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681A -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681A
KR20120091681A KR1020110011602A KR20110011602A KR20120091681A KR 20120091681 A KR20120091681 A KR 20120091681A KR 1020110011602 A KR1020110011602 A KR 1020110011602A KR 20110011602 A KR20110011602 A KR 20110011602A KR 20120091681 A KR20120091681 A KR 20120091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ckroaches
weight
insecticide
attr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413B1 (ko
Inventor
오수일
장호현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to KR102011001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413B1/ko
Priority to PCT/EP2012/050831 priority patent/WO2012107266A1/en
Publication of KR20120091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 A01N25/0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a foodstuff as carrier or diluent, i.e. baits insecticid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no bond to a nitrogen at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벌레의 유인효과를 높여 살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비활성화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살충원제가 0.01 내지 0.1중량%, 상기 향미제가 1 내지 10중량%, 상기 결합제가 10 내지 25중량%, 상기 안정제가 0.1 내지 2중량%, 상기 보존제가 0.1 내지 5중량%, 상기 매질이 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유인제가 잔량으로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an insecticide for cockroach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퀴벌레의 유인효과를 높여 살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바퀴벌레의 구제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독이법(poison bait method ; 毒餌法), 도포법, 훈증법, 분무살포법, 유연포획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바퀴벌레가 스스로 구제 수단에 접근하도록 하는 구제 방법으로서, 독이법이나 점착제가 설치된 용기를 이용하는 도포법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도포법은 점착제가 설치된 용기를 이용하여 접근한 바퀴벌레가 점착제에 달라붙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구제하며, 이 방법에서는 상기한 용기에 바퀴벌레가 유인되는 유인성 물질이나 유인성의 식이 물질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 독이법은 살충제를 바퀴벌레가 먹도록 함으로써 이를 먹은 바퀴벌레를 박멸시키는 방법이며, 이 방법은 살충제를 함유시킨 바퀴벌레가 즐겨 먹는 음식물을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장소에 놓고, 이것을 바퀴벌레가 먹음으로써, 바퀴벌레를 사멸시키는 것인데, 이 살충제를 함유시키기 위한 식이(食餌)로서는 바퀴벌레의 식이 물질 및 바퀴벌레가 적극적으로 유인되는 유인성 식이 물질이 독먹이(바퀴벌레를 살충할 수 있는 살충제를 포함하는 먹이물질)로서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바퀴벌레는 사람에 비해 후각이 100배 이상 발달하여 1차적으로 냄새를 맡고 먹이를 찾게 되고, 미각을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먹이를 먹게 되며, 따라서 바퀴벌레는 먹이물질에 유인되어 독먹이를 먹거나 또는 독먹이를 바퀴집으로 가져가 나누어 먹는 습성이 있어 이를 이용하면 설치 및 회수가 간편하고, 비록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독먹이를 먹고 바퀴집에 가서 죽는 경우도 있어서 효과의 면에서나 청결의 면에서 유효하여 바퀴벌레 구제방법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통상 상기 독이법에서는 살충제 자체만을 사용하여서는 바퀴벌레가 살충제를 먹도록 할 수 없고, 살충성분의 냄새를 막아주는 유인제와 다른 유인먹이성분을 함께 사용하여 스스로 독성이 강한 살충제 주성분을 먹고 죽게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바퀴벌레의 식이 물질로서는 예컨대, 조, 피, 기장, 메밀, 옥수수, 낙화생, 대두, 쌀겨 등의 곡류, 두류 혹은 이들의 혼합물의 분쇄물(일본 특허 공개 소53-38626호 공보), 술지게미, 술지게미의 건조물, 술지게미의 반건조물이나 빵가루, 번데기 가루, 키나가루, 전분 등과의 병용(일본 특허 공개 소53-113027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또, 식이 물질 중에서도 특히 유인성이 있는 식이 물질로서는 고구마, 토란, 콘스타치 등의 전분류, 밀가루, 메밀가루, 쌀가루 등의 분류(粉類), 쌀겨, 밀기울 등의 박강류(粕糠類), 대두 지게미, 면실(綿實) 지게미 등의 유박류(油粕類), 전분 지게미, 맥주 지게미 등의 제조 지게미류, 어분, 육분, 혈분 등의 부산물, 대두, 호박, 당근 등(일본 특허 공개 소60-54303호 공보), 밀크, 치즈, 크릴 가루, 분말 곤충 사료, 밀기울, 밀가루, 목분 혹은 이들의 혼합물(일본 특허 공개 소62-278930호 공보), 참기름(일본 특허 공개 소53-91140호 공보), 비스켓 부스러기, 크래커 부스러기, 어분, 번데기 가루, 키나가루, 밀가루, 옥수수 가루, 설탕 등(일본 특허 공개 소55-94302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바퀴벌레는 잡식성이라고는 하나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단백질 물질의 섭취를 좋아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또한, 유인성 물질로서는, 예컨대 탄소수가 4 내지 10개인 지방산과 다가 알콜로 이루어진 지방산 에스테르(일본 특허 공개 소48-58126호 공보), 방향(芳香)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 알데히드, 케톤, 페놀, 알콜, 아민, 카르본산 또는 그 에스테르(일본 특허 공개 소50-42053호 공보), 목타르 또는 목초산에서 자극 성분을 제거한 잔류물(일본 특허 공개 소50-46842호 공보), 비환원성 전분 중간 가수 분해물(일본 특허 공개 소50-88235호 공보), 만톨 및/또는 에틸만톨(일본 특허공개 소52-38024호 공보), 알로에 식물 및/또는 알로에 식물의 추출물(일본 특허 공개 소61-291505호 공보), 제비붓꽃 종자유, 붓꽃 종자유, 노꽃창포 종자유, 달마히오우기 종자유(일본 특허 공개 소62-135403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바퀴벌레 해충의 분비물, 변, 그 추출물 또는 사체나 껍데기 등의 해충 자체가 같은 동료를 