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946U - 조립식 농수로관 - Google Patents

조립식 농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946U
KR20140005946U KR2020130003881U KR20130003881U KR20140005946U KR 20140005946 U KR20140005946 U KR 20140005946U KR 2020130003881 U KR2020130003881 U KR 2020130003881U KR 20130003881 U KR20130003881 U KR 20130003881U KR 20140005946 U KR20140005946 U KR 201400059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ally operated
water
operated hydraulically
angle
sli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태
신운철
김대식
김우재
박홍규
김보경
임상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130003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946U/ko
Publication of KR20140005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9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사다리형의 프레임구조로써 각각의 모서리마다 결합공이 형성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홈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결합공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연결볼트와 상부의 중앙마다 형성된 연결공 및 양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는 앵글부; 판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앵글부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고, 외부에 위치한 물의 수위에 따라 용수가 유,출입되는 복수개의 배수공을 갖는 측면부; 상기 앵글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양측에 단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공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갖는 덮개부; 및 용수를 유,출입시키는 수문을 갖는 수문부;를 갖고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수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결합하여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문부는 관로의 최전방과 최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농수로관{A waterway pipe}
본 고안은 농로로 사용하면서 논에 급수도 할 수 있게 설치되는 조립식 농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로관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수문과 배수공을 통하여 농수로관에 보관되어 있는 농업용수를 농지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조립식 농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논의 둘레에는 관개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논둑에는 관개수로에서 논으로 농업용수를 유입하는 곳인 급수로와, 논에서 관개수로로 농업용수를 유출하는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논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 예를 들어, 모내기철이 되면 급수로를 터서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모내기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현대화된 수리시설이 마련되지 않은 논에서는 대게 흙으로 논둑을 쌓아 올려 급수로와 배수로를 차단하고 있다. 만약 급수 및 배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차단하는 흙을 파서 급수로와 배수로를 형성하고 있다. 즉 논둑의 흙을 파거나 덮어서 수위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그 수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비가 많이 오거나 물살이 빠른 경우에는 물살에 의해 논둑의 흙이 쓸려가 농업용수의 공급량이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더 곤란했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6257호 (2011.05.16. 등록일)은 보호커버(1), 높이조절판(5), 물꼬(2)로 구성되어 논두렁의 토사유출을 방지하지 하는 논두렁보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논둑에 설치되어 논둑을 보호하는 논두렁 보호장치는 배수구멍과 물꼬를 통하여 물을 배수하기 때문에 적절한 양에 맞는 농업용수의 공급이 어려웠다. 또한 폐비닐을 원료로 보호장치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 및 시공이 간편하며, 논둑의 대용으로 설치되어 농로 및 수로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농수로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최전방과 최후방에 구비된 수문부를 통하여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이 간편하며, 측면부에 구비된 배수공을 통하여 적절한 양의 용수가 고르게 공급됨으로써 비료의 몰림현상이 방지되며 벼의 균일생육에 유리하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사다리형의 프레임구조로써 각각의 모서리마다 결합공이 형성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홈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결합공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연결볼트와 상부의 중앙마다 형성된 연결공 및 양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는 앵글부; 판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앵글부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고, 외부에 위치한 물의 수위에 따라 용수가 유,출입되는 복수개의 배수공을 갖는 측면부; 상기 앵글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양측에 단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공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갖는 덮개부; 및 용수를 유,출입시키는 수문을 갖고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수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결합하여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문부는 관로의 최전방과 최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부의 중앙에는 측벽부와 측벽부의 사이를 가로 질러서 용수를 별도로 배수를 할 수 있는 중앙 칸막이 판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부재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못자리 설치시 골주를 설치할 수 있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는 3개의 지주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으로써 일측에는 측면부가 결합 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수문을 여닫을 수 있는 문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는 작동이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필요한 양에 따른 상기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문을 여닫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글부는 측면부와 측면부를 잇는 직선형의 앵글과 바닥부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L자형앵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조립식으로 설치가 간편하며 농로와 수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2) 농수로관의 최전방과 최후방에 수문부가 구비되어 있어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다.
(3) 측면부에 배수공이 구비되어 있어 외부의 수위에 따라 용수의 유,출입되므로 비료의 몰림현상이 적다.
(4) 덮개부를 이용하여 간이 육묘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5) 덮개부에 구비된 못자리 홈을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위치의 농수로관과 연결하여 못자리 골주를 설치하고 비닐이나 부직포를 피복하여 보온 육묘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논두렁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농수로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농수로관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농수로관의 사용 상태도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조립식 농수로관(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둑의 옆에 설치되어 농로와 수로를 겸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농수로관(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110), 앵글부(120), 측면부(130), 덮개부(140) 및 수문부(150)를 포함한다.
