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043A - 식물 수경재배의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수경재배의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1043A
KR20120101043A KR1020127014046A KR20127014046A KR20120101043A KR 20120101043 A KR20120101043 A KR 20120101043A KR 1020127014046 A KR1020127014046 A KR 1020127014046A KR 20127014046 A KR20127014046 A KR 20127014046A KR 20120101043 A KR20120101043 A KR 20120101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dule
front wall
modules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산투스 호세 두스
Original Assignee
모듈로그린 버티컬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듈로그린 버티컬 솔루션즈 filed Critical 모듈로그린 버티컬 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12010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1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16)의 수경재배의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영양물질 및 식물을 포함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12)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전면벽(30) 및 전면벽(30)에 체결된 후면벽(35)에 의해 정의되며, 적어도 전면벽(30)은 식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4)를 구비하며, 전면벽(30) 및/또는 후면벽(35)은 모듈(12)을 마운팅(18)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 영역을 포함한다. 전면벽(30) 및/또는 후면벽(35)은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듈(12)을 포함하는 녹색 지붕(green roof) 또는 녹색 벽(green wall) 상에 설치되는 경우 모듈들을 지붕 또는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게 해주는 겹치는 모서리(41, 4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 수경재배의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DEVICE FOR A VERTICAL OR ANGLED ARRANGEMENT OF THE HYDROPONIC CULTIVATION OF PLANTS}
본 발명은 용기 식물 재배용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기 식물 재배용 수직 배열을 위한 장치의 예는 문헌 FR-A-2 902 602에 알려져 있다. 이 문헌에서 장치는 수직으로 위치한 영양물질을 공급받으며 식물은 수평으로 심어진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줄기 및 뿌리는 광합성이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심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는 식물에 대한 성장 문제들을 제기한다. 또한 식물이 심어지는 경우 기본적으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직벽이 없기 때문에 영양물질을 잃지 않는 것이 어렵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의 장치를 고정하는 것은 어려운데 이는 고정 장치들은 쉽게 부식되기 때문이며, 부식은 비료 및 식물의 관개(irrigation)에 의해 촉진되는데 이는 관개 용수가 고정 장치들 위로 흐르는 것을 막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래 기술들의 단점들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영양물질 및 식물을 수용하고 전면벽 및 전면벽에 연결된 후면벽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하며, 적어도 전면벽은 식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가지며 전면벽 및 후면벽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을 마운팅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영역을 가지는 용기 식물 재배용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에서, 전면벽 및 후면벽 중 적어도 하나는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듈을 포함하는 지붕 정원(roof garden) 또는 식물벽(plant wall)으로 설치되는 경우 모듈들을 지붕 또는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게 해주는 겹치는 모서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여러 실시태양에서, 다음 장치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에 대한 의존이 이루어질 수 있다:
- 배수구(water drain)는 내부 체적의 하부에서 밖으로 통한다;
- 배수구는 모듈의 바닥 모서리 내로 연장되며, 바닥 모서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면 노치를 포함한다;
- 배수구는 전면벽과 후면벽 사이의 슬롯(slot)이다;
- 배수구를 통과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로(gutter)가 존재한다;
- 수로는 전면벽의 바닥 모서리의 적절한 선반에 의해 바닥 모서리 내에 설치된다;
- 전면벽과 후면벽 사이에 물 주입구가 존재한다;
-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지붕 정원 또는 식물벽으로 설치되기에 적합하며 지붕 또는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벽 및 후면벽 중 적어도 하나는 겹치는 모서리를 포함한다;
- 후면벽은 상부에 위치한 인접한 모듈의 하부 모서리가 받쳐질 수 있는 앞쪽으로 돌출된 수직 정지부(vertical stops)를 포함한다;
- 전면벽의 모서리와 후면벽의 모서리는 함께 결합하며 모듈의 고정 영역을 형성한다;
- 물탱크는 전면벽과 후면벽 사이에 위치한다;
- 물탱크는 제거 가능한 탱크(removable tank)로 이루어진다;
- 전면벽은 개구부의 범위를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인 수평부(horizontal part)를 포함한다;
- 전면벽은 수평부의 전면에 연결되고 바닥을 향하며 후면을 향하게 연장되는 경사부(sloped part)를 포함한다;
- 장치는 전면벽과 후면벽 사이에 물 주입 개구부를 포함한다;
- 후면벽은 내부 체적 내로 돌출되는 기본적으로 수평인 물을 분할 또는 보유하기 위한 대(rib)를 포함한다;
- 분할대는 개구부의 바닥 모서리의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
- 내부 체적의 주위에, 고정 영역이 모듈 주변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존재한다;
- 후면벽은 상부에 위치한 인접한 모듈의 하부 모서리가 받쳐질 수 있는 앞쪽으로 돌출된 수직 정지부를 포함한다;
- 장치는 제거 가능한 마운팅을 포함하며 두 개의 모듈 또는 모듈의 집합들이 수평적으로 조립되는 경우 이음매가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측면 연결부를 갖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이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주어진 여러 실시태양들의 다음 설명 과정 동안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건물벽 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1 실시태양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 장치 모듈의 전면벽의 3/4 투시 정면도의 기술 도면이다.
도 3은 도 1 장치 모듈의 후면벽의 쓰리쿼터 투시 정면도의 기술 도면이다.
도 4는 벽에 설치된 도 1 장치 상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벽에 설치되지 않은 도 1 장치의 하부의 기술 도면이다.
도 6은 도 1 장치 모듈의 다른 실시태양의 전면벽의 3/4 투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 모듈의 후면벽의 3/4 투시 정면도의 기술 도면이다.
도 8, 9, 10 및 11은 도 6 및 7 모듈의 각각 정면도, 평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의 기술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의 XII-XII 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 14 및 15는 도 6 및 7의 여러개의 모듈들을 가진 장치의 각각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의 기술 도면이다.
도 16 및 17은 도 8 내지 11 모듈들의 다른 실시태양의 단면이다.
도 18A, 18B, 18C, 18C, 18E 및 18F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로의 각각 도 8에 따른 모듈 상에 조립된 측면도, 확대한 3/4 투시 정면도, 조립된 3/4 투시 정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 및 저면도의 기술 도면이다.
도 19, 20, 21 및 22는 여러 삼각형 모듈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 실시태양의 각각 확대한 투시도, 및 조립된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의 기술 도면이다.
도 23 내지 27은 주로 건물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태양의 개략도이다.
도 28A, 29A 및 30A 및 다른 한편으로 도 28B, 29B 및 30B는 각각 본 발명의 장치를 위한 마운팅들의 변형 형태들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1은 물 공급관(watering pipe) 설계의 변형 형태를 도시한다.
도 32A, 32B 및 32C는 본 발명의 장치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태양을 단면, 상부면 및 정면에서 각각 도시한다.
도 33은 물탱크의 투시도이다.
도 34A, 34B는 수로 구현의 다른 실시태양을 측면 및 정면에서 각각 도시한다.
도 35 내지 37은 공간 분리대(space dividers)로서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38A, 38B는 입구 장식물로서 본 발명의 장치를 정면 및 측면에서 각각 도시한다.
서로 다른 도면들 상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과 관련하여, 참조부호 10은 식물벽 또는 지붕 정원을 각각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 식물 재배용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또는 장치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V로 나타낸 수직 방향은 식물벽 또는 지붕 정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립 위치에서의 장치를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L로 나타낸 수평 방향은 장치의 길이를 따르며 T로 나타낸 수평 방향은 장치의 폭을 따른다. 마운팅 표면상에, 예를 들어 벽 상에 설치되는 모듈의 경우 전면은 식물벽의 장식된 면이며 식물에 의해 덮여진 벽의 보이는 면에 해당하고, 후면은 식물벽의 장식되지 않은 면이며 따라서 마운팅을 향한다. 또한 두 반대면에 장식된 면들을 갖는 분할된 구성요소들로 사용되는 모듈의 경우 전면은 구별 없이 둘 중 하나의 장식된 면이며 후면은 다른 한쪽의 장식된 면이다.