집합적으로 유인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소50-954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49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34251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공지된 식이물질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식이조성물들은 그 자체의 안정성이 낮아 변질을 피할 수 없어 바퀴벌레의 끽식성이 저하되고, 그 때문에 유인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특히, 공지의 식이물질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식이조성물들은 바퀴벌레의 유인효과가 높지 않으며, 그에 따라,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한번에 여러곳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경우에서조차도 개개의 식이를 물어뜯는 데에 따른 차가 있다고 하는 문제와, 그 때문에 사용자의 불신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유인성 물질은 원재료의 입수가 불안정하고, 제조가 어렵다는 점에서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실용성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또한, 바퀴벌레를 구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장치(바퀴벌레 포획기)가 수많이 제안되어 있지만, 종래 시판되고 있는 바퀴벌레 포획기는 모두 포획기 내에 바퀴벌레가 침입하지 않으면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들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바퀴벌레가 즐겨 끽식하는 물질이나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기 물질을 포획기 내에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모두 실제의 집이나 식당 등의 현장에서 바퀴벌레를 포획기 내로 침입하게 하는 효과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소48-58126호, 소 50-42053호, 소50-46842호, 소50-88235호 소52-38024호,소61-291505호, 소62-135403호, 소50-95432호, 일본특허공개 평5-4904호 및 평4-34251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살충제가 갖는 단점읕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바퀴벌레의 유인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반복 실험한 결과, 비활성화 건조효모를 포함하는 유인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바퀴벌레의 유인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은,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살충원제가 0.01 내지 0.1중량%, 상기 향미제가 1 내지 10중량%, 상기 결합제가 10 내지 25중량%, 상기 안정제가 0.1 내지 2중량%, 상기 보존제가 0.1 내지 5중량%, 상기 매질이 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유인제가 잔량으로서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충원제로는 피프로닐, 히드라메틸론, 클로리피리포스, 프로폭솔, 붕산, 페니트로치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유인제로는 과당(fructose, 100%), d-소르비톨(sorbitol), 쌀가루, 쌀겨가루, 오트밀, 고과당옥수수시럽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유인제에서 상기 건조효모는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땅콩버터오일, 사과식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로는 부분적으로 수소가 첨가된 대두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로는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로는 소르빈산, 소르빈산염, 살리실산나트륨, 벤조산나트륨, 파라벤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매질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비활성화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중량%의 향미제, 10 내지 25중량%의 결합제, 0.1 내지 2중량%의 안정제, 0.1 내지 5중량%의 보존제, 0.1 내지 10중량%의 매질 및 잔량으로서 유인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물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쿠키의 형상으로 소성하는 소성단계; 상기 소성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쿠키에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중량%의 살충원제를 투입하는 살충원제투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건조효모를 유인제의 일부로서 사용함으로써 바퀴벌레의 유인효과를 극대화시켜 바퀴벌레의 구제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기존의 바퀴벌레 유인용 살충제와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에 의한 소모량(즉, 바퀴벌레가 먹은 양)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은,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살충원제가 0.01 내지 0.1중량%, 상기 향미제가 1 내지 10중량%, 상기 결합제가 10 내지 25중량%, 상기 안정제가 0.1 내지 2중량%, 상기 보존제가 0.1 내지 5중량%, 상기 매질이 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유인제가 잔량으로서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충원제는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살충원제로서는 피프로닐, 히드라메틸론, 클로리피리포스, 프로폭솔, 붕산, 페니트로치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살충원제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살충원제가 0.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퀴벌레의 살충효과가 충분치 못하여 바퀴벌레 구제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0.