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448A -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448A
KR20120093448A KR1020127018773A KR20127018773A KR20120093448A KR 20120093448 A KR20120093448 A KR 20120093448A KR 1020127018773 A KR1020127018773 A KR 1020127018773A KR 20127018773 A KR20127018773 A KR 20127018773A KR 20120093448 A KR20120093448 A KR 2012009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ransformer housing
retaining member
fasten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493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라이퍼
카스텐 토르너
다트-민 트린
Original Assignee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filed Critical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9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78Measures or configurations for obtaining anchoring effects in the contact areas between layers
    • B29C37/0082Mechanical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0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 B29C70/08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omprising combinations of different forms of fibrous reinforcements incorporated in matrix material, forming one or more layers, and with or without non-reinforced layers and with one or more layers of pure plastics material, e.g. foam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6Measure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the matrix material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 B29C70/547Measure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the matrix material in the reinforcing structure using channels or porous distribution layers incorporated in or associated with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spaced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2Thei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6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tip of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14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5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at least one unthreaded portion in both the nut and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8Quickly-detachable or mountable nuts, e.g.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Nuts movable along the bolt after tilting the nut
    • F16B37/0807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 F16B37/0864Nuts engaged from the end of the bolt, e.g. axially slidable nuts with the threaded portions of the nut engaging the thread of the bolt by pressing or rotating an external retaining member such as a cap, a nut, a ring or a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의 변압기 하우징(12)에 컨덕터(10)를 제거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컨덕터(10)가 현재의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고정될 때, 현재의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놓이는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덕터(10)의 표면에 받쳐지는 고정 부재(1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 부재(16)는, 컨덕터(10)가 현재의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미고정 상태에서 고정 상태가 될 때, 고정 부재(16)가 유지 부재(14) 내에서 고정 부재의 종축(54)을 따라 컨덕터(10)의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고정 부재의 종축(54) 주위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DEVICE FOR REMOVABLY FIXING A CONDUCTOR TO A CURRENT TRANSFORMER HOUSING}
본 발명은 고정 부재를 가지는 변압기 하우징에 대하여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에 적용되며, 고정 부재는 변압기 하우징에 배열되는 유지 부재를 통해 인도(routing)되고, 컨덕터가 고정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덕터의 표면에 접촉된다.
컨덕터는 일반적으로 변압기 하우징 상에 제공되는 개구를 통해 인도된다. 컨덕터는 일반적으로 2개의 나사 또는 나사핀(threaded pin)으로 변압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나사 또는 나사핀은 변압기 하우징 상에 배열된 2개의 유지 부재 내로 삽입된다. 고정을 위해, 나사 및/또는 나사핀은 그 단면 영역이 컨덕터의 표면에 접촉될 때까지 컨덕터 방향으로의 순수한(purely) 회전 운동으로 유지 부재의 내부로 터닝(turning)된다. 나사 및/또는 나사핀의 터닝은 컨덕터를 변압기 하우징 상에 고정시킬 것이다.
나사 및/또는 나사핀이 컨덕터 상에 고정되도록 상대적으로 긴 경로를 이동하여야 하는 것은 이롭지 않으며, 이는 순수한 회전 운동으로 일어나고, 특히 많은 수의 변압기 하우징이 컨덕터 상에 고정되는 경우, 많은 힘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보다 단순화되고 신속한 설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는 고정 부재(fastening element)를 가지며, 이는 변압기 하우징 상에 배열되는 유지 부재(retaining element)를 통해 인도되며, 컨덕터가 변압기 하우징 상에 고정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컨덕터의 표면에 접촉된다. 본 발명은 고정 부재가,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미고정 상태에서 고정 상태로 전환될 때, 컨덕터의 방향으로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vement)을 수행하고 이후에 유지 부재 내에서 종축을 따라 종축 주위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연장된(elongated) 핀-형 부재의 형태로 설계되며, 이는 컨덕터의 고정을 위해 종축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컨덕터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부재는 컨덕터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컨덕터를 느슨하게 하기 위해, 고정 부재는 컨덕터로부터 떨어져 이동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의 종축이 주로 컨덕터의 종축에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컨덕터에 대해 배열되고 및/또는 컨덕터에 인도된다. 