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700A -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형 수성겔 화합물 - Google Patents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형 수성겔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700A
KR20120092700A KR1020127017992A KR20127017992A KR20120092700A KR 20120092700 A KR20120092700 A KR 20120092700A KR 1020127017992 A KR1020127017992 A KR 1020127017992A KR 20127017992 A KR20127017992 A KR 20127017992A KR 20120092700 A KR20120092700 A KR 2012009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xibuprofen
transdermal absorption
aqueous gel
sodium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951B1 (ko
Inventor
제프리 스투어트 베르만
삼파트쿠마르 데바라잔
셀바쿠마 라말린감
아난드센틸 벨 팔라니사미
Original Assignee
샤선 파마슈티컬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선 파마슈티컬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샤선 파마슈티컬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9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안정한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은 간단한 제조과정을 사용하여 합성되며 실험 결과 안정한 수성겔을 합성하기 위하여 pH 조절제, 항산화제, 그리고 물 혼합성 용매를 필수적인 첨가제로 사용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카보폴을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할 시 불투명한 겔이 합성되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를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할 시 투명한 겔이 합성된다. 두 제형이 3개월 동안 라미네이트 튜브에 담겨 가속화 조건(섭씨 40도/ 습도 75%)에서 안정성 테스트를 거친 결과, 물리적 특성, pH, 분석값, 특히 약물 함량 수치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cription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형 수성겔 화합물{COMPOSITION OF DEXIBUPROFEN TRANSDERMAL HYDROGEL}
본 발명은 덱시부프로펜[(S)-2-(4-isobutylphenyl) propionic acid] 성분을 포함하는 국소성 약제 구성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부프로펜(2-(4-isobutylphenyl) propionic acid)은 하나의 비대칭 중심 탄소를 가지므로, 두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S (+)-이부프로펜 (dexibuprofen, 덱시부프로펜) 과 R (-)-이부프로펜을 가진다. (S+)-이부프로펜과 (R-)-이부프로펜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동등한 비율의 S(+)-이부프로펜과 R(-)-이부프로펜이 포함된 라세미 혼합물 제형이 현재 시장에서 독점적인 점유율을 보이며, 또한 라이신네이트, 알지네이트, 나트륨, 칼륨 등의 이부프로펜의 수용성 염기형 사용되고 있다. 라세미 혼합물 이소프로펜은 섭씨 약 78도의 상대적으로 높은 녹는점을 갖는데 비해, S(+)형 이부프로펜과 R(-)형 이부프로펜은 각각 52도, 54도의 녹는점을 갖는다. 이소프로펜의 모든 이성질체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특히, S(+)형 이성질체는 단독으로 항염증작용을 나타내는 데 반해, R(-)형 이성질체는 그렇지 않다.(S. Adams et al., Curr. Med. Res. Opin,. 3, 552 (1975); S. Adams et al., J. Pharm. Pharmaco., 28, 256-257 (1976)).
미국특허 제5093133호는 피부에 적용되는 (S+)형 이부프로펜의 제형으로 효과적인 경피 흡수 전달을 수행하는 운반체로서 (S)형 이부프로펜의 수성알코올 겔 제형을 개시한다. 이 특허에서 (S+)형 이부프로펜의 수성알코올 겔은 40~60% 의 알코올; 0~20%의 비휘발성 용매; 2.0~5.0%의 고형화제; pH를 3.5에서 6.0 사이로 조절하기 위해 충분한 염기; 및 물이 포함된다.
미국특허 제5767161호는 질량비로 2.5~10% S형 이부프로펜((S)-2-(4-isobutylphenyl) propionic acid), 20~30%의 에탄올, 5~50%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크림, 거품 또는 고형 약학 화합물을 개시하며, 프로필렌 글리콜에 대한 에탄올의 상대적인 비는 0.6:1 에서 4:1 범위 이내이다. 이 특허의 제형은 기존에 알려진 국소용 이부프로펜 제제와 비교했을 시, 같거나 더 낮은 양의 이부프로펜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활성 성분의 피부 투과성이 더 높다고 보고한다.