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고가의 살충제의 과용에 따른 경제적인 낭비 및 사용 후 남은 조성물이 다른 동물들의 독성물질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향미제는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향미제로서는 땅콩버터오일, 사과식초 중 어느하나 또는 이들 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향미제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향미제가 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향에 의한 바퀴벌레의 유인효과가 충분치 못하여 바퀴벌레 구제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비용증가와 아울러 같이 첨가되는 살충 원제의 살충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결합제는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제로서는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대두유 즉, 수소가 첨가된 대두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가 10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기능이 충분치 못하여 수득되는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어 사용상 불편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로부터 수득되는 쿠키가 너무 단단해져 바퀴벌레가 이를 먹기가 나쁘고 바퀴벌레가 모여 사는 곳으로 가져가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정제로서는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정제가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기능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같이 첨가되는 살충 원제나 유인제의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보존제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존제로서는 소르빈산, 소르빈산염, 살리실산나트륨, 벤조산나트륨, 파라벤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존제가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의 부패를 방지하는 기능이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바퀴벌레의 유인력이 저하되어 상기 조성물로부터 수득되는 쿠키를 덜 먹게 되어 살충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매질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매질로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매질로서 사용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이 상온에서 액체상태인 알코올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매질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매질이 0.1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담지하고 혼합하는 기능이 충분치 못하여 안정한 조성물을 수득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로부터 쿠키가 잘 성형되지 않고, 반죽이 묽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인제는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기능을 하며, 건조효모와 사과식초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유인제에서 건조효모는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인제로서는 상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과당(fructose, 100%), d-소르비톨(sorbitol), 쌀가루, 쌀겨가루, 오트밀, 고과당옥수수시럽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인제는 상기 조성물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 성분들을 제외한 잔량으로서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건조효모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5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퀴벌레의 유인효과가 충분치 못하여 바퀴벌레 구제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같이 첨가되는 살충 원제나 유인용 향미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중량%의 향미제, 10 내지 25중량%의 결합제, 0.1 내지 2중량%의 안정제, 0.1 내지 5중량%의 보존제, 0.1 내지 10중량%의 매질 및 잔량으로서 유인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물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쿠키의 형상으로 소성하는 소성단계; 상기 소성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쿠키에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중량%의 살충원제를 투입하는 살충원제투입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단계는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비활성화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중량%의 향미제, 10 내지 25중량%의 결합제, 0.1 내지 2중량%의 안정제, 0.1 내지 5중량%의 보존제, 0.1 내지 10중량%의 매질 및 잔량으로서 유인제를 혼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단계에서 각 성분의 기능과 특성, 사용량 및 사용량의 제한의 이유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반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소성단계는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물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쿠키의 형상으로 소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성물의 제조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살충원제투입단계는 상기 소성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쿠키에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중량%의 살충원제를 투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 살충원제투입단계에서 살충원제가 상기 쿠키에 투입됨에 따라 바퀴벌레가 상기 쿠키를 먹을 때 바퀴벌레에 흡수되어 상기 살충원제에 의하여 살충 및 구제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대조예 1 내지 2,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유인제로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비활성화 건조효모의 유인효과와 그에 따른 살충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준비하였다.