고정된 상태에서, 컨덕터는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며,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단면으로 컨덕터의 표면에 접촉된다.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부재는 컨덕터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이동은 처음에는 순수하게 병진 운동으로 수행되고, 병진 운동에 뒤에 고정 부재의 종축 주위로의 회전 운동이 이어지며, 이에 의해 적은(minor) 병진 운동이 회전 운동에 더하여 일어날 수 있다. 고정 부재의 최고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순수하게 병진 운동으로 통과하는 것이다. 병진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 내에서 일어나며, 이는 고정 부재가 병진 운동 중에 유지 부재를 통해 인도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정 부재의 회전 운동은 유지 부재 내에서뿐만 아니라 유지 부재의 외측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형태로 설계되며, 변압기 하우징의 측면 영역 상에 배열된다.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 내부의 스루-홀(through-hole)을 통해 인도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를 고정하기 위해 더 이상 고정 부재의 순수한 회전 운동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 부재가 고정 부재의 회전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중에 컨덕터의 방향으로 순수하게 병진 운동으로 운동할 수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고정 부재를 컨덕터 상에 장착할 때 노력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본 발명에 따른 소자가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빠른 고정을 제공하도록 요구되는 시간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빠른 고정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을 위한 추가의 도구의 필요성 없이 일어날 수 있다. 균등한 고정을 하기 위하여, 유지 부재 및 하나의 이동 가능한 고정 부재 각각이 변압기 하우징의 2개의 측면 영역들 상에 서로 가로질러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이로운 설계에 따르면,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가 그 종축 주위에서 360°보다 작은 각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약 360°보다 작은 각으로 회전 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에, 고정 부재의 회전 운동을 위한 노력은 극단적으로 작아진다. 이는 고정 부재의 설치를 위한 노력 및 시간이 더욱 감소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고정 부재는 그 종축으로 한번 터닝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추가의 도구의 필요성 없이 선호된다.
또한, 내부 나사산이 유지 부재의 내부의 일정 영역에 제공되며, 그 내에 고정 부재에 제공된 외측 나사산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나사 또는 나사핀의 형태로 설계되며, 고정 부재 상에 제공되는 외측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의 별개의 영역들 내에만 제공되고, 고정 부재의 전체 외측 주변면에 걸쳐서 연장되지 않는다. 내부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 내에 제공되는 스루-홀 내 및/또는 유지 부재 상에 제공되며, 이를 통해 고정 부재가 인도되고, 내부 나사산은 스루-홀 내의 특정 영역에만 설계되어, 고정 부재가 유지 부재를 통해 인도되는 전체 스루-홀이 내부 나사산을 가지지는 않는다. 유지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의 특정 영역만 내부 나사산 및/또는 외부 나사산으로 설계되는 사실로 인하여, 고정 부재의 요구되는 회전 운동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설치 노력 및 설치 시간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온다.
내부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 내에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성 요소 상에 설계된다. 내부 나사산은, 예를 들어, 고정 부재에 제공되는 외측 나사산에 따라 사용되는 적용가능한 고정 부재에 내부 나사산이 적응될 수 있도록, 언제든 대체될 수 있다. 하나의 유지 부재가 예를 들어, 다른 고정 부재들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유연성은 상당히 증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완성된 유지가 고정 부재의 형태가 스위칭될 때 대체될 필요가 없다.
추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유지 부재 내에 배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추가 구성요소는 유지 부재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추가 구성요소 및/또는 추가 구성요소의 내부 나사산이 유지 부재의 스루-홀의 영역 내에 제공되지 않고, 유지 부재 내에서 스루-홀을 통해 인도되는 고정 부재는 장애 없이 유지 부재의 스루-홀 내에서 순수하게 병진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추가 구성요소는 고정 부재가 유지 부재 내로 특정 거리 이동된 후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추가 구성요소 상의 내부 나사산은 고정 부재의 외측 나사산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 부재의 병진 운동과 회전 운동 사이의 구별은 상당한 효율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가 고정 부재를 인도하기 위해 제1 스루-홀 및 제2 스루-홀을 가지도록 제공되며, 제1 스루-홀 및 제2 스루-홀 영역은 십자형으로 배열되고, 내부 나사산은 적어도 제1 스루-홀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 제공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가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를 고정하기 위해 먼저 제2 스루-홀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내부 나사산을 갖지 않으며 고정 부재가 컨덕터의 표면에 접촉되자마자, 고정 부재는 제2 스루-홀로부터 제1 스루-홀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정 부재의 외부 나사산은 제1 스루-홀의 내부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고, 다음으로 고정 부재의 후속의 병진 운동으로 컨덕터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확하게 얼마나 멀리 고정 부재가 순수한 병진 운동을 수행할 것인지 명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정은 컨덕터에 접촉될 때까지 순수하게 병진으로 인도되며 컨덕터의 표면 상에 최종적으로 고정될 때까지 회전 운동을 적용하지 않는다. 