장치(10) 또는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영양물질 및 식물(16)(이 경우 뿌리 및 줄기의 하부)을 수용하는 내부 체적(14)을 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12)을 포함한다. 실제로, 장치(10)는 벽(20) 또는 구조적인 뼈대에 연결된 수직 마운팅(18)에 설치된 여러 모듈(12)을 포함한다.
건물의 벽(20)에 대해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된 도 1 및 2에 나타난 장치(10)의 제 1 실시태양에서, 각각의 모듈(12)은 높이가 약 80 센티미터이며 길이가 130 센티미터이다. 모듈(12)은 모듈의 높이를 따라 균등하게 분배된 식물의 4개의 수평인 열들(22)로 설계된다.
식물(16)은 빛에 노출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4)를 통과하는 부분(이 경우 줄기 및 잎)을 가진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대로 열들(22)은 각각 8개 묶음의 식물(16)을 수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묶음은 개구부(24)에 대응한다. 개구부(24)는 4개씩의 두 그룹(24A)으로 나누어진다.
내부 체적(14)(도 4)은 식물(16)을 통과시키기에 적합한 개구부(24)를 포함하는 전면벽(30)에 의해 한 면 상에서 범위가 정해진다.
각각의 그룹(24A)의 4개 개구부들(24)은 전면벽(30)의 기본적인 수평부(32)에서 만들어지며, 이 부분은 식물을 심는 동안 영양물질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기본적인 수평부(32)는 예를 들어 10도 내지 20도 만큼 앞쪽 및 아래쪽으로 약간 경사진다. 이러한 약간의 경사는 물과 죽은 잎의 보유를 피하게 해준다. 이는 주형(mould)에서 전면벽(30)의 제조를 쉽게 해준다.
또한 전면벽(30)은 각 수평부(32)의 앞 부분에 연결되고 바닥 및 후면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부(34)를 포함한다.
내부 체적(14)은 전면벽(30)에 연결된 후면벽(35)에 의해 다른 면 상에서 범위가 정해지며, 상기 벽들(30 및 35)은 서로 다른 조각들이다.
이들의 주위에서, 전면벽(30) 및 후면벽(35)은 바람직하지 않은 관개용수, 비료 및 영양물질의 유출을 막기 위해 물이 새지 않는 방식(water-tight manner), 예를 들어, 접착제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후면벽(35), 전면벽(30)의 기본적인 수평부(32)와 경사부(34) 사이에서, 기본적으로 삼각형인 단면의 내부 체적(14)의 하나의 수평면(level)은 식물(16)의 각 열(22)에 해당하며 상기 내부 체적(14)의 수평면들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벽들의 상부 및 벽들의 사이에서 각각의 모듈(12)은 물 주입 개구부 또는 슬롯(36)을 포함하며 도 4에 나타나 있다. 상부 립(lip)(36A)은 전면벽(30)의 기본적인 수평부들(32)의 가장 높은 후미(rear end) 위에 위치한 슬롯(36)의 전면의 범위를 정한다.
도 1 및 4에 도시된 대로, 모듈(12)은 인접하게 설치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다른 것 위에 하나 및 다른 것 옆의 하나는 식물벽을 만들며, 모듈(12)의 모서리들은 물이 식물벽을 형성하는 장치(10)의 후면 쪽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듈 사이의 연결부에서 예를 들어, 3 센티미터 이상 겹친다.
따라서 각 모듈(12)의 상부 모서리(41) 및 왼쪽 모서리(43)는 모듈의 후면과 같은 높이이다. 그리고 각 모듈(12)의 바닥 모서리(42) 및 오른쪽 모서리(44)는 모듈의 후면에 대하여 앞쪽으로 돌출되며, 돌출은 적어도 상부 모서리(41) 및 왼쪽 모서리(43)의 두께와 동일하다. 돌출들은 해당 모서리들의 홈들(45)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모듈(12)이 벽(20)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모듈(12) 중 하나의 오른쪽 모서리(44)는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의 왼쪽 모서리(43)와 겹치며 모듈(12) 중 하나의 바닥 모서리(42)는 수직으로 인접한 모듈의 상부 모서리(41)와 겹친다. 따라서 물이 모듈(12)의 뒤쪽으로 새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어, 도 5 상에서, 오른쪽 모서리(44) 및 후면벽(35) 후면의 나머지 사이의 홈(45)이 명확히 보인다. 다른 홈들(45)이 도 3에서, 예를 들어, 후면벽(35)의 바닥 모서리(42B) 위에서 보인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후면벽은 수직 방향에서 두 개의 인접한 모듈들이 함께 쐐기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수직 정지 돌출부(vertical stop lugs)(41A)를 포함하며, 상부 모듈의 바닥 모서리(42)는 바닥 모듈의 정지 돌출부(41A) 위에 받쳐진다. 이러한 배열은 모듈 모서리들의 부정확한 겹침을 피하게 한다.
또한 모듈(12)의 수직 모서리(43 및 44)는 예를 들어, 나사(46)에 의해 마운팅(18) 상에 고정되는 고정 영역들을 형성한다(도 1). 판들(47)은 모듈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한 워셔(washers) 및 트림(trim)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마운팅(18)은 나사(48)에 의해 벽(20)에 고정된 나무로 된 수직 업라이트(wooden vertical uprights)로 이루어진다. 변형 형태로서, 마운팅은 기본적으로 오메가(omega) 단면(도 28A, 28B)을 가진 금속 단면(18A) 또는 열린 직사각형 단면(도 29A, 29B)을 가진 금속 단면(18B)이며 이들은 나사(48)에 의해 벽(20)에 고정된다. 제 1 변형 형태는 인접한 모듈들이 서로 겹치게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선택될 것이지만 제 2 변형 형태는 인접한 모듈들이 - 어떤 이유에서든 - 측면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 선택될 것이다. 이 경우 단면(18B)의 폭은 모듈 사이의 원하는 간격에 따라 결정되어야만 한다. 선택적으로, 개방 단면(18B)은 도 29A에 점선으로 도시된 판(49)에 의해 닫힐 수 있다.
도 30A, 30B에 도시된 제 3 변형 형태에 따라 마운팅은 모듈 내에 설치된다. 실제로 전면벽 및 후면벽에서 모듈의 후면으로 돌출된 고정 블럭(11)을 형성함으로써 모듈이 나사(48)에 의해 벽(20)에 바로 고정될 수 있음과 동시에 벽과 모듈 사이에 자연적인 환기 공간을 유지한다.
