 (211A) 에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를 접착시키기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비 ((D)/(D2)) 가 0.8 보다 작은 경우, 내면 (211A) 에 백측 리브 (471) 를 접착시키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리브 (47) 의 두께 치수 (D) 는 200 ㎛ 이상 7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 이상 600 ㎛ 이하이다.
여기서, 리브 (47) 의 두께 치수 (D) 가 200 ㎛ 보다 작은 경우, 박육부 (46) 가 내면 (211A) 에 접착되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수측 띠형상 기부 (50) 는, 띠형상 기부 본체 (51) 와, 이 띠형상 기부 본체 (51) 에 연결부 (52) 를 통하여 연결된 단면이 대략 화살촉 형상의 수 부재로서의 헤드부 (53) 를 갖는다. 또, 수측 띠형상 기부 (50) 는, 띠형상 기부 본체 (51) 와, 띠형상 기부 본체 (51) 의 개구부 (24) 측 단부에, 암측 띠형상 기부 (40) 의 커트부 (44) 와 동일한 커트부 (54) 를 구비한다. 커트부 (54) 는, 커트부 (44) 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박육부 (46), 리브 (47), 백측 리브 (471) 및 내측 리브 (472) 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 후육부 (55A, 55B), 박육부 (56), 리브 (57), 백측 리브 (571) 및 내측 리브 (572) 를 구비한다.
또, 커트부 (54) 의 백측 리브 (571) 및 내측 리브 (572) 는, 커트부 (44) 의 백측 리브면 (471A) 및 내측 리브면 (472A) 에 대응하는, 백측 리브면 (571A) 및 내측 리브면 (572A) 을 갖는다.
또, 수측 띠형상 기부 (50) 는, 백측면 (40A), 제 1 및 제 2 백측면 (45A1, 45B1) 에 대응하는, 백측면 (50A), 제 1 및 제 2 백측면 (55A1, 55B1) 을 갖는다.
그리고, 이들 백측면 (50A), 제 1 및 제 2 백측면 (55A1, 55B1) 및 백측 리브면 (571A) 에는, 시일층 (40B, 45A3, 473, 45B3) 에 대응하는, 시일층 (50B, 55A3, 573, 55B3) 이 적층되어 있다.
암측 띠형상 기부 (40), 커트부 (44), 수측 띠형상 기부 (50) 및 커트부 (54) 에 사용되는 수지는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다. 이와 같은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LD), 직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 및 폴리프로필렌 (PP)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수지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시일층 (40B, 45A3, 473, 45B3) 에 사용되는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암측 띠형상 기부 (40) 및 커트부 (44) 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일층 (50B, 55A3, 573, 55B3) 에 사용되는 수지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측 띠형상 기부 (50) 및 커트부 (54) 에 사용되는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의 제조]
지퍼 테이프 (3) 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화하여 얻을 수 있다. 공압출법에 의해 성형하면,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낮게 할 수 있으며, 지퍼 테이프 (3) 를 연속적으로 안정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기재 필름 (21) 과 지퍼 테이프 (3) 를 이용하여,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3 방 시일 백 제조기 등을 사용하여 포장백 (1) 을 제조한다.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3 방 시일 백 제조기는, 예를 들어 포장재 송출부로부터 송출된 기재 필름 (21) 사이에, 테이프 송출부로부터 송출된 지퍼 테이프 (3) 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시일 바에 의해, 기재 필름 (21) 과 암측 띠형상 기부 (40), 커트부 (44), 수측 띠형상 기부 (50) 및 커트부 (54) 를 서로 가압하여, 지퍼 테이프 (3) 와 기재 필름 (21) 을 접착시킨다.
그리고, 반송되는 기재 필름 (21) 을, 기재 필름 (21) 의 반송 방향에 대해 소정 간격으로 열접착하여 사이드 시일부 (22) 를 형성하고, 그 후, 사이드 시일부 (22) 상에서 절단하여 포장백 (1) 을 형성한다.