미국특허 제6368618호는 S(+) 이부프로펜의 2상 액상 국소 약물 전달 방법을 개시하는데, 이 제형은 증진된 경피 흡수율과 약의 효능을 보인다. 이 특허에서 2상은 수층과 유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S(+) 이부프로펜을 함유하여 피부 각질층으로 약물이 곧바로 분할되어 전달되도록 한다. 이는 기존 크림 제형이 가지는 비활성 유층에서 약물이 확산되는 시간인 속도 결정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신속한 전달을 가능케 한다.
미국특허 제5696165호는 활성성분으로 (S)형 이부프로펜 나트륨 염을 포함하는 구강, 직장, 또는 국소용 제제를 개시한다. 이 특허에서는 S형 이부프로펜 나트륨염 [S(-)sodium 2-(4-isobutylphenyl) propionate]이 S(+) 이부프로펜에 비해 물과 다른 첨가물을 가지는 제형을 구성할 때 장점을 가진다고 보고한다. 이는 S형 이부프로펜 나트륨염 [S(-)sodium 2-(4-isobutylphenyl) propionate] 이 모노-(mono-), 디-(di-), 트리(tri-), 또는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s) 처럼 수산화 잔기를 갖는 첨가제나 물을 첨가제로 갖는 제제에서 에스테르화가 덜 일어나기 때문이다.
종래기술들의 사례를 보면, 덱시부프로펜 제형을 국소용 제제로 만들면서 많은 양의 알코올을 포함하거나, 2상 체계를 이용함으로써 경피 흡수율과 제제의 효능을 강화한다.
따라서, 덱시부프로펜 국소용 제제가 간단한 제조과정을 가지면서 또한 높은 경피흡수율을 갖는 제형의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미국특허 제5093133호 미국특허 제5767161호 미국특허 제6368618호 미국특허 제5696165호
본 발명은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 흡수용 수성겔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맑고 투명한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 흡수용 수성겔을 제조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덱시부프로펜, 더 상세하게는 비알코올성 덱시부프로펜 경피 흡수용 수성겔을 포함하는 약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정한 상태의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용 수성겔은 간단한 제조과정을 통하여 합성되고, 실험결과 pH 조절제, 항산화제, 물 혼합성 용매가 안정한 약제를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인 첨가제로 밝혀졌다. 덱시부프로펜 수성화겔은 카바폴(carbapol)을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하였을 시 불투명한 겔이 만들어지는데 반해, 하이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HPMC)를 중합체로 이용하면 투명한 겔이 만들어진다. 이 두 제형 간에 중요한 물리학적 특성, pH, 함량분석값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특히 수성겔의 안정성 검사로 가속 조건(섭씨 40도, 습도 75%)에서 라미네이트 튜브 내에 3개월 동안 보관하였을 때 함량 분석값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의 안정한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은 간단한 제조과정을 사용하여 합성되며 실험 결과 안정한 수성겔을 합성하기 위하여 pH 조절제, 항산화제, 및 물 혼합성 용매를 필수적인 첨가제로 사용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카보폴을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할 시 불투명한 겔이 합성되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를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할 시 투명한 겔이 합성된다. 두 제형이 3개월 동안 라미네이트 튜브에 담겨 가속화 조건(섭씨 40도/ 습도 75%)에서 안정성 테스트를 거친 결과, 물리적 특성, pH, 분석값, 특히 약물 함량 수치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덱시부프로펜, 특히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을 포함하는 국소용 약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소용 NSAIDs은 일반적으로 관절과 근육 관련 통증, 염증 치료용 목적으로 사용된다. 국소용 NSAIDs 는 구강 투여 약물과 비교하였을 때 관절과 근육 관련 통증, 염증에 3가지 장점을 갖는다.
i) 원하는 부위에 높은 농도의 NSAIDs 약물이 전달된다.
ii) 단지 1~3% 정도의 NSAIDs가 전신적으로 흡수되어, 위장장애나 궤양 등 부작용을 낮춘다.
iii) 약물은 낮은 혈중 농도가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빈도를 낮춘다.