또한 장치(10)는 상기 슬롯(36)을 통해 물을 내부 체적(14)으로 배분하기 위하여 슬롯(36) 반대편에 위치한 수평 점적(drip) 물 공급관(50)을 포함한다. 관(50)은 각 모듈(12)의 측벽의 상부 단부(52)에 받쳐지며, 상기 벽들의 측면 노치(54) 안으로 통과한다. 도 31에 도시된 선택적인 실시태양에 따라 관(50)은 측벽들의 측면 노치들(54) 사이의 중간쯤에 있는 전면벽(30)과 후면벽(35)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럭(51)에 의해 방향이 아래쪽으로 전환되며 예를 들어, 후면벽(35)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판들은 아래쪽으로 방향이 전환되기 때문에 물방울들이 모듈(12)의 측벽들을 향해 다시 올라가지 않는다. 장치(10)의 왼쪽 및 오른쪽 말단에서 수직 경사로(ramps)(53)는 알려진 연결 장치들에 의해 관(50)에 연결되어 펌프 및 알려진 필터를 포함하며 필요한 경우 물탱크에 연결된 물 공급회로(water circuit)를 형성한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모듈은 물 주입 슬롯(36) 이외에 내부 체적(14)의 물 순환을 조종하고 바닥 모서리(42)를 통해 여분의 물의 방출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들을 포함한다. 이들 장치들은 모듈(12)의 기계적 내구력(mechanical strength)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후면벽(35)을 따른 물의 내부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후면벽은 내부 체적(14)을 분할하고 이러한 체적에서 전면을 향해 돌출된 수평대(horizontal ribs)를 포함한다. 수평 분할대는 도 3에서 60으로 언급된다. 각 분할대는 전면벽의 각각의 기본적인 수평부(32)의 후미 모서리(32A)와 반대가 되도록 위치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태양에서, 각 분할대(60)는 기본적으로 사각인 단면을 포함하며 이의 폭은 내부 체적(14)을 분할하지 않기 위해 전면벽(30)과 접촉하지 않는 반면 식물(16)의 열들(22)에 해당하는 수평면들 사이의 이동(run)에 의해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분할대(60)는 이러한 흐름을 느리게 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약간의 각도만큼 앞쪽 및 뒤쪽으로 경사진 상부면(62)을 포함한다.
모듈은 개구부들(24)의 그룹들(24A)에 해당하는 전면벽(30)의 수평부(32)의 부분들 사이에 중심 기둥(central column)을 포함한다. 전면벽(30) 상에서, 도 2 및 4에서 30A로 언급되는 중심 기둥은 수평부(32) 및 경사부(34)에 대해 후퇴된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후면벽(35) 상에서, 도 3에서 35B로 언급되는 중심 기둥은 전면벽(30)의 수평부(32)에 대해 평행한 상부면(64) 및 경사부(34)에 대해 후퇴된 부분들에 평행한 경사면들을 가진 돌기부(bosses)로 이루어져 있다.
전면벽(30) 및 후면벽(35)은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중심 기둥의 후퇴된 부분들 및 돌기부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벽들(30 및 35)은 동일한 방식에 의해 이들의 전면 왼쪽 모서리들(43A 및 3B), 전면 오른쪽 모서리들(44A 및 44B) 및 바닥 모서리들(42A 및 42B)에 각각 고정된다. 전면벽(30)의 바닥 모서리(42A)는 후면벽 부분(35)의 바닥 모서리(42B) 및 내부 수평 모서리(72) 사이에 위치한 공간(45B)에 꼭 맞는다.
모듈의 내부 체적(14)을 분할하는 수평대(60) 이외에 후면벽(35)은 이 체적(14)의 주변에 분할 수평대(60)의 측면 모서리에 연결된 내부 수직 모서리(70)를 형성하는 앞으로 돌출된 대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수평인 내부 모서리(72)는 후면벽(35)의 바닥 모서리(42B)에 연결되고 이의 측면 말단은 후면벽(35)의 바닥 가장자리에서 내부 수직 모서리(70)에 연결된다.
모듈(12) 길이의 4분의 1 위치의 오른쪽 및 왼쪽 상에 후면 노치들(notches)(75)이 내부 수평 모서리(72)에 만들어진다(도 3). 이들에 상응하여 모듈(12) 길이의 4분의 1 위치의 오른쪽 및 왼쪽 상에 전면 노치들(76)이 전면벽(30)의 바닥 모서리(42A)에 만들어진다. 이들 노치들(75 및 76)은 예를 들어, 물의 지나친 공급을 야기하는 비가 있는 경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해준다.
노치들(75 및 76) 이외에 전면벽(30) 및 후면벽(35)은 노치로부터 도착되는 물 또는 유출 액체의 측면 흐름을 멈추는 돌기부(77) 및 컷-아웃(78)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실시태양에서, 전면벽(30)과 후면벽(35)은 예를 들어, 열성형 또는 사출로부터 얻어진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계 폴리머로 만들어진 분리된 부분들이다. 변형 형태로, 특히 모듈이 단지 하나의 식물 열(22) 또는 단지 하나의 식물을 위한 공간을 가지는 경우 이들 벽들은 취입성형(blowing)으로 얻어진 동일한 조각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벽이 건물을 덮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건물의 단열을 향상시키고 다음의 이점들을 포함한다:
- 독립적으로 고정되는 모듈의 단단함, 제조의 용이, 특히 중간 마운팅 프레임의 필요가 없음;
- 모듈의 수밀성(water-tightness);
- 내부 물 흐름 및 모듈로부터 외부로의 흐름의 제어, 우수한 물 관리;
- 식물 통과 구멍의 기본적인 수평 배치로 인해 식물 보존을 확보;
- 스플래시(splashes)를 받아들이며 부정확한 조립의 위험이 없는 모듈들의 겹치는 모서리에 의해 달성되는 모듈들 사이 밀봉(seal)의 품질 및 신뢰성;
- 설치의 용이성, 건물벽의 편평도 변화에 대한 상쇄의 가능성;
- 결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마운팅 업라이트 사용에 의한 식물벽의 후면 및 건물 사이의 환기;
- 식물 심기 및 식물 유지 작업의 용이함, 추가적인 녹지 공간의 창출;
상기 서술된 실시태양의 변형 형태인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태양은 도 6 내지 14에 도시된다.
이 실시태양에서, 모듈들은 크기가 다르며, 다시 말해 1 미터 높이와 80 센티미터 길이이다. 식물 다발들 사이의 더 큰 공간을 허용하기 위해 개구부들(24)은 더 크며 열당 4개가 있으며, 여전히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정지 돌출부은 없지만 정지 기능이 필요한 대로 바닥 모서리(42B) 및 바닥 모서리(42B)와 내부 수평 모서리(72) 사이에 위치한 공간(45B)에 가까운 후면벽(35)의 후면 사이의 오프셋(offset)(45C)(도 11)에 기인한 홈에 접하는 상부 모서리들(41)에 의해 수행된다. 모서리들의 조립은 도 13 내지 15에서 명확하게 보이는 바와 같이 유지된다.
차이점은 주로 분할대(60)에 관련된다.
수평면들의 상부 및 바닥에서 각각의 분할대(60)는 기본적인 삼각형 단면을 포함한다. 분할대는 앞쪽 및 아래쪽으로 예를 들어, 30도에서 기울어진 상부면(82)을 포함한다. 상부면(82)은 모듈에서 식물(16)의 두 개의 열들(22) 사이 또는 내부 체적(14)을 향한 물 주입 슬롯(36) 사이의 물의 통로를 위한 용수로로 역할하는 인덴트(indents)(84)를 포함한다. 인덴트(84) 사이에서,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분할대(60)의 전면 말단 모서리(86)가 도 12에 도시된 대로 전면벽의 각 기본적인 수평부(32)의 후미 모서리(32A)에 고정된다.
하나의 노치(75) 및 하나의 노치(76)는 모듈의 길이를 따라 중간에 위치한다. 분할대(60)가 더 길며 모듈의 전체 길이를 강화하기 때문에 중심 기둥은 제외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의 제 1 변형 형태는 도 32A 내지 32C에 도시된다. 이러한 변형 형태는 주로 분할대(60)의 위치에 관련된다.
식물의 각 열들을 위한 관개 용수의 더 나은 물 분배를 확보하기 위해 물 공급관(50) 또는 상부 열(22)로부터 오는 물은 각 열(22)의 개구부들(24)의 바닥 모서리 약간 아래쪽, 다시 말해 1 내지 3 cm 아래쪽에 위치한 분할대(60)에 의해 식물 벽의 상부를 향해 유도된다.