또한, 포장백 (1) 의 사이드 시일부 (22) 를 형성할 때, 지퍼 테이프 (3) 를 찌부러뜨리기 위한 포인트 시일 공정을 실시한다.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의 개봉]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포장백 (1) 을 개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 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의 노치 부분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개봉할 때에는, 노치 (25) 의 개구부 (24) 측 기재 필름 (21) 과, 봉입물측 기재 필름 (21) 을 파지하고, 노치 (25) 를 인열 (引裂) 개시부로 하여 전후로 찢듯이 하여 개봉한다. 여기서, 리브 (47) 가 내면 (211A) 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인장 강도가 작은 박육부 (46, 56) 에 응력이 집중하고, 그 응력이 집중된 박육부 (46, 56) 에서 절단된다. 따라서, 응력이 집중된 박육부 (46, 56) 가 절단되므로, 1 지점에서밖에 절단되지 않는다. 즉, 커트 라인 (C) (일점 쇄선) 은 1 개만이 된다. 그리고, 리브 (47, 57) 에 의해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커트 라인 (C) 은 직선상이 되어, 사행하지 않는다.
그 후는, 지퍼 테이프 (3) 의 맞물림부 (6) 를 해제함으로써, 포장백 (1) 을 개봉할 수 있다. 다시 밀봉하는 경우에는, 제 1 훅부 (42) 및 제 2 훅부 (43) 와 헤드부 (53) 를 맞물리게 하여, 맞물림부 (6) 를 맞물림 상태로 하면 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지퍼 테이프 (3) 및 포장백 (1) 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낸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지퍼 테이프 (3) 의 커트부 (44) 에,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의 두께 치수 (D2) 와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 (D) 를 갖는 리브 (47) 를 설치했기 때문에, 지퍼 테이프 (3) 를 백체 (2) 에 접착시킬 때,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와 리브 (47) 를 내면 (211A) 에 접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장백 (1) 을 찢어 개봉할 때, 인장 강도가 작은 박육부 (46) 에 응력이 집중하여, 그 박육부 (46) 에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지점이 1 지점이 되어, 잘린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포장백 (1) 을 찢을 때, 리브 (47) 에 의해 커트 라인 (C) 을 위치 결정하므로, 커트 라인이 사행하지 않아, 직선 커트성을 얻을 수 있어 용이하게 찢을 수 있다.
또, 박육부 (46) 를 사이에 끼우도록 백측 리브 (471) 와 반대측에도 내측 리브 (472) 를 설치했으므로, 박육부 (46) 상에서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다. 즉, 백측 리브 (471) 또는 내측 리브 (472) 상에서 절단되는 일이 없다.
또한, 제 1 및 제 2 백측면 (45A1, 45B1) 에 대해 후퇴한 위치에 박육부 (46) 를 배치했으므로, 박육부 (46) 는 내면 (211A) 에 접착되지 않아, 용이하게 박육부 (46, 56) 를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리브 (47) 의 두께 치수 (D) 와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의 두께 치수 (D2) 의 비 ((D)/(D2)) 를 0.8 이상 1.2 이하로 했기 때문에, 백측 리브 (471) 와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를 내면 (211A) 에 양호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또, 리브 (47) 의 두께 치수 (D) 와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의 두께 치수 (D2) 의 비를 상기 범위로 했기 때문에, 백 제조시에 박육부 (46) 가 내면 (211A) 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백 제조시의 포인트 시일 공정에서, 찌부러진 부분에 핀홀 등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의 두께 치수 (D2) 와 박육부 (46) 의 두께 치수 (D1) 의 비 ((D2)/(D1)) 를 3 이상 12 이하로 했기 때문에, 박육부 (46) 가 내면 (211A) 에 접착되어 버리는 것도, 박육부 (46) 가 구부러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박육부 (46) 의 두께 치수 (D1) 를 50 ㎛ 이상으로 했기 때문에, 내면 (211A) 에 지퍼 테이프 (3) 를 접착시킬 때, 박육부 (46) 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면 (211A) 에 백측 리브 (471) 를 양호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장백 (1) 을 찢을 때 직선 커트성이 우수하다.
또, 시일층 (40B, 45A3, 45B3, 473) 에 사용하는 수지로서, 암측 띠형상 기부 (40) 및 커트부 (44) 에 사용하는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했으므로, 백 제조시에 비교적 저온에서 백체 (2) 에 지퍼 테이프 (3) 를 접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백체 (2) 의 기재 필름 (21) 을 구성하는 기재층 (212) 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암측 띠형상 기부 (40) 에 사용되는 수지는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며, 이 결정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특정한 수지이기 때문에, 리브 (47) 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백체 (2) 에 지퍼 테이프 (3) 를 설치했으므로, 잘린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고, 직선 커트성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찢을 수 있는 포장백 (1) 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퍼 테이프 (3) 의 수측 띠형상 기부 (50) 의 커트부 (54) 에서도, 커트부 (44) 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변형이나 개량이,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구조나 형상 등으로 해도 문제는 없다.
