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016B1 -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016B1
KR102477016B1 KR1020217031486A KR20217031486A KR102477016B1 KR 102477016 B1 KR102477016 B1 KR 102477016B1 KR 1020217031486 A KR1020217031486 A KR 1020217031486A KR 20217031486 A KR20217031486 A KR 20217031486A KR 102477016 B1 KR102477016 B1 KR 102477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state
operating
gripping par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487A (ko
Inventor
고지 쓰보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Publication of KR2021012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간이한 조작으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한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파지 공구는,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와, 제1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파지부를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와, 조작 부재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제2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제3 부재와,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로크 기구는, 제2 파지부가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로크 상태와, 제2 파지부가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한다. 또, 로크 기구는, 제3 부재에 설치된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본 발명은,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 공구가 알려져 있다.
관련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간접 활선 파지 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간접 활선 파지 공구는, 파지 기구와, 절연 조작봉과, 맞물림 부재와,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파지 기구는, 고정 파지부와 가동 파지부를 가진다. 절연 조작봉은, 조작봉 본체와, 조작봉 본체의 내측에 배치된 축심측 부재를 가진다. 조작봉 본체는, 축심측 부재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간접 활선 파지 공구에서는, 조작봉 본체를 파지 기구 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로크 기구가 작동한다. 로크 기구의 작동 상태에서는, 가동 파지부가 고정 파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절연 조작봉을 회전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조작봉 본체를 파지 기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로크 기구의 로크가 해제된다. 그 결과, 가동 파지부가 고정 파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절연 조작봉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5-16573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이한 조작으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한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파지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파지부를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로크 상태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로크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3 부재에 설치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파지 공구.
(2) 상기 조작 부재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파지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상태로의 전환 양쪽 모두가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파지 공구.
(3) 상기 조작 부재가 제2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때까지는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이상 회전하면, 상기 로크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파지 공구.
(4)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에 대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1 면과, 상기 제3 부재에 대한 상기 조작 부재의 하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2 면
을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지 공구.
(5)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지 공구.
(6)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로크 기구의 상태를, 상기 로크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압압부(壓押部)를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지 공구.
(7) 상기 조작 부재는, 원격 조작봉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파지 공구.
(8)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파지 공구는,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파지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파지부를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로크 상태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로크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 방법은,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에 파지 대상물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조작 부재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에 의해 상기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 공정은,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의 간격을 축소하는 간격 축소 공정과,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로크 기구의 상태를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제1 전환 공정
을 포함하는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9) 상기 제1 파지부 및 상기 제2 파지부에 의한 상기 파지 대상물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파지 해제 공정은,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로크 기구의 상태를 상기 로크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전환 공정과,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간격 확대 공정
을 포함하는
상기 (8)에 기재된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본 발명에 의해, 간이한 조작으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한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공정을 실행 중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6은,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공정을 실행 중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7은,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공정을 실행 중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8은,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공정을 실행 중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9는,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공정을 실행 중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종의 기능을 가지는 부재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가 붙여진 부재에 대하여, 반복되는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방향의 정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2 파지부(2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파지면(21a))로부터 제1 파지부(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파지면(11a))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DR1)이라고 정의하고, 제1 방향(DR1)과는 반대 방향을 제2 방향(DR2)이라고 정의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파지 공구(1A)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와, 제3 부재(30)와, 조작 부재(40)와, 로크 기구(M)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0)는, 제1 파지부(11)를 포함한다. 또,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0)는, 파지 대상물을 받아들이는 개구(OP)를 구비한 구조 부재이다.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0)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C자형상을 가지는 부재인데, 제1 부재(1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부재(10)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파지부(11)는, 파지 대상물에 접촉하는 제1 파지면(11a)을 가진다. 제1 파지면(11a)은, 예를 들면, 만곡면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20)는, 제2 파지부(21)를 포함한다.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20)는, 제2 파지부(21)에 더하여, 나사봉(23)을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나사봉(23)은,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23m)를 가진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20)는, 제2 파지부(21)를 구성하는 부품과, 나사봉(23)을 구성하는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제2 부재(20)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3개 이상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파지부(21)는, 파지 대상물에 접촉하는 제2 파지면(21a)을 가진다. 제2 파지면(21a)은, 예를 들면, 만곡면이다.