또한 이러한 변형 형태는 모듈의 상부에서 블럭(51)의 존재에 관련된다. 블럭(51)은 물 공급관(50)을 제자리에서 유리하게는 하향 편향으로 유지하도록 위치하지만 반드시 그럴 없으며 동시에 물 공급관의 임의의 보수를 위해 모듈을 잡을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제 2 실시태양의 제 2 변형 형태는 도 16 내지 17에 도시된다.
이러한 변형 형태에서, 물탱크(90)는 한편으로는 경사부(34)의 내부면 상에서 및 다른 한편으로는 분할대(60)의 상부면(82) 상에서 또는 수평 내부 모서리(72) 상에서 지지하는 각 열(22)의 바닥에 위치한다. 이들 물탱크들은 물이 탱크(90)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탱크가 충분히 가득 찼을 때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일수관(overflow pipe)(92)으로 형성된다.
제 2 실시태양의 이러한 변형 형태는 특히 물이 대량으로 필요하며 탱크(90)에서 얼지 않는 더운 나라들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태양의 제 3 변형 형태에 따라, 물탱크는 도 33에 도시된 제거 가능한 탱크(94)로 이루어진다. 탱크(94)는 열들(22)의 바닥의 내부 치수에 적합한 외부 치수를 가진 길쭉한 대야(elongated basin)이며 경사진 전면벽(95)과 경사진 후면벽(96)을 나타내고, 이들 두 벽은 모듈의 전면벽 및 후면벽과 접촉해 있다. 후면벽(96)은 여분의 물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홈들(97)로 형성된다.
도 18A 내지 18F에서, 수로(100)는 두 개의 수직으로 인접한 모듈들(12)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수로(100)는 모듈들(12)의 겹치는 모서리와 같은 원리로 상부 모서리(41) 및 겹치는 바닥 모서리(42)를 포함한다. 노치들(75 및 76)을 통해 흐르는 물은 예를 들어, 수직 배출관들(100V)을 통해 물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공급하는 탱크로 보내지는 수로들(100)에 의해 수집된다.
각 수로(100)는 상부 모서리(41)와 노치(76) 맞은편에 개방된 물 안내 테두리(water guide rim)(101)를 구비한 수평관(100L)을 포함하며, 물 안내 테두리는 노치 및 컷들(78)을 분리하는 길이보다 길며, 물 주입 채널(101A)을 가진 세 면을 둘러싼다.
예를 들어, 공장에서 조립 동안, 벽을 따라 조립하기 전에 상부에 있는 인접한 모듈의 바닥 모서리(42)는 수로(100)의 상부 모서리(41) 및 이의 안내 테두리(101) 사이에 삽입되고, 안내 테두리는 상기 모듈(12)의 노치들(75 및 76)의 반대면이다. 따라서 물은 측면들로 흘려짐이 없이 노치들(75 및 76)로부터 채널(101A)로 흐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로의 립(lip)(42)과 수로의 바닥 모서리 사이에서 도 18A 내지 18F에 도시된 수로의 후면 수평벽(102)은 장치와 이를 지지하는 건물 사이의 결로를 피하기 위해 장치의 외부와 후면 사이의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환기구(103)를 포함한다.
수평관들(100L) 및 수직 배출관들(100V)은 도 18B 및 18C에 도시된 결합 슬리브들(104)에 의해 연결된다.
도 34A, 34B에 도시된 변형 형태에 따르면 수로 - 110 참조 - 는 전면벽의 적절한 모서리를 사용하여 모듈(122)의 겹치는 조립부품 내에 만들어진다. 수로(110)는 모듈의 한 면을 향해 물이 흐르도록 경사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도 34B의 예에서, 물은 모듈(122)의 왼쪽 면을 향해 흐른다.
도 19 내지 22에 나타난 제 3 실시태양에서, 부분적으로 건물의 외관을 덮는 장식 및 단열재로서, 모듈들은 벽 상의 마름모꼴 형상에 위치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대신 삼각형이다. 식물의 열들은 모듈들의 형태에 적합하다. 수직 및 수평 벽들의 겹침은 상기에서 기술된 것과 동일한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겹치는 모서리들이 적절한 홈들(45)에 의해 덮인다.
도 23 내지 27은 주로 내부 사용, 예를 들어 넓은 공간을 여러 개의 작업 공간으로 나누어 "랜드스케이프 오피스(landscaped office)"를 얻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움직일 수 있도록 바퀴들 상에 설치될 수 있는 기부(120)에 결합된 수직 마운팅들(118)에 고정된 여러 개의 모듈들(112)을 포함한다.
각 모듈(112)은 서로 연결된 두 구획들(123)의 두 개의 수평 열들(122)을 포함한다. 하지만 각 구획(123)은 물질 및 식물을 삽입하기 위해 개구부(124)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23 및 24에 도시된 장치는 마운팅들(118)의 각 면 상에 식물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 4개의 구획들(123)을 가진 4개의 모듈들(112)을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설계들이 열들의 수 및, 각 열의 경우 구획들의 수를 결코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각 열은 하나의 구획(123) 또는 2개,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구획들(123)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구획들을 가진 두 개의 열의 실시태양의 예들은 전적으로 임의적이지만 모듈에 대해 결정된 치수에 따라 실질적인 해결책을 구성할 수 있다. 실제, 열들 및 구획들의 수는 주어진 공간에 대한 결합 모듈들에 대한 요구조건뿐만 아니라 각 모듈의 무게 및 따라서 숙련자에 의한 이들 모듈들의 이동에 의존할 것이며, 이는 일반적으로 야외보다 건물 내부에서 보다 더 제한된다.
각 열(123)은 전면벽(130)과 전면벽(130)과 결합된 후면벽(135)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체적(114)을 포함한다. 전면벽(130)은 개구부들(124)을 가진 기본적인 수평부(132), 기본적으로 삼각형 단면인 체적(114)을 나타내는 아래쪽 및 후면을 향해 경사진 부분(134) 및 두 개의 측면벽들(133)을 오른쪽과 왼쪽 각각에 포함한다. 각 기본적인 수평부는 생산 제약조건들, 미학적 기준 또는 다른 이유들에 따라 0o 내지 10o 사이의 전면 경사를 가지고 만들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태양의 경우, 이러한 약간의 경사는 개구부들(124)의 주변 상에서 물과 죽은 잎들의 보유를 피할 수 있게 해준다.