구분 구성
살충원제 담체 건조효모
대조예 1 인독사카르브
1중량%
건조 옥수수 분말
99중량%
-
대조예 2 하이드라메틸논
2중량%
건조 옥수수 분말
98중량%
-
비교예 1 피프로닐
0.05중량%
건조 옥수수 분말
99.05중량%
-
실시예 1 피프로닐
0.05중량%
건조 옥수수 분말
93.05중량%
6중량%
<실험예 1>
상기 대조예 1 내지 2, 상기 비교예 1 및 상기 실시예 1들을 사용하여 바퀴벌레의 치사율을 실험하였다.
실험은 다른 생육조건 및 환경들은 모두 동일하게 하면서, 독일바퀴(작은 바퀴 ; German Cockroaches)를 상기 대조예 1 내지 2, 상기 비교예 1 및 상기 실시예 1들에 노출시킨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바퀴벌레의 치사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단위중량(1g) 당의 바퀴벌레의 치사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유인제로서 필수적으로 건조효모를 포함하는 경우)가 다른 살충성분들(대조예 1 및 대조예 2)에 비하여는 물론 동일한 살충성분을 사용하여도 건조효모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에 비하여도 상대적으로 빠른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효과적으로 바퀴벌레를 구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예 0의 무처리군은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것으로서, 바퀴벌레의 사멸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위중량(1g) 당의 바퀴벌레의 치사율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가 다른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독일 바퀴 대신 미국 바퀴(별바퀴 ; American Cockroaches)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들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일 바퀴와는 달리 미국 바퀴에 대해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전이에 의한 누적 치사율의 경우, 독일 바퀴 및 미국 바퀴 공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경우에서 치사율이 다른 것들에 비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5
한편,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3차전이에 의한 누적 치사율의 경우, 독일 바퀴 및 미국 바퀴 공히 유의할 만한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pat00006
<비교예 2 내지 3 및 실시예 2 내지 3>
실제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의 처방을 이용하되, 건조효모를 포함 여부만을 달리하여 건조효모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들(비교예 2(표 8) 및 3(표 9)) 및 건조효모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실시예 2(표 10) 및 3(표 11))을 하기 표 8과 같이 준비하였다.
원료기능 원료명 함량(중량%)
살충원제 피프로닐 0.05
결합제 수소가 첨가된 대두유 15.00
유인제 과당 100% 5.00
소르비톨 5.00
쌀가루 51.25
쌀겨가루 4.10
건조효모 -
향미제 땅콩버터오일 0.50
사과 식초 3.00
안정제 스테아린산글리세린 1.00
보존제 소르빈산 0.50
소르빈산염 1.50
매질 13.10
합계 100.00
원료기능 원료명 함량(중량%)
살충원제 피프로닐 0.05
결합제 수소가 첨가된 대두유 15.00
유인제 과당 100% 5.00
소르비톨 5.00
쌀가루 51.25
쌀겨가루 4.10
건조효모 -
향미제 땅콩버터오일 1.50
사과 식초 3.10
안정제 스테아린산글리세린 1.00
보존제 소르빈산 0.50
소르빈산염 1.50
매질 12.00
합계 100.00
원료기능 원료명 함량(중량%)
살충원제 피프로닐 0.05
결합제 수소가 첨가된 대두유 15.00
유인제 과당 100% 5.00
d-소르비톨 5.00
쌀가루 51.25
쌀겨가루 4.10
건조효모 잔량
향미제 땅콩버터오일 0.5
사과 식초 3.00
안정제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1.00
보존제 소르빈산 0.50
소르빈산염 1.50
매질 5.30
합계 100.00
원료기능 원료명 함량(중량%)
살충원제 피프로닐 0.05
결합제 수소첨가 대두유 20.30
유인제 고과당 옥수수시럽 29.50
오트밀 36.85
건조효모 잔량
향미제 사과 식초 3.00
안정제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1.00
보존제 소르빈산 0.50
소르빈산염 0.50
매질 0.50
합계 100.00
<실험예3>
상기 비교예 2 내지 3들 및 상기 실시예 2 내지 3들의 소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다른 생육조건 및 환경들은 모두 동일하게 하면서, 독일 바퀴를 상기 비교예 2 내지 3들 및 상기 실시예 2 내지 3들의 바퀴벌레에 의한 소모량(즉, 바퀴벌레가 먹은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비교예 2 및 실시예 2) 및 도 2(비교예 3 및 실시예 3)들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건조효모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이 건조효모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들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섭취율의 향상(실시예 2는 비교예 2의 약 2배; 실시예 3은 비교예 3의 약 1.5배)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독일 바퀴 대신 미국 바퀴들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일 바퀴와는 달리 미국 바퀴에 대해서는 실시예들에서 약간의 중량손실 백분율에서의 감소(즉, 덜 섭취함)를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유의할 만한 차이점으로 판단되지는 않을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건조효모를 사용하는 경우에 다른 조건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유인효과 및 그에 따른 우수한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산업 및 이를 이용하여 바퀴벌레를 구제하는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