이부프로펜 국소용 제제는 관절과 근육의 통증, 염증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부프로펜(2-(4-isobutylphenyl) propionic acid)은 하나의 비대칭 중심 탄소를 가지므로, 두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S (+)-이부프로펜 (dexibuprofen, 덱시부프로펜) 과 R (-)-이부프로펜을 가진다. (S+)-이부프로펜과 (R-)-이부프로펜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특히, S(+)형 이성질체는 단독으로 항염증작용을 나타내는 데 반해, R(-)형 이성질체는 그렇지 않다. (S. Adams et al., Curr. Med. Res. Opin. 3, 552 (1975); S. Adams et al., J. Pharm. Pharmaco., 28, 256-257 (1976)).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소용 NSAIDs 는 크림, 연고 그리고 겔 제형인데 최근에는 국소용 수성겔이 선호된다. 그 이유는 수성겔이 가지는 냉각 효과와 기름지지 않는 특성 덕분이다.
종래기술에서는, 덱시부프로펜 제형을 국소용 제제로 만들면서 많은 양의 알코올을 포함하거나, 2상 체계를 이용함으로써 경피 흡수율과 제제의 효능을 강화한다.
본 발명은 덱시부프로펜, 특히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을 포함하는 약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
(i) 고형화 중합체를 증류수에 분산시키고 밤새 스며들도록 들도록 하는 단계,
(ii) 보존제를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덱시부프로펜을 그 용액에 분산시키는 단계,
(iii) 멘톨을 트리에탄올아민에 용해시키는 단계,
(iv) (iii) 단계 결과물과 (ii) 단계 결과물을 잘 섞은 후 계속해서 교반하는 단계,
(v) 프로필렌 글리콜과 PEG400을 섞고; 이 혼합물을 트랜스큐톨-P(transcutol-P)에 더해주고 라벤더 오일을 가해준 뒤 잘 섞는 단계,
(vi) (v) 단계 결과물과 (iv) 단계 결과물을 잘 섞는 단계, 및
(vii) 마지막으로 (vi) 단계 결과물을 (i) 단계 결과물에 더해준 뒤, 계속해서 교반하면 균질한 겔을 얻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은 특성상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인 덱시부프로펜을 제외하고, 본 발명에서는 한가지 혹은 그 이상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그룹에서 선택되는데, 고형화제, pH 조절제, 퍼짐성 조절제, 물 혼합성 용매, 진정제, 보존제,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트제, 투과증진제, 거품방지제, 착향료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고형화제가 다음의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카바몰, 하이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HEC), 폴록사머,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메칠셀룰로오스(MC), 콜라겐, 젤라틴, 한천, 알긴산과 알긴산의 나트륨 염, 캐라지난과 캐라지난의 나트륨 또는 칼륨 염, 트래거캔스, 펙틴, 구아검, 잔탄검, 젤란검,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필렌 과 그 중합체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pH 조절제가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수산화나트륨,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진정제가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멘톨, 티몰, 캠퍼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보존제가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메칠 파라벤 나트륨염, 프로필 파라벤, 살리실산과 살리실산 염, 클로르헥시딘 염산염, 페녹시에탄올, 벤조산 나트륨, 메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염, 에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염, 프로필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염, 부틸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염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유용성 혹은 수용성 항산화제가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부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BHT), 팔미르산아스코빌, 부틸레이트 하이드록시 아니솔(BHA), 페닐-알파-나프틸아민, 하이드로퀴논, 갈산프로필,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트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나트륨, 메타중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수소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술폭실산염, 이소아스코르브산, 티오글리세롤, 티오소르비톨, 티오요소, 싸이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염산염, 1,4-디아조바이사이클로-(2,2,2)-옥탄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된될 수 있는데, 로릴황산나트륨 또는 미리스틸황산나트륨과 같은 알킬황산나트륨, N- 로릴 사르코시네이트 나트륨과 N-미리스틸사르코시네이트 나트륨과 같은 N-아실 사르코시네이트 나트륨, 소듐도데실펜젠설포네이트, 