도 5 는 다른 실시형태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육부 (46) 는 제 1 및 제 2 후육부 (45A, 45B) 간을 대략 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상 등의 비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후육부 (45A) 에 연결한 박육부 (46C) 의 일단부는 내면 (211A) 측에 배치되고, 제 2 후육부 (45B) 에 연결한 박육부 (46C) 의 타단부는 백체 (2) 의 내부측, 즉 수측 띠형상 기부 (50) 측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 암측 띠형상 기부 (40) 는, 시일층 (40B) 을 개재하여 내면 (211A) 에 접착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암측 띠형상 기부 (40) 는 내면 (211A) 에 직접 접착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포장백 (1) 을 절단하는 경우에서도, 리브 (47) 는 내면 (211A) 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 강도가 작은 박육부 (46) 에 응력이 집중하여, 그 박육부 (46) 에서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박육부 (46) 에 백측 리브 (471) 및 내측 리브 (472) 를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박육부 (46) 에 내측 리브 (472) 를 설치하지 않고, 백측 리브 (471) 만을 설치하고, 박육부 (46) 가 수측 띠형상 기부 (50)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즉, 내측 박육면 (462) 이 제 1 내측면 (45A2) 및 제 2 내측면 (45B2) 에 대해 내면 (211A) 측으로 후퇴하지 않고, 내측 박육면 (462) 이 제 1 내측면 (45A2) 및 제 2 내측면 (45B2) 에 대해 대략 동일면 상에 배치되도록, 박육부 (46)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2, 3 에서는, 백측 리브 (471) 및 내측 리브 (472) 를 박육부 (46) 에 3 개씩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백측 리브 (471) 및 내측 리브 (472) 는 하나이거나 복수이어도 된다.
그리고, 백측 리브 (471) 와 내측 리브 (472) 는 3 개씩 설치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백측 리브 (471) 의 수와 내측 리브 (472) 의 수는 상이해도 된다.
또한, 암측 띠형상 기부 (40) 에 커트부 (44) 를 형성하고, 수측 띠형상 기부 (50) 에도 커트부 (54) 를 형성하는 구성을 나타냈는데, 암측 띠형상 기부 (40) 또는 수측 띠형상 기부 (50) 중 어느 한쪽에만 커트부 (44) 또는 커트부 (54) 를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실시예 등의 내용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은 비교예 1 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비교예 2 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 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는 이하의 구성 재료를 사용하여, 시판되는 압출기에 의해 압출 성형했다. 얻어진 지퍼 테이프와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3 방 시일 백 제조기 등을 사용하여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시예 1 의 포장백을 제조했다. 또한, 기재 필름으로는, 12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직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을 적층한 것이다.
(실시예 1 의 구성 재료)
수측 띠형상 기부 및 암측 띠형상 기부 : 랜덤 폴리프로필렌 (밀도 900 ㎏/㎥, 에틸렌량 4%)
시일층 : 메탈로센계 직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융점 : 95 ℃, MFR : 3 g/10 분)
융점은 DSC 로 측정하여, 최고 융해 피크를 융점으로 했다.
상기 조건으로 제조된 지퍼 테이프의 형상은, 표 1 과 같이 리브의 두께 치수 (D) 및 후육부의 두께 치수 (D2) 가 300 ㎛ 이며, 박육부의 두께 치수 (D1) 는 60 ㎛ 이다. 또, 박육부는 백체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2)
실시예 2 의 지퍼 테이프의 구성 재료를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지퍼 테이프 및 포장백을 얻었다.
(실시예 2 의 구성 재료)
수측 띠형상 기부 및 암측 띠형상 기부 : 직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LLDPE) (밀도 913 ㎏/㎥, MFR : 4 g/10 분)
시일층 : 메탈로센계 직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융점 : 95 ℃, MFR : 3 g/10 분)
(비교예 1)
이하의 구성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 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 및 포장백을 얻었다. 비교예 1 의 지퍼 테이프 (9A)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 부재 (91A1) 를 갖는 암측 띠형상 기부 (91A) 와 수 부재 (92A1) 를 갖는 수측 띠형상 기부 (92A) 에, 각각 백체 (2) 의 내면 (211A) 과 접착된 커트부 (93A) 를 구비하고 있다.