이는 설치 시간 및 가능한 설치 노력의 추가적 감소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유지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고정 부재에 대한 클램프-온 래치(clamp-on latch)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스프링 암(spring arm)이 각 말단부가 래치 부재를 포함하는 유지 부재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래치 부재 및/또는 래치 부재들은 예를 들어, 고정 부재 상의 외부 나사산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가 컨덕터 상에 위치되면 스프링 암들 및/또는 유지 부재의 내부의 고정 부재를 고정한다.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각도까지 탄성으로 운동할 수 있는 스프링 암을 포함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를 통해 인도되는 고정 부재는, 단면으로 컨덕터의 표면에 접촉될 때까지 유지 부재를 통해 인도될 수 있고, 래치 부재는 이 시점까지 고정 부재의 외부 나사산 내로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 상에 부착될 수 있는 슬리브(sleeve)가 제공된다. 고정 부재가 컨덕터의 표면 상에 위치되면, 슬리브는 스프링 암으로 구성된 유지 부재 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프링 암은 고정 부재의 외측 주변 영역에 대향하여 프레싱(pressing)될 수 있고 이는 특히 스프링 암 상의 래치 부재들이 고정 부재의 외부 나사산 내로 래치될 수 있기 때문이며, 슬리브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정 부재가 더 이상 운동할 수 없고 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부재는 유지 부재와 컨덕터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외측 표면들 중 하나에 대하여 래치 기구(latch mechanism)를 갖는다. 이는 컨덕터 방향으로의 유지 부재의 병진 운동이 가능해지도록 유지 부재와 컨덕터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고정 부재의 필요 회전 운동을 더욱 감소시키는 능력을 제공한다. 유지 부재의 외측 표면 상에 제공되는 래치 기구는, 유지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컨덕터의 표면 상에 위치하도록 컨덕터의 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운동하면 유지 부재가 래치 부재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바람직하게는 변압기 하우징에 대한 래치 부재에 결합된다. 컨덕터는 유지 부재뿐만 아니라 유지 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고정 부재로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이로운 실시예는 고정 부재가 유지 부재와의 연결을 위해 베이어닛 캐치(bayonet catch)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이에 의해,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를 고정하기 위해 특별히 짧은 고정 부재의 트위스트 운동 및/또는 회전 운동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라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를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이다.
도 2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2 개략도이다.
도 3은 고정 부재가 유지 부재 내에 삽입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3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부재가 유지 부재 내에 배열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4 개략도이다.
도 5는 슬리브가 유지 부재 상에 슬라이딩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5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제1 개략도이다.
도 8은 배열된 채결 부재가 없는 유지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2 개략도이다.
도 9는 고정 부재가 유지 부재 내에 삽입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가 고정된 상태인,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제1 개략도이다.
도 11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제2 개략도이다.
도 1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배열된 고정 부재가 없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배열된 고정 부재가 없는,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유지 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배열된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도 15에 도시된 유지 부재의 다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이며, 장치는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장치를 도시하며, 컨덕터(10)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부착되고, 컨덕터(10)는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제공되는 스루-홀(72)을 통해 인도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유지 부재(14) 및 도시되지 않은 제2 유지 부재는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설계되고, 상기 변압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며 플랜지의 형태로 설계되며,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를 고정시키는 하나의 고정 부재(16)는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된다. 유지 부재(14)는 단일 부품으로 및 다중 부품들로 설계될 수 있다. 유지 부재(14)는 이러한 목적으로 스루-홀(18)을 가지며, 이를 통해 고정 부재(16)가 인도된다. 고정 부재(16)는 나사핀의 형태로 설계되며, 고정 부재(16)는 컨덕터(10)의 종축(56)에 수직한 종축(54)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될 때, 고정 부재(16)의 개방 단부(open end)(28)는 단면 표면으로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위치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상세도들이다.
도 2는 4개의 집적된 원형 배열된 스프링 암(20)을 갖는 유지 부재(14)를 도시하며, 하나의 래치 부재(22)가 스프링 암(20)의 개방 단부 상에 설계되고, 상기 래치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360°보다 작은 각도의 고정 부재(16)의 회전 운동으로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고정 부재(16)를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유사 형상을 갖는다. 고정 부재(16)는, 회전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부착이 종료되기 전에, 먼저 순수한 병진 운동으로 컨덕터(10) 방향으로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될 수 있다.