조작 부재(40)는, 제1 방향(DR1)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파지부(21)를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조작 부재(40)가 조작되면, 제1 파지부(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파지면(11a))와, 제2 파지부(2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파지면(21a)) 사이의 간격이 변화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되면,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조작 부재(40)가 제1 회전 방향(R1)과는 반대인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되면,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조작 부재(40)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제2 부재(20)에 나사 결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부재(30)는, 조작 부재(40)의 암나사부(43f)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33m)를 구비한다. 또, 제3 부재(30)는, 제2 부재(20)의 수나사부(23m)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33f)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조작 부재(40)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제2 부재(20)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의 길이축 방향을 따라,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한편,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2 부재(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제2 부재(20)는, 제3 부재(30)의 길이축 방향을 따라,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방향(DR1)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3 부재(30)를 기준으로 해서 봤을 경우,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조작 부재(40)는, 제1 방향(DR1)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 제3 부재(30)를 기준으로 해서 봤을 경우,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2 부재(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제2 부재(20)는, 제1 방향(DR1)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로크 기구(M)는,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제2 방향(DR2)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로크 상태와,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제2 방향(DR2)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기구이다. 또한, 로크 상태는, 실질적으로,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확대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로크 기구(M)가 로크 상태인 경우, 파지 대상물이 파지 공구(1A)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한편, 로크 해제 상태는,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확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로크 기구(M)는, 상술한 제3 부재(30)에 설치된 결합부(35)를 포함한다. 결합부(35)가 제3 부재(30) 이외의 부재(예를 들면, 제2 결합부(15))와 결합함으로써, 로크 기구(M)가 로크 상태가 된다. 또한, 로크 상태에서는,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제2 방향(DR2)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어 있는데,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제1 방향(DR1)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은 허용되어도 된다. 대체적으로, 로크 상태에 있어서,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제2 방향(DR2)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에 더하여, 제2 파지부(21)가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제1 방향(DR1)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의 길이축 방향(바꾸어 말하면, 제1 방향(DR1)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의 전환이 행해진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또,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20)가, 제3 부재(30)의 길이축 방향(바꾸어 말하면, 제1 방향(DR1)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이 변화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A)에서는, 제3 부재(30)가, 조작 부재(40)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제2 부재(20)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술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의 전환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A)에서는, 간이한 조작으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에 파지 대상물을 배치한 후,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제3 부재(30)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부재(20)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에 의해 파지 대상물이 파지된다.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에 의해 파지 대상물이 파지된 후에, 추가로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제2 부재(20)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2 부재(20)가 상대 회전하는 대신에, 제3 부재(30)에 대하여 조작 부재(40)가 상대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에 의해 파지 대상물이 파지된 후에, 추가로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조작 부재(40)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에 설치된 압압부(46)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로크 기구(M)가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결합부(35)가 제2 결합부(15) 등의 다른 부재와 결합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파지부(21)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 및,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상태로의 전환 양쪽 모두가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파지 대상물의 파지와, 로크 상태로의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에 의해 파지 대상물이 파지된 후,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또한, 제2 회전 방향(R2)은, 제1 회전 방향(R1)과는 반대 방향이다.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조작 부재(40)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도 3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에 설치된 압압부(46)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고, 로크 기구(M)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결합부(35)와 제2 결합부(15) 등의 다른 부재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가 제2 회전 방향(R2)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소정 각도는, 360도 이상 1080도 이하의 임의의 각도이다) 회전할 때까지는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40)가 제2 회전 방향(R2)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진다. 이 경우, 작업자가 실수로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킨 경우여도, 즉시 로크가 해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작업자 및/또는 작업자 주위에 있는 사람의 안전이 확보된다.
로크 기구(M)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가 된 후, 추가로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제3 부재(30)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부재(20)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파지부(11) 및 제2 파지부(21)에 의한 파지 대상물의 파지가 해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의 전환, 및, 제1 파지부(11) 및 제2 파지부(21)에 의한 파지 대상물의 파지 해제 양쪽 모두가 실행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로크 해제 상태로의 전환과, 파지 대상물의 파지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부재(20), 제3 부재(30), 및, 조작 부재(40)의 일례)
도 1을 참조하여, 제2 부재(20), 제3 부재(30), 및, 조작 부재(40)의 일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부재(20)는, 나사봉(23)을 구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나사봉」이란,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봉형 부분을 구비한 부재를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나사봉은,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나사봉이어도 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암나사봉이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에 대한 제2 부재(20)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210)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제3 부재(30)가 제1 부재(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때에, 제2 부재(20)가 제1 부재(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3 부재(30)는, 제2 부재(20)(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봉(23))에 나사 결합하는 제1 나사부(33f)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3 부재(30)가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면, 제2 부재(20)의 제2 파지부(21)는, 제1 파지부(11)를 향하는 방향(바꾸어 말하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또, 제3 부재(30)가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대 회전하면, 제2 부재(20)의 제2 파지부(21)는, 제1 파지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바꾸어 말하면,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나사부(33f)는, 암나사부이다. 대체적으로, 제1 나사부는, 수나사부여도 된다.