Claims (9)

  1.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살충원제가 0.01 내지 0.1중량%, 상기 향미제가 1 내지 10중량%, 상기 결합제가 10 내지 25중량%, 상기 안정제가 0.1 내지 2중량%, 상기 보존제가 0.1 내지 5중량%, 상기 매질이 0.1 내지 10중량% 및 상기 유인제가 잔량으로서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충원제가 피프로닐, 히드라메틸론, 클로리피리포스, 프로폭솔, 붕산, 페니트로치온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유인제가 과당(fructose,100%), d-소르비톨(sorbitol), 쌀가루, 쌀겨가루, 오트밀, 고과당옥수수시럽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유인제에서 상기 건조효모는 상기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제가 땅콩버터오일, 사과식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대두유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가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가 소르빈산, 소르빈산염, 살리실산나트륨, 벤조산나트륨, 파라벤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9. 바퀴벌레를 살충하는 살충원제, 바퀴벌레의 먹이로서 기능하며, 비활성화 건조효모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유인제, 조성물에 맛과 향을 부여하여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미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결합제, 조성물을 방치 또는 저장하였을 때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안정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부패를 방지하는 보존제 및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을 담지하는 매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중량%의 향미제, 10 내지 25중량%의 결합제, 0.1 내지 2중량%의 안정제, 0.1 내지 5중량%의 보존제, 0.1 내지 10중량%의 매질 및 잔량으로서 유인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수득되는 혼합물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소성하여 쿠키의 형상으로 소성하는 소성단계; 및
    상기 소성단계에서 수득되는 상기 쿠키에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중량%의 살충원제를 투입하는 살충원제투입단계를 포함하는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11602A 2011-02-09 2011-02-09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72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02A KR101272413B1 (ko) 2011-02-09 2011-02-09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CT/EP2012/050831 WO2012107266A1 (en) 2011-02-09 2012-01-20 Poison bait-type insecticidal composition for attracting cockroaches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02A KR101272413B1 (ko) 2011-02-09 2011-02-09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681A true KR20120091681A (ko) 2012-08-20
KR101272413B1 KR101272413B1 (ko) 2013-06-07

Family

ID=4550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602A KR101272413B1 (ko) 2011-02-09 2011-02-09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2413B1 (ko)
WO (1) WO2012107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0967A1 (en) 2011-10-04 2013-04-11 0903608 B.C. Ltd. Pest contro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9999218B2 (en) 2011-10-04 2018-06-19 0903608 B.C. Ltd. Pest control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4770399A (zh) * 2015-03-13 2015-07-15 贵州国台酒业有限公司 一种引诱蟑螂的药剂以及使用该药剂捕获蟑螂的方法
CN104705328B (zh) * 2015-03-19 2017-01-18 河北朝岩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蟑螂药及其制备方法
IL238908A (en) * 2015-05-19 2017-04-30 Aharonov Igor Blatodea exterminator and production method for it
KR101772693B1 (ko) 2016-02-29 2017-08-29 (주)국보싸이언스 겔 상의 바퀴벌레 방제용 조성물
US10743535B2 (en) 2017-08-18 2020-08-18 H&K Solutions Llc Insecticide for flight-capable pests