벽들(130 및 135)은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물이 새지 않는 방식,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조립되며, 모듈을 마운팅들(118)에 고정시키기 위한 영역(140)을 제공한다. 하지만 특히 모듈들이 만들어지는 재료에 따라 모듈들은 전면벽 및 후면벽들을 가지며 이후 성형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조각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체적(114)을 채우는 물질들의 수분을 쉽게 측정할 수 있도록 게이지(150)(도 24 참조)가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태양에 따른 장치는 수동식 급수에 대해 설계되기 때문에 관개용수 및 비료를 위한 주입구가 없다. 필요한 경우 비료 및 영양 첨가물들을 포함하는 물이 개구부들(124)을 통해 체적(114) 내로 주입된다. 하지만 특별한 응용들의 경우 관개용수의 삽입을 위한 개구부들이 예를 들어, 전면벽(130)의 수평부(132)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5 내지 2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의 구현의 변형 형태에 따라 장치는 마운팅(218) 상에 설치된 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수평 열들(222)에 위치한 각각 4개의 구획들(223)을 가진 4개의 모듈들(212)을 포함한다. 모듈들(212)은 각각 하나의 조각으로 형성되지만 이들은 또한 여러 개의 조각들, 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만들어지고 이후 조립되는 전면벽 및 후면벽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각 열(222)은 전면벽(230) 및 전면벽(230)과 결합된 후면벽(235)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체적(214)을 포함한다. 전면벽(230)은 식물을 위한 개구부들(224)을 구비하며 물질을 삽입하고 급수를 위한 개구부(225)를 구비한 부분(231)에 의해 후면을 향해 연장되는 기본적인 수평부(232), 기본적으로 사다리꼴 단면인 체적(214)을 나타내는 아래쪽 및 후면을 향해 경사진 부분(234) 및 두 부분들(236)에 의해 후면을 향해 연장되는 두 개의 측면벽들(233)을 오른쪽과 왼쪽에 포함한다. 각각의 기본적인 수평부(232)는 생산 제약조건들, 미학적 기준 또는 다른 이유들에 따라 0o 내지 10o 사이의 앞쪽으로 경사를 가지고 만들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태양의 경우, 이러한 약간의 경사는 개구부들(224)의 주변 상에서 물과 죽은 잎들의 보유를 피할 수 있게 해준다.
도 27에 나타나듯이 각 열(223)은 배수구(250)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들 배수구들로부터의 물 배출구는 열로부터 나오는 물이 아래에 위치한 열로 들어가도록 위치하며 그와 같이 마지막 열, 다른 말로 하면 지면에 가장 가까운 열까지 계속된다. 그런 다음 물을 수집 장소에 배출하기 위해 이러한 열 아래에 수로 또는 물을 수집하고 방출하거나 물을 상부열에 재삽입하기 위한 다른 수집 수단이 재삽입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27에서 볼 수 있듯이, 열들(223)의 각각은 급수가 보다 덜 빈번한 간격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관개용수를 위한 탱크(260)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열(223)로부터의 배수구는 오버플로우(250)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 27은 전면벽(230)과 후면벽(235)이 적합하게 포개어져 있을 경우 상부 모듈의 바닥 모서리가 바닥 모듈의 상부 모서리를 덮도록 두 개의 모듈들이 배열된 이들 각각의 상부 및 바닥 모서리들을 가진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27에 도시된 대로, 실용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후면벽(235)은 벽(235)에 의해 정의된 것과 동일한 위치상에 형성된 상부 모서리(241)를 포함하며, 전면벽(230)은 전면 및 후면벽들의 조립부품의 평면에 대해 평행한 면 상에 보다 앞쪽으로 형성된 바닥 모서리(24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모듈들 또는 적어도 열들이 단일 조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이러한 설계가 유효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비록 도 27이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열들(223)을 가진 모듈(212)을 도시하더라도, 모듈(212)이 오직 하나의 열(223)을 가지는 경우, 물이 반드시 열의 바닥, 예를 들어, 측면 벽들(233) 중 하나의 부분(236)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나올 필요는 없도록 배수구가 설계될 수 있으며 모듈 상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25가 편평한 마운팅(218) 상에 설치된 4개의 모듈(212)을 가진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는 반면 도 26은 절연 물질을 수용하도록 형상화된 마운팅(218A) 상에 설치된 동일한 장치를 도시한다.
실제, 마운팅(218)과 같이, 마운팅(218A)이 평행육면체 형태 또는 장치(212)의 벽들의 두께와 비교하여 두꺼운 패널과 같이 형성된다. 또한 마운팅(218)과는 반대로 마운팅(218A)은 마운팅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3개의 대(ribs)(219)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듈(212)의 후면벽(235)과 마운팅(218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단열 및/또는 방음 패널(300)이 마운팅과 장치 사이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실용적인 측면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마운팅이 장식될 벽인 경우 대(ribs)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모듈이 벽으로 떨어진 거리에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대(rails), 배튼(battens)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요소이다. 가로대 등은 또한 절연 재료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태양의 대부분의 예들은 방의 벽 또는 건물의 외관과 같은 표면상에서의 본 발명의 응용과 관련되는 반면 도 23 및 24에 도시된 장치는 장치의 양면에 식물을 가진 공간의 고정된 또는 움직이는 분리대로서 역할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장치는 마운팅들(118)의 각 면 상에 식물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 4개의 구획들(123)을 가지는 4개의 모듈들(112)을 포함한다.
도 35에 도시된 변형 형태에 따라, 장치는 장치의 양면에 식물을 가진 공간의 고정된 또는 움직이는 분리대로서 역할할 수 있도록 설계되지만 두 면들 사이에 마운팅이 없다. 410을 참조하면 장치는 서로의 상부에 설치된 4개의 모듈들(412)을 포함하며, 각각은 전면벽(430) 및 후면벽(435)에 의해 형성된 두 개의 반대 면들의 각각 상에 모듈에서 식물이 삽입되고 심어지는 개구부들(424)의 열을 가진다. 따라서 양쪽 벽들은 전면벽 또는 후면벽과 동일하게 훌륭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또한 모듈들(412)은 오버플로우를 가지고 또는 오버플로우 없이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모듈 방식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모든 크기의 영역들을 다양한 기하학적 구조로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모듈들은 상응하는 편평한 표면을 덮거나 형성하는 경우 상부, 바닥 및 겹치는 측면 모서리들을 구비하여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장치가 공간 분리대로 사용되며 분리가 직선을 따라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모듈들 또는 모듈들의 조립부품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 모듈들 또는 모듈들의 조립부품들은 이음매(joints)에 의해 연결되며, 도 36 및 37은 구현의 단지 2가지 예들을 도시한다.
도 36의 예에 따르면 포개어진 2개의 모듈들(212)을 각각 포함하는 4개의 조립부품들(200A 내지 200D)은 각각이 모듈들의 각 면에 연결된 4개의 관 및 관을 통과하는 막대(274)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hinges)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각 모듈들의 조립부품은 왼쪽 면 상에 도시되지 않아 참조부호가 없는 두 개의 후면 관들 및 두 개의 전면 관들(273)을 포함한다. 왼쪽 면 상의 관들 및 오른쪽 면 상의 관들은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힌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높이 측면에서 서로로부터 오프셋 위치한다. 유리하나 전혀 필수적이지는 않게, 왼쪽 후면 관들(271)을 왼쪽 전면 관들(272)에 대한 관계에서 수직 오프셋으로 위치시키고, 오른쪽 전면 관들(273)에 대한 관계에서 오른쪽 후면 관들을 유사하지만 역 오프셋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모듈들의 조립부품은 이들의 부착 측면에서 양쪽을 사용할 수 있다. 막대(274)는 장치를 위한 지지체를 형성하는 평판(platen)에 결합된다.
서로 연결된 관들(271 내지 273)은 이음매가 만들어지는 방향에 따라 선택된다. 도시된 예들에 따라 조립부품(200A)은 조립부품(200A)의 오른쪽 면 상의 (도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참조부호를 가지지 않은 후면 관들 및 조립부품(200B)의 왼쪽 면 상의 후면 관들(271)에 의해 형성된 힌지에 의해 조립부품(200B)에 연결되어 장치의 후면을 향해 개각(angle opening)을 형성한다. 조립부품들(200B 및 200C)은 서로 정렬되어 유지되는 후면 관들 또는 전면 관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조립부품(200C)은 조립부품(200C)의 오른쪽 면의 전면 관들(273) 및 조립부품(200D)의 왼쪽 면의 전면 관들(272)에 의해 조립부품(200D)에 연결되어 장치의 전면을 향해 개각을 형성한다.