-바닥부(110)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닥부(110)는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높이기 위하여 사다리형의 프레임틀 구조로 구비되어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바닥부(110)는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뼈대인 앵글부(120) 및 용수의 출입구 역할을 하는 수문부(150)와 조립되기 위하여 각 모서리마다 결합공(112)을 형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12)은 바닥부(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측면에 설치되는 앵글부(120)의 연결볼트(128)와 결합한다. 따라서 바닥부(11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 밀착결합하며, 바닥부(110)의 결합공(112)과 앵글부(120)의 연결볼트(128)가 결함됨으로써 본 고안의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관로를 형성한다. 이때 결합공(112)은 각 모서리마다 한개씩 구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조립식 농수로관(100)은 농수로관이 필요한 농지의 면적에 따라 바닥부(110)를 설치하고 바닥부(110)의 상부에 앵글부(120)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의 조립식 농수로관(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위에 설명한 내용과 같이 복수 개의 바닥부와 앵글부가 연결되어 형성된 관로 중에서 최전방과 최후방, 또는 필요한 농수로 위치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12)과 수문부(150)의 지주대(154)가 연결되어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입구 및 출구를 형성한다. 이때 결합공(112)은 지주대(154)와 연결되므로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앵글부(120)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앵글부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글부(120)는 본 고안의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뼈대역할로써 직선형의 앵글(122)과 L자형 앵글(124)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선형의 앵글(122)은 단면으로 보면 H자형으로써 좌우로 측면부(130)를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110)의 중앙에 삽입되어 인접한 위치의 측면부(130)와 측면부(130)를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직선형의 앵글(122)은 최전방과 최후방에 위치한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수문부(150)가 설치되는 곳에도 설치가 된다.
상기 L자형 앵글(124)은 바닥부(110)의 모서리에 사용되어 양측에 측면부(130)를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딩홈을 구비한다. 하지만 직선형의 앵글(122)과 달리 일측에만 측면부(130)가 삽입되며, 본 고안의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모서리면으로써 인접한 위치의 앵글부(120)와 맞닿는다. 이러한 L자형 앵글(124)은 수문부(150)가 설치되는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최전방과 최후방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이러한 앵글부(120)는 하부면에 일체로 연결볼트(128)를 구비한다. 이러한 앵글부(120)는 연결볼트(128)를 통해 바닥부(110)의 결합공(112)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110)의 상부에 앵글부(120)가 연결된다. 또한 앵글부(12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덮개부(14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공은 덮개부(140)의 연결부재(148)와 연결되어 앵글부(120)의 상부면에 덮개부(140)가 연결된다.
-측면부(1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130)는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양측에 설치되어 용수가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부(130)는 측벽역할을 하는 측면판(134)을 포함하며, 측벽판(134)에는 배수공(132)을 구비한다. 상기 측면판(134)은 일정 단면적을 가진 판상의 형태로써 앵글부(120)의 슬라이딩 홈 또는 수문부(150)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로 구비된다.
본 고안의 측면판(134)은 도면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용수가 조립식 농수로관(100)에서 새어나가지 않게 슬라이딩 홈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는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측면판(134)의 상부에는 일정 길이 떨어져 배치된 복수 개의 배수공(13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수공(132)은 외부에 있는 물의 수위에 따라 외부에 있는 용수를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도 하며, 조립식 농수로관(100) 내부에 있는 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배수공(132)을 통하여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내부에 있는 물을 외부의 농지로 고르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비료의 몰림 현상이 적게 발생한다. 또한 용수가 농지에 고르게 공급되므로 벼의 균일생육에 도움이 된다.
-수문부(150)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문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부(150)는 관개수로에 있는 용수를 농지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립식 농수로관(100)의 최전방과 최후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수문부(150)는 지주대(154)와 수문(152)을 포함하여 조립식 농수로관(100)에 공급되는 용수의 양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대(154)는 하나의 수평부재에 일정간격을 두고 3개의 수직프레임이 하부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수평프레임은 바의 형태로 양끝단과 중앙에 수직부재가 연장 형성된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수평프레임을 사각형상의 바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삼각형, 다각형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바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은 수문(152)이 닫혔을 때 수문(152)이 수압에 의하여 수문부(150)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는 걸림턱 기능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은 L자형의 단면으로서 일측에는 측면부(130)가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을 구비한다. 이에 더붙어 타측에는 수문(152)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문틀을 형성한다. 이에 반해 수평프레임의 중앙에 구비되는 수직프레임은 단면이 ㅗ자형으로 양측에 수문(152)이 삽입될 수 있는 문틀이 구비된다. 이러한 수직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복수 개의 수문(15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들은 하부면에 바닥부(110)의 결합공(112)과 연결하기 위한 결합볼트(156)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볼트(156)는 수직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결합공(112)과 연결됨으로써 수직프레임이 바닥부(110)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수직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부에 위치한 덮개부(14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126)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문(152)은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수문(152)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있어 농지에 필요한 용수의 양에 따라 각각의 수문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수문(152)은 개폐가 용이하도록 외부면에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는 수평부재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문의 상부, 하부 등 어디에나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140)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부(140)는 덮개판(142)과 연결부재(148) 및 단턱부재(146)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판(142)은 판부재로써 앵글부(120) 및 수문부(15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덮개판(142)이 앵글부(120)와 수문부(150)의 상부에 위치하기 위하여 덮개판(142)의 하부에는 연결부재(148)가 구비된다. 따라서 덮개판(142)에 의해 조립식 농수로관(100) 내부의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판(142)의 상부면 양측에는 단턱부재(146)가 구비된다. 상기 단턱부재(146)는 사각바의 형태로 구비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바의 형태로써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40)의 단턱부재(146)가 구비됨으로써 덮개부(140)에 용수가 채워질 수 있으므로 농사시기에 간이 육묘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이러한 덮개부(140)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단턱부재(146)의 상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배치 되는 못자리 홈(14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수로관 사이에 파종한 육묘상자를 배열하거나 작물을 심고 단턱부재에 구비된 못자리 홈(144)에 못자리 골주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못자리 홈(144)과 연결하고 비닐 또는 부직포를 덮어 보온 육묘를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40)의 중앙부에는 중앙 칸막이 판(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칸막이 판(170)은 측면부(130)와 측면부(130)의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중앙 칸막이 판(170)은 용수를 구획하는 용도이므로 복수 개의 수문(152)을 통해 필요한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문(152)의 갯수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용수는 복수 개의 수문(152)을 통해 별도로 배수할 수 있게 되어 필요한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조립외에 금형을 만들어 콘크리트나 플라스틱으로 형태를 찍어낼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2
100 : 조립식 농수로관 110 : 바닥부
112 : 결합공 120 : 앵글부
122 : 직선형 앵글 124 : L자형 앵글
126 : 연결공 128 : 연결볼트
130 : 측면부 132 : 측면판
134 : 배수공 140 : 덮개부
142 : 덮개판 144 : 단턱부재
146 : 못자리 홈 148 : 연결부재
150 : 수문부 170 : 중앙 칸막이 판