제3 부재(30)는, 조작 부재(40)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사부(33m)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면, 조작 부재(40)는 제1 파지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바꾸어 말하면,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또,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대 회전하면, 조작 부재(40)는 제1 파지부(11)에 근접하는 방향(바꾸어 말하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나사부(33m)는, 수나사부이다. 대체적으로, 제2 나사부는, 암나사부여도 된다. 또한, 제3 부재(30)의 제2 나사부(33m)는, 제3 부재(30)의 제1 나사부(33f)와는 동 방향의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3 부재(30)의 제1 나사부(33f)가 왼나사인 경우, 제3 부재(30)의 제2 나사부(33m)는 왼나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3 부재(30)의 제1 나사부(33f)가 오른나사인 경우, 제3 부재(30)의 제2 나사부(33m)는 오른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부재(30)의 제1 나사부(33f) 및 제3 부재(30)의 제2 나사부(33m)가 왼나사인 경우,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제2 부재(20)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3 부재(30)의 제1 나사부(33f) 및 제3 부재(30)의 제2 나사부(33m)가 오른나사인 경우,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제2 부재(20)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가 조작될 때, 조작 부재(40)의 나사부(43f)와 제3 부재(30)의 제2 나사부(33m) 사이의 마찰력은, 제3 부재(30)의 제1 나사부(33f)와 제2 부재(20)의 나사부(23m) 사이의 마찰력보다 큰데, 대체적으로, 전자의 마찰력이 후자의 마찰력보다 작아도 상관없다. 상세한 것은 후술되는데,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조작되면, 제2 파지부(21)가 파지 대상물(W)에 맞닿을 때까지는, (마찰력이 보다 작은 쪽인)제3 부재(30)의 제1 나사부(33f)와 제2 부재(20)의 나사부(23m)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나사봉(23)이 파지 대상물(W)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출한다. 제2 파지부(21)가 파지 대상물(W)에 맞닿은 후, 추가로 조작 부재(4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조작되면, (마찰력이 보다 큰 쪽인)조작 부재(40)의 나사부(43f)와 제3 부재(30)의 제2 나사부(33m)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조작 부재(40)가 파지 대상물(W)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의 제2 면(32)에 맞닿은 후, 추가로 조작 부재(4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조작되면, 다시, 나사봉(23)이 파지 대상물(W)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출한다. 그 결과, 파지 대상물(W)이 조작 부재(40)가 비틀어 돌려지는 힘에 따른 압압력에 의해, 제2 파지부(21)와 제1 파지부(11)에 의해 강력하게 파지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제3 부재(30)의 중심축 둘레로 제1 부재(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부재(10)에 장착되어 있다. 또, 제3 부재(30)는, 제1 방향(DR1)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부재(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도록, 제1 부재(1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상술한 결합부(35)를 구비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35)는,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톱니(35a)(보다 구체적으로는, 래칫 톱니)를 포함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제3 부재(30)에 대한 조작 부재(40)의 상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1 면(31)과, 제3 부재(30)에 대한 조작 부재(40)의 하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2 면(3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조작 부재(40)는, 제1 면(31)에 의해 규정되는 상한 위치와 제2 면(32)에 의해 규정되는 하한 위치 사이의 범위 내에서,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파지부(2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파지면(21a))로부터 제1 파지부(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파지면(11a))를 향하는 방향이 상방향으로 간주된다. 대체적으로, 제1 파지부(1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파지면(11a))로부터 제2 파지부(21)(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파지면(21a))를 향하는 방향이 상방향으로 간주되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제2 부재(20)의 외측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양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부재인데, 제3 부재(30)는, 일단이 폐쇄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부재여도 된다. 또한, 제3 부재(30)의 형상은 통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3 부재(30)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43f)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당해 나사부(43f)는, 암나사부인데, 당해 나사부(43f)는, 수나사부여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는, 상술한 제1 면(31)에 접촉 가능한 제3 면(44)을 구비한다. 당해 제3 면(44)이 제1 면(31)에 접촉하는 위치가 조작 부재(40)의 상한 위치이다. 또, 조작 부재(40)는, 상술한 제2 면(32)에 접촉 가능한 제4 면(45)을 구비한다. 당해 제4 면(45)이 제2 면(32)에 접촉하는 위치가 조작 부재(40)의 하한 위치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는, 로크 기구(M)의 상태를,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압압부(46)를 구비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압압부(46)는, 조작 부재(40)의 제1 방향(DR1)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압압부(46)는, 예를 들면, 환상의 돌출부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의 외측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는, 양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조작 부재(40)의 형상은 통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조작 부재(40)는, 1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되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거나, 혹은,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한다.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면,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한편,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면, 제2 부재(20)는, 제3 부재(30)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또,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가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되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대 회전하거나, 혹은,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대 회전한다.