도 3은 화살표(26)로 도시된, 유지 부재(14)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고정 부재(16)가 도시된 도면을 도시한다. 고정 부재(16)가 유지 부재(14) 내로 삽입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단부(28)가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위치할 때까지, 고정 부재(16)가 유지 부재(14)를 통해 순수하게 병진 운동으로 충분히 멀리 인도될 수 있도록 유지 부재(14)의 스프링 암들(20)은 떨어지도록 프레싱된다.
도 4는 스프링 암(2) 상에 제공되는 래치 부재(22)가 고정 부재(16)의 외부 나사산(3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암(20)이 고정 부재(16)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슬리브(58)가 유지 부재(14) 및/또는 유지 부재(14)의 스프링 암(20) 상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는 상기 유지 부재의 스프링 암(20)의 외측면(60) 상에 배열된 스냅 탭(snap tab)(32)에 결합될 수 있다. 래치 부재(22)가 외부 나사산(30)에 결합되어, 그 위치에서 고정 부재(16)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리브(58)는 스프링 암(20) 및 스프링 암(20)의 래치 부재(22)를 고정 부재(16)의 외부 나사산(30)을 향해 프레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은 슬리브(58)가 유지 부재(14)의 스프링 암(20) 상으로 슬라이딩되는 단면을 도시한다. 컨덕터(10) 상에 고정 부재(16)를 최종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고정 부재(16)는 유지 부재(14)의 래치 부재(22) 내에서 회전 운동으로 이동하며, 고정 부재(16)의 회전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360°보다 작은 각도로 일어난다. 고정 부재(16)의 회전 운동은 컨덕터(10)의 부착이 끝날 때까지만 제공된다. 이에 앞서, 고정 부재(16)의 거의 순수한 병진 운동이 일어날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며, 고정 부재(16)는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컨덕터(1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핀의 형태의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된다.
도 8에 도시된 유지 부재(14)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14)는 제1 스루-홀(34) 및 제2 스루-홀(36)을 포함하며, 제1 스루-홀 및 제2 스루-홀은 서로 교차하여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15° 내지 20°의 각도로 오프셋(offset)된다. 제1 스루-홀(34)은 내부 나사산(24)을 포함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스루-홀의 하나의 측면(74) 상에만 설계되고, 측면(74)은 상기 제1 스루-홀을 지난(transferring) 후 제2 스루-홀(36)에 스위칭된다.
컨덕터(10)를 부착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 부재(16)는 개방 단부(28)가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위치할 때까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수하게 병진 운동으로 먼저 제2 스루-홀(36)을 통해 인도된다. 고정 부재(16)가 컨덕터(10)의 표면에 접촉된 후, 고정 부재(16)는 제2 스루-홀(36)로부터 제1 스루-홀(34)로 스위블(swiveling)되고, 이에 의해 고정 부재(16)의 외부 나사산(30)은 제1 스루-홀(34)의 내부 나사산(24)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6)의 회전 운동은 고정 부재(16)가 변압기 하우징(12) 상의 컨덕터(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360°보다 작은 각도로, 고정 부재(16)의 짧은 트위스트만이 요구된다.
도 10에는 최종 위치가 도시된다. 고정 부재(16)의 스위블 운동(swivel movement)은 제1 스루-홀(34)로부터 제2 스루-홀(36)로 바람직하게는 약 15°의 각도로 일어난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며, 고정 부재(16)는 베이어닛 캐치의 형태로 유지 부재(14)에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 부재(16)는 순수하게 병진 운동으로 유지 부재(14)의 스루-홀(18)을 통해 인도된다. 스루-홀(18) 내에 제공되는 핀(76)은, 버스 바(bus bar)(10)의 표면 상에 고정 부재(16)의 최종적 고정에 영향을 주기 위해, 나사산-형 가이드(40) 내의 홈(groove)(38) 내에서 고정 부재(16)의 회전 운동으로 래치시킬 수 있을 때까지, 고정 부재(16) 상의 나사산-형 가이드(40)를 따라 가이드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베이어닛 캐치가 각 고정 부재(16)에 대해 제공된다.