CN108991029B (zh) * 2018-09-07 2021-09-21 成都彩虹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组份快速发酵蟑螂引诱剂及其制备和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5448B2 (ko) 1971-11-30 1976-02-20
JPS5042053A (ko) 1973-08-20 1975-04-16
JPS5046842A (ko) 1973-08-22 1975-04-25
JPS5241339B2 (ko) 1973-12-03 1977-10-18
JPS5095432A (ko) 1973-12-27 1975-07-29
JPS5238024A (en) 1975-09-19 1977-03-24 Kiyokazu Takaishi Cockroach attractant
JPS5338626A (en) 1976-09-16 1978-04-08 Riken Perfumery Kk Insect attractant
JPS5391140A (en) 1977-01-20 1978-08-10 Kao Corp Attractants for cockroaches
JPS53113027A (en) 1977-03-14 1978-10-03 Otsuka Masatomi Cockroach inducing agent
JPS5594302A (en) 1979-01-12 1980-07-17 Sumitomo Chem Co Ltd Preparation of cockroach attractant
JPS6054303A (ja) 1983-08-31 1985-03-28 Yukio Nakagawa ゴキブリ駆除剤
JPS61291505A (ja) 1985-06-20 1986-12-22 T Hasegawa Co Ltd ゴキブリ誘引剤
JPS62135403A (ja) 1985-12-09 1987-06-18 Taisho Pharmaceut Co Ltd ゴキブリ類の誘引,摂食刺激剤
JPH0655096B2 (ja) 1986-05-28 1994-07-27 フマキラ−株式会社 誘引殺虫器
DE4005628A1 (de) * 1990-02-22 1991-08-29 Henkel Kgaa Schabenkoed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4342511A (ja) 1991-05-17 1992-11-30 Earth Chem Corp Ltd ゴキブリ誘引組成物
JPH054904A (ja) 1991-06-28 1993-01-14 Sumitomo Chem Co Ltd ゴキブリ誘引剤
CA2091922A1 (en) * 1992-04-02 1993-10-03 John D. Knapp Delivery system for insecticides
DE19819856A1 (de) * 1998-05-04 1999-11-11 Csb Oekochem Gmbh Insektizides Mittel auf der Basis von hydrophober Kieselsäure
DE29819609U1 (de) * 1998-11-03 1999-01-28 Klose Norbert Biologisches Vertilgungs- und Tötungsmittel für Kakerlaken
KR100454235B1 (ko) * 2002-01-29 2004-10-26 한국과학기술원 페이스트형 살충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7537778B2 (en) * 2002-09-26 2009-05-26 W. Neudorff Gmbh Kg Pest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GB2405339A (en) * 2003-08-29 2005-03-02 Reckitt Benckiser Insecticidal stick composition
US20090274644A1 (en) * 2008-05-01 2009-11-05 Sara Rees Ant Eradication Composition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413B1 (ko) 2013-06-07
WO2012107266A1 (en)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413B1 (ko) 바퀴벌레용 유인 독이제식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974373B2 (ja) 害虫駆除用毒餌剤
WO2021096947A1 (en) Biocide and biopes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rthropods
KR0155399B1 (ko) 바퀴먹이 유인제조성물 및 바퀴방제방법
US3220921A (en) Bait-insecticide
JPH09509962A (ja) 殺虫剤を含む餌の改良した乳濁液組成物
KR101918269B1 (ko) 갈색날개매미충 방제용 조성물
Deliephan Reducing spoilage in intermediate moisture pet foods using food-safe additives as a model system
JP2007070275A (ja) 害虫防除用毒餌剤
CA1333561C (en) Bait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ants
US9420779B1 (en) Insect baits
KR101953984B1 (ko) 비스트리플루론 및 인독사카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JPH0959104A (ja) 組合わせ害虫誘引剤及び組合わせ害虫防除毒餌剤
JP2012067015A (ja) 害虫駆除用毒餌剤
CN112535178A (zh) 一种含有氟氯苯菊酯的卫生杀虫组合物及其应用
JP2005035922A (ja) 多足類用誘引剤及び毒餌剤
JP6878097B2 (ja) 害虫防除用餌剤の喫食性向上方法
JP7244308B2 (ja) 虫の対象成分吸収量の調整方法、及び虫の繁殖調整方法
CN113598184B (zh) 一种能防治红火蚁的固体饵剂
JP7083260B2 (ja) アリ用誘引剤及びアリ用毒餌剤
JP4731741B2 (ja) 害虫防除用毒餌剤
JPH0560441B2 (ko)
El-Sayed et al.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wo local baits used for the control of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L.),(Dictyoptera: Blattellidae)
JP5074631B1 (ja) 害虫駆除方法および害虫駆除用組成物
JP2004315508A (ja) 害虫の誘引、摂食向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