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대 회전하면,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한편,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와 함께,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대 회전하면, 제2 부재(20)는, 제3 부재(30)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한 상대 상한 위치에 있을 때에,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제3 부재(30)에 전달되고, 제3 부재(30)는 조작 부재(40)와 함께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한다. 또, 제3 부재(30)가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면, 제2 파지부(21)를 구비한 제2 부재(20)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파지부(21)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의 제3 부재(30)로의 전달은, 조작 부재(40)와 제3 부재(30) 사이의 마찰에 의해 행해져도 되고, 조작 부재(40)와 제3 부재(30) 사이의 결합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의 제3 부재(30)로의 전달은, 조작 부재(40)의 제3 면(44)과 제3 부재(30)의 제1 면(31) 사이의 마찰에 의해 행해진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한 상대 상한 위치와 제3 부재(30)에 대한 상대 하한 위치 사이의 위치에 있을 때에,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한다. 조작 부재(40)가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면,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당해 이동에 의해, 로크 기구(M)의 상태가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로크 기구(M)의 일례)
도 2를 참조하여, 로크 기구(M)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기구(M)는, 제3 부재(30)에 설치된 결합부(35)와, 제1 부재(10)에 설치된 제2 결합부(15)를 포함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35)는, 환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톱니(35a)를 포함하고, 제2 결합부(15)는, 복수의 톱니(35a) 중 어느 한쪽에 결합 가능한 돌출부(15a)(보다 구체적으로는, 클로부)를 포함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35)가 복수의 톱니(35a)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15)가 적어도 1개의 돌출부(15a)를 구비한다. 대체적으로, 결합부(35)가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제2 결합부(15)가 복수의 톱니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대체적으로, 결합부(35) 및 제2 결합부(15) 각각이 복수의 톱니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35)와 제2 결합부(15)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3 부재(30)는,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2 회전 방향(R2)으로 상대 회전할 수 없다. 또, 제3 부재(3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2 파지부(21)를 가지는 제2 부재(20)를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킬 수도 없다. 이상과 같이, 결합부(35)와 제2 결합부(15)가 결합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바꾸어 말하면, 로크 기구(M)가 로크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3 부재(30)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할 수 없어, 파지 대상물의 파지를 해제하는 방향(바꾸어 말하면, 제2 방향(DR2))으로, 제2 파지부(21)를 이동시킬 수도 없다.
한편,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부(35)와 제2 결합부(15)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3 부재(30)는,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제3 부재(30)를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면, 제2 결합부(15)가 결합부(35)의 적어도 1개의 톱니(35a)를 타고 넘는다. 제2 결합부(15)가 결합부(35)의 적어도 1개의 톱니(35a)를 타고 넘은 후, 제2 결합부(15)는, 결합부(35)의 다른 톱니와 결합하게 된다. 대체적으로, 결합부(35) 및/또는 제2 결합부(15)의 형상을 설계 변경함으로써, 결합부(35)와 제2 결합부(15)가 결합한 상태에서는, 제3 부재(30)가 제1 부재(1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 및 제2 회전 방향(R2)의 양쪽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없도록 해도 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로크 기구(M)는, 제2 결합부(15)(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결합부(15)를 가지는 결합 부재(K2))를, 결합부(35)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16)를 가진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0)의 압압부(46)가 제2 결합부(15)(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결합부(15)를 가지는 결합 부재(K2))를 압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로크 기구(M)는, 자동적으로 로크 상태(바꾸어 말하면, 결합부(35)와 제2 결합부(15)가 결합한 상태)가 된다. 한편, 압압부(46)가 탄성 가압 부재(16)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2 결합부(15)를 압압하면, 로크 기구(M)의 상태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 내지 도 9는,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의 일공정을 실행 중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단계(ST1)에 있어서,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에, 파지 대상물(W)이 배치된다. 제1 단계(ST1)는, 예를 들면, 파지 대상물(W)을, 개구(OP)를 통하여,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된다. 파지 대상물(W)은, 예를 들면, 전선 등의 선재, 또는, 와이어 그리퍼 등의 공구이다. 또한, 파지 대상물은, 선재, 공구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단계(ST2)에 있어서,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에 의해 파지 대상물(W)이 파지된다. 제2 단계(ST2)는,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 공정이다. 제2 단계(ST2)(파지 공정)는,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제2 단계(ST2)(파지 공정)는, 제3 부재(30)와 제2 부재(2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축소하는 간격 축소 공정과, 제3 부재(30)와 조작 부재(4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로크 기구(M)를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제1 전환 공정을 포함한다.
간격 축소 공정에서는, 제3 부재(30)와 제2 부재(2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제3 부재(30)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부재(20)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2 부재(20)에 설치된 제2 파지부(21)와 제1 파지부(11) 사이의 간격이 축소한다. 또한, 간격 축소 공정에서는,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제3 부재(30)에 전달되고, 제3 부재(30)가 조작 부재(40)와 함께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한다. 당해 회전력의 전달은, 조작 부재(40)의 위치가 제3 부재(30)에 대한 상대 상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부재(30)의 제1 면(31)과 조작 부재(40)의 제3 면(44)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술한 회전력이 조작 부재(40)로부터 제3 부재(30)로 전달된다.