(비교예 1 의 구성 재료)
암측 띠형상 기부 (91A) 및 수측 띠형상 기부 (92A) : 직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LLDPE) 수지 (밀도 916 ㎏/㎥, MFR : 8.5 g/10 분)
커트부 (93A) : 결정성 폴리올레핀 수지 (밀도 916 ㎏/㎥, MFR : 8.5 g/10 분) 80 질량% 와 고리형 폴리올레핀 (MFR : 30 g/10 분) 20 질량%
(비교예 2)
리브를 형성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교예 2 에 관련된 지퍼 테이프 및 포장백을 얻었다. 비교예 2 의 지퍼 테이프 (9B) 는 시일층 (93B) 을 개재하여 접착된 암 부재 (91B1) 를 갖는 암측 띠형상 기부 (91B) 와 수 부재 (92B1) 를 갖는 수측 띠형상 기부 (92B) 를 구비한다. 그리고, 암측 띠형상 기부 (91B) 와 수측 띠형상 기부 (92B) 는 한 쌍의 후육부 (94A, 94B) 를 연결하는 박육부 (95) 를 갖는다.
(비교예 3)
박육부의 두께 치수 (D2) 를 40 ㎛ 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3 의 지퍼 테이프 및 포장백을 얻었다.
(비교예 4)
리브의 두께 치수 (D) 를 100 ㎛ 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4 의 지퍼 테이프 및 포장백을 얻었다.
(비교예 5)
리브의 두께 치수 (D) 를 800 ㎛ 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5 의 지퍼 테이프 및 포장백을 얻었다.
Figure pct00001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 5 의 지퍼 테이프 및 포장백에 대해, 하기와 같이, 외관성 실험, 개봉성 실험, 직선 커트성 실험, 핀홀 실험, 박육부 접착 실험 및 박육부 절곡 실험을 실시했다.
(외관성 실험)
포장백의 단가장자리에 노치를 형성하고, 노치로부터 포장백을 찢어,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외관성 실험의 평가 기준)
A : 커트부가 반드시 1 지점에서 잘린다.
C : 커트부가 2 지점 이상에서 잘려 잘린 찌꺼기가 생긴다.
(개봉성 실험)
포장백의 단가장자리에 노치를 형성하고, 디지털 포스 게이지 (주식회사 이마다 제조) 로 인장 속도 300 m/min, 파단 길이가 60 ㎜ 가 될 때까지의 파단 강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개봉성 실험의 평가 기준)
A : 저항없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파단 강도 : 5 N/60 ㎜ 이하).
C : 저항이 커 개봉하기 어렵다 (파단 강도 : 5 N/60 ㎜ 이상).
(직선 커트성 실험)
포장백의 단가장자리에 노치를 형성하고, 노치로부터 포장백을 찢었다. 이 때, 노치 위치로부터의 파단 위치의 어긋남을 측정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직선 커트성 실험의 평가 기준)
A : 커트시에 지퍼 테이프를 완전하게 직선으로 커트할 수 있다 (파단 위치의 어긋남 : 1 ㎜ 미만).
B : 커트시에 지퍼 테이프를 직선으로 커트할 수 있다 (파단 위치의 어긋남 : 1 ㎜ 이상 3 ㎜ 미만).
C : 커트시에 지퍼 테이프를 직선으로 커트할 수 없다 (파단 위치의 어긋남 : 3 ㎜ 이상).
포장백에 관해서 핀홀의 발생 유무를 조사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핀홀의 평가 기준)
A : 핀홀 발생 없음.
C : 핀홀 발생 있음.
포장백에 관해서 박육부가 백체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박육부의 접착 상태의 평가 기준)
A : 박육부가 백체의 내면에 접착되지 않는다.
C : 박육부가 백체의 내면에 접착된다.
지퍼 테이프에 관해서 박육부가 구부러지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박육부의 구부러진 상태의 평가 기준)
A : 박육부가 구부러지지 않는다.
C : 박육부가 구부러진다.