수소첨가 코코넛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황산 나트륨염,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 N-팔미톨 글루탄산과 같은 N-아실 글루탄산, N-메칠아실타우린 나트륨염, N-메칠아실알라닌 나트륨염, 알파 올레핀 황산 나트륨염, 디옥틸소듐설포썩시네이트 ; N-라우닐디아미노에틸글리세롤 또는 N-미리스틸디아미노에틸글리세롤과 같은 N-알킬아미노글리세롤, N-알킬-N-카르복실메칠암모늄 베타인 ; 폴리옥시에틸렌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모노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터, 높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pluronic형 계면활성제, 마지막으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터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퍼짐성 조절제를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light) 유동파라핀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물 혼합성 용매를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이다. 물 혼합성 용매는 활성 성분과 필수적인 첨가제가 잘 용해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투과증진제를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느데, 카프릴산과 그 유도체, 폴리옥실글리세리드와 그 유도체, 트리글리세리드와 그 유도체, 라우릴산과 그 유도체, 올레산과 그 유도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Transcutol-P)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킬레이트제를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 EDTA 나트륨, EDTA 이나트륨,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거품방지제를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시메치콘, 디메치콘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착향료를 다음의 그룹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라벤더 오일, 로즈 오일, 멘톨, 아네톨, 카르본, 유제놀, 리모넨, 오씨멘, n-데실알코올, 시트로넬롤, 알파-테르피네올, 메틸 살리실산, 메틸 아세트산, 시트네릴 아세트산, 시네올, 리나놀, 에틸 리나놀, 바닐린, 티몰, 스페어민트 오일,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세이지 오일, 로즈마리 오일, 시나몬 오일, 피멘토유, 시나몬 잎 오일, 동록유, 정향유, 유칼립투스유 등이다.
실시예들 :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카보폴를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한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제조
Sr.No 성분 질량비(%)
1. 덱시부프로펜 10.00
2. 카보폴 971P 2.50
3. 트랜스큐톨(Transcutol-P) 3.30
4. 트리에탄올아민 7.20
5. 프로필렌 글리콜 1.00
6.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00
7. 멘톨 0.05
8. 메타피설파이트 나트륨 0.20
9. 벤조산 나트륨 0.20
10. 라벤더 오일 0.05
11. 증류수 100 될때까지.
100.00
실시예 1의 제조방법:
1. 카보폴 971P를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15분간 교반한 뒤 하룻밤 동안 스며들게 둔다.
2.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과 벤조산 나트륨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에 덱시부프로펜을 분산시킨다.
3. 멘톨을 트리에탄올아민에 용해시킨다.
4. 단계 3의 용액을 단계 2의 용액에 더한 뒤 용액이 맑아질 때까지 교반한다.
5. 프로필렌 글리콜과 PEG400을 섞고 이 혼합물을 트랜스큐톨-P(transcutol-P)에 더해주고 라벤더 오일을 첨가하여 잘 섞는다.
6. 단계 5의 혼합물을 단계 4의 용액에 더해준다.
7. 마지막으로 단계 6의 혼합물을 단계 1 혼합물에 넣어준 뒤 균질한 겔이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2.
HPMC을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한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제조
Sr.No 성분 질량비(%)
1. 덱시부프로펜 10.0
2. HPMC K4M 2.5
3. HPMC E5 0.3
4. 루트롤 F68 5.0
5. Transcutol-P 3.3
6. 프로필렌 글리콜 1.0
7.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0
8. 멘톨 0.1
9.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 0.2
10. 벤조산 나트륨 0.2
11. 트리에탄올아민 7.2
12. 시메치콘 0.00016
13. 라벤더 오일 0.1
14. 증류수 100 될 때까지
100.0
실시예 2의 제조방법:
1. PMC K4M, HPMC E5, 루트롤 F68을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15분간 교반한 뒤, 하룻밤 동안 스며들게 둔다.
2. 시메치콘을 단계 1 혼합물에 잘 섞는다.
3.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과 벤조산 나트륨을 물에 용해시키고 덱시부프로펜을 그 용액에 분산시킨다.
4. 멘톨을 트리에탄올아민에 용해시킨다.
5. 단계 4의 용액을 단계 3의 용액에 더해준 뒤 용액이 맑아질 때까지 교반한다.