간격 축소 공정의 실행에 의해,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에 의해 파지 대상물(W)이 파지된다(도 6 참조).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에 의해 파지 대상물(W)이 파지되면, 제2 파지부(21)를 포함하는 제2 부재(20)는, 제1 파지부(1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상대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제1 회전 방향(R1)으로 제3 부재(30)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제3 부재(30)를 회전할 수 없게 되면,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은 제3 부재(30)에 전달되지 않고,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간격 축소 공정의 실행 후, 조작 부재(40)를 추가로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전환 공정이 실행된다. 제1 전환 공정에서는, 제3 부재(30)와 조작 부재(4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조작 부재(40)가 제2 방향(DR2)(보다 구체적으로는, 진출 위치(도 6 참조)로부터 퇴피 위치(도 7 참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작 부재(40)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작 부재(40)의 압압부(46)가 제1 부재(10)에 설치된 제2 결합부(15)로부터 이격한다. 압압부(46)가 제2 결합부(15)로부터 이격하면, 탄성 가압 부재(16)에 의해 결합부(35)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 제2 결합부(15)가 결합부(35)와 결합한다. 이렇게 하여, 로크 기구(M)가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제1 전환 공정에서는, 제3 부재(30)에 대한 조작 부재(40)의 상대 위치가 상대 상한 위치로부터 상대 하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부재(40)의 위치가 상대 상한 위치로부터 상대 하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로크 기구(M)가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확실하게 전환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에서는,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축소하는 간격 축소 공정과, 로크 기구(M)를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제1 전환 공정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간이한 조작으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한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파지 공정(제2 단계(ST2))은, 상술한 간격 축소 공정, 및, 상술한 제1 전환 공정에 더하여, 제2 간격 축소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2 간격 축소 공정은,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더욱 작게 하는 공정이다. 제2 간격 축소 공정은, 재조임 공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2 간격 축소 공정은, 제1 전환 공정의 실행 후, 바꾸어 말하면, 제3 부재(30)에 대한 조작 부재(40)의 상대 위치가 상대 하한 위치로 이동한 후, 조작 부재(40)를 추가로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제2 간격 축소 공정의 실행 중, 조작 부재(40)는 상대 하한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0)는, 제3 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할 수 없다. 이 경우, 조작 부재(40)를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간격 축소 공정과 마찬가지로, 조작 부재(40) 및 제3 부재(30)는,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제3 부재(30)가 제2 부재(20)에 대하여, 제1 회전 방향(R1)으로 상대 회전하면, 제3 부재(30)의 결합부(35)는, 제2 결합부(15)를 타고 넘어 이동한다. 그 결과, 제2 부재(20)는, 제3 부재(30)의 길이축 방향을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1 파지부(11)와 제2 부재(20)에 설치된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이 더욱 작아진다.
또한, 제2 간격 축소 공정에서는,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제3 부재(30)에 전달되고, 제3 부재(30)가 조작 부재(40)와 함께 제1 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한다. 당해 회전력의 전달은, 조작 부재(40)의 위치가 제3 부재(30)에 대한 상대 하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부재(30)의 제2 면(32)과 조작 부재(40)의 제4 면(45)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술한 회전력이 조작 부재(40)로부터 제3 부재(30)로 전달된다.
(파지 해제 공정)
계속해서, 제1 파지부(11) 및 제2 파지부(21)에 의한 파지 대상물(W)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공정(바꾸어 말하면, 제3 단계(ST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단계(ST3)(파지 해제 공정)에서는,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파지부(11) 및 제2 파지부(21)에 의한 파지 대상물(W)의 파지가 해제된다.
제3 단계(ST3)(파지 해제 공정)는, 제3 부재(30)와 조작 부재(4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로크 기구(M)를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전환 공정과, 제3 부재(30)와 제2 부재(2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간격 확대 공정을 포함한다.
제2 전환 공정에서는, 제3 부재(30)와 조작 부재(4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조작 부재(40)가 제1 방향(DR1)(보다 구체적으로는, 퇴피 위치(도 7 참조)로부터 진출 위치(도 8 참조)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작 부재(40)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작 부재(40)의 압압부(46)가 제1 부재(10)에 설치된 제2 결합부(15)를 압압한다. 압압부(46)가 제2 결합부(15)를 압압하면, 결합부(35)와 제2 결합부(15)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렇게 하여, 로크 기구(M)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제2 전환 공정에서는, 제3 부재(30)에 대한 조작 부재(40)의 상대 위치가 상대 하한 위치로부터 상대 상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부재(40)의 위치가 상대 하한 위치로부터 상대 상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로크 기구(M)가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확실하게 전환된다.
제2 전환 공정의 실행 후, 조작 부재(40)를 추가로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간격 확대 공정이 실행된다. 간격 확대 공정에서는, 제3 부재(30)와 제2 부재(20)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제3 부재(30)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부재(20)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2 부재(20)에 설치된 제2 파지부(21)와 제1 파지부(11)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다. 또한, 간격 확대 공정에서는, 조작 부재(4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이 제3 부재(30)에 전달되고, 제3 부재(30)가 조작 부재(40)와 함께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한다. 당해 회전력의 전달은, 조작 부재(40)의 위치가 제3 부재(30)에 대한 상대 상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부재(30)의 제1 면(31)과 조작 부재(40)의 제3 면(44)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술한 회전력이 조작 부재(40)로부터 제3 부재(30)로 전달된다.