도 12 및 도 13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장치를 도시하며, 고정 부재(16)는 스크루의 형태로 설계되고, 고정 부재(16)는 고정 부재(16) 상의 특정 영역에만 제공되는 외부 나사산(30)을 포함한다. 외부 나사산(30)은 하나 이상의 영역(62)에 의해 중단되며, 영역(62)은 고정 부재(1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따라서 외부 나사산 또는 나사산들(30)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의 각도로 고정 부재(16)의 종축(54) 주위에만 설계된다.
도 13은 내부로 배열된 고정 부재(16)가 없는 상태에서의 도 12에 도시된 장치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며, 유지 부재(14)가 인식될 수 있으며, 이는 고정 부재(16)를 삽입하기 위한 스루-홀(18)을 포함하고, 스루-홀(18)은 내부 나사산(24)을 포함하며, 이는 스루-홀(18) 내의 영역에만 제공된다. 3개 섹션의 내부 나사산(24)이 제공되며, 상기 3개의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스루-홀(18)의 내부 원주(64) 주위로 20° - 180°, 바람직하게는 45° - 90°의 각도로만 연장된다. 고정 부재(16)가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될 때, 고정 부재(16)는 유지 부재(14) 내로 삽입되고, 외부 나사산(30)을 포함하지 않는 도 12에 도시된 영역(62)이 내부 나사산(24)이 제공되는 유지 부재(14)의 스루-홀(18)의 내부 원주(64)를 따라 인도된다. 고정 부재(16)의 외부 나사산(30)은, 고정 부재(16)의 개방 단부(28)가 컨덕터(10) 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기 유지 부재의 내부 나사산(24) 내로 나사 고정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고정 부재(16)는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컨덕터(10)를 최종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360°의 각도로 회전 운동 또는 트위스트 운동만 해야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며, 고정 부재(16)는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되는 나사핀의 형태로 디자인된다.
도 15에서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14)는 스루-홀(18)을 포함하며, 추가 구성요소(42)가 유지 부재(14) 상의 스루-홀(18)의 영역 내로 삽입되고, 이는 스루-개구(66)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내부에 배열되는 내부 나사산(24)도 포함한다. 추가 구성요소(42)는 화살표(68)를 따라 유지 부재(14)의 내부로 슬라이딩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추가 구성요소(42)는 유지 부재(14)의 외부에 제공되는 동작면(44)으로 동작하고 및/또는 이동할 수 있다. 도 15는 고정 부재(16)가 인도되지 않은 유지 부재(14)를 도시한다.
도 16은 유지 부재(14)를 도시하며, 고정 부재(16)가 유지 부재(14)의 스루-홀(18)을 통해 인도된다. 고정 부재(16)를 삽입하기 위하여, 추가 구성요소(42)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고정 부재(16)는, 상기 고정 부재의 개방 말단(28)이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위치할 때까지, 고정 부재(16)가 추가 구성요소(42)의 내부 나사산(24)에 결합되지 않고, 유지 부재(14)의 스루-홀(18) 및 추가 구성요소(42)의 스루-홀(66)을 통해 자유롭게 인도될 수 있다. 고정 부재(16)가 컨덕터(10) 상에 위치하면, 추가 구성요소(42)는, 추가 구성요소(42)의 내부 나사산(24)이 그 위치에 고정 부재(16)를 고정할 수 있을 때까지, 우측으로 이동될 것이다. 추가 구성요소(42)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 설계되며, 이에 의해, 추가 구성요소(42)는 프리-텐션 하중(pre-tension load) 하에서 동작면(44)으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 부재(16)를 풀기 위해, 추가 구성요소(42)는 도 16에 도시된 고정 상태로부터 좌측으로 다시 이동될 수 있으며, 내부 나사산(24)은 외부 나사산(30)으로부터 풀릴 수 있으며, 고정 부재(16)는 다시 유지 부재(14)의 스루-홀(18)의 밖으로 인도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며, 고정 부재(16)는 나사핀의 형태로 유지 부재(14) 상에 제공되는 스루-홀(18)을 통해 인도되고, 유지 부재(14)는 외측면(70) 상에 래치 기구(48)를 갖는다. 고정 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14) 내에 사전-설치(pre-install)된다. 유지 부재(14)는, 유지 부재(14)와 컨덕터(1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컨덕터(10)의 방향으로 컨덕터(10)로부터 떨어져서 병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래치 기구(48)는 마운팅 부재(52)의 래치 부재(50) 내에 결합되고 마운팅 부재(52)는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직접 배열된다. 이러한 설계로 컨덕터(10)를 고정하기 위하여, 유지 부재(14)가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받쳐질(resting) 때까지, 유지 부재(14)는 먼저 컨덕터(10)의 방향으로 래치 기구(48)로 이동한다. 유지 부재(14)가 컨덕터(10) 상에 받쳐지면, 고정 부재(16)는, 고정 부재(16)가 유지 부재(14) 내에 제공되는 내부 나사산(24)으로 추가 구성요소(42) 내에 결합될 때까지, 먼저 유지 부재(14) 내에서 병진 운동으로 컨덕터(10)의 방향으로 인도된다. 추가 구성요소(42)는 별도로 설계되거나 유지 부재(14)의 고정된 구성요소로, 바람직하게는 유지 부재(14)와 단일 부분으로 설계될 수 있다. 고정 부재(16)의 외부 나사산(30)이 추가 구성요소(42)의 내부 나사산(24)과 결합되는 것에 의해, 컨덕터(10) 방향으로의 고정 부재(16)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며, 컨덕터(10)는 유지 부재(14)에 더하여 고정 부재(16)로 고정될 것이며, 이는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개방 단부(28)가 받쳐지게 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설계를 분해 조립도로 도시하며, 개별 부재들은 별개로 도시되고, 내부 나사산(24)이 바람직하게는 추가 구성요소(42) 내에 설계되며, 추가적으로 유지 부재(14) 내에 삽입된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컨덕터: 10