도 37에 도시된 예는 튜브들이 조립부품들 또는 모듈들(212A, 212B)의 측면의 중앙에 위치한 힌지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 36과는 다르다. 따라서 모듈들(212A 및 212B)은 이들의 왼쪽 면 상에 관(281) 및 이들의 오른쪽 면 상에 관(282)을 가진다. 관들(281 및 282)은 조립될 수 있는 다른 수평면에서 위치하여 힌지를 형성한다. 조립부품(212A)이 조립부품(212B)에 연결되는 경우 조립부품(212A)의 관(282) 및 조립부품(212B)의 관(281)은 두 개의 관들을 통과하는 막대(283)와 함께 힌지(28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마지막 실시태양으로서 도 38A 및 38B는 예를 들어, 도시 가구 부분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마을 또는 공원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의도된 장식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장식적인 배열은 지면에 내장된 골격(618)을 가진 금속 구조물 상에 설치된 모듈들(12)을 가진 본 발명의 장치를 포함한다. 장식적인 배열은 본 발명의 장치 옆에 위치한 기둥(619)에 의해 완성되며 잎들(620) 및 마을 또는 공원이 이름을 적는 표지판(621)을 가진다. 도 38B에 의해 도시된 바대로 본 발명의 장치는 구조물(618)의 한쪽 면 또는 양쪽 면 상에 모듈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영양물질 및 식물을 수용하고 전면벽(30) 및 전면벽(30)에 연결된 후면벽(35)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내부 체적(14)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12)을 포함하며, 적어도 전면벽(30)은 식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4)를 가지며 전면벽(30) 및 후면벽(35) 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12)을 마운팅(18, 118)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영역(43, 44)을 가지며, 전면벽(30) 및 후면벽(35) 중 적어도 하나는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듈(12)을 포함하는 지붕 정원(roof garden) 또는 식물벽(plant wall)으로 설치되는 경우 모듈들을 지붕 또는 벽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칠 수 있게 해주는 겹치는 모서리(41, 42, 43, 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식물 재배(16)용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10).
  2. 제 1 항에 있어서,
    후면벽(35)이 상부에 위치한 인접한 모듈(12)의 하부 모서리(42)가 받쳐질 수 있는 앞쪽으로 돌출된 수직 정지부(41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후면벽(35)이 기본적으로 수평이며 내부 체적(14) 내로 돌출되는 분할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분할대(60)가 개구부(24)의 바닥 모서리의 약간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체적의 하부에 밖으로 통하는 배수구(75, 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배수구(75, 76)는 모듈(12)의 바닥 모서리(42) 내로 연장되며 바닥 모서리(42)는 이러한 목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면 노치(notch)(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배수구(75, 76)를 통과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로(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수로(100)는 전면벽(30) 바닥 모서리(42)의 적절한 선반에 의해 바닥 모서리(42)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벽(30) 및 후면벽(35) 사이에 물 주입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벽(30) 및 후면벽(35) 사이에 위치한 물탱크(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물탱크는 제거 가능한 탱크(9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운팅(118)은 이동이 가능하며, 두 개의 모듈(12) 또는 모듈의 집합이 수평적으로 조립되는 경우 장치가 연접식(articulated) 연결부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측면 연결부(271, 272, 27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7014046A 2009-10-30 2010-10-27 식물 수경재배의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 KR201201010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7705 2009-10-30
FR0957705A FR2951906B1 (fr) 2009-10-30 2009-10-30 Dispositif pour un agencement vertical ou incline de culture hors sol de vegetau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1043A true KR20120101043A (ko) 2012-09-12

Family

ID=4221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46A KR20120101043A (ko) 2009-10-30 2010-10-27 식물 수경재배의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8950112B2 (ko)
EP (1) EP2493282B1 (ko)
JP (2) JP5785555B2 (ko)
KR (1) KR20120101043A (ko)
CN (2) CN105409624A (ko)
AU (1) AU2010311208B2 (ko)
CA (1) CA2779344C (ko)
DK (1) DK2493282T3 (ko)
ES (1) ES2477273T3 (ko)
FR (1) FR2951906B1 (ko)
HK (2) HK1172206A1 (ko)
IL (1) IL219455A (ko)
MA (1) MA33703B1 (ko)
MX (1) MX2012004974A (ko)
PL (1) PL2493282T3 (ko)
PT (1) PT2493282E (ko)
RU (1) RU2553649C2 (ko)
WO (1) WO20110516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081A (ko) 2018-08-22 2020-03-03 고요한 자동화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4285B2 (ja) * 2007-08-21 2014-04-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CN101554125B (zh) * 2009-03-17 2010-12-08 南京绿色组合环保有限公司 立面绿化模块
GB2475101B (en) * 2009-11-09 2014-01-08 Mark Laurence Wall for growing plants
CH702511A1 (fr) * 2010-01-13 2011-07-15 Haute Ecole Du Paysage D Ingenierie Et D Architecture Hepia Module pour vegetaliser des surfaces.
FI20110247A0 (fi) 2011-07-22 2011-07-22 Niko Rainer Jaervinen Kasvipohjainen biosuodatin ilmapohjaisten haihtuvien orgaanisten yhdisteiden ja mikrobien poistamiseen
US9015991B2 (en) * 2011-09-06 2015-04-28 VeraWall, LLC Modular living wall system
KR200469311Y1 (ko) * 2011-09-23 2013-10-07 정영미 이동식 수경 재배 장치
GB201122096D0 (en) * 2011-12-21 2012-02-01 Bowell Kenneth W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iving walls
NL2008343C2 (nl) * 2012-02-24 2013-08-28 Bbd Internat B V Wandelement voor een groengevel van een gebouw alsmede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 wandelement.
CN102668916B (zh) * 2012-05-29 2013-07-24 史九旭 绿化植物立体植被的组合栽培装置
US9986694B2 (en) * 2012-06-15 2018-06-05 Alex E. Billingsley Systems and methods for a vertical planter
US8448403B1 (en) * 2012-07-09 2013-05-28 David Wallace Water catchment building block
ITRM20120527A1 (it) * 2012-10-31 2014-05-01 Metaltecnica Srl Gruppo per la coltivazione a parete
NL2009794C2 (nl) 2012-11-13 2014-05-14 Hevorma B V Groei-inrichting voor gewas, gebruik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en een reeks groei-inrichtingen.
US10253505B2 (en) * 2013-01-22 2019-04-09 Henry H. Bilge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structure and wall panels therefor
US9578819B2 (en) * 2013-01-24 2017-02-28 Mark R Prescott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PL403291A1 (pl) * 2013-03-25 2014-09-29 Paweł Garbarek Zestaw do tworzenia ścian z roślinnością ozdobną
US9374947B2 (en) 2013-05-03 2016-06-28 Molly Meyer, Llc Wall planting module
TWM475807U (en) * 2013-10-09 2014-04-11 Sheng San Co Ltd Planting pot combination structure featuring controllable water diversion
US9462756B2 (en) * 2013-11-20 2016-10-11 Ming-Tsun LIN Modular device for raising seedling
GB2520510B (en) * 2013-11-21 2015-11-11 Designlaw Ltd A layered façade panel comprising foamed metal
CZ27235U1 (cs) * 2013-12-23 2014-08-04 Němec S.R.O. Vertikální zahrada
WO2015139087A1 (en) * 2014-03-18 2015-09-24 Bax Heath William Downpipe assembly
US9844188B2 (en) * 2014-04-08 2017-12-19 Hunter Legerton Modular tray
CA2953812A1 (en) * 2014-06-26 2015-12-30 Living Greens Farm, Inc. Grow board and method
US9374953B2 (en) * 2014-07-30 2016-06-28 Indoor Farms Of America, Llc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enclosure with support structure
CA2959500A1 (en) * 2014-07-30 2016-02-04 Indoor Farms Of America, Llc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enclosure with support structure
US11083141B2 (en) 2014-07-31 2021-08-10 Living Greens Farm, Inc. Growing system
CN107072156B (zh) 2014-07-31 2022-07-12 生活绿色农场股份有限公司 生长系统
US11350576B2 (en) * 2014-07-31 2022-06-07 Living Greens Farm, Inc. Growing system
US9930841B2 (en) * 2014-08-11 2018-04-03 Second Nature Aquaponics, LLC Vertically oriented collapsible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WO2016053781A1 (en) * 2014-09-30 2016-04-07 University Of Wyoming Greenwall cladding
ITUB20153903A1 (it) * 2015-03-09 2017-03-25 Sergio Marinelli Cassaforma prefabbricata a pannello, atta ad essere impiegata nella costruzione di edifici e di giardini.