6. 프로필렌 글리콜, PEG 400을 섞은 뒤 트랜스큐톨-P(transcutol-P)에 더해주고 라벤더 오일을 첨가하여 함께 잘 섞는다.
7. 단계 6의 혼합물을 단계 5 용액에 더해준다.
8. 단계 7의 혼합물을 단계 2에 넣고 균질한 겔이 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실시예 3.
카보폴를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한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제조
Sr.No 성분 질량비(%)
1. 덱시부프로펜 5.00
2. 카보폴971P 2.50
3. Transcutol-P 3.30
4. 트리에탄올아민 7.20
5. 프로필렌 글리콜 1.00
6.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00
7. 멘톨 0.05
8.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 0.20
9. 벤조산 나트륨 0.20
10. 라벤더 오일 0.05
11. 증류수 100 될 때까지
100.00
실시예 3의 제조방법:
1. 카보폴 971P를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15분간 교반한 뒤 하룻밤 동안 스며들게 둔다.
2.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과 벤조산 나트륨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에 덱시부프로펜을 분산시킨다.
3. 멘톨을 트리에탄올아민에 용해시킨다.
4. 단계 3의 용액을 단계 2의 용액에 더한 뒤 용액이 맑아질 때까지 교반한다.
5. 프로필렌 글리콜과 PEG400을 섞고 이 혼합물을 트랜스큐톨-P(transcutol-P)에 더해주고 라벤더 오일을 첨가하여 잘 섞는다.
6. 단계 5의 혼합물을 단계 4의 용액에 더해준다.
7. 마지막으로 단계 6의 혼합물을 단계 1 혼합물에 넣어준 뒤 균질한 겔이 될 때까지 교반한다.
실시예 4.
HPMC을 고형화 중합체로 이용한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제조
Sr.No 성분 질량비(%)
1. 덱시부프로펜 5.0
2. HPMC K4M 2.5
3. HPMC E5 0.3
4. 루트롤 F68 5.0
5. Transcutol-P 3.3
6. 프로필렌 글리콜 1.0
7.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0
8. 멘톨 0.1
9.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 0.2
10. 벤조산 나트륨 0.2
11. 트리에탄올아민 7.2
12. 시메치콘 0.00016
13. 라벤더 오일 0.1
14. 증류수 100 될 때까지
100.0
실시예 4의 제조방법:
1. HPMC K4M, HPMC E5, 루트롤 F68을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15분간 교반한 뒤, 하룻밤 동안 스며들게 둔다.
2. 시메치콘을 단계 1 혼합물에 잘 섞는다.
3. 메타비설파이트 나트륨과 벤조산 나트륨을 물에 용해시키고 덱시부프로펜을 그 용액에 분산시킨다.
4. 멘톨을 트리에탄올아민에 용해시킨다.
5. 단계 4의 용액을 단게 3의 용액에 더해준 뒤 용액이 맑아질 때까지 교반한다.
6. 프로필렌 글리콜, PEG 400을 섞은 뒤 트랜스큐톨-P(transcutol-P)에 더해주고 라벤더 오일을 첨가하여 함께 잘 섞는다.
7. 단계 6의 혼합물을 단계 5 용액에 더해준다.