변압기 하우징: 12
유지 부재: 14
고정 부재: 16
스루-홀: 18
스프링 암: 20
래치 부재: 22
내부 나사산: 24
화살표: 26
개방 말단: 28
외부 나사산: 30
래치 탭: 32
제1 스루-홀: 34
제2 스루-홀:36
홈: 38
나사산-형 가이드: 40
추가 구성요소: 42
동작면: 44
동작 부재: 46
래치 장치: 48
래치 부재:50
마운팅 부재: 52
종축: 54
슬리브: 58
외측면: 60
영역:62
내부 원주: 64
스루-영역: 66
화살표: 68
외부 영역: 70
스루-홀: 72
측면 영역: 74
핀: 76

Claims (10)

  1. 변압기 하우징(12) 상에 배열되며, 컨덕터(10)가 상기 변압기 하우징(12)에 고정될 때 상기 컨덕터(10)의 표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받쳐지는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되는 고정 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16)는, 상기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한 상기 컨덕터(10)의 미고정 상태로부터 고정 상태로의 전환 시, 상기 고정 부재(16)가 상기 유지 부재(14) 내에서 종축(54)을 따라 상기 컨덕터(10)의 방향으로 병진 운동을 수행한 다음, 상기 종축(54) 주위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6)는 상기 회전 운동 중에 상기 종축(54) 주위로 360°보다 작은 각도로 트위스트 운동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14)의 내부에는 내부 나사산(inner thread)(24)이 제공되고,
    상기 유지 부재(14)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 부재(16) 상에 제공되는 외부 나사산(30)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나사산(24)은 상기 유지 부재(14) 내에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성요소(42) 상에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구성요소(42)는 상기 유지 부재(14)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14)는 상기 고정 부재(16)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스루-홀(through-hole)(34) 및 제2 스루-홀(36)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루-홀(34)과 상기 제2 스루-홀(36)은 서로 교차하여 배열되고, 상기 내부 나사산(2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스루-홀(34) 내에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14)는, 상기 유지 부재(14)를 통해 인도되는 상기 고정 부재(16)에 대하여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가능한 래치 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14) 상으로 슬리브(58)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14)는, 상기 유지 부재(14)와 상기 컨덕터(1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그 외측면(7) 중 하나 상에 래치 기구(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6)는, 상기 유지 부재와의 연결을 위하여 베이어닛 캐치(bayonet ca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압기 하우징(12)에 대해 컨덕터(10)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KR1020127018773A 2009-12-17 2010-12-17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KR101354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9007.2A DE102009059007B4 (de) 2009-12-17 2009-12-17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tromleiters an einem Stromwandlergehäuse
DE102009059007.2 2009-12-17
PCT/EP2010/070164 WO2011073434A1 (de) 2009-12-17 2010-12-17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tromleiters an einem stromwandler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448A true KR20120093448A (ko) 2012-08-22
KR101354493B1 KR101354493B1 (ko) 2014-01-23

Family

ID=4363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773A KR101354493B1 (ko) 2009-12-17 2010-12-17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120315778A1 (ko)