Figure pct00002
상기 실험에서 실시예 1, 2 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에서는, 커트부가 반드시 1 지점에서밖에 절단되지 않기 때문에, 잘린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아, 외관성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실시예 1, 2 의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에서는, 개봉감 및 직선 커트성이 우수하고, 핀홀, 박육부의 접착, 박육부 구부러짐이 없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2 의 포장백에서는, 잘린 찌꺼기가 발생하여 외관이 나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비교예 3 에서는, 박육부의 두께 치수를 40 ㎛ 로 얇게 했기 때문에, 박육부가 구부러져, 리브를 기재 필름에 접착시키기 어려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 에서는, 리브를 100 ㎛ 로 얇게 했기 때문에, 백 제조시에 박육부가 접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5 에서는, 리브를 800 ㎛ 로 두껍게 했기 때문에, 사이드 시일부를 형성할 때에, 핀홀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지퍼 테이프의 박육부의 두께 치수 (D1) 는 60 ㎛ 정도가 바람직하고, 리브의 두께 치수 (D) 는 300 ㎛ 정도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식품, 약품, 의료품, 잡화 등의 각종 물품을 포장하는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2 : 백체
3 : 지퍼 테이프
40 : 암측 띠형상 기부
40B, 45A3, 473, 45B3 : 접착층으로서의 시일층
44, 54 : 커트부
50 : 수측 띠형상 기부
50B, 55A3, 573, 55B3 : 접착층으로서의 시일층
45A, 55A : 제 1 후육부
45B, 55B : 제 2 후육부
46, 56 : 박육부
47 : 리브
471, 571 : 백측 리브
472, 572 : 내측 리브

Claims (6)

  1. 서로 맞물림 가능한 수 부재 및 암 부재가 각각 한 쌍의 띠형상 기부에 형성된 지퍼 테이프로서,
    상기 한 쌍의 띠형상 기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이 띠형상 기부의 두께 치수보다 두꺼운 한 쌍의 후육부와, 이들 후육부간에 설치되고 당해 후육부의 두께 치수보다 얇은 박육부와, 이 박육부에 돌출 형성되고 당해 후육부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 치수의 리브를 갖는 커트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두께 치수 (D) 는, 상기 리브의 상기 박육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 치수 및 상기 박육부의 두께 치수의 합으로,
    상기 리브의 두께 치수 (D) 와 상기 후육부의 두께 치수 (D2) 의 비 ((D)/(D2)) 가 0.8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두께 치수 (D2) 와 상기 박육부의 두께 치수 (D1) 의 비 ((D2)/(D1)) 는 3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기부, 상기 한 쌍의 후육부 및 상기 리브의 한 면에는, 접착층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띠형상 기부 및 상기 커트부에 사용되는 수지보다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
  6. 봉입물을 봉입 가능한 개구부를 가진 백체의 개구부 내면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퍼 테이프를, 상기 띠형상 기부, 상기 후육부, 및 상기 리브의 한 면을 접착시킨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KR1020127015057A 2009-12-11 2010-12-06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KR20120102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81228 2009-12-11
JP2009281228A JP5595026B2 (ja) 2009-12-11 2009-12-11 ジッパーテープ、及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包装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697A true KR20120102697A (ko) 2012-09-18

Family

ID=4414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057A KR20120102697A (ko) 2009-12-11 2010-12-06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275730A1 (ko)
EP (1) EP2511186A4 (ko)
JP (1) JP5595026B2 (ko)
KR (1) KR20120102697A (ko)
CN (1) CN102652097A (ko)
CA (1) CA2781662A1 (ko)
TW (1) TW201134725A (ko)
WO (1) WO20110709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5489A (en) * 1981-11-19 1984-06-19 Varian Associates, Inc. Quadrupole singlet focusing for achromatic parallel-to-parallel devices
JP5638278B2 (ja) * 2009-10-19 2014-12-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及び、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付き包装袋
KR20120135900A (ko) * 2010-02-12 2012-12-17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달린 포장 백
US8550716B2 (en) * 2010-06-22 2013-10-08 S.C. Johnson & Son, Inc. Tactile enhancement mechanism for a closure mechanism
JP2013028394A (ja) * 2011-07-29 2013-02-07 Fuji Tokushu Shigyo Kk ジッパー付ピロー包装袋及びこのピロー包装袋に用いられるジッパー
JP6041494B2 (ja) * 2012-01-23 2016-12-07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ジッパーテープ、及び包装袋
JP6087560B2 (ja) * 2012-09-28 2017-03-01 富士特殊紙業株式会社 ジッパー付ピロー包装袋
JP6139102B2 (ja) * 2012-11-01 2017-05-31 富士特殊紙業株式会社 直進カット補助テープ付ピロー包装袋及びその製法
JP6139290B2 (ja) * 2013-06-18 2017-05-31 富士特殊紙業株式会社 ジッパー付ピロー包装袋
CN104555037A (zh) * 2013-10-21 2015-04-29 大连竹菱包装工业有限公司 带撕裂条的一体塑料开闭条及其包装袋
JP2014196145A (ja) * 2014-06-16 2014-10-16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及び、包装袋