8. 단계 7의 혼합물을 단계 2의 결과물에 넣고 균질한 겔이 될 때까지 계속 교반한다.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 pH 조절제, 항산화제, 물 혼합성 용매는 안정한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을 제조하는 데 필수적인 첨가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보폴을 고형화 중합체로 사용한 실시예 1과 실시예 3의 수성겔은 불투명한 겔이 생성된 반면, HPMC를 중합체로 사용한 실시예 2와 실시예 4의 결과물은 투명한 수성겔이었다. 더 나아가 4가지 조건으로 생성된 수성겔은 섭씨 40도/ 습도 75% 에서 3개월동안 라미네이트 튜브에 보관되어 안정성 테스트를 받았으나, 물리적 특성, pH, 분석값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1, 2, 3 그리고 4 조성으로 만들어진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수성겔의 섭씨 40도/ 습도 75% 안정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Test ) 실시예 초기상태(Initial) 1st 달(month) 2nd 달(month) 3rd 달(month)
묘사 1 불투명한 균질한 겔 불투명한 균질한 겔 불투명한 균질한 겔 불투명한 균질한 겔
2 투명한 균질한 겔 투명한 균질한 겔 투명한 균질한 겔 투명한 균질한 겔
3 불투명한 균질한 겔 불투명한 균질한 겔 불투명한 균질한 겔 불투명한 균질한 겔
4 투명한 균질한 겔 투명한 균질한 겔 투명한 균질한 겔 투명한 균질한 겔
성분함량
(Assay)
1 100.85 100.00 100.9 99.30
2 97.30 97.70 98.80 99.50
3 100.80 100.10 99.95 99.15
4 97.30 97.70 97.70 97.85
pH 1 5.82 5.92 5.81 5.87
2 5.90 5.95 5.97 6.00
3 5.82 5.98 5.96 6.00
4 5.90 5.95 6.06 6.10

Claims (9)

  1.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2. 투명한 덱시부프로펜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3. 필수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pH 조절제, 항산화제 및 물 혼합성 용매를 포함하는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거품방지제, 킬레이트제, 고형화 중합체, 보존제, 투과증진제, 진정제, 및 착향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제 중합체는 카보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EC),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메틸셀룰로오스(MC), 폴록사머, 알긴산 나트륨, 캐라지난, 트래거캔스, 펙틴, 구아검, 잔탄검, 젤란검, 폴리아크릴아마이드의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혼합성 용매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시트르산, 시트르산 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및 디에탄올아민의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상화제는 벤조산 나트륨, 메타중아황산 나트륨, 부틸레이트 하이드록시 톨루엔(BHT), 및 부틸레이트 하이드록시 아니솔(BHA)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9. 제1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은 투명하거나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덱시부프로펜의 비알코올성 경피흡수형 수성겔.
KR1020127017992A 2009-12-16 2010-12-09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형 수성겔 화합물 KR101884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3121/CHE/2009 2009-12-16
IN3121CH2009 2009-12-16
PCT/IN2010/000795 WO2011073998A1 (en) 2009-12-16 2010-12-09 Composition of dexibuprofen transdermal hydrog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700A true KR20120092700A (ko) 2012-08-21
KR101884951B1 KR101884951B1 (ko) 2018-08-02

Family

ID=5420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992A KR101884951B1 (ko) 2009-12-16 2010-12-09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형 수성겔 화합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20120259018A1 (ko)
EP (1) EP2512446B1 (ko)
JP (1) JP2013514347A (ko)
KR (1) KR101884951B1 (ko)
CN (1) CN102665681A (ko)
AU (1) AU2010331761B2 (ko)
BR (1) BR112012014558B8 (ko)
CA (1) CA2784827C (ko)
DK (1) DK2512446T3 (ko)
ES (1) ES2541483T3 (ko)
MX (1) MX352187B (ko)
PE (1) PE20130245A1 (ko)
PL (1) PL2512446T3 (ko)
RU (1) RU2012129527A (ko)
WO (1) WO20110739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568A1 (en) * 2012-11-30 2014-06-05 Dong-A St Co.,Ltd Topical gel composition containing dexibuprofen emulsion with enhanced permeability
KR102419076B1 (ko) * 2022-01-17 2022-07-08 장보경 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32B1 (ko) * 2013-01-17 2021-02-02 가부시키가이샤 카나에테크노스 외용 첩부제
CN105007750A (zh) * 2013-02-14 2015-10-28 赛诺菲 用于口服给药的可咀嚼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9855211B2 (en) * 2013-02-28 2018-01-02 Novan, Inc. Top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920110C (en) 2013-08-08 2022-05-31 Novan, Inc. Compositions and kits including a nitric oxide releasing compound and a hydrogel