EP (1) EP2513922B1 (ko)
JP (1) JP2013514650A (ko)
KR (1) KR101354493B1 (ko)
CN (1) CN102714087B (ko)
AU (1) AU2010332739B2 (ko)
BR (1) BR112012014595A2 (ko)
CA (1) CA2783702A1 (ko)
DE (2) DE102009059007B4 (ko)
MX (1) MX2012006642A (ko)
RU (1) RU2510541C1 (ko)
SG (1) SG181646A1 (ko)
WO (1) WO2011073434A1 (ko)
ZA (1) ZA201204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59008B4 (de) * 2009-12-17 2015-04-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tromleiters an einem Stromwandlergehäuse
WO2012045885A1 (de) 2010-10-07 2012-04-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tromleiters an einem stromwandlergehäuse
DE102010038042B4 (de) * 2010-10-07 2013-08-0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Montageanordn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tromleiters an einem Stromwandlergehäuse
WO2012045884A1 (de) 2010-10-07 2012-04-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ösbaren befestigung eines stromleiters an einem stromwandlergehäuse
EP2722679A1 (en) * 2012-10-18 2014-04-23 ABB Technology AG Fastening means for current and/or voltage sensor
US10927878B2 (en) * 2017-02-23 2021-02-23 James R. Rothgeb, JR. Quick fastener
CN109873369B (zh) * 2019-01-28 2020-03-24 九江职业技术学院 一种电子线束加工用穿管装置
CN112735737B (zh) * 2020-12-09 2023-02-14 安徽华能集团电器有限公司 对线缆夹紧且便于安装的开放式高饱和电压互感器
CN112730903B (zh) * 2020-12-14 2022-05-24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计量装置上的电流互感器辅助安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428A (en) * 1882-03-28 Nut-lock
US1589307A (en) * 1925-08-28 1926-06-15 Henry M Svebilius Releasable nut for clamps or the like
US2290900A (en) * 1942-02-26 1942-07-28 William H Thomas Battery cable fixture
CH380207A (de) * 1960-04-02 1964-07-31 Arthur Flury Ag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ungen
DE1874873U (de) * 1963-04-29 1963-07-04 Hans Dr Ing Ritz Niederspannungsstromwandler mit durchsichtiger abdeckung fuer klemmen und leistungsschild.
JPS4522577Y1 (ko) * 1966-04-23 1970-09-07
SU489178A1 (ru) * 1972-03-21 1975-10-25 Трансформатор тока
JPS49593U (ko) * 1972-04-05 1974-01-07
US3878757A (en) * 1973-04-02 1975-04-22 Jr William V Puklus Automatic locking sliding nut
JPS5150493U (ko) * 1974-10-16 1976-04-16
JPS5467158A (en) * 1977-11-08 1979-05-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Quick fastening bolt
JPS5836620U (ja) * 1981-09-04 1983-03-10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二分割ナツト
JPS58167307U (ja) * 1982-05-06 1983-11-08 藤川 具二 ネジ
US4603376A (en) * 1984-06-19 1986-07-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Terminal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and similar apparatus
JPS6120219U (ja) * 1984-07-06 1986-02-05 レッキス工業株式会社 パイプカツタ
JPS61141811U (ko) * 1985-02-25 1986-09-02
JPS6283508A (ja) * 1985-10-07 1987-04-17 駒崎 宣之 チユ−ブ型綴合ピン
JPH0451933Y2 (ko) * 1986-11-06 1992-12-07
JPH0272602U (ko) * 1988-11-21 1990-06-04
JPH03119604U (ko) * 1990-03-23 1991-12-10
KR100210238B1 (ko) * 1991-11-20 1999-07-15 다카토 나카지마 자기고정장치
US5558481A (en) * 1994-01-28 1996-09-24 Park; Joon Self-locking quick disengagement nut for clamps and the like
JPH1042981A (ja) * 1996-07-31 1998-02-17 Nikko Kogyo Kk 機器用調整脚
FR2757581B1 (fr) * 1996-12-19 1999-03-05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fixation a demontage rapide pour vehicule automobile
JPH10196630A (ja) * 1997-01-13 1998-07-31 Takehiko Ueki 締結器
DE19733852A1 (de) * 1997-08-05 1999-02-11 Broeder Marie Luise Schienenstromwandler mit formschlüssiger Primärschienenklemme