간격 확대 공정의 실행에 의해, 제1 파지부(11) 및 제2 파지부(21)에 의한 파지 대상물(W)의 파지가 해제된다(도 9 참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에서는, 조작 부재(40)를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로크 기구(M)의 상태를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전환 공정과,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간격 확대 공정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간이한 조작으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 가능한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을 마친 사항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고 해도,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을 마친 사항을 채용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B)는, 제1 부재(10), 제2 부재(20), 제3 부재(30), 조작 부재(40), 및, 로크 기구(M)를 포함한다. 제1 부재(10), 제2 부재(20), 제3 부재(30), 조작 부재(40), 및, 로크 기구(M)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을 마쳤다. 따라서, 제1 부재(10), 제2 부재(20), 제3 부재(30), 조작 부재(40), 및, 로크 기구(M)에 대하여,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부재(10))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0)는, 결합 부재(K2)를 수용하는 오목부(17)를 구비한다. 또, 제1 부재(10)는, 오목부(17)에 연통하는 긴 구멍(18)을 가진다. 상기 오목부(17)에는, 제3 부재(30)의 결합부(35)와 결합 가능한 결합 부재(K2)가 삽입된다. 또, 긴 구멍(18)에는, 결합 부재(K2)에 장착되는 제1 핀 부재(P1)가 삽입된다. 제1 핀 부재(P1)는, 결합 부재(K2)가 오목부(1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로서 기능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탄성 가압 부재(16) 및 결합 부재(K2)가 오목부(17)에 삽입된 후, 결합 부재(K2)에 제1 핀 부재(P1)가 장착된다. 오목부(17)에 배치된 결합 부재(K2)는, 탄성 가압 부재(1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일부분이 오목부(17) 밖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당해 돌출한 일부분이 제3 부재(30)의 결합부(35)와 결합 가능한 제2 결합부(15)로서 기능한다.
(제2 부재(20))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부재(20)는, 제2 파지부(21)(및, 회전 방지부(210))를 포함하는 부품과, 나사봉(23)을 포함하는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방지부(210)는, 제1 부재(10)와 결합함으로써, 제2 부재(20)가 제1 부재(1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3 부재(30))
제3 부재(30)는, 제1 통형상 부재(36)와, 결합부(35)를 구비한 결합 부재(K1)를 포함한다. 제3 부재(30)는, 빠짐 방지 부재(37), 제1 고정 부재(F1), 스토퍼 부재(38)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통형상 부재(36)는, 제2 부재(20)의 나사봉(23)에 나사 결합하는 제1 나사부(33f)와, 조작 부재(40)에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사부(33m)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나사부가 형성된 부품과, 제2 나사부가 형성된 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제1 통형상 부재(36)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나사부(33f)는, 제1 통형상 부재(3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이며, 제2 나사부(33m)는, 제1 통형상 부재(36)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이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통형상 부재(36)는, 제1 부재(10)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10)에 형성된 관통 구멍(10h)에 제1 통형상 부재(36)를 삽입하고, 그 후, 당해 제1 통형상 부재(36)에 빠짐 방지 부재(37)를 장착함으로써, 제1 통형상 부재(36)가 제1 부재(10)에 장착된다. 또한, 제1 통형상 부재(36)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37)의 고정은, 제1 고정 부재(F1)에 의해 행해진다. 빠짐 방지 부재(37)는, 제1 통형상 부재(36)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나사봉(23)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37)의 상대 위치가 조정된 후, 당해 빠짐 방지 부재(37)가 제1 고정 부재(F1)를 개재하여, 제1 통형상 부재(36)에 고정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 부재(K1)는, 결합부(35)를 가지는 환상의 부재이다. 결합 부재(K1)의 제1 방향(DR1) 측의 단부에는, 결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K1)는, 고정 부재(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고정 부재(F2))를 개재하여, 제1 통형상 부재(36)에 장착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통형상 부재(36)와 결합 부재(K1)는 상대 회전 불가능하다. 대체적으로, 결합 부재(K1)는, 제1 통형상 부재(36)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통형상 부재(36)에 장착되어도 된다.