Claims (8)

  1. 사다리형의 프레임구조로써 각각의 모서리마다 결합공이 형성되며, 일정길이를 갖는 홈이 형성된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결합공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에 일체로 구비된 연결볼트와 상부의 중앙마다 형성된 연결공 및 양측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는 앵글부;
    판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앵글부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고, 외부에 위치한 물의 수위에 따라 용수가 유,출입되는 복수개의 배수공을 갖는 측면부;
    상기 앵글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양측에 단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공과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갖는 덮개부; 및
    용수를 유,출입시키는 수문을 갖고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수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결합하여 관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문부는 관로의 최전방과 최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중앙에는 상기 측면부와 측면부의 사이를 가로 질러서 용수를 별도로 배수를 할 수 있는 중앙 칸막이 판이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재의 상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골주 또는 지지봉을 설치할 수 있게 못자리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부는 일측에는 상기 측면부가 결합 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수문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문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부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부에 구비된 결합공과 연결하기 위한 결합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외측면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필요한 양에 따른 상기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각각의 수문을 개방가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는 상기 측면부와 측면부를 잇는 직선형의 앵글과 바닥부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L자형앵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농수로관.
KR2020130003881U 2013-05-16 2013-05-16 조립식 농수로관 KR201400059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81U KR20140005946U (ko) 2013-05-16 2013-05-16 조립식 농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81U KR20140005946U (ko) 2013-05-16 2013-05-16 조립식 농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46U true KR20140005946U (ko) 2014-11-26

Family

ID=5245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81U KR20140005946U (ko) 2013-05-16 2013-05-16 조립식 농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94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1034B (ko)
JP4886659B2 (ja) 雨水集水装置及びその雨水集水装置を備える植物栽培システム
WO2017067426A1 (zh) 开孔渗灌排水管及密封全自动渗灌雨水回收全方位种植盆
KR101296738B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벽면녹화 수직정원 시스템
US3916565A (en) Rooting matrix system
JP2017515505A (ja) 雨水自動供給栽培装置
US9974248B2 (en) Planter box, multipurpose diacolation pipe and method for soil drainage and irrigation
CN1321561C (zh) 一种用于漫灌的方法和设备
US11944045B2 (en) Liquid containment and focus for subterranean capillary irrigation
KR101461655B1 (ko) 홍수 방어형 녹화 시스템
KR20150000257A (ko) 식물의 가뭄 모의 시설
KR101215777B1 (ko) 지중 관?배수 시스템
US10492385B2 (en) Highly efficient plant irr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036257B1 (ko) 논두렁 보호장치
KR101613833B1 (ko) 바텀애쉬를 활용한 자동화 옥상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화방법
KR20200113708A (ko) 작물 재배용 포트
CN111149755B (zh) 一种鱼田共生系统
JP2010136662A (ja) 浮体ビオトープ
KR20140005946U (ko) 조립식 농수로관
CN109122223A (zh) 一种立体绿化智能节水灌溉系统
KR200411792Y1 (ko) 수로관
KR101056180B1 (ko) 벽면부착형 식물재배기
CN208523310U (zh) 一种茭白种植系统
KR101044356B1 (ko) 친환경 밭작물용 빗물 자원 저장 및 분배 시스템
KR100827572B1 (ko) 건축단지용 가변식 조립식 화단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