DE19833150C1 (de) * 1998-07-23 1999-10-14 Moeller Gmbh Anschlußklemme
JP2000055025A (ja) * 1998-08-03 2000-02-22 Naoki Kasahara 分割螺合機構
JP2000274419A (ja) * 1999-03-26 2000-10-0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クイック脱着用ナット装置
JP4326628B2 (ja) * 1999-06-23 2009-09-09 隆雄 樋脇 鋼材接続レンチ用引抜き・合わせナット
US6267612B1 (en) * 1999-12-08 2001-07-31 Amphenol Corporation Adaptive coupling mechanism
JP2002081430A (ja) * 2000-09-07 2002-03-22 Amachi:Kk 押し込み式プラスチックナット
DE10064375A1 (de) * 2000-12-21 2002-06-27 Sw Stanzwerk Glarus Ag Glarus Schnellbefestigungsmutter
JP2003184846A (ja) * 2001-12-18 2003-07-03 Suzuki Precion Co Ltd 雄ねじが雌ねじと螺合する雌ねじ孔と雄ねじが雌ねじと螺合しない孔を兼ね備えたナ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7658582B2 (en) * 2003-07-09 2010-02-09 Ortho Innovations, Llc Precise linear fastener system and method for use
DE20211764U1 (de) * 2002-07-31 2002-10-17 Wincor Nixdorf Int Gmbh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e mit einem Gewinde versehene Baugruppe
EP1406022B1 (en) * 2002-10-04 2006-06-07 Southco, UK Ltd Stud fastener
CN2795529Y (zh) * 2005-04-14 2006-07-12 苏州橡林洁具制品有限公司 连接装置
JP2007187228A (ja) * 2006-01-12 2007-07-26 Toyota Motor Corp 遊星差動ネジ型回転−直動変換機構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2007187278A (ja) * 2006-01-16 2007-07-26 Misako Sato スリーブナット
JP2007282705A (ja) * 2006-04-13 2007-11-01 Nagatoshi Oshiumi 陳列用フックの取付け具
JP2007288337A (ja) * 2006-04-13 2007-11-01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結合装置
JP5283051B2 (ja) * 2006-09-19 2013-09-04 日本発條株式会社 緩み防止ナット
US8011978B2 (en) * 2008-09-22 2011-09-06 Siemens Industry, Inc. Retainer, lay-in lug assembly nut plate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15778A1 (en) 2012-12-13
KR101354493B1 (ko) 2014-01-23
CN102714087B (zh) 2016-10-26
DE202009018967U1 (de) 2015-01-15
CA2783702A1 (en) 2011-06-23
WO2011073434A1 (de) 2011-06-23
EP2513922B1 (de) 2020-01-22
EP2513922A1 (de) 2012-10-24
JP2013514650A (ja) 2013-04-25
AU2010332739A1 (en) 2012-06-21
ZA201204022B (en) 2013-02-27
RU2012129434A (ru) 2014-01-27
SG181646A1 (en) 2012-07-30
RU2510541C1 (ru) 2014-03-27
CN102714087A (zh) 2012-10-03
MX2012006642A (es) 2012-06-25
DE102009059007B4 (de) 2015-04-09
AU2010332739B2 (en) 2014-03-13
DE102009059007A1 (de) 2011-06-22
BR112012014595A2 (pt)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493B1 (ko) 변압기 하우징에 대해 컨덕터의 탈착가능한 부착을 위한 장치
US10230179B2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with a two-part operating element
KR101443661B1 (ko) 전류 도체를 변류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장치
JP6178423B2 (ja) 接触式のドアスイッチ、特に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用接触式ドアスイッチ
US9648766B1 (en) Junction box
KR101444092B1 (ko) 전기적 도체를 변류기 하우징으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장치
AU2020307108B2 (en) Gripping tool
JP5701402B2 (ja) ケーブルアウトレットソケットにケーブルを固定する装置
US10644442B2 (en) Plug connector part with strain relief
JP2013514647A (ja) 導体を変圧器ハウジングに取り付ける取り外し可能な締結具のための装置
JP5797696B2 (ja) 間接活線工具用アダプタ
KR102671837B1 (ko) 그립 공구
TWI839538B (zh) 夾持工具
KR101509962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록킹장치
CN210926970U (zh) 一种线束安装夹具
KR20160081063A (ko) 차량용 블럭
JP5416646B2 (ja) ランプソケット装置及び照明器具
CN103155061B (zh) 用于可分离地将电流导体固定至电流互感器壳体的装置
KR20230062874A (ko)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ITMI20110798A1 (it) Contatto elettrico a barra lineare elastica e morsetto comprendente tale contatto elettr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