결합 부재(K1)는, 조작 부재(40)의 상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1 면(31)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 부재(K1)는, 어깨부(Ks)를 구비하고, 당해 어깨부(Ks)의 하면이 조작 부재(40)의 상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1 면(31)으로서 기능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3 부재(30)는, 스토퍼 부재(38)를 구비한다. 스토퍼 부재(38)는, 조작 부재(40)의 하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2 면(32)을 포함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통형상 부재(36)의 외주면에는, 스토퍼 부재(38)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36g)(예를 들면, 환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오목부(36g)에 스토퍼 부재(38)가 장착됨으로써, 제1 통형상 부재(36)와 스토퍼 부재(38)가 일체화된다. 또한, 스토퍼 부재(38)는, 예를 들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C자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결합 부재(K1)의 제1 면(31)과, 스토퍼 부재(38)의 제2 면(32)에 의해, 조작 부재(40)의 가동 범위가 규정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부재(10)와, 제3 부재(30) 사이에 환상의 칼라 부재(39)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40))
도 10 및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는, 원격 조작봉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부(47)(보다 구체적으로는, 홈부)를 포함한다. 조작 부재(40)가 장착부(47)를 구비함으로써, 원격 조작봉을 이용하여, 조작 부재(40)를 조작하는 것(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회전 방향(R1) 및/또는 제2 회전 방향(R2)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체적으로, 조작 부재(40)와 원격 조작봉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조작 부재(40)는, 선단측 부재(401)와, 기단측 부재(402)와, 선단측 부재(401)에 기단측 부재(402)를 고정하는 제3 고정 부재(F3)를 포함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선단측 부재(401)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선단측 부재(401)의 단부(제1 방향(DR1) 측의 단부)에는, 압압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 부재(401)는, 상술한 제1 면(31)에 접촉 가능한 제3 면(44), 및/또는, 상술한 제2 면(32)에 접촉 가능한 제4 면(45)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선단측 부재(401)는, 어깨부(401s)를 구비하고, 당해 어깨부(401s)의 상면이 제3 면(44)으로서 기능한다. 또, 선단측 부재(401)는, 내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01p)를 구비하고, 당해 돌출부(401p)가 상술한 제4 면(45)을 포함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선단측 부재(401)는, 상술한 제2 나사부(33m)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43f)를 구비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당해 나사부(43f)는, 돌출부(401p)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기단측 부재(402)에, 상술한 장착부(4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기단측 부재(402)는, 통형상의 부재이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기단측 부재(402)는, 구획벽(402w)을 구비하는데, 당해 구획벽(402w)은 생략되어도 상관없다.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은, 제1 단계(ST1)(바꾸어 말하면, 제1 파지부(11)와 제2 파지부(21) 사이에 파지 대상물(W)을 배치하는 공정) 전에, 조작 부재(40)의 장착부(47)에 원격 조작봉을 장착하는 장착 공정이 실행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원격 조작봉과 조작 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장착 공정은 생략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각 부재가 복수의 부품의 어셈블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파지 공구(1B)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 형태는 적절히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는 임의의 구성 요소를, 다른 실시 형태에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구성 요소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을 이용하면, 간이한 조작으로, 로크 상태와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파지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지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업자, 및, 파지 공구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에 있어서 유용하다.
1, 1A, 1B: 파지 공구 10: 제1 부재
10h: 관통 구멍 11: 제1 파지부
11a: 제1 파지면 15: 제2 결합부
15a: 돌출부 16: 탄성 가압 부재
17: 오목부 18: 긴 구멍
20: 제2 부재 21: 제2 파지부
21a: 제2 파지면 23: 나사봉
23m: 수나사부 30: 제3 부재
31: 제1 면 32: 제2 면
33f: 암나사부 33m: 수나사부
35: 결합부 35a: 톱니
36: 제1 통형상 부재 36g: 오목부
37: 빠짐 방지 부재 38: 스토퍼 부재
39: 칼라 부재 40: 조작 부재
43f: 암나사부 44: 제3 면
45: 제4 면 46: 압압부
47: 장착부 210: 회전 방지부
401: 선단측 부재 401p: 돌출부
401s: 어깨부 402: 기단측 부재
402w: 구획벽 F1: 제1 고정 부재
F2: 제2 고정 부재 F3: 제3 고정 부재
K1: 결합 부재 K2: 결합 부재
Ks: 어깨부 M: 로크 기구
OP: 개구 P1: 제1 핀 부재
W: 파지 대상물

Claims (10)

  1.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파지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파지부를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로크 상태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로크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3 부재에 설치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파지 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파지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상태로의 전환 양쪽 모두가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파지 공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제2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때까지는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이상 회전하면, 상기 로크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파지 공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가 제2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때까지는 상기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이상 회전하면, 상기 로크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파지 공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3 부재에 대한 상기 조작 부재의 상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1 면과,
    상기 제3 부재에 대한 상기 조작 부재의 하한 위치를 규정하는 제2 면
    을 구비하는, 파지 공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제1 부재에 설치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파지 공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로크 기구의 상태를, 상기 로크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압압부(押壓部)를 구비하는, 파지 공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원격 조작봉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파지 공구.