EP3166593B1 (en) 2014-07-11 2020-05-20 Novan, Inc. Topical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322082B2 (en) 2014-07-11 2019-06-18 Novan, Inc. Topical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177262A4 (en) 2014-08-08 2018-04-18 Novan Inc. Topical emulsions
BR112017003130A2 (pt) * 2014-08-20 2017-1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ositivo e método de cultura anaeróbica autocontido para micro-organismos redutores de sulfato
CN104188899A (zh) * 2014-09-26 2014-12-10 天津市聚星康华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洛索洛芬钠凝胶及其制备方法
CN105168117B (zh) * 2015-10-04 2018-08-07 临沂大学 一种右旋布洛芬微乳凝胶及其制备方法
KR102319497B1 (ko) 2016-03-02 2021-11-01 노반, 인크. 염증 치료용 조성물 및 염증 치료 방법
CN105935445B (zh) * 2016-03-28 2019-02-01 赤峰赛林泰药业有限公司 含2-(-4-异丁基苯基)丙酸右旋物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BR112018070578A2 (pt) 2016-04-13 2019-02-12 Novan, Inc. composições, sistemas, kits, e métodos para tratar uma infecção
CN106074459A (zh) * 2016-07-11 2016-11-09 雷春生 一种持久保水型水凝胶贴支持层材料的制备方法
CN112206222A (zh) * 2018-11-09 2021-01-12 北京德默高科医药技术有限公司 含有布洛芬结构类似物的多层经皮给药系统
CN111388409B (zh) * 2020-03-25 2023-01-31 牡丹江医学院 一种皮肤止痒抑菌贴剂用水凝胶材料的制备方法
CN117545474A (zh) 2021-11-08 2024-02-09 李维庸 一种用于向患者递送药物的透皮给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1965D0 (en) * 1984-01-25 1984-02-29 Beecham Group Plc Composition
US4684666A (en) * 1986-08-19 1987-08-04 Haas Pharmaceuticals, Inc. Stabilized liquid analgesic compositions
DE4024801A1 (de) * 1990-08-04 1992-02-06 Porsche Ag Abga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ATE195417T1 (de) * 1991-05-13 2000-09-15 Boots Co Plc Ibuprofen-salz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WO1995011017A1 (en) * 1993-10-20 1995-04-27 The Boots Company Plc Ibuprofen and flurbiprofen as anti-pruritic agents
AT408067B (de) * 1995-03-17 2001-08-27 Gebro Pharma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applizier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K0851908T3 (da) * 1995-06-07 2003-08-25 Lee County Mosquito Control Di Smøremiddelsammensætning og fremgangsmåde
US20010023261A1 (en) * 1997-01-27 2001-09-20 Lg Chemical Limited. Novel composition for the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drugs
AU3212199A (en) * 1998-03-31 1999-10-18 Scimed Life Systems, Inc. Temperature controlled solute delivery system
US6399093B1 (en) * 1999-05-19 2002-06-04 Advanced Medical Instruments Method and composition to treat musculoskeletal disorders
WO2001001962A1 (en) * 1999-07-05 2001-01-11 Idea Ag. A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transport across adaptable semi-permeable barriers
DE19945522A1 (de) * 1999-09-23 2001-04-05 Hexal Ag Pharmazeutisches, wirkstoffhaltiges Gel
US20020102301A1 (en) * 2000-01-13 2002-08-01 Joseph Schwarz Pharmaceutical solid self-emulsifying composition for sustained delivery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and the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0452972B1 (ko) * 2000-05-16 2004-10-14 주식회사 삼양사 경피투여용 하이드로젤 조성물
US8728445B2 (en) * 2001-05-01 2014-05-20 A.V. Topchiev Institute Of Petrochemical Synthesi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Hydrogel Compositions
US20030082225A1 (en) * 2001-10-19 2003-05-01 Mason Paul Arthur Sterile, breathable patch for treating wound pain
PE20040321A1 (es) * 2002-08-22 2004-07-15 Novartis Consumer Health Sa Composicion topica que comprende diclofenaco
US7052715B2 (en) * 2003-04-11 2006-05-30 All Natural Fmg, Inc. Alcohol-free transdermal analgesic composition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and use thereof
EP1633408B1 (en) * 2003-06-19 2016-08-17 Coloplast A/S A wound care device
US20050025778A1 (en) * 2003-07-02 2005-02-03 Cormier Michel J.N. Microprojection array immunization patch and method
CH715855B1 (de) * 2003-08-28 2020-08-14 Mibelle Ag Zubereitung bestehend aus mindestens zwei Nanoemulsionen.