EP3182818A4 (en) * 2015-03-13 2018-02-28 Conwed Plastics Acquisition Company V LLC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covering structures
US10448587B2 (en) * 2016-01-20 2019-10-22 Stephen A. Dufresne Multilevel aeroponic terrace growing system for growing indoor vegetation
US10619353B1 (en) 2016-01-29 2020-04-14 Metal Sales & Service, Inc. Integrated wall assembly
AT518567B1 (de) * 2016-04-28 2018-06-15 Alvaro Lobato Jimenez Modularer Bepflanzungsbehälter für den vertikalen hydroponischen Pflanzenanbau
US9883642B2 (en) 2016-06-14 2018-02-06 Freight Farms, Inc. Vertical assembly for growing plants
CN106069295A (zh) * 2016-08-04 2016-11-09 苏州筑园景观规划设计股份有限公司 垂直墙面绿化系统及其施工方法
US10863679B2 (en) * 2016-09-08 2020-12-15 Fork Farms Holdings, Llc Modular plant growth apparatus
CA2956654A1 (en) * 2016-10-03 2018-04-03 Green Thumb Technology Inc. Vertical hydroponics systems
CN106561320A (zh) * 2016-10-21 2017-04-19 宁波亿林节水科技股份有限公司 多功能悬挂式种植植物装置
USD886332S1 (en) * 2017-01-30 2020-06-02 Metal Sales & Service, Inc. Architectural wall cladding
US11172621B2 (en) * 2017-03-15 2021-11-16 George Addison Irwin Modular vertical agriculture assembly to support vegetative growth in the vertical plane
US20180295800A1 (en) 2017-04-18 2018-10-18 Phidro Llc Vertically oriented modular aerohydroponic systems and methods of planting and horticulture
JP7007129B2 (ja) * 2017-07-28 2022-01-24 山崎産業株式会社 植栽体整列支持体及び植栽体支持体並びに植栽体支持構造
WO2019049165A1 (en) * 2017-09-07 2019-03-14 Ecogreen Landscape Technologies India Pvt. Ltd. MODULAR APPARATUS AND SYSTEM FOR BIOMUR
WO2019153368A1 (zh) * 2018-02-12 2019-08-15 苏州大学张家港工业技术研究院 一种储水式模块化垂直绿化系统
KR20200141059A (ko) 2018-03-31 2020-12-17 리빙 그린즈 팜, 아이엔씨. 성장 시스템
US10842300B2 (en) * 2018-04-19 2020-11-24 Carl Reid Mountable container
US11299862B1 (en) * 2018-08-29 2022-04-12 Studio5051, Llc Portable street planter
CN109566389B (zh) * 2018-12-28 2021-09-24 吴天宋 一种轻型屋顶绿化用防漏水无土栽培用种植板装置
FR3091969B1 (fr) 2019-01-29 2021-12-24 Vertige Int Dispositif pour la culture de plants de vegetalisation, formant bardage, procede de fabrication dudit dispositif
US11206767B2 (en) * 2019-03-28 2021-12-28 GSKY Plant Systems, Inc. Modular planting tray and vertical wall planting system
US10995491B2 (en) * 2019-04-16 2021-05-04 David E. GRANT Planter block
DE202019102283U1 (de) * 2019-04-23 2020-07-31 Lucia Saly Pflanztopfhalter
SE1950889A1 (en) * 2019-07-12 2020-12-22 Pari Plast Ab Plant holder for hydroponic system
CN110397077A (zh) * 2019-08-07 2019-11-01 衡水瑟林科技有限公司 一种钢塑复合型植生挡土墙
US11710308B1 (en) 2019-10-10 2023-07-25 Aerofarms, Inc. Seed germinat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825785B2 (en) 2019-12-03 2023-11-28 Douglas P. HATRAN High-density cultivation system, apparatus used therein,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11672215B2 (en) 2020-01-12 2023-06-13 Sentient Design, Inc.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US11457570B2 (en) * 2020-04-13 2022-10-04 David E. GRANT Planter block
USD1014321S1 (en) 2020-09-10 2024-02-13 New Earth Solutions Inc. Vertical planter
US11647708B2 (en) * 2021-04-19 2023-05-16 Harvest Today LLC Vertical hydroponic system
AU2022202446B2 (en) * 2021-06-21 2024-05-02 Grobrix Pte. Ltd. A modular aeroponics assembly
CN114276646B (zh) * 2022-01-21 2023-08-22 台州市盛尔达塑业有限公司 一种植物墙新材料的配方及其制备方法
CN114793684B (zh) * 2022-04-20 2024-02-20 北京清尚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房屋建筑外立面模块式景观智能垂直绿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9735A (en) * 1938-05-27 1942-04-14 Noel Wright Gates Vegetation-bearing display surface and system
US4161085A (en) * 1978-03-20 1979-07-17 Moffett F Wesley Jr Garden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295296A (en) * 1980-01-14 1981-10-20 Kinghorn Michael H Vertical garden
US4380136A (en) * 1980-07-11 1983-04-19 Karpisek Ladislav Stephan Assembly kit for a holder for growth supporting medium
DE3420037A1 (de) 1984-05-29 1985-12-05 Georg 2400 Lübeck Dose Addierbare formelemente zur begruenung
DE3511002A1 (de) * 1985-01-23 1986-10-02 Horst Günter Dipl.-Biol. Dr. 5910 Kreuztal Mielke Pflanzgitter zur begruenung von vertikalen und stark abschuessigen flaechen
DE3837212A1 (de) * 1988-09-27 1990-03-29 Mielke Horst Guenter Bewaesserungseinrichtung fuer pflanzkaesten zur wandbegruenung
DE3836437A1 (de) * 1988-10-26 1990-05-03 Mielke Horst Guenter Bepflanzbares fassadenelement mit abgeschraegter pflanzflaeche
DE8815857U1 (ko) * 1988-12-21 1990-04-19 Vivaria Gmbh, Import Von Pflanzen Und Tieren, 8192 Geretsried, De
JPH0337836U (ko) * 1989-08-25 1991-04-12
GB8928485D0 (en) * 1989-12-18 1990-02-21 Caddy John F A plant container for use in cladding a vertical surface
JPH0638644A (ja) * 1991-05-02 1994-02-15 Isao Shirohata 給水式組立栽培器具
JPH0638468U (ja) * 1992-11-09 1994-05-24 三菱油化バーディッシェ株式会社 緑化用ボックス連結体
US5669185A (en) * 1996-02-20 1997-09-23 Proulx; Karen A. Shutter for buildings
RU2178637C2 (ru) * 2000-01-25 2002-01-27 Ходасевич Андрей Георгиевич Модул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на гидропонике
RU2163755C1 (ru) * 2000-07-31 2001-03-10 Игнатов Олег Михайл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без земли на вертикаль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JP2002199818A (ja) * 2000-12-28 2002-07-16 Yoshicon Co Ltd 緑化用壁パネル
JP2002291328A (ja) * 2001-03-30 2002-10-08 Inax Corp 高機能屋根
JP2002335765A (ja) 2001-05-22 2002-11-26 Nishimatsu Constr Co Ltd 壁面緑化ユニット及び壁面緑化工法
JP2004337054A (ja) * 2003-05-15 2004-12-02 Nippon Chiko Co Ltd 壁面緑化ユニット
AU2003902454A0 (en) * 2003-05-20 2003-06-05 Holl, Antoon Cornelis Richard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JP4315732B2 (ja) * 2003-05-27 2009-08-1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壁面緑化装置
CN2629416Y (zh) * 2003-06-20 2004-08-04 柯思征 挂式立体种植器
DE602004005118D1 (de) * 2003-09-17 2007-04-19 Air Quality Solutions Ltd Träger für eine vertikale hydroponische Pflanzenmatrix
CN2663596Y (zh) * 2003-10-31 2004-12-15 龙宝建设股份有限公司 景观式围篱的改良构造
JP2006042775A (ja) * 2004-08-03 2006-02-16 Yasutomo Kitada 植物栽培容器を用いた立体型植物育成装置
US7055282B2 (en) * 2004-08-11 2006-06-06 Mb3, L.L.C.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7877927B2 (en) * 2004-12-16 2011-02-01 Mario Roy Modular aeroponic/hydroponic container mountable to a surface
JPWO2006073001A1 (ja) * 2005-01-07 2008-06-12 株式会社杉孝 緑化仮設構造体
CN2829343Y (zh) * 2005-08-15 2006-10-25 张韶英 90度梯田
CN101052296B (zh) * 2005-10-12 2010-07-14 日本地工株式会社 多功能栽培基体
US20070094927A1 (en) * 2005-10-31 2007-05-03 Michael Perry Rooftop vegetation pod
FR2902602B1 (fr) 2006-06-23 2010-10-01 Etude Et Rech Polytechnic Du V Dispositif pour la culture hors sol de plantes sur une surface sensiblement verticale.