  9.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으로서,
    상기 파지 공구는,
    제1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와,
    제2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파지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2 파지부를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나사 결합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부재에 나사 결합하는 제3 부재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막는 로크 상태와, 상기 제2 파지부가 상기 제1 파지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로크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 방법은,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에 파지 대상물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조작 부재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에 의해 상기 파지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 공정은,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의 간격을 축소하는 간격 축소 공정과,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로크 기구의 상태를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상태로 전환하는 제1 전환 공정
    을 포함하는,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및 상기 제2 파지부에 의한 상기 파지 대상물의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파지 해제 공정은,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로크 기구의 상태를 상기 로크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전환 공정과,
    상기 제3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파지부와 상기 제2 파지부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간격 확대 공정
    을 포함하는,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KR1020217031486A 2019-06-28 2020-02-21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KR102477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0795 2019-06-28
JP2019120795 2019-06-28
PCT/JP2020/007205 WO2020261638A1 (ja) 2019-06-28 2020-02-21 把持工具、および、把持工具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487A KR20210128487A (ko) 2021-10-26
KR102477016B1 true KR102477016B1 (ko) 2022-12-13

Family

ID=7406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486A KR102477016B1 (ko) 2019-06-28 2020-02-21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97224B2 (ko)
KR (1) KR102477016B1 (ko)
CN (1) CN113853276B (ko)
TW (1) TWI844694B (ko)
WO (1) WO2020261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874A (ko) * 2020-09-14 2023-05-09 가부시키가이샤나가키세이키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CN114393637B (zh) * 2021-12-20 2024-09-06 唐山师范学院 一种高效资料装订用智能打孔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7669A (ja) 2014-03-17 2015-10-05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作業用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2175B1 (ko) * 1973-03-23 1976-04-09 Lambert Pascal
GB2204822B (en) * 1987-03-31 1991-10-09 Duracell Int Holders
IT1306394B1 (it) * 1998-07-15 2001-06-06 Fernando Peggion Utensile a pinza autobloccante a bracci intercambiabili,con congegnodi ancoraggio alla postazione di lavoro
DE19923998A1 (de) * 1999-05-26 2000-12-07 Connectool Gmbh & Co Parallelzange
JP4268745B2 (ja) * 2000-09-01 2009-05-27 名伸電機株式会社 電線絶縁保護管の端末固定具
JP4942561B2 (ja) * 2007-06-19 2012-05-30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
JP5274066B2 (ja) * 2008-03-24 2013-08-28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
DE102009008197A1 (de) * 2009-02-02 2010-08-12 Wiha Werkzeuge Gmbh Zange
TWI565564B (zh) * 2010-04-14 2017-01-11 鴻準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夾持裝置
JP6026184B2 (ja) * 2012-09-05 2016-11-16 株式会社関電工 配線工事における架空配電線等の支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配線工事の作業方法
JP5456140B1 (ja) * 2012-10-19 2014-03-26 中国電力株式会社 把持工具
JP5456143B1 (ja) * 2012-11-09 2014-03-26 中国電力株式会社 把持工具
JP5602259B2 (ja) * 2013-01-23 2014-10-08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作業用の先端工具及び間接活線工具
JP5878192B2 (ja) * 2014-03-03 2016-03-08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把持工具
JP5889940B2 (ja) * 2014-03-17 2016-03-22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作業用工具
CN204294452U (zh) * 2014-11-10 2015-04-29 杭州介通电缆保护管有限公司 一种钢管内壁旋塑机的端部间隙密封机构
KR20160004445U (ko) * 2016-05-12 2016-12-26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KR20160004465U (ko) * 2016-05-30 2016-12-27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간접 활선 공사용 파지 공구
CN108075256A (zh) * 2016-11-16 2018-05-25 刘伟华 电力系统变电维护供电连接装置
JP6881787B2 (ja) * 2017-04-21 2021-06-02 株式会社永木精機 細長工具支持装置、および、細長工具支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7669A (ja) 2014-03-17 2015-10-05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作業用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7224B2 (ja) 2022-12-27
TW202100297A (zh) 2021-01-01
JPWO2020261638A1 (ko) 2020-12-30
CN113853276B (zh) 2023-10-31
TWI844694B (zh) 2024-06-11
CN113853276A (zh) 2021-12-28
WO2020261638A1 (ja) 2020-12-30
KR20210128487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7016B1 (ko)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EP3656510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operation rod
JP4942561B2 (ja) 間接活線工具
KR101685054B1 (ko) 팬의 원 터치 착탈 장치
CN108698229B (zh) 前端工具连结结构
JP5878192B2 (ja) 間接活線把持工具
JP2009232579A (ja) 間接活線工具
KR20230062874A (ko) 파지 공구, 및, 파지 공구의 사용 방법
US20220013974A1 (en) Wire operating tool, component for wire operating tool, wire cutting and dividing method, and wire connecting method
KR101650671B1 (ko) 절단 공구
EP3168003B1 (en) Ratchet wrench
KR20170002953U (ko) 밸브셔터 클램프
RU2777075C1 (ru) Захват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захватываю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JP5456143B1 (ja) 把持工具
US20210093346A1 (en) Medical treatment tool
JP5405645B1 (ja) 補助グリ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共用操作棒
JP2014087099A (ja) 把持工具
TW202322509A (zh) 棒體之連結構造
JP2022124330A (ja) ハンドルアダプタ及びハンドルアダプタユニット
CN103155061B (zh) 用于可分离地将电流导体固定至电流互感器壳体的装置
JP5968937B2 (ja) 先端工具
TW202320990A (zh) 衝擊扳手用套筒轉接器
JP2010275820A (ja) 脱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