JP4128521B2 (ja) * 2003-12-19 2008-07-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ゲル状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1893174A2 (en) * 2005-05-10 2008-03-05 Cytophil, Inc. Injectable hydroge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4969812B2 (ja) * 2005-07-22 2012-07-04 久光製薬株式会社 ハイドロゲル組成物
US20070083147A1 (en) * 2005-09-30 2007-04-12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to deliver antibiotics to biological interfaces
GB0718435D0 (en) * 2007-09-21 2007-10-31 Northern Health And Social Car Wpund care formulation
CN101455654B (zh) * 2007-12-13 2013-03-06 天津医科大学 精氨酸布洛芬凝胶剂及其制备方法
US8383614B2 (en) * 2008-01-31 2013-02-26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Hypercholestrolemia and tendinous injuries
CA2749941C (en) * 2008-09-10 2018-04-24 Biochemics, Inc. Ibuprofen for topical administ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568A1 (en) * 2012-11-30 2014-06-05 Dong-A St Co.,Ltd Topical gel composition containing dexibuprofen emulsion with enhanced permeability
KR20140069956A (ko) * 2012-11-30 2014-06-10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흡수가 증가된 덱시부프로펜 에멀젼 함유 겔 제형
KR102419076B1 (ko) * 2022-01-17 2022-07-08 장보경 마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2446A4 (en) 2012-10-24
EP2512446A1 (en) 2012-10-24
CA2784827C (en) 2018-10-23
US10085939B2 (en) 2018-10-02
DK2512446T3 (en) 2015-06-29
RU2012129527A (ru) 2014-01-27
EP2512446B1 (en) 2015-04-08
WO2011073998A1 (en) 2011-06-23
KR101884951B1 (ko) 2018-08-02
MX352187B (es) 2017-11-13
MX2012007062A (es) 2012-10-03
CN102665681A (zh) 2012-09-12
BR112012014558B1 (pt) 2021-02-02
AU2010331761B2 (en) 2015-09-24
PL2512446T3 (pl) 2015-08-31
US20150342879A1 (en) 2015-12-03
PE20130245A1 (es) 2013-03-08
BR112012014558A2 (pt) 2017-12-19
CA2784827A1 (en) 2011-06-23
JP2013514347A (ja) 2013-04-25
BR112012014558B8 (pt) 2021-05-25
US20120259018A1 (en) 2012-10-11
BR112012014558A8 (pt) 2018-04-10
ES2541483T3 (es) 2015-07-21
AU2010331761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951B1 (ko) 덱시부프로펜 경피흡수형 수성겔 화합물
EP2211837B1 (en) A non-aqueous topical solution of diclofenac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200301526A1 (en) Novel non-aqueous topical solution of diclofenac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6796638B2 (ja) ヘッジホッグ阻害性化合物の送達のための局所的製剤及びその使用
JP6908448B2 (ja) 医薬組成物
JP4195178B2 (ja) 消炎鎮痛外用剤
US9468618B2 (en) Topical pharmaceutical gel composition of diclofenac sodium
JP4066466B2 (ja) 糖アルコール類配合軟膏剤
KR20220066068A (ko) 활성 제제의 국소 전달을 위한 용매 전달 시스템
JP4524559B2 (ja) 眼科用組成物及びビタミンa類の安定化方法
UA121985C2 (uk) Нефарбуюча гелева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місцевого застосування, яка містить німесулід
JP2014208617A (ja) 医薬組成物
US20130197092A1 (en) Novel Non-Aqueous Topical Solution of Diclofenac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WO2021235436A1 (ja) アポモルヒネ含有経皮吸収型製剤
JP4060347B2 (ja) 22−オキサ−1α,25−ジヒドロキシビタミンD3を含有する水中油型乳剤性ローション剤
JP7214331B2 (ja) 医薬組成物
US9468617B2 (en) Topical pharmaceutical gel composition of diclofenac sodium
JP2023001391A (ja) 医薬組成物
WO2018116190A1 (en) Topical sprayable compositions of ketorolac trometham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