JP6113339B1 (ja) 2016-08-01 2017-04-1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テープ及び袋体
JP7285642B2 (ja) * 2018-12-25 2023-06-02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嵌合具および嵌合具付き袋体
JP7317574B2 (ja) * 2019-05-28 2023-07-31 株式会社生産日本社 緩衝袋
JPWO2021054384A1 (ko) * 2019-09-20 2021-03-25
US11882908B2 (en) 2019-09-27 2024-01-30 Idemitsu Unitech Co., Ltd. Tape, zipper tape, and container with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472A (en) * 1969-12-05 1974-08-06 Seisan Nipponsha Kk Reclosable bag
US3780781A (en) * 1971-09-07 1973-12-25 Seisan Nipponsha Kk Openable bag
US4947525A (en) * 1989-03-23 1990-08-14 Zip-Pak Incorporated Zipper closure with internal peel seal
US5564834A (en) * 1994-04-15 1996-10-15 Dowbrands L.P. Adhesive closure having enhanced burst strength for flexible bag
US5832145A (en) * 1994-04-15 1998-11-03 Dowbrands L.P. Adhesive closure for flexible bag
US5527112A (en) * 1994-04-15 1996-06-18 Dowbrands L.P. Adhesive closure for flexible bag
US5664303A (en) * 1995-11-06 1997-09-09 Illinois Tool Works Inc. Differential flange header package
US5660479A (en) * 1996-02-16 1997-08-26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Easy open package header
JPH09301383A (ja) * 1996-05-16 1997-11-25 Totani Giken Kogyo Kk プラスチック袋
US5672009A (en) * 1996-05-21 1997-09-30 Illinois Tool Works Inc. Reclosable pouch and zipper therefor
US6030122A (en) * 1998-03-06 2000-02-29 Illinois Tool Works Inc. Pinch-grip zipper
AUPR105600A0 (en) * 2000-10-27 2000-11-23 International Consolidated Business Pty Ltd Reclosable plastic bags
US20040091186A1 (en) * 2002-11-07 2004-05-13 Daiwa Gravure Co. Ltd. Packaging bag with zipper
JP4145677B2 (ja) * 2003-02-10 2008-09-03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易カット性嵌合具及び嵌合具付袋体
JP5087219B2 (ja) * 2005-11-08 2012-12-0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咬合具、これを用いた袋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US20070206888A1 (en) * 2006-03-06 2007-09-06 Chia-Hsiang Chang Multi-pocket specimen bag incorporating easy tear lines for removal of pre-sealed inserts
JP4874742B2 (ja) * 2006-08-21 2012-02-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CA2664068A1 (en) * 2006-09-22 2008-03-27 Idemitsu Unitech Co., Ltd.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method of producing the fastener tape, packaging bag with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ing bag
US7950851B2 (en) * 2007-05-15 2011-05-31 Thunderbird Global Enterprises, Llc Plastic bag with imperforated tear area
JP4994138B2 (ja) * 2007-07-18 2012-08-08 株式会社生産日本社 袋開封用テープ及び包装袋
JP5118080B2 (ja) * 2009-02-06 2013-01-16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付き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1615A (ja) 2011-06-23
EP2511186A4 (en) 2014-10-29
CA2781662A1 (en) 2011-06-16
EP2511186A1 (en) 2012-10-17
TW201134725A (en) 2011-10-16
WO2011070996A1 (ja) 2011-06-16
JP5595026B2 (ja) 2014-09-24
CN102652097A (zh) 2012-08-29
US20120275730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2697A (ko)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TWI460105B (zh) Clamps and straps
KR101344985B1 (ko) 찢음용이성 척 테이프, 그 제조 방법, 찢음용이성 척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 주머니,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US9550617B2 (en) Zipper and zipper-equipped bag
JP5032945B2 (ja) カットテープおよびカットテープ付き包装袋
US8789247B2 (en) Interlock tool, bag making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KR101175960B1 (ko) 척 테이프가 부착된 주머니
JP5210873B2 (ja) 易開封性チャックテープ、易開封性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および易開封性チャックテープの製造方法
US9296522B2 (en) Easily tearable zipper tape and packaging bag with easily tearable zipper tape
KR20120088694A (ko) 용이하게 찢어지는 지퍼 테이프, 및 용이하게 찢어지는 지퍼 테이프가 부착된 포장백
KR20110044899A (ko)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 부착 포장백
KR20120135900A (ko) 지퍼 테이프 및 지퍼 테이프가 달린 포장 백
JP2016098033A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
JP2014196145A (ja) ジッパーテープ、及び、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