FR2906822B1 (fr) * 2006-10-09 2009-02-06 Philippe Huet Element modulaire de paroi pour la mise en culture de vegetaux et structure modulaire formee d'une pluralite d'elements modulaires du type precite
CN101498122A (zh) * 2008-01-28 2009-08-05 孙希贤 绿化组合砌块及其该组合砌块制成的绿化墙体和绿化柱体
FR2926952B1 (fr) * 2008-02-06 2010-03-26 Francois Henri Cathala Dispositif mural destine a recevoir des plantes pour purifier l'air
JPWO2009098762A1 (ja) * 2008-02-06 2011-05-26 ビルマテル株式会社 灌水配管を備えた壁面緑化用ユニット
ES2307453B1 (es) * 2008-04-18 2009-10-14 Eduardo Almenara Diaz Sistema de formacion de zonas ajardinadas en paredes.
CN201222896Y (zh) * 2008-06-20 2009-04-22 上海植物园管理处 壁挂式植物种植模块
CN201270687Y (zh) * 2008-08-18 2009-07-15 王建闽 壁挂式绿化容器
US20100095586A1 (en) * 2008-09-18 2010-04-22 Eco Innovations Inc. Plant propagation and display panel and assembly
US7921599B2 (en) * 2008-10-07 2011-04-12 George A. Irwin Vegetation support system
TWM367678U (en) * 2008-12-16 2009-11-01 Ke-Dan Ma Structure of flower wall
CN101524038B (zh) * 2009-04-13 2011-05-11 南京绿色组合环保有限公司 一种整体式立面绿化模块
RU91667U1 (ru) * 2009-05-25 2010-02-27 Наталья Петровна Ковалева Металлопластиковая панел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на вертикаль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US8281517B2 (en) * 2010-02-05 2012-10-09 Hortech, Inc. Wall planting system
US20110258925A1 (en) * 2010-04-26 2011-10-27 Baker Richard L Vertical planter
US9210846B2 (en) * 2012-02-28 2015-12-15 Joseph P. VanLente Vertical concentrated vegetable and plant grower
US8966819B1 (en) * 2013-04-16 2015-03-03 Neila Cosmann Suspendable and stackable vertical planter
USD720947S1 (en) * 2013-05-03 2015-01-13 Molly Meyer, Llc Wall planting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081A (ko) 2018-08-22 2020-03-03 고요한 자동화 수직형 식물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493282T3 (da) 2014-07-07
JP2013509172A (ja) 2013-03-14
US20150121756A1 (en) 2015-05-07
RU2553649C2 (ru) 2015-06-20
FR2951906A1 (fr) 2011-05-06
JP2015211692A (ja) 2015-11-26
AU2010311208B2 (en) 2016-05-19
US20120227320A1 (en) 2012-09-13
AU2010311208A1 (en) 2012-05-31
CA2779344A1 (fr) 2011-05-05
JP5785555B2 (ja) 2015-09-30
CN105409624A (zh) 2016-03-23
PT2493282E (pt) 2014-07-15
HK1172206A1 (en) 2013-04-19
MX2012004974A (es) 2012-07-17
PL2493282T3 (pl) 2014-09-30
CA2779344C (fr) 2018-02-13
US8950112B2 (en) 2015-02-10
EP2493282A1 (fr) 2012-09-05
MA33703B1 (fr) 2012-10-01
HK1222294A1 (zh) 2017-06-30
EP2493282B1 (fr) 2014-04-02
IL219455A (en) 2017-06-29
CN102762093A (zh) 2012-10-31
RU2012121600A (ru) 2013-12-10
CN102762093B (zh) 2016-01-20
US9258948B2 (en) 2016-02-16
FR2951906B1 (fr) 2012-07-13
WO2011051619A1 (fr) 2011-05-05
JP6130446B2 (ja) 2017-05-17
IL219455A0 (en) 2012-06-28
ES2477273T3 (es)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1043A (ko) 식물 수경재배의 수직 또는 경사 배열을 위한 장치
US8281517B2 (en) Wall planting system
US8438781B2 (en) Vertical planting module
US9655304B2 (en)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20080083280A (ko)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AU2010258104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CN102630518B (zh) 一种组装式可移动垂直绿化模块和垂直绿化系统
CN208434393U (zh) 一种可移动垂直绿化幕墙
US11172621B2 (en) Modular vertical agriculture assembly to support vegetative growth in the vertical plane
US20140230325A1 (en) Vertical Garden Systems and Methods
KR100844108B1 (ko) 벽면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적재하기 위한 벤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외피형 벽면 녹화 시스템
EP4046477B1 (en) A plant container for greening walls
CN106922424A (zh) 一种防阻塞叠垒式花盆及其叠垒组合形成的立体绿化墙面
KR101043958B1 (ko) 조립식 벽면 조경시스템
CN107090942A (zh) 安装绿化种植系统的墙板及其安装的绿化种植系统
RU2819068C1 (ru) Вертикальное са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GB2534411A (en) Living wall
JP4301447B2 (ja) 壁面緑化プランター並びにこの壁面緑化プランターの取付方法及び灌水方法
CN206728676U (zh) 防阻塞叠垒式花盆及其叠垒组合形成的立体绿化墙面
RU2195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WO2023042161A1 (en) Rectangular plastic tanks for storing rainwater and forming walls
ES1154010U (es) Estructura soporte para jardinería vertical
WO2024023663A1 (en) Hydroponic tray
KR20140005946U (ko) 조립식 농수로관
KR20040042911A (ko) 식생플랜터를 구비한 방음벽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